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790A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Google Patent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790A
KR20200048790A KR1020180131255A KR20180131255A KR20200048790A KR 20200048790 A KR20200048790 A KR 20200048790A KR 1020180131255 A KR1020180131255 A KR 1020180131255A KR 20180131255 A KR20180131255 A KR 20180131255A KR 20200048790 A KR20200048790 A KR 2020004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0864B1 (en
Inventor
이동훈
한슬기
손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3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864B1/en
Publication of KR2020004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86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d to an optical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The optical laminate secures stable durability even at high temperature, especially at ultra high temperatures of about 100°C, suppresses or prevents foaming phenomenon in an adhesive layer, and is excellent in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other optical laminates. In addition, even when the adhesive is disposed adjacent to an electrode, the corrosion of the electrode is suppressed.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Adhesive composi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 optical laminate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formed therefrom.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편광판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필름이 적용된다. 이러한 광학 필름은, 일반적으로 점착제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광학 필름과 점착제에 대해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이나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이나 점착제는 매우 높은 온도에서 장기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성능이 유지될 것이 요구된다.Various optical films such as polarizers are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Such an optical film is generally attached to a display device with an adhesive. In this case, high reliability is required for the optical film and the adhesive. For example, it is required that the optical film or adhesive used in a navigation or vehicle display is stably maintained even when maintained at a very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대표적인 광학 필름인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소자인 편광자와 그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이다.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는, 소위 TAC(triacetyl cellulose)계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TAC 필름은 투습도가 높기 때문에 고온고습 조건에서 수분이 편광자로 침투하면서 빛샘이나 휨과 같은 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분 침투 문제로 인해 TAC 필름을 저투습성 필름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지만, 소수성을 갖는 저투습성 필름의 경우, 점착제와 기재 사이의 밀착력, 즉 투묘력(keying force)이 낮은 문제가 있다.A typical polarizing plate, which is an optical film, is a multi-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polarizer that is a device that generally exhibits a polarization function and a protective film that protects the polarizer. As a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er, a so-called TAC (triacetyl cellulose) -based film is used. However, since the TAC film has high moisture permeability, defects such as light leakage and warpage occur as moisture penetrates the polarizer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Due to this moisture permeation problem, a method of replacing the TAC film with a low moisture permeable film is considered, but in the case of a low moisture permeable film having hydrophobicity, there is a problem of low adhesion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substrate, that is, low keying force. have.

한편,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편광판의 경우, 가교제 등과의 반응을 통해 응집력을 확보하고 적절한 고온 신뢰성을 편광판에 제공하기 위하여 산성(acid) 단량체를 포함하는 점착제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산계 단량체는 점착제 수지 자체의 하드니스(hardness)를 증가시키고, 산계 단량체가 갖는 극성으로 인해 점착력을 상승시킨다. 그러나, 산성분은 예를 들어 LCD 패널의 ITO를 부식시켜 얼룩이나 터치 불량을 야기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olarizing plate used in a vehicle display, an adhesive containing an acid monomer is used to secure cohesive force through reaction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like and provide proper high temperature reliability to the polarizing plate. Specifically, the acid-based monomer increases the hard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itself, and increases the adhesion due to the polarity of the acid-based monomer. However, the acid component may, for example, corrode ITO of the LCD panel, causing stains or poor touch.

본 출원의 일 목적은 점착 조성물 및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n optical laminate.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점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점착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라 제공되는 점착 조성물 및 점착층은 아래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used to form an adhesive layer of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 polariz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저투습성 필름이 점착제층과 함께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는 경우, 저투습성 필름의 낮은 투습도와 소수성으로 인하여 점착제에 발포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100℃이상의 초고온 조건 하에서는 발포 현상이 보다 쉽게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이 적용된 경우에도 발포 현상이 억제되고, 안정적인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점착제가 필요하다.Specifically, when the low moisture-permeable film forms an optical laminate together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aming phenomenon is likely to occu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ue to the low moisture permeability and hydrophobicity of the low moisture-permeable film, and particularly, the foaming phenomenon is more easily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100 ° C or higher. There is a provoking problem. That is, even when a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is applied, a foaming phenomenon is suppressed,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pable of providing stable durability is required.

또 다른 문제로, 아크릴계 필름은 상대적으로 난접착성을 갖고 있어서, 저투습성 아크릴 필름을 갖는 편광판과 점착제 간의 기재 밀착성, 즉 투묘력(Keying force)은 좋지 못하다. 특히, 고온 조건에서는 편광판과 점착제간의 분리가 일어날 수 있고, 편광판을 피착제로부터 분리할 때 점착제가 편광판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면서 피착제에 잔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As another problem, the acrylic film has relatively poor adhesiveness, and thus the adhesion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low moisture permeability acrylic film and the adhesive, that is, the keying force is not good. Particularly, in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separation between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adhesive may occur, and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adhesive sticks off the polarizing plate and remains on the adhesiv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력, 고온 내구성 및 투묘력(keying force)을 개선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발명자는 특정 구조의 가교제와 다른 가교제를 소정 함량 범위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은 인접 구성(예: 저투습 필름 또는 편광자)의 변형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그 결과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이 광학 적층체에 적용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온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발포 현상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In view of thi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improve adhesion, high temperature durability, and keying force. More specifically, when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of a specific structure and a different cross-linking agent in a predetermined content rang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therefrom may be modified in an adjacent configuration (for example, a low moisture-permeable film or polarizer). It can be sensitively reacted,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oaming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while stably maintaining high temperature durability even when a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is applied to the optical laminate.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중합체 및 적어도 2 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중합체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같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상태로 하기 설명되는 점착제층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점착 중합체는 가교성 또는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n adhesive polymer and at least two isocyanate compounds. Accordingly, the polymer may be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escribed below in a state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isocyanate compound. To this end, as described later, the adhesive polymer may include a crosslinkable or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

본 출원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및 비방향족 이소시이아네이트 화합물(C)을 가교제로서 동시에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C)는 HDI(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유래의 화합물로서, 아래 설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발명자는 TDI(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외에도, 그 보다 경화속도가 느린 화합물(C)를 가교제로 적용함으로써 투묘력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상기 화합물(C)의 경화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점착제 자체의 응집력이 형성되는 시간이 느려질 수 있으나, 느린 경화 속도만큼 상기 화합물(C)이 기재 밀착성 개선에 사용될 수 있고, 그 결과 점착제층의 투묘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 다만, 화합물(C)만 사용할 경우에는 점착제 자체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낮아질 위험이 있으므로, 화합물(B)와 화합물(C)를 적정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imultaneously comprises an aromatic isocyanate compound (B) and a non-aromatic isocyanate compound (C) as a crosslinking agent. The compound (C) is a compound derived from H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may have a structure described below. Specifical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nfirmed that, in addition to an aromatic isocyanate compound such as TDI (toluene diisocyanate), a slower curing rate compound (C) can be applied as a crosslinking agent to improve anchoring power. Since the curing speed of the compound (C) is slow, the time during which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tself is formed may be slow, but the compound (C) can be used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bstrate by the slow curing speed, and as a result, the anchoring pow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mproved It works. However, when only the compound (C) is used, there is a risk that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tself is too low, so it is preferable to use the compound (B) and the compound (C) in appropriate amounts.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B)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부틸)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나프탈렌,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디페닐에테르,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벤질-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페닐)에틸렌, 3,3-디메톡시비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 aromatic isocyanate (B) as an isocyanate compound. The kind of aromatic isocyanate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oluene diisocyanate (TDI), xylylenediisocyanate (XDI), bis (isocyanatoethyl) benzene, bis (isocyanatopropyl) benzene, bis (isocyanatobutyl) benzene, bis (Isocyanatomethyl) naphthalene, bis (isocyanatomethyl) diphenyl ether, phenylenediisocyanate, ethylphenylenediisocyanate, isopropylphenylenediisocyanate, dimethylphenylenediisocyanate, diethylphenylenediisocyanate, diisopropyl Phenylenediisocyanate, trimethylbenzenetriisocyanate, benzenetriisocyanate, biphenyldiisocyanate, toluidinediisocyanate, diphenylmethanediisocyanate (MDI), 3,3-dimethyldiphenylmethane-4,4-diisocyanate, bibenzyl- 4,4-diisocyanate, bis (isocyanatophenyl) ethylene, 3,3-dimethoxybiphenyl-4,4-diisocyanae , Hexahydro-benzene diisocyanate, hexahydro-di-aromatic isocyanate compounds such as diphenylmethane-4,4-diisocyanate can be used.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n isocyanate compound (C)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가 1 내지 10 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이고, A1, A2 및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이고, m은 2 내지 5 사이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10 사이의 정수이다In Chemical Formula 1, R is a straight or branched alkyl or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1, A2 and A3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ene group or an alkylidene group, and m is an integer between 2 and 5 , n is an integer between 2 and 10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4 인 알킬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n의 수에 따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기일 수 있다.In one example, R in Formula 1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may be, for example, a methyl, ethyl, propyl or butyl group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n.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 1에서, A1, A2, 및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 사이의 알킬렌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틸렌, 에틸렌, 펜틸렌, 헥실렌 또는 옥틸렌일 수 있다. In one example, in Formula 1, A1, A2, and A3 may each independently be alkylene having 1 to 8 carbon atoms, for example, methylene, ethylene, pentylene, hexylene, or octylen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와 같은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2 개 이상의 알코올 작용기를 가지는 다작용성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다작용성 알코올의 작용기는 폴리에스테르와의 탈수축합반응을 하고, 3차원 구조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작용성 알코올의 반응기가 3개 이상일 수 있고, 이러한 다작용성 알코올의 비제한적인 일례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메탄, 글리세린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을 예로 들 수 있다.In one example, such a compound may be obtained, for example, by reacting a polyester-based polyol, an isocyanate, and a polyfunctional alcohol having two or more alcohol functional groups. The functional group of the polyfunctional alcohol undergoes a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ith polyester, and form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eferably, there may be three or more reactors of the polyfunctional alcohol, and non-limiting examples of such polyfunctional alcohols include trimethylolpropane, trimethylolmethane, glycerin or pentaerythritol.

상기와 같은 화합물은 상대적으로 느린 가교속도를 갖기 때문에 기재와의 밀착성 향상에 보다 많은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특유의 구조로 인해 신축성(플렉서블 특성)을 갖질 수 있으며, 그 결과 투묘력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Since such a compound has a relatively slow crosslinking rate, more crosslinking agents can be used to improve adhesion to the substrate, and it can have elasticity (flexible properties) due to the unique structure described above, resulting in improved anchoring power It is believed to contribute.

하나의 예시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B)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을 5 내지 60 중량부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의 상기 함량의 하한은 예를 들어, 6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상, 9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상, 11 중량부 이상, 12 중량부 이상, 13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상 또는 15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한은 예를 들어, 55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하, 또는 40 중량부 이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35 중량부 이하, 34 중량부 이하, 33 중량부 이하, 32 중량부 이하, 31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하, 29 중량부 이하, 28 중량부 이하, 27 중량부 이하, 26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목적하는 점착제의 투묘력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isocyanate compound (C)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isocyanate (B) in a range of 5 to 60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isocyanate compound (C) is, for example, 6 parts by weight or more, 7 parts by weight or more, 8 parts by weight or more, 9 parts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more, 11 parts by weight or more, 12 It may be at least 13 parts by weight, at least 13 parts by weight, at least 14 parts by weight, or at least 15 parts by weight. And, the upper limit may be, for example, 55 parts by weight or less, 50 parts by weight or less, 45 parts by weight or less, or 40 parts by weight or less, more specifically 35 parts by weight or less, 34 parts by weight or less, 33 parts by weight or less , 32 parts by weight or less, 31 parts by weight or less, 30 parts by weight or less, 29 parts by weight or less, 28 parts by weight or less, 27 parts by weight or less, 26 parts by weight or less, or 25 parts by weight or less. When satisfying the above content rang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anchoring power and durability of the desired adhesiv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외의 가교제(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아지리딘계 가교제로는, N,N -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및/또는 바나듐과 같은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 에틸 등에 배위하고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나열된 것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D) other than isocyanate. The type of such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crosslinking agent can be used. For example, an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an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a metal chelate-based crosslinking agent, and the like can be used. Specifically, as the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triglycidyl ether,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N, N, N ', N'-tetraglycidyl ethylenediamine and glycerin diglycin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dyl ether may be used, and as the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N, N-toluene-2,4-bis (1-aziridinecarboxamide), N, N'-diphenylmethane Group consisting of -4,4'-bis (1-aziridinecarboxamide), triethylene melamine, bisisophthaloyl-1- (2-methylaziridine) and tri-1-aziridinylphosphine oxide One or more selected from may be used, and as the metal chelating crosslinking agent, a polyvalent metal such as aluminum, iron, zinc, tin, titanium, antimony, magnesium, and / or vanadium coordinates acetyl acetone or ethyl acetoacetate. Can be used, but the above But it is not limited to those.

하나의 예시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B)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교제(D)를 0.1 내지 5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교제(D)의 상기 함량 하한은 예를 들어, 0.2 중량부 이상, 0.3 중량부 이상, 0.4 중량부 이상 또는 0.5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한은 예를 들어,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또는 2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crosslinking agent (D) in the range of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isocyanate (B). More specifically,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D) may be, for example, 0.2 parts by weight or more, 0.3 parts by weight or more, 0.4 parts by weight or more, or 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the upper limit may be, for example, 4 parts by weight or less, 3 parts by weight or less, or 2 parts by weight or less.

하나의 예시에서, 사용되는 전체 가교제의 함량과 관련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은 점착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비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범위 내로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비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범위 내로 가교제(B 및 C)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비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범위 내로 가교제(B, C 및 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층간 박리나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내구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one example, with respect to the content of the total crosslinking agent us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in the range of 0.0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polymer (A).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cross-linking agents (B and C) in the range of 0.0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polymer (A). Or,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B, C, and D) in the range of 0.0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polymer (A).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durability reliability, such as interlayer peeling or lifting, while maintaining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상기 전체 가교제의 함량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0.005 중량부 이상, 0.01 중량부 이상, 0.05 중량부 이상 또는 0.1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약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또는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The content ratio of the total crosslinking agent may be about 0.005 parts by weight or more, 0.01 parts by weight or more, 0.05 parts by weight or more, or 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about 9 parts by weight or less, 8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less, 6 It may be up to 5 parts by weight, up to 4 parts by weight, up to 3 parts by weight, up to 2 parts by weight, or up to 1.5 parts by weigh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 중합체는 아크릴 중합체일 수 있다. 용어 아크릴 중합체는,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단량체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유도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주성분으로 포함된다는 것은, 해당 성분의 비율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중합체(A) 내에서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분의 (중량) 비율은 중합체 형성시 사용되는 단량체의 함량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상한은 100 %일 수 있다. 또한, 중합체에 포함되는 단위는,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상기 중합체의 주쇄 및/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In one example, the adhesive polymer may be an acrylic polymer. The term acrylic polymer has a property capable of forming an adhesive, and may mean a polymer containing an acrylic monomer unit as a main component. The term acrylic monomer may mean a derivative of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meth) acrylic acid ester. In addition, being included as the main component in the above, the proportion of the component is 50% or more, 55% or more, 60% or more, 65% or more, 70% or more, 75% or more in the polymer (A) by weight, It may mean a case of 80% or more, 85% or more, 90% or more, or 95% or more. At this time, the (weight) ratio of the component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as the content of the monomer used in forming the polymer.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may be 100%. In addition, the unit contained in the polymer means a state in which the monomer forms a main chain and / or a side chain of the polymer through a polymerization reaction.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 중합체는, (1) 탄소수가 4 이상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 (2) 탄소수가 3 이하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 (3)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단위 및 (4)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 조성은 점착제층이 우수한 고온 내구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기타 점착제에 요구되는 물성인 재작업성, 절단성, 들뜸 및 발포 방지성 등도 우수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dhesive polymer is (1) an alkyl (meth) acrylate unit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2) an alkyl (meth) acrylate unit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3 or less carbon atoms, (3) aromatic Group-containing monomer units and (4)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s. Such a monomer composition can ensur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s excellent high-temperature durability,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excellent reworkability, cutability, lifting and anti-foaming properties, which are required for othe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상기에서 (1) 단위로는, 점착제의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또는 점착성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가 4 이상인 알킬기, 예를 들면 탄소수가 4 내지 14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된다.In the above (1)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cohesive forc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r tacki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unit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for example, an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4 carbon atoms, Can be used. Examples of the above alkyl (meth) acrylate include n-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and 2-ethylhex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and tetra Dec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and one or two or more of the above may be applied. Generally, n-butyl acrylate or 2-ethylhexyl acrylate is used.

상기 (1) 단위의 중합체 내에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약 50 내지 70 중량%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85 중량% 이하일 수 있다.The ratio in the polymer of the unit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50 to 70% by weight. The ratio may be up to about 85% by weight in other examples.

상기 (2) 단위로는, 탄소수가 3 이하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가 사용된다. 이러한 단위는 점착제가 고온에서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적절한 예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다.As the unit (2), an alkyl (meth) acrylate unit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3 or less carbon atoms is used. These units can ensur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ecures excellent durability and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s. As the monomer capable of forming the unit,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or isopropyl (meth) acrylate, etc. may be exemplified, and suitable examples Is methyl acrylate.

상기 (2) 단위는 상기 (1) 단위 100 중량부 기준 약 15 내지 45 중량부의 비율로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율의 하한은 예를 들어, 16 중량부 이상, 17 중량부 이상, 18 중량부 이상, 19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1 중량부 이상, 22 중량부 이상, 23 중량부 이상, 24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26 중량부 이상, 27 중량부 이상, 28 중량부 이상, 29 중량부 이상 또는 30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율의 상한은, 예를 들어, 40 중량부 이하, 39 중량부 이하, 38 중량부 이하, 37 중량부 이하, 36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34 중량부 이하, 33 중량부 이하, 32 중량부 이하, 31 중량부 이하 또는 3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The unit (2)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in a ratio of about 15 to 4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nit (1). Specifically,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is, for example, 16 parts by weight or more, 17 parts by weight or more, 18 parts by weight or more, 19 parts by weight or more, 20 parts by weight or more, 21 parts by weight or more, 22 parts by weight or more, 23 parts by weight It may be at least 24 parts by weight, at least 25 parts by weight, at least 26 parts by weight, at least 27 parts by weight, at least 28 parts by weight, at least 29 parts by weight, or at least 30 parts by weight. And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is, for example, 40 parts by weight or less, 39 parts by weight or less, 38 parts by weight or less, 37 parts by weight or less, 36 parts by weight or less, 35 parts by weight or less, 34 parts by weight or less, 33 parts by weight or less , 32 parts by weight or less, 31 parts by weight or less, or 30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3) 단위로는,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의 단위, 예를 들면, 방향족환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단위가 사용된다.As the unit (3), a unit of an aromatic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a unit of an (meth) acrylate-based monomer having an aromatic ring is used.

이러한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의 단량체가 예시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aromatic group-containing monomer capable of forming such a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monom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may be exemplified.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A는 알킬렌을 나타내며, n은 0 내지 3의 범위 내의 정수를 나타내고, Q는 단일결합, -O-, -S- 또는 알킬렌을 나타내며, P는 방향족환을 나타낸다.In Formula 2, R1 represents hydrogen or alkyl, A represents alkylene, n represents an integer in the range of 0 to 3, Q represents a single bond, -O-, -S- or alkylene, P represents Aromatic ring.

화학식 2에서 단일 결합은 양측의 원자단이 별도의 원자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결합된 경우를 의미한다.In Formula 2, a single bond means a case in which the atomic groups on both sides are directly bonded without mediating a separate atom.

화학식 2에서, R1은, 예를 들면,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이거나,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일 수 있다.In Formula 2, R1 may be, for example, hydrogen or alky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hydrogen, methyl or ethyl.

화학식 2의 정의에서, A는 탄소수 1 내지 12 또는 1 내지 8의 알킬렌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틸렌, 에틸렌, 헥실렌 또는 옥틸렌일 수 있다. In the definition of Formula 2, A may be alkylene having 1 to 12 or 1 to 8 carbons, for example, methylene, ethylene, hexylene or octylene.

화학식 2에서, n은 예를 들면, 0 내지 2의 범위 내의 수이거나, 0 또는 1일 수 있다.In Formula 2, n may be, for example, a number in the range of 0 to 2, or 0 or 1.

화학식 2에서 Q는 단일 결합, -O- 또는 -S-일 수 있다.Q in Formula 2 may be a single bond, -O- or -S-.

화학식 2에서, P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치환기로서,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환 유래 관능기, 예를 들면, 페닐, 비페닐, 나프틸 또는 안트라세닐일 수 있다.In Formula 2, P is a substituent derived from an aromatic compound, and may be, for example, a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20 carbon atoms, for example, phenyl, biphenyl, naphthyl or anthracenyl.

화학식 2에서, 방향족환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에서 치환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할로겐 또는 알킬이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이나, 염소, 브롬,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노닐 또는 도데실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Formula 2, the aromatic ring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by one or more substituents,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substituents are halogen or alkyl, halogen or alkyl having 1 to 12 carbons, chlorine, bromine, methyl, ethyl, and propyl. , Butyl, nonyl or dodecyl, but is not limited thereto.

화학식 2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닐티오-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이소프로필 페녹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sec-부틸 페녹시)-1-헥실 (메타) 아크레이트, 2,6-디브로모-4-노닐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도데실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1-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1-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2-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1-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8-(2-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of Formula 2 are phenoxy ethyl (meth) acrylate, benzyl (meth) acrylate, 2-phenylthio-1-ethyl (meth) acrylate, 6- (4,6-dibromo-2 -Isopropyl phenoxy) -1-hexyl (meth) acrylate, 6- (4,6-dibromo-2-sec-butyl phenoxy) -1-hexyl (meth) acrylate, 2,6-di Bromo-4-nonylphenyl (meth) acrylate, 2,6-dibromo-4-dodecyl phenyl (meth) acrylate, 2- (1-naphthyloxy) -1-ethyl (meth) acrylate , 2- (2-naphthyloxy) -1-ethyl (meth) acrylate, 6- (1-naphthyloxy) -1-hexyl (meth) acrylate, 6- (2-naphthyloxy) -1 -Hexyl (meth) acrylate, 8- (1-naphthyloxy) -1-octyl (meth) acrylate and 8- (2-naphthyloxy) -1-octyl (meth) acrylate Mixing may be mentio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3) 단위는 상기 (1) 단위 100 중량부 대비 약 10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율의 하한은 예를 들어, 11 중량부 이상, 12 중량부 이상, 13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16 중량부 이상, 17 중량부 이상, 18 중량부 이상, 19 중량부 이상 또는 20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율의 상한은 예를 들어, 35 중량부 이하, 34 중량부 이하, 33 중량부 이하, 32 중량부 이하, 31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하, 29 중량부 이하, 28 중량부 이하, 27 중량부 이하, 26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The (3) unit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in a ratio of about 10 to 4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1) unit. Specifically,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is, for example, 11 parts by weight or more, 12 parts by weight or more, 13 parts by weight or more, 14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16 parts by weight or more, 17 parts by weight or more, 18 parts by weight or more Or more, 19 parts by weight or more, or 2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is, for example, 35 parts by weight or less, 34 parts by weight or less, 33 parts by weight or less, 32 parts by weight or less, 31 parts by weight or less, 30 parts by weight or less, 29 parts by weight or less, 28 parts by weight or less , 27 parts by weight or less, 26 parts by weight or less, or 25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4) 단위로는, 극성 관능기로서 히드록시기나 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는, 필요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가교제 등과의 반응을 통해 응집력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절한 고온 신뢰성 등의 확보를 위해서 상기 극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로는, 탄소수가 3 내지 6의 범위 내인 히드록시알킬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unit (4), a unit of a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l group as a polar functional group may be used. If necessary, these units may serve to impart cohesive force or the like through reaction with a crosslinking agent or the like described below. In order to ensure proper high-temperature reliability and the like, as the monomer having the polar functional group, a hydroxyalkyl (meth) acrylate o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having a hydroxyalk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can be used.

탄소수가 3 내지 6의 범위 내인 히드록시알킬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일 예시에서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As a hydroxyalkyl (meth) acrylate having a hydroxyalk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or 6-hydroxy Hex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and 4-hydroxybutyl (meth) acrylate can be used in one example.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아크릴산이 적용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 acrylic acid, 2- (meth) acryloyloxy acetic acid, 3- (meth) acryloyloxy propyl acid, 4- (meth) acryloyloxy butyric acid, and acrylic acid doublets , Itaconic acid, maleic acid, maleic anhydrid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and acrylic acid can generally be applied.

다만, 점착제층이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전극과 인접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점착제층에 카복실기가 다량 포함되면, 전극의 부식 등을 유발하여 기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카복실기를 가지는 성분은 적용되지 않거나, 그 적용 비율의 상한이 제한될 필요가 있다.Howev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used adjacent to an electrode such as ITO (Indium Tin Oxide),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s a large amount of carboxyl groups, corrosion of the electrode may be caused,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Therefore, the component having a carboxyl group is not applied, or the upper limit of the application rate needs to be limited.

상기 (4) 단위는 상기 (1) 단위 100 중량부 대비 약 0.5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1.0 중량부 이상 또는 1.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거나, 약 5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또는 4.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4) 단위가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단위인 경우에는, 상기 비율은 상기 (1) 단위 100 중량부 대비 약 4.5 중량부 이하, 약 4 중량부 이하, 약 3.5 중량부 이하, 약 3 중량부 이하, 약 2.5 중량부 이하 또는 2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The (4) unit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in a ratio of about 0.5 to 5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1) unit. In another example, the ratio may be about 1.0 part by weight or more or 1.5 parts by weight or more, or about 5 parts by weight or less, 4.5 parts by weight or 4.0 parts by weight or less. Particularly, when the (4) unit is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 the ratio is about 4.5 parts by weight or less, about 4 parts by weight or less, about 3.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about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1) unit. Parts or less, about 2.5 parts by weight or less, or 2 parts by weight or less.

점착 중합체가 상기 언급한 단량체의 단위를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에 그 비율이 조절됨으로 해서, 점착제층에 고온에서 안정적인 내구성이 확보되고, 기타 점착제층에 요구되는 물성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전극과 인접 배치되는 경우에도 해당 전극의 부식 등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The adhesive polymer contains the units of the above-mentioned monomers, and if necessary, the ratio is adjusted to ensure stable dur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oth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are also stably maintained, adjacent to the electrode. Even if disposed, it may not cause corrosion or the like of the corresponding electrode.

점착 중합체는 필요한 경우에 상기 언급된 단위 외에 공지의 다른 단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adhesive polymer may further include other known unit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units.

점착 중합체는 상기 언급된 단량체들을 적용한 공지의 중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adhesive polymer can be produced by a known polymerization method using the above-mentioned monomers.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도 필요한 공지의 다른 첨가제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실란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점착 부여제(tackifier),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광중합성 화합물;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known and necessary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Examples of such additives include coupling agents such as silane coupling agents, antistatic agents, tackifiers, and ultraviolet stabilizers; Antioxidants; Colorant; Adjuvant; Fillers; Antifoaming agent; Surfactants; Photopolymerizable compounds such as polyfunctional acrylates;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iz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에 관한 다른 일례에서, 본 출원은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 적층체는, 광학 소자와 상기 광학 소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광학 소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 상에는 이형 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optical laminate. The optical laminate includes an optical element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optical element. If necessary, a releas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optical element.

상기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는 광학 소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소자는, 편광판, 편광자, 편광자 보호 필름, 위상차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편광자와 편광판은 서로 구별되는 대상을 지칭한다. 편광자는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 그 자체를 지칭하고,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함께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와 함께 광학 소자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요소로는,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ypes of optical elements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various types of elements used in display devices. For example, the optical element may be a polarizing plate, a polarize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retardation film, a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or a brightness enhancing film.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polarizer and polarizer refer to objec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polarizer refers to a film, sheet or device itself that exhibits a polarization function, and the polarizer refers to an optical device including other elements together with the polarizer. Other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optical element together with the polarizer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layer.

본 출원의 광학 소자는 소위 저투습성 광학 필름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저투습성 광학 필름은, 낮은 투습도를 가지는 광학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37℃의 온도, 88.5±0.5%의 상대 습도에서 24 시간 동안 측정한 투습도(WVTR, Water vapor transmissiion rate)가 약 100 g/m2·day 이하인 광학 필름을 의미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투습도는 약 95 g/m2·day 이하, 90 g/m2·day 이하, 85 g/m2·day 이하, 80 g/m2·day 이하, 75 g/m2·day 이하, 70 g/m2·day 이하, 65 g/m2·day 이하, 60 g/m2·day 이하, 55 g/m2·day 이하, 50 g/m2·day 이하, 45 g/m2·day 이하, 40 g/m2·day 이하, 35 g/m2·day 이하, 30 g/m2·day 이하, 25 g/m2·day 이하, 20 g/m2·day 이하, 15 g/m2·day 이하, 10 g/m2·day 이하, 8 g/m2·day 이하 또는 6 g/m2·day 일 수 있다. 상기 투습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약 0.01 g/m2·day 이상, 0.1 g/m2·day 이상, 0.5 g/m2·day 이상, 1 g/m2·day 이상, 1.5 g/m2·day 이상, 2 g/m2·day 이상, 2.5 g/m2·day 이상, 3 g/m2·day 이상, 3.5 g/m2·day 이상, 4 g/m2·day 이상 또는 4.5 g/m2·day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투습도를 가지는 광학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일반적으로 광학 필름으로 적용되는 두께를 가지고, 해당 두께에서 상기 투습도를 나타내는 광학 필름이 본 출원의 광학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광학 필름의 두께는 약 10 내지 100 ㎛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투습도는, 업계에서 공지된 방식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투습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규격으로는 ASTM F1249 또는 ISO15506-3등이 알려져 있으며, 본 출원의 투습도는 상기 중에서 적절한 방식에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The optical ele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t least a so-called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low moisture permeability optical film is an optical film having low moisture permeability, for example, water vapor transmissiion rate (WVTR) measured for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37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88.5 ± 0.5%. It means an optical film of about 100 g / m 2 · day or less. In one example, the moisture permeability is about 95 g / m 2 · day or less, 90 g / m 2 · day or less, 85 g / m 2 · day or less, 80 g / m 2 · day or less, 75 g / m 2 · day Or less, 70 g / m 2 · day or less, 65 g / m 2 · day or less, 60 g / m 2 · day or less, 55 g / m 2 · day or less, 50 g / m 2 · day or less, 45 g / m 2 · day or less, 40 g / m 2 · day or less, 35 g / m 2 · day or less, 30 g / m 2 · day or less, 25 g / m 2 · day or less, 20 g / m 2 · day or less , 15 g / m 2 · day or less, 10 g / m 2 · day or less, 8 g / m 2 · day or less, or 6 g / m 2 · day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moisture permeabil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0.01 g / m 2 · day or more, 0.1 g / m 2 · day or more, 0.5 g / m 2 · day or more, 1 g / m 2 · day or more, 1.5 g / m 2 · day or more, 2 g / m 2 · day or more, 2.5 g / m 2 · day or more, 3 g / m 2 · day or more, 3.5 g / m 2 · day or more, 4 g / m 2 · day Or more than 4.5 g / m 2 · day.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film having the moisture permeabil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an optical film having a thickness generally applied as an optical film and exhibiting the moisture permeability at the thickness can be applied to the optical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one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film may be in a range of about 10 to 100 μm. The moisture permeability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As representative standards for measuring moisture permeability, ASTM F1249 or ISO15506-3 is known, and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n appropriate method.

상기와 같은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의 종류로는 다양한 종류가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COP(cycloolefin polymer) 필름 또는 아크릴 필름이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통상 보호필름으로 널리 사용되는 TAC 필름 보다 친수성 정도가 낮은, 즉 소수성 필름이다.Various types of the optical film having low moisture permeability are know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cycloolefin polymer (COP) film or an acrylic film, or a polyester film such as a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film. Can be. These films have a lower degree of hydrophilicity, that is, hydrophobic films, than TAC films, which are commonly used as protective films.

상기와 같은 저투습 필름들은, 통상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위상차 필름 등의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The low moisture-permeable films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s protective films of polarizers or materials such as retardation films.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 소자에 사용되는 저투습성 필름은 아크릴 필름일 수 있다. 시판되는 TAC 필름의 경우 상기와 같이 측정되는 투습도(WVTR)가 약 100 g/m2·day 이상이고, 아크릴 필름의 투습도는 약 5 내지 35 g/m2·day 수준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아크릴 필름은 다른 필름 보다도 투묘력이 좋지 못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본 출원에서는 아크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광학 적층체의 내구성과 투묘력을 개선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low moisture-permeable film used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n acrylic film. In the case of a commercially available TAC film, the moisture permeability (WVTR) measured as described above is about 100 g / m 2 · day or more, and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acrylic film is about 5 to 35 g / m 2 · day. As described above, the acrylic film has a poor drawing ability than other films, but in the present application using the adhesiv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ven when an acrylic film is used, the durability and the drawing ability of the optical laminate can be improved.

이와 같은 저투습성의 필름이 점착제층과 함께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해당 필름의 낮은 투습도와 소수성으로 인하여 점착제에 발포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100℃이상의 초고온 조건 하에서는 상기 발포 현상이 보다 쉽게 유발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점착제와 기재와의 밀착성, 즉 투묘력(keying force)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When such a low moisture-permeable film forms an optical laminate together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aming phenomenon is likely to occu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ue to the low moisture permeability and hydrophobicity of the film, and particularly, the foaming phenomenon is more easily performed unde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of 100 ° C. or higher. Is triggered.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substrate, that is, the keying force.

본 출원에 따른 상기 구성의 점착제는 상기와 같은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이 적용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발포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는 특정 구조의 가교제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가교제 함유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인접 구성(예: 저투습 필름 또는 편광자)의 변형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저투습 필름을 포함하는 종래 점착형 광학 적층체와 비교할 때, 인접하는 층 구성 간의 들뜸, 박리 또는 발포가 억제되고, 그 결과 편광판의 빛샘 방지 특성도 보다 개선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f the abov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uppress the foaming phenomenon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durability even when the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is applied. Specifically, sin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ormed from a cross-linking agent-contai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specific amount of a cross-linking agent of a specific structure, it can react sensitively to deformation of adjacent components (eg, a low moisture-permeable film or polarizer). Therefore,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dhesive optical laminate comprising a low moisture-permeable film, lifting, peeling or foaming between adjacent layer structures is suppressed, and as a result, light leakage preventing properties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와 같은 저투습성의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는, 편광판이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편광자와 함께 상기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은, 상기 편광자에 대한 보호 필름 혹은 위상차 필름으로 편광판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일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저투습성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A polarizing plate is a typical example of the optical element including the low moisture-permeable film. Such a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the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together with a polarizer exhibiting a polarization function, and the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may be included in the polarizing plate as a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film for the polarizer. Therefore, in one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polarizer and the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편광판의 구조에서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만 상기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그 양면에 상기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일면에만 형성되는 경우, 다른 면에는 광학 필름이 존재하지 않거나, 다른 광학 기능성층이 존재하거나, 혹은 투습도가 높은 광학 필름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만 상기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상기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이 상기 편광자에 비해서 후술하는 점착제층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적층체는 편광자, 저투습필름 및 점착층을 순차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may be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or the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thereof. When formed on only one surface, there may be no optical film on the other surface, another optical functional layer may exist, or an optical film having high moisture permeability may be present. When the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is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e low moisture-permeable optical fil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mpared to the polarizer. For example, the optical laminated body may sequentially include a polarizer, a low moisture-permeable film, and an adhesive layer.

본 출원의 광학 적층체에 포함될 수 있는 편광자는 기본적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광자로서,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용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는, 예를 들면, 요오드나 이색성 색소와 같은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로 호칭할 수 있다.) 계열의 수지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시키고, 연신 등에 의해 배향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100 내지 5,000 또는 1,400 내지 4,000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olarizer that can be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basically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 polarizer can be used as a polarizer. The term polyvinyl alcohol polarizer may mean,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VA) -based resin film containing an anisotropic absorbent material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Such a film can be produced by including an anisotropic absorbent material i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oriented by stretching or the like. 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or saponified products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about 100 to 5,000 or 1,400 to 4,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는, 예를 들어, PVA계 필름에,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을 적어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에는, 각각 염색욕, 가교욕 및 연신욕의 각 처리욕이 사용되고, 이들 각 처리욕은 각 공정에 따른 처리액이 사용될 수 있다.Such a polyvinyl alcohol polarizer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performing at least a dyeing process, a crosslinking process, and a stretching process on a PVA-based film. In the dyeing step, the crosslinking step and the stretching step, each treatment bath of a dyeing bath, a crosslinking bath, and a stretching bath is used, and the treatment liquid according to each step can be used for each treatment bath.

염색 공정에서는, 상기 PVA계 필름에 이방 흡수성 물질을 흡착 및/또는 배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염색 공정은 연신 공정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염색은 상기 필름을 이방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 예를 들면, 요오드 용액에 침지시켜서 수행될 수 있다. 요오드 용액으로는, 예를 들면, 요오드 및 용해 보조제인 요오드화 화합물에 의해 요오드 이온을 함유시킨 수용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요오드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또는 요오드화티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요오드 용액 중에서 요오드 및/또는 요오드화 이온의 농도는, 목적하는 편광자의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고, 이러한 조절 방식은 공지이다. 염색 공정에서 요오드 용액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20℃내지 50℃, 25℃ 내지 40℃정도이고, 침지 시간은 통상적으로 10초 내지 300초 또는 20초 내지 240초 정도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dyeing process, the anisotropic absorbent material may be adsorbed and / or oriented on the PVA-based film. This dye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stretching process. Dyeing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film in a solution containing an anisotropic absorbent material, for example, an iodine solution. As the iodine solution,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ions by an iodide compound which is an iodine and a dissolution aid may be used. As the iodide compound, for exampl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or titanium iodide may be used. The concentration of iodine and / or iodide ions in the iodine solution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desired polarizer, and such a control method is known. In the dyeing process, the temperature of the iodine solution is usually 20 ° C to 50 ° C, about 25 ° C to 40 ° C, and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about 10 seconds to 300 seconds or 20 seconds to 240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편광자의 제조 과정에서 수행되는 가교 공정은, 예를 들면, 붕소 화합물과 같은 가교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교 공정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염색 및/또는 연신 공정과 함께 수행하거나, 별도로 진행할 수 있다. 가교 공정은 여러 번 실시할 수도 있다. 붕소 화합물로는 붕산 또는 붕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은, 수용액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이 사용된다. 붕산 수용액에서의 붕산 농도는, 가교도와 그에 따른 내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붕산 수용액 등에도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The crosslinking process per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er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using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 boron compound. The order of the crosslinking proc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with a dyeing and / or stretching process, or separately. The crosslinking process may be carried out multiple times. As the boron compound, boric acid or borax may be used. The boron compound may be generally us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or a mixed solution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and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is usually used.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may be selected in an appropriate range in consideration of crosslinking degree and heat resistance. An iodide compound such as potassium iodide can also be contained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or the like.

가교 공정은, 상기 PVA계 필름을 붕산 수용액 등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5℃이상, 30℃내지 85℃또는 30℃내지 60℃정도의 범위이고, 처리 시간은 통상적으로 5초 내지 800초간 또는 8초 내지 500초간 정도이다.The crosslink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PVA-based film in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or the like. In this process, the treatment temperature is usually in the range of 25 ° C or higher, 30 ° C to 85 ° C, or 30 ° C to 60 ° C, and the treatment time is usually 5 seconds to 800 seconds or 8 seconds to 500 seconds.

연신 공정은, 일반적으로 1 축 연신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연신은, 상기 염색 및/또는 가교 공정과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습윤식 연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습윤식 연신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염색 후 연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연신은 가교와 함께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회 또는 다단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The stretching step is generally performed by uniaxial stretching. Such stretching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dyeing and / or crosslinking process. The stre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wet stretching method may be applied. In this wet stretching method, for example, it is common to perform stretching after dyeing, but stretching may be performed with crosslinking, or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or in multiple stages.

습윤식 연신 방법에 적용되는 처리액에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의 비율 조절 등을 통해서도 광차단율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연신에서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5℃이상, 30℃내지 85℃또는 50℃내지 70℃의 범위 내 정도이고, 처리 시간은 통상 10초 내지 800초 또는 30초 내지 500초간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n iodide compound such as potassium iodide may be contained in the treatment liquid applied to the wet stretching method, and the light blocking rate may also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atio in this process. In the stretching, the treatment temperature is usually in the range of 25 ° C or higher, 30 ° C to 85 ° C, or 50 ° C to 70 ° C, and the treatment time is usually 10 seconds to 800 seconds or 30 seconds to 500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연신 과정에서 총 연신 배율은 배향 특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고, PVA계 필름의 원래 길이를 기준으로 총 연신 배율이 3배 내지 10배, 4배 내지 8배 또는 5배 내지 7배 정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총 연신 배율은 연신 공정 이외의 팽윤 공정 등에 있어서도 연신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을 포함한 누적 연신 배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총 연신 배율은, 배향성, 편광자의 가공성 내지는 연신 절단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In the stretching process, the total draw ratio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orientation characteristics, etc., and the total draw ratio may be 3 to 10 times, 4 to 8 times, or 5 to 7 times based on the original length of the PVA-based film. ,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above, the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may mean a cumulative stretching magnification including stretching in each step when stretching is performed also in a swelling process other than the stretching process. The total draw ratio may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range in consideration of orientation, the processability of a polarizer, or the possibility of stretch cutting.

편광자의 제조 공정에서는 상기 염색, 가교 및 연신에 추가로 상기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팽윤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팽윤에 의해서 PVA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고, 또한 이에 의해 염색 편차 등의 불균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er, in addition to the dyeing, crosslinking and stretching, a swe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clean the surface of the PVA-based film or the anti-blocking agent by swelling, and there is also an effect of reducing unevenness such as dyeing variation.

팽윤 공정에서는 통상적으로 물, 증류수 또는 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처리액의 주성분은 물이고, 필요하다면,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 또는 계면 활성제 등과 같은 첨가물이나, 알코올 등이 소량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도 공정 변수의 조절을 통해 전술한 광차단율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swelling process, water, distilled water, or pure water may be used. The main component of the treatment liquid is water, and if necessary, additives such as an iodide compound such as potassium iodide or a surfactant, alcohol, etc. may be included in a small amount. In this process, it may be possible to control the aforementioned light blocking rate through adjustment of process parameters.

팽윤 과정에서의 처리 온도는 통상적으로 20℃내지 45℃또는 20℃내지 40℃정도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팽윤 편차는 염색 편차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팽윤 편차의 발생이 가능한 억제되도록 공정 변수가 조절될 수 있다.The treatment temperature in the swelling process is usually 20 ° C to 45 ° C or 20 ° C to 4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swelling deviation can cause dyeing deviation, the process parameter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ccurrence of such swelling deviation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필요하다면, 팽윤 공정에서도 적절한 연신이 수행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PVA계 필름의 원래 길이를 기준으로 6.5배 이하, 1.2 내지 6.5배, 2배 내지 4배 또는 2배 내지 3배 정도일 수 있다. 팽윤 과정에서의 연신은, 팽윤 공정 후에 수행되는 연신 공정에서의 연신을 작게 제어할 수 있고, 필름의 연신 파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necessary, proper stretching can also be performed in the swelling process. The stretching ratio may be 6.5 times or less, 1.2 to 6.5 times, 2 to 4 times, or 2 to 3 times, based on the original length of the PVA-based film. The stretching in the swelling process can control the stretching in the stretching step performed after the swelling process to a small extent, and control the stretching of the film so as not to occur.

편광자의 제조 과정에서는 금속 이온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를 들면, 금속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PVA계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실시한다. 이를 통해 평관자 내에 금속 이온을 함유시킬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금속 이온의 종류 내지는 비율을 조절함으로써도 PVA계 편광자의 색조 조절이 가능하다. 적용될 수 있는 금속 이온으로는, 코발트, 니켈, 아연, 크롬, 알루미늄, 구리, 망간 또는 철 등의 전이 금속의 금속 이온이 예시될 수 있고, 이 중 적절한 종류의 선택에 의해 색조의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er, metal 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Such treatment is performed,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PVA-based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metal salt. This allows metal ions to be contained within the tube. In this process, the color tone of the PVA-based polariz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ype or ratio of metal ions. As the metal ions that can be applied, metal ions of transition metals such as cobalt, nickel, zinc, chromium, aluminum, copper, manganese, or iron can be exemplified, and color tone can be controll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type. have.

편광자의 제조 과정에서는 염색, 가교 및 연신 후에 세정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 공정은,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 화합물 용액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용액 내의 요오드화 화합물의 농도 내지는 상기 세정 공정의 처리 시간 등을 통해서도 전술한 광차단율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오드화 화합물의 농도와 그 용액으로의 처리 시간은 상기 광차단율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세정 공정은, 물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er, a 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dyeing, crosslinking, and stretching. Such a was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 a solution of an iodine compound such as potassium iodide. In this process, the above-described light blocking rate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the iodide compound in the solution or the treatment time of the cleaning process.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the iodide compound and the treatment time with the solution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blocking rate. However, the 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water.

이러한 물에 의한 세정과 요오드 화합물 용액에 의한 세정은 조합될 수도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등의 액체 알코올을 배합한 용액도 사용될 수도 있다.The washing with water and washing with an iodine compound solution may be combined, and a solution containing liquid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butanol or propanol may also be used.

이러한 공정을 거친 후에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편광자에 요구되는 수분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적절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fter this process, a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prepare a polarizer. In the drying process,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moisture content required for the polarizer, etc., it may be perform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an appropriate time, and these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일 예시에서 광학 적층체의 내구성, 특히 고온 신뢰성의 확보를 위해서 상기 편광자로는, 칼륨 이온과 같은 칼륨 성분과 아연 이온과 같은 아연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이 포함된 편광자를 사용하면 고온 조건 특히 100℃이상의 초고온 조건 하에서도 안정적으로 내구성이 유지되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xample, in order to secure the durability of the optical laminate, in particular, high temperature reliability, a polyvinyl alcohol polarizer including a potassium component such as potassium ion and a zinc component such as zinc ion may be used as the polarizer. When a polarizer containing such a component is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cal laminate stably maintaining durability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particularly under extremel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f 100 ° C or higher.

상기 칼륨 및 아연 성분의 비율은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 성분(K)과 아연 성분(Zn)의 비율(K/Zn)은, 일 예시에서 0.2 내지 6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비율(K/Zn)은 다른 예시에서 약 0.4 이상, 0.6 이상, 0.8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또는 2.5 이상일 수 있고, 5.5 이하, 약 5 이하, 약 4.5 이하 또는 약 4 이하일 수 있다.The proportion of the potassium and zinc components can be further adjusted. For example, the ratio (K / Zn) of the potassium component (K) and the zinc component (Zn)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er may be in the range of 0.2 to 6 in one example. The ratio (K / Zn) may be about 0.4 or more, 0.6 or more, 0.8 or more, 1 or more, 1.5 or more, 2 or more, or 2.5 or more, and 5.5 or less, about 5 or less, about 4.5 or less, or about 4 or less in other examples. have.

또한,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 성분의 비율은 약 0.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칼륨 성분의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0.15 중량% 이상, 약 0.2 중량% 이상, 약 0.25 중량% 이상, 약 0.3 중량% 이상, 약 0.35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또는 약 0.4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약 1.95 중량% 이하, 약 1.9 중량% 이하, 약 1.85 중량% 이하, 약 1.8 중량% 이하, 약 1.75 중량% 이하, 약 1.7 중량% 이하, 약 1.65 중량% 이하, 약 1.6 중량% 이하, 약 1.55 중량% 이하, 약 1.5 중량% 이하, 약 1.45 중량% 이하, 약 1.4 중량% 이하, 약 1.35 중량% 이하, 약 1.3 중량% 이하, 약 1.25 중량% 이하, 약 1.2 중량% 이하, 약 1.15 중량% 이하, 약 1.1 중량% 이하, 약 1.05 중량% 이하, 약 1 중량% 이하, 약 0.95 중량% 이하, 약 0.9 중량% 이하 또는 약 0.85 중량% 이하 정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potassium component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er may be about 0.1 to 2% by weight. The proportion of the potassium component may be at least about 0.15% by weight, at least about 0.2% by weight, at least about 0.25% by weight, at least about 0.3% by weight, at least about 0.35% by weight, at least 0.4% by weight, or at least about 0.45% by weight in other examples. And about 1.95 wt% or less, about 1.9 wt% or less, about 1.85 wt% or less, about 1.8 wt% or less, about 1.75 wt% or less, about 1.7 wt% or less, about 1.65 wt% or less, about 1.6 wt% or less, Up to about 1.55 wt%, up to about 1.5 wt%, up to about 1.45 wt%, up to about 1.4 wt%, up to about 1.35 wt%, up to about 1.3 wt%, up to about 1.25 wt%, up to about 1.2 wt%, up to about 1.15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1% by weight,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05% by weight,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 by weight, less than or equal to about 0.95%, less than or equal to about 0.95%, or less than or equal to about 0.85% by weigh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칼륨 성분과 아연 성분의 비율은, 하기 수식 A를 만족하도록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ratio of the potassium component and the zinc component may be included to satisfy Equation A below.

[수식 A][Formula A]

0.70 내지 0.95 = 1/(1+Q×d/R) 0.70 to 0.95 = 1 / (1 + Q × d / R)

수식 A에서 Q는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 성분의 몰질량(K, 39.098g/mol)과 아연 성분의 몰질량(Zn, 65.39g/mol)의 비율(K/Zn)이고, d는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의 연신 전의 두께(㎛)/60㎛이고, R은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 성분의 중량비(K, 단위: weight%)과 아연 성분의 중량비(Zn, 단위: weight%)의 비율(K/Zn)이다.In Formula A, Q is the ratio (K / Zn) of the molar mass of potassium components (K, 39.098 g / mol) and the molar mass of zinc components (Zn, 65.39 g / mol)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er, d Is the thickness before stretching of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er (㎛) / 60㎛, R is the weight ratio of the potassium component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er (K, unit: weight%) and the weight ratio of the zinc component (Zn, unit: weight %) Ratio (K / Zn).

상기와 같은 형태로 편광자에 칼륨 및 아연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서 고온에서의 신뢰성이 우수한 편광자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By including potassium and zinc components in the polarizer in the form described above,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er having excellent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s.

상기와 같은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서 적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편광자의 두께는 5 ㎛ 내지 80 ㎛의 범위 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as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med to an appropriate thickness according to the purpose. Typically,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may be in the range of 5 μm to 8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광학 적층체는 상기 광학 소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은 점착 중합체를 포함한다.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점착제층의 전체 중량 대비 상기 점착 중합체의 포함 비율은, 55중량% 이상, 60중량% 이상, 65중량% 이상, 70중량% 이상, 75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85중량% 이상 또는 90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0 중량% 이하, 약 98중량% 이하 또는 95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중합체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상태로 점착제층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The optical laminate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optical ele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s an adhesive polym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conta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mer as a main component. In other words, the ratio of the adhesive polymer to the total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5% by weight, 60% by weight, 65% by weight, 70% by weight, 75% by weight, 80% by weight, 85% by weight or more Or it may be 90% by weight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0% by weight or less, about 98% by weight or less, or 95% by weight or less.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polymer may be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in a state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고온 조건, 특히 100℃이상의 초고온 조건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하고, 저투습성의 광학 필름과 적용되는 경우에도 발포 현상 등을 억제 내지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점착제층의 특성이 제어될 수 있다.The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controlled in order to secure excellent durability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particularly at 100 ° C or higher, and to suppress or prevent foaming and the like even when applied with an optical film having low moisture permeability.

본 출원은 또한 상기와 같은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광학 적층체가 상기 언급한 점착제층을 매개로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공지의 LCD 패널 또는 OLED 패널 등일 수 있다. 또한, 광학 적층체가 상기 패널에 부착되는 위치 등도 공지의 방식에 따를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ptical laminate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panel in which the optical laminate is attached via the abov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above, the type of the display pan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known LCD panel or OLED panel. In addi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optical laminate is attached to the panel, etc., can also be perform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본 출원에 따르면, 고온, 특히 약 100℃이상의 초고온에서도 안정적인 내구성을 제공하고, 특히 투묘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발포 현상이 억제된 광학 적층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르면, 전극과 인접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극의 부식을 유발하지 않는 광학 적층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cal laminate in which foaming is suppressed because it provides stable durability even at a high temperature, particularly at an extremely high temperature of about 100 ° C. or higher, and has excellent drawing ability.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when disposed adjacent to an electrode, an optical laminate that does not cause corrosion of the electrode may be provided.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평가 항목 및 평가 방법Evaluation items and evaluation methods

1. One. 박리력Peeling force (( gfgf /25mm)/ 25mm)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점착 편광판을 가로의 길이가 25 mm이고, 세로의 길이가 200 m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시편의 점착제층을 매개로 유리판에 부착하였다. 시편 부착 후에 1 시간 경과 시점에서, 90 ° 박리 각도 및 300 mm/min 박리 속도로 점착 편광판을 박리하면서 박리력을 측정하였다.Each adhesive polarizing plate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so that the horizontal length was 25 mm and the vertical length was 200 mm to prepare specimens, and was attached to the glass plate via the adhesive layer of the specimens. Peel strength was measured while peeling the adhesive polarizing plate at a 90 ° peel angle and a 300 mm / min peel rate at a time point after the specimen was attached.

2. 고온 내구성(고온 신뢰성)2. High temperature durability (high temperature reliability)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점착 편광판을 가로의 길이가 약 140 mm 정도이고, 세로의 길이가 약 90 mm 정도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유리 기판 위에 5 kg/cm2의 압력으로 부착하였다. 상기 부착은, 기포 또는 이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클린룸(clean room)에서 작업을 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샘플은 50℃및 5 kg/cm2의 조건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유지하였다.Each adhesive polarizing plate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so tha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as about 140 mm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was about 90 mm, thereby preparing a specimen, which was 5 kg / cm 2 on a glass substrate. Attached under pressure. The attachment was performed in a clean room to prevent bubbles or foreign matter from occurring. Subsequently, the prepared sample was kept in an autoclave for 15 minutes at 50 ° C and 5 kg / cm 2 .

상기 샘플을 약 100 ℃의 온도에서 약 500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하기 기준에 따라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After maintaining the sample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 ° C. for about 500 hours, durab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O: 기포 및 박리가 관찰되지 않음O: No bubbles and peeling were observed

△: 기포가 발생하고, 부분적으로 박리가 관찰됨Δ: bubbles are generated, and peeling is partially observed.

X: 기포 및 박리가 심하게 관찰됨X: Bubbles and peeling were severely observed

3. 3. 투묘력Throwing power (빠짐) 평가(Missing) evaluation

투묘력(Keying force)은, 점착제층과 기재와의 밀착력을 반영하는 물리량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되고 이형필름에 부착된 각각의 점착제층을 편광판에 라미네이션하고, 항온 항습 조건(23℃50% 상대습도)에서 7일 동안 숙성(aging)하고, 상기 시료에 대해서 투묘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에서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에, 폭이 약 50 mm인 Americal Tapel 점착 테이프를 상기 시료의 점착제층에 부착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를 점착제층으로부터 분리하였을 때에 점착제층이 편광판에 얼마만큼 남아 있는 것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투묘력(keying force)이 약할수록 평가 시에 점착제층이 피착체인 편광판으로부터 떨어져 나가서 점착 테이프에 많이 전사되고, 그에 따라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에서 점착제의 빈 공간(vacancy)이 많이 확인된다. 상기와 같이 빈 공간(vacancy)이 많은 경우에 투묘력이 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The keying force is a physical quantity that reflects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Eac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laminated to a release film on a polarizing plate, aged for 7 days a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3 ° C 50% relative humidity), and aging for the sample. Was evaluated. Specifically,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rom the sample, the Americal Tap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a width of about 50 mm is attach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sample, an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separat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It was evaluated by visually checking how much remains. The weaker the keying force, the mo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separated from the polarizing plate, which is an adherend during evaluation, and transferred to the adhesive tape, and accordingly, the more vacanc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ocated on the polarizing pl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are many vacancy,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throwing power is weak.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에서 빈 공간이 관찰되지 않음◎: No empty space was observed in the adhesive layer located on the polarizing plate

○: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에서 관찰되는 빈 공간의 면적이 전체 점착제층 면적의 10% 이하○: The area of the empty space observ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ocated on the polarizing plate is 10% or less of the tot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a

△: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에서 관찰되는 빈 공간의 면적이 전체 점착제층 면적의 10 내지 30 % 범위 이내△: The area of the empty space observ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ocated on the polarizing plate is within 10 to 30% of the tot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a

X: 편광판 상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에서 관찰되는 빈 공간의 면적이 전체 점착제층 면적의 30 % 이상X: The area of the empty space observ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ocated on the polarizing plate is 30% or more of the tot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a

4. ITO 부식4. ITO corros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점착제 조성물을 40㎛ 두께의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상에 라미네이션하고, 항온항습 조건(23℃50% 상대습도)에서 7일 동안 숙성(aging)시킨 점착제층을 제조하였다. 시판되는 ITO(Indium Tin Oxide) 필름을 가로의 길이가 약 50 mm 정도이고, 세로의 길이가 약 30mm 정도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그 위에 가로의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10 mm 정도의 너비로 은 페이스트를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가로의 길이가 약 40mm 정도이고, 세로의 길이가 약 30mm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재단하여 상기 은 페이스트상에 단부에 5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부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ITO 필름을 고온고습 조건(85℃85% 상대습도)에서 250시간 보존 한 후 선저항 측정기(Hioki社 3244-60 card hitester)로 초기 투입 전 대비 저항의 변화율을 평가하였다.Each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laminated on a 40 μm-thick TAC (Triacetyl cellulose) film,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ged for 7 days a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3 ° C. 50% relative humidity). Was prepared. A commercially available ITO (Indium Tin Oxide) film is cut to a width of about 50 mm and a length of about 30 mm to prepare a specimen, and on each 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width of about 10 mm is applied. Silver paste was applied. Subsequent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cut to have a length of about 40 mm and a length of about 30 mm to prepare a specimen on the silver paste with an interval of about 5 mm at an end. After the prepared ITO film was preserved for 250 hours at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 (85 ° C 85% relative humidity), the rate of change of resistance compared to the initial input was evaluated with a line resistance meter (Hioki 3244-60 card hitester).

<평가기준><Evaluation criteria>

◎: 저항 변화율이 40% 미만◎: Resistance change rate is less than 40%

○: 저항 변화율이 40 내지 100% 범위 이내○: Resistance change rate within 40 to 100%

△: 저항 변화율이 100 내지 180% 범위 이내△: Resistance change rate is within the range of 100 to 180%

X: 저항 변화율이 180% 이상X: Resistance change rate is 180% or more

실시예Example 1 One

(1) 점착 중합체의 제조(1) Preparation of adhesive polymer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 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n-BA), 벤질 아크릴레이트(Bz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및 아크릴산 (AA)를 64:15:20:1 중량 비율(n-BA:BzA:MA:AA)로 투입하고,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EAc) 10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1 시간 동안 퍼징한 후, 반응개시제로 에틸아세테이트에 50 중량% 농도로 희석시킨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3 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 molecular weight)이 약 165 만인 공중합체(A)를 제조하였다.N-butyl acrylate (n-BA), benzyl acrylate (BzA), methyl acrylate (MA) and acrylic acid (AA) were added to a 1 L reactor in which nitrogen gas was refluxed and a cooling device was installed to facilitate temperature control. 64: 15: 20: 1 was added in a weight ratio (n-BA: BzA: MA: AA) and 10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EAc) was added as a solvent. Subsequently, nitrogen gas was purged for 1 hour to remove oxygen, and 0.03 parts by weight of azobisisobutyronitrile (AIBN) diluted to 50% by weight in ethyl acetate as a reaction initiator was added, followed by reaction for 8 hours to obtain a weight average. A copolymer (A) having a molecular weight (Mw) of about 1.65 million was prepared.

(2)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상기 (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A)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상품명 T-706BB) 0.8 중량부, 하기 화학식 A와 같이 표시되는 헥사메틸렌이소시아네이트(HDI) 유래의 화합물 0.2 중량부, 및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T-743L) 0.005 중량부를 배합한 후 다시 약 0.5중량% 정도의 농도로 에틸 아세테이트에 희석한 디-n-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n-butyltin dilaurate)계 촉매(C-700, 한농 화성)를 상기 공중합체(A)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001 중량부로 배합하고, 추가로 전도성 첨가제(70% 로 희석된 FC4400A) 1.5 중량부 및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 아세톤(acetyl acetone)을 상기 공중합체(A)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1 중량부로 배합한 후에 적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코팅액을 이형지에 코팅하여 건조하여, 두께 22 ㎛의 균일한 점착제층을 제조하였다.The copolymer (A) prepared in (1)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solids, toluene diisocyanate (TDI) (trade name T-706BB) 0.8 parts by weight, a compound derived from hexamethylene isocyanate (HDI)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 Di-n-butyltin dilaurate (di-n-butyltin) diluted in ethyl acetate at a concentration of about 0.5% by weight after mixing 0.2 parts by weight and 0.005 parts by weight of an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trade name: T-743L) dilaurate) -based catalyst (C-700, Hannong Chemical) is blended in about 0.00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A) solid content, and additionally 1.5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additive (FC4400A diluted to 70%) and a crosslinking retarder As acetyl acetone,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id content of the copolymer (A) is blended to about 1 part by weight, dilut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the uniformly mixed coating solution is coated on a release paper and dried to have a thickness of 22 μm. Manufacture uniform adhesive layer It was.

[화학식 A][Formula A]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2) 편광판의 제조(2) Preparation of polarizing plate

두께가 약 30 ㎛인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일본합성 社, M2004)을 요오드 0.05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 1.5 중량%를 포함하는 30℃의 염착액에 60 초 동안 침지시켜 염착 처리하였다. 이어서 염착된 PVA 필름을 붕소 0.5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 3.0 중량%를 포함하는 30℃의 가교액에 60 초 동안 침지시켜 가교 처리하였다. 이후, 가교된 PVA 필름을 롤간 연신 방법을 이용하여 5.5배의 연신배율로 연신시켰다. 연신된 PVA 필름을 30℃의 이온교환수에 20 초 동안 침지시켜 수세하고, 질산 아연 1.5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 4.0 중량% 포함하는 30℃의 용액에 10 초 동안 침지시켰다. 이후, PVA 필름을 80℃의 온도에서 200 초 동안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되 편광자 내의 칼륨 함량은 약 0.47 중량%이고, 아연 함량은 약 0.17 중량%였다. 이어서,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는 7002 Water Vapor Permeation Analyzer (Systech Illinois) 장비로 규격(ASTM F1249, ISO15506-3)에 따라서 37℃88.5±0.5% 상대 습도에서 24 시간 동안 측정한 투습도(WVTR)가 약 15 g/m2·day 정도인 아크릴 필름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다른 면에는 공지의 편광자 보호 필름인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A polyvinyl alcohol (PVA)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μm (Japan Synthetic Corporation, M2004) was immersed in a 30 ° C. dyeing solution containing 0.05% by weight of iodine and 1.5%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for 60 seconds. Was treated by dyeing. The dyed PVA film was then crosslinked by immersion in a crosslinking solution at 30 ° C. containing 0.5% by weight of boron and 3.0%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for 60 seconds. Thereafter, the cross-linked PVA film was stretched at a stretch magnification of 5.5 times using an inter-roll stretching method. The stretched PVA film was washed by immersion in 30 ° C of ion-exchanged water for 20 seconds, and then immersed in a solution of 30 ° C containing 1.5% by weight of zinc nitrate and 4.0%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for 10 seconds. Then, the PVA film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80 ° C. for 200 seconds to prepare a polarizer.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prepared polarizer was about 0.47% by weight, and the zinc content was about 0.17% by weight. Subsequently,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the moisture permeability (WVTR) measured for 24 hours at 37 ° C 88.5 ± 0.5% relative humid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ASTM F1249, ISO15506-3) with 7002 Water Vapor Permeation Analyzer (Systech Illinois) equipment is about A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by adhering an acrylic film of about 15 g / m 2 · day with an adhesive, and attaching a known polarizer protective film TAC (triacetyl cellulose) film with an adhesive on the other side.

(4) 광학 (4) Optical 적층체(점착 편광판)의Of the laminate (adhesive polarizing plate) 제조 Produce

제조된 점착제층을 상기 편광판의 아크릴 필름면에 점착 가공하여 점착 편광판(광학 적층체)을 제조하였다.The prepared adhesive layer was adhered to the acrylic film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to prepare an adhesive polarizing plate (optical laminat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내지 9 1 to 9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가교제의 종류와 함량을 다르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점착형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참고로, 표 1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HDI계 가교제가 함유하는 NCO 함량을 비교 한 것이다.As in Table 2,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polarizing plate, and a pressure-sensitive polarizing plate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rosslinking agent was different in type and content. For reference, Table 1 compares the NCO content of the HDI-based crosslinking agent us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표 1][Table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표 2][Table 2]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표 3][Table 3]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Claims (15)

극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A);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B);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가 1 내지 10 인 알킬기이고, A1, A2 및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이고, m은 2 내지 5 사이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10 사이의 정수이다.
Acrylic polymers having polar functional groups (A);
Aromatic isocyanate (B);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isocyanate compound (C)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Formula 1]
Figure pat00007

However, in Formula 1, R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1, A2 and A3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ene group or an alkylidene group, m is an integer between 2 and 5, and n is 2 to 10 Is an integer betw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A)는 탄소수가 4 이상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가 3 이하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The polymer (A) is an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an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3 or less carbon atoms, an aromatic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B)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를 5 내지 60 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5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isocyanate compound (C) represented by Formula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isocyanate (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B)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을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A),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isocyanate (B) and the isocyanate compound (C)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within a range of 0.0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또는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an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or a metal chelate-based crosslinking ag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4 이상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탄소수가 3 이하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15 내지 45 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comprising 15 to 45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3 or less carbon atom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광학 적층체:
[화학식 2]
Figure pat00008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A는 알킬렌을 나타내며, n은 0 내지 3의 범위 내의 정수를 나타내고, Q는 단일결합, -O-, -S- 또는 알킬렌을 나타내며, P는 방향족환을 나타낸다.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romatic group-containing monomer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Formula 2]
Figure pat00008

In Formula 2, R1 represents hydrogen or alkyl, A represents alkylene, n represents an integer in the range of 0 to 3, Q represents a single bond, -O-, -S- or alkylene, P represents Aromatic r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4 이상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를 10 내지 40 중량부 범위 내로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claim 2, wherein the aromatic group-containing monom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group-containing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탄소수가 3 내지 6의 범위 내인 히드록시알킬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인 점착제 조성물.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onomer having a polar functional group is a hydroxyalkyl (meth) acrylate o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having a hydroxyalk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4 이상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극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0.5 내지 5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claim 2, wherein the monomer having the polar functional group is in the range of 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37℃ 및 88.5±0.5% 상대 습도 조건에서 24 시간 보관후 측정된 투습도가 100 g/m2·day 이하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 및
상기 광학 소자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
An optical element including an optical film having a moisture permeability of 100 g / m 2 · day or less measured after storage for 24 hours at 37 ° C. and 88.5 ± 0.5% relative humidity; And
An optical laminat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element and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도가 100 g/m2·day 이하인 광학 필름은 아크릴 필름인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optical film having a moisture permeability of 100 g / m 2 · day or less is an acrylic film. 제 11 항에 있어서, 광학 소자는 편광판인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optical element is a polarizing pla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투습도를 갖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larizing plate, Polarizer; And an optical film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having the moisture permeability. 제 11 항에 따른 광학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의 점착제층을 매개로 상기 광학 적층체와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1; And a display panel attached to the optical laminate vi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laminate.
KR1020180131255A 2018-10-30 2018-10-30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2290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55A KR102290864B1 (en) 2018-10-30 2018-10-30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55A KR102290864B1 (en) 2018-10-30 2018-10-30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90A true KR20200048790A (en) 2020-05-08
KR102290864B1 KR102290864B1 (en) 2021-08-23

Family

ID=7067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255A KR102290864B1 (en) 2018-10-30 2018-10-30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86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431A (en) * 2008-08-05 2010-02-18 Nippon Shokubai Co Ltd Solvent-based releasable self-adhesive composition and releasable self-adhesive product
JP2016169383A (en) * 2015-03-11 2016-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nd optical member with adhesive layer
KR20160148580A (en) * 2014-04-16 2016-12-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sheet and optical mem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431A (en) * 2008-08-05 2010-02-18 Nippon Shokubai Co Ltd Solvent-based releasable self-adhesive composition and releasable self-adhesive product
KR20160148580A (en) * 2014-04-16 2016-12-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sheet and optical member
JP2016169383A (en) * 2015-03-11 2016-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nd optical member with adhesiv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864B1 (en)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605B1 (en) Optical laminate
JP5484350B2 (en)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KR101574018B1 (en) Pressure sensitive adhsive composition
KR102159499B1 (en) Optical laminate
KR102290864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2309627B1 (en) Optical laminate
KR102218857B1 (en) Optical Laminate
KR102475814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200129439A (en) Optical laminate
KR20200035591A (en)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90123900A (en) Crosslinkabl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