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982A - Tumblr for the Blind - Google Patents

Tumblr for the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982A
KR20200051982A KR1020180134982A KR20180134982A KR20200051982A KR 20200051982 A KR20200051982 A KR 20200051982A KR 1020180134982 A KR1020180134982 A KR 1020180134982A KR 20180134982 A KR20180134982 A KR 20180134982A KR 20200051982 A KR20200051982 A KR 20200051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visually impaired
liquid
vibr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이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혁 filed Critical 이종혁
Priority to KR102018013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1982A/en
Publication of KR2020005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9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44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sound emi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5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vessels with ther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2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sight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More specifically,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quid contact sensor and a liquid temperature sensor at the top and bottom of a tumbler and senses an amount of liquid, such as water, beverage etc., which is filled in the tumbler. Therefore, the height of contents inside the tumbler is sensed, and a tumbler main body vibrates due to vibration of a vibration device located outside the tumbler,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know the height of the liquid through the vibra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s sensed, an acoustic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n audio output device located outside the tumbler.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rises a fixing unit which is fixing the vibration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in order to prevent the audio output device and the vibration device from being detached when the vibration device vibrates.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the audio output device; the vibration device; the fixing unit; the liquid contact sensor; and the liquid temperature sensor.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텀블러{Tumblr for the Blind}Tumbler for the blind {Tumblr for the Blind}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텀블러에 관련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텀블러의 내부 상단에 설치된 액체 접촉 감지 센서와 온도센서로 텀블러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와 온도를 감지하여 텀블러 외부에 설치된 진동 장치와 음성 출력장치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인지할 수 있는 소리와 진동을 발생시켜 시각장애인이 텀블러에 음료수나 물과 같은 액체를 따라 먹는데 편리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tumbler by detecting the water level and temperature of the liquid filled inside the tumbler with a liquid contact detec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tumbler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hat generates sound and vibration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perceive through a vibrating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 convenient to drink liquid such as beverage or water in the tumbler.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텀블러는 텀블러 내부에 음료수나 물과 같은 액체의 일정한 내용물을 담아서 이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텀블러 내부에 채워지는 내용물의 양을 보면서 마실 만큼만 적당량을 텀블러에 따른 후에 음료수나 물과 같은 액체를 마시거나 텀블러를 휴대할 때 넘치지 않을 만큼의 내용물을 채워서 텀블러를 휴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general tumbler uses a certain content of a liquid such as beverage or water inside the tumbler, and generally, the amount of content filled in the tumbler is only appropriate to the tumbler while drinking. After pouring, when carrying a tumbler, drink a liquid such as beverage or water, or fill the contents without overflowing when carrying the tumbler.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의 경우에는 눈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텀블러에 채워지는 음료수나 물과 같은 액체의 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어서 잦은 실수와 위험상황에 노출되게 된다. 즉, 텀블러에 채워지는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텀블러에 따르는 내용물이 밖으로 넘쳐흐르거나, 뜨거운 내용물이 넘쳐흘러서 시각장애인들이 화상을 입는 위험상황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However, in the case of visually impaired people, since the eyes are invisible, the amount of liquids such as drinks or water filled in the tumbler cannot be checked with the eyes, which leads to frequent mistakes and dangers. That is, since the amount of contents filled in the tumbler cannot be confirmed, the contents that follow the tumbler overflow or the hot contents overflow and are often exposed to the danger of visually impaired burns.

이러한 시각장애인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 시각장애인용 컵이 다수 안출되기도 하였으며, 그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19772호(공개일: 2012. 03. 07)의 ‘시각 장애인용 물컵’이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discomfort of the visually impaired, a number of cups for the visually impaired have been devised in the past, and as an exampl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2-19772 (published on March 03, 2012). A water cup has been proposed.

상기 ‘시각 장애인용 물컵’은 「내측에 액체 수용 공간이 구비 되어 있는 컵 본체; 상기 컵 본체의 외주면 일 측에 결합 되어 있는 컵 손잡이; 상기 컵 본체의 내 주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고, 상기 컵 본체 내측에 담겨 있는 음료수에 접촉되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 개의 센서; 상기 컵 본체 또는 상기 컵 손잡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 및 상기 컵 본체 또는 상기 컵 손잡이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각 센서 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센서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물컵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양에 따라 컵 본체의 내 주면에 구비된 센서에서 물 높이를 감지하여 스피커를 통해 일정한 음향 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이 청각을 이용하여 컵 본체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인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The ‘water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a cup body having a liquid receiving space therein; A cup hand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 body; A plurality of sensors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inner main surface of the cup body and contacting a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body to output a detection signal; The speak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body or the cup handle and the speak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body or the cup handle and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each sensor,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sensor is supplied to the speaker. Consisting of a controller that outputs through the sensor, which is provided on the inner main surface of the cup body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water cup, senses the water level and outputs a constant sound signal through the speaker, making it possi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hearing. It wa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cup body.

또 다른 실시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1667호(등록일: 2003. 01. 08)의 ‘시각장애자용 컵’이 안출된 바 있다.As another example, a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Korean Utility Model No. 20-0301667 (Registration Date: 01.08.2003) has been devised.

상기 ‘시각장애자용 컵’은 「컵의 출입개구의 연부 내측면과 외측면에 압박접촉되어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음료와 접촉되어 소정의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어 상기 부력을 전달하는 감지핀과,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부에 부력방향에 따라 상기 감지핀과 상기 연결대를 동시에 회동시키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시각장애자들이 컵 안의 남아있는 음료 유무 및 그 량의 정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장애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컵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The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a fixed member fixed in contact with the soft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up opening and closing, a floa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beverage to generate a predetermined buoyancy, and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Being, the connecting rod disposed toward the fixing member, the connecting pi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rod and transmits the buoyancy in contact with a user's hand, and the sensing pin in accordance with the buoyancy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member Consisting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inge pin for rotating the connecting rod at the same tim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was able to recogni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everage in the cup and the amount of the amount,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ould use the cup more conveniently.

시각장애인용 컵 이외에도 컵에 부착하여 시각장애인들의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는 장치들도 다수 안출되었으며, 그 일례로 한국 등록실용실안 제20-0476477호(등록일: 2015. 02. 26)의 ‘시각장애인용 컵을 위한 수위 알람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In addition to the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a number of devices have been devised that can be attached to the cup to relieve the discomfort of the visually impaired. For example, the 'Visually impair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0476477 (Registration Date: Feb. 26, 2015) A water level alarm device for a dragon cup has been proposed.

상기 ‘시각장애인용 컵을 위한 수위 알람장치’는 「컵의 상단 테두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 및 제어부와 ?접촉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기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알람 발생 부, 상기 알람 발생 부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감지 센서에 접촉되는 접촉단, 상기 접촉단과 연결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지지대, 컵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승강시키고, 상기 지지대의 승강에 따라 감지센서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접촉단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의 말단에 구비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물컵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양에 따라 변하는 지지대의 상승 높이 변화로 물의 양을 가늠하여 알람 발생 부를 통해 일정한 음향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탈부착을 통해 모든 컵에서 시각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The 'water level alarm device for the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a fixed part and a control part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edge of the cup, a sensing sensor generating a contact detection signal, and sound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part. An alarm generator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xing unit is provided to generate the sound generating unit, a certain length extending inside the alarm generating unit, a contact end contacting the sensor, and a support, cup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end and extends a certain length A water cup consisting of a structure including a buoyant body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so as to elevate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filled therein and elevate the contact end contacting the sensor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support. Alarm by estimating the amount of water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side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certain sound signal through the generation unit, and is designed to be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in all cups through detachment.

그러나 상기 종래의 다수 안출된 시각장애인용 컵 일례 중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물컵은 다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한 개의 센서가 고장이 나면 스피커를 통한 음향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못하고, 다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물컵을 제작하는데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However, among the examples of the cup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water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uses a plurality of sensors, so if one sensor fails, the acoustic signal through the speaker is not normally output, and the multiple sensors There may be technical difficulties in making a water cup using.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컵은 다양한 컵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컵을 사용할 대 반드시 감지핀이 있는 위치에서 컵을 손으로 잡아야 하므로 컵에 물을 따르기 전에 감지핀의 위치를 찾기 위해 컵을 돌려가면서 정확한 위치를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cups, but when using the cup, the cup must be held by hand at the location where the sensing pin is locate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hold the correct position while turning the cup to find it.

그리고 상기 종래의 다수 안출된 시각장애인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 일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컵을 위한 수위 알람장치는 다양한 컵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각장애인이 컵에 장치를 탈부착 할 때 장치가 파손될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부착을 하지 못하면 컵 내부의 내용물의 수위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컵 내용물이 넘칠 수 있는 문제가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And the water level alarm device for the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device capable of resolving the inconvenience of the conventionally devised visually impaired pers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cups, but when the visually impaired device is detached from the cup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vice may be damaged, and the problem that the contents of the cup may overflow may not be solved because the level of the contents inside the cup cannot be accurately known if it cannot be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시력에 이상이 있는 시각 장애인 등과 같은 사용자가 텀블러를 이용하여 물,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를 채우거나 또는 물, 음료수 등을 마실 때 텀블러 내부에 남아 있는 내용물의 수위와 온도를 촉감과 청각에 의하여 용이하게 확인하고 휴대성을 높임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시각장애인용 컵 또는 장치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면서 그 장점을 살릴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user,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with vision impairment, uses a tumbler to fill a liquid, such as water or beverage, or when drinking water, beverage, etc., feels the water level and temperature of the contents remaining inside the tumbler. It is to provide a tumbler that can make use of the 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visually impaired cup or device by solving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visually impaired by easily confirming and increasing portability by hear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텀블러는 텀블러 내부 상단에 텀블러 내부에 채워지는 물,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액체 접촉감지 센서를 고정시키고,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에 텀블러 외부 진동장치를 연결하여 텀블러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에 접촉하면 연결된 상기 외부 진동장치를 진동시켜 진동의 결과로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가 미세하게 진동하여 사용자가 촉각을 통해 내용물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 내부 하단에 텀블러 내부에 채워지는 물,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액체 온도감지 센서를 고정시키고, 상기 액체 온도감지 센서에 텀블러 외부 음성출력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액체 온도감지 센서를 통해 텀블러 내부 내용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높으면 상기 외부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음향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청각을 통해 내용물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 to the liquid contact sensor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liquid, such as water, beverages, etc. filled in the tumbler on the inside of the tumbler, and the liquid contact When a tumbler external vib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a detection sensor and the contents inside the tumbler contact the liquid contact sensor, the connected external vibration device vibrates to vibrate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s a result of vibration, so that the user can sense It is configured to grasp the height of the contents, and a liquid temperature sensing sensor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such as water and beverage filled in the tumbler, is fixed, and the tumbler is applied to the liquid temperature sensing sensor Connect the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nside the tumbler is sensed through the intelligent sensor, when the contents are high, the sound is generated through the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through hearing.

이와 더불어 상기 외부 진동장치와 상기 외부 음성출력장치를 수직 일렬로 배치시키고 상기 외부 진동장치가 진동 시에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 외부에 고정시켜 놓은 상기 외부 진동장치와 상기 외부 음성출력장치가 탈착 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진동장치와 상기 내부 음성출력장치를 수직 일렬로 배치시키고 고정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진동장치와 상기 내부 음성출력장치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In addition, the external vibration device and the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may be detached when the external vibration device and the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are arranged in a vertical line and the external vibration device is fixed outside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during vib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external vibration device and the internal audio output device are arranged in a vertical line and the external vibration device and the internal audio output device are connected and fixed through a fix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텀블러는 상기 텀블러 내부에 액체 온도감지센서와 액체 접촉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등과 같은 사용자가 텀블러에 물,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채워 넣을 때에 상기 내용물이 어느 정도 채워져 있는 지와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iquid temperature sensor and a liquid contact sensor inside the tumbler, so that when the user,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fills the tumbler with contents such as water or beverage, the contents are filled to some ext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know whether there i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 외부에 진동장치를 통하여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가 진동하기 때문에 텀블러의 어느 부분을 잡아도 진동을 통해 내용물의 높이를 촉감으로 알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vibrates through a vibrating device outside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it is possible to know the height of the content through the vibration even if any part of the tumbler is grabb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 내부에 고정되어있는 액체 접촉감지 센서와 액체 온도감지 센서는 하단과 상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마시는 중간에 상기 센서들로 인한 이물감을 못 느끼고 편하게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ontact sensor and the liquid temperature sensor, which are fixed inside the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re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top, so that the user can not feel the foreign matter caused by the sensors and feel the contents comfortably while the user is drinking the contents. You can drin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텀블러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umbler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example”, “example”, “side”, “example”, etc. should be construed as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being better or more advantageous than another aspect or designs. It is not done.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Also, the term 'or' refers to the inclusive 'inclusive or' rather than the exclusive 'exclusive or'. That is, unless stated otherwise or unclear from the context, the expression 'x uses a or b' refers to any of the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expression (“a” or “an”)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generally means “one or more”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that it is of the singular form or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specifically defined.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inology) are terms used to properly represe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 an operator's intention, or a custom in a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텀블러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는, 진동장치(101)와, 음성출력장치(102)와, 고정부(103)와, 액체 온도감지 센서(104)와,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는 내측에 물,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 수용 공간이 구비 되어 있는 긴 컵 형태이다. 상기 진동장치(101)와 음성출력장치(102)는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 일렬로 고정부(103)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액체 온도감지 센서(104)와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는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umbler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a vibration device 101, an audio output device 102, a fixed portion 103, a liquid temperature sensor 104, and a liquid contact sensor 105 It can be done.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in the form of a long cup with a liquid accommodating space such as water and beverage inside. The vibrating device 101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2 are fixed through a fixing part 103 in a vertical line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liquid temperature sensor 104 and the liquid The contact sensor 105 is fixed to the inner top and bottom of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는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긴 컵 형태를 가지고 있어 시각장애인의 사용감과 편의성을 높여준다.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made of stainless steel, plastic, etc., and has a long cup shape, thereby enhancing the us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는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로 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형태로 시각장애인이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를 사용하여 액체를 마실 때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로 인한 불편함을 줄여준다.The liquid contact sensor 105 is fixed to the inner top of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visually impaired drink the liquid using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a form in which the horizontal length i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When it reduces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liquid contact sensor 105.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는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의 상부면까지 액체가 차오를 경우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와 접촉하면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가 액체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진동장치(101)에 감지신호를 보내고, 감지신호를 받은 진동장치(101)는 2초간 짧은 진동을 하며, 이 진동으로 인해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가 진동해서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를 잡고 있는 시각장애인이 촉감으로 진동을 느껴서 액체의 수위가 높다는 것을 인지하고 액체가 넘치지 않도록 더욱 주의를 기울이며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liquid rea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liquid contact detection sensor 10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quid contact detection sensor 105, and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quid contact detection sensor 105 The liquid contact detection sensor 105 detects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liquid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vibration device 101, and the vibration device 101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makes a short vibration for 2 seconds, and the vibration causes the visually impaired. The dragon tumbler 100 vibrates and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holding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feels the vibration with a touch and recognizes that the liquid level is high, pays more attention not to overflow the liquid and prevents the liquid from overflowing.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는 정전센서, 물접촉 센서(Leak sensor) 등 액체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한다.The liquid contact sensor 105 includes all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a liquid, such as an electrostatic sensor or a water sensor.

상기 진동장치(101)가 진동해서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가 진동 할 때, 이 과정에서 진동으로 인해 상기 진동장치(100) 및 상기 음성출력장치(102)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부(103)을 통해 상기 진동장치(101)와 상기 음성출력장치(102)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하여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vibrated by the vibrating device 101, the vibrating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2 ar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due to vibration in this process. The vibration device 101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ixed to one an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mbler 100 for the disabled to prevent detachment.

또한, 고정부(103)는 평평하고 얇은 형태로 시각장애인이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를 사용할 때의 불편함을 줄인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103 reduces the discomfort when the blind person uses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a flat and thin form.

상기 액체 온도감지 센서(104)는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액체가 차있을 경우 상기 액체 온도감지 센서(104)가 액체에 잠기면서 액체의 온도를 감지하며 액체의 온도가 고온이면 음성출력장치(102)에 감지신호를 보내고, 감지신호를 받은 음성출력장치(102)는 2초간 짧은 음향신호를 발생시켜 시각장애인이 청각적으로 액체의 온도가 높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위험상황에 노출되는 상황을 방지한다.The liquid temperature sensor 10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when the liquid is full, the liquid temperature sensor 104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while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and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is If the temperature is high, the detection signal is sent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2,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2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s a short acoustic signal for 2 seconds, so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perceive that the liquid temperature is high. Avoid situations exposed to dangerous situations.

상기 액체 온도감지 센서(104)는 온도센서, 상태 변화 온도센서 등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한다.The liquid temperature sensor 104 includes all sensors capable of sensing temperature,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state change temperature sensor, and the lik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성 외형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1.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 등과 같은 사용자가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액체 온도감지 센서(104)와 상기 액체 접촉감지 센서(105)를 통해 감지 된 액체의 수위와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장치(101)와 상기 음성출력장치(102) 를 통해, 상기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 내측에 채워지는 액체의 온도와 수위를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텀블러(100)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has the liquid temperature sensor 104 fixed to the inside of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Liquid filled in the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the vibration device 101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2 using the water level and temperature of the liquid sensed through the liquid contact sensor 105 It can provide a tumbler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know the temperature and water level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 / or combinations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for example, processors, controllers, arithmetic logic units (ALUs), digital signal processors (micro signal processors), microcomputers, field programmable arrays (FP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one being used,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the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the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시각장애인용 텀블러
101 : 진동장치
102 : 음성출력장치
103 : 고정부
104 : 액체 온도감지 센서
105 : 액체 접촉감지 센서
100: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101: vibration device
102: audio output device
103: fixing part
104: liquid temperature sensor
105: liquid contact sensor

Claims (1)

텀블러 외부 액체 온도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일정 온도를 넘어서면 소리로 알려주는 음성 출력 장치.
텀블러 외부 액체 접촉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일정 수위를 넘어서면 진동을 통해 알려주는 진동 장치.
상기 진동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
텀블러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여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액체 접촉감지 센서.
텀블러 내부 하단에 위치하여 액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액체 온도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텀블러
A voice output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tumbler's external liquid temperature sensor to alert you when it exceeds a certain temperature.
Vibration device that connects with a tumbler external liquid contact sensor to alert you when vibration exceeds a certain level.
Fixing unit for fixing the vibration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umbler, a liquid contact sensor that senses the liquid level.
A tumb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ing a liquid temperature sensor tha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umbler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KR1020180134982A 2018-11-06 2018-11-06 Tumblr for the Blind KR202000519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982A KR20200051982A (en) 2018-11-06 2018-11-06 Tumblr for the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982A KR20200051982A (en) 2018-11-06 2018-11-06 Tumblr for the Bli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982A true KR20200051982A (en) 2020-05-14

Family

ID=7073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982A KR20200051982A (en) 2018-11-06 2018-11-06 Tumblr for the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198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445A (en) * 2020-05-22 2021-11-30 대신증권 주식회사 Cup
KR20220141611A (en) * 2021-04-13 2022-10-20 울산과학기술원 A controlled speaker by fluid
KR102552468B1 (en) * 2022-11-15 2023-07-06 신지민 Handle of cup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445A (en) * 2020-05-22 2021-11-30 대신증권 주식회사 Cup
US11547225B2 (en) 2020-05-22 2023-01-10 Daishin Securities Co., Ltd. Cup
KR20220141611A (en) * 2021-04-13 2022-10-20 울산과학기술원 A controlled speaker by fluid
KR102552468B1 (en) * 2022-11-15 2023-07-06 신지민 Handle of cup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1982A (en) Tumblr for the Blind
US202401738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 motion
US20130269097A1 (en) Swimming pool safety apparatus and method
JP5311389B2 (en) Walking support device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walking support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US11275437B2 (en) Eye tracking applications i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US20200033898A1 (en) Water level detection via pressure sensing device
JP5989220B1 (en) Touch detection method, touch detection device, and touch sensor controller
WO2019066240A3 (en) Massage device for hangover recovery or digestion enhanc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20019772A (en) Cup for person with eye-disability
KR200476477Y1 (en) An alarm device for a cup used in visually impaired
KR200473207Y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KR20210120069A (e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steering wheel
JP5901870B1 (en) Touch detection method, touch detection device, and touch sensor controller
KR20080001868U (en) The cup which puts out a sound
JP2018181178A (en) Water motion detection device and water motion detection method
KR102113560B1 (en) Alarm unit for the blind
KR20200061438A (en) Bathing prevention bath of bathe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160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640917A1 (en) Processing unit and processing method for intervehicular distance warning system, intervehicular distance warning system, and motorcycle
KR101475728B1 (en) Holder of Shower Head
EP3665448B1 (en) Load determin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KR20210085118A (en) Walking assistance glove for vision impaired person
KR102645290B1 (en) Smart cane
JP5863189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240077855A (en) Liquid dispenser pumping device with 3D identification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