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852A -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852A
KR20200048852A KR1020180131405A KR20180131405A KR20200048852A KR 20200048852 A KR20200048852 A KR 20200048852A KR 1020180131405 A KR1020180131405 A KR 1020180131405A KR 20180131405 A KR20180131405 A KR 20180131405A KR 20200048852 A KR20200048852 A KR 2020004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water tank
drip tray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은유숙
전재흥
김주겸
유현선
김성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852A/en
Priority to US16/569,908 priority patent/US11590438B2/en
Priority to EP19198289.1A priority patent/EP3626056A1/en
Priority to CN201910886533.7A priority patent/CN110915682B/en
Publication of KR2020004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8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5Water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A water supply device of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tank; a pump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ump to transfer water; a water supply plat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a sidewall of the water tank and enabl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flow; and a water receiv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plate in a downward direction, supported by being placed on the water tank, and having an extension part protru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water tank. Accordingly, the water supply device can be used by easily replacing the water receiver to be adequate to sizes and habits of animals.

Description

반려동물 급수기{Water supply device for pets}Water supply device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마실 물을 제공하는 급수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압송시키는 펌프와, 수조 내에 배치되어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공급받아 반려동물에게 마실 물을 제공하는 급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급수기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providing drinking water to a companion animal, and more specifically, a water tank, a pump that pumps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a water pump disposed in the water tank and supplied with water pumped from the pump to be su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to dri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including a water supply plate for providing water.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심 및 관심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어 반려동물을 위한 기구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well as the growing population of pets, the attachment and interest in pet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many organizations for companion animals are being developed.

그중에서도, 반려동물은 수시로 물을 마셔야 생체리듬이 유지되는데 대하여, 반려동물은 홀로 있는 경우도 많고 인간과의 의사소통도 어렵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항상 청결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급수기에 대한 요청이 증대되고 있다.Among them, pets need to drink water from time to time to maintain the biorhythm, but pets are often alone and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humans, so there is a request for a water supply that can always provide clean water to pets. Is increasing.

US 2015/0313180A1에 개시된 '애완동물용 급수 조립체'는 수조와, 수조 중앙에 배치되고 상측에 물이 일시적으로 고여지는 급수 보올(bowl)이 형성된 급수커버와, 상기 급수커버의 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있다.'Pet water assembly' disclosed in US 2015 / 0313180A1 is a water supply cover formed with a water tank, a water supply bowl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and a water bowl temporarily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cover bowl It includes a pump to supply.

그러나, 상기 급수 조립체는 수조의 중앙 상측에 위치되는 보올에 고여진 물에 접근하여 애완동물이 물을 마셔야하는 불편이 수반되고, 상기 수조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수조 내의 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ater supply assembly is accompanied by the inconvenience that pets must drink water by accessing the water in the bowl locat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water tank, and the edges of the water tank are opened to contaminate water in the water tank.

US 2010/0095897A에 개시된 '동물용 급수 시스템'은, 물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설치된 펌프와, 펌프와 연결된 급수 파이프와, 급수 파이프의 상측에 설치되어 급수 파이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출하는 다수의 스파우트(spout)를 구비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펌프와 급수 파이프를 씌워주는 돔 형상의 부품 커버를 포함하고 있다. The 'animal water supply system' disclosed in US 2010 / 0095897A includes a container in which water is stored, a pump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ump, an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installed above the water supply pipe. It includes a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outs (spouts) for ejecting, and a dome-shaped component cove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to cover the pump and the water supply pipe.

그러나, 상기의 '동물용 급수 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벽과 상기 부품커버 사이가 개방되어 컨테이너에 저장된 물이 동물들에게 노출되므로, 컨테이너에 저장된 물이 쉽게 오염되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수조 외측으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water supply system for animals' is opened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and the parts cover, and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is exposed to animals, the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is easily contaminated and water falling from the spout There is a problem that is scattered outside the tank.

EP 3315022A1은, 도 1에 수조와, 여과필터 및 펌프가 내장된 블럭(block)과, 펌프와 연결된 급수 파이프와, 급수 파이프로부터 공급된 물이 흘러내리는 배수면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급수기'를 개시하고 있다.EP 3315022A1 is a 'water heater for a pet' having a water tank, a filter filter and a pump built-in block in FIG. 1,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ump, and a drain surfac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lows.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애완동물용 급수기'는 배수면을 얕게 흐르는 물을 애완 동물이 마셔야 하므로, 애완동물이 단시간에 충분한 물을 섭취하기 어렵고, 동물의 입주위에 물이 많이 적셔지게 되어 급수기의 주변이 오염되며, 급수량이 증대되는 경우 배수면을 흘러내리는 물이 수조 외측으로 넘쳐 흐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et waterer needs to drink shallowly flowing water over the drainage surface, it is difficult for the pet to drink enough water in a short time, and the water around the mouth of the animal is soaked in water that the surroundings of the waterer are contaminated. When there i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flowing down the drain surface overflows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애완동물의 크기에 적합토록 급수기의 외면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expand or contract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so that it is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p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ing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동물의 크기에 적합토록 수조의 상측부 외면을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capable of substantially easily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to b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animal.

둘째,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마시면서도 수조의 물이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는 급수기를 제공한는 데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dispenser that does not leak water out of the tank while the companion animal drinks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late.

셋째, 본 발명은 수조와 급수 플레이트 사이를 차폐하여 수조내의 물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여 물의 청정도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려동물에게 항상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capable of always providing clean water to a companion animal by shielding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plat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water in the tank in advance and easily manage the cleanliness of the water. Having

넷째,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편안한 자세로 물을 마실 수 있는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water drinker that can drink water in a comfortable position.

다섯째, 본 발명은 수조 내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이 수조 내의 소정위치에 견실하고도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o be installed reliably and convenient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water tank.

기타,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한 기술적 과제외에 종래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급수기로부터 발생되거나 예측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that can be generated or predicted from the water supply for pe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는, 상측이 개구된 수조와; 수조 내부에 설치된 펌프와; 수조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는 급수 플레이트와;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수조에 올려져 지지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upper side is open tank; A pump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lat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tank and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flows; Includes;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pl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be supported by being placed on a water tank.

상기 물받이는 상기 수조의 상측부로부터 상측 및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p tray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upward and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상기 물받이는 상측부로부터 하측부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측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바닥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닥벽부에 수조 내부로 물을 배출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drip tray may include a side wall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to be narrower from an upper portion toward a lower portion, and a bottom wall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inside from a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 hole for discharg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inside the bottom wall portion It can be formed.

상기 물받이의 측벽부는 상기 수조의 측벽에 형성된 이너경사면에 재치되어 지지되는 아웃터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wall portion of the drip tray may be formed with an outer inclined surface supported by being placed on an inner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상기 급수 플레이트의 상측면은 평활하게 형성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이 급수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흐른 후 급수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낙하되어 상기 물받이로 유입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late is formed smoothly, and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flow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late and then falls vertically from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to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ray.

상기 펌프 및 급수 플레이트 등 수조 내에 설치되는 구성부품들은 단일의 이너조립체가 되도록 결합 또는 조립되어, 상기 물받이에 재치될 수 있다.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such as the pump and the water supply plate, are combined or assembled to be a single inner assembly, and can be mounted on the drip tra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은 수조와 급수 플레이트 사이에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 수조로 배출하는 물받이가 수조에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수조의 상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을 갖는 물받이 중, 반려동물의 크기에 적합한 물받이를 선택하여 수조에 설치함으로서, 수조의 외면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p tray for receiving water flowing from the feed plate and discharging it into the water tank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water tank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plate, the drip tray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By selecting a drip tray suitable for the size of a companion animal from among the drip trays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can be expanded or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물받이가 수조의 개구된 상측이 외부와 차폐되므로, 수조 내의 물의 오염이 방지되고, 수조 내의 물의 온도 및 청정도를 예측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항상 깨끗한 적정온도의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the contamination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prevented, and the temperature and cleanliness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can be predictably managed.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동물의 습성 및 크기에 적합한 물받이를 선택하여 수조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이 통상적으로 먹이를 먹는 습성과 같이 머리를 숙인 편안한 자세로 상기 가이드를 향하여 낙하되는 물을 마실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water tank by selecting a drip tray suitable for the habit and size of the animal,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drink water falling toward the guide in a comfortable position with its head bowed, such as the habit of eating food normally.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받이가 수조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수조 외측으로 비산됨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ter dripping from the water supply plate is scatter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drip tray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side from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받이가 수조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적이 큰 급수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물이 낙하되는 급수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수조 외측벽에 근접되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이 수조에 접촉하지 않고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용이하게 마실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p tray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late having a large surface area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on which water falls can be arranged to be close to the outer wall of the water tank. It is easy to drink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late without contacting with.

또한, 본 발명은 펌프, 급수 플레이트 등 수조내에 설치되는 구성부품들이 단일의 이너조립체가 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너조립체는 상기 물받이에 받쳐져 지지되므로 상기 이너조립체가 간편하게 수조내의 소정 위치에 견실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installed in a water tank, such as a pump and a water supply plate, are combined to be a single inner assembly, and the inner assembly is supported and supported by the drip tray, so that the inner assembly is easily and reliab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water tank.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의 외관이 표현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의 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수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급수 플레이트 및 조명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포함되는 물받이가 표현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tank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plate and a lighting devic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p tray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ure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p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provide those who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just work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가 다른 구성요소에 비하여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the various layers and regions.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icknesses of som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측이 개구된 측벽을 구비한 수조(10)와, 수조내에 설치되어 수조에 저장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20)와, 펌프(20)로부터 토출된 물이 이송되는 급수관(25)과, 상기 수조의 측벽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급수관(25)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흘러 낙하하는 급수 플레이트(30)와,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수조(10) 내부로 배출하는 물받이(50)를 포함한다.1 and 2, a water tank 10 having a side wall with an upper side open, and a pump 20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d pump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w, a water supply pipe 25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is transferred, a water supply plate 30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idewall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5 flows and falls, and the water supply plate It is arrang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30) and includes a drip tray (50) that receives water dropped from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discharges it into the water tank (10).

수조(10) 내부에는, 수조(10)에 저장된 물이 펌프(20)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필터(40)가 설치될 수 있다.Inside the water tank 10, befor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flows into the pump 20, a filtration filter 4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may be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는 전력공급장치, 조명장치, 수위센서, 수온센서, 근접센서, 오염도센서, 수온유지장치, 및 살균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supply device, a lighting device, a water level sensor, a water temperat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 pollution level sensor, a water temperature maintenance device, and a sterilizing filt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수조(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 하측이 개구되어 수조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측벽(11)과, 측벽(11)의 개구된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water tank 10 are opened to form a side wall 11 to form a side edge of the water tank, and a bottom plate 12 disposed on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side wall 11 It can contain.

상기 측벽(11)은 메인 측벽(11c)과, 메인 측벽의 상, 하측에 각각 결합된 상측 측벽(11a)와 하측 테두리벽(11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wall 11 may include a main side wall 11c, an upper side wall 11a and a lower edge wall 11b coupl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side wall, respectively.

상기 메인 측벽(11c), 상측 측벽(11a) 및 하측 테두리벽(11b)은 각각 별개로 제조된 다음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거나 처음부터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The main side wall 11c, the upper side wall 11a, and the lower edge wall 11b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combined to be integral or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from the beginning.

수조(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측방향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상협하광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메인 측벽(11c)은 원통형상, 상, 하측 에지벽(11a, 11b)은 각각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tank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upper and lower light beams whose inner diameter becomes smaller in the upward direction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rdingly, the main sidewall 11c has a cylindrical shape, upper and lower edge walls 11a and 11b. )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respectively.

그러나, 수조(10)는 상기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수조(10)가 상기와 같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조(10)에 상당한 크기의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수조(10)가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However, the water tank 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various shapes. However, when the water tank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beams as described above, an external shock of a considerable size to the water tank 10 is obtained. Even when applied, the water tank 10 is stably positioned without being overturned to perform its function.

상측 측벽(11a)의 내면에 수조(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돌출판(111)과 제2 돌출판(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2 돌출판(111,112)의 내측단 사이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수조의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진 이너 경사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protruding plate 111 and a second protruding plate 112 that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1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wall 11a. 2 An inner inclined surface 113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ends of the protruding plates 111 and 112 toward the lower side.

상측 측벽(11a)은 제1 돌출판(1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향 돌출벽(114)이 형성될 수 있고, 상향 돌출벽(114)와 제1 돌출판(111)상에는 패킹(115)이 부착되어, 후술하는 물받이(50)가 패킹(115)과 밀착되도록 상측 측벽(11a)에 재치될 수 있다.The upper side wall 11a may be formed with an upward projecting wall 114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projecting plate 111, and a packing 115 may be provided on the upward projecting wall 114 and the first projecting plate 111. Attached, i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wall 11a so that the drip tray 50 described below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115.

바닥판(12)의 중앙부에 상측을 향하여 통형상으로 볼록한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판(12)의 저면에서 보아 상기 돌출부(121)의 내부공간에 무선전력 송신부(7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2 may be formed with a convex protrusion 121 in a cylindrical shape toward the upper side, and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2,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72 in the inner space of the protrusion 121 Can be installed.

하측 테두리벽(11b)의 하측부에 베이스(18)가 씌워질 수 있고, 상기 베이스(18)는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도킹 스테이션(71)에 재치될 수 있다.A base 18 may be cover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edge wall 11b, and the base 18 may be mounted on a docking station 71 to which external power is applied.

여과필터(40)는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여과필터(42)와 제2 여과필터(4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ltration filter 40 may include a first filtration filter 42 and a second filtration filter 44.

제1 여과필터(42)는 상당한 강성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에 다수의 물유입구가 형성된, 예를 들면 상측이 확개된 나팔형(원추형상)의 스트레이너일 수 있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considerable rigidity, and may be a trumpet-shaped (conical) strainer with an extended upper side, for example, with a plurality of water inlets formed on the side walls.

제2 여과필터(44)는 제1 여과필터(42)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여과필터(44)의 내부 공간에 펌프(20)가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and the pump 2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제2 여과필터(44)의 내측에는 전술한 무선전력송신부(72)에 감응되어 유도전압을 발생하는 무선전력수신부(73)가 설치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that is sensitive to the aforementione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72 and generates an induced voltage.

제1, 2 여과필터(42, 44)의 상측에 급수관(25)이 관통되는 상측 필터커버체(46)가 씌워져, 펌프(20)와 제1, 2여과필터(42,44)의 상측부를 밀폐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filter cover bodies 46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ipe 25 penetrates are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s 42 and 44,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pump 20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s 42 and 44 are disposed. It can be sealed.

급수관(25)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펌프(20)로부터 토출된 물이 상측으로The water supply pipe 25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is upward.

이송된 다음, 배출될 수 있다.After being transported, it can be discharged.

급수 플레이트(30)는 도 4를 참조하면, 평활한 상측면(31)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 급수홀(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보스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홀(32)은 보스부(33)를 관통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4,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of a plate having a smooth upper surface 31, a water supply hole 3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and a boss portion 33 protruding downwardly ) Is formed, and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be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boss portion 33.

급수 플레이트(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와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late 30 is formed in a disc shap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급수 플레이트(30)의 상측면(31)은 가장자리(311)를 향하여 상측으로 높아지는 평활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급수홀(32)은 상측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급수홀(32)에 노즐 마개(34)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급수홀(32)과 노즐마개(34) 사이에 링형상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as a smooth surface that rises upward toward the edge 311, and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diameter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A ring-shaped outlet may be formed between the water supply hole 32 and the nozzle stopper 34 by arranging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nozzle stopper 34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hole 32.

따라서, 급수관(25)의 출수구로부터 토출된 물은 링형상의 배출구를 통하여 링형상으로 분출되어 급수 플레이트의 상측면(31) 중앙으로 공급되고, 상측면(31)의 중앙으로 공급된 물은 가장자리(311)를 향하여 상측면(31)을 따라 흐른 다음, 가장자리(31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pipe 25 is ejected in a ring shape through the ring-shaped outlet and suppli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31 is the edge After flowing along the upper side 31 toward (311), it may fall vertically from the edge (311).

상기 급수 플레이트(30)의 하측에 급수 플레이트(30)를 받쳐주는 플레이트 지지대(36)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지지대(36)는 후술하는 발광체 지지대(62)나 도광판(63)에 받쳐져 지지될 수 있다.A plate support 36 for supporting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disposed under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plate support 36 is supported by a light emitter support 62 or a light guide plate 63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upported.

플레이트 지지대(36)의 보스부(364)에 형성된 홀에 급수 플레이트(30)의 보스부(33)가 삽입되고 양자 보스부(33, 364)의 사이에 패킹링(37)이 강제 삽입될 수 있다.The boss portion 33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boss portion 364 of the plate support 36 and the packing ring 37 can be forcibly inserted between the quantum boss portions 33 and 364. have.

급수관(25)을 통과하거나 배출되는 물을 살균시키기 위한 살균필터로서 UV필터(49)가 급수관(25)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As a sterilizing filter for steriliz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o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5, a UV filter 49 may be disposed around the water supply pipe 25.

한편, 플레이트 지지대(36)의 저면에 보강링(39)이 배치될 수 있고, 보강링(39)은 후술하는 발광체 지지대(62)의 보강리브(621)에 받쳐질 수 있다. Meanwhile, the reinforcing ring 39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36, and the reinforcing ring 39 may be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rib 621 of the light emitter support 62 described later.

급수 플레이트(30) 및 플레이트 지지대(36)의 하측에 조명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60 may be installed under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plate support 36.

상기 조명장치(60)는 도 4를 참조하면, 발광체(61)와, 상기 발광체(61)가 설치되는 지지대(62)와, 상기 발광체 지지대(62)의 외곽에 배치되는 도광판(6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6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lighting device 60 includes a light emitter 61, a support 62 on which the light emitter 61 is installed, and a light guide plate 63 disposed outside the light emitter support 62. It can be, the support 6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도광판(63)은 상측으로 확개된 나팔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단부가 급수 플레이트의 가장자리(311) 및 플레이트 지지대(36)의 가장자리와 접촉되고, 하측단부가 구획판(38)에 재치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plate 63 may be formed in a trumpet shape extending upward, the upper end contacting the edge 311 of the water supply plate and the edge of the plate support 36, and the lower end being mounted on the partition plate 38. Can be.

도광판(63)의 외측면은 급수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로부터 하측방향을 향하여 점차 내측으로 들어가는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집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로부터 낙하한 물은 도광판(63)에 부딪히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63 forms an inclined surface that gradually enters inward from the edge 31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oward the lower side, the water dropped from the edge 311 of the water collecting plate 30 is the light guide plate 63 ), It can fall vertically without hitting it.

물받이(50)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급수 플레이트(30)의 하측에 위치되고, 수조(10)의 개방된 상측을 씌워주도록 배치되어,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수조(10)로 배출할 수 있다.1, 2, 5 and 6, the water receiving plate 50 is located under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ope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the water supply plate 30 Water dropped from the edge 311 may be discharged to the water tank 10.

물받이(50)는, 측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측벽부(51)와, 상기 측벽부(51)의 하측단부로 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닥벽부(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p tray 50 may include a side wall portion 51 forming a side edge and a bottom wall portion 52 that is bent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51 and extends horizontally.

상기 바닥벽부(52)에는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물받이(50)로 낙하된 물을 수조(10)의 내부로 배출하는 홀(5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56)은 바닥벽부(52)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원형 홀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wall portion 52 may be formed with a hole 53 for discharging the water dropped from the water supply plate 30 to the drip tray 50 into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hole 56 is a bottom wall portion ( 52)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circular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측벽부(51)의 내면(512)에 피복층(54)이 코팅될 수 있고, 상기 피복층(54)은 물받이(5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미감이 향상되거나,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낙하되는 물이 부딪히면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50)는 PVC로 제조되고, 상기 피복층(54)은 스테인레스 또는 세라믹 재질일 수 있다.A coating layer 54 may be coated on the inner surface 512 of the side wall portion 51, and the coating layer 5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drip tray 50 to improve aesthetics or soften the touc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ing water from scattering as it hits. The drip tray 50 is made of PVC, and the coating layer 54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or ceramic.

또한, 상기 피복층(54)은 물받이(50)의 측벽부 및 바닥벽부의 표면 전체면에 걸쳐 도포될 수도 있고, 상기 측벽부의 표면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ating layer 54 may be appli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wall portion of the drip tray 50, or may be applied only to th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한편, 상기 피복층(54)에 향균성 재료 등이 첨가되어, 물과 항상 접촉되는 물받이(50)가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악취나 세균의 증식이 방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antibacterial material or the like is added to the coating layer 54, so that even when the drip tray 50, which is always in contact with water, is used for a long time, the growth of odor or bacteria can be prevented.

물받이의 측벽부(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의 측벽(11)보다 높이가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향 연장부(51a)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상향 연장부(51a)는, 수조의 측벽과 외측으로 소정각도(θ), 예를들면 120°각도를 이루면서 상측 측벽(11a)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ide wall portion 51 of the drip tray may include an upward extension portion 51a extending upward from the side wall and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so as to have a greater height than the side wall 11 of the water tank, and the upward extension The portion 51a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upper sidewall 11a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θ, for example, 120 °, to the sidewall and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물받이의 측벽부(51)의 외측면은 아웃터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수조(10)의 측벽(11)의 이너 경사면(113)에 받쳐져 지지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51 of the drip tray is formed as an outer inclined surface, and can be supported and supported by the inner inclined surface 113 of the side wall 11 of the water tank 10.

따라서, 물받이(50)는 수조(30)의 측벽(11)의 이너 경사면(113)에 올려진 상태로 수조(3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drip tray 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30 while being raised on the inner inclined surface 113 of the side wall 11 of the water tank 30.

한편, 물받이(50)의 바닥벽부(52)는 내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내측단부(52a) 위에 전술한 상측 필터커버체(46)가 올려져 지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wall portion 52 of the drip tray 50 is further extended inwardly, the upper filter cover body 46 described above can be supported on the inner end portion 52a.

도 2를 참조하면, 상측이 개방된 사각통체 형상의 상측 필터커버체(46)와, 구획판(38) 사이에 수조(10)와 밀폐되는 전장실(S)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장실(S)에 보조 베터리(B) 및 컨트롤러(C) 등이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between the upper filter cover body 46 having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 partition plate 38, a water tank 10 and an electric field chamber S closed may be formed, and the electric field may be formed. An auxiliary battery B and a controller C may be installed in the seal S.

상기 물받이의 제2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물받이(50')는 측벽부(51')의 내면에 다수의 요철(55)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체(61)로부터 투과된 광이 요철에 의하여 난반사됨으로써 미감이 향상됨과 아울러 반려동물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drip tray is shown in FIG. 7. In the drip tray 50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55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51', so that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61 is diffusely reflected by the irregularities,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and being rejected. Can stimulate animal curiosity.

한편, 상기 급수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된 물이 튀기지 않도록 상기 요철의 경사각, 형상, 모양 등을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inclination angle, shape, shape, etc. of the irregularities so that the water dropped from the water supply plate 30 does not splash.

한편, 여과필터(40), 펌프(20), 급수관(25), 급수 플레이트(30), 조명장치(60)는 서로 일체가 되도록 결합 또는 조립되어 단일의 이너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ration filter 40, the pump 20, the water supply pipe 25,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lighting device 60 may be combined or assembled so as to be integral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inner assembly.

따라서, 수조(10)에, 물받이(50)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물받이(50)에 상기이너조립체의 상측 필터커버체(46)를 올려놓으면 이너조립체가 탈착 가능토록 수조(10)에 배치되므로, 수조(10)로부터 이너조립체를 분리하여 수조의 세척 및 각종 부품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after placing the trough 50 on the water tank 10, and then placing the upper filter cover body 46 of the inner assembly on the trough 50, the inner assembly is disposed on the water tank 10 to be detachable. , By separating the inner assembly from the water tank 10, washing of the water tank and maintenance of various parts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급수기의 사용시 반려동물의 크기 및 습성에 적합한 크기, 형상 또는 모양을 갖는 물받이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water supply can be used or replaced by selecting a drip tray having a size, shape or shape suitable for the size and habit of the companion animal.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 knowledgeable person,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수조 11: 측벽
20: 펌프 25: 급수관
30: 급수 플레이트 40: 여과필터
42: 제1 여과필터 44: 제2 여과필터
50: 물받이 51: 측벽부
52: 바닥벽부 54: 코팅층
61: 발광체
62: 발광체 지지대 63: 도광판
71: 도킹 스테이션 72: 무선전력수신부
73: 무선전력송신부
10: tank 11: side wall
20: pump 25: water supply pipe
30: water supply plate 40: filtration filter
42: first filtration filter 44: second filtration filter
50: drip tray 51: side wall
52: bottom wall portion 54: coating layer
61: luminous body
62: light emitter support 63: light guide plate
71: docking station 72: wireless power receiver
73: wireless power transmitter

Claims (11)

상측이 개구된 측벽을 구비한 수조;
수조 내에 설치된 펌프;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이 이송되는 급수관;
상기 수조의 측벽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물이 흐르는 급수 플레이트;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올려져 지지되고, 상기 수조의 외측방향을 항하여 돌출되는 연장부를 구비한 물받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A water tank having a side wall with an open top side;
A pump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transferred;
A water supply plat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a sidewall of the water tank and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lows;
I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pl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is supported by being mounted on the water tank,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water tank; Included pet water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연장부를 구비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수조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바닥벽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rip tray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having the extension portion and a bottom wall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from the side wall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바닥벽부에 수조로 물을 배출하는 홀이 형성된 반려동물 급수기.
According to claim 2,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is formed with a hol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bottom wall portion of the drip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연장부는 상기 수조의 측벽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개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drip tray is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that is expanded to the outside from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toward the upp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연장부는 상기 수조의 측벽과 각도 120°를 이루도록 연장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ded portion of the drip tray is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that extends to form an angle of 120 ° with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측벽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수조의 중앙을 향하여 기울어진 아웃터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터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조의 측벽의 이너 경사면과 접촉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drip tray is provided with an outer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toward the lower side,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inclined surface of the pet water supply to contact the inner inclined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피복층이 코팅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According to claim 1,
A pet water dispenser in which a coating layer is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tra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스테인리스 재질인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coating layer is a pet water heater made of stainless stee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세라믹 재질인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coating layer is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made of ceram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내측면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반려동물 급수기.
According to claim 1,
A companion animal waterer having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의 펌프, 급수관 및 급수 플레이트는 단일의 이너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일의 이너조립체는 상기 물받이에 재치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water supply pipe and water supply plate of the water supply form a single inner assembly,
The single inner assembly is a companion animal water heater placed on the drip tray.
KR1020180131405A 2018-09-19 2018-10-31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200048852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05A KR20200048852A (en) 2018-10-31 2018-10-31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US16/569,908 US11590438B2 (en) 2018-09-19 2019-09-13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EP19198289.1A EP3626056A1 (en) 2018-09-19 2019-09-19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201910886533.7A CN110915682B (en) 2018-09-19 2019-09-19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05A KR20200048852A (en) 2018-10-31 2018-10-31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52A true KR20200048852A (en) 2020-05-08

Family

ID=7067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405A KR20200048852A (en) 2018-09-19 2018-10-31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8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0438B2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EP3542621B1 (en) Pet water fountain
EP3626065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5577461A (en) Pet food dish
US20210144964A1 (en) Two-layer pet waterer
US8646413B2 (en) Non-skid double-layer pet bowl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20125263A1 (en) Pet Watering and Feeding Device
US9258979B2 (en) Pet watering device
US10426137B2 (en) Animal trough
US10785955B2 (en) Insect-free pet feeder system
US7806081B2 (en) Nectar feeder
AU2018297940A1 (en) Dripless dog bowl
KR20220119356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JP7130857B2 (en) pet waterer
KR20160040407A (en) The food container for companion animals
KR20200048852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200043028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US1113887A (en) Feed and water reservoir.
JP2013106558A (en) Drinking water container for pet
KR20210000770U (en) Water feeder for pet
JP7197691B2 (en) pet waterer
KR20200042637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180066794A (en) A bowl for pet
KR20200033137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200043264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