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261A - The footrest - Google Patents

The foot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261A
KR20200053261A KR1020180136675A KR20180136675A KR20200053261A KR 20200053261 A KR20200053261 A KR 20200053261A KR 1020180136675 A KR1020180136675 A KR 1020180136675A KR 20180136675 A KR20180136675 A KR 20180136675A KR 20200053261 A KR20200053261 A KR 20200053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user
present
ground
rot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서
Original Assignee
이인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서 filed Critical 이인서
Priority to KR102018013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261A/en
Publication of KR2020005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2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2/00Step-s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having tip-up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wall-attached footrest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handle an article placed too high for the user. A footre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which is attached to a wall surface to fix the footrest, a foot plate part of which one side is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oot plate part is rotatable to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positioned to be parallel with the ground, an opening part of which one side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foot plate part so that the opening part is rotatable to be positioned vertically to the foot plate part, and a supporting part which is hinged to each of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part and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The footrest can be changed from being folded in parallel with the wall surface to being rotated to b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ccording to a force exerted on the opening part by a user.

Description

발 받침대{THE FOOTREST}Foot stand {THE FOOTREST}

본 발명은 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패드들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서 입 구(口)자 형태의 받침대가 형성됨으로써 높은 장소에 있는 물건에 손이 용이하게 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rest,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ds rotatable while attached to a wall surface, thereby forming an inlet-shaped pedestal by a force exerted by a user to a high place. It relates to a footrest for easy hand contact with objects.

천장 부근에 위치한 물건을 조작하거나, 높게 위치한 물건을 꺼내는 등의 조작을 위해서는 지면에 발 받침대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손이 닿을 수 있는 곳보다 높게 위치한 물건을 조작하기 위한 발 받침대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발 받침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A footrest is often used on the ground for manipulations such as manipulating objects located near the ceiling or taking out objects located at a high level. However, the footrest for manipulating an object higher than the reach of the h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us requires a lot of space to use the footrest.

이와 같이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는 발 받침대는 사용은 물론 보관 시에도 상당한 공간을 차지할 수 있고, 적정 공간이 있는 보관 창고에 발 받침대가 보관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발 받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할 때마다 보관 창고에서 가져다 사용하는 것은 시간 및 공간 면에서도 모두 불편한 요소들이 존재한다.As such, the footrest that occupies a considerable volume can occupy a considerable amount of space during use as well as storage, and even when the footrest is stored in a storage warehouse with adequate space, whenever the user uses the footrest, the footrest will There are elements that are uncomfortable in terms of time and space.

따라서, 발 받침대를 빈번하게 사용하는 공간에는 발 받침대가 벽면에 접힌 형태로 부착되어 보다 부피를 줄여 보관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 접힌 발 받침대를 펼쳐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적으로 특징이 있는 발 받침대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a space where the footrest is frequently used, the footrest can be stored in a folded form on the wall and stored in a smaller volume, and a structurally characterized footrest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by opening the folded footrest when the user needs it. Development of is required.

또한, 화장실에서 발 받침대를 이용하여 다리를 올리고 상체를 굽힘으로써 골반저질환, 게실증, 충수염 등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고, 학습실 등의 공간에서도 발 받침대를 사용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허리 디스크와 같은 증상 예방에도 필수적이다. In addition, by using the foot rest in the bathroom to raise the leg and bend the upper body, diseases such as pelvic floor disease, diverticulosis, appendicitis can be prevented, and by using the foot rest in a space such as a learning room, the back disc is continuously maintained. It is also essential to prevent such symptoms.

다만, 화장실 및 학습실 등의 공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발 받침대도 높은 위치의 물건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발 받침대와 마찬가지로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화장실, 학습실 등의 공간에서 공간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발 받침대에 대한 개발도 마찬가지로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foot rest for use in a space such as a bathroom or a learning room has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store, like the foot rest used for manipulating a high-position object, and accordingly, the space use efficiency in a space such as a bathroom or a learning room. Development of a footres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is also required.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00439호 (1998.03.30)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1998-0000439 (1998.03.3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 개발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높이보다 높게 위치한 물건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벽면에 부착되어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발 받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development demands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foot support form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attached to a wall so as to easily manipulate an object positioned higher than a user's reach. Has a purpose.

또한, 화장실이나 학습실 등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벽면을 이용하여 수납이 용이한 발 받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trest for easy storage using a wall surface in order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when a user sits on a chair in a bathroom or a learning roo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발 받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otres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는 벽면에 부착되어 발 받침대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 일측이 고정부의 상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한 받침부, 일측이 받침부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와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개시부, 개시부의 타측 및 고정부의 하측과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포함되고, 발 받침대는 벽면과 평행하도록 포개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시부에 가해진 힘에 따라 받침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wall surface and is fixed to allow the footrest to be fixed, one side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rotat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Possible support portion, one side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rotatable start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perpendicularly to the support portion, the other side of the start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a support portion formed to be rotatable is included The footrest may be changed to a state in which it is rotated such that the bas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according to a force applied to the starting portion by the user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to be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개시부에는 사용자의 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tart portion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user's foot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에 있어서, 개시부의 외면에는 육면체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r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 a hexahedral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에는 받침부와 결합가능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부가 더 포함될 수 있고, 받침부의 외면에는 손잡이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a base portion and that can be held by a user, and further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 engaging the handle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에는 받침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for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발 받침대에 따르면, 벽면에 부착되어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할 경우 펼쳐진 상태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발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높은 위치의 물건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otrest provid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ootrest that can be easily used by the user in an unfolded state when the user needs it in a folded state attached to a wall surface, the user can facilitate a high position object Can be manipulated.

또한, 화장실이나 학습실 벽면을 이용하여 수납이 용이한 발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화장실이나 학습실 등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footrest that can be easily stored using a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or the learning room, the user can maintain a correct posture when the user sits on a chair in the bathroom or the learning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가 포개진 상태에서 발 받침부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가 벽면과 평행하도록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가 손잡이부 및 고정부재와 함께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ootrest is changed to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superim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mpos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 the handle portion and the fixing member.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of a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elected,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re selected,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appeara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bl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In addi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onnected with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발 받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otrest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는 벽면(W)에 부착되어 발 받침대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200), 일측이 고정부(200)의 상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지면(G)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한 받침부(100), 일측이 받침부(100)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100)와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개시부(300), 개시부(300)의 타측 및 고정부(200)의 하측과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부(400)가 포함되고, 발 받침대는 벽면(W)과 평행하도록 포개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시부(300)에 가해진 힘에 따라 받침부(100)가 지면(W)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wall (W) fixed to the footrest 200 to be fixed, one side is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200 The support part 100 rotatabl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G, and one side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100 to be positioned perpendicularly to the support part 100. The rotatable start portion 300, the other side of the start portion 3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00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a support portion 400 formed to be rotatable is included, and the footrest is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W In such an overlapped state, the support part 100 may be changed to a rotated state to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W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to the start part 300 by the user.

상기 고정부(200), 받침부(100), 개시부(300) 및 지지부(400)는 모두 양 측면에 상호 간 힌지 연결되기 위한 회전축이 포함될 수 있고, 동일하게 육면체의 패드(pad) 또는 팩(pack)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200, the supporting part 100, the starting part 300, and the supporting part 400 may all include rotational axes for hinged connection to both sides, and in the same way, a hexahedral pad or pack (pack) may be formed.

즉, 받침부(100), 개시부(300) 및 지지부(400)는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고정부(200)는 벽면(W)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부(200) 자체가 회전할 수는 없다. That is, although the supporting portion 100, the starting portion 300, and the supporting portion 400 are formed in a hinged form to be rotatable, the fixing portion 200 is formed in a fixed shape on the wall W, and thus the fixing portion ( 200) It cannot rotate itself.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고정부(200)가 벽면(W)에 부착되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태의 고정부(200)의 일 면이 모두 벽면(W)과 부착될 수 있다. 고정부(200)가 벽면(W)과 부착되는 방식에도 제한이 없으며, 공지의 부착 방법을 통해 벽면(W)과 부착되어 발 받침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form in which the fixing part 200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W, and one of the fixing parts 200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s shown in FIGS. 1 to 3 Both surfaces can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W).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manner in which the fixing part 200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W, and it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W through a known attachment method so that the footrest can not be shaken.

뿐만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부(200)는 한 쌍의 기둥(210) 및 상기 기둥과 벽면(W)의 체결을 통해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220)가 포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발 받침대가 수월하게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발 받침대를 자주 사용하기 위한 공간이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공간에 다시 발 받침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둥 형태의 고정부(200)가 사용되고, 기둥과 벽면(W)이 체결부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발 받침대의 흔들림이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fixing part 200 is formed in a form including a pair of pillars 210 and a fastening portion 220 for fixing to the wall surface through the fastening of the pillars and the wall surface W Can be. That is, when formed in the form shown in Figure 4, the footrest can be easily moved. In other words, when the space for frequently using the footrest is changed, the pillar-shaped fixing part 200 is used so that the footrest can be installed again in the changed space, and the pillar and the wall W are fixed through the fastening part. The swinging of the footrest can be reduced.

더불어, 본 발명의 고정부는 벽면(W)뿐만 아니라, 지면(W) 상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에도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조물에는 학습실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책상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the wall (W), as well as attached to a structure fixed on the ground (W). For example, the structure may include a desk fixed to the floor of the learning roo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받침부(100)는 발 받침대가 포개진 상태에서는 벽면(W)과 평행하도록 고정부(200)의 상측에 위치하였으나, 발 받침대의 사용 시에는 지면(G)과 평행하도록 회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발 받침대 위에 올라감으로써 사용자는 높은 위치의 물건을 조작할 수 있다.The foot suppo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20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W when the foot support is superimposed, but when using the foot support, By being rotated parallel to G), the user can operate the object at a high position by climbing on the footres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개시부(300)는 벽면(W)에 포개진 형태 및 받침대로 사용하기 위해 펼쳐진 상태 모두 벽면(W)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발 받침대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서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The initiation part 300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W, both in a form of being superimposed on the wall W and used for the support, and the foot rest may be used. In order to do so, it may correspond to a portion exerted by a us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개시부(300)에는 사용자의 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더 포함될 수 있고,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부(300)의 외면에는 육면체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art portion 300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user's foot can be inserted. Referring to FIG. 3, the start portion 300 )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즉, 개시부(300)의 형태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이 달라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1의 개시부(300)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 일부가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 측으로 당겨지는 장력에 의해 벽면(W)에 포개진 발 받침대가 펼쳐질 수 있다.That is, the force exerted by the us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tarting portion 300.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tarting portion 300 of FIG. 1, a part of the user's foot is pulled toward the us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foot rest superimposed on the wall W may be unfolded by the losing tension.

또한, 도 3의 개시부(300)의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개시부(300)의 외면에 돌출된 가압부의 상단면을 누르는 가압에 의해 벽면(W)에 포개진 발 받침대가 사용자가 발 받침대에 올라갈 수 있도록 받침부(100)가 지면(G)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시부(30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제한적인 형태는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starting portion 300 of FIG. 3, the user is provided with a foot support superimposed on the wall W by the use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arting part 300 to the user's foot support. The support portion 100 may be changed to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G so as to be raised. However, the form of the initiating part 300 is merely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가 손잡이부(500) 및 고정부재(600)와 함께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의 고정부재(6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 the handle portion 500 and the fixing member 600, Figure 5 is a fo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ixing member 60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에는 받침부(100)와 결합가능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받침부(100)의 외면에는 손잡이부(5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 받침대에는 받침부(100)가 지면(G)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4 and 5, the foot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500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support portion 100 and that the user can grip and adjust the length. ,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groove 110 for engaging with the handle portion 500. In addition, the fo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600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100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G).

즉, 사용자는 받침부(100) 위에 올라선 경우에도 손잡이부(500)를 파지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균형을 잡아 높은 위치의 물건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600)가 받침부(100)가 지면(G)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받침부(100)의 하단면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재(600)의 높이가 지면(G)에서부터 상기 받침부(100)의 하단면까지의 높이만큼 조절됨으로써 본 발명의 받침부(100)가 더욱 고정되어 사용자가 올라선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600)는 평평한 고정패드의 양 측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다리가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more easily balance and manipulate objects at a high position by gripping the handle 500 even when standing on the pedestal 100.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60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0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portion 100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G), the height of the fixing member 600 from the ground (G) By adjusting the heigh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0, the support por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fixed so as not to be shaken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climbs. That is, the fixing member 600 may include a pair of legs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on both sides of the flat fixing pa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받침부
200: 고정부
300: 개시부
400: 지지부
500: 손잡이부
600: 고정부재
W: 벽면
G: 지면
100: base
200: fixing part
300: starting part
400: support
500: handle
600: fixing member
W: Wall
G: Ground

Claims (5)

발 받침대에 있어서,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 받침대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한 받침부;
일측이 상기 받침부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와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개시부;
상기 개시부의 타측 및 상기 고정부의 하측과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발 받침대는 상기 벽면과 평행하도록 포개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시부에 가해진 힘에 따라 상기 받침부가 상기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로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On the footrest,
A fixing part attached to a wall surface so that the footrest is fixed;
A support part rotatable so that one side is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A rotatable initiating part so that one side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to be positioned perpendicularly to the pedestal;
It includes; the support portion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by being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art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respectively;
The footrest may be changed to a state in which the base is rotated so as to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according to a force exerted by the user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to be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tar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user's foot can be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부의 외면에는 육면체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A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itia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ess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 a hexahedr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받침부의 외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It is possible to combine with the support portion, the handle portion is adjustable in length that the user can grip; is further included,
A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 engaging the handl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가 상기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A foo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bas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KR1020180136675A 2018-11-08 2018-11-08 The footrest KR202000532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75A KR20200053261A (en) 2018-11-08 2018-11-08 The foot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75A KR20200053261A (en) 2018-11-08 2018-11-08 The foot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261A true KR20200053261A (en) 2020-05-18

Family

ID=7091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675A KR20200053261A (en) 2018-11-08 2018-11-08 The foot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26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439U (en) 1996-06-11 1998-03-30 이영태 Foot suppo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439U (en) 1996-06-11 1998-03-30 이영태 Foot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793B2 (en) Adjustable desk platform
AU2020200160A1 (en) Adjustable Desk Platform
US3259427A (en) Leverage seat lifts
KR100924616B1 (en) Multipurpose desk
KR20200053261A (en) The footrest
KR20200007615A (en) Adjustable height folding chairs
US20040108432A1 (en) Purse holder
CN211779986U (en) Folding support frame
US3051527A (en) Portable foot and leg rest
JP3237988U (en) Portable floating table supported by counterweight
JP2006288948A (en) Structure of foldable stool and dining table
JPS6313532B2 (en)
JP3208205U (en) Hair dryer equipment
JP2001314257A (en) Wagon with overturn preventing mechanism, and ancillary equipment therefor
KR20130097343A (en) Height adjustable reading racks
US20220134241A1 (en) Mount for holding a handheld device
KR102629475B1 (en) Waist protection computer stand
TWI589252B (en) A recliner device
AU2013245512A1 (en) Adjustable desk platform
US1986563A (en) Bench
JP2002045246A (en) Storage device for use at entrance
JP2002315847A (en) Stretching device
US615058A (en) Shoe-salesman s foot-rest
JP6710146B2 (en) Furniture with a top plate
JPH10146244A (en) Stoo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