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556A -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556A
KR20200049556A KR1020190131203A KR20190131203A KR20200049556A KR 20200049556 A KR20200049556 A KR 20200049556A KR 1020190131203 A KR1020190131203 A KR 1020190131203A KR 20190131203 A KR20190131203 A KR 20190131203A KR 20200049556 A KR20200049556 A KR 20200049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gateway
service
app
network usage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169B1 (ko
Inventor
황승환
Original Assignee
젤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젤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젤릭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4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1Indication of costs
    • H04L12/1414Indication of costs in real-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04L12/1435Metric aspects volume-b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과금 방법은, (a)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실시간 검침이 가능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앱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앱 또는 서비스에서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서드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illing in smart gatewa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계 및 가스미터 등의 설비미터에서 원격검침 및 AMI 기술이 상용화 되었으나 단일 기종의 원격검침 기능에 국한되어 비경제적이며 여러 단계의 서버 시스템을 거침으로써 실시간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현재의 미터링 시스템은 단일의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으로 구성되어 있어 업그레이드가 쉽지 않고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의 계통연계, 거래 기능, 에너지 정산 외의 다양한 서비스가 불가하여 투자대비 효과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의 원격 검침은 단일 기능으로, 하나의 기기에 하나의 기능만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수요자, 공급자 관점에서 에너지 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서 사용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과금할 수 있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실시간 검침이 가능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앱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앱 또는 서비스에서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서드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전체 네트워크 부하량은 한정되되, 상기 전체 네트워크 부하량 대비 상기 앱 또는 서비스 제공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른 비율에 따라 과금을 다르게 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추가 요금을 부과하여 상기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가 가입한 서비스 등급을 더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과금 정보는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실시간 검침이 가능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앱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앱 또는 서비스에서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서드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과금부를 포함하는 과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과금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추가 요금을 부과하여 상기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 요금 부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추가 요금 부과 거부시 상기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이 초과된 앱 또는 서비스의 네트워크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이 초과된 앱 또는 서비스의 네트워크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시, 긴급 부하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사용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긴급 부하는 에러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실시간 검침이 가능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앱의 크기 및 앱의 리소스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앱의 크기 및 앱의 리소스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서드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서 사용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과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포함된 다양한 서버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에너지 자원을 계측하는 설비 미터와 연동된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3rd 파티 사업자의 서비스 실현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에너지 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스마트 게이트웨이가 플랫폼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3rd 파티 사업자가 에너지 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신청하고,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설치됨에 따라 각 가정, 매장, 빌딩 등에 대한 에너지 자원 관련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포함된 다양한 서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100)은 스마트 게이트웨이(110), 컨트롤 박스(120), 관리 서버(130) 및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자원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기능을 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장치들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설비 미터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인터페이스는 RS-485, DC-PLS, Wireless Mbus, CAN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설비 미터는 예를 들어, 전기 미터, 열량 미터, 수도 미터, 온수 미터 및 가스 미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트롤 박스(120)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는 RJ45일 수 있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컨트롤 박스(120)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각 에너지 자원에 대한 검침 정보 및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3 통신 인터페이스는 RJ45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제4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HTTPS)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130)와 연동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내부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플랫폼(210)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플랫폼(210)이 탑재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가 특정 공간(예를 들어, 댁내, 사업장내, 빌딩내 등)에 설치되는 시점에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플랫폼(210)이 구동될 수 있다. 구동된 플랫폼(210)은 관리 서버(130)와 통신을 통해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펌웨어 관련 정보 및 당해 플랫폼(210)에 기본으로 탑재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30)는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펌웨어 관련 정보 및 기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펌웨어 버전, 기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버전 등을 확인하여 펌웨어 및 기본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플랫폼(210)에 의해 제공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에 따라 미설치된 기본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를 추가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어플리케이션은 설비 미터 관리,검침 정보 수집, 외부 디스플레이 관리, 기술자 지원, GWA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AMS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CLS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어플리케이션은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스마트 게이트웨이(110) 제조 시점에 각 설비 미터, 컨트롤 박스, 홈 디스플레이 및 외부 서버(130)와 연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유형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최초 설치에 상응하여 구동된 플랫폼(210)에 의해 펌웨어 및 기본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플랫폼(210)은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따른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210)상에 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유형에 따라 플랫폼(210)상에 설치되는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들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 또는/및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은 각 유틸리티 사업자(예를 들어, 지역 가스 사업자, 지역 난방 공사, 가스 공사, 수자원 공사, 한국 전력 공사 등)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각 유틸리티 사업자는 각 유틸리티 사업자가 제공한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검침 정보, 각 설비 미터 상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각 유틸리티 사업자는 각 유틸리티 사업자가 제공한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유틸리티 사업자 요청에 따른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각 3rd 파티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각 3rd 파티 서비스를 위한 요청 정보를 각 3rd 파티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3rd 파티 서비스 사업자는 CLS 관리 사업자, 에너지 절약 사업자, DR 사업자, 전력 거래소, 에너지 기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HEMS(스마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스마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FEMS(스마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제1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며, 제2 사용자는 제2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제1 사용자의 댁내에 설치된 제1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플랫폼상에는 제1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댁내에 설치된 제2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플랫폼상에는 제2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제1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과 추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제2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각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따라 설치되는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종류와 개수 등이 상이해질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다양한 장치들과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관련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상에 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플랫폼(210)이 탑재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가 설치되는 시점에 구동된 플랫폼(210)에 의해 에너지 관련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적으로 설치 및 제거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대한 계량/계측 및 제어가 가능하며,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대한 계량/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에너지 자원 관련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대한 계량/계측, 제어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가공이 가능한 에지 컴퓨팅 기능이 가능한 플랫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당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의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한 후 각각의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예를 들어,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서 설정된(계약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해당하는 3rd 파티 사업자에게 추가 요금 부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3rd 파티 사업자가 추과 요금 부과를 거부하는 경우,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해당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컨트롤 박스(120)는 적어도 하나의 로컬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컨트롤 박스(120)는 설비 미터를 제외한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를 에너지 관련 정책에 따라 선택적 에너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박스(1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연동되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실시간 검침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기반으로 선택적으로 단계별 에너지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컨트롤 박스(1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실시간 연동되어 실시간 검침 정보를 통해 각 단계별 에너지 제어를 위한 에너지 관련 정책에 기반하여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에 대한 선택적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컨트롤 박스(120)가 제어하는 로컬 제어 장치가 반드시 에너지 관련 장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댁내 어플라이언스(appliance)에 대한 선택적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박스(120)는 연동된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컨트롤 박스(120)가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에 대한 전원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전원 제어 이외에도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로컬 제어 장치는 홈 가전, 센서, 냉난방기기, 태양광 발전 장치,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차 등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 또는 관리 서버(130)에 의해 제공되는 에너지 관련 정책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에너지 관련 정책에 따라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20)는 복수일 수 있다. 로컬 제어 장치의 유형에 따라 제어가 달라지므로, 컨트롤 박스 또한 로컬 제어 장치의 유형에 따라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트롤 박스는 스마트 가전과 같은 댁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트롤 박스는 태양광 발전 장치,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차 등과 같이 에너지 생산/저장 및 외부 로컬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트롤 박스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연동되되, 실시간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트롤 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에 대한 선택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컨트롤 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제어 장치가 전기차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컨트롤 박스는 저장된 에너지 관련 정책에 기초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한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에 대한 실시간 검침 정보에 기초하여 심야 시간에는 심야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낮 시간에는 충전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컨트롤 박스(120)를 통해 에너지 생성 장치, 에너지 저장 장치 등이 제어되는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예를 들어, 에너지 생성 장치(발전 장치)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정리하면,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컨트롤 박스는 댁내의 제어 가능한 장치를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시키는 디바이스로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제공되는 에너지 및 기타 정보를 바탕으로 컨트롤 박스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 할 수 있다.
홈 디스플레이(15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홈 디스플레이(15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제어에 따라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에 대한 실시간 검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홈 디스플레이(15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제어에 따라 댁내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디스플레이(15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제어에 따라 검침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CLS 제어, 로그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에너지 관련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관리/제어하며, 개인 자산 및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원/관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스마트 게이트웨이 설치 요청이 접수되는 경우,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로 스마트 게이트웨이 설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기술자가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 설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설치 대상 장소에 방문하여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도록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기술자는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 설치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기술자는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플랫폼(210)의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기술자는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설정값의 설정 및 열람 등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TCP 기반 소켓 또는 HTTPS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서비스 기술자 정보(예를 들어, ID, 사번 등)를 제공받아 서비스 기술자(서비스 기술자)를 인증한 후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각각 특정 공간(장소)에 설치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로부터 디바이스 설치/제거 정보, 모니터링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설정 변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에 저장된 에너지 관련 정책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에너지 관련 정책에 상응하도록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각 유틸리티 사업자가 제공하는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 3rd 파티 사업자가 제공하는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를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동적으로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유형에 따라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설치되는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이나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따른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동적으로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서비스 변경에 상응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설치된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를 동적으로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관리 서버(130)가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기능에 따라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개별적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개별적 서버(130a 내지 130f)들은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며,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를 통한 동적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삭제되는 것만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각 사용자는 소지한 사용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등)를 통해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는 푸시부(410), 서비스 기술자 지원 관리부(415), 보안 관리부(420), 디바이스 관리부(425), 업데이트 관리부(430), 메모리(435) 및 프로세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푸시부(410)는 웨이크-업(wake-up)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푸시부(410)는 웨이크업 패킷을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로 전달하여 연결되지 않은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관리 서버간의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기술자 지원 관리부(415)는 서비스 기술자를 인증하고, 미터 펌웨어 업데이트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이다.
보안 관리부(4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서 실시간 수집되는 검침 정보는 민감한 개인 정보, 검침 정보의 송수신시 익명화하여 보안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이다.
보안 관리부(420)는 키 및 인증(key/certification)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관리부(425)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구성(configuration)을 관리한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부(425)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로그를 관리하며, 스마트 게이트웨이/디바이스의 설치와 제거를 관리할 수도 있다.
업데이트 관리부(43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플랫폼의 업데이트 및 각 설비 미터 펌웨어 업데이트를 관리한다.
메모리(4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4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의 내부 구성들(예를 들어, 푸시부(410), 서비스 기술자 지원 관리부(415), 보안 관리부(420), 디바이스 관리부(425), 업데이트 관리부(430), 메모리(4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포털 서버(500)는 관리 서버(130)의 일 구성일 수도 있으며, 도 5와 같이 개별적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털 서버(500)는 유틸리티 사업자 또는 3rd 파티 사업자를 등록받고,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제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500)는 에너지 공급자 등록부(510), 서비스 등록부(51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0), 디바이스 상태 관리부(525), 설정값 관리부(530), 메모리(535) 및 프로세서(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너지 공급자 등록부(510)는 에너지 공급자를 등록받기 위한 수단이다.
서비스 등록부(515)는 3rd 파티 사업자 및 해당 3rd 파티 사업자의 서비스를 등록받기 위한 수단이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0)는 사용자에 의해 3rd 파티 서비스가 신청되면, 해당 신청된 3rd 파티 서비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제거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0)는 사용자에 의해 신청된 3rd 파티 서비스에 따라 설치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 서버(130)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관리 서버(130)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미도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신청된 3rd 파티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상에 설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디바이스 상태 관리부(525)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설정값 관리부(530)는 유틸리티 사업자 서버와 연동되어 각 설비 미터의 설정값 변경 요청을 제공받아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유틸리티 사업자 서버에 의해 각 설비 미터의 설정값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설정값 관리부(530)는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를 제어하여 연동된 설비 미터들의 설정값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5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50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5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5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에너지 공급자 등록부(510), 서비스 등록부(51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0), 디바이스 상태 관리부(525), 설정값 관리부(530), 메모리(535))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외에도, 포털 서버(500)는 유틸리티 사업자 서버와 연동되어 미터 펌웨어 업데이트, 미터 정보 업로드, 미터 정보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포털 서버(500)는 설치 대행 업체 서버(미도시)로부터 특정 유틸리티 사업자 선택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또는 설비 미터 설치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포털 서버(500)는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특정 유틸리티 사업자에 상응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 또는 설비 미터의 설치 또는/및 제거를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로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스마트 게이트웨이가 플랫폼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3rd 파티 사업자가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통해 3rd 파티 서비스를 신청하고,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각 설비 미터와 직접 연동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동적/선택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따른 검침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3rd 파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서로 다른 종류의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따른 검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 후 연계 처리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과금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인 과금 장치(60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예를 들어, 관리 서버,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일구성일 수도 있으며, 해당 장치들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일 수도 있다.
단계 610에서 과금 장치(600)는 각각의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포함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각각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부하량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특정 앱 또는 특정 서비스에서 네트워크를 독점하여 사용하는 경우,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다른 앱 또는 다른 서비스 제공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한정된 전체 네트워크 부하량내에서 당해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당해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설정된 전체 네트워크 부하량 내에서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균등하게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3rd 파티 사업자가 가입한 서비스 등급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에 차등을 둘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 등급은 예를 들어 노말(normal) 및 프리미엄(premiu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서비스 등급을 노말(normal) 및 프리미엄(premium)으로 세분화한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서비스 등급의 세분화된 구분은 구현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서비스 등급이 프리미엄인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해 네트워크 자원을 우선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서비스 등급에 따라 앱 또는 서비스에 따른 네트워크 이용 주기를 상이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실시간 검침이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3rd 파티 사업자에 의해 요청된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해당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실제 사용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이를 과금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과금 장치(600)가 스마트 게이트웨이로부터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량을 수집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구현 방법에 따라 과금 장치(60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부터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앱 또는 서비스별 수집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제공받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615에서 과금 장치(600)는 수집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앱별 또는 서비스별 네트워크 사용량을 토대로 3rd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
과금 정보는 각각의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앱 또는 서비스별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동일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앱 또는 서비스 전체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량(전체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도 있다.
물론, 특정 사업자(3rd 파티 사업자)가 제공하는 특정 앱 또는 서비스가 하나의 스마트 게이트웨이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해당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에 상응하여 복수의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특정 앱이 탑재되거나 복수의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특정 서비스가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과금 장치(600)는 복수의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연동하여 동일 3rd 파티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전체 네트워크 사용량을 모두 합산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서 이용된 실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다르게 과금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구현 방법에 따라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3rd 파티 사업자에게 월정액으로 사용 요금을 과금할 수도 있다.
또한, 과금 장치(600)는 3rd 파티 사업자가 가입한 서비스 등급을 더 반영하여 서비스 등급 및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상이하게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 등급은 노말(normal) 및 프리미엄(premiu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과금 장치(600)는 서비스 등급이 노말인 경우, 제1 요율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서비스 등급이 프리미엄인 경우 제2 요율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3rd 파티 사업자가 가입한 서비스 등급에 따라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 품질(QoS)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금 또한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과금 장치(60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대해 정해진 네트워크 부하량 대비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가 사용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른 비율을 고려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각 3rd 파티 사업자가 가입한 서비스 등급에 따라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함에 있어 3rd 파티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앱 또는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금 또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과금 장치(600)는 수집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기반으로 해당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한 경우 초과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3rd 파티 사업자가 기본 설정(또는 계약)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 요금 부과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3rd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해당 안내 메시지에 따라 3rd 파티 사업자가 추가 요금 부과를 거부하는 경우,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해당 3rd 파티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앱 또는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량은 각각의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동일하게 정해질 수도 있으며, 3rd 파티 사업자가 임의의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3rd 파티 사업자는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되는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기본 과금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실제 사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토대로 추가 네트워크 사용량을 도출한 후 추가 요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 또한, 3rd 파티 사업자가 복수의 앱 또는 서비스를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에 따라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3rd 파티 사업자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 전체를 연동하여(즉, 복수의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연동하여) 당해 3rd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여 전체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모두 합산한 후 전체 네트워크 사용량을 토대로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과금 장치(600)는 3rd 파티 사업자가 설정한 전체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한 경우 초과된 전체 네트워크 사용량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별로 네트워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한 후 앱별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과금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각 3rd 파티 사업자가 제공하는 앱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서비스 품질(QoS)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특정 3rd 파티 사업자가 자신의 제공하는 특정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 품질이 높은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과금 장치(600)는 해당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서비스 품질/우선 순위를 고려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3rd 파티 사업자가 제공하는 앱이 당해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설치된(인스톨된) 상태에서 해당 앱의 크기,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 과금할 수도 있다. 여기서, 리소스 사용량은 CPU 점유율, 메모리 할당량, 네트워크 사용량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3rd 파티 사업자가 제공하는 앱을 인스톨하기 전에 앱을 다운로드 받을 때 앱의 크기에 따라 과금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과금 장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 관리 서버 등) 중 어느 하나의 일 구성일 수도 있으며, 해당 장치들과 연동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장치(600)는 통신부(710), 모니터링부(715), 과금부(720), 메모리(725) 및 프로세서(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7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모니터링부(715)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포함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별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이다. 모니터링부(715)는 통신부(710)와 연동되어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로부터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별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과금부(720)는 수신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별 네트워크 사용량을 토대로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도 6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7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별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프로그램 코드), 이 과정에서 파생된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7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장치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710), 모니터링부(715), 과금부(720), 메모리(72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730)는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 요금 부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30)는 해당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여 3rd 파티 사업자로부터 추가 요금 부과 거부에 따른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이 초과된 앱 또는 서비스의 네트워크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730)는 에러 등의 긴급 부하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
110: 스마트 게이트웨이
120: 컨트롤 박스
130: 관리 서버
140: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
150: 홈 디스플레이

Claims (10)

  1. (a)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실시간 검침이 가능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앱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앱 또는 서비스에서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서드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전체 네트워크 부하량은 한정되되,
    상기 전체 네트워크 부하량 대비 상기 앱 또는 서비스 제공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른 비율에 따라 과금을 다르게 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추가 요금을 부과하여 상기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가 가입한 서비스 등급을 더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는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하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방법.
  6.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실시간 검침이 가능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앱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앱 또는 서비스에서 이용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서드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과금부를 포함하는 과금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된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추가 요금을 부과하여 상기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 요금 부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추가 요금 부과 거부시 상기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이 초과된 앱 또는 서비스의 네트워크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이 초과된 앱 또는 서비스의 네트워크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시, 긴급 부하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사용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긴급 부하는 에러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장치.
  10. (a)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실시간 검침이 가능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각 서드(3rd) 파티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앱의 크기 및 앱의 리소스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b) 상기 앱의 크기 및 앱의 리소스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서드 파티 사업자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KR1020190131203A 2018-10-31 2019-10-22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 KR102256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70 2018-10-31
KR20180131770 2018-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556A true KR20200049556A (ko) 2020-05-08
KR102256169B1 KR102256169B1 (ko) 2021-05-26

Family

ID=7067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203A KR102256169B1 (ko) 2018-10-31 2019-10-22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3032A (zh) * 2021-03-25 2021-06-29 河北建研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电价计费管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632A (ko) * 2011-08-23 2013-03-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차등 과금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05373A (ko) * 2013-07-05 2015-01-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과금장치 및 과금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91516A (ko) * 2017-02-07 2018-08-16 젤릭스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적용된 통합 스마트 계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632A (ko) * 2011-08-23 2013-03-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차등 과금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05373A (ko) * 2013-07-05 2015-01-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과금장치 및 과금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91516A (ko) * 2017-02-07 2018-08-16 젤릭스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적용된 통합 스마트 계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3032A (zh) * 2021-03-25 2021-06-29 河北建研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电价计费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169B1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3593B (zh) 用以致能使用不同通訊協定之裝置間之通訊的系統、方法及/或設備
KR102468114B1 (ko)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65383A1 (en) Energy service delivery platform
Kamilaris et al. Integrating web-enabled energy-aware smart homes to the smart grid
KR102174594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2256169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7321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49558A (ko) 플랫폼이 구현된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거래 방법
KR102473985B1 (ko) Usim을 이용한 계량기 자동검침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관리방법 및 그 장치
TW202005466A (zh) 用以致能使用不同通訊協定之裝置間之通訊的系統、方法及/或設備
Manur Communication, computing, and control solutions for smart microgrids
KR20200049560A (ko) 에너지 사용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너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Gabioud et al. D3. 2–Overall System Requirements and Functional Specifications
AU2017201952B2 (en) An integration system
Zeng et al. AMI and DR, the Enabling Technologies for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Smart Grid
Ringelstein et al. Software-driven active customer interface for DER integration
Slay et al. Implementation Profile: EGoT DERMS Server/Client System (DOE-PSU-0000922-2)
Manoharan Veracity in Power Consumption of Smart Home
Lange et al. Multi-purpose energy storage management and ICT requirements
Luntovskyy et al. Energy-Efficient Network Services as Smart Grid Issue
KR20170133675A (ko) Usim 상의 애플릿을 이용한 계량기 자동검침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ing Research Project 2: Dutch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NZ619033B2 (en) An integration system
NZ730834B2 (en) An integration system
NZ712243B2 (en) An integ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