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606A -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606A
KR20200048606A KR1020180130843A KR20180130843A KR20200048606A KR 20200048606 A KR20200048606 A KR 20200048606A KR 1020180130843 A KR1020180130843 A KR 1020180130843A KR 20180130843 A KR20180130843 A KR 20180130843A KR 20200048606 A KR20200048606 A KR 2020004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eries
user
pattern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843B1 (ko
Inventor
김지혜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843B1/ko
Priority to US16/668,278 priority patent/US11256996B2/en
Publication of KR2020004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3Intelligent ed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G06N5/046Forward inferencing; Produc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통해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이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이 식별된 경우,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METHOD FOR RECOMMENDING SUCCEEDING USER INPUT USING PATTERN ANALYSIS OF USER INPUT}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후 입력될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과정은 크게 프로그램의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과 설계에 따라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정, 즉 코딩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의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 중 가장 효과적이며 효율적이고, 널리 쓰이는 방법은 순서도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설계도를 그리는 것이다.
순서도는, 프로그램이 시작된 후, 프로그램 사용자에게 언제 입력을 받고, 그 입력 받은 정보로 어떤 처리를 하고, 어떤 연산을 거친 뒤 언제 결과를 출력해주고 이어 프로그램을 끝낼지 설명해주는 설계도이며, 논리적인 흐름을 이용하여 진행되도록 프로그램의 설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순서도의 장점으로 인해, 순서도는 챗봇 빌더(Chatbot Builder), 룰 매니져(Rule manager) 및 작업흐름 관리(Workflow management) 프로그램과 같이 순서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구현되는 직관적으로 논리적 흐름을 구현하는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종래의 저작 툴(authoring tool)의 경우, 순서도를 구성하는 카드, 제어박스 등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를 순서도 GUI의 상단이나 좌측의 리스트 영역에서 선택하고, 드래그 앤 드랍 또는 클릭하여 현재 작업중인 순서도에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순서도 프로그램을 잘 다루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순서도 GUI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있는지 파악하기 쉽도록 할 수 있으나, 순서도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용자들에게는 매번 구성요소 리스트를 열람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비효율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5-016081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고, 패턴이 식별된 경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순서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추가하기 위하여 구성요소 목록을 재차 검색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턴에 따라 상황에 맞게 적절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저작 툴(authoring tool)에 숙달된 고급 사용자뿐만 아니라, 초보자도 손쉽게 순서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저작 툴(authoring tool)에 숙달된 고급 사용자의 상기 저작 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서 식별된 다양한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고급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저작 툴 상의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이 식별된 경우,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GUI는, 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authoring tool)의 GUI(Graphic User Interface)이고,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도시된 작업중 순서도에 포함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기입이 완료되는 마지막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되는 패턴은,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가 추가되는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입력되는 제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상기 제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상기 제1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된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 추가될 고빈도 프로세스 속성을 결정하고, 상기 고빈도 프로세스 속성의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된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 추가될 고빈도 프로세스 속성을 결정하고, 상기 고빈도 프로세스 속성의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의 후순위로서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되는 패턴은 복수의 서로 다른 속성의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사이클이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입력되는 제2 패턴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이클에 포함되는 마지막 속성의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인 경우, 상기 사이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속성의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칭된 패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의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서 식별된 패턴으로 구성된 것이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컴퓨팅 장치에 다운로드 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GUI는 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authoring tool)의 GUI이고,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도시된 작업중 순서도에 포함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기입이 완료되는 마지막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와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패턴 정보 사이의 매칭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칭된 패턴 정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에 따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일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된 패턴 정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제1 패턴에 따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일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제1 GUI 객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제2 패턴에 따라 단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제2 GUI 객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authoring tool)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포인터의 위치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저작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표시된 작업중 순서도를 구성하는 화살표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살표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작업중 순서도의 흐름(flow)을 정의하기 위한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순서도 형태의 컨텐츠를 저작하는 툴의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법의 일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추천된 후속 입력이 선택되면, 작업중인 컨텐츠가 업데이트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법의 변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법의 변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조작으로 구성된 후속 입력이 추천되고, 추천된 후속 입력이 선택되면 작업중인 컨텐츠가 업데이트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단일 조작으로 구성된 제1 후속 입력과, 복수의 조작으로 구성된 제2 후속 입력이 함께 추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 및 외부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400)로 사용자 입력의 대상이 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로 약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GUI는 범용적으로 해석되는 의미 그대로,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디스플레이 되는 그래픽 요소를 가진 모든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GUI는 문서, 프리젠테이션 자료(presentation material), 애니메이션, UI/UX 프로토타입 등의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한 저작 툴(authoring tool)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GUI는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을 구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순서도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의 예시로서, 챗봇 대화 모델(chatbot dialog model), 워크플로우(workflow) 등을 들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GUI는 서비스 서버(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저작 툴은 SaaS(Software-as-a-Service) 등의 기술을 이용한 웹 기반의 저작 툴일 수 있다. 도 1과 달리, 상기 저작 툴은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는, 본 발명의 후술할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이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실행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저작 툴이 웹 기반 저작 툴인 것을 전제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된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며, 분석한 패턴을 이용하여 마지막 사용자 입력 이후에 입력될 수 있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는 후속 입력에 대한 추천을 얻기 위한 어떠한 사용자 입력도 없이,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패턴을 완성하는 것만으로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경험을 얻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는 커서에 인접하여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GUI를 통한 저작 작업의 속도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외부 서버(200)는 일련의 사용자 입력으로 구성된 패턴을 복수 개 포함하는 패턴 정보를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200)는 복수의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장치가 포함된 패턴 정보 저장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패턴 정보에는 적용 대상이 되는 GUI의 식별 정보가 매칭 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GUI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패턴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명의 사용자 당 하나의 상기 패턴 정보가 생성된다. 이는, 어느 사용자에 대하여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할 때에는 그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만이 참조됨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당 하나의 상기 패턴 정보가 생성된다. 이는, 어느 사용자에 대하여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할 때에는 그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도 참조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GUI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패턴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속성을 가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입력에서 식별된 입력 패턴들이 상기 동일한 속성을 가진 사용자들의 패턴 정보로서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400)은 서비스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PC, 노트북 및 PDA와 같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상기 GUI를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기기도 사용자 단말(400)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GUI를 제공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에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한다. 상기 패턴이 식별된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한다.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GUI를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에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한다.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GUI를 제공하는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lack이 없는 빠른 사용자 피드백을 위해 사용자 단말(400)에서 대부분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한다. 상기 패턴이 식별된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한다.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GUI를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의 추천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동작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방법에 속한 모든 동작이 한대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시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방법에 속한 일부의 동작은 제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시되고, 나머지 동작 중 적어도 다른 일부의 동작은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시될 수도 있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상기 GUI는 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을 구성하는 것인 것으로 전제하고, 이러한 GUI를 '순서도 GUI'라고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S110).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출력되는 순서도 G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련의 사용자 입력은 상기 순서도 GUI를 이용하여 순서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련의 사용자 입력은 순서도를 구성하는 프로세스(10)를 추가하는 입력, 추가한 프로세스의 이름(11)을 변경하는 입력, 순서도를 구성하는 제어박스(20)를 추가하는 입력, 순서도 프로세스의 타겟 이미지(12)를 설정/재설정하는 입력과 복수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그룹을 정의하거나 변경하는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의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입력은 포인터 이동, 좌클릭, 우클릭 등 단위 사용자 입력(unit user input)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어떠한 조작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순한 포인터 이동, 좌클릭, 우클릭 등의 단위 사용자 입력은 기존의 사용자 입력 패턴이 일치하더라도 다음 사용자 입력은 그때 그때 달라질 수 있는 점에서, 후속 사용자 입력으로서 예측이 힘들기 때문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120에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가 분석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석은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거나,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석은 상기 순서도 GUI를 이용한 일련의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지, 단순히 포인터의 경로를 추적하는 등의 low level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130에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식별된다. 본 동작 역시,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사용자 입력이 있을 때마다 상기 패턴의 식별이 수행된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불필요한 패턴 식별 동작으로 인한 속도 저감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에 한하여 상기 패턴의 식별이 수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110을통해 얻은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1).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마지막 사용자 입력이,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도시된 작업중 순서도에 포함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기입을 완료하는 입력을 가리키는 것이면 조건을 통과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기입을 완료하는 입력은, 순서도에 추가된 프로세스에 대한 이름 변경을 완료하는 사용자 입력, 상기 순서도 프로세스의 그룹 변경 완료하는 사용자 입력 및 타겟 이미지의 재설정 완료하는 사용자 입력 등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서도에 추가된 프로세스에 대한 이름 변경, 타겟 이미지 재설정 또는 순서도 프로세스의 그룹 변경 이후에 엔터(enter)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엔터키가의 입력된 시점에서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순서도 GUI로부터 순서도에 추가된 프로세스에 대한 이름 변경이 완료되는 동작, 타겟 이미지의 재설정이 완료되는 동작 및 순서도 프로세스의 그룹 변경이 완료되는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S1202).
S1202단계 이후,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도시된 작업중 순서도에 포함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기입이 완료되는 마지막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1203).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설명한다. 단계 S130에서, S120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식별될 수 있다(S130). 본 동작 역시, 단계 S120과 마찬가지로 서비스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 프로세스의 이름 변경 - 프로세스의 타겟 이미지(12) 재설정]을 반복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반복 입력되는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 프로세스의 이름 변경 - 프로세스의 타겟 이미지(12) 재설정] 이 하나의 패턴으로 식별될 수 있을 것이다.
S130단계 이후, 서비스 서버(100)는 S130단계에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턴이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패턴 및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S140).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순서도 GUI에 표시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순서도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턴이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패턴 및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가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으로 표시'되는 것은, 상기 최후의 사용자 입력 이후에 어떠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이 없는 상황에서,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가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는, 식별된 패턴을 이용하여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된 이후에 입력될 사용자 입력에 대한 추천 정보를 의미한다. 즉,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는 순서도 GUI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종류의 사용자 입력 중 식별된 패턴을 기반으로 최후의 사용자 입력된 이후에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포인터 이동과 같은 low level의 사용자 입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에 포함되는 각각의 후속 입력 추천 역시, 상기 low level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추천이 아니라, 상기 순서도 GUI의 후속 조작(예를 들어, 특정 타입의 프로세스 추가)에 대한 추천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 엔터키 입력]의 반복을 포함하는 경우, 그 반복 되는 사용자 입력이 패턴으로서 식별될 것이고,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후의 엔터키 입력"인 경우,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가 엔터키 입력 이후 자동으로 표시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표시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에 포함된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를 선택하면, 작업중 순서도에 클릭 속성 프로세스가 추가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는 순서도 GUI를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포인터 이동 거리를 줄여서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주의를 끄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적인 툴바(Floating Tool Bar)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포인터와 인접한 우측 하단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에 포함되는 각각의 추천 후속 조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우선 순위가 높은 추천 후속 조작의 아이콘일수록 포인터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각각의 아이콘들이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 내부에 나열될 수 있다. 이로써, 우선 순위가 높은 추천 후속 조작일수록 포인터 이동 거리가 짧아지고, 그로 인해 더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포인터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포인터가 특정 단축 아이콘 위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단축 아이콘의 속성이 나타나도록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0)는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를 입력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마우스 포인터 형태의 단축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고, 포인터가 마우스 포인터 형태의 단축 아이콘 위에 위치하는 경우, 마우스 포인터 형태의 단축 아이콘이 "Click"의 문자 형태의 단축 아이콘으로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기 입력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에 대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가 선택한 프로세스 아래에 선택한 사용자 입력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순서도 GUI를 잘 다루지 못하는 초보자가 순서도 GUI에 표시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 대하여 어떤 기능을 가지는 단축 아이콘인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사용자 입력을 추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30)는, 상기 순서도 GUI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용자가 구성요소들을 추가하기 위해 화면의 상단이나 좌우측의 리스트 영역을 왔다 갔다 반복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결과물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순서도 GUI를 잘 다루지 못하는 초보자들도 자신의 사용자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적합한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 받음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의 몇몇 예시를 들어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특정 속성의 프로세스가 반복하여 작성중 순서도에 포함된 경우의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순서도 GUI를 통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어진다(S210).
이후, S210단계에서 얻은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가 분석되고,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가 추가되는 사용자 입력이 반복하여 입력되는 패턴이 감지된다(S220).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가 연속적으로 반복 입력된 횟수가 기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가 반복 입력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가 연속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패턴을 감지할 수 있고,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가 반복 입력되는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가 연속적으로 반복 입력된 횟수가 5회이고, 기 지정된 횟수가 4회인 경우,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의 사용자 입력이 기 지정된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가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되는 입력이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이뤄진 횟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러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은 제1 패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후,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제1 패턴을 포함하고,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인 경우,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를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0)는 기 지정된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한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에 대하여,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인 경우,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를 GUI의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S230단계에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제1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된 횟수를 기준으로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 추가될 프로세스 속성을 결정하고, 결정된 속성의 프로세스를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상기 제1 패턴을 포함하지 않을 때,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된 사용자 입력의 횟수가 "클릭 속성 프로세스 추가" 10회 및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4회인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된 사용자 입력 횟수가 높은 "클릭 속성 프로세스 추가"를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제1 패턴에 대응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와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된 횟수를 기준으로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 추가될 프로세스가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순서도 GUI에 함께 표시하되, 제1 패턴에 대응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최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최우선적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툴바 형태의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서 하나 이상의 추천 사용자 입력을 단축 아이콘 형태로 제공할 때, 포인터와 가장 인접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복수의 속성의 사용자 입력이 반복 입력되는 경우에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속성의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추가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순서도 GUI를 통해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가 얻어진다(S310).
이후, 서비스 서버(100)는 S310단계에서 얻은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속성의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되는 동일한 사이클이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입력되는 제2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S320).
이후,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되는 동일한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입력된 횟수가 기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및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의 사이클이 반복 입력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및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의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패턴을 감지할 수 있고, 사이클이 반복 입력된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반복 입력된 횟수가 5회이고, 기 지정된 횟수가 4회인 경우,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및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의 사이클이 반복 입력된 횟수가 기 지정된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은 제2 패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후,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사이클에 포함된 복수의 속성의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인 경우, 사이클에 포함된 그 이후의 프로세스를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및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의 사이클이 반복되는 제2 패턴을 가지고,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인 경우,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의 사용자 입력 이후에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를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가 얻어진다(S410)
S410단계 이후,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매칭되는 패턴이,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S420). 상기 판정은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거나,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의 패턴이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10) 추가- 프로세스(10)의 이름 변경(11)-프로세스(10)의 타겟 이미지(12) 재설정"]의 반복으로서, 사이클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서 이러한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이 때, 비교되어야 하는 패턴의 개수가 많은 경우, 상기 판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비교 대상 패턴이 특정 패턴 정보에 포함된 것으로 사전이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의하여 비교 대상 패턴이 특정 속성의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패턴 정보에 포함된 것으로 한정 될 수 있을 것이다. S420단계이후, S420단계에서 매칭된 패턴 정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서도 GUI에 대한 숙달자의 패턴 정보들을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이 구성하는 패턴에 적합한 후속 사용자 입력이 추천됨으로써, 현재 사용자는 상기 숙달자의 사용 패턴을 신속하게 습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조작을 한꺼번에 입력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이 추천되고, 그러한 추천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조작이 한꺼번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 내지 11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순서도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가 얻어진다(S510).
이후,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가지는 패턴이 식별된다 (S520).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의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상기 패턴이 식별되거나,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패턴들 중에서, 현재 사용자의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패턴이 식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식별된 패턴 및 마지막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입력이 추천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530).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순서도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클릭 속성의 제1 프로세스 추가 - 제1 타겟 이미지 세팅" 및 "클릭 속성의 제2 프로세스 추가 - 제2 타겟 이미지 세팅"이고,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패턴들 중에서, [클릭 속성의 제1 프로세스 추가 - 제1 타겟 이미지 세팅 - 클릭 속성의 제2 프로세스 추가 - 제2 타겟 이미지 세팅 - 제1 그룹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패턴과, [클릭 속성의 제1 프로세스 추가 - 제1 타겟 이미지 세팅 - 클릭 속성의 제2 프로세스 추가 - 제2 타겟 이미지 세팅 - 제2 그룹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패턴과, [클릭 속성의 제1 프로세스 추가 - 제1 타겟 이미지 세팅 - 클릭 속성의 제2 프로세스 추가 - 제2 타겟 이미지 세팅 - 제3 그룹 사용자 입력]을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제2 타겟 이미지 세팅까지 마무리 된 현 상황에서, 다음의 사용자 입력으로 제1 그룹 사용자 입력, 제2 그룹 사용자 입력 및 제3 그룹 사용자 입력이 모두 추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에는 제1 그룹 사용자 입력(Open Mail Box), 제2 그룹 사용자 입력(Collect Mails) 및 제3 그룹 사용자 입력(Download Attachment)이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으로서 각각 포함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40)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언급된 그룹 사용자 입력은 2개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 입력 추천 정보(40)는 각각의 그룹 사용자 입력을 가리키는 아이템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에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경우, 해당 그룹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이 팝업 표시 등의 방식을 통해 잠시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가 그룹 사용자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그룹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결과가 작업중 순서도에 반영될 것이다.
예를 들어, 포인터의 위치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Open Mail Box"의 제1 그룹 사용자 입력 아이템 위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그룹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 엔터키 입력"이 잠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그룹 사용자 입력이 선택되는 경우,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클릭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텍스트 입력 속성의 프로세스 추가 및 엔터키 입력이라는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그룹 사용자 입력의 선택 이후의 추가적이 사용자 입력 없이도 모두 처리될 것이다.
한편, 식별된 어느 하나의 패턴에 따를 때에는 그 패턴 및 마지막 사용자 입력을 고려하면, 복수의 사용자 입력(즉, 그룹 사용자 입력)이 추천되어야 하고, 또한 식별된 다른 패턴에 따를 때에는 그 패턴 및 마지막 사용자 입력을 고려할 때 하나의 사용자 입력이 추천되어야 할 수도 있다. 이럴 때에는, 상기 매칭된 패턴 정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제1 패턴에 따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일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제1 GUI 객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제2 패턴에 따라 단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제2 GUI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제1 GUI 객체가 상기 제2 GUI 객체보다는 포인터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룹 사용자 입력을 일괄 처리하는 것이 작업 속도 향상에 더 기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도 11에는 제1 GUI 객체(40) 및 제2 GUI 객체(3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저작 툴의 GUI를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의 위치가 얻어진다다(S610).
이후, 상기 저작 툴의 GUI를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의 위치가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표시된 작업중 순서도를 구성하는 화살표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620 및 S630).
이후, 포인터가 화살표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중인 순서도의 흐름(flow)을 정의하기 위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된다(S640).
하나의 순서도 프로세스 그룹 내에서 여러 종류의 속성의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일방향 확장 방식과 달리 양방향으로 확장해 나가는 순서도의 경우, 아래로는 순서도 프로세스를 추가하고 좌우측 방향으로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새로운 프로세스 그룹이나 분기를 생성하려는 패턴이 보인다. 즉, 양방향으로 확장해 나가는 순서도일때, 포인터가 좌우측으로 화살표 인근으로 이동하는 경우, 좌우측 방향으로 순서도를 확장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가 화살표 인근에 위치하는 경우, 순서도를 양방향으로 확장하는데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어박스를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박스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단축 아이콘 위에 위치하는 경우, 단축 아이콘을 좌우측으로 늘어나게 하여 단축 아이콘이 의미하는 제어박스의 속성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턴이 일방향으로 확장되는 패턴을 가진 경우, 순서도에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입력, 프로세스의 이름을 변경하는 입력, 타겟 이미지를 재설정하는 입력 및 그룹명을 변경하는 입력 등과 같이 순서도 프로세스를 추가, 변경 및 수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턴이 양방향으로 확장하는 패턴을 가진 경우, 양방향 확장을 하기 위해 순서도에 제어박스를 추가하는 입력을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순서도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박스에 대한 단축 아이콘을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제공하되,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제공된 이후, 후속 입력 추천 정보 이외의 다른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후속 입력 추천 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30)와 순서도 패턴 추출 소프트웨어(141) 및 패턴 정보(142)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비스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컴퓨팅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출력된 순서도 GUI를 통해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40)로부터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기능이 부가된 저작 툴 소프트웨어(141)를 로드할 수 있다. 도 14에서 메모리(130)의 예시로 RAM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41)을 로드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 요소든지 적용 가능하다.
스토리지(140)는 패턴 정보(142) 및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기능이 부가된 저작 툴 소프트웨어(141)를 저장한다.
스토리지(1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기능이 부가된 저작 툴 소프트웨어(141)는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 동작,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는 동작 및 패턴이 식별된 경우, 식별된 패턴 및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기능이 부가된 저작 툴 소프트웨어(141)는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 동작,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 및 판정에 따를 때 매칭된 패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된 패턴 정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기능이 부가된 저작 툴 소프트웨어(141)는 순서도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의 GUI를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표시된 작업중 순서도를 구성하는 화살표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살표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중인 순서도의 흐름(flow)을 정의하기 위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이 식별된 경우,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authoring tool)의 GUI이고,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도시된 작업중 순서도에 포함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기입이 완료되는 마지막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되는 패턴은,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가 추가되는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입력되는 제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상기 제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상기 제1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된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 추가될 고빈도 프로세스 속성을 결정하고, 상기 고빈도 프로세스 속성의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된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에 추가될 고빈도 프로세스 속성을 결정하고, 상기 고빈도 프로세스 속성의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제1 속성을 가지는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의 후순위로서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되는 패턴은,
    복수의 서로 다른 속성의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사이클이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입력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식별된 패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중 최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이 형성한 패턴이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최후의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이클에 포함되는 마지막 속성의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인 경우, 상기 사이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속성의 프로세스를 상기 작업중 순서도에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기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8.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입력된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칭된 패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 이후의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의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서 식별된 패턴으로 구성된 것이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컴퓨팅 장치에 다운로드 된 것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authoring tool)의 GUI이고,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패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도시된 작업중 순서도에 포함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기입이 완료되는 마지막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와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패턴 정보 사이의 매칭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패턴 정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패턴에 따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일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패턴 정보에 따른 후속 입력 추천 정보는,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제1 패턴에 따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일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제1 GUI 객체, 및 상기 일련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제2 패턴에 따라 단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제2 GUI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13. 순서도(Flowchart) 형태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 툴(authoring tool)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포인터의 위치를 얻는 단계;
    상기 저작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조작하기 위한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저작 툴의 작업 화면에 표시된 작업중 순서도를 구성하는 화살표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살표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작업중 순서도의 흐름(flow)을 정의하기 위한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후속 입력 추천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속 사용자 입력을 추천하는 방법.
KR1020180130843A 2018-10-30 2018-10-30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KR102560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43A KR102560843B1 (ko) 2018-10-30 2018-10-30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US16/668,278 US11256996B2 (en) 2018-10-30 2019-10-30 Method for recommending next user input using pattern analysis of user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43A KR102560843B1 (ko) 2018-10-30 2018-10-30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606A true KR20200048606A (ko) 2020-05-08
KR102560843B1 KR102560843B1 (ko) 2023-07-27

Family

ID=7032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843A KR102560843B1 (ko) 2018-10-30 2018-10-30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56996B2 (ko)
KR (1) KR102560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95A1 (ko) * 2020-08-18 2022-02-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매니퓰레이터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0241B2 (en) 2019-06-13 2022-03-08 Nic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very of automation opportunities
US11481420B2 (en) * 2019-08-08 2022-10-25 Nic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computer input to provide next action
US20240094902A1 (en) * 2022-09-20 2024-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vironment- and preference-based application and operation guidance sel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3884B1 (en) * 1999-03-31 2001-1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sisting user selec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US20080034128A1 (en) * 2003-06-28 2008-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Operations
US20150160811A1 (en) * 2013-12-11 2015-06-11 Sehul S. SHAH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diting, and navigating one or more flowcharts
US20170249017A1 (en) * 2016-02-29 2017-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dicting text input based on user demographic information and context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56875A1 (en) * 2001-05-10 2002-11-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ntext dependent user input prediction
US8166419B2 (en) * 2008-01-30 2012-04-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ng amongst a plurality of symbols on a display device
US9229905B1 (en) * 2011-04-22 2016-01-05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defining vehicle user profiles and managing user profiles via cloud systems and applying learned settings to user profiles
US11036523B2 (en) * 2017-06-16 2021-06-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user interfa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3884B1 (en) * 1999-03-31 2001-1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sisting user selec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US20080034128A1 (en) * 2003-06-28 2008-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Operations
US20150160811A1 (en) * 2013-12-11 2015-06-11 Sehul S. SHAH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diting, and navigating one or more flowcharts
US20170249017A1 (en) * 2016-02-29 2017-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dicting text input based on user demographic information and context in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95A1 (ko) * 2020-08-18 2022-02-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매니퓰레이터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 장치
KR20220022522A (ko) * 2020-08-18 2022-02-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매니퓰레이터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56996B2 (en) 2022-02-22
US20200134488A1 (en) 2020-04-30
KR102560843B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843B1 (ko) 사용자 입력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후속 사용자 입력 추천 방법
US9589233B2 (en) Automatic recognition and insights of data
US9360992B2 (en) Three dimensional conditional formatting
TW202018533A (zh) 資料處理模型構建方法、裝置、伺服器和用戶端
KR101773574B1 (ko) 데이터 테이블의 차트 시각화 방법
EP2743825A1 (en) Dynamical and smart positioning of help overlay graphics in a form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CN109891374B (zh) 用于与数字代理的基于力的交互的方法和计算设备
US11029836B2 (en) Cross-platform interactivity architecture
US20140325418A1 (en) Automatically manipulating visualized data based on interactivity
US20140331179A1 (en) Automated Presentation of Visualized Data
WO2013192464A1 (en) Folded views in development environment
WO2017065991A1 (en) Generation of application behaviors
US10210141B2 (en) Stylizing text by replacing glyph with alternate glyph
US1085310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learning-based personalized user interfaces
EP3008620B1 (en) Tethered selection handle
US9335979B1 (en) Data type visualization
KR101910179B1 (ko)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웹 기반 차트 라이브러리 시스템
CN115701299A (zh) 组合的本地和服务器上下文菜单
KR101769129B1 (ko) 온라인 환경에서 구현되는 대시보드 내 차트간 인터랙션 방법
CN114090002A (zh) 前端界面构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605448B1 (ko)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EP30962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interactive image object
CN113076480A (zh) 页面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10095487B1 (en) Data type visualization
KR20190011186A (ko)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웹 기반 차트 라이브러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