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651A - 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651A
KR20200050651A KR1020180133534A KR20180133534A KR20200050651A KR 20200050651 A KR20200050651 A KR 20200050651A KR 1020180133534 A KR1020180133534 A KR 1020180133534A KR 20180133534 A KR20180133534 A KR 20180133534A KR 20200050651 A KR20200050651 A KR 2020005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ouch
light emitting
area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군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651A/en
Publication of KR2020005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6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01L27/323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251/536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embedded with a touch sensor which comprises: a substrate; a lighting area compri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onfigured of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n auxiliary electrod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lectrode to apply a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touch region comprising a first touch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The first touch electrod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light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control the lighting device.

Description

터치기능을 구비한 유기 조명장치{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Organic lighting device with touch function {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

본 발명은 터치패널이 내장된 유기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ing device having a touch panel.

현재 조명장치로는 주로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사용한다. 이중에서, 백열등은 연색지수가 좋으나 에너지효율이 매우 낮은 단점 있고, 형광등은 효율은 좋으나 연색지수가 낮고 수은을 함유하고 있어 환경문제가 있었다.Currently, fluorescent or incandescent lamps are mainly used as lighting devices. Of these, incandescent lamps have good color rendering index but have very low energy efficiency. Fluorescent lamps have good efficiency but low color rendering index and contain mercury.

이러한 종래 조명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 발광다이오드(LED)가 조명장치로서 제안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무기물 발광물질로 구성되며, 청색 파장대에서 발광효율이 가장 높으며, 적색과 시감도가 가장 높은 색인 녹색 파장대역으로 갈수록 발광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적색발광다이오드, 녹색발광다이오드, 청색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하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경우, 발광효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적색발광다이오드, 녹색발광다이오드, 청색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발광피크(peak)의 폭이 좁기 때문에 색연색성도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iode (LED) has recently been proposed as a lighting device. The light-emitting diode is composed of an in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 has the highest luminous efficiency in the blue wavelength band, and the luminous efficiency decreases toward the red and green wavelength bands with the highest visibility. Therefore, when emitting white light that combines a red light-emitting diode, a green light-emitting diode, and a blue light-emitting di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uminous efficiency is lowered. In addition, when using a red light-emitting diode, a green light-emitting diode, or a blue light-emitting di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or rendering property is also lowered because the width of each light emission peak is narrow.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색발광다이오드, 녹색발광다이오드, 청색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하는 방식 대신에, 청색발광다이오드와 황색컬러의 형광체를 조합하여 백색광을 출력하는 조명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발광다이오드가 제안되는 이유는 발광효율이 낮은 녹색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보다 효율이 높은 청색발광다이오드만을 사용하고 나머지 색은 청색광을 받아 황색광을 발산하는 형광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stead of combining a red light emitting diode,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and a blue light emitting diode, a lighting device that combines a blue light emitting diode and a yellow color phosphor to output white light has been proposed. The reason why th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proposed is that the method using only a blue light emitting diode with high efficiency and using the fluorescent material emitting blue light with blue light is more efficient than using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with low light emission efficiency. Because it is.

그러나,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황색컬러의 형광체를 조합하여 백색광을 출력하는 조명장치의 경우에도 황색(옐로우) 광을 발광하는 형광물질 자체가 발광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lighting device that outputs white light by combining a blue light-emitting diode and a yellow color phosphor, the fluorescent material itself that emits yellow (yellow) light has poor luminous efficiency. There were limits.

상기와 같이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발광물질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소자는 무기발광소자에 비해 녹색 및 적색의 발광효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무기발광소자에 비해 청색, 적색, 녹색의 발광피크(peak)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색연색성이 향상되어 발광장치의 광이 좀더 태양광과 유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uminous efficiency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a lighting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has been proposed. In gener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s a relatively good emission efficiency of green and red compared to the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olor rendering property is improved an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more similar to sunlight because the width of the blue, red, and green emission peaks is relatively wider than that of the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이러한 조명장치는 형광등이나 백열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건물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실내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Since such a lighting device can be formed in a thinner thickness than a fluorescent lamp or an incandescent lamp, it can be installed inside a general building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uses such as a car interior lamp.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유기조명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조명장치는 건물 내부의 실내등이나 자동차의 실내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기조명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한다. 건물 내부의 실내등으로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스위치조작에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자동차의 실내등으로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운전중에 직접 버튼과 같은 기계적인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해야만 하는데, 운전중의 이러한 스위치버튼의 조작은 운전자의 주위를 흐트려서 운전자를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An organic lighting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he organic lighting device may be used as an interior light inside a building or an interior light of a car. However, in order to use such an organic lighting device, the user must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If the lighting device is used as the interior light inside the building, there is no problem in operating the switch, but when using the lighting device as the interior light of the car, the user must operate a mechanical switch such as a button directly while driv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utton can put the driver around and put the driver in dang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터치패널을 조명장치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단순히 조명장치를 터치함으로써 조명장치를 구동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별도의 터치패널을 조명장치 전면에 설치해야만 하므로 조명장치의 두께가 증가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To solve this problem, the touch panel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the lighting device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the lighting device simply by touching the lighting device, but in this case, a separate touch panel must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lighting device. The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in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본 발명의 상기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터치센서가 내장되어 두께가 작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the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having a small thickness due to a built-in touch sens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센서의 주위에 터치센서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광을 발광하는 인덱스영역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터치센서를 조작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easily operate the touch sensor by forming an index area that emits light capable of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sensor around the touch sensor. Is to d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전극, 제1유기발광층, 제2전극으로 구성된 제1유기발광소자와 상기 제1전극과 접속되어 상기 제1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조명영역;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터치전극은 조명영역의 보조전극 및 제1전극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n illumination region including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n auxiliary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o apply a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first touch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touch electrod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in the illumination area.

상기 터치영역 주위에는 인덱스영역이 배치되어 상기 터치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인덱스영역은 제3전극, 제2유기발광층, 제3전극으로 구성된 제2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전극은 제1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제4전극은 제1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제2유기발광층은 제1유기발광층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다.An index area is disposed around the touch area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and the index area includes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third electrode,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third electrode. At this time, the third electrod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the fourth electrod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또한, 조명영역, 상기 인덱스영역 및 상기 터치영역에는 밀봉재가 도포되고 밀봉재 외부에는 금속포일을 부착되며, 이때 금속포일은 접지되어 제1터치전극과 자기용량방식 터치센서를 형성한다.In addition, a seal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illumination area, the index area, and the touch area, and a metal foil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material. At this time, the metal foil is grounded to form a first touch electrode and a self-capacitance type touch sensor.

또한, 밀봉재가 조명영역 및 인덱스영역에 도포되고 밀봉재 외부에는 금속포일이 부착되며, 터치영역의 제1터치전극 상부에는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l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illumination area and the index area, a metal foil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material, and a film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touch electrode of the touch area.

상기 터치영역은 기판의 4모서리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거나 기판의 4변중 적어도 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인덱스영역은 백색광 또는 단색광을 출력한다.The touch area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our edges of the substrate or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substrate. The index area outputs white light or monochromatic light.

본 발명에서는 조명장치에 터치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명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touch sensor in the lighting devic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ligh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센서를 조명장치에 내장함으로써 조명장치의 두께 및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and volume of the lighting device by incorporating the touch sensor into the lighting device, and to prevent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센서의 주위에 터치센서의 위치를 표시하는 인덱스영역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조명장치에서의 터치센서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조명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index are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sensor is formed around the touch sensor,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ouch sensor in the lighting device, thereby easily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다른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
도 9a-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a-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pecifically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plan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e', 'have', 'consist of', etc.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 man'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as a singular number, the plural number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 top', '~ upper', '~ bottom', '~ 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ime relationship, for example, 'after', 'following', '~ after', '~ before', etc. When a temporal sequential relationship is described, 'right' or 'direct' It may also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it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is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n association relationship. It might b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무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아니라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유기발광물질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는 무기발광소자에 비해 녹색 및 적색의 발광효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무기발광소자에 비해 청색, 적색, 녹색의 발광피크(peak)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색연색성이 향상되어 발광장치의 광이 좀더 태양광과 유사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ing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not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has relatively good green and red light emiss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olor rendering property is improved an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more similar to that of sunlight because the width of blue, red, and green emission peaks is relatively wider than that of the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조명장치의 내부에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터치센서를 접촉함으로써 조명장치를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한 발광장치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driving the lighting device by having a touch sensor inside the lighting device and contacting the touch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100)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lighting device 100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면발광 조명장치로서,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발광함으로써 외부로 광을 출력하는 조명영역(EA)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조명장치(100)를 구동하는 터치영역(TA)과, 상기 터치영역(TA) 주위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표시하는 인덱스영역(index)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e-emitting lighting device, an illumination area (EA) for outputting light to the outside by emitting light when a signal is applied, and a user It consists of a touch area (TA) for driving the lighting device 100 by the touch of, and an index area (index) disposed around the touch area (TA)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touch area (TA) to the user do.

상기 조명영역(EA)은 조명장치(100)의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후 설명되지만, 상기 조명영역(EA)에는 유기발광층을 구비한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됨에 상기 유기발광층이 발광함에 따라 광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조명영역(EA)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조명영역(EA)이 조명장치의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므로, 상기 조명장치(100)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을 통해 면발광이 출력된다.The lighting area EA is formed over most areas of the lighting device 100. Although described la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i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light is output as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s light because a signal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over the entir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illumination area EA is formed over most areas of the lighting device, surface emission occurs through substantially the entire area of the lighting device 100. Is output.

터치영역(TA)은 조명장치(100)의 상부 좌우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영역(TA)에는 터치센서가 형성되어, 조명장치(100)의 상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터치도구가 접촉함에 따라 상기 조명영역(EA)의 유기발광소자를 구동한다.The touch area TA is disposed in the upper left and right areas of the lighting device 100. A touch sensor is formed in the touch area TA to dri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lighting area EA as a user's finger or a touch tool such as a stylus pen contacts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ing device 100.

상기 터치센서는 조명장치(100)의 내부에 내장된 인셀(in-cell)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셀방식의 터치센서는 조명장치의 전극을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전극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조명장치에서는 구동중 유기발광층의 양면에 배치된 애노드와 캐소드에 계속 전류가 인가되므로, 즉 터치전극에 계속 전류가 인가되므로, 터치가 인식되는 경우에도 터치구동소자로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전달되지 않아 터치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해,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에서는 터체센서가 인셀방식으로 형성될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formed in an in-cell method built into the interior of the lighting device 100. This in-cell type touch sensor uses an electrode of the lighting device as a touch electrode for recognizing touch. However, in the lighting device, since the current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anode and the cathod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uring driving, that is, the current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touch electrode, even when the touch is recognized, the amount of change of the capacitance is transmitted to the touch driving element. It is not possible to recognize the touch. For this reason, it is known that in a lighting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 body sensor cannot be formed in an in-cell manner.

이러한 인셀방식 대신에,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별도의 터치센서를 제작하여 조명장치에 부착하는 부착(Add-on)방식, 조명장치의 상면에 터치패널을 직접 형성하는 온셀(On Cell)방식이 현재 조명장치의 터치센서로서 제안되고 있다.Instead of such an in-cell method, an additional touch sensor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a position placed on a lighting device to add to the lighting device (Add-on), and an on-cell that directly forms a touch panel on the top surface of the lighting device The method is currently proposed as a touch sensor for lighting devices.

그러나, 이러한 부착방식 또는 온셀방식의 터치센서의 경우, 별도의 터치센서를 제작하여 조명장치의 전면에 배치해야만 하므로, 조명장치의 두께 및 부피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attachment type or on-cell type touch sensor, since a separate touch sensor must be manufactured and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light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and volume of the lighting device increas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본 발명에서는 조명장치의 내부에 터치센서를 내장함으로써 인셀방식 터치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조명영역(EA)과 터치영역(TA)을 일정 거리 이격시켜 분할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전극을 터치센서의 전극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 전극을 전기적으로 단선시킴으로써 터치센서에서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터치구동소자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ing device having an in-cell touch sensor by embedding a touch sensor inside the lighting devic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touch area TA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electrod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e used as electrodes of the touch sensor, the electrodes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to touch the touch sensor.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er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to the touch driving element.

본 발명에서는 터치영역(TA)에 주로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를 내장하며, 특히 자기용량방식 및 상호용량방식의 터치센서를 내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ive touch sensor is mainly built in the touch area TA, and in particular, the capacitive and mutual capacitive touch sensors are embed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apacitive touch sensor.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은 터치영역(TA)의 근처에 형성되어 조명장치에서의 터치영역(TA)의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조명장치(100)중 터치영역(TA)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인덱스영역(index)에는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되어 광을 출력하며,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의 유기발광소자는 조명영역(EA)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는 조명영역(EA)의 유기발광소자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dex area (index) is formed near the touch area TA to display the area of the touch area TA in the lighting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TA in the lighting device 100. Enable. At this tim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disposed in the index area to output light,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ndex area is organic in the lighting area EA. It may be formed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light emitting element.

상기 조명영역(EA)의 유기발광소자는 구동신호, 즉 터치영역(TA)의 터치인식이나 스위치조작에 의해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발광하며 다시 터치인식이나 스위치조작에 의해 구동신호가 차단되는 경우 발광을 하지 않는 반면에,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의 유기발광소자는 터치인식이나 스위치조작과는 무관하게 항상 발광하여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사용자가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llumination area EA emits light 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by a driving signal, that is, a touch recognition or a switch operation of the touch area TA, and when the driving signal is blocked again by a touch recognition or a switch operation While not emitting ligh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ndex area always emits light irrespective of touch recognition or switch operation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TA,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area TA whenever necessary. So that you can locate

예를 들어, 일반적인 건물의 전등이나 자동차의 실내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의 유기발광소자에는 항상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24시간 동안 발광하여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실내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자동차에 시동을 걸기 이전에는 인덱스영역(index)의 유기발광소자에 구동신호가 인가되지 않고 시동을 거는 순간 이후부터만 인덱스영역(index)의 유기발광소자에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운전자가 시동후에는 항상 터치영역(TA)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있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used as a lamp for a general building or as an indoor light for a car, a driving signal is always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index area to emit light for 24 hours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touch area TA. . In addition, when used as an indoor lamp of a car, the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ndex area before starting the car, and is only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ndex area after the moment of starting. The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TA after starting.

또한,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의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은 조명영역(EA)의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과 다를 수 있다. 조명영역(EA)은 실내 또는 차량의 내부를 밝히기 위한 것이므로 설정된 조도 이상의 광을 발광해야 하는 반면에, 인덱스영역(index)은 단순히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므로 조명영역(EA)의 조도에 비해 낮은 조도의 광을 발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명영역(EA)으로부터는 백색광이 출력되지만, 인덱스영역(index)에서는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위한 특정 컬러의 광이 출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ndex area (index) may be different from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llumination area EA. Since the lighting area EA is intended to illuminate the interior of the room or the vehicle, the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illuminance or higher should be emitted, whereas the index area simply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touch area TA, so that the lighting area EA It can be set to emit light having a lower illuminance than the illuminance. Further, white light is output from the illumination area EA, but light of a specific color may be output in the index area to attract the user's attention.

도면에서는 이러한 조명영역(EA), 터치영역(TA) 및 인덱스영역(index)이 조명장치(100)의 특정한 위치에 형성되지만, 조명영역(EA), 터치영역(TA) 및 인덱스영역(index)이 조명장치(100)의 특정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영역(TA)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조명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터치가 용이한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인덱스영역(index)은 터치영역(TA)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drawing, although the lighting area EA, the touch area TA, and the index area index are formed at specific positions of the lighting device 100, the lighting area EA, the touch area TA, and the index area index The lighting device 100 is not formed only at a specific position. Since the touch area TA is for driving the lighting device 100 by the user's touch, the touch area TA can be formed at any position where the user's touch is easy, and the index area is index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TA. It can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조명영역(EA)과, 인덱스영역(index) 및 터치영역(TA)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llumination area EA, an index area, and a touch area TA.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기판(110) 위에 조명영역(EA)에는 조명용 유기발광소자(130)가 배치되고 인덱스영역(index)에는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가 배치되며, 터치영역(TA)에는 터치센서(150)가 배치된다.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such as glass or plastic, the ligh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is disposed in the lighting area EA,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is disposed in the index area, and the touch area TA is The touch sensor 150 is disposed.

상기 조명용 유기발광소자(130)는 제1전극(132)과 제1유기발광층(134) 및 제2전극(136)으로 구성되며,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는 제3전극(142)과 제2유기발광층(144) 및 제4전극(146)으로 구성된다. 또한, 터치센서(150)는 터치전극(152)을 포함한다.The ligh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is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132,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and a second electrode 136,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nd the third electrode 142 It is composed of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and a fourth electrode 146. Also, the touch sensor 150 includes a touch electrode 152.

상기 조명용 유기발광소자(130)의 제1전극(132),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의 제3전극(142), 터치센서(150)의 터치전극(152)은 동일한 도전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도전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용 유기발광소자(130)의 제1전극(132),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의 제3전극(142), 터치센서(150)의 터치전극(152)은 모두 투명한 도전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 조명용 유기발광소자(130)의 제1전극(132),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의 제3전극(142)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구성되고 터치센서(150)의 터치전극(152)은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electrode 132 of the ligh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the third electrode 14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for index, and the touch electrode 152 of the touch sensor 150 may be made of the same conductive material. Or other conductive material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3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for illumination, the third electrode 14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for index, and the touch electrode 152 of the touch sensor 150 are all transparent. The first electrode 132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30 for group lighting and the third electrode 142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40 for index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touch sensor 150 ), The touch electrode 152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good conductivity.

상기 조명용 유기발광소자(130)의 제1유기발광층(134)과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의 제2유기발광층(144)은 동일한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용 유기발광소자(130)의 제1유기발광층(134)은 백색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되어 백색광을 출력할 수 있으며, 청색 유기발광층, 적색 유기발광층, 녹색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되어 백색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의 제2유기발광층(144)은 백색광을 출력할 수 있으며, 청색 유기발광층, 적색 유기발광층 또는 녹색 유기발광층과 단색의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되거나 다른 특정 컬러의 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되어 특정 컬러의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The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34 of the ligh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30 and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44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40 for the index may be made of the same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 or composed of different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s. Can be. For example,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of the ligh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may be composed of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to output white light, and is composed of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r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produce white light. You can also output In addition,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for index may output white light, and is composed of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r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r a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ingle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r other specific color light It is composed of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that outputs a light of a specific color.

상기 기판(110)에는 전체에 걸쳐 밀봉재(170)가 도포되어 조명영역(EA)의 조명용 유기발광소자(130), 인덱스영역(index)의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 터치영역(TA)의 터치전극(152)의 상면 및 측면이 모두 밀봉되어 외부의 수분이나 열로부터 상기 유기발광소자(130,140)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밀봉재(170) 위에는 금속포일(180)이 부착되어 조명장치(100)를 완전히 밀봉하고 조명장치(100)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The substrate 110 is coated with a sealing material 170 throughou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for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area EA,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for indexing of the index area, and the touch area TA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touch electrode 152 are sealed to protec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130 and 140 from external moisture or heat. In addition, a metal foil 180 is attached to the sealing material 170 to completely seal the lighting device 100 and protect the lighting device 10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한편, 터치영역(TA)에서 상기 금속포일(180)은 터치전극(152)과 함께 터치센서(150)를 형성한다. 즉, 상기 터치영역(TA)에서 상기 금속포일(180)과 터치전극(152) 사이에는 밀봉재(170)가 배치되므로, 상기 터치전극(152)에 터치구동소자로부터 센싱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금속포일(180)과 터치전극(152)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별도의 터치도구가 접촉되는 경우 금속포일(180)과 터치전극(152) 사이의 정전용량에 변화가 발생하며, 상기 터치구동소자가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조명장치(100)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touch area TA, the metal foil 180 forms a touch sensor 150 together with a touch electrode 152. That is, since the sealing material 170 is disposed between the metal foil 180 and the touch electrode 152 in the touch area TA, when the sensing voltage is applied from the touch driving element to the touch electrode 152, the metal foil An electrostatic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180 and the touch electrode 152. When a user's finger or a separate touch tool touches, a change occurs in the capacitance between the metal foil 180 and the touch electrode 152, and the lighting device 100 is detected by the touch driving element detecting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 Can be recognized.

이때, 상기 금속포일(180)은 접지되어 터치센서(150)가 자기용량(self capacitance)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상기 금속포일(180)과 터치영역(TA)이 모두 터치용 구동소자에 연결되어 상기 금속포일(180)과 터치영역(TA)에 모두 터치신호가 인가되는 상호용량(mutual capacitance)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etal foil 180 is grounded so that the touch sensor 150 may operate in a self-capacitance method, and both the metal foil 180 and the touch area TA are connected to a driving device for touch. As a result, the metal foil 180 and the touch area TA may be operated in a mutual capacitance method in which a touch signal is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센서(150)를 조명장치(100)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인셀터치방식의 조명장치(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덱스영역(index)을 형성하여 터치센서(150) 주위에 설정된 조도 및 컬러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터치영역(TA)을 인식하고 터치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150 is formed inside the lighting device 100 to provide the in-cell touch type lighting device 100.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ouch area TA by forming an index area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TA by emitting light of illuminance and color set around the touch sensor 150. And you can touch

특히, 본 발명에서는 터치센서(150)의 터치전극(152)을 조명영역(EA)의 유기발광소자(130)의 제1전극(132)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므로, 구조를 단순화하고 공정을 최소화하여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uch electrode 152 of the touch sensor 150 is formed in the same process by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electrode 13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of the illumination area EA,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minimize the process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실제 구조를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ctual structure of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기판(110)의 조명영역의 전면에 걸쳐 제1전극(132) 및 제2전극(136)이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132)과 제2전극(136) 사이에는 제1유기발광층(134)이 배치되어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조명장치(100)에서는 유기발광소자의 제1전극(132)과 제2전극(136)에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유기발광층(134)이 발광함으로써 조명영역 전체에 걸쳐 광을 출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in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are dispos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ing area of the substrate 110, and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is disposed between the 132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to form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lighting device 100 having such a structure,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emits light as signals ar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reby outputting light over the entire lighting area. Is done.

상기 기판(110)의 조명영역(EA)에는 보조전극(131)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조전극(131)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기판(110)의 조명영역(E)의 전체 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132)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 조명장치(100)에서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게 한다.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disposed in the matrix shape in the illumination area EA of the substrate 110.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made of a metal having good conductivity, so that a uniform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32 disposed in the entire area of the illumination area E of the substrate 110 so that the large-area lighting device 100 ) Enables uniform luminance.

상기 제1유기발광층(134)은 백색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유기발광층(134)은 청색 유기발광층, 적색 유기발광층, 녹색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청색발광층과 황색-녹색발광층을 포함하는 탠덤(tandem)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유기발광층(134)이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may be ma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that outputs white light. For example,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may be composed of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r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r a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r may be formed of a tandem structure including a blue light emitting layer and a yellow-green light emitting layer. . However,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tructure, and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제1유기발광층(134)에는 전자 및 정공을 각각 주입하는 전자주입층 및 정공주입층과,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을 유기발광층으로 각각 수송하는 전자수송층 및 정공수송층과, 전자 및 정공과 같은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for injecting electrons and holes, respectively,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for transporting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electrons and It may include a charge generating layer that generates a charge such as a hole.

상기 기판(110)의 일측 변에는 각각 제1전극(132) 및 제2전극(134)과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제1패드(161) 및 제2패드(162)가 배치되어, 외부의 구동소자(도면표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1전극(132) 및 제2전극(136)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1패드(161) 및 제2패드(162)는 기판(110)의 일변 가장자리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고 양변 가장자리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패드(161) 및 제2패드(162) 복수개 구비되어 제1기판(110)의 4변 가장자리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first pad 161 and the second pad 162 to which voltag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10 and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electrode 134, respectively. A driving signal is input from a driving element (not shown) of the first and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In this case, the first pad 161 and the second pad 162 may be formed only in one edge region of the substrate 110 or may be formed in both edge regions.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pad 161 and the second pad 162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sposed in the edge region of the four sides of the first substrate 110.

제1기판(110)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터치영역(TA)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영역(TA)에는 터치전극(1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110)의 일측 변에는 양측의 터치전극(152)이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터치패드(163a,163b)가 형성된다.Touch areas T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ouch electrodes 152 are formed on the touch areas TA. In addition, touch pads 163a and 163b to which touch signals are input from the outside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10 by connecting the touch electrodes 152 on both sides.

또한, 상기 조명영역(EA)과 터치영역(TA) 사이에는 각각 인덱스영역(index)이 배치되며, 상기 인덱스영역(index) 전체에 걸쳐 제3전극(142) 및 제4전극(146)이 형성되고, 상기 제3전극(142)과 제4전극(146) 사이에는 제2유기발광층(144)이 배치되어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조명장치(100)에서는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의 제3전극(142)과 제4전극(146)에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2유기발광층(144)이 발광함으로써 인덱스영역(index)이 표시되어 상기 터치영역(TA)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In addition, an index area is dis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touch area TA, and a third electrode 142 and a fourth electrode 146 are formed over the entire index area.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fourth electrode 146 to form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or indexing. In the lighting device 100 having such a structure, the index region is indexed by the light emission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as signals ar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fourth electrode 146 of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displayed to inform the user of the location of the touch area TA.

상기 제2유기발광층(144)은 백색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청색광이나 적색광 또는 녹색광의 단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발광층, 적색 유기발광층, 녹색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컬러의 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may be compos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that outputs white light, but may also be composed of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r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r a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a single color of blue light, red light, or green light. In addition, it may be compos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light of a specific color.

또한, 본 발명의 제2유기발광층(144) 역시 전자 및 정공을 각각 주입하는 전자주입층 및 정공주입층과,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을 유기발광층으로 각각 수송하는 전자수송층 및 정공수송층과, 전자 및 정공과 같은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for injecting electrons and holes, respectively,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for transporting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electrons and It may include a charge generating layer that generates a charge such as a hole.

상기 기판(110)의 일측 변에는 각각 제3전극(142) 및 제4전극(146)과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인덱스전압이 인가되는 제3패드(164a,164b) 및 제4패드(165a,165b)가 배치되어, 외부의 인덱스용 구동소자(도면표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인덱스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3전극(142) 및 제4전극(146)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3패드(164a,164b) 및 제4패드(165a,165b)는 인덱스영역(index)의 위치에 따라 기판(110)의 4변 가장자리영역중 어느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pads 164a and 164b and the fourth pads 165a and 165b to which the index voltag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re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fourth electrode 146, respectively,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10. Is arranged, an index signal is input from an external index driving element (not shown) and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fourth electrode 146. In this case, the third pads 164a and 164b and the fourth pads 165a and 165b may be disposed in any one of four edge regions of the substrate 11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dex region.

인덱스용 제2유기발광층(144)이 백색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2유기발광층(144)은 조명용 제1유기발광층(134)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패드(164a,164b) 및 제4패드(165a,165b)를 통해 제3전극(142) 및 제4전극(146)에 인가되는 인덱스신호(인덱스전압)의 크기에 따라 인덱스영역(index)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조명영역(EA)으로부터 출력되는 광과는 다른 조도의 광을 출력하여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for index is ma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that outputs white light,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for lighting. At this time, the index area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index signal (index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fourth electrode 146 through the third pads 164a, 164b and the fourth pads 165a, 165b) index), by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illumination area EA,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TA by outputting light of a different illuminance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illumination area EA.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4패드(161,162,164a,164b,165a,165) 및 터치패드(163a,163b)가 형성된 기판(110)의 일측변에는 구동소자가 실장된 연성회로기판이 부착되며, 상기 구동소자로부터 각종 신호(예를 들면, 구동신호, 터치신호 및 인덱스신호)가 상기 제1-4패드(161,162,164a,164b,165a,165) 및 터치패드(163a,163b)를 통해 유기발광소자(130),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 및 터치센서(150)에 인가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lexible circuit board having a driving element mounted thereo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110 on which the 1-4 pads 161, 162, 164a, 164b, 165a, 165 and the touch pads 163a, 163b are formed. Various signals (for example, a driving signal, a touch signal, and an index signal) from the driving element are induced through the 1-4 pads (161,162,164a, 164b, 165a, 165) and the touch pads (163a, 163b). It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30,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nd the touch sensor 150.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and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is.

도 2에서는 사용자의 터치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광을 출력하는 면이 상면으로 향하도록 조명장치(100)를 도시하였지만,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이 출력되는 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조명장치(100)를 도시하였다.In FIG. 2, the lighting device 100 is illustrated such that the surface outputting light is directed to the upper surface to clearly indicate the user's touch, but in FIG. 4, the surface outputting light is directed downwar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vice 100 is show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조명영역(EA)과 인덱스영역(index) 및 터치영역(TA)을 포함하며, 플라스틱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의 투명한 물질 또는 유리와 같은 단단한 투명물질로 이루어진 기판(110) 위의 조명영역(EA)에는 제1전극(132)이 배치된다. 상기 제1전극(132)은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llumination area EA, an index area, and a touch area TA, and is flexible and flexible such as plastic. The first electrode 132 is disposed in the illumination area EA on the substrate 110 made of a hard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material or glass. The first electrode 13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제1패드 및 제2패드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패드 및 제2패드는 제1전극(132)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disposed in the edge region of the substrate 110. At this time,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by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electrode 132.

상기 기판(110) 위의 조명영역(EA)에는 보조전극(131)이 배치되어 상기 제1전극(1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전극(132)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하여 발광되는 광을 투과한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금속에 비해 전기저항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조명장치(100)를 제작하는 경우, 투명 도전물질의 큰 저항으로 인해 넓은 조명영역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분포가 고르지 않게 되며, 이러한 불균일한 전류분포는 대면적 조명장치(100)의 균일한 휘도의 발광을 불가능하게 한다.An auxiliary electrode 131 is disposed in the illumination area EA on the substrate 11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32. Although the first electrode 132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has the advantage of transmitting light emitt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metal. Therefore, when manufacturing the large-area lighting device 100, the distribu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wide lighting area is uneven due to the large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such uneven current distribution is the large-area lighting device 100. It is impossible to emit light of uniform luminance.

상기 보조전극(131)은 기판(110)의 조명영역(EA) 전체에 걸쳐 얇은 폭의 매트릭스형상, 매쉬형상, 육각형 형상, 팔각형 형상, 원형상 등으로 배치되어 기판(110)의 조명영역(EA) 전체의 제1전극(132)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 조명장치(100)에서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게 한다.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disposed in a thin matrix shape, a mesh shape, a hexagonal shape, an octagonal shape, a circular shape, etc. over the entire illumination area EA of the substrate 110 to illuminate the illumination area of the substrate 110 (EA ) A uniform voltage is applied to the entire first electrode 132 to allow uniform luminance to be emitted from the large-area lighting device 100.

도면에서는 상기 보조전극(131)이 제1전극(132)의 하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보조전극(131)이 제1전극(132)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전극(131)은 Al, Au, Cu, Ti, W, Mo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보조전극(131)이 단일층의 구조로 구성되지만,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although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132, the auxiliary electrode 131 may be disposed over the first electrode 132.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made of a metal having good conductivity, such as Al, Au, Cu, Ti, W, Mo or alloys thereof. In the drawing, although the auxiliary electrode 131 has a single layer structure, it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또한, 상기 보조전극(131)은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기판(110)을 복수의 화소 단위로 구획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전극(131)은 제1전극(132)에 비해 저항이 매우 낮으므로, 실질적으로 제1전극(132)의 전압은 제1패드를 통해 제1전극(132)으로 직접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전극(131)을 통해 인가된다. 따라서, 비록 제1전극(132)이 기판(110)의 조명영역(EA)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만, 상기 보조전극(131)에 의해 조명영역(EA)에 형성된 제1전극(132)이 복수의 화소로 구획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electrode 131 may be arranged in a matrix shape to divide the substrate 110 into a plurality of pixel units. That is, since the resistance of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very low compared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132, the voltage of the first electrode 132 is substantially directly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32 through the first pad. Instead, it is applied through the auxiliary electrode 131. Therefore, although the first electrode 132 is formed over the entire illumination area EA of th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132 formed in the illumination area EA by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a plurality of. It is divided into pixels.

본 발명은 상기 보조전극(131)이 약 40-6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보조전극(131)은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 조명장치(100)의 조명영역(EA)의 면적, 화소의 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uxiliary electrode 131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40-60 μm,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a type of metal used, an area of an illumination area EA of the lighting device 100, It may be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pixels.

상기 기판(110)의 조명영역(EA)의 보조전극(131) 상부에는 보호층(112)이 적층된다. 상기 보호층(112)은 보조전극(131) 및 그 상부의 제1전극(132)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전극(131)은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되므로, 보조전극(131)이 형성되는 영역으로는 광이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전극(131) 상부에만 보호층(112)을 구비하고 실제 발광영역(즉, 화소)에는 상기 보호층(112))이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화소의 발광영역에서만 광이 발광하여 출력되도록 한다.A protective layer 112 is stacked on the auxiliary electrode 131 of the illumination area EA of the substrate 110. The protective layer 112 is configured to cover the auxiliary electrode 131 and the first electrode 132 thereon. Since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made of an opaque metal, light is not output to the region where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formed. Accordingly, the protective layer 112 is provided only on the auxiliary electrode 131 and the protective layer 112 is not disposed in the actual light emitting area (ie, the pixel), so that light is emitted and output only in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pixel. do.

또한, 상기 보호층(112)은 보조전극(131)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보조전극(131)에 의한 단차를 감소시키며, 따라서 이후 형성되는 각종 층이 단차에 의해 단선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ve layer 112 is formed to completely surround the auxiliary electrode 131, the step by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reduced, and thus various layers formed thereafter are stably formed without being disconnected by the step. Can be

상기 보호층(112)은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보호층(112)은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기층 및 유기층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otective layer 112 is made of an inorganic layer such as SiOx or SiNx. However, the protective layer 112 may be composed of an organic layer such as photoacrylic,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an inorganic layer and an organic layer.

조명영역(EA)의 상기 제1전극(132) 및 보호층(112)의 상부에는 제1유기발광층(134)과 제2전극(136)이 배치된다.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ar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protective layer 112 of the illumination area EA.

상기 제1유기발광층(134)은 백색 유기발광층으로서, 적색발광층, 청색발광층, 녹색발광층으로 구성되거나 청색발광층과 황색-녹색발광층을 포함하는 탠덤(tandem)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기발광층(134)은 제1유기발광층에 전자 및 정공을 각각 주입하는 전자주입층 및 정공주입층과,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을 유기발광층으로 각각 수송하는 전자수송층 및 정공수송층과, 전자 및 정공과 같은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is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may be formed of a red light emitting layer, a blue light emitting layer, o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or a tandem structure including a blue light emitting layer and a yellow-green light emitting layer. In addition,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i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to inject electrons and holes into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to transport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respectively. , It may include a charge generating layer for generating charges such as electrons and holes.

상기 제1유기발광층(134)은 정공수송층과 전자수송층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를 각각 수송받아 결합시킴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발광하는 물질로서, 형광이나 인광에 대한 양자효율이 좋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물질로는 예를 들어, 8-히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 착물 (Alq3), 카르바졸 계열 화합물, 이량체화 스티릴(dimer ized styryl) 화합물, BAlq, 10-히드록시벤조 퀴놀린-금속 화합물, 벤족사졸과 벤즈티아졸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의 화합물, 폴리(p-페닐렌비닐렌)(PPV)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is a material that emits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by receiving and coupling holes and electrons, respectively, from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is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good quantum efficiency for fluorescence or phosphorescence. Such organic materials include, for example, 8-hydroxy-quinoline aluminum complex (Alq3), carbazole-based compounds, dimerized styryl compounds, BAlq, 10-hydroxybenzo quinoline-metal compounds, benzoic compounds Compounds such as sazol and benzthiazole and benzimidazole-based compounds, poly (p-phenylenevinylene) (PPV),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2전극(136)은 Ca, Ba, Mg, Al, Ag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판(110)의 외곽영역의 상부에는 상기 제2전극(136)과 접속되어 제2전극(136)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패드가 구비된다.Further, the second electrode 136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Ca, Ba, Mg, Al, Ag, or an alloy thereof.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a second pad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36 and applying a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136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region of the substrate 110.

상기 제1전극(132)과 제1유기발광층(134) 및 제2전극(136)은 유기발광소자를 구성한다. 이때, 제1전극(132)이 유기발광소자의 애노드(anode)이고 제2전극(136)이 캐소드(cathode)로서, 제1전극(132)과 제2전극(136)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전극(132)으로부터 전자가 제1유기발광층(134)로 주입되고 제1전극(132)으로부터 정공이 제1유기발광층(134)로 주입되어, 제1유기발광층(134)내에는 여기자(exciton)가 생성되며, 이 여기자가 소멸(decay)함에 따라 발광층의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와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광이 발생하게 되어 하부방향(도면에서 기판(110)측으로)로 발산하게 된다.The first electrode 132,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constitu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t this time, when the first electrode 132 is an an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is a cathode,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from the second electrode 132 and holes are injected into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from the first electrode 132, so that excitons ( exciton) is generated, and as the exciton decays, light corresponding to the energy difference between the LU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and the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is generated, and thus the substr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 110) side).

상기 보조전극(131) 상부에는 보호층(112)이 배치되므로, 보조전극(131) 상부의 제1유기발광층(134)은 제1전극(132)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어 보조전극(131) 상부에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조명영역(EA) 내의 유기발광소자는 예를 들어 매트릭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전극(131) 사이의 화소에만 형성된다.Since the protective layer 112 is disposed on the auxiliary electrode 131,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above the auxiliary electrode 131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132, so that the auxiliary electrode 13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no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In other words,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n the illumination area EA is formed only on the pixels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s 131 formed in a matrix, for example.

상기 기판(110) 위의 인덱스영역(index)에는 제3전극(142), 인덱스용 제2유기발광층(144) 및 제4전극(146)이 형성된다. 상기 제3전극(142)은 애노드전극으로서, ITO나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전극(142)은 조명영역(EA)의 제1전극(132)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A third electrode 142,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for indexing, and a fourth electrode 146 are formed in the index area on the substrate 110. The third electrode 142 is an anode electrode and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TO or IZO. In this case, the third electrode 14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132 of the illumination area EA, or may be made of another material.

제2유기발광층(144)은 적색발광층, 청색발광층, 녹색발광층으로 구성되거나 청색발광층과 황색-녹색발광층을 포함하는 탠덤(tandem)구조로 이루어진 백색 유기발광층일 수 있으며, 적색발광층, 청색발광층, 녹색발광층중 하나의 단색 유기발광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기발광층(144)은 유기발광층에 전자 및 정공을 각각 주입하는 전자주입층 및 정공주입층과,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을 유기발광층으로 각각 수송하는 전자수송층 및 정공수송층과, 전자 및 정공과 같은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may be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omposed of a red light emitting layer, a blue light emitting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or a tandem structure including a blue light emitting layer and a yellow-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a red light emitting layer, a blue light emitting layer, green One of the light emitting layers may be a single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addition,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i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for injecting electrons and holes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and electrons for transporting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respectively And a charge generation layer that generates charges such as holes.

상기 제2유기발광층(144)은 8-히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 착물 (Alq3), 카르바졸 계열 화합물, 이량체화 스티릴(dimer ized styryl) 화합물, BAlq, 10-히드록시벤조 퀴놀린-금속 화합물, 벤족사졸과 벤즈티아졸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의 화합물, 폴리(p-페닐렌비닐렌)(PPV)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기발광층(144)은 조명영역(EA)의 제1유기발광층(134)과 동일한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른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is an 8-hydroxy-quinoline aluminum complex (Alq3), a carbazole-based compound, a dimerized styryl compound, a BAlq, a 10-hydroxybenzo quinoline-metal compound, and a benzox It may be formed of a compound of a series of sol and benzthiazole and benzimidazole, poly (p-phenylenevinylene) (PPV). At this time,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may be formed of the same organic material as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of the illumination area EA, but may also be formed of other organic materials.

상기 제4전극(146)은 캐소드전극으로서, Ca, Ba, Mg, Al, Ag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전극(146)은 조명영역(EA)의 제2전극층(136)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ourth electrode 146 is a cathode electrode,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Ca, Ba, Mg, Al, Ag or alloys thereof. At this time, the fourth electrode 146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6 of the illumination area EA, but may also be formed of another material.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의 제3전극(142) 및 제4전극(146)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3전극(142) 및 제4전극(146)에 인덱스신호를 인가하는 제3패드 및 제4패드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3패드 및 제4패드는 제3전극(142) 및/또는 제4전극(146)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edge signal of the substrate 110 is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fourth electrode 146 of the index area, respectively, so that the index signal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fourth electrode 146. A third pad and a fourth pad for applying are disposed. At this time, the third pad and the fourth pa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by the same process as the third electrode 142 and / or the fourth electrode 146.

상기 터치영역(TA)에는 터치전극(152)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절연층(153)이 형성된다. 상기 터치전극(152)은 조명영역(EA)의 유기발광소자(130)의 제1전극(132)과 같이 ITO나 IZO 등의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조명영역(EA)의 보조전극(131)과 같이 Al, Au,Cu, Ti, W, Mo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전극(152)은 금속층과 투명 금속산화물의 2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 touch electrode 152 is formed on the touch area TA, and an insulating layer 153 is formed thereon. The touch electrode 15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TO or IZO, like the first electrode 13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in the illumination area EA, or an auxiliary electrode in the illumination area EA ( 131), such as Al, Au, Cu, Ti, W, Mo, or alloys thereof. Further, the touch electrode 152 may be formed of two layers of a metal layer and a transparent metal oxide.

상기 절연층(153)은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절연층(153)은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기층 및 유기층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절연층(153)은 터치영역(TA)의 보호층(112)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공정에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sulating layer 153 is made of an inorganic layer such as SiOx or SiNx. However, the insulating layer 153 may be composed of an organic layer such as photoacrylic,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an inorganic layer and an organic layer. In particular, the insulating layer 153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by the same process as the protective layer 112 of the touch area TA or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in different processes.

상기 조명영역(EA), 인덱스영역(index), 터치영역(TA)에 각각 유기발광소자(130),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 및 터치센서(150)가 형성된 기판(110) 위에는 밀봉재(170)가 도포되고 그 위에 접착제(도면표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금속포일(180)이 부착된다.A sealing material (above) on the substrate 110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nd the touch sensor 150 are formed in the illumination area EA, the index area, and the touch area TA, respectively. 170) is applied and a metal foil 180 is attached thereon by an adhesive (not shown) or the like.

상기 밀봉재(170)는 조명영역(EA), 인덱스영역(index), 터치영역(TA)에 도포되어 유기발광소자(130),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 및 터치센서(150)를 완전히 밀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유기발광소자(130),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 및 터치센서(150) 내부로 수분이나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봉재(170)는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으로 구성된 보호층 및 에폭시계(epoxy)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acrylate)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화합물 등의 봉지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aling material 170 is applied to the illumination area EA, the index area, the touch area TA, and completely seal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nd the touch sensor 15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or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nd the touch sensor 150 from outside. The sealing material 170 may be formed of a protective layer composed of an organic layer and / or an inorganic layer, and an encapsulant such as an epoxy compound, an acrylate compound or an acrylic compound.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접착제는 광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dhesive may be a photocurable adhesive or a thermosetting adhesive.

상기 금속포일(180)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알루미늄 등과 같은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metal foil 180 is for preventing moisture or air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and may be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such as aluminu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에서는 조명영역(EA) 및 터치영역(TA)이 조명장치(100)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단순히 조명장치(100)의 일부분, 즉 터치영역(TA)을 터치함으로써 조명장치(100)를 온오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치영역(TA)의 주위에는 인덱스영역(index)이 형성되며,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은 항상 설정된 조도 및 컬러의 광이 발광하여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터치영역(TA)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조명장치(100)의 온오프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ing area EA and the touch area TA are formed inside the lighting device 100, the user simply lights the lighting device 100. ), That is, the lighting device 100 can be turned on and off by touching the touch area TA. In addition, an index area is formed around the touch area TA, and the index area index always illuminates light of a set illuminance and color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TA, so that the user touches it. By easil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area TA,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00.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조명영역(EA)의 유기발광소자(130) 및 인덱스영역(index)의 유기발광소자(140)가 특정 구조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130,140)가 이러한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of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of the index area (index) are formed in a specific structure, bu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130 and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uch specific characteristics. It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구조의 조명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조명장치(100)와는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고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ing device 100 of this structure is similar to the lighting device 100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the same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only different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조명영역(EA)과 인덱스영역(index) 및 터치영역(TA)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영역(EA)과 인덱스영역(index) 및 터치영역(TA)에는 각각 유기발광소자(130),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140) 및 터치센서(15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llumination area EA, an index area and an touch area TA, and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an index area index ) And the touch area TA,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0,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nd the touch sensor 150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 기판(110)의 하면에는 전체에 걸쳐 제1광추출층(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광추출층(114)은 기판(110)과 외부의 공기층 사이의 계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110)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의 광의 반사를 감소시킴으로써 유기발광층(134,144)에서 발광된 광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킨다.A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is dispos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external air layer, thereby reducing the reflection of ligh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external air layer to emit light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34 and 144.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light.

상기 제1광추출층(114)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광추출층(114)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제1광추출층(114)이 기판(110)에서 외부 공기층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하여, 제1광추출층(114)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의 전반사되는 광의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extracting layers 114 decreases toward the outer air layer from the substrate 110 so that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 114) by reducing the angle of total reflected ligh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air layer and the light efficiency.

또한, 상기 제1광추출층(114)은 광산란입자를 포함하여 제1광추출층(114)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광추출층(114)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extraction layer 114, including light scattering particles, scatters light incid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ght extraction layer 114 and the external air layer to reflec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ight extraction layer 114 and the external air layer. It becomes possible to minimize the light.

그리고, 상기 제1광추출층(114)은 돌기형태로 기판(1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광추출층(114)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제1광추출층(114)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in the form of a projection to scatter light incid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and the external air layer. 114)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terface of the outer air layer.

실질적으로 상기 제1광추출층(114)은 제1광추출층(114)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광추출효과를 향상시킬 수만 있다면, 현재 알려진 모든 구조의 광추출층이 적용될 수 있다.Practically,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minimizes the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and the external air layer, so as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ect, light extraction layers of all currently known structures This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기판(110)의 상면에는 전체에 걸쳐 제2광추출층(116)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명영역(EA)의 제1전극(132)과 기판(110) 사이, 인덱스영역(index)의 제3전극(142)과 기판(110) 사이, 터치영역(TA)의 터치전극(152)과 기판(110) 사이에는 각각 제2광추출층(116)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light extraction layer 116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In other word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substrate 110 in the illumination area EA,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substrate 110 in the index area, and the touch electrode in the touch area TA A second light extraction layer 116 may be formed between 152 and the substrate 110, respectively.

상기 제2광추출층(116)의 내부에는 나노입자와 같은 광산란입자가 포함되어 제2광추출층(116)과 기판(110)의 계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제2 광추출층(116)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side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includes light scattering particles such as nanoparticles to scatter light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and the substrate 110, so that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 116)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air layer.

또한, 상기 제2광추출층(116)은 미세렌즈와 같은 돌기로 구성되어 제2광추출층(116)과 기판(110)의 계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제2광추출층(116)과 외부 공기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is composed of protrusions such as a fine lens, and scattering the light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and the substrate 110, so that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 And the light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air layer can be minimized.

실질적으로 상기 제2광추출층(116)은 제2광추출층(116)과 기판(110)의 계면에서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광추출효과를 향상시킬 수만 있다면, 현재 알려진 모든 구조의 광추출층이 적용될 수 있다.Practically,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minimizes the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and the substrate 110, so as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ect, light of all currently known structures An extraction layer can be applied.

도면에서는 상기 제1광추출층(114) 및 제2광추출층(116)이 기판(110)의 하면 및 상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만, 상기 제1광추출층(114) 및 제2광추출층(116)은 조명영역(EA) 및 인덱스영역(index)의 기판(110)의 하면 및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영역(EA) 및 인덱스영역(index)에 형성되는 제1광추출층(114) 및 제2광추출층(116)은 조명영역(EA) 및 인덱스영역(index)에 걸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although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are formed over the entir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substrate 110,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of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index area. In addition, the first light extraction layer 114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on layer 116 formed i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index area index are integrally formed over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index area index. It may be or may be formed separately.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구조의 조명장치(100)에서는 조명영역(EA) 및 인덱스영역(index)의 외부 및 내부에 각각 제1광추출층(114)과 제2광추출층(116)을 형성함으로써, 조명장치(100)의 내부 및 외부에서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반사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조명영역(EA) 및 인덱스영역(index)의 유기발광층(130,140)에서 출력되는 광추출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되어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llumination device 100 of this structure, the first light extraction layer 114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on layer 116 are formed outside and inside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index area, respectively. By doing so, reflections generated at the interface inside and outside the lighting device 100 are minimized. Accordingly,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utput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30 and 140 of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index area can be maximized, there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한편, 도면에서는 조명영역(EA) 및 인덱스영역(index)의 외부 및 내부에 각각 제1광추출층(114)과 제2광추출층(116)이 형성되지만, 조명영역(EA) 및 인덱스영역(index)의 외부 및 내부중 일측에만 광추출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are formed outside and inside the lighting area EA and the index area, respectively, but the lighting area EA and the index area are formed. A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index) outside and inside.

또한, 도면에서는 인덱스영역(index)에 제1광추출층(114)과 제2광추출층(116)이 형성되지만, 상기 인덱스영역(index)에는 제1광추출층(114)과 제2광추출층(116)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은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조명영역(EA)으로부터 출력되는 광과 같이 높은 휘도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덱스영역(index)에는 별도의 광추출광을 형성하지 않아도 원하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16 are formed in the index area, but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114 and the second light are formed in the index area. The extraction layer 116 may not be formed. Since the index area (index) is not intended to illuminate the room, but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TA, it is not necessary to have high luminance like light output from the illumination area EA. Therefore, a desired function can be sufficiently exhibited without forming a separate light extracting light in the index area.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도면부호는 다르지만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although the reference numerals are differ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의 조명영역(EA)과 인덱스영역(index)에는 각각 유기발광소자(230)와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240)가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23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와 같은 투명물질로 이루어진 기판(210) 위에 배치된 제1전극(232), 제1유기발광층(234) 및 제2전극(2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240)는 기판(210) 위에 배치된 제3전극(242), 제2유기발광층(244) 및 제4전극(246)으로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6,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3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for an index are formed i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index area of the ligh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spectively.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30 is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232,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34 and a second electrode 236 disposed on a substrate 21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plastic or glass, and th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for index is composed of a third electrode 242,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44 and a fourth electrode 246 disposed on the substrate 210.

또한, 조명영역(EA)에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조전극(231)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전극(232)에 신호를 전달한다.In addition, an auxiliary electrode 231 made of a highly conductive metal is arranged in a matrix shape in the illumination area EA to transmit a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232.

이때, 상기 유기발광소자(230)의 제1전극(232)과 상기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240)의 제3전극(242)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발광소자(230)의 제1유기발광층(234)과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240)의 제2유기발광층(244)은 동일한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230)의 제2전극(236)과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240)의 제4전극(246)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23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30 and the third electrode 24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for the index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3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34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44 of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may be made of the sam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236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30 and the fourth electrode 246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for index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조명영역(EA)과 인덱스영역(index)에는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으로 구성된 보호층과 에폭시계(epoxy)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acrylate)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화합물 등의 봉지제로 이루어진 밀봉재(270)가 도포되어 상기 유기발광소자(230)와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240)를 밀봉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공기나 수분이 상기 유기발광소자(230)와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24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index area (index), a sealing layer 270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composed of an organic layer and / or an inorganic layer, and a sealing agent such as an epoxy compound, an acrylate compound or an acrylic compound Is coated to se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3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for indexing, so that air or moisture from outside penetrates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3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for indexing. prevent.

또한, 상기 밀봉재(270)의 외면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포일(280)이 부착된다In addition, a metal foil 280 made of aluminum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material 270.

터치영역(TA)에는 터치센서(250)가 배치된다. 상기 터치센서(250)는 기판(210)에 형성된 터치전극(252)과 그 상부의 절연층(253)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센서(250)의 상부에는 PET(Polyethyleneterephtalate)와 같은 폴리머로 이루어진 필름(282) 배치된다. 이때, 상기 터치전극(252)은 조명영역(EA)의 보조전극(231)과 제1전극(232)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금속층과 투명 도전층의 2중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touch sensor 250 is disposed in the touch area TA. The touch sensor 250 is composed of a touch electrode 252 formed on the substrate 210 and an insulating layer 253 thereon, and a film made of a polymer such as PET (Polyethyleneterephtalate) on the top of the touch sensor 250 (282) is deployed. In this case, the touch electrode 25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uxiliary electrode 231 and the first electrode 232 in the illumination area EA, or may be composed of a double layer of a metal layer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조명장치(100)에서는 조명영역(EA)과 인덱스영역(index) 뿐만 아니라 터치영역(TA)도 밀봉재(170)에 의해 밀봉되고 금속포일(180)에 의해 둘러 싸이는데 반해,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100)에서는 조명영역(EA)과 인덱스영역(index)만이 밀봉재(170)에 밀봉되고 금속포일(180)에 의해 둘러 싸이고 터치영역(TA)에는 금속포일(180)이 배치되지 않고 그 상부에 필름(282)이 배치된다.In the ligh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lighting area EA and the index area as well as the touch area TA are sealed by the sealing material 170 and surrounded by the metal foil 180. On the contrary, in the light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only the lighting area EA and the index area are sealed to the sealing material 170 and surrounded by the metal foil 180, and the metal foil is located at the touch area TA. 180) is not disposed, and a film 282 is disposed thereon.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터치영역(TA)에 금속포일(180)을 배치하지 않는 것은 터치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인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metal foil 180 is not disposed in the touch area TA to improve the touch sensitivity, which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절연층(153) 및 밀봉재(170)를 사이에 두고 터치전극(152)과 금속포일(180)이 배치되므로, 절연층(153) 및 밀봉재(170)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인해 상기 터치전극(152)과 금속포일(180)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은 경우, 터치를 감지하기가 어렵다.In the first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 since the touch electrode 152 and the metal foil 180 are disposed with the insulating layer 153 and the sealing material 170 therebetween, the insulating layer 153 and the sealing material 170 are Due to the relatively thin thickness, the capacitance formed on the touch electrode 152 and the metal foil 180 is relatively large. Therefore, when the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the touch is small,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touch.

반면에, 이 실시예에서는 터치영역(TA)의 금소포일(280)을 제거하고 조명장치(200)가 설치되는 건물이나 차량 등의 외부 시스템의 설정된 영역을 접지시켜, 상기 터치전극(252)과 접지된 외부시스템 사이에 정전용량을 형성하고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함으로써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전극(252)과 접지된 외부시스템 사이의 거리는 제1실시예의 터치전극(152)과 금속포일(180)의 거리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조명장치(100)의 정전용량에 비해 본 실시예의 정전용량의 크기가 훨씬 작게 되므로, 제1실시예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 터치에 의한 미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되어, 민감한 터치감지가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gold foil 280 of the touch area TA is removed and the set area of an external system such as a building or a vehicle in which the lighting device 200 is installed is grounded, so that the touch electrode 252 is used. A touch is sensed by forming a capacitance between the external system and the grounded external system and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the touch.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electrode 252 and the grounded external system is much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electrode 152 and the metal foil 180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since the size of the capacit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ligh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hange in the minute capacitance due to touch is easily detected in this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is enables sensitive touch det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면부호는 다르지만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device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although the reference numerals are differ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의 조명영역(EA), 인덱스영역(index) 및 터치영역(TA)에는 각각 유기발광소자(330),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340) 및 터치센서(35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3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or the index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illumination area EA, the index area, and the touch area TA of the ligh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340 and the touch sensor 350 are formed.

상기 유기발광소자(33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와 같은 투명물질로 이루어진 기판(310) 위에 배치된 제1전극(332), 제1유기발광층(334) 및 제2전극(3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340)는 기판(310) 위에 배치된 제3전극(342), 제2유기발광층(344) 및 제4전극(346)으로 구성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30 is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332,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334 and a second electrode 336 disposed on a substrate 31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plastic or glas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or index 340 is composed of a third electrode 342,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344 and a fourth electrode 346 disposed on the substrate 310.

또한, 상기 조명영역(EA)의 제1전극(332)의 하부 또는 상부에 매트릭스형상의 보조전극(331)이 배치되어 상기 제1전극(332)에 신호를 전달한다.In addition, a matrix-shaped auxiliary electrode 331 is disposed below or above the first electrode 332 of the illumination area EA to transmit a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332.

상기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340)의 제3전극(342)은 유기발광소자(330)의 제1전극(332)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극(332)과 제3전극(342)은 ITO나 IZO와 같은 투명 금속산화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electrode 342 of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4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33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30, but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332 and the third electrode 34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TO or IZO.

상기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340)의 제4전극(346)은 유기발광소자(330)의 제2전극(336)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극(336)과 제4전극(346)은 Ca, Ba, Mg, Al, Ag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ourth electrode 346 of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4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electrode 336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30, but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336 and the fourth electrode 346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Ca, Ba, Mg, Al, Ag or alloys thereof.

상기 인덱스용 유기발광소자(340)의 제2유기발광층(344)은 유기발광소자(330)의 제1유기발광층(334)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344 of the inde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4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334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30 and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상기 터치센서(350)는 상호용량방식 터치센서(350)로서, 제1터치전극(352) 및 절연층(353)과 제2터치전극(356)으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터치전극(352)과 제2터치전극(356)은 각각 터치패드를 통해 외부의 구동소자에 접속되어 구동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신호가 상기 구동소자로 전송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352)과 제2터치전극(356)은 절연층(353)을 사이에 두고 정전용량을 형성하며, 터치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를 구동소자로 전송하고 구동소자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터치를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350 is a mutual capacitive touch sensor 350, and is composed of a first touch electrode 352, an insulating layer 353, and a second touch electrode 356.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touch electrode 352 and the second touch electrode 356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element through a touch pad, and a driving signal is applied and a sensing signal for sensing touch is driven. Device. The first touch electrode 352 and the second touch electrode 356 form an electrostatic capacitance with the insulating layer 35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ransmit a change in capacitance to the driving element by a touch, and the driving element is an electrostatic capacity. It detects the amount of change and senses the touch.

상기 제1터치전극(352)은 조명영역(EA)의 보조전극(331이나 제1전극(332)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터치전극(352)은 보조전극(33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층과 제1전극(33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도전층의 2층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touch electrode 35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uxiliary electrode 331 or the first electrode 332 in the illumination area EA. Also, the first touch electrode 352 is the auxiliary electrode 331 ) And a two-layer structure of a metal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332.

상기 절연층(353)은 조명영역(EA)의 보호층(112)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353)은 무기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무기층 및 유기층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sulating layer 35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rotective layer 112 of the illumination area EA, or may be made of another material.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353 may be composed of an inorganic layer,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an inorganic layer and an organic layer.

상기 제2터치전극(356)은 유기발광소자(330)의 제2전극(336)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극(336)과 제4전극(346)은 Ca, Ba, Mg, Al, Ag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touch electrode 356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electrode 336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30, but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336 and the fourth electrode 346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Ca, Ba, Mg, Al, Ag or alloys thereof.

상기 조명영역(EA), 인덱스영역(index) 및 터치영역(TA)에는 밀봉재(370)가 채워지고 금속포일(380)에 의해 밀봉되어 조명장치(300)가 완성된다.The lighting area EA, the index area (index), and the touch area TA are filled with a sealing material 370 and sealed by a metal foil 380 to complete the lighting device 300.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300)에서는 터치센서(350)를 제1터치전극(352)과 절연층(353) 및 제2터치전극(356)으로 구성된 상호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35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ing device 300 of this embodiment, the touch sensor 350 is a mutual touch capacitive touch sensor 350 composed of a first touch electrode 352, an insulating layer 353, and a second touch electrode 356. ).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400)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8A and 8B are plan views each showing a structure of a lighting device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10)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에 걸쳐 조명영역(EA)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410)의 상부의 좌우영역에는 사각형상의 터치영역(TA)이 형성되며, 인덱스영역(index)은 상기 조명영역(EA)과 터치영역(TA) 사이에 배치된다.8A, an illumination area EA is formed over a substantially entire area of the substrate 410 and a rectangular touch area TA is formed in the upper left and right areas of the substrate 410 and an index area. (index) is disposed betwee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the touch area TA.

이때, 도면에서는 사각형상의 터치영역(TA)의 상단의 양모서리측에 형성되지만, 상기 사각형상의 터치영역(TA)의 기판(410)의 일측 모서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네모서리 전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영역(TA)의 형상은 직사각형상이 아니라 정사각형상이나 원형상, 타원형상, 삼각형상, 오각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drawing,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dge of the rectangular touch area TA, but may be formed only on one edge of the substrate 410 of the rectangular touch area TA or on all of the squares. .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touch area T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 triangular shape, and a pentagonal shape, not a rectangular shape.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은 터치영역(TA)의 주위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사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조명장치(100)에서는 인덱스영역(index)이 터치영역(TA)을 따라 띠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반해,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400)에서는 인덱스영역(index)이 복수의 작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터치영역(TA)의 주변을 따라 점광원과 같은 광을 출력하여 터치영역(TA)을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The index area (index)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quares spaced apart along the periphery of the touch area TA. In the lighting device 100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the index area is formed in a band shape along the touch area TA, whereas in the lighting device 400 of this embodiment, the index area index is a plurality of. It is formed in a small square shape and outputs light such as a point light source along the periphery of the touch area TA, so that the touch area TA can be reliably notified to the user.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조의 조명장치(400)에서는 터치영역(TA)이 제1기판(410)의 양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인덱스영역(index)은 복수개 형성되어 터치영역(TA)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인덱스영역(index)은 터치영역(TA)을 따라 띠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영역(TA) 및 인덱스영역(index)은 기판(410)의 좌우양변 및 하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B, in the lighting device 400 of this structure, the touch area TA is formed long along both sides of the first substrate 410, and a plurality of index areas are formed to form the touch area TA. ). At this time, the index area (index) may be formed to be long in a band shape along the touch area TA. In addition, the touch area TA and the index area index may be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ottom side of the substrate 4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400)에서는 터치영역(TA)이 특정 형상이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덱스영역(index) 역시 사용자에게 터치영역(TA)의 위치를 확실하게 알려줄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ing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area TA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r location, but may be formed at various locations in various shapes. In addition, the index area (index) can also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location of the touch area TA can be clearly known to the user.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예의 조명장치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3 and 4 is described, the ligh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by substantially the same method.

도 9a-도 9d 및 도 10a-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9a-도 9d는 평면도이고 도 10a-도 10d는 단면도이다.9A to 9D and 10A to 10D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to 9D are plan views, and FIGS. 10A to 10D are cross-sectional views.

우선, 도 9a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을 가진 물질 또는 유리와 같이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한 기판(110)상에 Al, Au,Cu, Ti, W, Mo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을 적층하고 식각하여, 조명영역(EA)에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보조전극(131)을 형성하고 터치영역(TA)에 터치전극(15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기판(110)의 외곽영역에 상기 보조전극(131)과 연결되는 제1패드(161), 상기 터치전극(152)과 연결되는 터치패드(163)를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S. 9A and 10A, Al, Au, Cu, Ti, W, Mo or alloys thereof on a transparent substrate 110 made of a material having ductility such as plastic or a hard material such as glass The metal is stacked and etched to form an auxiliary electrode 131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a touch electrode 152 in the touch area TA. In addition, a first pad 161 connect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131 and a touch pad 163 connected to the touch electrode 152 are formed in an outer region of the substrate 110.

상기 보조전극(131)은 기판(110) 전체에 걸쳐 설정된 띠형상으로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지만, 상기 보조전극(131)이 매쉬형상, 육각형 형상, 팔각형 형상, 원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arranged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matrix shape in a band shape set over the entire substrate 110, but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s disposed in a mesh shape, a hexagonal shape, an octagonal shape, or a circular shape. It may be.

상기 보조전극(131)은 약 45-55㎛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보조전극(131)의 특정 수치의 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명장치의 면적, 화소의 크기, 보조전극(131)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electrode 131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45-55 μm, but is not limited to the width of a specific value of the auxiliary electrode 131, but the area of the lighting device, the size of the pixel, and the auxiliary electrode 131 It may be formed in various widths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판(110)의 하면 및 상면의 적어도 일면에는 외부로 출력되는 광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키는 광추출층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a light extraction layer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o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light output to the outside.

이어서, ITO나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산화물을 기판(110) 전체에 걸쳐서 적층하고 식각하여 조명영역(EA)에 제1전극(132)을 형성하고 인덱스영역(index)에 제3전극(142)을 형성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치전극(152) 위에 투명한 도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TO or IZO is stacked and etched over the entire substrate 110 to form a first electrode 132 i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a third electrode 142 in the index area. To form.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touch electrode 152.

그 후, 기판(110) 전체에 걸쳐 무기절연물질 또는 유기절연물질을 적층하고 식각하여 조명영역(EA)의 보조전극(131) 상부의 제1전극(132) 위에 보호층(112)을 형성하고 터치영역(TA)의 터치전극(152) 위에 절연층(15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보호층(112) 및 절연층(153)은 무기절연층 또는 유기절연층의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무기절연층 및 유기절연층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reafter,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is stacked and etched over the entire substrate 110 to form a protective layer 112 on the first electrode 132 above the auxiliary electrode 131 of the illumination area EA, An insulating layer 153 is formed on the touch electrode 152 of the touch area TA. At this time, the protective layer 112 and the insulating layer 153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f the inorganic insulating layer or the organic insulating layer, but may als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inorganic insulating layer and the organic insulating layer.

이어서,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을 증착하여 조명영역(EA)에 제1유기발광층(134)을 형성하고 인덱스영역(index)에 제2유기발광층(14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기발광층(134,144)의 형성은 복수의 조명장치가 형성되는 모기판상에 마스크를 배치한 후 유기발광물질을 증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9B and 10B,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substrate 110 to form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in the illumination area EA and a second organic light in the index area. The light emitting layer 144 is formed. At this time, the form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34 and 144 may be formed by placing a mask on a mother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re formed and then deposi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이어서, 도 9c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발광층(134,144) 상부에 Ca, Ba, Mg, Al, Ag과 같은 금속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조명영역(EA)에 제2전극(136)을 형성하고 인덱스영역(index)에 제4전극(146)을 형성한다. 또한, 기판(110)의 외곽영역에 상기 제2전극(13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패드(162)와 제4전극(146)과 접속되는 제4패드(165a,165b)를 형성한다.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S. 9C and 10C, a metal such as Ca, Ba, Mg, Al, Ag is deposit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34 and 144 and etched to etch the second electrode 136 in the illumination area EA. ) And the fourth electrode 146 in the index region. Further, second pads 16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36 and fourth pads 165a and 165b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ode 146 are form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substrate 110.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치영역(TA)의 절연층(153) 위에 금속층(즉, 제2터치전극)을 형성하여 터치영역(TA)의 터치센서를 상호용량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a metal layer (ie, a second touch electrode)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53 of the touch area TA to form the touch sensor of the touch area TA in a mutual capacitive manner.

그 후, 도 9d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0) 상에 무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을 도포하여 기판(110) 상에 배치된 구성물을 밀봉하는 밀봉재(170)를 형성하고 접착제에 의해 금속포일(180)을 부착함으로써 조명장치(100)를 완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9D and 10D, an inorganic material and / or inorganic material is coated on the substrate 110 to form a sealing material 170 that seals components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and The lighting device 100 is completed by attaching the metal foil 180 with an adhesi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센서를 조명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히 조명장치를 터치함으로써 조명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터치센서가 인셀방식으로 조명장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터치기능을 가진 조명장치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with the lighting devic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lighting device by simply touching the lighting devic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uch sensor is formed inside the lighting device in an in-cell man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having a touch function.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센서의 터치전극을 조명영역의 유기발광소자의 전극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하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수 있게 된다.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uch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is form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n the illumination area,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나 본 발명을 기초로 용이하게 창안할 수 있는 구조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ructures that can be easily created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조명장치 110 : 기판
112 : 보호층 131 : 보조전극
132,142 : 제1전극 134,144 : 유기발광층
136,146 : 제2전극 152 : 터치전극
161,162,163a,163b,164a,164b,165a,165b : 패드
100: lighting device 110: substrate
112: protective layer 131: auxiliary electrode
132,142: first electrode 134,144: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6,146: second electrode 152: touch electrode
161,162,163a, 163b, 164a, 164b, 165a, 165b: Pad

Claims (14)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전극, 제1유기발광층, 제2전극으로 구성된 제1유기발광소자와 상기 제1전극과 접속되어 상기 제1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조명영역;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터치전극은 조명영역의 보조전극 및 제1전극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조명장치.
Board;
An illumination region including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n auxiliary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o apply a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And
It is composed of a touch area including a first touch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The first touch electrode is an illumination devic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in the illuminatio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인덱스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dex area disposed around the touch area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touch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영역은 제3전극, 제2유기발광층, 제3전극으로 구성된 제2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3. The lighting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index area includes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osed of a third electrode,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third electr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제1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제4전극은 제1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제2유기발광층은 제1유기발광층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third electrod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the fourth electrod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 lighting devic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영역, 상기 인덱스영역 및 상기 터치영역을 밀봉하는 밀봉재; 및
상기 밀봉재 외부에 부착된 금속포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sealing material sealing the lighting area, the index area, and the touch area; And
A ligh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etal foil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materi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포일은 접지되어 제1터치전극과 자기용량방식 터치센서를 형성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al foil is grounded to form a first touch electrode and a capacitive touch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포일 및 제1터치전극은 외부의 구동소자에 접속되어 상호용량방식 터치센서를 형성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al foil and the first touch electrode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element to form a mutual capacitive touch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영역 및 상기 인덱스영역을 밀봉하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외부에 부착된 금속포일; 및
상기 터치영역의 제1터치전극 상부에 배치된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sealing material sealing the lighting area and the index area;
A metal foil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material; And
A ligh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lm disposed on the first touch electrode of the touch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의 제1터치전극 상부에 배치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된 제2터치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touch electrode of the touch area; And
A ligh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ouch electrode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은 기판의 4모서리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area is a lighting devic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corners of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은 기판의 4변중 적어도 일변에 형성되는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area is an illumination devic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substr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영역은 백색광 또는 단색광을 출력하는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dex area is a lighting device that outputs white light or monochromatic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은 매트릭스형상, 매쉬형상, 팔각형 형상, 육각형 형상 또는 원형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electrode is a lighting device made of a matrix, mesh, octagonal, hexagonal or circular me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양면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기판의 계면에서의 반사를 저감하는 광추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llum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ght extraction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ubstrate to reduce reflection at the interface of the substrate.
KR1020180133534A 2018-11-02 2018-11-02 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 KR202000506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534A KR20200050651A (en) 2018-11-02 2018-11-02 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534A KR20200050651A (en) 2018-11-02 2018-11-02 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651A true KR20200050651A (en) 2020-05-12

Family

ID=7067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534A KR20200050651A (en) 2018-11-02 2018-11-02 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65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74549U (en) Touch-control display panel and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US987619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50075688A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of fabricationg the same
CN104465695B (en) AMOLED display screen and its display with touch function
CN108630727A (en) Organic LED display device
CN104465703A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9244106B (en) Lighting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WO2021168646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5474425B (en) Organic luminescent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652261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N10152961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N104969354B (en) Method for running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US11581515B2 (en) Touch display device
CN113241361A (en) OLED display panel
CN111384292B (en) Electroluminescent lighting device with embedded touch function
KR20200050651A (en) Organic lighting apparatus having touch function
CN111384288B (en) Lighting device
KR102459222B1 (en) Light apparatu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629839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N207731931U (en) A kind of oled panel and illumination module
JP2015222492A (en) Light emission touch panel including organic el panel, mirror plate and translucent plate of light emission touch panel type, and reflection type lcd
US20160197301A1 (en) Surface Light-Emitting Unit
KR20210054979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9373810B2 (en) Organic EL element and light-emi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W202326385A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