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88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셋업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셋업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886A
KR20200049886A KR1020207012210A KR20207012210A KR20200049886A KR 20200049886 A KR20200049886 A KR 20200049886A KR 1020207012210 A KR1020207012210 A KR 1020207012210A KR 20207012210 A KR20207012210 A KR 20207012210A KR 20200049886 A KR20200049886 A KR 20200049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bilities
information
model identifier
user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846B1 (ko
Inventor
힘케 반데르벨데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4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 세대(4G) 통신 시스템보다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pre-5G 또는 5G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10)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기지국(base station, BS)(20)으로부터,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BS(2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셋업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셋업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특히 특정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비욘드(Beyond) 4G 네트워크' 또는 '포스트(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GHz 대역)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무선파의 전파 손실을 줄이고 송신 거리를 늘리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 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D2D(device-to-device) 통신,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협력 통신,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단 간섭 제거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기술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와, 진보된 액세스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연결 셋업 후 그러한 능력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은 네트워크에 처음 접속할 때 UE(user equipment)의 적절 또는 최적 구성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최적 성능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량을 불필요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목적은 본 명세서에서 식별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종래 기술의 단점들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기지국(base station, BS)(20)으로부터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BS(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BS(20)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20)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UE)(10)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UE(10)로부터,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UE)(10)가 제공된다. UE는 송수신기; 및 송수신기에 커플링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 프로세서는 기지국(base station, BS)(20)으로부터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고;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BS(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연결 셋업과 관련되며 이를 개선시키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그 실시 예들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BS(base station)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교환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UE(user equipment)의 동작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 접근 방식이 일례로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의 관점을 배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랜트-프리(grant-free) 데이터 전송 기술을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그랜트-프리를 지칭하는 용어,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지칭하는 용어 및 장치의 요소들을 지칭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본 개시는 다음의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기술적인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일부 통신 표준들(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겠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들일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용이하게 수정되어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들의 일부로서 기지국(base station, BS)(110), 단말기(120) 및 단말기(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이 하나의 BS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BS(1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BS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BS(110)는 단말기들(120 및 130)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이다. BS(110)는 신호가 송신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서 정의되는 커버리지를 갖는다. BS(11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eNodeB(eNB)", "5 세대(5G) 노드", "무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TRP)" 및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기들(120 및 130) 각각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무선 채널을 통해 BS(11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기들(120 및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동작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들(120 및 130) 중 적어도 하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를 수행하는 장치이며, 사용자가 휴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기들(120 및 130) 각각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 "가입자국", "원격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사용자 장치" 및 "단말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BS(110), 단말기(120) 및 단말기(130)는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컨대, 28 GHz, 30 GHz, 38 GHz 및 60 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이득을 향상시키기 위해, BS(110), 단말기(120) 및 단말기(13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BS(110), 단말기(120) 및 단말기(130)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방향성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BS(110) 및 단말기들(120 및 130)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들(112, 113, 121 및 131)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서빙 빔들(112, 113, 121 및 131)을 반송하는 리소스들과 준-동일 위치(quasi co-located) 관계를 갖는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전송되는 채널의 대규모(large-scale) 특성들이 제 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전송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제 1 안테나 포트 및 제 2 안테나 포트는 준-동일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특성들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천이,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산업의 급속한 발전, 특히 모바일 인터넷과 IoT(internet of things)로부터의 수요의 증가는 미래의 이동 통신 기술에서 전례 없는 도전을 가져온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보고 ITU-RM.[IMT. BEYOND 2020. TRAFFIC]에 따르면, 2020년까지 모바일 서비스 양은 2010년(4G 시대)에 비해 1,000 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사용자 장치의 연결의 수는 또한 170억개를 넘을 것이다. 수많은 IoT 장치가 점진적으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확장됨에 따라, 연결된 장치의 수는 훨씬 더 놀라울 것이다. 이러한 전례 없는 도전에 상응하여, 통신 업계 및 학계는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G)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시작하여 2020년대를 준비하였다. 현재, ITU 보고 ITU-R M.[IMT.VISION]에서는 미래의 5G의 아키텍처와 전반적인 목표가 논의되었으며, 여기서 5G의 수요 전망,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및 다양한 중요한 성능이 상세히 설명되었다. 5G의 새로운 요구 사항의 측면에서, ITU 보고 ITU-R M.[IMT. FUTURE TECHNOLOGY TRENDS]는 시스템 처리량,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 확장성, IoT 지원, 경향, 효율성, 비용, 네트워크 유연성,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지원 및 유연한 스펙트럼 활용과 같은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를 지원하기 위한 요구 사항이 5G에서 제안되어 있는데, 제곱 미터당 수백만 개의 연결이 있을 것이며, 이것은 현재 표준에서 지원되는 현재 연결 밀도보다 훨씬 높다. 매우 많은 연결들을 갖는 서비스 요구 사항은 특히 랜덤 액세스, 스케줄링 요청과 같은 스케줄 기반 데이터 전송에 대한, LTE의 원래 통신 절차의 고비용을 야기할 수 있다. 이것은 시그널링 스톰(signaling storm)을 야기할 수 있고, 데이터 대신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해 대역폭의 많은 부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이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 및 효과를 크게 감소시키고 UE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이것은 mMTC 서비스들에서의 전력 소모 요구 사항에 위배된다.
또한, 5G에서 제안되는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는 대기 시간과 신뢰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있다. 1ms 미만의 종단 간 대기 시간과 10-5 미만의 블록 에러 레이트가 필요하다. 또한 이것은 종래의 LTE 통신 절차에 대한 도전 과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스케줄 기반 통신 절차는 코드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대역폭 또는 시간 도메인 반복을 증가시킴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블록 에러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LTE 통신 절차에서의 복잡한 스케줄링으로 인해 데이터 전송 지연이 증가될 것이며, URLLC 시나리오의 대기 시간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데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그랜트-프리(grant-free) 전송이 스케줄 기반 전송으로 인한 시그널링 비용 및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UE가 랜덤하게 리소스들을 선택하는지 또는 반영구적 스케줄링에 기초하는 리소스 할당 방식을 채택하는지에 관계없이, 필연적으로 UE 충돌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그랜트-프리 전송의 경우, 5G의 표준화에서는 전송 신뢰성과 리소스 이용률, 전송 신뢰성과 전송 지연 간의 트레이드 오프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있다.
현재, 그랜트-프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두 가지 솔루션이 있을 수 있다.
1. 기지국이 그랜트-프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을 구성한다. UE가 송신될 데이터를 가질 경우, UE는 그랜트-프리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리소스는 시간 리소스, 다중 액세스 서명,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2. 기지국이 그랜트-프리 전송을 채택한 UE들에게 그랜트-프리 전송을 위한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리소스는 시간-주파수 리소스, 다중 액세스 서명,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UE가 그랜트-프리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 UE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송신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그랜트-프리 전송을 위해 특별히 할당된 리소스를 지칭한다. 다중 액세스 서명은 직교 시간-주파수 리소스, 직교 코드 시퀀스, 코드북, 인터리브 시퀀스, 스크램블링 시퀀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직교 또는 비직교 분할 다중 액세스 서명을 지칭한다.
상기 2개의 그랜트-프리 전송 방식에서, 그랜트-프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제 1 방식이 채택되면, UE는 연결 모드(즉,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됨) 또는 비연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수의 UE가 동일한 확률로 동일한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들을 선택하기 때문에, UE의 업링크 전송에 대한 충돌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즉, 다수의 UE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동일한 리소스들을 선택하게 된다. 리소스는 시간-주파수 리소스, 다중 액세스 서명,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것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 2 그랜트-프리 전송 방식이 채택되면, 기지국은 동일한 리소스들로 할당되는 UE의 수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터가 충돌할 수 있는 UE의 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리소스는 시간-주파수 리소스, 다중 액세스 서명,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것이 스펙트럼 효율 및 리소스 이용률의 대가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종래의 그랜트-프리 전송 방식들에서, 제 1 방식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2 방식은 스펙트럼 효율 및 스펙트럼 이용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그랜트-프리 전송은 데이터 전송 신뢰성과 스펙트럼 이용률 사이에 균형을 이룰 수 없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BS(base station)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구조는, BS(110)의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 또는 "-기"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유닛을 지칭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BS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220), 스토리지 유닛(230) 및 제어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와 비트스트림들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송신 비트 스트림들을 인코딩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들을 재구성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혼합기, 발진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디지털 유닛 및 아날로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및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송신기",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BS로부터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노드, 다른 BS, 상위 노드 또는 코어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비트 스트림들을 물리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 신호를 비트 스트림들로 변환한다.
스토리지 유닛(230)은 기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및 BS(110)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 유닛(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230)은 제어기(24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기(240)는 BS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24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 또는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기(240)는 스토리지 유닛(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제어기(240)는 통신 표준에서 요구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2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기(240)는 그랜트-프리 전송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송신하고, 그랜트-프리 전송 리소스들에서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용 리소스 요청 인디케이터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에 대한 전용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전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단말기에게 표시하고, 전용 리소스들에서 단말기의 후속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40)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예시된 구조는 단말기(120) 또는 단말기(130)의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 또는 "-기"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지칭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12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 스토리지 유닛(320) 및 제어기(33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와 비트 스트림들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에,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송신 비트 스트림들을 인코딩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에,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함으로써 수신 비트 스트림들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혼합기, 발진기, DAC 및 AD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컨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들을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송신기",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3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사용된다.
스토리지 유닛(320)은 기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및 단말기(120)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 유닛(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320)은 제어기(33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기(330)는 단말기(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33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기(330)는 스토리지 유닛(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제어기(330)는 통신 표준에서 요구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이 통신 인터페이스(31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3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10) 또는 제어기(330)의 일부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기(330)는 기지국으로부터 그랜트-프리 전송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른 그랜트-프리 전송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미리 정의된 업링크 데이터 송신 횟수 내에서 완료될 수 없는 경우, 전용 리소스 요청 인디케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전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또한 전용 리소스 할당 정보에 대응하는 전용 리소스들에서 후속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330)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210) 또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210) 또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인터페이스(210 또는 310)는 인코딩 및 회로(402), 디지털 회로(404),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및 아날로그 회로(408)를 포함한다.
인코딩 및 회로(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벌루션 코드 및 폴라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및 회로(402)는 성상도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회로(404)는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변조 심볼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회로(404)는 가중값들을 빔포밍함으로써 변조 심볼들을 배가시킨다. 빔포밍 가중값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프리코더"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회로(404)는 디지털적으로 빔포밍된 변조 심볼들을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로 출력한다. 이 때,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송신 방식에 따라, 변조 심볼들이 다중화되거나 동일한 변조 심볼들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디지털적으로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계산 유닛, CP(cyclic prefix) 삽입 유닛, DAC 및 상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 유닛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이며,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를 들어, 필터 뱅크 다중 캐리어: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되는 다수의 스트림들에 대한 독립적인 신호 처리 프로세스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 구현에 따라,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의 요소들 중 일부가 공통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아날로그 회로(408)는 아날로그 신호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회로(404)는 가중값들을 빔포밍함으로써 아날로그 신호들을 배가시킨다. 빔포밍된 가중값들은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및 안테나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408)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응적으로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는 필요할 경우 및 일반적으로 셋업이 수행된 이후에만 그것의 능력들에 관한 특정 정보를 제공하도록 UE에게 요청한다. 본 출원과 관련하여, 능력이라는 용어는 대역폭, MIMO 계층, 대역 또는 대역 조합, 이중 연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UE의 특정한 기술 능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통상적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임의의 특정 UE의 능력들이 네트워크 내에, 특히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에 저장되는 한편, UE는, 예를 들어 그것이 유휴 상태에 있고 활성 연결 상태가 아닌 동안에도 이 노드 및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에 대한 무선 연결을 갖는다. UE가 CN에 처음으로 접속할 시에, 그 능력 정보가 저장됨으로써 UE가 나중에 연결될 때에, 연결 셋업 시의 능력 정보를 RAN 노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러한 정보가 예를 들어 UE가 처음 접속할 때 네트워크에 의해 필요한 경우, 필요에 따라 이것이 UE로부터 구체적으로 요청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연결 셋업 시에, UE가 자신의 특정 아이덴티티와 관련된 종래의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또한 자신의 모델에 관한 정보(즉, 특정 제조업체에서 제조한 특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을 네트워크에게 식별시킨다. 이러한 모델 식별자는 각각의 능력이 명시적으로 제공될 필요 없이, 해당 UE의 능력들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그래뉼래러티(granularity) 정도는 필요한만큼 세밀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체 X가 서로 다른 변형물 A, B 및 C(여기서, A, B 및 C는 서로 다른 능력들을 가짐)로 모델 Y를 제조한 다음, 특정 변형물 A, B 또는 C를 네트워크에 식별시킬 수 있으며, 즉, 네트워크가 UE로부터 특정 정보를 요청할 필요 없이, 모든 범위의 능력들을 사용하여 UE가 셋업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일부 UE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하며, 이에 따라 모델 식별자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셋업을 시도하는 UE를 상호 참조할 수 있으므로, UE가 최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조업체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한 정보로 채워질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0개 또는 20개의 장치와 같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UE들의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능력 정보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자신의 모든 능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E들의 간헐적 요구들에 기초하여 채워질 수 있다.
UE가 네트워크에 알려져 있지 않은 모델 식별자를 제공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종래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능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UE에게 요청한다. 그러나, UE는 또한 모델 식별자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가 이 모델 식별자를, 제공된 능력 정보와 관련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는 특정 모델 식별자들과 연관되는 능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시적인 메시지 교환을 도시한 것이다. UE(10)는 기지국(gNB, 20)과 통신하고, 이것이 결국 코어 네트워크(5GC, 30)와 통신한다.
메시지 1은 UE(10)에서 gNB(20)로 송신되며,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연결 요청을 포함한다.
메시지 2는 gNB(20)에서 UE(10)로 송신되며,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연결 셋업 메시지를 포함한다. 메시지 2는 추가적으로 requestModel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는 UE가 메시지 3에 모델 식별자를 포함시켜야 하는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 3은 UE(10)로부터 gNB(20)로 송신되며, 모델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정보는 능력 정보가 추론될 수 있는 제조자, 모델 및 변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의 타입을 식별시킨다.
메시지 4는 gNB(20)로부터 코어 네트워크(30)로 송신되며, UE(10)로부터 수신된 모델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 메시지는 gNB가 모델 식별자로 표현된 UE의 능력들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가 스텝 5(컨텍스트 셋업) 동안 대응하는 UE를 제공할 필요가 없음을 코어 네트워크(30)에게 표시하는 'needForUE-capabilities'을 포함한다. 메시지 4에는 모델 식별자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UE가 이전에 접속하지 않았더라도, 코어 네트워크(30)에게는 이것이 여전히 유용할 수 있기 때문에, gNB(20)가 모델 식별자로부터 식별된 것들에 대응하는 UE 능력들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모델 식별자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3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30)는 계속해서 관련 능력들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컨텍스트 셋업 동안 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초기 컨텍스트 셋업이 스텝 5에서 수행된다.
메시지 6은 gNB(20)에서 UE(10)로 송신되며, UE(10)가 모든 능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gNB(20)와 코어 네트워크(30) 모두가 UE(10)에 의해 제공되는 모델 식별자 정보에 의해 표현된 UE 능력들을 갖지 않는 경우에만 필요하다.
필요한 경우, 메시지 7가 UE로부터 gNB로 전송되며, 이것은 모델 식별자뿐만 아니라 모든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델 식별자는 UE(10)의 특정 능력들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UE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의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대한 능력들의 서브세트이거나, UE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의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전체 능력들이거나 또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 또는 모든 무선 액세스 기술들에 대한 능력들일 수 있다.
모델 식별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와 유사한 식별자일 수 있는 문자열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또는 UE 능력들이 표현된 해시로부터의 숫자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IMEI는 인증 기구에 의해 부분적으로 할당된 정보 및 제조자에 의해 할당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TAC(type allocation code)로 알려진 필드를 포함한다. 모델 식별자는 표준 기구와 같은 일부 기관에 의해 할당된 제 1 부분 및 특정 제조자에 의해 할당된 제 2 부분으로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모델은 비교적 적은 비트를 사용하여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다.
UE는 자신의 능력들 중 일부가 RAN 노드에 의해 일시적으로 사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즉, 일시 정지)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모델 식별자는 모든 UE 능력들을 나타내는 것(일시 정지되지 않은 경우 적용 가능)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다른 사용 케이스들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특히 뉴 라디오(new radio)(즉, 5 세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LTE와 같은 초기 시스템에서도 또한 응용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합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UE 능력들의 조기 이용 가능성을 허용하여, UE가 처음에 최적으로 셋업될 수 있게 한다.
모델 식별자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일 포인트(또는 포인트들)에서, 네트워크에 일반적으로 액세스하는 보다 일반적인 특정 UE들에 대한 정보를 중앙 집중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용 가능한 상기 정보가 연결 셋업시에 UE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를 감소시킨다. 왜냐하면 이것의 대부분은 특정 타입의 장치에 공통적인 것이며 셋업시에 각 UE에 의해 네트워크로 전송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5에 예시된 교환의 추가 메시징 오버헤드는, 전반적으로, 각각의 UE가 개별적으로 모든 능력 정보를 제공하는 것보다 적은 데이터 트래픽을 초래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능력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오버헤드는 비교적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RAN 및 CH에서의 능력 저장을 감소시킨다. 또한, UE 능력들이 RAN에게 조기에 알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능력들이 연결 셋업시에 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동작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텝 601에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는 requestModel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는 모델 식별자의 형태일 수 있다. 모델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의 특정 모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모델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모델 식별자를 갖는 장치의 능력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기지국에 연결된 네트워크에 의해 유지 관리될 수 있다.
스텝 603에서는, 사용자 장비가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 정보는 능력 정보가 그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제조자, 모델 및 변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의 타입을 식별시키는 모델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는, 스텝 603 이후에, 모델 식별자를 갖는 장치의 능력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모든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며; 또한 사용자 장비의 모든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텝 701에서,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는 requestModel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는 모델 식별자의 형태일 수 있다. 모델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의 특정 모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모델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모델 식별자를 갖는 장치의 능력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기지국에 연결된 네트워크에 의해 유지 관리될 수 있다.
스텝 703에서는,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 정보는 그로부터 능력 정보가 추론될 수 있는 제조자, 모델 및 변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의 타입을 식별시키는 모델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는, 스텝 703 이후에, 모델 식별자를 갖는 장치의 능력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모든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질의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며; 또한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모든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전용 특수 목적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 '모듈' 또는 '유닛'과 같은 용어들은 개별 또는 통합 컴포넌트들의 형태의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특정 작업들을 수행하거나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요소들은 유형의 영구적이고 어드레싱 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상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기능 요소들은 일부 실시 예들에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클래스 컴포넌트 및 태스크 컴포넌트, 프로세스, 기능,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컴포넌트들, 모듈들 및 유닛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기능 요소들은 더 적은 수의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 요소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 선택적 특징들에 대한 다양한 조합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으며, 본 설명된 특징들이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어느 한 예시적인 실시 예의 특징들은 그러한 조합들이 상호 배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적절하게, 임의의 다른 실시 예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다"라는 용어는 명시된 컴포넌트(들)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출원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와 동시에 또는 이전에 제출된 그리고 본 명세서를 통해 공공 열람으로 공개된 모든 서류 및 문헌에 유의해야 하며, 이러한 모든 서류 및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특징들(임의의 첨부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 및/또는 이와 같이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들은, 그러한 특징들 및/또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는,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특징(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 등)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동등한 또는 유사한 목적을 제공하는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각각의 특징은 일반적인 동등하거나 유사한 특징 중 하나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들)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임의의 첨부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의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 또는 이와 같이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단계들의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으로 확장된다.
본 개시의 청구범위 및/또는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방법들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전자 장치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고/되거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들(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CD-ROM(compact disc-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기타 유형의 광학 저장 장치, 또는 자기 카세트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또는 전부의 임의의 조합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러한 메모리들이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들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SAN(storage area network),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해 전자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는, 본 개시에 포함되는 컴포넌트가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수 형태 또는 복수 형태는 제시된 상황에 적합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것의 단일 요소 또는 다수의 요소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표현되는 다수의 요소들은 단일의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단일 요소가 다수의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가 특정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실시 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가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10)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기지국(base station, BS)(20)으로부터, 상기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UE(10)의 상기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BS(20)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10)의 상기 능력들에 관한 정보는 모델 식별자의 형태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식별자는 상기 UE(10)의 특정 모델에 관한 정보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모델 식별자를 갖는 장치의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식별자를 갖는 장치의 능력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BS(20)로부터 상기 UE(10)의 모든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UE(10)의 상기 모든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BS(20)에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BS(2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30)에 의해 유지 관리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20)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상기 UE(10)에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UE(10)로부터, 상기 UE(10)의 상기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UE(10)의 상기 능력들에 관한 정보는 모델 식별자의 형태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식별자는 상기 UE(10)의 특정 모델에 관한 정보인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모델 식별자를 갖는 장치의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식별자를 갖는 장치의 능력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UE(10)의 모든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질의 메시지를 상기 UE(10)에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UE(10)로부터, 상기 UE(10)의 상기 모든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BS(2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30)에 의해 유지 관리되는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10)로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base station, BS)(20)으로부터, 상기 UE(10)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UE(10)의 상기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BS(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UE(10)의 상기 능력들에 관한 정보는 모델 식별자의 형태인 사용자 장비(UE)(1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식별자는 상기 UE(10)의 특정 모델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장비(UE)(10).

KR1020207012210A 2017-09-28 2018-05-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셋업 방법 및 장치 KR102512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15723.1 2017-09-28
GB1715723.1A GB2566965A (en) 2017-09-28 2017-09-28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nection setup
PCT/KR2018/006164 WO2019066190A1 (en) 2017-09-28 2018-05-3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886A true KR20200049886A (ko) 2020-05-08
KR102512846B1 KR102512846B1 (ko) 2023-03-24

Family

ID=6027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210A KR102512846B1 (ko) 2017-09-28 2018-05-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셋업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3871B2 (ko)
EP (1) EP3689014A4 (ko)
KR (1) KR102512846B1 (ko)
CN (1) CN111133783B (ko)
GB (1) GB2566965A (ko)
WO (1) WO2019066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8131A4 (en) * 2017-08-10 2021-04-21 NTT DoCoMo,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DEVICE, USER DEVICE,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864270B2 (en) 2018-09-27 2024-0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crementally distribut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information using a model identifier
US10701700B2 (en) * 2018-10-29 2020-06-30 Apple Inc. Signaling messaging and UE capability with tag and compression
CN112673699A (zh) * 2019-02-01 2021-04-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87B1 (ko) * 2005-03-18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전달 장치
CN101155368A (zh) * 2006-09-27 2008-04-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能力信息更新系统及方法
CN101155381A (zh) * 2006-09-27 2008-04-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能力信息自适应添加系统及方法
BRPI0719267A2 (pt) * 2006-10-03 2014-02-04 Qualcomm Inc Método e aparelho para tratar informações de capacidade de equipamento de usuário.
US8090369B2 (en) * 2007-05-01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apability handling in long-term evolution systems
GB2458885A (en) * 2008-03-20 2009-10-07 Nec Corp Accepting or rejecting a connection request based upon capability information of a user device
CN101616493B (zh) * 2008-06-27 2011-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网络系统及相应装置
GB2493705A (en) * 2011-08-11 2013-02-20 Nec Corp Mobile radio communications performance measurement and network optimization
DK2648459T3 (en) * 2012-04-05 2016-11-28 Telia Co Ab Network selection in a shared network environment
CN104521157B (zh) * 2012-07-20 2019-02-15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设备对设备有关信息的方法和装置
CN103891344B (zh) * 2012-09-29 2018-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用户协作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US9814025B2 (en) 2012-11-29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porting information on UE state performed b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id method
US9655121B2 (en) * 2014-05-09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E capability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820225B2 (en) 2014-05-13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US9813899B2 (en) * 2014-08-15 2017-11-07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of evolved node B and user equipment for capability information setting
CN105517043A (zh) * 2014-09-26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能力的上报、获取方法及装置
JP6654184B2 (ja) * 2015-03-02 2020-02-2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及びモビリティ管理装置
WO2017026442A1 (ja) 2015-08-11 2017-02-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基地局及びwlan装置
EP3352498B1 (en) * 2015-09-16 2021-06-02 LG Electronics Inc. Bearer setting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sam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42770B (en) * 2015-09-25 2020-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capability identifier
JPWO2018021080A1 (ja) * 2016-07-25 2019-04-25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移動局、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EP3562198B1 (en) * 2016-12-23 2021-08-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link and wireless connec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CN110506445A (zh) * 2017-05-02 2019-11-26 英特尔Ip公司 用于无线通信中的优先频率带推导的设备和方法
EP3668131A4 (en) * 2017-08-10 2021-04-21 NTT DoCoMo,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DEVICE, USER DEVICE,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7210* *
3GPP R2-170803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9014A4 (en) 2020-10-21
KR102512846B1 (ko) 2023-03-24
GB201715723D0 (en) 2017-11-15
WO2019066190A1 (en) 2019-04-04
US20200245131A1 (en) 2020-07-30
CN111133783A (zh) 2020-05-08
EP3689014A1 (en) 2020-08-05
CN111133783B (zh) 2023-04-07
US11323871B2 (en) 2022-05-03
GB2566965A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1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066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116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signalling PTR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110393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858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128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셋업 방법 및 장치
US115635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nitia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7078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in and relating to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and non terrestrial networks
KR201901400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37770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in and relating to reference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12023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381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컴퓨팅 구조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44729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调度请求的方法和设备
CN111937475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波束故障恢复的装置和方法
US20220039015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ctivation state of secondary cell and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