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73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731A
KR20200049731A KR1020200050749A KR20200050749A KR20200049731A KR 20200049731 A KR20200049731 A KR 20200049731A KR 1020200050749 A KR1020200050749 A KR 1020200050749A KR 20200050749 A KR20200050749 A KR 20200050749A KR 20200049731 A KR20200049731 A KR 20200049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bobbin
disposed
camera modul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834B1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8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731A/ko
Priority to KR1020210012608A priority patent/KR102358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834B1/ko
Priority to KR1020230001911A priority patent/KR20230010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고, 화상의 초점을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은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렌즈 배럴의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소형화되고 모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에 대한 관리와 렌즈 광축의 틸트(tilt)나 시프트(Shift) 등의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렌즈 배럴과 보빈이 나사산 결합을 하는 카메라 모듈은 포커싱 조정작업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간의 마찰에 의하여 이물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이물에 의해서 화상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무나사 타입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무나사 타입의 렌즈 배럴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랜즈 배럴 조립을 위헤 에폭시 등을 사용함에 있어 렌즈 배럴과 보빈 사이에 침투된 에폭시가 하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화상영역으로 전이됨으로써 이물 불량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나사산 결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고, 화상의 초점을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상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플랜지부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렌즈부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렌즈부를고정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구비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와 상기 커버캔 내측면 사이에서 상기 코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부를 고정하는 요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빈은 보빈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광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배럴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보빈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렌즈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보빈의 테이퍼부에 위치하는 렌즈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반원구의 형상을 갖거나, v자 형상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나사산 결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나사산 결합하는 렌즈부와 보빈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의 확대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나사산 결합하는 렌즈부와 보빈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이며,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크게 렌즈부(130), 액추에이터부(140), 이미지 센서(160) 및 인쇄회로기판(170)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130) 및 액추에이터부(140)를 수용하며, 카메라 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캔(110)은 카메라 내부의 수용환경에 따라 외관의 형상이 가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70)에는 카메라 모듈(10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가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에 인가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160)는 상기 렌즈부(130)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와 광축 방향(O)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7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렌즈부(130)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렌즈부(130)는 상기 커버캔(110)에 수용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130)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를 수용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부(140)는 상기 렌즈부(130)를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렌즈부(130)를 이동시켜 화상의 초점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부(140)는 상기 렌즈부(130)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130)를 고정하는 보빈(144)과, 상기 보빈(144)의 외주면에 구비된 코일부(142)와, 상기 코일부(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마그넷부(141)와, 상기 마그넷부(141)를 고정하는 요크부(143)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부(140)를 수용하는 별도의 커버캔(11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렌즈부(130) 및 액추에이터부(140)는 모두 커버캔(11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의해 인가된 구동신호로써 상기 코일부(141)에 전류가 인가되고, 이러한 코일부(141)와 상호 작용하는 마그넷부(141)에 의해 상기 렌즈부(130)가 고정된 보빈(144)이 광축 방향(O)을 따라 상, 하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부(140)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적용한 A.F(Auto Focusing) 액추에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된 것과 달리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타입에 실시예가 적용되거나, 또는 엑추에이터부가 없는 고정 초점(Fixed Focusing) 타입의 카메라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 초점 타입의 카메라 모듈의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부(140) 대신에 상기 렌즈부(130)를 수용할 수 있는 렌즈 홀더부를 구비하여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렌즈 홀더부의 내주면과 렌즈부(130)의 결합구조를 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센서(160)와 상기 렌즈부(130) 사이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filter, 1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IR 필터(180)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이나,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IR 필터(180)를 위치시키기 위해, 카메라 모듈(100)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와 인쇄회로기판(170) 사이에는 베이스(11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IR 필터(180)는 상기 베이스(112)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2)는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의 구성을 이루는 부품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와 별도로 상기 이미지 센서(160)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하는 베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IR 필터(180)는 센서홀더 또는 액추에이터부(14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실시예는 F.F(Fixed Focusing) 타입의 카메라 모듈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렌즈부(130)를 이동시킬 액추에이터부(140)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베이스(112)의 상측에는 상기 렌즈부(130)를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12) 상측에는 도시된 보빈(144)과 같은 원통형의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130)과 보빈(144)을 무나사산 결합한다.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을 요구하는 추세에 따라, 광축(O) 정렬의 오차범위가 더욱 엄격하게 요구되므로 나사산 결합 방식보다 무나사산 결합방식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무나사산 결합 방식은 상기 보빈(144)의 중공부에 상기 렌즈부(130)를 상측 또는 하측에서 삽입하여 상기 렌즈부(130)를 상기 보빈(144)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접촉면 사이에 접착물질(190)을 도포하여 상기 보빈(144)과 상기 렌즈부(130)를 견고히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접착물질(190)은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를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물질(190)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접착물질은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물질은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착물질(190)은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접촉부 전체에 환형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두고 점 조직 형태, 라인 형태 등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도포된 상기 접착물질(190)은 경화되어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는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보빈(144)의 중공부에 렌즈부(130)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과 상기 보빈(144)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갭(gap)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도포된 접착물질(190)은 상기 갭 사이로 유동하여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틈새를 따라 화상영역, 즉, 베이스(112) 측에 구비된 IR 필터(180), 이미지 센서(160) 등에 전이됨으로써 이물 불량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100)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상기 렌즈부(130)는 접착물질(19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홈(132)은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32)은 상기 접착물질(190)을 트랩할 수 있는 리세스 형태 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보빈(144)의 홀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30)의 외주면은 제1면(131a)과, 렌즈부(130)의 제1면(131a)보다 돌출되는 플랜지부(131)와, 렌즈부(130)의 제1면(131a)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플랜지부(131)와 렌즈부(130)의 제1면(131a) 사이에 배치되는 홈(132a)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는 렌즈부(130)의 제1면(131a)과 평행한 제2면(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물질(190)의 적어도 일부는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130)의 외주면은 플랜지부(131)의 위에 배치되고 위로 갈수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경사면(131c)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30)의 경사면(131c)은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과 이격될 수 있다. 렌즈부(130)의 경사면(131c)과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은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면(131e)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렌즈부(130)의 외주면은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과 렌즈부(131)의 홈(132a)을 연결하고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와 마주보는 테이퍼면(131d)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의 표면과 렌즈부(130)의 테이퍼면(131d)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접착물질(190)의 적어도 일부는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와 렌즈부(130)의 테이퍼면(131d)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홈(132)은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미세하게 침투되어 유동될 수 있는 접착물질(190)의 점성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물질(190)을 상기 홈(132)에 가둠으로써 상기 접착물질(190)의 침투로 인한 카메라 모듈(100)의 이물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UV(자외선경화)에폭시의 점성 및 흐름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갭 사이로 유동하여 침투된 상기 접착물질(190)이 상기 홈에 멈추고, 자연 경화되어 화상영역으로의 침범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비록 한 개의 홈(132)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의 홈(132)은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물질(190)이 상기 보빈(144)과 렌즈 배럴(130)의 접촉부에 전체에 환형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점 조직 형태, 라인 형태 등으로 도포될 수도 있는데, 그에 대응하여 상기 홈(132)도 상기 렌즈배럴 외주면의 일부에 전체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라인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부(130)는 상측에 외측으로, 또는 상기 렌즈부(130)의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31)는 렌즈부(130)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물질(19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 확보로 인해 상기 갭으로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광축(O)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30)는 상기 플랜지부(131) 상측으로 광축(O)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후술할 테이퍼부(144b)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접촉물질(190)의 경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30)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31)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렌즈부(130) 상부에 상기 접착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부영역이 도피되어 상기 렌즈부(130) 상부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역시,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32)은 접착물질을 트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30)는 단차부 상측으로 광축(O)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테이퍼부(144b)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접촉물질의 경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빈(144)은 상기 렌즈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큰 내경을 갖는 상단부(144a)와, 상기 상단부(144a)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144b)와, 상기 테이퍼부(144b)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13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큰 내경을 갖는 하단부(14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44)은 상기 테이퍼부(144b) 없이 상기 렌즈부(130)를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보빈(144)의 내주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빈(144)에 테이퍼부(144b)가 있다면 상기 접착물질이 상기 갭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접착물질을 상기 홈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접착물질의 점성을 이용하여 자연 경화되어 화상영역으로 침범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44)의 상단부 모서리에는 경사부(144d)가 더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접착물질(190)의 경화를 더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30)는 상기 보빈(144)의 상단부에 유입되어 하측 이동되며, 최종적으로 하단부(144c)에 수용된다. 상기 렌즈부(130)의 하측 이동은 상기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에 상기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가 걸리게 되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와 상기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는 상기 렌즈부(130)가 상기 보빈(144)에 조립될 때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접착물질(190)의 내부 유입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보빈(144)이 테이퍼부(144b)가 없는 경우, 상기 렌즈부(130)를 상기 보빈(144)의 고정위치에 위치시켜 바로 경화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상기 플랜지부(131)가 걸릴수 있는 스토퍼는 없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홈(132)이 상기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홈(132)은 상기 보빈(144)의 하단부(144c)에 위치에서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132a)의 절단면 형상은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반원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32a)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부(131) 상측에 도포된 접착물질(190)은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접촉면을 따라 하측으로 침투하여 유입되다가 홈(132a) 내부로 유도되어 더 이상의 유동이 제한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132b)의 절단면은 v자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서는 일면이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서 수직 절곡되고, 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v자형 홈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 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v자형 홈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홈(132b)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부(131) 상측에 도포된 접착물질(190)은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접촉면을 따라 하측으로 침투하여 유입되다가 홈(132b) 내부로 흡수되어 더 이상의 유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렌즈부(130)에서의 상기 홈(132)의 위치는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어느 곳이나 형성 가능하며,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13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홈(132)을 구비하여 접착물질(190)의 유동을 제한하므로, 화상영역, 즉, 베이스(112) 측에 구비된 IR 필터(180), 이미지 센서(160) 등에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112)의 상측에는 상기 렌즈부(130)를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원통형의 고정부는 상기 보빈(144)을 대체할 수 있으며, 상기 보빈(144)에 형성된 상단부(144a), 테이퍼부(144b), 하단부(144c) 및 경사부(144d)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베이스(112)의 특징은 전술한 보빈(144)에 형성된 상단부(144a), 테이퍼부(144b), 하단부(144c) 및 경사부(144d)의 구조적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고 화상의 초점을 조정하는 액츄에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에는 접착물질을 트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렌즈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는 상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홈은 상기 플랜지부 하측에 형성된 리세스일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카메라 모듈 110: 커버캔
112: 베이스 130: 렌즈부
131: 플랜지부 132: 홈
140: 액추에이터부 141: 마그넷부
142: 코일부 143: 요크부
144: 마그넷부 144a: 상단부
144b: 테이퍼부 144c: 하단부
160: 이미지 센서 170: 인쇄회로기판
180: IR 필터 190: 접착물질

Claims (20)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위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보빈에 상기 렌즈 배럴을 고정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보빈에 무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빈의 상기 홀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외주면은 제1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보다 돌출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위에 배치되고 위로 갈수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면을 통해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과 평행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3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인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3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의 상단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경사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 사이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홀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4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과 마주보는 제5면과, 상기 제4면과 상기 제5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과 렌즈 배럴의 상기 홈을 연결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테이퍼면과 마주보는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테이퍼면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테이퍼면 사이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테이퍼면과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테이퍼면은 평행한 카메라 모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과 평행한 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베이스의 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켜 초점을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보빈, 코일, 및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요크;
    상기 요크를 덮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커버캔;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요크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요크 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은 원기둥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은 무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은 상기 코일의 하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1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17.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위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보빈에 상기 렌즈 배럴을 고정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보빈에 무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빈의 상기 홀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고 광축방향으로 상기 보빈과 오버랩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면과, 상기 제3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위로 갈수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과 평행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3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인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0.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위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보빈에 무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050749A 2020-04-27 2020-04-27 카메라 모듈 KR10221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749A KR102211834B1 (ko) 2020-04-27 2020-04-27 카메라 모듈
KR1020210012608A KR102358701B1 (ko) 2020-04-27 2021-01-28 카메라 모듈
KR1020230001911A KR20230010046A (ko) 2020-04-27 2023-01-05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749A KR102211834B1 (ko) 2020-04-27 2020-04-27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330A Division KR102107017B1 (ko) 2013-07-29 2013-07-29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608A Division KR102358701B1 (ko) 2020-04-27 2021-01-2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731A true KR20200049731A (ko) 2020-05-08
KR102211834B1 KR102211834B1 (ko) 2021-02-04

Family

ID=7067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749A KR102211834B1 (ko) 2020-04-27 2020-04-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8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054A (ko) * 2005-08-29 2007-03-0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모듈
KR20110024878A (ko) * 2009-09-03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054A (ko) * 2005-08-29 2007-03-0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모듈
KR20110024878A (ko) * 2009-09-03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834B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7988B2 (en) Camera module
CN110430352B (zh) 摄像机模块
KR102653487B1 (ko) 카메라 모듈
US20160165108A1 (en) Camera module
KR102258080B1 (ko) 카메라 모듈
KR102174068B1 (ko) 카메라 모듈
KR102145803B1 (ko) 카메라 모듈
KR102145831B1 (ko) 카메라 모듈
KR102116861B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2107017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071354A (ko)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20110024871A (ko) 카메라 모듈
KR102117094B1 (ko) 카메라 모듈
KR102211834B1 (ko) 카메라 모듈
KR102487093B1 (ko) 카메라 모듈
KR102358701B1 (ko) 카메라 모듈
KR102122306B1 (ko) 카메라 모듈
KR102471211B1 (ko) 카메라 모듈
KR102245305B1 (ko) 카메라 모듈
KR102444349B1 (ko) 카메라 모듈
KR102189284B1 (ko) 카메라 모듈
KR102507394B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2144506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066273A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