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364A - 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364A
KR20200048364A KR1020180130393A KR20180130393A KR20200048364A KR 20200048364 A KR20200048364 A KR 20200048364A KR 1020180130393 A KR1020180130393 A KR 1020180130393A KR 20180130393 A KR20180130393 A KR 20180130393A KR 20200048364 A KR20200048364 A KR 20200048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one
skin
test substance
wavelength range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5093B1 (en
Inventor
최지예
연영민
김은주
한지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3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93B1/en
Publication of KR2020004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3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and a screening method of materials having skin tone improvement a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re an accurate evaluation method and screening method capable of improving a cognitive skin tone compared to a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 which does not conform to a consumer trend by using a new evaluation index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gnitive skin tone which a consumer actually sees and feels.

Description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본 발명은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높은 새로운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skin tone improving efficacy and a method for screening a substance having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and more specifically, comprising calculating a new evaluation index highly correlated with cognitive skin tone actually seen and felt by a consumer. It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skin tone improving efficacy and a method for screening a substance having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저성장 시대에 접어들면서 뷰티 관련 기업의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소비자의 감성과 민감도는 더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 군이 피부 톤 표현에 관련된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들이다. 관련 제품의 소비자 트렌드를 살펴 보면 보다 자신에게 적합한 피부 톤을 재현하는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최근 수행된 설문 조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해외 화장품 소비자 심층 조사, 2014, pp. 24 ~ 411) 결과에 따르면, 국적, 인종을 불문하고 밝은 피부 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In the era of low growth, the competition of beauty-related companies is becoming more intense, and consumers' sensitivity and sensitivity are becoming more diverse. The representative product group that most sensitively reflects this market trend is base makeup products related to skin tone expression. If you look at the consumer trends of related products, it is analyzed that you prefer products that reproduce skin tones that are more suitable for you, and recently conducted a survey (Korea Cosmetics Industry Research Institute, In-depth Survey of Foreign Cosmetic Consumers, 2014, pp. 24 ~ 411) According to the results, regardless of nationality or race, light skin tones are preferred.

이러한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를 반영하여 밝은 피부 톤을 구현할 수 있는 피부 톤 개선 효능을 나타내거나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예컨대, 인공합성 화합물, 천연 추출물 등) 또는 제품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 피부 톤 개선 기능성 화장품의 연구, 개발 과정에서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피부 톤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색차계를 사용하여 피부 톤의 명도, 채도 등을 측정하여 피부 톤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Evaluating the efficacy of a product (eg, artificial synthetic compound, natural extract, etc.) or product that exhibits or is expected to exhibit a skin tone improvement effect capable of realizing a light skin tone by reflecting the consumer's product preference is a skin tone improvement functionality It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of cosmetics. In order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about skin tones, it is generally used to analyze and evaluate skin tones by measuring the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skin tones using a colorimeter.

색차계를 활용한 피부 톤 분석 및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2227호에서도 색차계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상태를 실질적으로 반영하는 피부 톤 등급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실측 피부 톤만을 기초로 피험자의 피부 톤 등급을 평가하는 위 방법은 여전히 소비자가 선호하는 피부 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analyzing and evaluating skin tone using a colorimet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2227 also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skin tone grades using a colorimeter to substantially reflect a subject's condition. . However, the above method of evaluating a subject's skin tone grade based only on the measured skin tone still has a problem that the skin tone preferred by the consumer is not properly reflected.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실측 피부 톤 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실측 피부 톤뿐만 아니라, 실측 피부 톤과 인지 피부 톤을 함께 반영하여 화장품, 특히 피부 톤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과 색조 화장품을 개발하고, 또 소비자에게 개발 제품에 기반하여 메이크업을 가이드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skin tone that consumers actually see and feel and the actual skin tone measured using a colorimeter. Therefore, not only the actual skin tone, but also the actual skin tone and cognitive skin tone are reflected to develop cosmetics, especially functional and color cosmetics for skin ton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guide makeup based on the product developed to consumers. This is a deman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222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22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높으면서 또 인지 피부 톤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지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새로운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피부 톤 선호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실제로 피부 톤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화장료 소재 및/또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효능 평가 방법 및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톤 개선 물질 및 제품의 효능을 검증하는데 유용하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인지 피부 톤 트렌드를 제대로 또 즉각적으로 반영한 기능성 또는 색조 화장품 개발에 매우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evaluation index that can reflect the preference for cognitive skin tone while having high correlation with cognitive skin tone that consumers actually see and feel. will b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urate efficacy evaluation method and screening method for a cosmetic material and / or product having functionality capable of actually improving skin tone while meeting the trend of skin tone preference of consumers using this new evaluation index. will b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verifying the efficacy of skin tone improving substances and products, and is very useful in developing functional or color cosmetics that properly and immediately reflect the cognitive skin tone trend preferred by consumer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Rt)에 대한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S)의 비(S/Rt)가 피험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유의적인 상관 관계가 있음을 지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a)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에서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As a result of earnest research by the present inventor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atio (S) of the reflectance (S) measured in the violet, blue, or violet to blue wavelength region relative to the reflectance (Rt) measured in the entir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S / 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ognitive skin tone that the subject actually sees and feel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isible light for (a)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test substance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ject's skin. Measuring the reflectance in the wavelength range and storing the measured value, (b) processing the measured value stored in the step (a) in the calculation unit set in Equation 1 below, and the skin tone index (T b ) before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and Skin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kin tone index (T a ) after application and (c) outputting the skin tone index increase rate (T a -T b ) * 100 / T b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Tone improvement efficacy It provides a screening method of a substance having a skin-tone method and improved activit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T: 피부 톤 지수, (T: skin tone index,

S: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S: reflectance measured in the violet, blue, or violet to blue wavelength range,

Rt: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Rt: reflectance measured over the entire visible wavelength range).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높은 새로운 피부 톤 평가 지수를 이용함으로써, 소비자 메이크업 트렌드에 부합하지 못하는 종래의 측정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측 피부 톤 및 인지 피부 톤 간의 상관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하여 피부 톤을 개선할 수 있는 활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가 선호하는 피부 톤을 반영하여 시장의 흐름 및 메이크업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실제로 피부 톤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화장료 소재 및/또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효능 평가 방법 및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new skin tone evaluation index that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skin tone actually seen and felt by the consumer,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 that does not conform to the consumer makeup tren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tive substance capable of improving skin tone and a cosmetic using the same by objectively reflec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skin tone and the perceived skin 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screening method for accurately evaluating the efficacy of a cosmetic material and / or product having functionality capable of actually improving the skin tone while reflecting the skin tone preferred by the consumer and in line with the market trend and makeup trend Can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지수를 포함한 분석 지수들과 인지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피부 톤과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1 is a flow chart of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rrelation analysis result between analysis indexes including an analysis index and cognitive skin 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skin reflection spectr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 cognitive skin 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kin tone index as an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drawings.

본 발명에서, 용어 ‘인지 피부 톤’은 메이크업 또는 비-메이크업 상태에서 피험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전반적인 피부의 색, 밝기 및 상태(예컨대, 균일도, 여드름, 뾰루지, 검버섯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의 유무, 등)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험자의 인지 피부 톤 관련 정보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의 문진, 피험자의 자가 설문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전문가의 문진, 피험자의 자가 설문이 반드시 모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피험자의 피부 톤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ognitive skin tone' refers to the overall skin color, brightness, and condition that a subject actually sees and feels in a makeup or non-make-up state (e.g., uniformity, presence or absence of skin problems such as acne, rashes, blotch, etc.) Meaning,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s cognitive skin tone-related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an expert's questionnaire for the subject and a subject's self-question. Expert interviews and subject self-questions are not required to be performed, and any one of these methods can be used to obtain subject's skin tone related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시험대상 물질은,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 한, 피부 톤 개선 효능을 갖거나 가질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이 물질은 피부 톤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주성분의 피부 톤 개선 기능을 향상시키는 보조성분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to be tested means a substance having or presumed to have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unless otherwise defined, and this substance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a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one, or of other main components. It can also be used as an auxiliary ingredient to improve the skin tone improv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또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또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은, (a)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S100), (b)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에서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하는 단계(S200) 및 (c)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 상의 특징으로 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valuating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or a method for screening a substance having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method for evaluating skin tone improving efficacy or a method for screening a substance having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pplying a substance to be tested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ject's skin For each of the before and after, measuring the reflectanc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and storing the measured values (S100), (b) processing the measured values stored in the above step (a) in the calculation unit with the following equation 1 set to test Steps (S200) and (c) of calculating the skin tone index (T b ) before application of the target substance and the skin tone index (T a ) after application (T a -T b) ) * 100 / T 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 step (S300) for output.

본 발명의 (a) 단계(S100)에서는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한다. In step (S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test substance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ject's skin, the reflectance is measured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to store the measured value.

본 발명에서 반사율은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사람의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빛의 영역인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광원으로서 할로겐 램프, 제논 램프, 중수소 램프 또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등이 사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ance is measured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which is a region of light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human eye in order to objectively reflect the perceived skin tone that a consumer actually sees and feels. Specifically,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may be a wavelength region of 400 to 700 nm. A halogen lamp, a xenon lamp, a deuterium lamp or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is used as the light source emitting the visible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선은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서 반사되며, 가시광선 스펙트로미터는 상기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을 분광시켜 파장 또는 진동수의 감응 함수값으로서 반사율을 출력한다. 상기 가시광선 스펙트로미터는 광 다이오드, 광 트랜지스터 또는 전자 결합 소자 등의 수광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ject's skin, and the visible light spectrometer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and spectralizes the received light to output a reflectance as a function of a function of wavelength or frequency. The visible light spectrometer includes a light-receiving unit such as a photodiode, a phototransistor, or an electronic coupling element, and may include the light source.

본 발명의 (b) 단계(S200)에서는 상기 (a) 단계(S100)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에서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한다.In the step (b) of the present invention (S200), the measured value stored in the step (S) of (a) is processed by the calculation unit in which Equation 1 below is set, and the skin tone index (T b ) before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and skin after application Calculate the tone index (T a ).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T: 피부 톤 지수, (T: skin tone index,

S: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S: reflectance measured in the violet, blue, or violet to blue wavelength range,

Rt: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Rt: reflectance measured over the entire visible wavelength range).

일반적으로 피부의 인지 밝기 및 실측 밝기는 광원에서 반사된 광의 전체 스펙트럼과 관계가 있는데, 본 발명자들은 특히 인지 피부 톤과 상기 400 내지 490 nm의 파장 영역의 스펙트럼 간에 유의적인 상관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상기 자색 영역은 400 내지 455 nm이고, 상기 청색 영역은 455 내지 490 nm이고,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은 400 내지 49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전체의 연속적인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과 피험자의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따라, 자색 또는 청색 각각의 영역에 비하여,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전체의 연속적인 영역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의 연속된 영역이 아닌, 상기 자색 또는 청색 각각의 영역을 이용할 경우, 상기 자색 영역은 400 내지 450 nm이고, 상기 청색 영역은 460 내지 490 n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general, the perceived brightness and measured brightness of the skin are related to the entire spectrum of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skin tone and the spectrum of the wavelength range of 400 to 490 nm. . Therefore, in Equation 1, the purple region is 400 to 455 nm, the blue region is 455 to 490 nm, and the purple to blue wavelength region is preferably a wavelength region of 400 to 490 n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flectance measured in a continuous region of the entire purple-blue wavelength and the perceived skin tone of the subject, and accordingly, compared to the respective regions of purple or blue, the purple-blue wavelength It is preferable to use the entire continuous area. When each region of the purple or blue is used instead of the continuous region of the purple to blue wavelength, the purple region is preferably 400 to 450 nm, and the blue region is more preferably 460 to 490 nm.

상기 (c) 단계(S300)에서는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한다. In step (c) (S300), the skin tone index increase rate (T a -T b ) * 100 / T b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is outpu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또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은 상기 (c) 단계(S300)가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이 1.03% 이상인 경우, 피부 톤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310)일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인 1.0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95% 신뢰구간으로 계산 시 도출된 하한값에 해당한다. 상기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결과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방식으로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결과 또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출력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screening method of a material having a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the step (c) (S300) before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When the skin tone index increase rate (T a -T b ) * 100 / T b is 1.03% or more after, it may be determined as having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and outpu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S310). The reference value of 1.03% corresponds to a lower limit derived when calculating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evaluation result may be output in a visual or audible manner, and if the device is capable of outputting a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evaluation result or a screening result of a substance having skin tone improvement activity in this manner, the output unit is not limited. Can be implemented a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only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참고예 1>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Reference Example 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actual skin tone

1. 설문조사를 통한 인지 피부 톤 조사1. Survey of cognitive skin tone through survey

평균 연령이 33.8 ± 7.8세인 건강한 한국 여성 61 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설문은 자가 응답 형식으로 실시하였으며 피부 톤에 대하여 ‘1) 밝다, 2) 붉다, 3) 노랗다’의 세 가지 문항 중 본인이 생각하는 항목에 체크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61 healthy Korean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33.8 ± 7.8 year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elf-response, and among the three questions, '1) bright, 2) red, and 3) yellow, the skin tone was checked by checking the items I think.

2.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한 실측 피부 톤 측정2. Measurement of actual skin tone using a spectrophotometer

측정 전 모든 피험자들의 얼굴을 클렌징 폼(Foam)으로 세안하게 한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 간 대기시켰다. Before measurement, the faces of all subjects were washed with cleansing foam (Foam) and then waited for 15 minutes i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2 ± 2 ° C, 45 ± 5% RH).

피부 색은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 CM2600d,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전 스펙트로포토미터의 blank 값을 0과 99로 교정한 후 측정을 시작하였다.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얼굴 전면 뺨 부위를 측정하여 피부 밝기 값(lightness, L* 파라미터 값), 피부 붉은기 값(redness, a* 파라미터 값) 및 피부 노란기 값(yellowness, b* 파라미터 값)을 구하였다. Skin color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Spectrophotometer, CM2600d, Minolta, Japan), and the blank value of the spectrophotometer was corrected to 0 and 99 before measurement to start measurement. Measure the front cheek area using a spectrophotometer to determine the skin brightness (lightness, L * parameter values), skin redness (a * parameter values) and skin yellowness (b * parameter values). I got it.

유의적 상관성은 피부 톤 측정 후 통계분석프로그램(ANOVA(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Significant correlation was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OVA (SPSS 20.0)) after measuring skin tone.

3.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3. Correlation analysis result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actual skin tone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actual skin tone are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실측 피부 톤Actual skin tone L* 파라미터 값L * parameter value a* 파라미터 값a * parameter value b* 파라미터 값b * parameter value 인지 피부 톤Cognitive skin tone 밝다bright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0.3830.383 -0.169-0.169 -0.424-0.424 p-valuep-value 0.0020.002 0.1940.194 0.0010.001 붉다Red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0.455-0.455 0.6190.619 -0.462-0.462 p-valuep-value 0.0000.000 0.0000.000 0.0000.000 노랗다Yellow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0.076-0.076 -0.156-0.156 0.6890.689 p-valuep-value 0.5600.560 0.2310.231 0.0000.000

상기 표 1로부터, 피험자 스스로 피부가 밝다고 인지한 경우 L* 파라미터 값이 상관 계수 0.383로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 파라미터 값 또한 상관 계수 -0.424로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rom Table 1, when the subjects themselves perceived the skin to be bright, the L * parameter valu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383, and the b * parameter value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24.

<참고예 2> 인지 피부 톤과 유의적 상관성이 있는 지표 도출<Reference Example 2> Derivation of indicators that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gnitive skin tone

L* 파라미터 값 및 b* 파라미터 값과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참고예 1의 분석 결과로부터, 인지 피부 톤과의 상관성이 더 높은 지표를 도출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From the analysis results of Reference Example 1, whic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 * parameter value and the b * parameter value and cognitive skin tone,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rive an index having a higher correlation with cognitive skin tone .

1.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표 도출1. Derivation of indicators expected to correlate with cognitive skin tone

참고예 1에서 측정된 피부 밝기 값(lightness, L* 파라미터 값), 피부 붉은기 값(redness, a* 파라미터 값), 피부 노란기 값(yellowness, b* 파라미터 값) 및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피험자가 실제로 보고 느낀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표를 도출한 후, 실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유의적 상관성은 피부 톤 측정 후 ANOVA(SPSS 2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he spectrum of the skin brightness value (lightness, L * parameter value), skin redness value (aness, a * parameter value), skin yellowness value (yellowness, b * parameter value) and reflected light measured in Reference Example 1 alone or In combination, we derived an index that is expected to correlate with the perceived skin tone that the subject actually saw and felt, and then analyzed the actual correlation.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nalyzed using ANOVA (SPSS 20.0) after skin tone measurement.

인지 피부 톤과 참고예 1에서 도출한 측정값 및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지표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gnitive skin tone and the measured value derived from Reference Example 1 and the spectrum of reflected light alone or in combination are shown in FIG. 3 below.

2. 인지 피부 톤과 유의적 상관성이 있는 지표 도출 결과2. Results of deriving indicators tha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gnitive skin tone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Rt) 특히, 그 중에서도 자색 또는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이 차지하는 비율인 피부 톤 지수(T)의 경우 상관 계수 0.56, 0.51 로,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As shown in FIG. 3, the reflectance (Rt) measured in the entir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in particular, the skin tone index (T), which is the ratio occupied by the reflectance measured in the purple or blue wavelength region, has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6, 0.51. ,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참고예 3>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1<Reference Example 3>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skin reflection spectrum 1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Rt) 중에서 자색 또는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이 차지하는 비율인 피부 톤 지수(T)와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참고예 2의 분석 결과를 좀 더 세부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analysis result of Reference Example 2, which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kin tone index (T) and the perceived skin tone, which is the ratio of the reflectance measured in the violet or blue wavelength region among the reflectance (Rt) measured in the entir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In order to compare in more detail,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1.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실측 피부 톤 측정1. Measurement of actual skin tone using a spectrometer

측정 전 모든 피험자들의 얼굴을 클렌징 폼(Foam)으로 세안하게 한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 간 대기시켰다. 피부 반사 스펙트럼은 스펙트로미터(CM-2600d,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용된 스펙트로미터의 광 분해능(optical resolution)은 0.01%이며, 측정 가능한 파장 범위는 360~740 nm이다.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얼굴 전면 뺨 부위를 측정하여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유의적 상관성은 피부 톤 측정 후 ANOVA(SPSS One-w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Before measurement, the faces of all subjects were washed with cleansing foam (Foam) and then waited for 15 minutes i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2 ± 2 ° C, 45 ± 5% RH). The skin reflection spectrum was measured using a spectrometer (CM-2600d, Konica Minolta), the optical resolution of the used spectrometer is 0.01%, and the measurable wavelength range is 360-740 nm.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light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front cheek area using a spectrometer.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nalyzed using ANOVA (SPSS One-way) after skin tone measuremen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actual skin tone are shown in FIG. 4 below.

2.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2. Correlation analysis result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skin reflection spectrum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전체의 연속적인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과 피험자의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전체의 연속적인 영역 중에서도 특히, 400 내지 490 nm의 연속적인 파장 영역에서 피험자의 인지 피부 톤과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As shown in FIG. 4,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flectance measured in the continuous region of the entire purple to blue wavelength and the perceived skin tone of the subject. Among the continuous regions of the entire purple to blue wavelength, it was found t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ubject's cognitive skin tone, particularly in the continuous wavelength region of 400 to 490 nm.

<참고예 4>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2<Reference Example 4>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skin reflection spectrum 2

참고예 3의 분석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T)와 인지 피부 톤 간의 상관성을 좀 더 세부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From the analysis results of Reference Example 3, in order to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kin tone index (T) which is an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gnitive skin tone in more detail,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1. 인지 피부 톤 평가1. Cognitive skin tone evaluation

모든 피험자들의 얼굴을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의 밝기 정도에 대하여, 전문가 8인의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매우 어두움의 1부터 매우 밝음의 9까지 9점 척도를 이용하여 등급을 설정하였다.Eight experts evaluated the brightness of the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faces of all subjects, and set the grade using a 9-point scale from 1 of very dark to 9 of very bright.

2.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실측 피부 톤 측정2. Measurement of actual skin tone using a spectrometer

측정 전 모든 피험자들의 얼굴을 클렌징 폼(Foam)으로 세안하게 한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 간 대기시켰다. 피부 반사 스펙트럼은 스펙트로미터(CM-2600d,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용된 스펙트로미터의 광 분해능(optical resolution)은 0.01%이며, 측정 가능한 파장 범위는 360~740 nm이다.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얼굴 전면 뺨 부위를 측정하여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유의적 상관성은 피부 톤 측정 후 ANOVA(SPSS One-w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p=0.33). Before measurement, the faces of all subjects were washed with cleansing foam (Foam) and then waited for 15 minutes i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2 ± 2 ° C, 45 ± 5% RH). The skin reflection spectrum was measured using a spectrometer (CM-2600d, Konica Minolta), the optical resolution of the used spectrometer is 0.01%, and the measurable wavelength range is 360-740 nm.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light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front cheek area using a spectrometer.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nalyzed using ANOVA (SPSS One-way) after skin tone measuremen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actual skin tone are shown in FIG. 5 below (p = 0.33).

3.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3. Correlation analysis result between cognitive skin tone and skin reflection spectrum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지 등급이 3 에서 7로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인지 피부 톤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T) 또한 18.81에서 20.38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T)와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cognitive grade from 3 to 7, the cognitive skin tone was also found to increase from 18.81 to 20.38, which is an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kin tone index (T), which is an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erceived skin tone.

<시험예 1> 피부 톤 개선 제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시험<Test Example 1>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evaluation test of skin tone improvement products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에서 인지 피부 톤과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 피부 톤 지수(T)를 이용하여 피부 톤 개선 제품의 피부 톤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of the skin tone improvement products using the skin tone index (T), whic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ognitive skin tone in Reference Examples 1 to 4.

실험 방법은, 건강한 한국 여성의 얼굴을 클렌징 폼(Foam)으로 세안하게 한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 간 대기시켰다. 피험자의 얼굴 전면 뺨 부위의 피부 색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을 참고예 2 내지 참고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피부 톤 지수(T)를 산출하였다.As an experimental method, the face of a healthy Korean woman was washed with cleansing foam (Foam) and then waited for 15 minutes i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2 ± 2 ° C, 45 ± 5% RH). The skin tone and skin reflection spectrum of the front cheek area of the subject's face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Reference Examples 2 to 4 to calculate the skin tone index (T).

피험자의 얼굴 전면 뺨 부위에 피부 톤 개선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제품(제품 1, 제품 2 및 제품 3)을 하루 2회씩 28일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28일 후, 피험자의 얼굴 전면 뺨 동일 부위에 대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피부 색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얼굴 전면 뺨 부위의 피부 색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을 참고예 2 내지 참고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피부 톤 지수(T)를 산출하였다.The product (Product 1, Product 2 and Product 3) to evaluate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tone on the front cheek area of the subject was used twice a day for 28 days. After 28 days, the skin color and the skin reflection spectrum were measured again in the same manner as above for the same area on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s face. The skin tone and skin reflection spectrum of the front cheek area of the subject's face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Reference Examples 2 to 4 to calculate the skin tone index (T).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에 대하여, Paired T-test에 의한 통계 분석(SPSS 20.0)을 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PSS 20.0) by paired T-test for the skin tone index increase rate (T a -T b ) * 100 / T b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구분division 시험 인원Test personnel (T(T aa -T-T bb )*100/T) * 100 / T bb p-valuep-value 제품 1Product 1 16명16 people 1.1001.100 0.0280.028 제품 2Product 2 23명23 people 1.7871.787 0.0070.007 제품 3Product 3 23명23 people 1.8121.812 0.0040.004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T)를 활용한 실험 결과, p값이 0.05 미만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품 1, 제품 2 및 제품 3에 대하여 (Ta-Tb)*100/Tb 값이 각각 1.100, 1.787 및 1.812로 나타난 것에 비추어, 시험대상 제품의 피부 톤 개선 효능을 객관적으로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3,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using the skin tone index (T), which is an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value was less than 0.05,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n light of the (T a -T b ) * 100 / T b values of 1.100, 1.787, and 1.812, respectively, for Product 1, Product 2, and Product 3, objectively precisely improve the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of the product under test It was found that it was confirmed.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belong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a)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에서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험대상 물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3

(T: 피부 톤 지수,
S: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Rt: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a)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test substance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ject's skin, measuring reflectanc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and storing the measured value;
(b) calculating the skin tone index (T b ) before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and the skin tone index (T a ) after application by processing the measured values stored in the step (a) in an operation unit in which Equation 1 below is set; And
(c) a method for evaluating the efficacy of improving the skin tone of the test substance,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skin tone index increase rate (T a -T b ) * 100 / T b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Equation 1]
Figure pat00003

(T: skin tone index,
S: reflectance measured in the violet, blue, or violet to blue wavelength range,
Rt: reflectance measured over the entire visible wavelength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대상 물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velength range of 400 to 700 nm,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evaluation method of the test sub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 이 1.03% 이상인 경우, 피부 톤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대상 물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c), the skin tone index increase rate (T a -T b ) * 100 / T b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is determin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kin tone,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determin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output, a method for evaluating the efficacy of the test substance to improve skin t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색 영역은 400 내지 455 nm이고, 상기 청색 영역은 455 내지 490 nm이고,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은 400 내지 49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대상 물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urple region is 400 to 455 nm, the blue region is 455 to 490 nm, and the purple to blue wavelength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velength region of 400 to 490 nm, skin tone improvement efficacy evaluation method of the test substance .
(a)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에서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4

(T: 피부 톤 지수,
S: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Rt: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a)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test substance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ject's skin, measuring reflectanc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and storing the measured value;
(b) calculating the skin tone index (T b ) before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and the skin tone index (T a ) after application by processing the measured values stored in the step (a) in an operation unit in which Equation 1 below is set; And
(c) a method for screening a substance having a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comprising outputting a skin tone index increase rate (T a -T b ) * 100 / T b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Equation 1]
Figure pat00004

(T: skin tone index,
S: reflectance measured in the violet, blue, or violet to blue wavelength range,
Rt: reflectance measured over the entire visible wavelength ran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a),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velength range of 400 to 700 nm, screening method of a material having a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이 1.03% 이상인 경우, 피부 톤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c), the skin tone index increase rate (T a -T b ) * 100 / T b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is determin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kin tone,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determin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outputting, a screening method for a material having a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색 영역은 400 내지 455 nm이고, 상기 청색 영역은 455 내지 490 nm이고,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은 400 내지 49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purple region is 400 to 455 nm, the blue region is 455 to 490 nm, and the purple to blue wavelength region is a wavelength region of 400 to 490 nm, characterized in that the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screening method .
KR1020180130393A 2018-10-30 2018-10-30 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KR102575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93A KR102575093B1 (en) 2018-10-30 2018-10-30 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93A KR102575093B1 (en) 2018-10-30 2018-10-30 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364A true KR20200048364A (en) 2020-05-08
KR102575093B1 KR102575093B1 (en) 2023-09-06

Family

ID=7067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393A KR102575093B1 (en) 2018-10-30 2018-10-30 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27A (en) 2010-01-11 2011-07-19 (주)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detecting skin-color type and providing skin-counseling information based the skin-color 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27A (en) 2010-01-11 2011-07-19 (주)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detecting skin-color type and providing skin-counseling information based the skin-color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093B1 (en)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7959B2 (en) Skin color measuring device and skin image processing device
AU2006220441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5885344B2 (en) Method for characterizing skin or skin tone
Alghamdi et al. Assessment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vitiligo
Yun et al. Skin color analysis using a spectrophotometer in Asians
US81554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skin conditions using digital images
Nkengne et al. SpectraCam®: A new polarized hyperspectral imaging system for repeatable and reproducible in vivo skin quantification of melanin, total hemoglobin, and oxygen saturation
MXPA02011157A (en) Method for analyzing hair and predicting achievable hair dyeing ending colors.
KR20160008171A (en) Skin darkening evaluation device and skin darkening evaluation method
US20030149347A1 (en) Method of evaluating the region around the eye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JP2018023756A (en) Evaluation method of skin condition
Demirel et al. Influence of age,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on tooth color
Hallam et al. A practical and objective approach to scar colour assessment
Flament et al.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the facial aging of Chinese subjects and their relations with perceived ages
Logger et al. Evaluation of a simple image‐based tool to quantify facial erythema in rosacea during treatment
O’Mahony et al. A validated photonumeric scale for infraorbital dark circles and its application in evaluating the efficacy of a cosmetic treatment product in a split‐face randomized clinical trial
Kim et al. A Quantative Evaluation of Pigmented Skin Lesions Using The L* a* b* Color Coordinates
KR102575093B1 (en) 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JP6131597B2 (en) Skin evaluation method and skin evaluation system
Kikuchi et al. Long‐term changes in Japanese women's facial skin color
Anderson et al. The challenge of objective scar colour assessment in a clinical setting: using digital photography
Azmi et al. Color correction of baby images for cyanosis detection
Bertin et al. Standardisation of minimal erythematous dose reading and assessment: a new system
Lee et al. Objective measurement of periocular pigmentation
Kikuchi et al. Age‐related changes in surface reflection, diffuse reflection, and subsurface scattering light of facial skin: 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system for the optical properties of facial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