KR20200053667A -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 Google Patents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667A
KR20200053667A KR1020180135675A KR20180135675A KR20200053667A KR 20200053667 A KR20200053667 A KR 20200053667A KR 1020180135675 A KR1020180135675 A KR 1020180135675A KR 20180135675 A KR20180135675 A KR 20180135675A KR 20200053667 A KR20200053667 A KR 20200053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let device
power saving
intuitive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용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8013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667A/ko
Publication of KR2020005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플러그부와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M(M≥1)개의 플러그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삽입부의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구조의 적어도 2개의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거치형 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의 규소(Si)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N(N≥2)개의 지정된 물질을 기 설정된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한 혼합 분말을 저온 건조로에서 산화시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한 후 전기로에서 기 설정된 온도로 소성 후 냉각시켜 생성된 소성 혼합물을 지정된 바인더와 기 설정된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액상화시킨 후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에 상기 액상화된 혼합물을 액상 밀착 후 건조하여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고형화 제작된 강유전체 혼합물과,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 별 일 측의 제1 단자삽입공 내에 구비된 M개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의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1 접촉부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1 배선부와,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 별 다른 일 측의 제2 단자삽입공 내에 구비된 M개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의 다른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2 접촉부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2 배선부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에 구비된 전극부 중 지정된 제1 전극부에 구비된 연결 접점과 상기 제1 배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에 구비된 전극부 중 상기 제1 전극부와 지정된 기하학 관계를 형성하여 절연되게 배치된 제2 전극부에 구비된 연결 접점과 상기 제2 배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의 전극부에 상기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직접 전원 인가 상태로 전환했다가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복귀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된 경우 상기 배선부와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재된 경우 비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Stationary type Electrical Outlet Device equipped with Intuitive Power Saving Function by using Parallel type Noncyclic Power Saver}
본 발명은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하여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플러그부와 전기제품이나 다른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를 삽입 가능한 M(M≥1)개의 플러그삽입부를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의 내부에 N(N≥2)개의 지정된 물질과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를 이용하여 제작된 강유전체 혼합물을 구비하면서 상기 전원 플러그부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 내의 전극부 및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 측에 구비된 접촉부를 병렬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를 통해 전기제품이나 다른 콘센트로 공급하는 교류 전원을 절전함은 물론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원까지도 다중 절전하고,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약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절약된 직관적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 절전을 위한 다양한 콘센트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절전형 콘센트장치는 플러그삽입부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전력량을 센싱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11089호(2010년10월14일),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30081호(2011년03월23일),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81368호(2013년07월17일), 특허등록공보 제10-1731266호(2017년04월24일) 등).
그러나 종래의 절전형 콘센트장치는 단지 연결된 전기기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대기전력의 사용을 차단하는 것일 뿐, 전기기기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전력 사용을 절전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며, 특히 종래의 어떠한 절전형 콘센트장치도 해당 콘센트장치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전력 사용 이외에 다른 전기기기의 전력 사용은 전혀 절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하여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플러그부와 전기제품이나 다른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를 삽입 가능한 M(M≥1)개의 플러그삽입부를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의 내부에 N(N≥2)개의 지정된 물질과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를 이용하여 제작된 강유전체 혼합물을 구비하면서 상기 전원 플러그부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 내의 전극부 및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 측에 구비된 접촉부를 병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전기제품이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여 1차 절전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 플러그부를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다른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2차 절전함은 물론,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다른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3차 절전하고,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약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절약된 직관적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플러그부와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M(M≥1)개의 플러그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삽입부의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구조의 적어도 2개의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거치형 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의 규소(Si)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N(N≥2)개의 지정된 물질을 기 설정된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한 혼합 분말을 저온 건조로에서 산화시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한 후 전기로에서 기 설정된 온도로 소성 후 냉각시켜 생성된 소성 혼합물을 지정된 바인더와 기 설정된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액상화시킨 후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에 상기 액상화된 혼합물을 액상 밀착 후 건조하여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고형화 제작된 강유전체 혼합물과,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 별 일 측의 제1 단자삽입공 내에 구비된 M개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의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1 접촉부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1 배선부와,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 별 다른 일 측의 제2 단자삽입공 내에 구비된 M개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의 다른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2 접촉부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2 배선부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에 구비된 전극부 중 지정된 제1 전극부에 구비된 연결 접점과 상기 제1 배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에 구비된 전극부 중 상기 제1 전극부와 지정된 기하학 관계를 형성하여 절연되게 배치된 제2 전극부에 구비된 연결 접점과 상기 제2 배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의 전극부에 상기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직접 전원 인가 상태로 전환했다가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복귀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된 경우 상기 배선부와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재된 경우 비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는 10~40 wt(%) 범위의 규소(Si)와, 10~40 wt(%) 범위의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규소(Si)와 알루미늄(Al)의 중량백분율의 합은 60(+5) wt(%)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은 5~20 wt(%) 범위의 철(Fe)과 5~20 wt(%) 범위의 마그네슘(Mg)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은 5wt(%) 이내의 지르코늄(Zr), 5wt(%) 이내의 나트륨(Na), 5wt(%) 이내의 칼륨(K), 5wt(%) 이내의 칼슘(Ca), 5wt(%) 이내의 타이타늄(Ti), 5wt(%) 이내의 붕소화지르코늄(ZrB2), 5wt(%) 이내의 타이타늄화합물(TiB2), 5wt(%) 이내의 타이타늄바륨(BaTi)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각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을 포함하는 n(1≤n≤N)개의 광석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n개의 광석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i(1≤i≤N)개의 광석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i개의 광석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부족한 j(1≤j≤N, N=i∪j)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i개의 광석 원료와 j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을 포함하는 k(1≤k≤N)개의 폐기물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k개의 폐기물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p(1≤p≤N)개의 폐기물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p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부족한 q(1≤q≤N, N=p∪q)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p개의 폐기물 원료와 q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s(1≤s≤N)개의 광석 원료와 t(1≤t≤N)개의 폐기물 원료를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부족한 u(1≤u≤N, N=s∪t∪u)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 및 u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페기물 원료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품질 검사에 실패한 강유전체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도록 혼합된 원료를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산화 혼합물은 저온 건조로에서 80℃(ㅁ10℃)의 건공기를 통해 상기 혼합 분말을 45시간 이상 산화시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성 혼합물은 전기로에서 890℃ 내지 970℃의 온도로 상기 산화 혼합물을 10시간 이상 소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는 광물질 분말을 결합시켜 액상화하는 무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합 비율은 상기 소성 혼합물 대비 바인더의 비율이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하학 관계는 상호 절연된 전극부 간 전기분극(또는 유전분극) 발생을 최대화하기 위해 각 전극부를 1㎝ ~ 1.5㎝의 거리 관계로 상호 이격시켜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하학 관계는 상호 절연된 지정된 2개의 전극부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하학 관계는 상호 절연된 지정된 2개의 전극부를 대향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하학 관계는 상호 절연된 지정된 2개의 전극부를 계층 구조로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하학 관계는 강유전체 혼합물의 내부에 구비된 각 전극부의 표면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의 겉 표면 사이의 수직방향 최단 거리를 적어도 0.5㎝ 이상 이격하도록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극부는 각 전극부 별로 길이 3㎝ 이상, 폭 0.5㎝ 이상, 두께 0.1㎝ 이상의 전극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극부는 각 전극부 별로 적어도 3.6㎠ 이상의 면적을 강유전체 혼합물과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은 적어도 45㎤ 이상의 부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극부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2개의 전극부에 1000V(ㅁ100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전극부 간 절연저항이 적어도 100MΩ 이상 또는 무한대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주기적으로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 해제 후 복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사용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변화하는지 확인하여 기준 값 이상 변화된 경우 일시적으로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해제 후 복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치형 콘센트장치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지정된 설정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센서부를 통해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근거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간정보 또는 누적전력량의 초기화 일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 해제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센싱된 비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에서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센싱된 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차감하여 절약된 전력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상기 센서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센싱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과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일시적으로 센싱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시계열적으로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센싱된 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근거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저장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 사이의 관계를 근거로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전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비절전 누적전력량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절전 누적전력량정보에서 상기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를 차감하여 절약된 누적전력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형 콘센트에 전원 연결된 전기제품이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흡수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선로 상의 저항성분을 감소시켜 도선에 흐르는 자유전자의 이동 속도를 급격히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거치형 콘센트를 이용한 교류 전원의 전력 사용 중에 상기 사용 중인 전력을 절전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절전은 단순히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절전하는 반면, 거치형 콘센트에 전원 연결된 전기제품이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로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는 물론 인가되지 않는 대기전력 상태에서도 강유전체 혼합물을 구비하여 도선에 연결된 거치형 콘센트장치를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선로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예컨대, 콘센트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지 않고도)함으로써,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다른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2차 절전함은 물론,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다른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3차 절전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형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사용 중에 상기 거치형 콘센트 구비된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전 사용한 전력량이나 누적전력량은 물론,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약한 전력량이나 누적전력량을 출력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거치형 콘센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모듈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거치형 콘센트장치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을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으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하여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플러그부(105)와 전기제품이나 다른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를 삽입 가능한 M(M≥1)개의 플러그삽입부(110)를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의 내부에 N(N≥2)개의 지정된 물질과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145)를 이용하여 제작된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구비하면서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 내의 전극부(145) 및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측에 구비된 접촉부(125)를 병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삽입부(110)의 접촉부(125)를 통해 전기제품이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1차 절전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를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다른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2차 절전함은 물론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다른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3차 절전하는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의 개념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편의상 본 도면1은 2개의 플러그삽입부(110)를 구비한 콘센트장치(100)를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콘센트장치(100)의 플러그삽입부(110)는 1개부터 6개까지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6개 이상의 실시예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거치형 콘센트장치(100)는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하여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플러그부(105)와 전기제품이나 다른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를 삽입 가능한 M(M≥1)개의 플러그삽입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는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구조를 지닌 적어도 2개의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삽입부(110)도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구조를 지닌 적어도 2개의 단자삽입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단자 및 상기 플러그삽입부(110)의 단자삽입공(115)의 위치와 형태는 상호 매칭되는 구조를 지닌다. 한편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는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구조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접지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삽입부(110)도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구조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와 플러그삽입부(110)의 구조는 국제전기 표준회의(IEC : International Electronical Committee)에 따른 14종의 전기 플러그 타입 중 어느 한 타입에 해당하는 구조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기 플러그 타입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대한민국의 경우 상기 국제전기 표준회의에 따른 14종의 전기 플러그 타입 중 C 타입과 F 타입을 적용하고 있다. 편의상 본 도면1은 국제전기 표준회의의 전기 플러그 타입 중 F 타입을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는 옥내나 상업시설 또는 산업시설의 배전반이나 분전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단자는 상기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구비된 단자삽입공 내의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는 배전반이나 분전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구비된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접지되기 위한 접지 접점이나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구조나 상기 단자의 위치 내지 구조는 국제전기 표준회의에 따른 전기 플러그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따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플러그삽입부(110)는 옥내나 상업시설 또는 산업시설에 구비된 각종 전기제품이나 다른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를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전기제품이나 다른 콘센트의 전원 플러그의 삽입 시 상기 삽입되는 전원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를 삽입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단자삽입공(115)을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구조로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플러그삽입부(110)는 상기 삽입되는 전원 플러그에 구비된 접지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접지되기 위한 접지부(120)와 접지선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삽입부(110)의 구조나 상기 단자삽입공(115)의 위치 내지 구조는 국제전기 표준회의에 따른 전기 플러그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따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형 콘센트장치(100)는,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의 규소(Si)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N(N≥2)개의 지정된 물질을 기 설정된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한 혼합 분말을 저온 건조로에서 산화시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한 후 전기로에서 기 설정된 온도로 소성 후 냉각시켜 생성된 소성 혼합물을 지정된 바인더와 기 설정된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액상화시킨 후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145)에 상기 액상화된 혼합물을 액상 밀착 후 건조하여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고형화 제작된 강유전체 혼합물(140)과,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일 측의 제1 단자삽입공(115) 내에 구비된 M개의 제1 접촉부(125)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1 접촉부(125)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1 배선부(130)와,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다른 일 측의 제2 단자삽입공(115) 내에 구비된 M개의 제2 접촉부(125)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다른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2 접촉부(125)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2 배선부(130)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 중 지정된 제1 전극부(145)에 구비된 연결 접점과 상기 제1 배선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155)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 중 상기 제1 전극부(145)와 지정된 기하학 관계를 형성하여 절연되게 배치된 제2 전극부(145)에 구비된 연결 접점과 상기 제2 배선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155)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전극부(145)에 상기 연결부(15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직접 전원 인가 상태로 전환했다가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복귀하도록 처리하되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된 경우 상기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재된 경우 비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센싱한 후 상기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운영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과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및 운영모듈을 지정된 탑재 공간에 구비하고 콘센트장치(100)의 외형을 구현하는 몸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에 맞게 포함된 N(N≥2)개의 지정된 물질과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14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고형화 제작되는 조성물의 총칭으로서, 교류 전원의 인가 내지 사용 중에 전력계통이나 부하장치(예컨대, 모터) 등에서 발생하여 상기 전극부(145)에 전달된 고조파(Harmonics)를 흡수한 후 열에너지로 변환 방출하여 상기 고조파에 의한 선로의 저항성분을 감소시켜 도선에 흐르는 자유전자의 이동 속도를 급격히 증가시켜 절전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교류 전원의 사용 중에 부하장치나 전선 등에서 발생하여 상기 전극부(145)에 전달된 열잡음(Thermal Noise)을 흡수한 후 열에너지로 변환 방출하여 상기 부하장치 또는 전선의 유효전력량을 줄여 절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조파는 교류 전원의 기본파 이외에 주기적 반복파형을 구성하는 파동의 총칭이다. 주기적 반복파형은 기본파의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파동으로 분해되는데, 주파수가 기본파의 t(t≥2)배인 파동을 제t차 고조파라고 한다. 한편 교류 전원의 경우 고조파는 변압기를 통해 교류 전압을 변환하거나 각종 전기제품에 장착된 모터를 동작시키거나 각종 전자제품에서 주파수를 갖는 전기적 신호를 발진하는 경우에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한 고조파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선로를 따라 전파되면서 선로의 저항성분을 증가시켜 도선에 흐르는 자유전자의 이동 속도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 때문에 동등한 작업을 위해 더 많은 전력량을 사용하게 한다. 특히 부하장치에서 발생한 고조파는 전원 공급 측(예컨대, 배전반이나 분전판 등)에서 부하장치 말단까지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 강하를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전압 강하는 전압 파형이 일그러지는 전압 왜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압 왜형은 증폭되어 ‘각종 계전기 오동작, 정밀 전자기기의 동작 불량, 역율 저하, 소음 및 진동 발생, 기기 손상 및 과열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막대한 에너지 손실을 초래한다. 한편 교류 전원의 경우 상기의 원인들을 초래하는 고조파는 주로 제3차 고조파, 제5차 고조파 및 제7차 고조파 등이며, 본 발명의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특히 제3차 고조파, 제5차 고조파 및 제7차 고조파 등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옥내에 구비되는 대부분의 가전제품(예컨대, 냉장고, 선풍기, 에어컨, 세탁기 등)이나 상업시설에 구비된 각종 상업용 전기제품 내지 산업시설에 구비된 각종 산업시설 등에는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모터와 같은 부하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자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주파수를 갖는 전기적 신호를 발진하는 수많은 전자제품들이 구비되고 있다. 따라서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옥내나 상업시설 또는 산업시설 등을 포함하는 대부분 전기를 사용하는 곳에서 필연적으로 고조파가 발생하고 있으며, 고조파 발생 원인과 발생량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전기를 사용하는 곳에서 고조파에 의해 전력이 낭비되고 있다.
상기 열잡음은 열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의 총칭이다. 부하장치의 경우 전류파형이 전압파형에 비해 90도가 늦은 위상차와 기동전류로 인해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열 발생으로 인해 열잡음이 발생하게 된다. 열잡음은 온도가 높을수록 잡음 전압이 커지며 주파수 분포가 넓어진다. 본 발명의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전극부(145)로 전달된 열잡음을 흡수한 후 이를 열에너지로 변환 방출한다. 이 때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열 자체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열에 의해 발생한 열잡음의 주파수 파형을 흡수하며, 상기 흡수한 열잡음을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방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상기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변환 방출하는 중에 18(+2)℃ 이내(18℃ 이내, 오차 범위 내에서 20℃ 이내)의 표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별도의 회로(예컨대, 교류 전원의 인가 내지 사용 중에 전력 계통에서 발생한 고조파의 역고조파를 발생시켜 상기 고조파를 상쇄시키는 회로) 없이, 및/또는 별도의 코일 없어, 및/또는 별도의 자성체 없이, 및/또는 별도의 자력 공급 없이, 및/또는 별도의 에너지 공급(예컨대, 원적외선 등) 없이, 오로지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로 배합된 N개의 지정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전극부(145)로 인가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비율 이상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의 규소(Si)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N)개의 지정된 물질을 기 설정된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혼합 분말을 생성하고, 저온 건조로에서 상기 혼합 분말을 산화시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하고, 전기로에서 기 설정된 온도로 상기 산화 혼합물을 소성 후 냉각시켜 소성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소성 혼합물과 지정된 바인더를 기 설정된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액상화시킨 후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145)에 상기 액상화된 혼합물을 액상 밀착 후 건조하면서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고형화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을 이용하여 상기 전극부(145)로 인가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비율 이상 흡수하여 기 설정된 절전율(예컨대, 냉장고, 선풍기, 에어컨, 세탁기를 사용하는 옥내 환경에서 10% 이상의 절전율)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혼합 분말은 상기 N개의 물질 중 상기 규소(Si)의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는 10~40 wt(%)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Al)의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는 10~40 wt(%)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전극부(145)로 인가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해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되는 규소(Si)와 알루미늄(Al)의 중량백분율의 합은 60(+5) wt(%) 이내(60 wt(%)이내, 오차 범위 내에서 65 wt(%) 이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각 물질 별 원료를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을 포함하는 n(1≤n≤N)개의 광석 원료를 준비한 후, n개의 각 광석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n개의 광석 원료를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제조 단가는 각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격히 낮출 수 있다. 다만 광석은 동일 명칭의 광석이라도 광산이나 산지에 따라 광물질의 함유량이 다르고 해당 광석 내에 포함된 부가물질의 종료와 함유량도 다르다. 따라서 광석만으로 혼합 분말을 제조할 경우 제조 단가는 낮출 수 있지만,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를 제어하기 난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된 n개의 광석에 포함된 광물질의 함유량과 부가물의 물질 종류 및 함유량이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매칭된다면 최저의 제조 단가로 오차 범위 내에서 지정된 절전 성능을 제공하는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제조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제조 단가는 낮지만 절전 성능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 낮아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i(1≤i≤N)개의 광석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상기 i개의 광석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i개의 광석 원료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매칭되지 않게 부족한 j(1≤j≤N, N=i∪j)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i개의 광석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i개의 광석 원료와 j개의 물질 별 원료를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제조 단가는 각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낮으며,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k(1≤k≤N)개의 폐기물 원료(예컨대,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또는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고 폐기되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또는 품질 검사에 실패한 강유전체 혼합물(140) 등)를 준비한 후, k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k개의 폐기물 원료를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제조 단가는 각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격히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p(1≤p≤N)개의 폐기물 원료(예컨대,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또는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고 폐기되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또는 품질 검사에 실패한 강유전체 혼합물(140) 등)를 준비하고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상기 p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p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매칭되지 않게 부족한 q(1≤q≤N, N=p∪q)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p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p개의 폐기물 원료와 q개의 물질 별 원료를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제조 단가는 각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격히 낮으며,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s(1≤s≤N)개의 광석 원료와 t(1≤t≤N)개의 폐기물 원료를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상기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매칭되지 않게 부족한 u(1≤u≤N, N=s∪t∪u)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 및 u개의 물질 별 원료를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제조 단가는 각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낮으며, 상기 혼합 분말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내지 제6 혼합물 제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 제조 실시예를 통해 혼합 분말을 제조할 경우 국내에서 확보 가능한 대표적인 광석 원료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물질 내지 해당 원료에 포함된 부가물의 종류나 함유량을 고려할 경우, 상기 혼합 분물에 상기 광석 원료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다양한 부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전극부(145)로 인가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해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되는 규소(Si)와 알루미늄(Al)의 중량백분율의 합은 55 wt(%) 이내의 중량백분율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되는 N개의 지정된 물질은 상기 규소(Si)와 알루미늄(Al) 이외에 5~20 wt(%) 범위의 철(Fe)과 5~20 wt(%) 범위의 마그네슘(Mg)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료에 포함된 광석의 종류나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혼합 분말은 5~20 wt(%) 범위의 탄화규소(S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되는 N개의 지정된 물질은 상기 물질들 이외에 5wt(%) 이내의 지르코늄(Zr), 5wt(%) 이내의 나트륨(Na), 5wt(%) 이내의 칼륨(K), 5wt(%) 이내의 칼슘(Ca), 5wt(%) 이내의 타이타늄(Ti), 5wt(%) 이내의 붕소화지르코늄(ZrB2), 5wt(%) 이내의 타이타늄화합물(TiB2), 5wt(%) 이내의 타이타늄바륨(BaTi)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5wt(%) 이내의 물질 중 일부의 물질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제2 내지 제6 혼합물 제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 제조 실시예를 통해 혼합 분말을 제조할 경우 국내에서 확보 가능한 대표적인 광석 원료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물질 내지 해당 원료에 포함된 부가물의 종류나 함유량을 고려할 경우,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되는 N개의 지정된 물질은 26.8(wt(%))의 규소(Si), 26.0(wt(%))의 알루미늄(Al), 9.50(wt(%))의 마그네슘(Mg), 10.20(wt(%))의 철(Fe), 10.00(wt(%))의 탄화규소(SiC), 3.20(wt(%))의 지르코늄(Zr), 2.20(wt(%))의 나트륨(Na), 4.60(wt(%))의 칼륨(K), 2.20(wt(%))의 칼슘(Ca), 1.00(wt(%))의 타이타늄(Ti), 2.00(wt(%))의 붕소화지르코늄(ZrB2), 1.20(wt(%))의 타이타늄화합물(TiB2), 3.10(wt(%))의 타이타늄바륨(BaTi)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6 혼합물 제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 제조 실시예를 통해 N개의 지정된 물질을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매칭되게 기 설정된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한 혼합 분말이 생성되면, 상기 혼합 분말을 저온 건조로에 투입하여 건조된 공기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면서 산화시킨 후 질소(N2)를 통해 냉각하여 공기 중에서 안정화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저온 건조로에서 80℃(ㅁ10℃)의 건조된 공기를 통해 상기 혼합 분말을 45시간 이상 산화시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된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일부 물질(예컨대, 규소(Si), 나트륨(Na), 알루미늄(Al) 등)은 산소(O2)와 결합하는 과정에 수분(예컨대, 산소(O2)와 수소(H) 등)이 존재할 경우 자연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산화 혼합물은 반드시 건조된 공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및 천천히 산화시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된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규소(Si)는 이산화규소(Si02)로 산화되고, 상기 알루미늄은 산화알루미늄(AlO2)으로 산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된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마그네슘(Mg)은 산화마그네슘(MgO)으로 산화되고, 철(Fe)은 산화철(Fe2O3)로 산화될 수 있다. 그외 다른 물질들도 산화지르코늄(ZrO2), 초산화나트륨(NaO2), 초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산화타이타늄(TiO2), 붕소화지르코늄(ZrB2), 타이타늄화합물(TiB2), 타이타늄산바륨(BaTiO3) 등으로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산화된 물질을 포함하는 산화 혼합물은 공기 중에서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된 물질이 기 산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산화 과정을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산화 혼합물이 생성되면, 전기로에서 890℃ 내지 970℃의 온도로 상기 산화 혼합물을 10시간 이상 소성하고 질소(N2)를 통해 냉각하여 소성 혼합물을 생성한다. 상기 소성 과정을 통해 상기 소성 혼합물은 공기 중의 어떠한 환경에서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유전체의 특성이 안정적으로 활성화된다. 한편 상기 혼합 분말에 포함된 물질이 기 산화되어 안정화된 상태이거나 상기 산화 혼합물이 산화된 후 안정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소성 과정을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소성 혼합물이 생성되면, 지정된 바인더(예컨대, 광물질 분말을 결합시켜 액상화하는 무기 화합물)와 상기 소성 혼합물을 기 설정된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액상화시켜 액상 혼합물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소성 혼합물과 바인더의 배합 비율은 상기 소성 혼합물 대비 바인더의 비율이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제작하기 위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제작된 틀에 고전도성 금속물질(예컨대, 구리(Cu) 등)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전극부(145)를 상호 절연되게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배치 고정하고, 상기 전극부(145)의 일 측에 지정된 연결부(155)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접점을 구비한 제작틀을 준비한다. 상기 제작틀은 상기 액상 혼합물을 부어 건조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제작 시 상기 연결 접점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각의 접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전극부(145)를 배치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전극부(145) 간 전기분극(또는 유전분극) 발생을 최대화하기 위해 각 전극부(145)를 1㎝ ~ 1.5㎝의 거리 관계로 상호 이격시켜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지정된 2개의 전극부(145)에 250V/16A의 교류 전원을 인가할 경우 상기 전극부(145) 간 전기분극(또는 유전분극) 현상이 활성화되는 간격은 0.9㎝ ~ 2.2㎝인데,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2개의 전극부(145) 간 간격이 1㎝ ~ 1.5㎝일 때 상기 전기분극(또는 유전분극) 현상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부(145) 간 간격을 0.9㎝ ~ 2.2㎝로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2개의 전극부(145)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자 마자 곧바로 전기분극(또는 유전분극) 현상이 최대화되는 것은 아니며,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각 전극부(145)에 교류 전원이 인가된 후 최소 7분 이상(바람직하게, 10분 이상) 경과한 후에 상기 전기분극(또는 유전분극) 현상이 최대화되거나 최대화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전극부(145)를 배치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지정된 2개의 전극부(145)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전극부(145)의 단면이 '-'인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부(145)는 '- -'와 같이 평행한 관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전극부(145)의 단면이 '|'인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부(145)는 '| |'와 같이 평행한 관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전극부(145)를 배치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상호 절연된 지정된 2개의 전극부(145)를 대향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전극부(145)의 단면이 '-'인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부(145)는 '- -'와 같이 대향하는 관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전극부(145)의 단면이 '|'인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부(145)는 '| |'와 같이 대향하는 관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전극부(145)를 배치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지정된 2개의 전극부(145)를 계층 구조로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전극부(145)의 단면이 '-'인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부(145)는 '- _'의 관계나 '_ -'의 관계와 같은 계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전극부(145)를 배치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내부에 구비된 각 전극부(145)의 표면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겉 표면 사이의 수직방향 최단 거리를 적어도 0.5㎝ 이상 이격하도록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확장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상기 연결부(1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145) 이외에 상기 접지부(120)와 연결된 접지선부(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접지 접전과 연결된 접지선부(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조파와 열잡음은 전도성 금속물질의 표면을 따라 전달되고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직육면체 구조로 제작되므로, 상기 전극부(145)는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전극판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통해 250V/16A의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전극부(145)는 각 전극부(145) 별로 길이 3㎝ 이상, 폭 0.5㎝ 이상, 두께 0.1㎝ 이상의 전극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전극판의 기하학 구조의 수치 값은 250V/16A의 교류 전원 조건에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한 최소의 수치 값이며, 상기 전극부(145)의 기하학 구조의 수치 값은 상기 전극부(145)와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한편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통해 공급하는 전압량이 250V보다 일정 비율 크게 설정되거나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통해 공급할 전류량이 상기 16A보다 일정 비율 크게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전극부(145)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최소 수치 값은 상기 산정된 수치 값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 더 넓은 외부 면적을 산출 가능한 형태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전극부(145)로 인가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전극부(145)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지정된 접촉 면적 이상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통해 250V/16A의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전극부(145)는 각 전극부(145) 별로 적어도 3.6㎠ 이상의 면적을 강유전체 혼합물(140)과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전극부(145)의 기하학 구조가 길이 3㎝, 폭 0.5㎝, 두께 0.1㎝인 경우, 상기 전극부(145)의 양 끝단은 지정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강유전체 혼합물(14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기하학 구조의 전극부(145)가 강유전체 혼합물(140)과 접촉하는 접촉 면적은 3.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전극판의 접촉 면적의 수치 값은 250V/16A의 교류 전원 조건에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한 최소의 수치 값이며, 상기 전극부(145) 접촉 면적의 수치 값은 상기 전극부(145)와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며, 강유전체 혼합물(140) 내에서 상기 전극부(145)와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은 넓을 수록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통해 공급하는 전압량이 250V보다 일정 비율 크게 설정되거나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통해 공급할 전류량이 상기 16A보다 일정 비율 크게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전극부(145)의 접촉 면적에 대한 최소 수치 값은 상기 산정된 수치 값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 더 넓은 접촉 면적을 산출 가능한 형태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전극부(145)로 인가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지정된 부피 이상의 부피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통해 250V/16A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극부(145)의 기하학 구조는 3㎝ 이상, 폭 0.5㎝ 이상, 두께 0.1㎝ 이상이고,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145)가 적어도 1㎝ 이상 이격된 상태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되며, 각 전극부(145)의 표면과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표면 간 거리는 적어도 0.5㎝ 이상이므로, 이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는 수치적으로 9.9㎤ 이상이며, 오차값을 고려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전극부(145)로 인가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해 상기 기하학 구조를 포함하는 2개의 전극부(145)를 포함하는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는 적어도 10㎤ 이상의 부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 부피의 수치 값은 250V/16A의 교류 전원 조건에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한 최소의 수치 값이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의 수치 값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가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가 클 수록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를 통해 흡수해야할 고조파와 열잡음의 양과 크기는 콘센트장치(100)의 플러그삽입부(1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장치의 개수와 부하량에 비례한다.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가 10㎤ 내외인 경우 선풍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 2개 이내(예컨대, 5㎤ 당 1개 이내)의 부하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콘센트장치(100)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부하장치의 개수를 평균 1.5개로 산정하고, 콘센트장치(100)에 구비되는 플러그삽입부(110)의 개수를 최대 6개로 산정하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전극부(145)로 인가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는 45㎤ 이상의 부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콘센트장치(100)에 구비되는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상기 콘센트장치(100)의 플러그삽입부(1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고조파와 열잡음만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플러그삽입부(1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지 않으나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다른 부하장치들을 통해 발생하는 고조파와 열잡음도 흡수함을 특징으로 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콘센트장치(100)에 구비되는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부하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한다. 한편 부하장치가 집중된 일부 상업시설이나 산업시설을 제외한 통상의 전기 사용 환경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부하장치의 개수는 9개 이내이며, 이를 통해 발생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는 45㎤ 이상의 부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 부피의 수치 값은 통상의 전기 사용 환경에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만으로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하기 위한 최소의 수치 값이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의 수치 값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가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부피가 클 수록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고조파와 열잡음을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외형에 대한 기하학 구조는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탑재하는 콘센트장치(100) 내부의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강유전체 탑재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본 도면1의 실시예와 같이 전원 플러그부(105)를 통해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몸체부(160)의 앞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강유전체 탑재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플러그삽입부(110)의 양 옆 중 적어도 하나의 옆 부분에 해당하는 몸체부(160)의 옆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강유전체 탑재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플러그삽입부(110)의 아래에 해당하는 몸체부(160)의 아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강유전체 탑재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전원 플러그부(105)를 통해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부분의 반대쪽에 대응하는 몸체부(160)의 뒤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작틀은 상기 콘센트장치(100)의 몸체부(160)에 형성된 지정된 탑재 공간에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탑재 내지 고정 가능한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작틀이 준비되면, 상기 제작틀에 상기 액상화된 액상 혼합물을 부어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배치된 상기 전극부(145)에 상기 액상 혼합물을 액상 밀착시키면서 상온 건조하여 상기 틀에 대응하는 지정된 가하학 구조로 고형화된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작틀에 상기 액상 혼합물을 부은 상태에서 상기 액상 상태의 고형화가 진행되기 전에 상기 제작틀에 지정된 주파수의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전극부(145)에 상기 액상 혼합물을 공극이나 빈틈 없이 밀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작틀에 부은 액상 혼합물이 상온 건조되어 고형화되면, 상기 제작틀을 제거하여 고형화된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분리한 후, 지정된 품질 검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전극부(145)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2개의 전극부(145)에 1000V(ㅁ100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전극부(145) 간 절연저항이 100MΩ 이상 또는 무한대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고형화된 상태에서 350~460 kgf/㎠의 압축 강도 및 27~35 kgf/㎠의 인장 강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형화된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외형적으로 금이 간 부분이나 깨진 부분이 존재해서는 안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육안 검사 또는 지정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제작되면, 상기 콘센트장치(100)의 몸체부(160)의 내부에 형성된 탑재 공간에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탑재 내지 고정하면서,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일 측의 제1 단자삽입공(115) 내에 구비된 M개의 제1 접촉부(125)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1 접촉부(125)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1 배선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155)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 중 지정된 제1 전극부(145)에 구비된 연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다른 일 측의 제2 단자삽입공(115) 내에 구비된 M개의 제2 접촉부(125)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다른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2 접촉부(125)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2 배선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결부(155)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 중 상기 제1 전극부(145)와 지정된 기하학 관계를 형성하여 절연되게 배치된 제2 전극부(145)에 구비된 연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운영모듈을 탑재하여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의 연결 접점을 지정된 연결부(155)를 통해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단자삽입공(115) 내에 구비된 M개의 접촉부(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콘센트장치(100)는 상기 플러그삽입부(110)의 접촉부(125)를 통해 전기제품이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1차 절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의 연결 접점을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콘센트장치(100)는 상기 스위치부(150)의 스위치를 오프(Off)한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가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되어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황에서 상기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다른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2차 절전함은 물론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다른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3차 절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치형 콘센트장치(100)는,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부(1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위치부(150)는 배선부(130)와 강유전체 혼합물(14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부(150)를 상기 배선부(130)와 강유전체 혼합물(140)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콘센트장치(100)는 상기 스위치부(150)의 스위치를 오프(Off)한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가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되어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황에서 상기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다른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2차 절전함은 물론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다른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3차 절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상기 전극부(145)로 교류 전원이 인가된 후 최소 7분 이상(바람직하게, 10분 이상) 경과한 후에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는 비율이 최고 값에 도달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전극부(145)로 인가된 교류 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통상의 절전 방식과 달리 상기 콘센트장치(100)는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를 통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만 절전 기능이 극대화 내지 유지되는 특징을 지닌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모듈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의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에 탑재된 운영모듈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모듈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모듈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전극부(145)에 상기 연결부(15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직접 전원 인가 상태로 전환했다가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복귀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210)와, 상기 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된 경우 상기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재된 경우 비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는 센서부(205)와, 상기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215)와, 상기 생성된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35)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25)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운영모듈은 상기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지정된 동작 전원을 생성하여 운영모듈의 각 구성부로 인가하는 전원부(220)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20)는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에 구비된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지정된 동작 전원을 생성하여 운영모듈의 각 구성부로 인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모듈의 각 구성부는 직류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상기 전원부(220)는 상기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인가된 교류 전원을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전압 값과 전류 값의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상기 운영모듈의 각 구성부로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부(220)는 상기 인가된 동작 전원을 충전하여 저장하는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은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조건에서도 일정 기간 동안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210)는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전극부(145)에 상기 연결부(15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상기 배선부(130)를 통해 전극부(145)로 전달되는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부(210)는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직접 전원 인가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처리부(210)는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배선부(130)를 거쳐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일 측의 단자삽입공(115) 내의 접촉부(125)까지 직접 인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처리부(210)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제된 상태에서도 상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상기 전극부(145)로 교류 전원이 인가된 후 최소 7분 이상(바람직하게, 10분 이상) 경과한 후에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는 비율이 최고 값에 도달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전극부(145)로 인가된 교류 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상기 처리부(210)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한 시간을 지정된 기준 시간 이내(예컨대, 1분 이내, 바람직하게 수 초 이내)로 한정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상기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는 비율이 감소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210)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주기적으로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직접 전원 인가 상태로 전환했다가 복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210)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사용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변화하는지 확인하며, 만약 상기 사용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값 이상 변화된 경우 일시적으로 전기적 연결 상태를 해제하여 직접 전원 인가 상태로 전환했다가 복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5)는 상기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지정된 센싱 값을 센싱한다. 만약 상기 처리부(210)가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205)는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을 센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처리부(210)가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한 경우, 상기 센서부(205)는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배선부(130)를 거쳐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일 측의 단자삽입공(115) 내의 접촉부(125)까지 직접 인가하는 상태(예컨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고조파와 열잡음을 흡수하지 않는 상태)에 대응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205)는 전력량을 센싱하는 전력량 계측 센서와 상기 전력량 계측 센서를 통해 센싱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화된 센싱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구비한 전력량 센서부(20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205)는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에 구비된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전력량 계측 센서를 연동하며, 상기 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된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을 센싱한다. 한편 상기 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재된 경우, 상기 센서부(205)는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배선부(130)를 통해 접촉부(125)에 직접 인가된 교류 전원에 대한 비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205)는 고조파를 센싱하는 고조파 센서와 상기 고조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화된 센싱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구비한 고조파 센서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205)는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에 구비된 배선부(130)와 연결부(155)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고조파 센서를 연동하며, 상기 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된 경우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흡수된 고조파를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을 센싱한다. 한편 상기 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재된 경우, 상기 센서부(205)는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이용하여 고조파를 흡수하지 않고 상기 배선부(130)를 통해 상기 접촉부(125)에 직접 인가된 교류 전원에 대응하는 고조파를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25)는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설정된 지정된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정보(또는 설정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는 상기 콘센트장치(100)(또는 운영모듈)의 제조 시점에 상기 저장부(225)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225)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지정된 설정정보(또는 설정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부(235)는 지정된 설정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부(23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상기 설정정보를 입력 처리하며, 상기 저장부(225)는 상기 조작부(230)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235)를 통해 출력할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값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정보(예컨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절전 사용된 전력량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비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정보(예컨대, 비절전 사용된 전력량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225)에 전력량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설정정보(예컨대, 전력량 당 요율정보, 지정된 누진 구간 별로 누진제를 적용하기 위한 누진제 정보 등)가 저장된 경우, 상기 생성부(210)는 상기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절전 사용된 전력량정보에 대응하는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 해제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센싱된 비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에서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센싱된 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차감하여 절약된 전력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저장부(225)에 전력량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생성부(210)는 상기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절약된 전력량정보에 대응하는 절약된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225)에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통해 센싱된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저장부(225)에 누적전력량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설정정보(예컨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누적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간정보 또는 누적전력량의 누적을 초기화하는 일시정보 등)가 저장된 경우,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절전 센싱 값에 포함된 전력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누적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225)에 누적전력량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생성부(210)는 상기 설정정보를 근거로 일정 기간 동안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에 대응하는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225)는 상기 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지속적으로 센싱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과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일시적으로 센싱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시계열적으로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이 경우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센싱된 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근거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저장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 사이의 관계(예컨대, 유효 센싱된 절전 센싱 값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일부 센싱되지 않은 비절전 센싱 값의 일부 구간을 보간하는 관계 등)를 근거로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절전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비절전 누적전력량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절전 누적전력량정보에서 상기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를 차감하여 절약된 누적전력량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저장부(225)에 누적전력량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생성부(210)는 상기 설정정보를 근거로 일정 기간 동안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에 대응하는 절전 사용 요금정보와 상기 비절전 누적전력량정보에 대응하는 비절전 요금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절전 요금정보에서 상기 절전 사용 요금정보를 차감하여 절약된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센서부(205)에 고조파를 센싱하는 고조파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지정된 고조파를 센싱한 센싱 값(예컨대, 3차 고조파, 5차 고조파, 7차 고조파 등의 고조파의 차수, 고조파의 주파수 대역, 고조파의 강도(또는 진폭), 고조파 전류량 등)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센서부(205)를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고조파정보(예컨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흡수된 고조파의 차수, 주파수 대역, 강도(또는 진폭), 고조파 전류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조파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저장부(225)에 누적고조파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설정정보(예컨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누적 흡수된 누적고조파를 산출하기 위한 기간정보 또는 누적고조파의 누적을 초기화하는 일시정보 등)가 저장된 경우, 상기 생성부(215)는 상기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누적 흡수된 고조파에 대응하는 누적고조파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성부(215)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출력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235)는 상기 생성된 출력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생성부(215)를 통해 복수의 출력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출력부(235)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되는 출력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조작부(230)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반응하여 출력되는 출력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의 내부에 N(N≥2)개의 지정된 물질과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145)를 이용하여 제작된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구비하면서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 내의 전극부(145) 및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측에 구비된 접촉부(125)를 병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삽입부(110)의 접촉부(125)를 통해 전기제품이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1차 절전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를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상기 벽면형 콘센트나 다른 거치형 콘센트의 다른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2차 절전함은 물론 상기 배전반이나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공유받는 다른 벽면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의 접촉부를 통해 다른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고조파와 열잡음도 병렬식으로 흡수하여 3차 절전하는 거치형 콘센트장치(100)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제작하기 위해 N개의 지정된 물질을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로 포함하는 원료를 준비하고(300), 분쇄기를 통해 준비된 원료를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혼합 분말을 생성한다(305).
본 발명의 제1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N개의 지정된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준비한 후(300), 상기 준비된 각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혼합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305).
본 발명의 제2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N개의 지정된 물질을 포함하는 n(1≤n≤N)개의 광석 원료를 준비한 후(300), n개의 각 광석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n개의 광석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혼합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305).
본 발명의 제3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i(1≤i≤N)개의 광석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상기 i개의 광석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i개의 광석 원료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매칭되지 않게 부족한 j(1≤j≤N, N=i∪j)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300), i개의 광석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i개의 광석 원료와 j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혼합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305).
본 발명의 제4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k(1≤k≤N)개의 폐기물 원료(예컨대,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또는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고 폐기되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또는 품질 검사에 실패한 강유전체 혼합물(140) 등)를 준비한 후(300), k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k개의 폐기물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혼합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305).
본 발명의 제5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p(1≤p≤N)개의 폐기물 원료(예컨대,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또는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고 폐기되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또는 품질 검사에 실패한 강유전체 혼합물(140) 등)를 준비하고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상기 p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p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매칭되지 않게 부족한 q(1≤q≤N, N=p∪q)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300), p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p개의 폐기물 원료와 q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혼합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305).
본 발명의 제6 혼합물 제조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s(1≤s≤N)개의 광석 원료와 t(1≤t≤N)개의 폐기물 원료를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상기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매칭되지 않게 부족한 u(1≤u≤N, N=s∪t∪u)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300),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된 물질 별 중량백분율을 근거로 상기 준비된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 및 u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통해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혼합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305).
상기 혼합 분말이 생성된 경우, 상기 혼합 분말을 저온 건조로에 투입하여 건조된 공기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면서 산화시킨 후 질소(N2)를 통해 냉각하여 공기 중에서 안정화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한다(310). 바람직하게, 저온 건조로에서 80℃(ㅁ10℃)의 건조된 공기를 통해 상기 혼합 분말을 45시간 이상 산화시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혼합물이 생성된 경우, 전기로에서 890℃ 내지 970℃의 온도로 상기 산화 혼합물을 10시간 이상 소성하고 질소(N2)를 통해 냉각하여 소성 혼합물을 생성한다(315).
상기 소성 혼합물이 생성되면, 지정된 바인더와 상기 소성 혼합물을 기 설정된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액상화시켜 액상 혼합물을 생성한다(320).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제작하기 위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제작된 틀에 고전도성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전극부(145)를 상호 절연되게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배치 고정하고, 상기 전극부(145)의 일 측에 지정된 연결부(155)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접점을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장치(100)의 몸체부(160)에 형성된 지정된 탑재 공간에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탑재 내지 고정 가능한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제작틀을 준비한다(325).
상기 제작틀이 준비되면, 상기 제작틀에 상기 액상화된 액상 혼합물을 부어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배치된 상기 전극부(145)에 상기 액상 혼합물을 액상 밀착시키면서 상온 건조하여 상기 틀에 대응하는 지정된 가하학 구조로 고형화한다(330).
만약 상기 액상 혼합물이 고형화되어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이 형성되면, 상기 제작틀에서 고형화된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분리한 후(335),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대하여 지정된 품질 검사(예컨대,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전극부(145) 간 절연 검사, 비파과 검사 등)를 수행한다(340).
만약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품질 검사가 실패한 경우, 상기 품질 검사에 실패한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폐기되며(345), 상기 폐기된 강유전체 혼합물(140)은 다시 상기 혼합 분말의 원료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의 품질 검사를 성공한 경우, 콘센트장치(100)의 몸체부(160)의 내부에 형성된 탑재 공간에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을 탑재 내지 고정하면서,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일 측의 제1 단자삽입공(115) 내에 구비된 M개의 제1 접촉부(125)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1 접촉부(125)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1 배선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155)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 중 지정된 제1 전극부(145)에 구비된 연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110) 별 다른 일 측의 제2 단자삽입공(115) 내에 구비된 M개의 제2 접촉부(125)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105)의 다른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2 접촉부(125)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2 배선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결부(155)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140)에 구비된 전극부(145) 중 상기 제1 전극부(145)와 지정된 기하학 관계를 형성하여 절연되게 배치된 제2 전극부(145)에 구비된 연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운영모듈을 탑재하여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제작한다(350).
100 : 거치형 콘센트장치 105 : 전원 플러그부
110 : 플러그삽입부 115 : 단자삽입공
120 : 접지부 125 : 접촉부
130 : 배선부 135 : 접지선부
140 : 강유전체 혼합물 145 : 전극부
150 : 스위치부 155 : 연결부
160 : 몸체부 200 : 운영모듈
205 : 센서부 210 : 처리부
215 : 생성부 220 : 전원부
225 : 저장부 230 : 조작부
235 : 출력부

Claims (33)

  1. 교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플러그부와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M(M≥1)개의 플러그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삽입부의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구조의 적어도 2개의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거치형 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중량백분율(wt(%)) 범위의 규소(Si)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N(N≥2)개의 지정된 물질을 기 설정된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한 혼합 분말을 저온 건조로에서 산화시켜 산화 혼합물을 생성한 후 전기로에서 기 설정된 온도로 소성 후 냉각시켜 생성된 소성 혼합물을 지정된 바인더와 기 설정된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액상화시킨 후 지정된 기하학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전극부에 상기 액상화된 혼합물을 액상 밀착 후 건조하여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고형화 제작된 강유전체 혼합물;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 별 일 측의 제1 단자삽입공 내에 구비된 M개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의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1 접촉부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1 배선부;
    상기 M개의 플러그삽입부 별 다른 일 측의 제2 단자삽입공 내에 구비된 M개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부의 다른 일 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M개의 제2 접촉부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제2 배선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에 구비된 전극부 중 지정된 제1 전극부에 구비된 연결 접점과 상기 제1 배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에 구비된 전극부 중 상기 제1 전극부와 지정된 기하학 관계를 형성하여 절연되게 배치된 제2 전극부에 구비된 연결 접점과 상기 제2 배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의 전극부에 상기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직접 전원 인가 상태로 전환했다가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복귀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된 경우 상기 배선부와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재된 경우 비절전 사용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는,
    10~40 wt(%) 범위의 규소(Si)와,
    10~40 wt(%) 범위의 알루미늄(A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Si)와 알루미늄(Al)의 중량백분율의 합은,
    60(+5) wt(%)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은,
    5~20 wt(%) 범위의 철(Fe)과,
    5~20 wt(%) 범위의 마그네슘(Mg)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지정된 물질은,
    5wt(%) 이내의 지르코늄(Zr),
    5wt(%) 이내의 나트륨(Na),
    5wt(%) 이내의 칼륨(K),
    5wt(%) 이내의 칼슘(Ca),
    5wt(%) 이내의 타이타늄(Ti),
    5wt(%) 이내의 붕소화지르코늄(ZrB2),
    5wt(%) 이내의 타이타늄화합물(TiB2),
    5wt(%) 이내의 타이타늄바륨(BaTi)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별로 제조된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각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을 포함하는 n(1≤n≤N)개의 광석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n개의 광석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i(1≤i≤N)개의 광석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i개의 광석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부족한 j(1≤j≤N, N=i∪j)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i개의 광석 원료와 j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을 포함하는 k(1≤k≤N)개의 폐기물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k개의 폐기물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p(1≤p≤N)개의 폐기물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p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부족한 q(1≤q≤N, N=p∪q)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p개의 폐기물 원료와 q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N개의 지정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물질을 포함하는 s(1≤s≤N)개의 광석 원료와 t(1≤t≤N)개의 폐기물 원료를 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부족한 u(1≤u≤N, N=s∪t∪u)개의 물질 별 원료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s개의 광석 물질과 t개의 폐기물 원료 및 u개의 물질 별 원료를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는 혼합하여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2. 제 9항 또는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페기물 원료는,
    태양광 패널의 폐슬러지,
    품질 검사에 실패한 강유전체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원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지정된 중량백분율 범위에 대응되도록 혼합된 원료를 100mesh~2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혼합물은,
    저온 건조로에서 80℃(ㅁ10℃)의 건공기를 통해 상기 혼합 분말을 45시간 이상 산화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혼합물은,
    전기로에서 890℃ 내지 970℃의 온도로 상기 산화 혼합물을 10시간 이상 소성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광물질 분말을 결합시켜 액상화하는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 비율은,
    상기 소성 혼합물 대비 바인더의 비율이 10% 이내인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 관계는,
    상호 절연된 전극부 간 전기분극(또는 유전분극) 발생을 최대화하기 위해 각 전극부를 1㎝ ~ 1.5㎝의 거리 관계로 상호 이격시켜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 관계는,
    상호 절연된 지정된 2개의 전극부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 관계는,
    상호 절연된 지정된 2개의 전극부를 대향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 관계는,
    상호 절연된 지정된 2개의 전극부를 계층 구조로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 관계는,
    강유전체 혼합물의 내부에 구비된 각 전극부의 표면과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의 겉 표면 사이의 수직방향 최단 거리를 적어도 0.5㎝ 이상 이격하도록 배치하는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각 전극부 별로 길이 3㎝ 이상, 폭 0.5㎝ 이상, 두께 0.1㎝ 이상의 전극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각 전극부 별로 적어도 3.6㎠ 이상의 면적을 강유전체 혼합물과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은,
    적어도 45㎤ 이상의 부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호 절연되게 배치된 2개의 전극부에 1000V(ㅁ100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전극부 간 절연저항이 적어도 100MΩ 이상 또는 무한대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주기적으로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일시적 해제 후 복귀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사용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변화하는지 확인하여 기준 값 이상 변화된 경우 일시적으로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해제 후 복귀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지정된 설정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센서부를 통해 통해 센싱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지정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근거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간정보 또는 누적전력량의 초기화 일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 해제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센싱된 비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에서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센싱된 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차감하여 절약된 전력량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상기 센서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센싱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절전 센싱 값과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일시적 해제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센싱된 전력량을 포함하는 지정된 비절전 센싱 값을 시계열적으로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중에 센싱된 절전 센싱 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근거로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저장된 절전 센싱 값과 비절전 센싱 값 사이의 관계를 근거로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상기 강유전체 혼합물을 통해 절전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비절전 누적전력량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절전 누적전력량정보에서 상기 절전 사용된 누적전력량정보를 차감하여 절약된 누적전력량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1020180135675A 2018-11-07 2018-11-07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75A KR20200053667A (ko) 2018-11-07 2018-11-07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75A KR20200053667A (ko) 2018-11-07 2018-11-07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667A true KR20200053667A (ko) 2020-05-19

Family

ID=7091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75A KR20200053667A (ko) 2018-11-07 2018-11-07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6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09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씽크라이온 수동형 고조파 제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3282708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씽크라이온 전기절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09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씽크라이온 수동형 고조파 제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3282708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씽크라이온 전기절전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3667A (ko)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74A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독립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88A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독립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27A (ko) 직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50A (ko)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29A (ko) 독립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79A (ko) 망 접속 기능과 직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28A (ko) 개별 연결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49A (ko) 독립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82A (ko) 망 접속 기능과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80A (ko) 망 접속 기능과 개별 연결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47A (ko) 개별 연결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26A (ko) 병렬 연결식 강유전체를 이용한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75A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46A (ko) 직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23A (ko) 직렬 연결식 강유전체를 이용한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72A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직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81A (ko) 망 접속 기능과 독립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93A (ko) 망 접속 기능과 독립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94A (ko) 망 접속 기능과 병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24A (ko) 개별 연결식 강유전체를 이용한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42A (ko) 병렬 연결식 강유전체를 이용한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73A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개별 연결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거치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691A (ko) 망 접속 기능과 직렬형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KR20200053040A (ko) 독립 연결식 강유전체를 이용한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