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640A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640A
KR20200051640A KR1020207007323A KR20207007323A KR20200051640A KR 20200051640 A KR20200051640 A KR 20200051640A KR 1020207007323 A KR1020207007323 A KR 1020207007323A KR 20207007323 A KR20207007323 A KR 20207007323A KR 20200051640 A KR20200051640 A KR 2020005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neck portion
neck
handl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97852B1 (en
Inventor
요코 아케마
야스시 오쿠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7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3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의 구강 내에 있어서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지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모다발(7)을 포함하는 식모부(11)와, 식모부가 식모면(2a)에 마련된 헤드부(2)와, 네크부(3)와, 핸들부(4)를 갖는 핸들체(5)를 구비한다. 정면에서 보아, 네크부의 길이가 15㎜ 이상 35㎜ 이하이고, 헤드부와 네크부의 합계의 길이가 28㎜ 이상 68㎜ 이하이고, 네크부의 폭이 4㎜ 이상 6㎜ 이하이고, 측면에서 보아, 헤드부의 두께가 2㎜ 이상 4㎜ 이하이고, 정면에서 보아, 네크부와 헤드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위치로부터 핸들부측으로 20㎜ 이동한 제2 위치와, 손가락 닿음부의 능선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4㎜ 이상 22㎜ 이하이고, 제2 위치와, 손가락 닿음부의 능선의 위치는, 측면에서 본 두께의 차가 3㎜ 이상 9㎜ 이하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in which good operability is obtained in the oral cavity of a child. A handle body (11) comprising a plurality of hair bundles (7), a head portion (2)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2), a neck portion (3), and a handle portion (4) provided with the head portion (2) 5) is provided. Viewed from the front, the length of the neck portion is 15 mm or more and 35 mm or less, the total length of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s 28 mm or more and 68 mm or less, and 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is 4 mm or more and 6 mm or less, and viewed from the side, the head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is 2 mm or more and 4 mm or less, and as viewed from the fro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nd 20 mm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handle portion side, and the position of the ridge line of the finger contact portion 4 mm or more and 22 mm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ridge line of the finger contact portion is 3 mm or more and 9 mm or less.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본원은, 2017년 9월 1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7590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75906 for which it applied to Japan on September 13, 2017, and uses the content in this specification.

충치, 치주병의 예방에는, 칫솔을 사용한 브러싱에 의한 구강 내의 플라크 제거가 중요하다. 종래, 플라크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가지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칫솔의 헤드부를 얇게, 네크부를 가늘게 함으로써, 통상의 칫솔로는 도달하기 어려운 어금니의 안쪽(어금니의 인후측)까지 용모(用毛)를 도달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헤드부가 박형화되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우수한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To prevent tooth decay and periodontal disease, it is important to remove plaque in the oral cavity by brushing with a toothbrush. Conventionally, various toothbrushes have been proposed to enhance the effect of removing plaques. For example, by thinning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and making the neck portion thinner, it is possible to reach the inside of the molars (the throat side of the molars) difficult to reach with a conventional toothbrush.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toothbrush with a thin head portion and excellent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일본 특허 제3387591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387591

한편, 어린이용의 칫솔에 대해서는, 플라크 제거 효과와 함께, 브러싱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가 안심·안전하게 이닦기를 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 첫째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 내에 있어서의 칫솔의 조작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어린이용 칫솔의 기술 개발은, 어른용 칫솔처럼은 진행되고 있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for children's toothbrushes,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have a plaque removal effect and a child unfamiliar with brushing safely and safely. However,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a child's toothbrush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toothbrush in the oral cavity has not progressed like an adult toothbrush.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으로서, 어린이의 구강 내에 있어서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지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having good operability in a child's mouth.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칫솔은, 복수의 모다발을 포함하는 식모부와, 상기 식모부가 식모면에 마련된 헤드부와, 네크부와, 핸들부를 갖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정면에서 보아, 상기 네크부의 길이가 15㎜ 이상 35㎜ 이하이고, 상기 헤드부와 네크부의 합계의 길이가 28㎜ 이상 68㎜ 이하이고, 상기 네크부의 폭이 4㎜ 이상 6㎜ 이하이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 이상 4㎜ 이하이고, 정면에서 보아, 상기 네크부와 상기 헤드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20㎜ 이동한 제2 위치와, 손가락 닿음부의 능선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4㎜ 이상 22㎜ 이하이고,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손가락 닿음부의 능선의 위치는, 측면에서 본 두께의 차가 3㎜ 이상 9㎜ 이하이다.The toothbrush in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handle part which has the hair part which has a some hair bundle, and the head part provided with the said hair part on the hair surface, the neck part, and the handle part, and seeing from the front, the neck part The length is 15 mm or more and 35 mm or less, the total length of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s 28 mm or more and 68 mm or less, 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is 4 mm or more and 6 mm or less, and as viewed from the side,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is 2 mm or more and 4 mm or less, and seen from the fron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moved 20 mm from the first position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toward the handle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ridge line of the finger contact portion 4 mm or more and 22 mm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ridge line of the finger contact portion is 3 mm or more and 9 mm or less.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정면에서 본 상기 네크부의 폭과, 상기 측면에서 본 상기 네크부의 두께의 관계가, 상기 제1 위치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보다도 두께의 변화량이 항상 동등 이상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viewed from the side faces toward the rear end in the s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t is good also considering a structure in whic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hickness rather than the width is always equal or more.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네크부의 폭과 두께의 대소 관계가 역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is invention, you may make it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neck part is reversed from the said 1st position to a 2nd position.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상기 식모면측의 표면은, 상기 측면에서 본 상기 헤드부의 선단의 두께의 중앙이 되는 제1 점과, 상기 정면에서 본 핸들부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 측면에서 본 두께의 중앙이 되는 제2 점을 연결한 직선을 따라서 직선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neck surface side of the neck portion is a first point at the center of the thickness of the tip of the head portion viewed from the side surface, and a side surface at a central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traight line along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econd point that is the center of the thickness as seen from.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상기 식모면측의 표면은, 상기 측면에서 본 상기 헤드부의 선단의 두께의 중앙이 되는 제1 점과, 상기 측면에서 본 상기 핸들부의 후단의 두께의 중앙이 되는 제3 점을 연결한 직선을 따라서 직선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neck surface side of the neck portion has a first point at the center of the thickness of the tip of the head portion viewed from the side surface, and a center of the thickness of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viewed from the side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traight line along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hird points.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는, 상기 핸들부의 상기 네크부 근처에, 상기 식모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제1 손가락 닿음부와, 상기 식모면과 반대측의 배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제2 손가락 닿음부를 갖고, 상기 제1 손가락 닿음부는,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식모면측의 상기 네크부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1 곡면과, 상기 식모면측의 상기 핸들부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2 곡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손가락 닿음부는,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식모면측의 상기 네크부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4 곡면과, 상기 배면측의 상기 핸들부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5 곡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body,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that is convex toward the bristle surface side, and the second finger touch that is convex toward the back side opposite to the bristle surface, near the neck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As seen from the side,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curved surface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neck portion side of the bristle surface side, and a second curved surface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handle portion side of the bristle surface side. It is formed on the crossing portion, the second finger touch portion, as viewed from the side, a fourth curved surface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neck portion side of the chamfered surface, and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handle portion side of the back side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formed in the part where 5 curved surfaces intersect.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손가락 닿음부는, 상기 정면에서 보아,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2 곡면의 교차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능선이 상기 네크부를 향하여 볼록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손가락 닿음부는, 배면에서 보아, 상기 제4 곡면과 상기 제5 곡면의 교차 부분에 형성되는 제2 능선이 상기 네크부측을 향하여 볼록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a first ridge line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neck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cond ridge line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the fourth curved surface and the fifth curved surface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neck por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urface. .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정면에서 보아, 상기 네크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일정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the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ck portion may be a constant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is invention, you may make it the structure which the material of the said handle body is polypropylene resin.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적어도 일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is invention, you may make it the structure which at least one part of the said handle body was covered with soft resin.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전체 길이는 110㎜ 이상 170㎜ 이하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length of the handle body may be 110 mm or more and 170 mm or less.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의 구강 내에 있어서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지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toothbrush which can obtain favorabl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of a child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a는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배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3A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Figure 3b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Figure 3a.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oothbrush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부언하면,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구성 요소에 의해 치수의 축척을 상이하게 하여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Incidentally, in each of the following drawings, in order to make each component easier to see, the scales of dimensions may be different by components.

우선, 본 발명의 칫솔(1)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toothbrush 1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배면에서 본 배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front. 3A and 3B are side views seen from the side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4 is a rear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여기서, 식모부(11)가 마련된 헤드부(2)의 상면을 식모면(2a)이라고 칭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모면(2a)을 구성하는 가상 평면(K)을 수평한 XY 평면으로 하고, 핸들체(5)가 전체로서 연장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X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상기 식모면(2a)의 법선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부재의 Y축 방향의 치수를 그 부재의 폭이라고 칭하고, 각 부재의 Z축 방향의 치수를 그 부재의 두께라고 칭하고, 각 부재의 X축 방향의 치수를 그 부재의 길이라고 칭한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2 provided with the bristle part 11 is called a bristle surface 2a. As shown in Fig. 3A, the virtual plane K constituting the planting surface 2a is a horizontal XY plane,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body 5 extends as a whole is the X-axis direction, and the X-axis The orthogonal direction is the Y-axis directio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planting surface 2a is set to the Z-axis direc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mension in the Y-axis direction of each member is called the width of the member, the dimension in the Z-axis direction of each member is called the thickness of the member, and the dimension in the X-axis direction of each member is the length of the member It is called.

도 2의 「정면에서 본다」란, 칫솔(1)의 식모면(2a)측을 +Z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a, 도 3b의 「측면에서 본다」란, 칫솔(1)을 -Y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의 「배면에서 본다」란, 칫솔(1)을 식모면(2a)과는 반대측의 배면(2b)을 -Z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The "view from the front" in FIG. 2 is a view of the toothbrush 1 seen from the + Z axis direction. 3A and 3B are views of the toothbrush 1 viewed in the -Y axis direction. The "view from the back" in Fig. 4 is a view of the toothbrush 1 seen from the -Z direction when the back surface 2b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planting surface 2a is viewed.

(칫솔(1))(Toothbrush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식모부(11)와, 식모부(11)가 마련된 헤드부(2)와, 헤드부(2)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네크부(3)와, 네크부(3)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핸들부(4)를 구비하고 있다. 즉, 헤드부(2)와 네크부(3)와 핸들부(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헤드부(2)와 네크부(3)와 핸들부(4)가 일체가 된 부분을 핸들체(5)라고 칭한다.As shown in Fig. 1, the toothbrus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ead portion 2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11, a head portion 2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11, and a neck extending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head portion 2 A portion 3 and a handle portion 4 extending from the base end side of the neck portion 3 are provided. That is, the head portion 2, the neck portion 3 and the handle portion 4 are integrally formed. Hereinafter, the portion where the head portion 2, the neck portion 3 and the handle portion 4 are integrated is referred to as a handle body 5.

(핸들체(5))(Handle (5))

핸들체(5)는 전체로서 장척상으로 일체 성형된 것이며, 예를 들어 수지를 재료로 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핸들체(5)의 구성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 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 중, 강도가 높고, 헤드부를 박육화하기 쉬운 점에서는, POM, PBT, PEN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body 5 is integrally molded into a long shape as a whole, and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resin as a material.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handle body 5,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 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polyacetal (POM),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styrene (P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BS), cellulose propionate (CP), polyarylate, polycarbonate,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resin (AS ) And the like. Among these resin materials, it is preferable to use materials such as POM, PBT, and PEN from the viewpoint of high strength and easy thinning of the head portion.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범용성이 높고, 가공하기 쉽고 비용이 낮은 반면, 굽힘 탄성률이 낮다는 성질을 갖는다.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의 굽힘 탄성률(JIS K7171)이 대략 2500MPa 정도인 데 비해, 폴리프로필렌의 굽힘 탄성률은 대략 1500 내지 2000MPa이다. 그 때문에, 종래라면, 헤드부가 얇고, 네크부가 가는 칫솔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은 쓰기 어려운 재료였다.In particular, polypropylene, compared to resins such as polyacetal, generally has high versatility, is easy to process and low in cost, while has a property of low flexural modulus. For example, the bending elastic modulus of polyacetal (JIS K7171) is about 2500 MPa, while the bending elastic modulus of polypropylene is about 1500 to 2000 MPa.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s the material of the toothbrush having a thin head portion and a thin neck portion, polypropylene was a material that is difficult to use.

그런데, 후술하는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의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등의 굽힘 탄성률이 비교적 낮은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By the way, by adopting the shape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later, a resin having a relatively low bending elastic modulus such as polypropylene can also be us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핸들체(5), 특히 네크부(3)의 구성 재료의 굽힘 탄성률(JIS K7171)은 1000MPa 이상 28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0MPa 이상 2500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0MPa 이상 2000MPa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nding elastic modulus (JIS K7171)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handle body 5, particularly the neck portion 3, is preferably 1000 MPa or more and 2800 MPa or less, more preferably 1200 MPa or more and 2500 MPa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00 MPa or more and 2000 MPa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상기 수지는, 1종의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또한, 핸들체(5)는 핸들부(4)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핸들부(4)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핸들부(4)를 쥐었을 때의 손 피트감이 향상되고, 파지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질 수지로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쇼어 A90 이하의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쇼어 A10 내지 40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엘라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성을 높일 수 있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esi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resins. In addition, the handle body 5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covered with a soft resin. When a part or all of the handle part 4 is covered with a soft resin, the feeling of hand fitting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part 4 is improv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ipping finger from slipping. As the soft resin, for example, a resin of Shore A90 or less is preferable, and a resin of Shore A10 to 40 is more preferable. Examples of such soft resins include elastomer resins such as polyolefin-based elastomers, styrene-based elastomers, polyester-based elastomers, and polyuretha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s, silicones, and the like. In the case of using a flexible resin such as an elastomer,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adhesiveness, polyolefin is preferred, and polypropylene is more preferred.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예를 들어 3세 내지 9세의 어린이가 사용하는 칫솔을 상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체(5)의 전체의 길이 L5는, 사용자의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핸들체(5)의 전체의 길이 L5는, 예를 들어 110㎜ 내지 170㎜ 정도이다.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for example, assuming the toothbrush used by children 3 to 9 years old. As shown in Fig. 2, the overall length L5 of the handle body 5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operability and the like. The total length L5 of the handle body 5 is, for example, about 110 mm to 170 mm.

(헤드부(2))(Head part (2))

헤드부(2)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서로 평행을 이루는 식모면(2a)과 배면(2b)을 갖는 평판부(2A)와, 평판부(2A)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2B)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A, the head portion 2 extends from the flat plate portion 2A having the chamfered surfaces 2a and the rear surface 2b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from one end side of the flat plate portion 2A. It has an extension part 2B.

헤드부(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체(5)의 길이 방향이 길게 되고, 정면에서 보아 정상부가 곡선이며 코너 컷(corner cut)된 평판상으로 되어 있다. 헤드부(2)의 식모면(2a)에는, 식모 구멍(2h)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식모 구멍(2h)에, 용모가 묶인 모다발(7)(도 1)이 식설(植設)되어서, 복수의 모다발을 포함하는 식모부(11)(도 1)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head portion 2 has a long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body 5, and the top portion is curved and has a corner-shaped flat plate as viewed from the front. A plurality of bristle holes 2h are formed on the bristle surface 2a of the head portion 2. The hair bundle 7 (FIG. 1) in which the bristles are tied is planted in this planting hole 2h, and a bristle part 11 (FIG. 1) including a plurality of hair bundles is formed.

헤드부(2)는 정면에서 보아, 헤드부(2)의 선단으로부터 네크부(3)를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고, 이어서 동등한 폭에서 연장되고, 이어서 폭 방향 내측으로 좁아지고, 네크부(3)와의 경계(제1 위치 S1)에 이르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길이(헤드 길이) L2는, 헤드부(2)의 선단으로부터 네크부(3)와의 경계인, 제1 위치 S1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The head portion 2 is seen from the front, widen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it faces the neck portion 3 from the tip end of the head portion 2, and then extends in an equal width, and then narrow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neck It has a shape reaching the boundary (first position S1) with the part 3. The length (head length) L2 shown in FIG. 2 represents the length from the tip end of the head portion 2 to the first position S1, which is a boundary with the neck portion 3.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위치 S1은, 헤드부(2)의 정면에서 본 형상에 있어서의, 네크부(3)로부터의 코너 컷을 형성하는 곡선의 종점, 즉, 코너 컷을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위치이다. 즉, 헤드부(2)와 네크부(3)의 경계인 제1 위치 S1은, 정면에서 본 헤드부(2)에 있어서의 네크부(3) 근처의 코너 컷 부분의 폭이 좁아지는 양쪽 테두리를 형성하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부터, 폭이 넓어지는 곡선 혹은 직선, 또는 폭이 동일한 직선으로 변화하는 위치이다.In this embodiment, the 1st position S1 is the end point of the curve which forms the corner cut from the neck part 3 in the shape seen from the front of the head part 2, ie, the curve which forms a corner cut. It is the position where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is changed. That is, the first position S1, which is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ortion 2 and the neck portion 3, shows both edges where the width of the corner cut portion near the neck portion 3 in the head portion 2 seen from the front is narrowed. It is a position that changes from a curved line or a straight line to be formed to a curved line or a straight line with a wider width or a straight line with the same width.

또한, 정면에서 보아 네크부(3)가 핸들부(4)를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칫솔의 경우, 제1 위치 S1은, 정면에서 보아 헤드부(2)와 네크부(3)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작은 위치와 일치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oothbrush having a wider width as the neck portion 3 faces the handle portion 4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position S1 is in the head portion 2 and the neck portion 3 when viewed from the front. Match the smallest position of.

헤드부(2)의 치수는, 구강 내 조작성 등의 특성을 감안하여 결정된다.The dimensions of the head portion 2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such as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헤드부(2)의 길이 L2는, 너무 길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손상되기 쉽고, 너무 짧으면 식모되는 모다발(7)(도 1)의 수가 너무 적어져서, 청소 효과가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헤드부(2)의 길이 L2는, 예를 들어 13㎜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도 3a에 있어서는, 식모부(11)의 도시를 생략한다.When the length L2 of the head portion 2 is too long,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is liable to be damaged, and if too short, the number of hair bundles 7 (FIG. 1) to be planted is too small, and the cleaning effect is liable to be impaired.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L2 of the head part 2 is 13 mm-35 mm, for example. In addition, in FIG. 2 and FIG. 3A, illustration of the bristle part 11 is abbreviate | omitt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체(5)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헤드부(2)의 폭(헤드 폭) W2는, 너무 크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되고, 너무 작으면, 식모되는 모다발(7)의 수가 너무 적어져서, 청소 효과가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헤드부(2)의 폭 W2는, 예를 들어 5㎜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width (head width) W2 of the head portion 2 in the direction cros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body 5 is too larg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decreases, and if it is too small, The number of hair bundles 7 to be planted is too small, and the cleaning effect is liable to be impaired. For this reason, the width W2 of the head portion 2 is preferably 5 mm to 13 mm, for example.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2)의 두께는, 얇을수록, 구강 내 조작성을 높일 수 있지만, 너무 얇으면, 헤드부(2)의 강도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이 때문에, 헤드부(2)의 두께(헤드 두께) T2는, 핸들체(5)의 구성 재료, 굽힘 탄성률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헤드부(2)의 두께 T2는, 2.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A, the thinner the head 2, the higher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but if it is too thin, the strength of the head 2 is likely to be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head thickness) T2 of the head portion 2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handle body 5, the bending elastic modulus, and the like. The thickness T2 of the head portion 2 is preferably 2.0 mm or more and 4.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5 mm or more and 3.5 mm or les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모 구멍(2h)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 타원 등의 원형이어도 되고,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어도 된다. 식모 구멍(2h)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개 내지 60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가장 선단측의 열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2구멍, 선단측으로부터 2열째가 3구멍으로 되고, 가장 후단측의 열도 3구멍으로 되어 있다. 중앙 부분에는, 4구멍의 열이 3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hape of the planting hole 2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circular shape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or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The number of the bristle holes 2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preferably about 10 to 60,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row at the front end side has two hole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row from the front end side has three holes, and the row at the rear end side has three holes. In the central portion, four rows of holes are formed side by side.

식모 구멍(2h)의 직경은, 도 1에 도시하는 모다발(7)의 굵기에 따라서 결정되며, 예를 들어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 구멍(2h)의 배열 패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위 격자상, 지그재그상 등, 어떠한 배열 패턴이어도 된다.The diameter of the planting hole 2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ir bundle 7 shown in Fig. 1, and is preferably 1 mm to 3 mm, for example.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bristle hole 2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arrangement pattern such as a so-called lattice shape or a zigzag shape.

모다발(7)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직경이 털끝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용모(테이퍼 모), 털끝의 라운딩부를 제외하고 외경이 대략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 모)를 들 수 있다.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어, 6-12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PET,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PP 등의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용모는, 코어부와 코어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시스부를 갖는 다중 코어 구조여도 된다.Examples of the hairs constituting the hair bundle 7 include hairs (taper hairs)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hair tips, and hairs (straight hair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outer diameter except for the rounding part of the hair tips. The material of the appearance is, for example, polyamide such as 6-12 nylon, 6-10 nylon, polyester such as PET, PB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PEN, polybutylene naphthalate (PBN),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polyolefins such as PP, olefin-based elastomers, and styrene-based elastomers can be used. These resin material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Further, the feature may be a multi-core structure having a core por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sheath portions provided outside the core portion.

용모의 단면 윤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별형, 세잎 클로버형, 네잎 클로버형 등을 들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contour of the fe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ircular, triangular, quadrangular, pentagonal, hexagonal, and other polygonal, star, three-leaf clover, and four-leaf clover shapes.

용모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면 윤곽이 원형인 경우, 예를 들어, 3mil 내지 11mil(1mil=1/1000inch=0.025㎜)로 된다. 모다발은, 모두가 동일한 굵기의 용모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다른 굵기의 용모가 조합되어 있어도 된다. 모 길이는, 6㎜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appearan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when the cross-sectional contour is circular, for example, 3 mil to 11 mil (1 mil = 1/1000 inch = 0.025 mm). The hair bundles may all be composed of the same-sized appearance, or two or more different-sized appearances may be combi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air length is 6 mm to 13 mm.

(네크부(3))(Neck part (3))

네크부(3)는 헤드부(2)와 핸들부(4)를 일체적으로 접속한다.The neck portion 3 integrally connects the head portion 2 and the handle portion 4.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네크부(3)는 도 2에 도시하는 정면에서 보아, 제1 위치 S1로부터 핸들부(4)를 향해 동일폭 또는 폭을 넓혀서 연장하고, 이어서 핸들부(4)와의 제3 위치 S3에서 더욱 폭을 넓힐 때까지의 길이, 즉, 제1 위치 S1로부터 제3 위치 S3까지의 길이 L3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eck portion 3 is extended from the first position S1 toward the handle portion 4 by extending in the same width or width as seen from the front shown in FIG. 2, and then removed from the handle portion 4 It is the length from the 3rd position S3 to further widen, ie, the length L3 from the 1st position S1 to the 3rd position S3.

제3 위치 S3은, 정면에서 보아, 네크부(3)가 동일 또는 폭을 넓히는 부분의 양쪽 테두리를 형성하는 직선의 종점 또는 폭을 넓히는 부분의 양쪽 테두리를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위치이다.The third position S3 is the position where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 forming the end point of the straight line forming both edges of the same or widening portion or both edges of the widening portion is changed, as viewed from the front. to be.

네크부(3)의 길이(네크 길이) L3은, 헤드부(2)를 어린이의 구강 내에 삽입했을 때에 네크부(3)가 입술에 접촉하기 때문에, 15㎜ 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length (neck length) L3 of the neck portion 3 is preferably 15 mm or more and 35 mm or less because the neck portion 3 contacts the lips when the head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child's mouth, 20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0 mm or more.

또한, 헤드부(2)와 네크부(3)의 합계 길이(L2+L3)는 어린이의 입술부터 어금니까지의 길이를 감안하여, 28㎜ 이상 68㎜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상 6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3㎜ 이상 6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total length (L2 + L3) of the head portion 2 and the neck portion 3 is preferably 28 mm or more and 68 mm or less, and 30 mm or more and 65 mm or less, considering the length from the lips of the child to the molars. Is more preferable, and 33 mm or more and 61 mm or less are more preferable.

핸들체(5)의 전체의 길이(전체 길이) L5에 대한 네크부(3)의 길이 L3의 비율(%)로서는, 5.5% 이상 31% 이하가 바람직하고, 8% 이상 2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ratio (%) of the length L3 of the neck portion 3 to the total length (full length) L5 of the handle body 5 is preferably 5.5% or more and 31% or less, and more preferably 8% or more and 24%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 or more and 20% or less.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3a에 도시하는 측면에서 본 헤드부(2)의 선단의 두께 방향(Z 방향)의 중앙이 되는 점을 제1 점(A1)이라 하고, 도 2에 도시하는 정면에서 본 핸들부(4)의 길이 방향(X 방향) 및 폭 방향의 중앙이 되는 위치이며, 도 3a에 도시하는 측면에서 본 핸들부(4)의 두께 방향(Z 방향)의 중앙이 되는 점을 제2 점(A2)이라 하고, 도 3a에 도시하는 측면에서 본 핸들부(4)의 후단의 두께 방향(Z 방향)의 중앙이 되는 점을 제3 점(A3)이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int that becomes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tip end of the head portion 2 seen from the side shown in FIG. 3A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oint A1, and is viewed from the front shown in FIG. 2. It is the position which becomes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is handle part 4, and the point which becomes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4 seen from the side shown in FIG. The point 2 is referred to as A2, and the point at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4 seen from the side shown in FIG. 3A is referred to as the third point A3.

도 3a에 도시하는 측면에서 보아, 네크부(3)는 식모면(2a)측의 표면(3a)의 일부가 직선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네크부(3)에 있어서의 식모면(2a)측의 표면(3a)의 일부는, 예를 들어, 제1 점(A1)과 제2 점(A2)을 연결한 가상적인 직선(L1)을 따라서 직선상을 이룬다. 혹은, 제1 점(A1)과 제3 점(A3)을 연결한 가상적인 직선(L2)을 따라서 직선상을 이룬다. 혹은, 제1 점(A1)과 제2 점(A2)과 제3 점(A3)을 연결한 가상적인 직선(L3)을 따라서 직선상을 이룬다.As seen from the side shown in Fig. 3A, the neck portion 3 has a straight portion of the surface 3a on the side of the planting surface 2a. Specifically, a part of the surface 3a on the vein surface 2a side in the neck portion 3 is, for example,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A1 and the second point A2 ( L1) to form a straight line. Alternatively, a straight line is formed along a virtual straight line L2 connecting the first point A1 and the third point A3. Alternatively, a straight line is formed along a virtual straight line L3 connecting the first point A1, the second point A2, and the third point A3.

이때, 네크부(3)의 표면(3a)은 직선(L1, L2, L3)의 어느 것에 반드시 일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직선(L1, L2, L3)을 중심으로 하여, 칫솔(1)의 두께 방향(Z 방향)에 설정한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허용 범위가, 예를 들어, 직선(L1, L2, L3)에 대하여 칫솔(1)의 두께 방향(Z 방향)의 상하 각각 ±1㎜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rface 3a of the neck portion 3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any of the straight lines L1, L2, L3, and is centered on the straight lines L1, L2, L3, and the thickness of the toothbrush 1 It should just be locat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set in the direction (Z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llowable range is, for example, a range of about ± 1 mm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s L1, L2, and L3.

이와 같이, 네크부(3)의 식모면(2a)측의 표면(3a)의 일부가, 상기 직선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브러싱에 익숙하지 않은 유아일지도, 닦을 때의 핸들부(4)로부터의 힘을 낭비 없이 헤드부(2)의 식모면(2a)측에 전할 수 있어, 구강 내의 조작성이 양호해진다.In this way, a part of the surface 3a of the neck portion 3 on the side of the bristle surface 2a may be an infant unfamiliar with brushing by having the shape along the straight line, or the handle portion 4 when brushing. The force from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d surface 2a side of the head portion 2 without waste, and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becomes good.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크부(3)의 식모면(2a)측의 표면(3a)은 핸들부(4)측으로 연장되어, 제1 손가락 닿음부(9A)를 형성하는 제1 곡면(4a1)에 연속한다.As shown in Fig. 3A, the surface 3a of the neck portion 3 on the chamfered surface 2a side extends toward the handle portion 4 side, and the first curved surface (1A) forming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 4a1).

또한, 네크부(3)의 배면(3b)은 핸들부(4)측으로 연장되어, 제2 손가락 닿음부(9B)를 형성하는 제4 곡면(4b1)에 연속한다.Further, the back surface 3b of the neck portion 3 extends to the handle portion 4 side, and continues to the fourth curved surface 4b1 forming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네크부(3)의 폭 W][Width of the neck part 3]

본 실시 형태의 네크부(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위치 S1로부터, 제3 위치 S3까지 폭 W가 길이 방향에 걸쳐서 동일폭이지만, 확경해도 된다. 네크부(3)의 폭 W를 동일폭의 치수로 함으로써, 어금니를 닦을 때에 입를 크게 개방하지 않아도 헤드부(2)가 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neck portion 3 of this embodiment has the same width W from the first position S1 to the third position S3, but may be enlarged. By setting the width W of the neck portion 3 to be the same width, the head portion 2 can be reached even when the mouth is not opened wide when wiping the molars.

네크부(3)의 폭 W는, 작을수록 구강 내 조작성을 높일 수 있지만, 너무 작으면, 네크부(3)의 강도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이 때문에, 네크부(3)의 폭 W는, 핸들체(5)의 구성 재료, 굽힘 탄성률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네크부(3)의 폭 W는, 4.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상 5.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maller the width W of the neck portion 3, the higher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but if it is too small, the strength of the neck portion 3 is likely to be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e width W of the neck portion 3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handle body 5, the bending elastic modulus,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W of the neck portion 3 is preferably 4.0 mm or more and 6.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4.5 mm or more and 5.5 mm or less.

[네크부(3)의 두께][The thickness of the neck part 3]

네크부(3)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단면 형상은,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크부(3)의 헤드부(2)측으로부터 핸들부(4)측을 향하여 점차 변화하고 있고, 네크부(3)의 폭과 두께의 대소 관계가 길이 방향으로 역전되어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cros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ck portion 3 i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head portion 2 side of the neck portion 3 toward the handle portion 4 side, as shown in Fig. 3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part 3 is rever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제1 위치 S1로부터 핸들부(4)측으로 10㎜ 이동한 위치를 제4 위치 S4라 하고, 제1 위치 S1로부터 핸들부(4)측으로 20㎜ 이동한 위치를 제2 위치 S2라 하면, 네크부(3)는 제1 위치 S1로부터 제4 위치 S4 및 제2 위치 S2에 걸쳐서 갑자기 두꺼워진 후, 핸들부(4)측으로 감에 따라서 완만하게 두꺼워져 있는 형상이다. 또한, 네크부(3)의 폭 W는 두께 T보다도 가능한 한 작고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핸들부(4)측으로 감에 따라서 두께를 증가시켜서 단면적이 커져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얇은 헤드부(2)이며 짧은 네크부(3)일지라도, 가늘고 튼튼한 네크부(3)가 된다.That is, if the position moved 10 mm from the first position S1 toward the handle 4 is referred to as the fourth position S4, and the position moved 20 mm from the first position S1 toward the handle 4, the second position S2, The neck portion 3 has a shape that is gradually thickened from the first position S1 to the fourth position S4 and the second position S2 and then gradually thickened as it goes toward the handle 4. In addition, the width W of the neck portion 3 is preferably as small as possible and thinner than the thickness T,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as it goes toward the handle portion 4 side. Thereby, even if it is a thin head part 2 and a short neck part 3, it becomes a thin and strong neck part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2)와 네크부(3)의 경계인 제1 위치 S1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폭 W1쪽이 제1 두께 T1보다도 커서(W1>T1), 폭이 넓은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2 and 3A, in the first position S1 which is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ortion 2 and the neck portion 3, as shown in Table 1, the first width W1 is the first in this embodiment. It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T1 (W1> T1), and has a wide cross-sectional shape.

또한, 도 2 및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 S1로부터 핸들부(4)측으로 20㎜ 이동한 위치인 제2 위치 S2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폭 W2보다도 제2 두께 T2쪽이 커서(W2<T2), 두께가 두꺼운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2 and 3A, in the second position S2, which is a position moved 20 mm from the first position S1 to the handle portion 4 side, as shown in Table 1, the second width is smaller than the second width W2. The thickness T2 is large (W2 <T2), and has a thick cross-sectional shape.

또한, 도 2 및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 S1로부터 핸들부(4)측으로 10㎜ 이동한 위치인 제4 위치 S4에서는, 제4 폭 W4와 제4 두께 T4가 동등한 형상(W4=T4)으로 되어 있다.2 and 3A, the fourth width W4 and the fourth thickness T4 have the same shape (W4) at the fourth position S4, which is a position moved 10 mm from the first position S1 to the handle portion 4 side. = T4).

구체적으로, 제1 위치 S1의 두께는 4㎜, 제4 위치 S4의 두께는 5㎜이며, 제1 위치 S1의 두께에 비하여 제4 위치 S4에서는 1.25배의 두께가 되어 있다. 또한, 제2 위치 S2의 두께는 5.6 내지 5.8㎜이며, 제4 위치 S4의 두께에 비하여 제2 위치 S2에서는 1.12 내지 1.16배의 두께가 되어 있고, 제1 위치 S1로부터 제4 위치 S4까지의 변화보다도 완만하게 두께가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네크부(3)는 헤드부(2)측으로부터 핸들부(4)측으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크게 되어 있지만, 그 두께가 커지는 비율은 일정하지는 않다.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sition S1 is 4 mm, the thickness of the fourth position S4 is 5 mm,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sition S1 is 1.25 times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sition S1.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sition S2 is 5.6 to 5.8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sition S2 is 1.12 to 1.16 time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sition S4, and changes from the first position S1 to the fourth position S4 The thickness is changing more slowly. In this way,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3 increases as it goes from the head portion 2 side to the handle portion 4 side, but the ratio of increasing the thickness is not constant.

이와 같이, 네크부(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헤드부(2)측으로부터 핸들부(4)측을 향하여 점차 두께가 증가함으로써, 브러싱 시에 네크부(3)는 필요 이상으로 휘지 않고 헤드부(2)에 양호하게 힘이 전해져서, 안정적으로 브러싱할 수 있다.In this way, by gradually increasing the thickness from the head portion 2 side toward the handle portion 4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ck portion 3, the neck portion 3 does not bend more than necessary and does not bend at the time of brushing. (2) The power is satisfactorily transmitted, and it can be stably brushed.

또한, 상기 구성의 네크부(3)에 의해, 사용 시에 입끝에 닿는 부분의 폭이 두께에 비하여 가늘게 되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의 칫솔(1)의 처리가 양호해진다. 또한, 사용 시에 입끝에 닿는 부분의 두께가 폭에 비하여 굵어지기 때문에, 어린이가 네크부(3)를 강하게 씹었을 경우에도 접히기 어렵다. 헤드부(2)를 얇게 하더라도 네크부(3)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neck portion 3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width of the portion that touches the tip of the mouth during use becomes thinner than the thickness,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toothbrush 1 in the oral cavity becomes good.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hat touches the tip of the mouth during use becomes thicker than the width, it is difficult to fold even when a child strongly chews the neck portion 3. Even if the head portion 2 is made thin, the strength of the neck portion 3 can be secured.

네크부(3)의 최소 두께가 되는 제1 두께 T1은, 핸들체(5)의 구성 재료, 굽힘 탄성률 등의 조건을 감안하여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네크부(3)의 제1 두께 T1은, 3.0㎜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상 4.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first thickness T1, which is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3,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conditions such 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handle body 5, bending elastic modulus, and the like.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neck portion 3 is preferably 3.0 mm or more and 4.5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5 mm or more and 4.3 mm or less.

또한, 네크부(3)의 최대 두께는, 예를 들어 4.5㎜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6.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3 is preferably 4.5 mm or more and 7.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0 mm or more and 6.5 mm or less.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헤드부(2)가 얇게 되어 있어, 어금니 안쪽의 구강 내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네크부(3)의 폭에 대한 두께를 헤드부(2)측으로부터 핸들부(4)측을 향하여 두껍게 한 것에 의해, 헤드부(2)의 얇음에 대응하면서, 사용 시에 있어서의 네크부(3)의 과잉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핸들부(4)를 파지하여 브러싱한 때에, 헤드부(2)의 위치가 너무 변위하지는 않기 때문에, 어린이일지라도 모다발(7)을 치면에 확실히 닿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린이가 확실히 쥐어 닦기 쉬운 칫솔(1)이 된다.In 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the head portion 2 is made thin, so that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inside the molars is improved.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3 relative to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2 from the head portion 2 side toward the handle portion 4 side, while corresponding to the thinness of the head portion 2, the neck in use The excessive bending of the part 3 can be suppressed. For this reason, when the handle portion 4 is gripped and brushed, the position of the head portion 2 is not displaced too much, so that even the child can surely touch the bundle 7 with the tooth surface. Therefore, it becomes the toothbrush 1 which a child is easy to grasp and wipe.

(핸들부(4))(Handle (4))

도 2, 도 3a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4)는 네크부(3) 근처의 표리에 각각 형성된 제1 손가락 닿음부(9A) 및 제2 손가락 닿음부(9B)와, 이들 손가락 닿음부(9A), 손가락 닿음부(9B)에 연속하여 형성된 파지부(6)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4)의 길이(핸들 길이) L4는, 정면에서 보아, 네크부(3)가 동일 또는 폭을 넓히는 부분의 양쪽 테두리를 형성하는 직선의 종점 또는 폭을 넓히는 부분의 양쪽 테두리를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제3 위치 S3로부터 후단까지의 거리이다. 핸들부(4)의 길이 L4는, 사용자인 어린이의 손 사이즈에 맞게, 80㎜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2, 3A, and 4, the handle portion 4 includes a first finger touch portion 9A and a second finger touch portion 9B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neck portion 3, respectively, The finger contact portion 9A and the finger contact portion 9B have gripping portions 6 formed continuously. As shown in Fig. 2, the length (handle length) L4 of the handle portion 4 is an end point or width of a straight line forming both edges of a portion where the neck portion 3 is equal or wider as viewed from the front. It is the distance from the 3rd position S3 from which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 which forms both edges of the widening part changes to the rear end. The length L4 of the handle portion 4 is preferably 80 mm to 110 mm in accordance with the hand size of the child as a user.

네크부(3)의 길이 L3에 대한 핸들부(4)의 길이 L4의 비(L4/L3)로서는, 2.5 이상 12.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상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이상 5.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ratio (L4 / L3) of the length L4 of the handle portion 4 to the length L3 of the neck portion 3 is preferably 2.5 or more and 12.0 or less, more preferably 3.0 or more and 7.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5 or more and 5.5 or less desirable.

도 2, 도 3a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4)에는, 식모면(2a)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제1 손가락 닿음부(9A)와, 배면(2b)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제2 손가락 닿음부(9B)가 형성되어 있다.2, 3A, and 4, the handle portion 4 includes a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that is convex toward the plantar surface 2a, and a second portion that is convex toward the rear surface 2b. The finger contact portion 9B is formed.

(제1 손가락 닿음부(9A))(1st finger contact part (9A))

도 3a에 도시하는 측면에서 보아, 제1 손가락 닿음부(9A)는 식모면(2a)측이며 네크부(3) 근처에 곡률 중심을 갖는 오목상의 제1 곡면(4a1)과, 식모면(2a)측이며 핸들부(4) 근처에 곡률 중심을 갖는 오목상의 제2 곡면(4a2)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As seen from the side shown in Fig. 3A,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is on the plantar surface 2a side, and the concave first curved surface 4a1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near the neck portion 3 and the plantar surface 2a ) Side and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second curved surface 4a2 of a concave shape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crosses the handle portion 4.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손가락 닿음부(9A)는 상기한 오목상의 제1 곡면(4a1)과, 오목상의 제2 곡면(4a2)과, 곡면(4a1) 및 곡면(4a2)이 교차하는 부분이며 식모면(2a)과는 반대측의 배면(2b)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볼록상의 제3 곡면(4a3)에 의해, 식모면(2a)측으로 볼록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곡면(4a1) 중 곡률이 변화하는 위치 P1과, 제2 곡면(4a2) 중 곡률이 변화하는 위치 P2를 연결한 직선을 가상선(J)으로 한다. 제1 손가락 닿음부(9A)는 상기 가상선(J)에 대한 수선(G)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원하는 높이를 갖고, 도 3a에 도시하는 식모면(2a)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룬다. 일례로서, 가상선(J)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위치에, 제1 곡면(4a1)과 제2 곡면(4a2)이 교차하는 능선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B,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crosses the above-mentioned concave first curved surface 4a1, concave second curved surface 4a2, and curved surface 4a1 and curved surface 4a2.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convex toward the planting surface 2a by the convex third curved surface 4a3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back surface 2b side opposite to the planting surface 2a. Her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sition P1 of the first curved surface 4a1 where the curvature changes and the position P2 of the second curved surface 4a2 is changed to the virtual line J.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has a desired heigh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line G with respect to the virtual line J extends, and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vein surface 2a shown in FIG. 3A. As an example, a ridge line in which the first curved surface 4a1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4a2 intersect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virtual line J is largest.

또한, 제1 곡면(4a1)과 제2 곡면(4a2)의 교차 부분에 형성된 능선은, 핸들부(4)의 폭 방향에 걸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곡선상의 제1 능선(8A)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정면에서 보아, 제1 손가락 닿음부(9A)는, 제1 능선(8A)이 네크부(3)를 향하여 볼록상으로 만곡한 원호 윤곽상으로 되어 있다. 정면에서 보아, 제2 위치 S2와 제1 능선(8A) 사이의 거리는, 4㎜ 이상 22㎜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상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이상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위치 S2와 제1 능선(8A)은, 측면에서 본 두께의 차가 3㎜ 이상 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이상 7㎜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idge lin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curved surface 4a1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4a2 forms a curved first ridge line 8A as shown in FIG. 2 over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4. do. As seen from the front shown in FIG. 2,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has an arc shape in which the first ridge line 8A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neck portion 3. As seen from the fron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S2 and the first ridge line 8A is preferably 4 mm or more and 22 mm or less, more preferably 5 mm or more and 18 m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6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 The second position S2 and the first ridge line 8A are preferably 3 mm or more and 9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mm or more and 8 m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4 mm or more and 7 mm or less. .

부언하면, 평면으로 보아, 제1 능선(8A)이 곡선이며 X축 방향(길이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제2 위치 S2와 제1 능선(8A) 사이의 거리는, 제2 위치 S2와 제1 능선(8A)의 최단 거리로 규정된다. 또한, 네크부(3)측의 곡면과 핸들부(4)측의 곡면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곡면이 명확하게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아, 네크부(3)와 핸들부(4)의 이음매에서 곡률이 변화하여, 핸들부(4)를 구성하는 직선 또는 곡선에 접속되는 위치를 상술한 제1 능선에 상당하는 위치로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viewed as a plane, when the first ridge 8A is curved and the position in the X-axis direction (longitudinal) change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S2 and the first ridge 8A is the second position S2 It is defined as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first ridge line 8A. In addition, when the curved surface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curved surface on the neck portion 3 side and the curved surface on the handle portion 4 side does not clearly exist,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neck portion 3 and the handle portion The curvature at the seam of (4) changes, so that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straight line or curve constituting the handle portion 4 can be se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idge line described above.

그 때문에, 칫솔(1)을 입이 작은 어린이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짧지만 후단까지 가늘게 한 네크부(3)인 점, 및 어디를 쥐어도 주먹 쥐기할 수 있는, 선단부로부터 약간 굵은 핸들부(4)인 점을 고려하여, 네크부(3) 및 핸들부(4)를 짧은 거리에서 연결한 경우에는 강도면에서 응력 집중하기 쉽고, 또한 조작성이 영향을 받기 쉽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본 제2 위치 S2와 제1 능선(8A) 사이의 거리, 및 측면에서 본 제2 위치 S2와 제1 능선(8A)의 위치의 두께의 차를 적절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네크부(3)의 강도 향상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oothbrush 1 is used for a small-mouthed child, it is a short but thinner neck portion 3, and a slightly thicker handle portion from the tip portion that can be fist-held anywhere. (4) Considering that it is (4), when the neck portion 3 and the handle portion 4 are connected at a short distance, stress tends to be concentrated in terms of strength and operability is easily affected. By set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S2 and the first ridgeline 8A seen from the front, and the thickness of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 S2 and the first ridgeline 8A seen from the side, as set forth, to an appropriate range, The strength and operability of the neck portion 3 can be improved.

(제2 손가락 닿음부(9B))(2nd finger contact part (9B))

도 3a에 도시하는 측면에서 보아, 제2 손가락 닿음부(9B)는 식모면(2a)측이며 네크부(3) 근처에 곡률 중심을 갖는 볼록상의 제4 곡면(4b1)과, 식모면(2a)과는 반대인 배면(2b)측이며 핸들부(4) 근처에 곡률 중심을 갖는 오목상의 제5 곡면(4b2)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As seen from the side shown in Fig. 3A,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is on the plantar surface 2a side, and the convex fourth curved surface 4b1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near the neck portion 3 and the plantar surface 2a ) Is opposite to the back surface 2b side and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concave fifth curved surface 4b2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near the handle portion 4 intersects.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손가락 닿음부(9B)는 볼록상의 제4 곡면(4b1)과 오목상의 제5 곡면(4b2)의 2개의 R로 형성되고, 배면(2b)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룬다.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is formed of two Rs of the convex fourth curved surface 4b1 and the concave fifth curved surface 4b2, and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rear surface 2b. Achieve.

또한, 제4 곡면(4b1)과 제5 곡면(4b2)의 교차 부분에, 핸들부(4)의 폭 방향에 걸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능선(8B)이 형성된다. 제2 손가락 닿음부(9B)는, 제2 능선(8B)이 네크부(3)를 향하여 볼록상으로 만곡한 원호 윤곽상으로 되어 있다.Further, a second ridge line 8B as shown in Fig. 4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ourth curved surface 4b1 and the fifth curved surface 4b2 over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4.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has a circular arc shape in which the second ridge line 8B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neck portion 3.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손가락 닿음부(9A) 및 제2 손가락 닿음부(9B)의 돌출량은 서로 다르다. 제1 손가락 닿음부(9A)는, 식모면(2a)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2개의 오목상의 곡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곡면(4a1), 제2 곡면(4a2)의 교점 부분은 두께 방향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3A and 3B,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and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Since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is formed from two concave curved surfaces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side of the plantar surface 2a,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curved surface 4a1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4a2 is thick. It is largely projected outward in the direction.

제2 손가락 닿음부(9B)는, 곡률 중심이 식모면(2a)측에 위치하는 볼록상의 제4 곡면(4b1)과, 곡률 중심이 배면(2b)측에 위치하는 오목상의 제5 곡면(4b2)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제4 곡면(4b1), 제5 곡면(4b2)의 교점 부분은 두께 방향 외측에 그다지 돌출되어 있지 않다. 도 3a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칫솔(1)의 식모면(2a)이 수평한 자세를 이룰 때, 제2 손가락 닿음부(9B)가 두께 방향(Z 방향)에서 네크부(3)의 배면(3b)보다도 외측으로는 돌출되어 있지 않다.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includes a convex fourth curved surface 4b1 with a center of curvature located on the chamfered surface 2a side, and a fifth curved surface 4b2 with a concave center located on the back surface 2b side. ), The intersection of each of the fourth curved surface 4b1 and the fifth curved surface 4b2 does not protrude much outside the thickness direction. As can also be seen from FIG. 3A, when the bristle surface 2a of the toothbrush 1 achieves a horizontal posture,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is of the neck portion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It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back surface 3b.

제2 손가락 닿음부(9B)의 돌출량이 제1 손가락 닿음부(9A)보다도 작기 때문에, 구강 내 조작 시에, 제2 손가락 닿음부(9B)가 입술에 닿기 어렵다. 한편, 제1 손가락 닿음부(9A)의 돌출량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제1 손가락 닿음부(9A)에 대하여 손가락이 흡착하도록 안내된다.Since the protruding amount of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is difficult to reach the lips during intraoral operation. On the other hand, by sufficiently securing the protruding amount of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the finger is guided to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to be adsorbed.

사용자는, 제1 손가락 닿음부(9A) 및 제2 손가락 닿음부(9B)에,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을 각각 대도록 하여 핸들부(4)를 잡는 것에 의해, 손가락의 미끄럼이 방지되어 칫솔(1)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제1 손가락 닿음부(9A)에는 엄지 손가락의 제1 관절의 배측이 맞닿기 쉽고, 제2 손가락 닿음부(9B)에는 집게 손가락의 제2 관절의 옆구리측이 맞닿기 쉽기 때문에, 브러싱이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일지라도 정확한 위치 결정을 할 수 있어, 핸들부(4)를 파지했을 때의 안정감이 높아진다.The user is prevented from slipping of the finger by holding the handle portion 4 by placing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on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and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respectively, and the toothbrush 1 ) Can be operated stably. Since the back side of the first joint of the thumb is easy to contact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9A, and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 joint of the index finger is easy to contact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9B, brushing is not familiar. Even a small child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when gripping the handle portion 4.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6)의 폭은, 각 손가락 닿음부(9A), 손가락 닿음부(9B)측으로부터 파지부(6)의 후단측을 향해 점차 확경하고 이어서 축경하고, 다시 확경하여 후단을 향하여 점차 굵어지고 있다. 전술한 확경과 축경은 2 내지 4회 반복해도 된다. 또한 파지부(6)의 두께는 각 손가락 닿음부(9A), 손가락 닿음부(9B)측으로부터 파지부(6)의 후단측을 향해 점차 확경하고 이어서 축경하고 있다.2 and 4, the width of the gripping portion 6 is gradually enlarged from each finger touching portion 9A and finger touching portion 9B side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gripping portion 6, and then It is shrinking and expanding again, gradually becoming thicker toward the rear end. The above-described enlarged diameter and shaft diameter may be repeated 2 to 4 times.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gripping portion 6 is gradually enlarged from each finger touching portion 9A and finger touching portion 9B side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gripping portion 6, and then reduced.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파지부(6)의 최소폭 W6min(도 4)은 손가락 닿음부(9A), 손가락 닿음부(9B)의 최대폭 W9max(도 4)보다도 작고, 파지부(6)의 최대폭 W6max(도 4)는 손가락 닿음부(9A), 손가락 닿음부(9B)의 최대폭 W9max(도 4)보다도 크다.2 and 4, as viewed from the front, the minimum width W6min (FIG. 4) of the gripping portion 6 is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W9max (FIG. 4) of the finger contact portion 9A and the finger contact portion 9B. , The maximum width W6max (Fig. 4) of the gripping portion 6 is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W9max (Fig. 4) of the finger touching portion 9A and the finger touching portion 9B.

여기서, 손가락 닿음부(9A), 손가락 닿음부(9B)의 최대폭 W9max는, 12.5㎜ 이상 1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5㎜ 이상 15.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Here, the maximum width W9max of the finger contact portion 9A and the finger contact portion 9B is preferably 12.5 mm or more and 16.5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3.5 mm or more and 15.5 mm or less.

또한, 파지부(6)의 최대폭 W6max는, 18.0㎜ 이상 2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9.0㎜ 이상 2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maximum width W6max of the gripping portion 6 is preferably 18.0 mm or more and 22.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9.0 mm or more and 21.0 mm or less.

또한, 파지부(6)의 최소폭 W6min은, 예를 들어 8.0㎜ 이상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 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minimum width W6min of the gripping portion 6 is preferably, for example, 8.0 mm or more and 13.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9.0 mm or more and 12.0 mm.

또한, 파지부(6)의 두께는 7.0㎜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gripping portion 6 is preferably 7.0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상기 치수의 범위 내이면, 어린이의 작은 손으로도 확실히 쥘 수 있다.If it is within the range of the above dimensions, it can be surely held by the small hand of a child.

파지부(6)의 최소폭 W6min이 되는 선단 부분에는, 폭 방향 양측의 측면에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가운데 손가락을 오목부(6A)에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어린이가 확실하게 핸들부(4)를 쥘 수 있으므로 이닦기 쉬워진다. 또한, 각 오목부(6A) 각각에,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을 각각 대도록 하여 핸들부(4)를 쥘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칫솔(1)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치아의 측면을 브러싱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A recessed portion 6A that is recess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p portion of the gripping portion 6 that is the minimum width W6min. The user can make the middle finger touch the concave portion 6A, for example, so that the child can reliably lift the handle portion 4, making it easier to brush.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4 can be extended by placing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on each of the recesses 6A, respectively. Therefor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tably operate the toothbrush 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ven when brushing the side surfaces of the teeth.

또한, 파지부(6) 중, 후단측을 향하여 점차 굵어지는 부분의 측면에는, 각 오목부(6A, 6A)에 연속함과 함께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상으로 만곡하는 복수의 만곡면과, 이들 만곡면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6)의 길이 방향으로 만곡면과 요부가 교대로 존재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요부에 저절로 안내되어 그립감이 증가하여, 악력이 약한 어린이일지라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또한, 핸들부(4) 전체가 약간 굵고 각이 없는 형상이기 때문에, 어린이의 작은 손으로도 확실히 쥘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6, which gradually becomes thicker toward the rear end side,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that convexly curve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ly while continuing to the respective concave portions 6A, 6A, and these A plurality of recesses formed between the curved surfaces are formed. Since the curved surface and the recessed part alternately exi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ping part 6, the user's finger is guided to the recessed part by itself, thereby increasing the grip feeling, so that even a child with weak grip can stably hold it.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handle portion 4 is slightly thick and has an angleless shape, it can be surely gripped even with a small hand of a child.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종래 공지된 칫솔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금형에 경질 수지를 사출하고, 핸들(15)체를 성형한다. 이어서, 얻어진 핸들체(5)의 식모면(2a)에 모다발(7)을 식설함으로써, 칫솔(1)이 얻어진다. 모다발(7)을 식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모다발(7)을 반으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식모 구멍(2h)에 박아넣음으로써 모다발(7)을 식설하는 평선식 식모, 모다발(7)의 하단을 식모부(11)가 되는 용융 수지 중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열 융착법, 모다발(7)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 덩어리를 형성한 후에 금형 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식모부(11)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ly well-know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othbrush. For example, a hard resin is injected into a mold, and the handle 15 body is molded. Subsequently, the toothbrush 1 is obtained by planting the hair bundle 7 on the planting surface 2a of the obtained handle body 5. As a method for planting the bundle 7, for example, folding the bundle 7 in half and inserting a flat line sandwiched therebetween into the planting hole 2h, the planting of the bundle 7 is carried out. After wire forming, heat fusion method to press and fix the lower end of the bundle 7 in the molten resin to be the bristle part 11, heat the lower end of the bundle 7 to form a molten mass, and then melt the resin in the mold. And an in-mold method for molding the implanted portion 11 by injection.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show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an be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thereof.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재료는 하기와 같다.Materials used in this example are as follows.

<핸들체(5)> ·폴리프로필렌<Handle body (5)> Polypropylene

<모다발(7)의 용모> ·PBT<Features of bundle (7)> PBT

도 1 내지 도 4에 기재된 칫솔에 대해서,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의 칫솔을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작하였다.For the toothbrushes shown in Figs. 1 to 4, the toothbrushes of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8 were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shown in Table 1.

각 칫솔의 치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Table 1 shows the dimensions of each toothbrush.

[구강 내 조작성의 평가][Evaluation of operability in oral cavity]

전문가가 어린이용 턱모형을 사용하여, 치열 전체를 완전하게 브러싱했을 때의 칫솔(1)의 조작성의 좋음에 대해서 4단계로 회답을 얻었다. 「매우 좋다」를 4점, 「좋다」를 3점, 「약간 좋다」를 2점, 「나쁘다」를 1점으로 하여, 10명의 평균점으로부터 이하의 기준으로 조작성의 좋음을 평가하였다.The expert responded in 4 steps about the good operability of the toothbrush 1 when the entire teeth were completely brushed using a child's chin model. The operab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from the average of 10 persons, with "very good" of 4 points, "good" of 3 points, "slightly good" of 2 points, and "bad" of 1 point.

○: 2.5점 이상○: 2.5 points or more

△: 1.5점 이상 2.5점 미만△: 1.5 points or more and less than 2.5 points

×: 1.5점 미만×: less than 1.5 points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칫솔에서는, 어린이의 구강 내에 있어서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in the toothbrushes of Examples 1 and 2, good operability is obtained in the oral cavity of a child.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칫솔(1)에 의하면, 어린이의 구강 내에 있어서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 또한, 어린이의 성장에 맞춘 칫솔 형상으로 함으로써, 구강 내의 닦기 어려운 장소도 제대로 닦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othbrush 1 shown in each embodiment demonstrated above, favorable operability is obtained in the oral cavity of a child. In addition, by setting the shape of a toothbrush adapted to children's growth, it is possible to properly wipe a place difficult to wipe in the oral cavity.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확해서,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lated examples. It is clear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imagine various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y also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핸들부의 형상, 연질 수지의 피복 형상, 연질 수지의 노출 형상 등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미끄럼 멈춤 효과의 향상,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For example, by appropriately designing the shape of the handle portion, the covering shape of the soft resin, and the exposed shape of the soft resi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liding effect and improve the designability.

본 발명은 칫솔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oothbrush.

1: 칫솔
2: 헤드부
2a: 식모면
2b: 배면
3: 네크부
3a: 표면
4: 핸들부
5: 핸들체
6: 파지부
7: 모다발
8A: 제1 능선
8B: 제2 능선
9A: 제1 손가락 닿음부
9B: 제2 손가락 닿음부
11: 식모부
4a1: 제1 곡면
4a2: 제2 곡면
4b1: 제4 곡면
4b2: 제5 곡면
A1: 제1 점
A2: 제2 점
A3: 제3 점
S1: 제1 위치(헤드부와 네크부의 경계)
S2: 제2 위치(제1 위치 S1로부터 핸들부(4)측으로 20㎜ 이동한 위치)
S3: 제3 위치(네크부(3)와 핸들부(4)의 경계)
L1, L2, L3: 가상적인 직선
L2: 헤드부(2)의 길이
L3: 네크부(3)의 길이
L4: 핸들부(4)의 길이
T2: 헤드부(2)의 두께
W1: 제1 폭
W2: 제2 폭
1: toothbrush
2: Head
2a: Eating noodles
2b: back
3: Neck part
3a: Surface
4: Handle part
5: handle body
6: gripping part
7: bundle
8A: first ridge
8B: second ridge
9A: first finger touch
9B: second finger touch
11: Parents
4a1: first curved surface
4a2: second surface
4b1: fourth surface
4b2: fifth surface
A1: 1st point
A2: Second point
A3: Third point
S1: 1st position (head part and neck part boundary)
S2: 2nd position (the position which moved 20 mm from the 1st position S1 to the handle part 4 side)
S3: Third pos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neck portion 3 and the handle portion 4)
L1, L2, L3: virtual straight line
L2: Length of the head part 2
L3: Length of the neck part 3
L4: Length of the handle part 4
T2: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2
W1: first width
W2: second width

Claims (11)

복수의 모다발을 포함하는 식모부와,
상기 식모부가 식모면에 마련된 헤드부와, 네크부와, 핸들부를 갖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정면에서 보아,
상기 네크부의 길이가 15㎜ 이상 35㎜ 이하이고,
상기 헤드부와 네크부의 합계의 길이가 28㎜ 이상 68㎜ 이하이고,
상기 네크부의 폭이 4㎜ 이상 6㎜ 이하이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 이상 4㎜ 이하이고,
정면에서 보아, 상기 네크부와 상기 헤드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20㎜ 이동한 제2 위치와, 손가락 닿음부의 능선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4㎜ 이상 22㎜ 이하이고,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손가락 닿음부의 능선의 위치는, 측면에서 본 두께의 차가 3㎜ 이상 9㎜ 이하인, 칫솔.
A hair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hair bundles,
The brist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handle body having a head portion, a neck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bristle surface,
From the front,
The length of the neck portion is 15 mm or more and 35 mm or less,
The total length of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s 28 mm or more and 68 mm or less,
The neck portion has a width of 4 mm or more and 6 mm or less,
Seen from the side,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is 2 mm or more and 4 mm or less,
As seen from the fron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moved 20 mm from the first position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ridge line of the finger contact portion is 4 mm or more and 22 mm or less,
The second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ridge line of the finger contact portion, the difference in thickness seen from the side is 3 mm or more and 9 m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에서 본 상기 네크부의 폭과, 상기 측면에서 본 상기 네크부의 두께의 관계가, 상기 제1 위치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보다도 두께의 변화량이 항상 동등 이상인, 칫솔.The widt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viewed from the side faces toward the rear end in a s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amount of change in thickness is alway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oothbrus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네크부의 폭과 두께의 대소 관계가 역전되어 있는, 칫솔.The toothbrush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is revers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상기 식모면측의 표면은,
상기 측면에서 본 상기 헤드부의 선단의 두께의 중앙이 되는 제1 점과,
상기 정면에서 본 핸들부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 측면에서 본 두께의 중앙이 되는 제2 점을 연결한 직선을 따라서 직선상을 이루는, 칫솔.
The surface of the neck surface side of the neck por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irst point that becomes the center of the thickness of the tip of the head portion viewed from the side,
The toothbrush which forms a straight line along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ed the 2nd point which becomes the center of the thickness seen from the side surface at the center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n from the said front si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상기 식모면측의 표면은,
상기 측면에서 본 상기 헤드부의 선단의 두께의 중앙이 되는 제1 점과,
상기 측면에서 본 핸들부의 후단의 두께의 중앙이 되는 제3 점을 연결한 직선을 따라서 직선상을 이루는, 칫솔.
The surface of the neck surface side of the neck por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irst point that becomes the center of the thickness of the tip of the head portion viewed from the side,
Toothbrush forming a straight line along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hird point that is the center of the thickness of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seen from the sid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는, 상기 핸들부의 상기 네크부 근처에, 상기 식모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제1 손가락 닿음부와, 상기 식모면과 반대측의 배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제2 손가락 닿음부를 갖고,
상기 제1 손가락 닿음부는,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식모면측의 상기 네크부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1 곡면과, 상기 식모면측의 상기 핸들부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2 곡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손가락 닿음부는,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식모면측의 상기 네크부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4 곡면과, 상기 배면측의 상기 핸들부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제5 곡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칫솔.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handle body,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that is convex toward the hai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near the neck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back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hair surface Has a convex second finger touch,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as viewed from the side, a portion of the first curved surface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neck portion side of the bristle surface side, and a second curved surface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handle portion side of the bristle surface side intersect Is formed on,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is viewed from the side, where the fourth curved surface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neck portion side of the chamfered surface side and a fifth curved surface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handle portion side of the back side intersect. Shaped toothbrus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가락 닿음부는, 상기 정면에서 보아,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2 곡면의 교차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능선이 상기 네크부를 향하여 볼록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손가락 닿음부는, 배면에서 보아, 상기 제4 곡면과 상기 제5 곡면의 교차 부분에 형성되는 제2 능선이 상기 네크부측을 향하여 볼록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칫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finger contact portion is, as viewed from the front, a first ridge line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neck portion. ,
The second finger contact portion, as viewed from the rear, the second ridge line formed on the intersection of the fourth curved surface and the fifth curved surface is a toothbrush, convexly curved toward the neck portion sid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에서 보아, 상기 네크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일정한, 칫솔.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a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ck portion is constant when viewed from the fron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칫솔.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a material of the handle body is polypropylene resi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적어도 일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칫솔.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handle body is covered with a soft resin.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전체 길이는 110㎜ 이상 170㎜ 이하인, 칫솔.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total length of the handle body is 110 mm or more and 170 mm or less.
KR1020207007323A 2017-09-13 2018-09-06 toothbrush KR10269785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5906 2017-09-13
JPJP-P-2017-175906 2017-09-13
PCT/JP2018/033018 WO2019054266A1 (en) 2017-09-13 2018-09-06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640A true KR20200051640A (en) 2020-05-13
KR102697852B1 KR102697852B1 (en) 2024-08-23

Family

ID=6572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323A KR102697852B1 (en) 2017-09-13 2018-09-06 toothbrush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7557938B2 (en)
KR (1) KR102697852B1 (en)
CN (1) CN111093430B (en)
SG (1) SG11202002225WA (en)
TW (1) TWI767054B (en)
WO (1) WO201905426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027A (en) * 2002-03-22 2003-09-30 Sunstar Inc Toothbrush
KR20160065829A (en) * 2013-10-02 2016-06-0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Handle body for toothbrush,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965B2 (en) * 1980-03-26 1984-09-13 株式会社ビ−ブランド・メディコ−デンタル toothbrush
JPH10215949A (en) * 1997-02-03 1998-08-18 Lion Corp Toothbrush handle
JP3088976B2 (en) * 1997-09-10 2000-09-18 花王株式会社 Infant toothbrush
JP2001299450A (en) * 2000-04-27 2001-10-30 Lion Corp Toothbrush
JP5530776B2 (en) * 2010-03-24 2014-06-25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027A (en) * 2002-03-22 2003-09-30 Sunstar Inc Toothbrush
KR20160065829A (en) * 2013-10-02 2016-06-0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Handle body for toothbrush,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67054B (en) 2022-06-11
JPWO2019054266A1 (en) 2020-10-15
SG11202002225WA (en) 2020-04-29
WO2019054266A1 (en) 2019-03-21
JP7557938B2 (en) 2024-09-30
CN111093430B (en) 2021-12-03
KR102697852B1 (en) 2024-08-23
TW201927205A (en) 2019-07-16
CN111093430A (en)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351B2 (en) toothbrush
JP5806922B2 (en) toothbrush
KR101640274B1 (en) Toothbru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577531B1 (en) Toothbrush
KR102384894B1 (en) Toothbrush
JP2008006281A (en) Toothbrush handle
KR20210087428A (en) toothbrush
CN113995224B (en) Toothbrush with tooth brush
WO2017169967A1 (en) Handle body for toothbrush, and toothbrush
KR20200090937A (en) Toothbrush
JP5048360B2 (en) toothbrush
JP2004208816A (en) Toothbrush
CN109152469B (en) Tooth brush
TWI734760B (en) Toothbrush
WO2018043249A1 (en) Tootbrush production method
KR20200051640A (en) toothbrush
KR101870485B1 (en) Toothbrush
KR20210018187A (en) toothbrush
JP2003339444A (en) Toothbrush
JP2022104256A (en) Application brush
JP6452220B2 (e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