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248A -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리젠터 장치 - Google Patents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리젠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248A
KR20200053248A KR1020180136651A KR20180136651A KR20200053248A KR 20200053248 A KR20200053248 A KR 20200053248A KR 1020180136651 A KR1020180136651 A KR 1020180136651A KR 20180136651 A KR20180136651 A KR 20180136651A KR 20200053248 A KR20200053248 A KR 20200053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
presentation
sens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833B1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18013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833B1/ko
Priority to PCT/KR2019/006819 priority patent/WO2019235855A1/ko
Publication of KR2020005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K9/0008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영상출력하는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제어하는 프리젠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며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특정 손동작에 의해 가압 또는 접촉되어 각 특정 손동작별로 구분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되, 베이스부(110) 상에서 각 손가락이 접히면서 손가락 단부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버튼(121)을 포함하는 제1감지부(120); 상기 프리젠테이션 장비(20)와 신호연결된 통신부(130); 및 상기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동작신호가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감지버튼(121)은,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에 의해 가압동작되는 가압부(124)와, 상기 가압부(124) 상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128) 및, 상기 가압부(124)가 가압동작하면,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단자(125)를 포함하는 프리젠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리젠터 장치{PRESENTER APPARATUS WITH FUNCTION OF HAND GESTURE RECOGNITION}
본 발명은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리젠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영상출력하는 프리젠테이션 장비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특정 손동작을 감지하여 해당 손동작에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리젠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젠터(Presenter)는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이용한 연설이나 발표 등의 프리젠테이션시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영상출력하는 프리젠테이션 장비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발표자)의 의도에 맞추어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리젠터를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 장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도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전후로 전환하거나 영상이나 이미지, 음향 등을 출력하거나 애니메이션 효과 및 모핑(Morphing) 효과를 구현하는 등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었다.
종래의 프리젠터는 대부분 손에 쥘 수 있는 리모컨이나 펜 형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한쪽 손을 프리젠터의 조작에 사용하게 되므로 프리젠테이션시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손동작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예를 들어, 청중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 손을 사용하여 박수를 치거나 발표자료 등을 손으로 들어 보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마이크를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경우 양쪽 손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원하는 손동작을 이용한 제스쳐를 거의 할 수가 없었다. 또한, 프리젠테이션이 진행되면서 프리젠테이션 화면의 특정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프리젠터의 조작버튼을 수시로 눌러야 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청중의 시선이 분산되어 프리젠테이션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되는 링형 프리젠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링의 내경이 정해진데 반하여 프리젠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손가락 외경은 다양하기 때문에, 링의 내경에 의해 손가락이 강하게 압박되거나 느슨하면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발표에 집중할 수 없으며, 크기가 작은 몸체에 여러 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고 버튼 조작에 신경써야 하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에 집중하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9564호(2011.07.08), 무선 프리젠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프리젠테이션시 자유롭게 손동작을 이용한 제스쳐를 취할 수 있고, 설정된 특정 손동작을 취하는 것만으로 프리젠테이션 화면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며 조작버튼을 누르는 사용자의 동작으로 청중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리젠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영상출력하는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제어하는 프리젠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며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특정 손동작에 의해 가압 또는 접촉되어 각 특정 손동작별로 구분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되, 베이스부(110) 상에서 각 손가락이 접히면서 손가락 단부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버튼(121)을 포함하는 제1감지부(120); 상기 프리젠테이션 장비(20)와 신호연결된 통신부(130); 및 상기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동작신호가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감지버튼(121)은,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에 의해 가압동작되는 가압부(124)와, 상기 가압부(124) 상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128) 및, 상기 가압부(124)가 가압동작하면,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단자(125)를 포함하는 프리젠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접속단자(125)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하고, 구분된 손동작과 매칭되게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프리젠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접촉 감지부(128)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가락 접힘을 인식한 후, 각 접속단자(125)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하고, 구분된 손동작과 매칭되게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프리젠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110)는, 반장갑 형태, 밴드 형태, '⊂'형태, 복수의 링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리젠터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영상 출력하는 프리젠테이션 장비(20);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며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특정 손동작에 의해 가압 또는 접촉되어 각 특정 손동작별로 구분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지부(120), 상기 프리젠테이션 장비(20)와 신호연결된 통신부(130) 및 상기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동작신호가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프리젠터 장치;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장비(20)에 구비된 접속구에 연결되며, 상기 프리젠터 장치가 송신하는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연결 수신기(30);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연결 수신기(30)는,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젠터 장치의 동작신호 수신범위 내에서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만 상기 자료 파일이 열리도록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연결 수신기(30)는, 상기 프리젠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기등록되어 있는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분이 확인된 경우 또는 상기 프리젠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패턴과 기등록되어 있는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두 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잠금을 해제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각 구성품이 장착될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10)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므로 프리젠테이션시 자유롭게 손동작을 이용한 제스쳐를 취할 수 있고,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는 제1감지부(120)는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특정 손동작에 의해 가압 또는 접촉되어 각 특정 손동작별로 구분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140)는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동작신호가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손동작을 취하는 것만으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며 종래의 프리젠터와 같이 조작버튼을 누르는 사용자의 동작으로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제1감지부(120)는 베이스부(110) 상에서 각 손가락이 접히면서 손가락 단부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 손가락이 접히는 동작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버튼(121)을 포함하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감지버튼(121)으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하여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주먹을 쥔 손동작, 권총 표시로 엄지와 검지만 편 손동작, V자 표시로 검지와 중지를 편 손동작, 손가락을 모두 편 손동작 및 검지만 편 손동작 등과 같이 다양한 특정 손동작을 구분하여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셋째, 각 감지버튼(121)은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에 의해 가압동작되는 제1가압부(123)와, 제1가압부(123)가 가압동작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식적인 가압력에 의해 가압동작되는 제2가압부(124) 및, 제2가압부(124)가 가압동작하면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단자(1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시 무의식적으로 특정 손동작을 취하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기능이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베이스부(110) 상에서 접힌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는 손바닥 위치에 배치되는 제2감지부(126)는 베이스부(110)를 착용하지 않은 다른 손에 의해 가압, 접촉 또는 충격 중 어느 하나가 가해지는 것을 구분하여 감지하고, 제어부(140)는 제2감지부(126)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박수동작과 매칭되게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손동작이외에 박수동작으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베이스부(110) 상에서 손등 위치에 배치되는 제3감지부(127)는 베이스부(110)를 착용하지 않은 다른 손에 의한 가압, 접촉 또는 충격 중 어느 하나가 가해지는 것을 구분하여 감지하며, 제어부(140)는 제3감지부(127)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매칭되게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박수동작 이외에 한 손으로 다른 손의 손등을 치는 제스쳐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섯째, 각 구성품이 기능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60)가 구비되고, 입력부(170)에는 장치의 전원 ON/OFF를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171) 및, 제1감지부(120)의 감지동작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조작하기 위한 감지활성화버튼(172)이 구비되어, 프리젠테이션 준비시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시기에는 전원을 OFF시키거나 감지동작을 비활성화시켜 배터리(160)의 소모를 차단하고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이 의도하지 않게 기능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160)와 입력부(170)와 같이 부피나 중량이 크거나 사용빈도가 낮은 구성품을 베이스부(110) 상에서 손목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손동작의 움직임을 보다 편하게 취할 수 있다.
일곱째, 베이스부(110) 상에서 일정면적으로 차지하는 마우스패드(180)는 사용자의 접촉 또는 가압동작에 따른 방향정보를 출력하고, 제어부(140)는 마우스패드(180)로부터 입력되는 방향정보가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어 프리젠테이션 화면(10)에 표시되는 포인팅커서(11)의 위치가 방향정보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레이져포인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프리젠테이션 화면(10) 상에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위치를 청중들에게 표시할 수 있다.
여덟째, 베이스부(110) 상에서 각 손가락이 접히면서 손가락 단부가 접촉되는 위치에는 손가락이 접히고 펼쳐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된 고정판(111)이 배치되고, 제1감지부(120)는 슬라이딩홈(112)을 따라 고정판(11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손가락이 평균보다 길거나 짧은 경우 제1감지부(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별로 조작하기 편한 최적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아홉째,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에 의해 가압동작되는 가압부(124)와, 가압부(124) 상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128) 및, 가압부(124)가 가압동작하면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단자(1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손가락별로 가압력이 다르더라도 안정적으로 프리젠테이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열째, 프리젠테이션 장비(20)에 삽입되어 프리젠터 장치가 송신하는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연결 수신기(30)에 메모리를 탑재하여,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 파일을 저장하되,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범위에서 프리젠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무선연결 수신기(30)에 기등록되어 있는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분이 확인된 경우, 프리젠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패턴이 기등록되어 있는 패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잠금을 해제하여 자료 파일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 파일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와 프리젠테이션 장비 간의 신호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프리젠터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의 손바닥측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가 사용자의 손동작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의 손등측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부가 위치조절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의 손바닥측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의 손바닥측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의 손바닥측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연결 수신기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리젠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영상출력하는 PC나 빔프로젝트 등의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제어하는 프리젠터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 제1감지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부(110)는 각 구성품들이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로서 사용자(발표자)의 손에 착용된다. 여기서, 손에 착용되기 위해 도면에서와 같이 장갑 형태로 이루어져 손에 끼워지면서 착용될 수 있고 손등이나 손바닥이 부착되어 착용될 수 있으며 손목 둘레에 채워지는 형태로 착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손바닥에 끼워지면서 착용될 수 있고, '⊂' 형태로 이루어져 손바닥에 클립처럼 끼워지면서 착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손가락에 끼워지면서 착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10)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베이스부(110)가 장갑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감지부(120)는 사용자가 취하는 특정 손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며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특정 손동작에 의해 가압되거나 접촉되면서 각 특정 손동작별로 구분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감지부(120)로 푸쉬버튼, 압력센서, 터치패널과 푸쉬버튼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감지수단 등 다양한 형태의 감지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프리젠테이션 장비(20)와 신호연결되어 제어부(140)의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수단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PC가 이용되는 경우 PC에 삽입되는 무선연결 수신기(30)와 무선망으로 신호연결되어 동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프리젠테이션 장비(20) 내부에 수신기능이 구비된 경우 프리젠테이션 장비(20)와 직접 무선연결되어 동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연결 수신기(30)는 USB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연결 수신기(3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프리젠터 장치(100)의 기능을 중앙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서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동작신호가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40)에는 각 감지신호별로 매칭되는 동작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와 매칭되는 동작신호를 독출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지부(120)는 베이스부(110) 상에서 각 손가락이 접히면서 손가락 단부(지문부분)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감지버튼(121)으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하여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4개의 감지버튼(121)이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와 각각 대응되는 손바닥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 네 손가락중 일부의 손가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고 엄지가 접히는 부분(예를 들면, 검지나 중지의 측면)에도 배치되어 엄지가 접히는 손동작을 감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가 전부 접혀 주먹을 쥔 손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b)와 같이 엄지와 검지를 편 손동작, (c)와 같이 V표시로 검지와 중지를 편 손동작, (d)와 같이 중지와 대응되는 베이스부(110) 상에 별도의 감지버튼(129)이 배치된 경우 검지만 편 손동작을 각각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도 4의 (a)의 경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에 현재 표시된 프리젠테이션 페이지 화면이 다음 페이지로 넘겨 화면전환되도록 하는 동작신호를 출력하거나, (b)의 경우 이전 페이지로 넘겨 화면전환되도록 하는 동작신호, (c)의 경우 설정된 동영상이 화면표시되도록 하는 동작신호, (d)의 경우 현재 표시된 글자에 설정된 모핑(Morphing)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동작신호 등을 각각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각 특정 손동작별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다양한 특정 기능들을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감지부(120)의 각 감지버튼(121)들이 접힌 손가락과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손가락을 접게 되면서 의도하지 않게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이 동작될 수 있다. 이에 감지버튼(121)은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만 감지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감지버튼(121)은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에 의해 가압동작되는 제1가압부(123)와, 제1가압부(123)가 가압동작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식적인 가압력에 의해 가압동작하는 제2가압부(124) 및, 제어부(140)와 신호연결되어 제2가압부(124)가 가압동작하면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접속단자(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버튼(121)에는 손가락의 접힘 동작에 의해 제1가압부(123) 및 제2가압부(124)가 가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판(122)이 더 구비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제1가압부(123)는 제2가압부(124)를 둘러싸는 형태로 일정거리 외향 이격배치되며 접속단자(125)는 제2가압부(124) 상에서 사용자의 의식적인 가압동작시 지지판(122)과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와 같이 손가락이 펴져 제1가압부(123)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b)와 같이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손가락을 접게 되면 제1가압부(123)가 가압되면서 눌리게 되더라도 접속단자(125)는 접속되지 않으므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 (c)와 같이 의식적인 가압력으로 제1가압부(123)를 가압하게 되면 제2가압부(124)가 함께 눌리면서 내부의 접속단자(125)가 접촉되어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다단 접속구조의 신호출력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시 무의식적으로 특정 손동작을 취하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기능이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1가압부(123)는 지문인식센서, 터치센서 등과 같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제1가압부(123)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접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가압부(123)가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제1가압부(123)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가락 접힘을 인식한 후, 각 접속단자(125)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압부(123)와 제2가압부(124) 사이에 복수의 접속단자를 추가 배치할 수 있으며, 이 접속단자는 제어부(140)와 신호연결되어 제1가압부(124)가 가압되면서 접속되면 제어부(140)로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제1가압부(123)와 제2가압부(124) 사이에 추가 배치된 접속단자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접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가압부(123)와 제2가압부(124) 사이에 복수의 접속단자가 추가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각의 제1가압부(123)와 제2가압부(124) 사이에 추가 배치된 접속단자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가락 접힘을 인식한 후, 각 접속단자(125)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 감지버튼(12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에 의해 가압 동작되는 가압부(124)와, 손가락의 접힘 동작에 의해 가압부(124)가 가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판(122)과, 가압부(124) 상에 배치되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128) 및, 제어부(140)와 신호 연결되어 가압부(124)가 가압 동작하면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접속단자(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6의 (a)와 같이 손가락이 펴져 가압부(124)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b)와 같이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손가락을 접게 되면 접촉 감지부(128)에 손가락이 접촉되더라도 접속단자(125)는 접속되지 않으므로, 접촉 감지부(128)에서만 감지신호가 출력되고 접속단자(125)에 의해서는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 (c)와 같이 의식적인 가압력으로 가압부(124)를 가압하게 되면 내부의 접속단자(125)가 접촉되어, 접촉 감지부(128)에서뿐만 아니라 접속단자(125)에서도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다단 접속구조의 신호출력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시 무의식적으로 특정 손동작을 취하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기능이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접촉 감지부(128)는 지문인식센서, 터치센서, 압력센서 등과 같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 감지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어 가압부(124) 상에 배치되도록 구현하였으나, 가압부(124)가 지문인식센서, 터치센서, 압력센서 등으로 구현되어 접촉 감지부(128)의 기능을 대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손동작을 취하는 경우, 손가락별로 가압력이 달라질 수 있어, 각 감지버튼(121)에 가해지는 압력이 동일하지 않게 되어 감지신호가 정확하게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b)와 같이 엄지와 검지를 편 손동작을 취하는 경우, 약지와 소지에 대응하는 감지버튼(121)에는 강한 가압력이 가해져 감지신호가 출력되고, 중지에 대응하는 감지버튼(121)에는 약한 가압력이 가해져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 도 4의 (b)와 같은 손동작을 취하더라도 원하는 기능을 동작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접촉 감지부(128)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가락 접힘을 인식한 후, 각 접속단자(125)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하고, 구분된 손동작과 매칭되게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한다.
예를 들어, 중지, 약지, 소지에 대응하는 각 감지버튼(121)의 접촉 감지부(128)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중지, 약지, 소지에 대응하는 손가락 접힘을 인식한 후, 약지와 소지에 대응하는 접속단자(125)에서만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중지에 대응하는 접속단자(125)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도 4의 (b)와 같이 엄지와 검지를 편 손동작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100)는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손동작 이외에 사용자의 다양한 제스쳐를 감지하여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 상에서 손바닥 중앙 부분과 같이 접힌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는 손바닥 위치에는 베이스부(110)를 착용하지 않는 다른 손에 의한 가압, 접촉 또는 충격 중 어느 하나가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2감지부(126)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박수동작과 매칭되게 설정되는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손동작이외에 박수동작으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2감지부(126)로 푸쉬버튼, 압력센서, 터치패널과 푸쉬버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감지수단 등 다양한 형태의 감지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 상에서 손등 위치에는 베이스부(110)를 착용하지 않은 다른 손에 의한 가압, 접촉 또는 충격 중 어느 하나가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3감지부(127)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매칭되게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박수동작 이외에 한 손으로 다른 손의 손등을 치는 제스쳐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3감지부(127)로 푸쉬버튼, 압력센서, 터치패널과 푸쉬버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감지수단 등 다양한 형태의 감지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시간정보를 화면표시하는 표시부(150)가 구비되고,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발표 소요시간이 반영된 알람시각이 설정되면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알람시각까지의 잔여시간을 산출하며 산출하는 잔여시간 정보가 표시부(150)에 표시되도록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잔여시간 정보를 확인하면서 프리젠테이션의 완급을 조절하여 정해진 발표 시간에 맞추어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50)에는 잔여시간 정보 이외에 배터리(160)의 잔량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부(150)를 대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동작하는 진동모듈(미도시)를 두어 일정 잔여시간이 남은 시점에 진동으로 잔여시간을 알림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는 각 구성품이 기능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60)가 구비되고, 입력부(170)에는 장치의 전원 ON/OFF를 조작하기 위한 전원버튼(171) 및, 제1감지부(120)의 감지동작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조작하기 위한 감지활성화버튼(172)이 구비되어, 프리젠테이션 준비시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시기에는 전원을 OFF시키거나 감지동작을 비활성화시켜 배터리(160)의 소모를 차단하고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이 의도하지 않게 기능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160)와 입력부(170)와 같이 부피나 중량이 크거나 사용빈도가 낮은 구성품을 베이스부(110) 상에서 손목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손동작의 움직임을 보다 편하게 취할 수 있다.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발산하는 레이저포인터(192)가 장착되며, 제어부(140)는 제1감지부(120)의 감지버튼(121) 중 어느 하나의 감지버튼(121)의 감지신호에 따라 레이저포인터(192)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시기에 레이저빔을 발산하여 프리젠테이션 화면(10) 상에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위치를 청중들에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레이저포인터(192)는 검지 부분에 장착되며, 검지와 대응되는 위치의 감지버튼(121)은 개방되고 나머지 중지, 약지 및 소지와 대응되는 위치의 감지버튼(121)은 가압되어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이러한 감지동작 상태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동작신호를 레이저포인터(192)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지끝에서 레이저빔이 발사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감지버튼(121)을 이용한 동작방식 이외에 도3에서와 같이 입력부(170)에는 레이저포인터(192)의 ON/OFF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 조작버튼(173)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 상에서 일정면적으로 차지하는 마우스패드(180)는 사용자의 접촉 또는 가압동작에 따른 방향정보를 출력하고, 제어부(140)는 마우스패드(180)로부터 입력되는 방향정보가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어 프리젠테이션 화면(10)에 표시되는 포인팅커서(11)의 위치가 방향정보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레이져포인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프리젠테이션 화면(10) 상에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위치를 청중들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패드(180)를 대신하는 센서부(190)를 이용하여 포인팅커서(11)의 위치를 이동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90)는 베이스부(110)에 장착되어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여 움직임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 형태의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센서부(190)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화면(10)에 표시되는 포인팅커서(11)의 위치가 손의 움직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동작신호를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전송함으로써 구동제어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1감지부(120) 내지 제3감지부(127) 중 어느 하나의 감지부에 의한 감지신호 또는 별도의 조작버튼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포인팅커서(11)의 위치를 구동제어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어 필요한 경우에만 포인팅커서(11)를 위치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감지부(120)의 첫번째 감지버튼(121)을 한번 누르거나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기능이 활성화되어 손의 움직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포인팅커서(11)를 위치이동시키며 첫번째 감지버튼(121)을 다시 한번 누르거나 누르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였을 때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손의 움직임에 의해 포인팅커서(11)가 위치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190)로는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특정 대상의 위치나 기울기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 상에서 각 손가락이 접히면서 손가락 단부가 접촉되는 위치에는 손가락이 접히고 펼쳐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된 고정판(111)이 배치되고, 제1감지부(120)는 슬라이딩홈(112)을 따라 고정판(11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손가락이 평균보다 길거나 짧은경우 제1감지부(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별로 조작하기 편한 최적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는 PC 등의 데이터 입력수단의 케이블(40)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91)가 구비되고, 이 인터페이스 커넥터(191)는 제어부(140)에 신호연결되어 데이터 입력수단과 제어부(140)를 상호 연결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데이터 입력수단으로부터 프리젠터 장치(100)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설정 및 기능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베이스부(110)에 장착된 별도의 설정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제1감지부(120), 제2감지부(126), 제3감지부(127) 및 후술되는 센서부(190)의 감지신호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는 각 동작신호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커넥터(191)를 통해 PC 등의 데이터처리장치에 신호연결되어 프로그래밍된 데이터를 패치업하는 형태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설정사항들을 추가, 삭제 및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100)는 센서부(19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쳐와 각 감지부(120,126,127)의 감지신호로 각 제스쳐와 접목하여 구분되는 보다 다양한 동작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센서부(19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매칭되는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제1감지부(120)에 구비된 각 감지버튼(12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버튼(121)의 감지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센서부(19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따라 구분하여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감지부(120)의 첫번째 감지버튼(121)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을 위 아래로 움직이게 되면 이에 매칭되게 설정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인 총소리 발사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손으로 큰 원을 그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이에 매칭되게 설정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인 다음 페이지로의 화면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터 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각 구성품이 장착될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10)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므로 프리젠테이션시 자유롭게 손동작을 이용한 제스쳐를 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는 제1감지부(120)는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특정 손동작에 의해 가압 또는 접촉되어 각 특정 손동작별로 구분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140)는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동작신호가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손동작을 취하는 것만으로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며 종래의 프리젠터와 같이 조작버튼을 누르는 사용자의 동작으로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감지부(120)는 베이스부(110) 상에서 각 손가락이 접히면서 손가락 단부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 손가락이 접히는 동작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버튼(121)을 포함하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감지버튼(121)으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하여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주먹을 쥔 손동작, 권총 표시로 엄지와 검지만 편 손동작, V자 표시로 검지와 중지를 편 손동작, 손가락을 모두 편 손동작 및 검지만 편 손동작 등과 같이 다양한 특정 손동작을 구분하여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는 도 3에 도시된 장갑형태 외에도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베이스부(11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손바닥에 끼워지면서 착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10)가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베이스부(110)가 손바닥을 강하게 압박하거나 느슨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 측면이 신축성을 갖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 형태로 이루어져 손바닥에 클립처럼 끼워지면서 착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손가락에 끼워지면서 착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10)가 복수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링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링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2개에서 5개까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링의 개수가 4개 미만인 경우에는 착용 위치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링을 각각 검지, 중지, 약지에 착용할 수도 있고, 링을 각각 중지, 약지, 소지에 착용할 수도 있으며, 링을 각각 검지, 중지, 소지에 착용할 수도 있다.
링의 개수나 착용 위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 프리젠터 장치(100)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설정 및 기능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는 그 상황에 맞게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110)가 복수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부 링에만 제1감지부(120)가 장착되고, 나머지 링에는 제1감지부(120)를 제외한 다른 구성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지, 중지, 약지에 대응하는 링에만 제1감지부(120)가 장착되고, 소지에 대응하는 링에는 제1감지부(120)를 제외한 다른 구성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가 밴드 형태, '⊂'형태, 복수의 링 형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구성품들이 배치되는 면적에 제한이 있으므로, 베이스부(110)에는 주요 구성품들(예를 들어, 제1감지부, 통신부, 제어부, 배터리, 센서부) 만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되는 베이스부(110)는, 위생 관리가 용이하도록 플라스틱 소재, 금속 소재, 합금 소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연결 수신기(30)는 내부에 수신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프리젠테이션 장비(20)에 구비된 접속구에 삽입 연결되어 프리젠터 장치(100)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USB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연결 수신기(3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연결 수신부(31), 메모리부(33), 커넥터부(35), 제어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무선연결 수신부(31)는 프리젠터 장치(100)와 무선망으로 신호연결되어 있으며, 프리젠터 장치(100)가 송신하는 동작신호를 수신한다.
메모리부(33)는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 파일을 저장한다.
커넥터부(35)는 프리젠테이션 장비(20)에 구비된 접속구에 연결된다.
제어부(37)는 무선연결 수신기(30)가 프리젠터 장치(100) 본체와 일정거리 이상 멀어지게 되면, 구체적으로 무선연결 수신기(30)가 프리젠터 장치(100)의 동작신호 수신범위를 벗어나면, 진동이나 소리 등의 형태로 알람이 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7)는 무선연결 수신기(30)가 프리젠터 장치(100) 본체와 일정거리 이내에서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만 파일을 열어볼 수 있도록 하고, 일정 시간 이상 파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잠금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해제는 동작신호 수신범위 내에서 프리젠터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기등록되어 있는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분이 확인된 경우, 또는 프리젠터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패턴과 기등록되어 있는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두 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연결 수신기(30)에 메모리부(33)가 탑재됨에 따라,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자료 파일을 별도의 저장장치에 보관하지 않아도 되어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필요하지 않은 다른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와의 혼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만 메모리부(33)에 저장된 파일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무선연결 수신기(30)가 다른 사람의 손에 들어가더라도 자료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프리젠테이션 화면 11...포인팅커서
20...프리젠테이션 장비 100...프리젠터 장치
110...베이스부 111...고정판
112...슬라이딩홈 120...제1감지부
121...감지버튼 123...제1가압부
124...제2가압부 125...접속단자
126...제2감지부 127...제3감지부
130...통신부 140...제어부
150...표시부 160...배터리
170...입력부 180...마우스패드
190...센서부

Claims (7)

  1.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영상출력하는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제어하는 프리젠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며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특정 손동작에 의해 가압 또는 접촉되어 각 특정 손동작별로 구분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되, 베이스부(110) 상에서 각 손가락이 접히면서 손가락 단부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버튼(121)을 포함하는 제1감지부(120);
    상기 프리젠테이션 장비(20)와 신호연결된 통신부(130); 및
    상기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동작신호가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감지버튼(121)은,
    손가락이 접히는 손동작에 의해 가압동작되는 가압부(124)와,
    상기 가압부(124) 상에 배치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128) 및,
    상기 가압부(124)가 가압동작하면,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단자(125)를 포함하는 프리젠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접속단자(125)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하고, 구분된 손동작과 매칭되게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프리젠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 접촉 감지부(128)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가락 접힘을 인식한 후, 각 접속단자(125)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손동작을 구분하고, 구분된 손동작과 매칭되게 설정된 동작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프리젠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반장갑 형태, 밴드 형태, '⊂'형태, 복수의 링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리젠터 장치.
  5.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을 영상 출력하는 프리젠테이션 장비(20);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며 베이스부(110)를 착용한 손의 특정 손동작에 의해 가압 또는 접촉되어 각 특정 손동작별로 구분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지부(120), 상기 프리젠테이션 장비(20)와 신호연결된 통신부(130) 및 상기 제1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젠테이션 화면(10)의 특정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동작신호가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장비(20)로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프리젠터 장치;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장비(20)에 구비된 접속구에 연결되며, 상기 프리젠터 장치가 송신하는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연결 수신기(30);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연결 수신기(30)는,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젠터 장치의 동작신호 수신범위 내에서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만 상기 자료 파일이 열리도록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연결 수신기(30)는,
    상기 프리젠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기등록되어 있는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분이 확인된 경우 또는 상기 프리젠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패턴과 기등록되어 있는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두 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잠금을 해제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KR1020180136651A 2018-06-05 2018-11-08 웨어러블 형태의 프리젠터 장치 KR102208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51A KR102208833B1 (ko) 2018-11-08 2018-11-08 웨어러블 형태의 프리젠터 장치
PCT/KR2019/006819 WO2019235855A1 (ko) 2018-06-05 2019-06-05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레젠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젠테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51A KR102208833B1 (ko) 2018-11-08 2018-11-08 웨어러블 형태의 프리젠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248A true KR20200053248A (ko) 2020-05-18
KR102208833B1 KR102208833B1 (ko) 2021-01-28

Family

ID=7091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651A KR102208833B1 (ko) 2018-06-05 2018-11-08 웨어러블 형태의 프리젠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8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714A (ja) * 1999-09-30 2003-03-18 エム−システムズ フラッシュ ディスク パイオニアズ リミテッド 着脱可能な能動型の個人用記憶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401975Y1 (ko) * 2005-09-01 2005-11-23 (주)인터미디어파크 컴퓨터 제어장치
KR20090132818A (ko) * 2008-06-23 2009-12-31 사이넵스주식회사 유에스비 토큰과 지문을 이용한 이중 보안 시스템
KR101049564B1 (ko) 2009-06-08 2011-07-14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무선 프리젠터
KR20160088442A (ko) * 2011-12-06 2016-07-25 애플 인크. 2개의 레벨을 갖는 터치 감지식 버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714A (ja) * 1999-09-30 2003-03-18 エム−システムズ フラッシュ ディスク パイオニアズ リミテッド 着脱可能な能動型の個人用記憶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401975Y1 (ko) * 2005-09-01 2005-11-23 (주)인터미디어파크 컴퓨터 제어장치
KR20090132818A (ko) * 2008-06-23 2009-12-31 사이넵스주식회사 유에스비 토큰과 지문을 이용한 이중 보안 시스템
KR101049564B1 (ko) 2009-06-08 2011-07-14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무선 프리젠터
KR20160088442A (ko) * 2011-12-06 2016-07-25 애플 인크. 2개의 레벨을 갖는 터치 감지식 버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833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83149A1 (en) Computing interface system
US9122456B2 (en) Enhanced detachable sensory-interface device for a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Yang et al. Magic finger: always-available input through finger instrumentation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10139906B1 (en) Ring human-machine interface
JP2021082333A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38953A1 (ja) 検出装置、検出方法、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2587345A2 (en) Finger-wor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10210931A1 (en) Finger-worn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s
WO2018030887A1 (en) Smart ring providing multi-mode control in a personal area network
WO2010032223A1 (en) Finger-worn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s
JP6344032B2 (ja) ジェスチャ入力装置、ジェスチャ入力方法、およびジェスチャ入力プログラム
KR20140112910A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2640086A (zh) 感测机械能以使得身体适用于进行数据输入
WO2013163233A1 (en) Detachable sensory-interface device for a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0401975Y1 (ko) 컴퓨터 제어장치
ES2446423T3 (es) Procedimiento, sistema y dispositivo para la transmisión, gobernada corporalmente, de elementos de datos seleccionables a un aparato terminal
KR20160039589A (ko) 손가락 센싱 방식을 이용한 무선 공간 제어 장치
KR102208833B1 (ko) 웨어러블 형태의 프리젠터 장치
KR102137364B1 (ko) 역동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모션인식 프리젠터 장치
WO2019235855A1 (ko)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레젠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젠테이션 시스템
KR20210073709A (ko)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레젠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젠테이션 시스템
KR100901482B1 (ko) 가상 메뉴 맵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85620B1 (ko) 손동작 인식 기능이 구비된 프리젠터 장치
KR20070035768A (ko) 핸드장착 포인터를 구비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