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322A - 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322A
KR20200048322A KR1020180130294A KR20180130294A KR20200048322A KR 20200048322 A KR20200048322 A KR 20200048322A KR 1020180130294 A KR1020180130294 A KR 1020180130294A KR 20180130294 A KR20180130294 A KR 20180130294A KR 20200048322 A KR20200048322 A KR 2020004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diabetes
fragment
mitochondrial
cal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5308B1 (en
Inventor
박경수
박영주
안병용
구영도
김수진
이영균
황대희
채세현
이상원
장학철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0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308B1/en
Publication of KR2020004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87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from muscle, cartilage or connective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diabetes, a kit for the same,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protein selected from a group comprising SORT1, CALR, and RAB1A or a fraction thereof for providing information required for diagnosing diabetes using the same. Accordingly, the composition can be used for simply, highly accurately, and specifically diagnosing diabetes, for example type 2 diabetes. Also, the composition is used as a biomarker for predicting progress of the diabetes and a novel treatment target for diabetes treatment. Therefore, a material having an effect on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e diabetes can be screened.

Description

당뇨병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의 검출 방법{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

당뇨병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SORT1, CALR, 및 RAB1A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Diabetes diagnostic composition, kit and a method for detecting biomarkers SORT1, CALR, and RAB1A for diagnosis of diabetes using the same.

미토콘드리아는 포도당과 지방산 산화로부터 ATP 생산을 담당하는 세포 내 기관으로 세포 증식 또는 분화와 같은 ATP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세포 활동에 필수적인 세포소기관이다. 한편, 인슐린 분비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 두 가지가 특징적인 제2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췌장 베타 세포에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는 인슐린 분비를 저해하게 되며, 골격근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는 지방산 산화의 감소, 세포 내 지질 대사체의 축적 및 인슐린 신호 전달 경로의 억제와 관련되어 있다. 이에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가 인슐린 분비 및 반응 조직에서의 반응 억제에 모두 관여하여 제2형 당뇨병의 발병 기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증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Mitochondria are intracellular organs responsible for ATP production from glucose and fatty acid oxidation, and are essential organelles for various cellular activities that require ATP, such as cell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On the other hand, insulin secretion reduction and insulin resistance are known as etiologies of type 2 diabetes.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pancreatic beta cells inhibits insulin secretion, and skeletal muscle mitochondrial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reduced fatty acid oxidation, accumulation of lipid metabolites in the cell, and inhibition of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Accordingly,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mitochondrial dysfun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because it is involved in both insulin secretion and suppression of reactions in reactive tissues.

미토콘드리아 단백체(proteome) 분석은, 제한된 수의 유전자를 바탕으로 한 유전체(genome) 분석에 비해 수천가지의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제2형 당뇨병과 관련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에 당뇨병 환자나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단백체(preteome) 연구가 진행되어, 당뇨병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을 발견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발표되었다.Mitochondrial proteome analysis is a method for evaluating mitochondrial function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by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ousands of mitochondrial proteins compared to genome analysis based on a limited number of genes. . Accordingly, a preteome study was conducted in diabetics or animal models, and studies were conducted to discover proteins that increase expression in diabetes.

그러나, 인슐린 반응 조직에서 당뇨군과 비당뇨군을 비교하여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백체 프로파일(proteome profile)을 확인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 단백체 연구는 시행된 바가 없다.However,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mitochondrial proteomics to confirm the proteome profile of mitochondrial function by comparing diabetic and non-diabetic groups in insulin-responsive tissues.

따라서, 이를 통해 당뇨병을 간편하고 진단할 수 있고, 진단의 정확도 및 특이도가 높은 바이오마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iomarker that can diagnose and diagnose diabetes easily and has high accuracy and specificity of diagnosis.

당뇨병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diabetes.

당뇨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diabetic diagnostic kit.

당뇨병의 진단을 위해 근육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시료에서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for detecting biomarkers in a sample derived from muscle tissue for the diagnosis of diabetes.

일 양상은 근육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시료로부터, 소르틸린 1(Sortilin 1: SORT1), 칼레티쿨린(Calreticulin: CALR), 및 Ras-관련 단백질 Rab-1A(Ras-related protein Rab-1A: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is from a sample derived from muscle tissue to Sortilin 1: SORT1, Calreticulin (CALR), and Ras-related protein Rab-1A (RAB1A). It provides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diabetes, compris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시료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근육 조직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근육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전체 단백질 또는 이로부터 분획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근육 조직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분리된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The sample may be muscle tissue isolated from an individual. The sample may be a whole protein isolated from muscle tissue or a fraction fractionated therefrom. The sample may be a fraction containing mitochondria. The sample may include a polypeptide or nucleic acid isolated from muscle tissue mitochondria.

소르틸린 1(Sortilin 1: SORT1)은 Vps10p(vacuolar protein sorting 10 protein) 패밀리의 제I형 막 당단백질이다. SORT1은 Gp95, LDLCQ6, NT3, 또는 NTR3로도 불릴 수 있다. SORT1은 많은 조직에서 흔히 발현되는 단백질로서 중추신경계에 많이 존재한다. 세포 수준에서, 소르틸린은 골지체, 엔도솜,리소좀, 및 원형질막 사이의 단백질 수송에 기능을 한다. 또한, 소르틸린은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알츠하이머병, 및 암과 같은 질환에도 연관되어 있다. 상기 소르틸린 1은 인간에서 Uniprot 번호 Q995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Uniprot 번호 Q6PHU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르틸린 1은 인간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01205228 또는 NM_002959Q99523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01271599 또는 NM_01997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Sortilin 1: SORT1 is a type I membrane glycoprotein of the vacuolar protein sorting 10 protein (Vps10p) family. SORT1 can also be called Gp95, LDLCQ6, NT3, or NTR3. SORT1 is a protein commonly expressed in many tissues and is presen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t the cellular level, sorbitin functions to transport proteins between the Golgi apparatus, endosomes, lysosomes, and the plasma membrane. In addition, sorbitin is also associated with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coronary artery disease, Alzheimer's disease, and cancer. The sorbitin 1 may include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Q99523 in humans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Q6PHU5 in mice. The sorbitin 1 is GenBank Accession No. NM_001205228 or NM_002959Q99523, and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GenBank Accession No. It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NM_001271599 or NM_019972.

칼레티쿨린(Calreticulin: CALR)은 칼레굴린(calregulin), CRP55, CaBP3, 칼세쿼스트린-유사 단백질(calsequestrin-like protein), 및 소포체 존재 단백질 60(endoplasmic reticulum resident protein 60)으로도 알려져 있다. CALR은 비활성인 경우 칼슘 이온에 결합하는 다중기능성 단백질이다. CALR은 칼슘 이온에 친화도가 낮지만 높은 능력(capacity)으로 결합하여 칼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CALR은 소포체와 관련된 저장 소기관(storage compartment)에 존재할 수 있다. CALR은 잘못 폴딩된 단백질에 결합하여 이 단백질이 소포체에서 골지체로 수송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ALR은 또한 핵에 존재하여 전사의 조절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 CALR은 전신성 루푸스, 쇼그렌 병, 및 암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CALR은 인간에서 Uniprot 번호 P2779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Uniprot 번호 P142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ALR은 인간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04343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0759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Calreticulin (CALR) is also known as calregulin, CRP55, CaBP3, calsequestrin-like protein, and endoplasmic reticulum resident protein 60. CALR is a multifunctional protein that binds calcium ions when inactive. CALR has a low affinity to calcium ions, but can bind with high capacity (capacity) to deliver calcium signals. CALR can exist in storage compartments associated with vesicles. CALR can bind to a poorly folded protein and prevent it from being transported from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the Golgi apparatus. CALR can also be present in the nucleus and participate in th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The CALR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systemic lupus, Sjogren's disease, and cancer. The CALR may comprise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P27797 in humans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P14211 in mice. The CALR is a GenBank Accession No. NM_004343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GenBank Accession No. It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NM_007591.

Ras-관련 단백질 Rab-1A(Ras-related protein Rab-1A: RAB1A)은 CHML, GOLGA2, GOLGA5, MICAL1, RABAC1, 및 CHM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작은 GTP분해효소(small GTPase) Rab은 수송 소포의 형성에서부터 세포막과의 융합에 이르기까지 세포내 막 수송에 역할을 한다. Rab은 비활성 GDP-결합 형태와 GTP-결합 형태를 순환하는데, GTP-결합 형태는 소포 형성, 이동, 테더링(tethering) 및 융합을 직접 담당하는 신호전달 하류의 물질을 막으로 불러모을 수 있다. RAB1A는 소포체에서 골지체로 그리고 세포 표면으로의 소포성 단백질 수송을 조절하고 IL-8 및 성장 호르몬 분비에 역할을 할 수 있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CASR 수준을 조절합니다. 단백질 수송에서의 기능을 통해, 세포 부착 및 세포 이동에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RAB1A는 인간에서 Uniprot 번호 P628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Uniprot 번호 P628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B1A는 인간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04161 또는 NM_015543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08996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Ras-related protein Rab-1A (RAB1A) may be a protein that interacts with CHML, GOLGA2, GOLGA5, MICAL1, RABAC1, and CHM. The small GTPase Rab plays a role in intracellular membrane transport, from the formation of transport vesicles to fusion with the cell membrane. Rab cycles through the inactive GDP-bound and GTP-bound forms, which can attract substances downstream of signaling that are directly responsible for vesicle formation, migration, tethering and fusion. RAB1A regulates vesicular protein transport from endoplasmic reticulum to the Golgi apparatus and to the cell surface and may play a role in IL-8 and growth hormone secretion. It regulates the level of CASR present in the cell membrane. Through its function in protein transport, it can play a role in cell adhesion and cell migration. The RAB1A may comprise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P62820 in humans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P62821 in mice. The RAB1A is a GenBank Accession No. NM_004161 or NM_015543, and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GenBank Accession No. It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NM_008996.

상기 조성물은 시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COX2) 및 NADH 데히드로게나제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3(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iron-sulfur protein 3: NDUFS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oxygenase-2 (COX2) and 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iron-sulfur protein 3 (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iron-sulfur protein 3: NDUFS3). It may further include an agent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protein or fragment thereof.

시클로옥시게나제(Coxlooxygenase: COX)는 프로스타글란딘-엔도퍼옥시드 합성효소(prostaglandin-endoperoxide synthase: PTGS)로도 알려져 있고, 프로스타글란딘 및 트롬복산(thromboxane)을 포함한 프로스타노이드(prostanoid)의 형성을 담당하는 효소이다. 시클로옥시게나제 중 시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COX2)는 아라키돈산이 프로스타시클린(prostacyclin)의 중요한 전구체인 프로스타들란딘 H2로 전환되는 것에 관련되어 있다. COX2는 대부분의 세포에서 정상 조건 하에서는 저발현되지만 염증 반응 동안 발현이 상승한다. 상기 COX2는 인간에서 Uniprot 번호 P353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Uniprot 번호 Q0576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OX2는 인간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00963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1119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Cyclooxygenase (COX), also known as prostaglandin-endoperoxide synthase (PTGS), is an enzyme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prostanoids, including prostaglandin and thromboxane. to be. Of the cyclooxygenases, cyclooxygenase-2 (COX2) is involved in the conversion of arachidonic acid to prostacyclin H2, an important precursor of prostacyclin. COX2 is underexpressed under normal conditions in most cells, but expression is elevated dur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The COX2 may include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P35354 in humans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Q05769 in mice. The COX2 is a GenBank Accession No. NM_000963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GenBank Accession No. It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NM_011198.

NADH 데히드로게나제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3(NDUFS3)는 미토콘드리아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 중 하나의 성분으로서,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의 이상을 일으키는 레이(Leigh) 증후군과 연관되어 있다. 상기 NDUFS3는 인간에서 Uniprot 번호 O7548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Uniprot 번호 Q9DCT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DUFS3는 인간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0455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에서 GenBank Accession No. NM_02668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iron-sulfur protein 3 (NDUFS3) is a component of the mitochondrial NADH: ubi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a mutation in the gene encoding it causes a mitochondrial complex I abnormality It is associated with Leigh syndrome. The NDUFS3 may include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O75489 in humans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Uniprot No. Q9DCT2 in mice. The NDUFS3 is a GenBank Accession No. NM_004551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GenBank Accession No. It may include a polypeptid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NM_026688.

상기 단편(fragment)은 상기 단백질의 일부로서, 면역원성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The fragment may be an immunogenic polypeptide as part of the protein.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T2DM)일 수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abetes mellitus (DM) is a type of metabolic disease, such as insufficient insulin secretion or normal function, and is characterized by high blood sugar level and high blood sugar level. To release glucose. The diabetes may be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Type 2 diabetes is characterized by insulin resistance (the ability of insulin to lower blood sugar, which prevents cells from effectively burning glucose).

상기 제제는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폴리클론 항체 또는 모노클론 항체일 수 있다. 용어 "항체(antibody)"는 용어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폴리클론 항체 또는 모노클론 항체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일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말한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단일-도메인 항체(single-domain antibody), Fab, Fab', scFv, 디아바디, 나노바디, 미니바디, 테트라바디, 트리아바디, VH 도메인, 또는 VL 도메인일 수 있다. 상기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지지체는 예를 들어, 금속 칩, 플레이트, 또는 웰(well)의 표면이다.The agent may be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he protein or fragment thereof. It may be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protein or fragment thereof. The antibody can be a polyclonal antibody or a monoclonal antibody. The term "antibody"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immunoglobulin". The antibody can be a polyclonal antibody or a monoclonal antibody. The antibody may be a full-length antibody. The antigen-binding fragment refers to a polypeptide comprising an antigen-binding site. The antigen-binding fragment may be a single-domain antibody, Fab, Fab ', scFv, diabody, nanobody, minibody, tetrabody, triabodies, V H domain, or V L domain.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may be attached to a solid support. The solid support is, for example, a surface of a metal chip, plate, or well.

상기 제제는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일 수 있다. 상기 핵산은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그의 말단 또는 내부에 형광 물질, 화학발광물질(chemiluminescent)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 등으로 표지된 것일 수 있다.The agent may be a nucleic acid comprising a polynucleotide identical to or complementary to the polynucleotide encoding the protein or fragment thereof. The nucleic acid may be a primer or a probe. The primer or probe may be label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chemiluminescent or radioactive isotope on its terminal or inside.

다른 양상은 근육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시료로부터,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kit for diagnosing diabetes, comprising an agent that measures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from a sample derived from muscle tissue.

상기 키트는 당뇨병 진단에 필요한 시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고체 지지체,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합한 완충용액, 발색 효소, 형광물질로 표지된 2차 항체, 또는 발색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핵산 검출을 위하여, 중합효소, 완충제, 핵산, 조효소, 형광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 효소는 예를 들어 Taq 중합효소이다.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sample necessary for diagnosing diabetes. The kit may include a substrate, a suitable buffer solution, a chromogenic enzyme, a fluorescently labeled secondary antibody, or a chromogenic substrate for immunological detection of a solid support,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 kit may include a polymerase, a buffer, a nucleic acid, a coenzyme, a fluorescent subst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nucleic acid detection. The polymerase is, for example, Taq polymerase.

다른 양상은 당뇨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근육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시료에서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의 단백질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is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in a sample derived from muscle tissue isolated from a subject suspected of diabetes; And comparing the measured expression level with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a normal control, a method for detecting a protein or a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diabetes. Gives

상기 방법은 당뇨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근육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시료에서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includes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in a sample derived from muscle tissue isolated from an individual suspected of having diabetes.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당뇨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개체일 수 있다.The subject can be a mammal, for example, a human, cow, horse, pig, dog, sheep, goat, or cat. The individual may be an individual suffering from or suspected of having diabetes.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료와,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step may include incubating the sample and an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상기 방법은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에서 COX2 및 NDUFS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COX2 및 NDUFS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X2 and NDUFS3 in the sample. The measuring step may include incubating an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X2 and NDUFS3.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근육생검, 전기영동, 면역블로팅,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면역염색, 단백질 칩, 면역침강, 마이크로어레이, 노던(Northern) 블로팅, 폴리머라제 증폭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기영동은 SDS-PAGE, 등전점 전기영동, 2차원 전기영동,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PCR은 실시간 PCR 또는 역전사 PCR일 수 있다.The measurement steps include muscle biopsy, electrophoresis, immunoblott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staining, protein chip, immunoprecipitation, microarray, Northern blotting, polymer It may be performed by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electrophoresis may be SDS-PAGE, isoelectric point electrophoresis,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CR may be real-time PCR or reverse transcription PCR.

상기 방법은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의 단백질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includes comparing the measured expression level to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a normal control.

상기 방법에서, 측정된 SORT1, CALR, 또는 RAB1A의 발현 수준의 양이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정상 대조군은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 군으로서 음성 대조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검출된 SORT1, CALR, 또는 RAB1A의 양이 정상 대조군의 양 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개체는 당뇨병,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병에 걸리거나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진단될 수 있다. 당뇨병,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된 개체에게 인슐린 주사, 메트포르민 투여 등의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method, the measured amount of expression level of SORT1, CALR, or RAB1A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expression level of a normal control. The normal control group is a group not affected by diabetes, and means a negative control group.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SORT1, CALR, or RAB1A detected is higher than the amount of a normal control, the subject can be diagnosed as having or is more likely to develop diabetes, eg type 2 diabetes. Treatment of diabetes, for example, insulin injection and metformin administration to an individual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ay be performed.

다른 양상은 SORT1, CALR, RAB1A, COX2, 또는 NDUFS3을 당뇨병의 진행 경과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또다른 양상은 SORT1, CALR, RAB1A, COX2, 또는 NDUFS3을 당뇨병 치료의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이용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Other aspects provide SORT1, CALR, RAB1A, COX2, or NDUFS3 biomarkers to predict the progression of diabetes. 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of screening a substanc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es by using SORT1, CALR, RAB1A, COX2, or NDUFS3 as a new treatment target for diabetes treatment.

일 양상에 따른 당뇨병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방법에 따르면, 당뇨병,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병을 간편하고, 높은 정확도 및 특이도로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 method for detecting a protein or a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ng diabetes, using the composition, kit, and diabetes diagnosis according to one aspect, diabetes, for example It can be used to diagnose type 2 diabetes with ease, high accuracy and specificity.

도 1a는 골격근 조직에서 당뇨병과 관련된 미토콘드리아 바이오마커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구축된 AMT(accurate mass and time tag) 데이터베이스(DB)에서 정규화된 용출 시간(NET)에 대한 분자량(Da)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c는 각각의 LC-MS/MS 데이터세트에서 식별된 고유 질량 분류(UMC)를 NET에 대한 분자량(Da)으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d는 지정된 UMC를 NET에 대한 분자량(Da)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참조 문헌 Pagliarini et al. 및 Lefort et al.에서 동정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을 비교한 벤다이어그램이고, 도 2b는 식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c는 식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마이토콘드리아 내 위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d는 식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e는 식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 내지 V에의 분포를 나타내고, 도 2f는 식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MT) DNA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인지 또는 핵(Nu) DNA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제2형 당뇨병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되는 단백질을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3b는 상향조절된 단백질의 세포내 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c는 하향조절된 단백질의 세포내 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d는 상향 또는 하향조절되는 단백질들의 제2형 당뇨병-관련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세포내 네트워크 모델의 모식도이고, 도 3e는 상향 또는 하향조절되는 단백질들의 막과 소포체 관련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세포내 네트워크 모델의 모식도이다.
도 4a는 고지방 식이 마우스(HFD) 또는 정상 식이 마우스(NCD)의 골격근 유래 총 단백질에서 선별된 바이오마커의 차등발현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b는 HFD 또는 NCD의 골격근 유래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에서 선별된 바이오마커의 차등발현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c는 인간의 골격근 유래 총 단백질에서 선별된 바이오마커의 차등발현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d는 인간의 골격근 유래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에서 선별된 바이오마커의 차등발현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Mann-Whitney 검정법, *: P<0.05, **: P<0.01).
Figure 1a shows the sequence of the experiment to identify the mitochondrial biomarkers associated with diabetes in skeletal muscle tissue, Figure 1b is for the normalized elution time (NET) in the established database AMT (accurate mass and time tag) database (DB) A graph showing the molecular weight (Da), FIG. 1C is a graph showing the intrinsic mass classification (UMC) identified in each LC-MS / MS dataset as the molecular weight (Da) for the NET, and FIG. 1D NET the designated UMC It is a graph represented by the molecular weight (Da) for.
Figure 2a is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Pagliarini et al. And the mitochondrial protein identified in Lefort et al., FIG. 2B is a graph showing the intracellular location of the identified mitochondrial protein, and FIG. 2C is a location distribution within the mitochondrial of the identified mitochondrial protein Graph, Figure 2d is a graph showing the function of the identified mitochondrial protein, Figure 2e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identified mitochondrial protein to the mitochondrial complex I to V, Figure 2f is the identified mitochondrial protein by mitochondrial (MT) DNA It is a graph indicating whether it is encoded or encoded by nuclear (Nu) DNA.
Figure 3a is a graph analyzing the protein that is up-regulated or down-regulated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in type 2 diabetes, Figure 3b is a graph showing the intracellular function of the up-regulated protein, Figure 3c is a cell of the down-regulated protein 3D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racellular network model showing type 2 diabetes-related processes of up- or down-regulated proteins, and FIG. 3E shows membrane and vesicle-related processes of up- or down-regulated proteins.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tracellular network model shown.
Figure 4a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tial expression level of biomarkers selected from skeletal muscle-derived total proteins of high-fat diet mice (HFD) or normal diet mice (NCD), and FIG. 4b is bio-selected from skeletal muscle-derived mitochondrial proteins of HFD or NCD Graph showing the differential expression level of the marker, Figure 4c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tial expression level of the biomarker selected from the total protein derived from human skeletal muscle, Figure 4d is a differential expression of the biomarker selected from the mitochondrial protein derived from human skeletal muscle It is a graph showing the level (Mann-Whitney test, *: P <0.05, **: P <0.0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one or more embodiments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골격근 조직에서 당뇨병과 관련된 미토콘드리아 바이오마커의 확인Example 1. Identification of mitochondrial biomarkers associated with diabetes in skeletal muscle tissue

1. 골격근 조직에서 유래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고유 질량 분류의 동정1. Identification of intrinsic mass classification of mitochondrial protein derived from skeletal muscle tissue

(1) 시료의 준비(1) Sample preparation

T2DM과 관련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체를 조사하기 위해, 분당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선택 정형외과 수술을 받은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환자(n=9; 4 명의 남성 및 5 명의 여성)와 비당뇨병 정상 대조군(n=9; 5 명의 남성 및 4 명의 여성)을 선별하였다. 미국 당뇨병 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기준에 따라 당뇨병으로 진단된 T2DM 환자를 선별하였다. 대조군도 동일한 ADA 기준에 따라 선별하였다. 모든 사람으로부터 서면 동의를 받았고, 본 연구는 헬싱키 선언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SNUH[SNUBH IRB # B-0710 / 050-009]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 공복 혈당, 및 기타 실험적 수치와 같은 T2DM 환자 및 비 당뇨병 대조군의 특징을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To investigate the mitochondrial proteins associated with T2DM,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undergoing elective orthopedic surge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n = 9; 4 men and 5 women) and non-diabetic normal Controls (n = 9; 5 males and 4 females) were selected. T2DM patients diagnosed with diabetes were screened according to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criteria. The control group was also selected according to the same ADA standard. Written consent was obtained from everyone,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Helsinki Declaration and was approved by the SNUH [SNUBH IRB # B-0710 / 050-009] Ethics Committee. The characteristics of T2DM patients and non-diabetic controls such as age, gender,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glucose, and other experimental value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정상군(n=9) Normal group (n = 9) 당뇨군(n=9) Diabetes group (n = 9) p-값p-value 연령age 56.4 ± 14.756.4 ± 14.7 61.0 ± 14.861.0 ± 14.8 0.520.52 성별(남성:여성)Gender (male: female) 5:45: 4 4:54: 5 당뇨병 지속 기간Duration of diabetes 8.4 ± 11.88.4 ± 11.8 체질량 지수(kg/m2)Body mass index (kg / m 2 ) 24.7 ± 4.024.7 ± 4.0 27.1 ± 3.727.1 ± 3.7 0.200.20 수축기 혈압(mm/Hg)Systolic blood pressure (mm / Hg) 129.2 ± 16.8129.2 ± 16.8 136.3 ± 15.1136.3 ± 15.1 0.360.36 확장기 혈압(mm/Hg)Diastolic blood pressure (mm / Hg) 75.3 ± 13.075.3 ± 13.0 77.6 ± 11.277.6 ± 11.2 0.700.70 공복 혈당(mg/dl)Fasting blood sugar (mg / dl) 93.9 ± 7.793.9 ± 7.7 140.6 ± 46.3140.6 ± 46.3 <0.01*<0.01 * 헤모글로빈 A1c(%)Hemoglobin A1c (%) 5.5 ± 0.35.5 ± 0.3 7.3 ± 1.37.3 ± 1.3 <0.001*<0.001 * 총 콜레스테롤(mg/dl)Total cholesterol (mg / dl) 177.1 ± 16.8177.1 ± 16.8 223.1 ± 68.6223.1 ± 68.6 0.070.07 BUNBUN 14.8 ± 5.414.8 ± 5.4 16.2 ± 6.816.2 ± 6.8 0.620.62 CrCr 1.1 ± 0.41.1 ± 0.4 1.0 ± 0.11.0 ± 0.1 0.410.41

(데이터는 평균값 ± 표준 편차로 표시, *: p<0.05) (Data is expressed as mean value ± standard deviation, *: p <0.05)

(2) 미토콘드리아의 분리(2) Separation of mitochondria

각 T2DM 환자와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골격근 조직을 수득한 후, 수득된 조직을 미토콘드리아 분리 완충액(25 mM Tris-HCl pH7.4 중 250 mM 수크로스 및 1 mM EDTA)에 균질화시켰다. 그 후, 용해물을 1,000g로 원심분리하여 핵 및 세포질성 분획을 분리하고, 세포질성 분획은 4℃에서 10,000g로 더 원심분리하여 조(crude) 미토콘드리아 펠렛을 수득하였다.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는 Beckman SW41 로터에서 20000 rpm으로 약 12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10% 내지 40% 퍼콜(percoll) 구배를 통해 더 정제하였다. 구배 중 미토콘드리아 층의 상부 및 하부 분획(각각 P1 및 P3 분획)을 조심스럽게 버렸다. 남은 미토콘드리아 층(P2 분획)을 2회 세척하고,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는 사용할 때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After obtaining skeletal muscle tissue from each T2DM patient and normal control, the obtained tissue was homogenized in mitochondrial separation buffer (250 mM sucrose and 1 mM EDTA in 25 mM Tris-HCl pH7.4). Thereafter, the lysate was centrifuged at 1,000 g to separate the nuclear and cytoplasmic fractions, and the cytoplasmic fraction was further centrifuged at 4 ° C. to 10,000 g to obtain crude mitochondrial pellets. The isolated mitochondria were further purified through a 10% to 40% percoll gradient by centrifugation for about 120 minutes at 20000 rpm in a Beckman SW41 rotor. The upper and lower fractions (P1 and P3 fractions, respectively) of the mitochondrial layer during the gradient were carefully discarded. The remaining mitochondrial layer (P2 fraction) was washed twice, and the separated mitochondria were stored at -70 ° C until use.

(3)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및 펩티드의 준비(3) Preparation of mitochondrial proteins and peptides

미토콘드리아 생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막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해, 골격근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pH 7.6의 Tris HCl 중 4%(w/v) SDS 용해 완충액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2 mm 유리 비드가 함유된 1.5 ml e-tube로 옮겼다. 미토콘드리아 함유 용액을 Mini-BeadBeaterTM 분쇄기(Cole-Parmer Instrument, Vernon Hills, IL)로 1,000 rpm에서 30초 동안 반복 스트로크로 파쇄하고 1 분 동안 얼음으로 냉각시켰다. 이 과정을 펠렛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였다 (약 10 내지 15회).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기고 20℃에서 10 분 동안 5,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잔해물을 제거하였다.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Q55 소니케이터(Qsonica, Newtown, CT)를 사용하여 30 초 동안 초음파처리하고, 1 분 동안 냉각시켰다. 초음파 용해를 얼음에서 10 회 반복하였다. 용해물을 20℃에서 14,000g으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BCA 단백질 분석법(Pierce, Rockford, IL) 및 소 혈청 알부민을 이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To detect membrane proteins closely related to mitochondrial physiology, the mitochondria isolated from skeletal muscle tissue was dissolved in 4% (w / v) SDS lysis buffer in Tris HCl at pH 7.6, and the solution contained 2 mm glass beads. Transferred to a 1.5 ml e-tube. The mitochondrial containing solution was crushed in a repeat stroke for 30 seconds at 1,000 rpm with a Mini-BeadBeater grinder (Cole-Parmer Instrument, Vernon Hills, IL) and cooled with ice for 1 minute. This process was repeated until no pellets were visible (about 10-15 times). Th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new tube and centrifuged at 5,000 rpm for 10 min at 20 ° C. to remove debris. Th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new tube, sonicated for 30 seconds using a Q55 sonicator (Qsonica, Newtown, CT) and cooled for 1 minute. The ultrasonic dissolution was repeated 10 times on ice. The lysate was centrifuged at 14,000 g at 20 ° C.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new tube, and the protein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BCA protein assay (Pierce, Rockford, IL) and bovine serum albumin.

미토콘드리아 펩티드 시료는 변형된 FASP(Filter-aided sample preparation)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간단하게 말하면, 100 ㎍의 단백질 용해물을 37℃에서 45 분 동안 100 ㎕의 SDT(0.1 M Tris-HCl, pH 7.6 중 SDS 4%(w/v) SDS 및 0.1 M DTT)에서 환원시킨 후 10 분간 끓여 단백질을 변성시켰다. 10 분 동안 초음파처리 후, 시료를 16,000g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환원된 단백질 시표를 Microcon 필터 YM-30(Millipore Corporation, Bedford, MA)에서 200 ㎕의 8 M 우레아와 혼합하고, 필터를 14,000g에서 60 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모든 원심분리 단계는 20℃에서 수행하였다. 잔여 SDS를 제거하기 위해 0.1 M Tris-HCl(pH 8.5) 중 200 ㎕의 8 M 우레아를 필터에 가한 후 필터를 14,00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이 세척 단계를 2 회 반복 하였다. 그 후, 알킬화를 위해 농축물에 0.1M Tris-HCl 중 8 M 요소의 50 mM 요오드아세트아미드 100 ㎕를 가하고 암실에서 25℃에서 25 분 동안 알킬화시킨 후 14,000g에서 3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알킬화 시약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시료를 0.1 M Tris-HCl 중 8 M 우레아 200 ㎕로 2 회 세척한 다음, 100 ㎕의 50 mM NH4HCO3로 2 회 세척하였다. 알킬화된 단백질 시료를 37℃에서 1 분 동안 600 rpm으로 트립신(1:50 효소 대 단백질의 비(w/w), Promega, Madison, WI)을 사용하여 단백질가수분해로 절단시킨 후, thermo-mixer comfort(Eppendorf, Hamburg, Germany)에서 교반하지 않고 12 시간 동안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두번째 트립신 절단(1:100 효소 대 단백질의 비)를 6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절단된 펩티드는 14,000g에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용출시켰다. 필터를 60 ㎕의 50 mM NH4HCO3로 더 헹구고 14,000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용리액을 첫번째 용리액과 혼합하였다. 펩티드 시료를 진공 농축기 SPD1010 (Thermo, San Jose, CA)에서 건조시키고 -80℃에서 보관하였다.Mitochondrial peptide samples were prepared by a modified filter-aided sample preparation (FASP) method. Briefly, 100 μg of protein lysate was reduced in 100 μl of SDT (0.1 M Tris-HCl, SDS 4% (w / v) SDS and 0.1 M DTT in pH 7.6) at 37 ° C. for 45 min. 10 Boil for a minute to denature the protein. After sonication for 10 minutes, samples were centrifuged at 16,000 g for 5 minutes. The reduced protein target was mixed with 200 μl of 8 M urea in Microcon filter YM-30 (Millipore Corporation, Bedford, MA), and the filter was centrifuged at 14,000 g for 60 minutes. All centrifugation steps were performed at 20 ° C. To remove residual SDS, 200 μl of 8 M urea in 0.1 M Tris-HCl (pH 8.5) was added to the filter, and then the filter was centrifuged at 14,000 g. This washing step was repeated twice. Thereafter, 100 μl of 50 mM iodine acetamide of 8 M urea in 0.1 M Tris-HCl was added to the concentrate for alkylation, alkylated at 25 ° C. for 25 minutes in a dark room, and centrifuged at 14,000 g for 30 minutes to generate an alkylation reagent. Was removed. The obtained sample was washed twice with 200 μl of 8 M urea in 0.1 M Tris-HCl, and then twice with 100 μl of 50 mM NH 4 HCO 3 . The alkylated protein sample was digested by proteolysis using trypsin (1:50 enzyme to protein ratio (w / w), Promega, Madison, WI) at 600 rpm for 1 minute at 37 ° C., followed by thermo-mixer. Incubation overnight for 12 hours without stirring at comfort (Eppendorf, Hamburg, Germany). The second trypsin digestion (1: 100 enzyme to protein ratio) was performed for 6 hours. The cleaved peptide was eluted by centrifugation at 14,000 g for 20 minutes. The filter was further rinsed with 60 μl of 50 mM NH 4 HCO 3 and centrifuged at 14,000 g for 30 minutes. The eluent was mixed with the first eluent. The peptide sample was dried in a vacuum concentrator SPD1010 (Thermo, San Jose, CA) and stored at -80 ° C.

(4) LC-MS/MS 분석(4) LC-MS / MS analysis

9명의 T2DM 환자 및 9명의 비당뇨병 대조군으로부터 얻어진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시료 각각에 LC-MS/MS 실험을 3회 반복하여, 54 (18×3) LC-MS/MS 데이터세트를 얻었다.LC-MS / MS experi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on each of the mitochondrial protein samples obtained from nine T2DM patients and nine non-diabetic controls to obtain a 54 (18 × 3) LC-MS / MS dataset.

구체적으로, 펩티드를 nanoACQUITY UPLC 시스템의 변형된 버전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분석 컬럼(75 mm ID×360 mm OD×70 cm 길이)은 아세토니트릴 슬러리를 사용하여 C18 물질(3 mm 직경, 300 Å 포어 크기, Jupiter, Phenomenex, Torrance, CA)로 융합-실리카 모세관(Polymicro Technologies, Phoenix, AZ)을 패킹하여 사내에서 제조하였다. 고체상 추출(solid phase extraction: SPE) 컬럼은 동일한 C18 물질을 내부 감속기(1/16" 내지 1/32", VICI, Houston, TX)의 1 cm 길이의 선형 컬럼(250 mm ID)에 패킹하여 제조하였다. 컬럼 온도는 semi-rigid 가솔린 히터(1/4 "ID, 60cm 길이, WATLOW, Winona, MN)를 사용하여 50℃로 설정하였다. LC 분리 구배는 98%(v/v) 용매 A(H2O 중 0.1% 포름산)에서 5분, 2%(v/v) 내지 50%(v/v)의 용매 B(99.9% 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에서 115분, 50% 내지 80%(v/v)의 용매 B에서 10 분, 및 80%의 용매 B에서 10분이었다. 이동상의 유속은 400 nL/분으로 설정하였다. 7-테슬라 푸리에 변환 이온 사이클로트론 공명 질량 분석기(FTICR, LTQ-FT, Thermo Electron, San Jose, CA)를 사용하여 질량 스펙트럼을 수집하였다. LC로부터 용출된 펩티드는 2.0 kV의 전자분사 전위에서 이온화하였다. 전자분사 이온화(electrospray ionization: ESI)는 융합-실리카 모세관 이미터(emitter)(20 mm ID×150 mm OD)의 화학적 에칭으로 제조하였다. 탈용매 모세관의 온도는 250℃로 설정하였다. MS 전구체 이온 스캔(m/z 500-2,000)은 1x106의 AGC 표적 값, 1x105의 질량 분해능 및 500 ms의 최대 이온 축적 시간으로 전체 프로파일 모드에서 획득하였다. 질량 분석기는 데이터-의존성 탠덤 MS 모드에서 작동시키고, 전구체 MS 스캔에서 검출된 7 개의 가장 풍부한 이온은 동적 배제 옵션을 포함하는 MS/MS 실험에 대해 동적으로 선별하여(배제 질량 범위 하한= 1.10 Th, 배제 질량 범위 상한= 2.10 Th; 배제 목록 크기= 120; 및 배제 지속시간= 30초) 동일한 펩티드의 MS/MS 스펙트럼의 재수득을 방지하였다. 전구체 이온의 충돌-유도된 해리는 각각 35% 및 3 Th으로 설정된 충돌 에너지 및 분리 폭을 갖는 이온 트랩(LTQ)에서 수행하였다. Xcalibur 소프트웨어 패키지(v. 2.0 SR2, Thermo Electron)를 사용하여 실험 방법을 구축하였다. 모든 LC-MS/MS 데이터는 데이터세트 식별자 PXD004312 및 10.6019/PXD004312(사용자명: reviewer16736@ebi.ac.uk, 비밀번호: F64K10U7)를 갖는 PRIDE 파트너 저장소를 통해 ProteomeXchange 컨소시엄에 기탁하였다.Specifically, peptides were isolat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nanoACQUITY UPLC system. The analytical column (75 mm ID × 360 mm OD × 70 cm long) was fused with C18 material (3 mm diameter, 300 mm 3 pore size, Jupiter, Phenomenex, Torrance, CA) using acetonitrile slurry (Polymicro Technologies) , Phoenix, AZ) and prepared in-house. Solid phase extraction (SPE) columns are prepared by packing the same C18 material into a 1 cm long linear column (250 mm ID) of an internal reducer (1/16 "to 1/32", VICI, Houston, TX). Did. The column temperature was set to 50 ° C. using a semi-rigid gasoline heater (1/4 ”ID, 60 cm long, WATLOW, Winona, MN.) LC separation gradient was 98% (v / v) solvent A (H 2 O 5 minutes in 0.1% formic acid), 115% in 2% (v / v) to 50% (v / v) solvent B (0.1% formic acid in 99.9% acetonitrile), 50% to 80% (v / v) ), 10 minutes in solvent B, and 80% in solvent B. The flow rate of the mobile phase was set to 400 nL / min 7-Tesla 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mass spectrometer (FTICR, LTQ-FT, Thermo Electron) , San Jose, CA) The peptides eluted from the LC were ionized at an electron injection potential of 2.0 kV Electrospray ionization (ESI) was a fusion-silica capillary emitter. (20 mm ID × 150 mm OD). The temperature of the desolvation capillary was set to 250 ° C. The MS precursor ion scan (m / z 500-2,000) was 1 × 10 6 A GC target values, mass resolution of 1 × 10 5 and maximum ion accumulation time of 500 ms were obtained in full profile mode.The mass spectrometer was operated in a data-dependent tandem MS mode, and the seven most abundant ions detected in the precursor MS scan were By selecting dynamically for MS / MS experiments with dynamic exclusion options (exclusion mass range lower limit = 1.10 Th, exclusion mass range upper limit = 2.10 Th; exclusion list size = 120; and exclusion duration = 30 seconds) of the same peptide. Re-acquisition of the MS / MS spectrum was prevented The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of precursor ions was performed in an ion trap (LTQ) with collision energy and separation width set at 35% and 3 Th, respectively Xcalibur software package (v. 2.0 SR2, Thermo Electron). All LC-MS / MS data was deposited with the ProteomeXchange consortium through the PRIDE partner repository with dataset identifiers PXD004312 and 10.6019 / PXD004312 (username: reviewer16736@ebi.ac.uk, password: F64K10U7).

(5) 펩티드의 식별(5) Identification of peptides

얻어진 LC-MS/MS 데이터세트에 대해, 텐덤 질량 분석 데이터에 정확한 전구체 (precursor) 질량을 할당하기 위해iPE-MMR(integrated post experiment monoisotopic mass refinement)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DeconMSn을 사용하여 전구체 질량을 더 보정하고 PE-MMR을 통해 개선한 MS/MS 데이터(DTA 파일)를 생성하였다. 얻어진 질량-개선된 DTA 파일은 DTARefinery를 이용하여 다변량 질량 오류 교정을 하였다. DTA 파일은 사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mgf 파일로 변환하였다. 얻어진 mgf 파일은 UniProt 인간 참조 데이터베이스(2014년 4월, 88,608 항목) 및 179 일반 오염물질의 순방향 및 역방향 단백질 서열을 포함한 복합 표적-디코이(decoy)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MS-GF+ (9881 버전)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이용하였다. MS-GF+ 검색은 하기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10 ppm의 전구체 질량 허용치(tolerance), 세미(semi)-트립신, 시스테인에 대한 카바아미도메틸화(57.021460Da)의 정적 변형, 및 N-말단에서 메티오닌 및 카르바밀화(43.005810Da)에 대한 산화(15.994920Da)의 가변성 변형. 스펙트럼 일치(peptide spectrum match: PSM)는 1%의 오류 발견 비율(false discovery rate: FDR)을 이용하여 수득하였다.To the resulting LC-MS / MS for the data set, assigns the correct precursor (precursor) by mass in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was applied to PE i-MMR (integrated post experiment monoisotopic mass refinement) analysis method. Briefly, DeconMSn was used to further correct the precursor mass and generate improved MS / MS data (DTA file) via PE-MMR. The obtained mass-improved DTA file was subjected to multivariate mass error correction using DTARefinery. DTA files were converted to mgf files using in-house software. The obtained mgf file is a database using the UniProt human reference database (April 2014, 88,608 items) and MS-GF + (version 9881) against a complex target-decoy database containing forward and reverse protein sequences of 179 common contaminants. Used for search. The MS-GF + search was performed with the following parameters: 10 ppm precursor mass tolerance, semi-trypsin, static modification of carbaamidomethylation to cysteine (57.021460Da), and methionine at the N-terminus and Variable modification of oxidation (15.994920Da) to carbamylation (43.005810Da). Peptide spectrum match (PSM) was obtained using a false discovery rate (FDR) of 1%.

(6) 펩티드 동정을 위한 MS 강도의 지정(6) Designation of MS intensity for peptide identification

MS 강도-기반의 무표지 정량 분석법을 LC-MS/MS 데이터세트에 적용하여, 식별된 펩티드를 고유 질량 분류(unique mass class: UMC)에 따라 분류하였다.MS intensity-based, label-free quantitative analysis was applied to the LC-MS / MS dataset to identify the identified peptides according to the unique mass class (UMC).

간단히 말하면, PE-MMR 분석 동안, LC-MS/MS 실험에서 LC 용출 시간의 기간 동안 출현된 펩티드의 MS 특징은 고유 질량 분류(unique mass class: UMC)로 그룹화하였다. 각 UMC는 전하 상태, 존재도(abundance), 스캔 횟수, 및 측정된 단일동위원소 질량과 같은, 펩티드의 모든 질량 스펙트럼 특성을 포함하였다. 펩티드는 UMC으로 대표된다. 각 UMC에 대해, UMC 질량은 모든 UMC 구성요소의 단일동위원소 질량의 강도 가중 평균으로 산출하였고, UMC의 모든 스펙트럼 구성요소에 대한 존재도의 총계(UMC 강도)를 산출하여 상응하는 펩티드의 존재도로 표시하였다. PE-MMR 분석 동안, MS/MS 스펙트럼의 전구체 질량(또는 DTA 파일)은 UMC 질량과 매칭하고 매칭이 확인될 경우 UMC 질량으로 대체하였다. 이 과정에서, DTA 정보는 매칭된 UMC에 링크시켰다. 링크된 DTA 파일이 MS-GF+ 검색 및 표적-디코이 분석 후 FDR≤1%의 펩티드 서열로 된 경우, 펩티드 ID를 UMC에 기록하고 UMC 강도를 펩티드 ID에 지정하였다. 상이한 LC/MS 실행에서 동일한 펩티드의 LC 용출 시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규화된 용출 시간(normalized elution time: NET)을 동정된 UMC에 대해 산출하였다. Briefly, during PE-MMR analysis, MS characteristics of peptides that appeared during the period of LC elution time in LC-MS / MS experiments were grouped into a unique mass class (UMC). Each UMC included all mass spectral properties of the peptide, such as charge state, abundance, number of scans, and measured monoisotopic mass. The peptide is represented by UMC. For each UMC, the UMC mass was calculated as the intensity weighted average of the monoisotopic masses of all UMC components, and the sum of the abundances (UMC intensities) for all spectral components of the UMC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abundance of the corresponding peptide. Was marked. During PE-MMR analysis, the precursor mass (or DTA file) of the MS / MS spectrum matched the UMC mass and replaced with UMC mass if a match was identified. In this process, DTA information was linked to the matched UMC. If the linked DTA file became a peptide sequence of FDR≤1% after MS-GF + search and target-decoy analysis, the peptide ID was recorded in UMC and the UMC intensity was assigned to the peptide ID. To minimize the LC elution time variation of the same peptide in different LC / MS runs, normalized elution time (NET) was calculated for the identified UMC.

2. 세포질잡종 세포에서 유래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고유 질량 분류의 동정2. Identification of the intrinsic mass classification of mitochondrial proteins derived from cytoplasmic hybrid cells

야생형 세포질잡종(cybrid) 세포를 Chae S et al., Sci. Signal 2013; 6(264): rs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준비하였다. 실시예 1.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포질잡종 세포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하였다.Wild-type cytoplasmic (cybrid) cells were described in Chae S et al., Sci. Signal 2013; 6 (264): Prepared as described in rs4. Example 1. Mitochondria were isolated from cytoplasmic hybrid cells, as described in (2) and (3).

분리된 미토콘드리아에 대해 오프겔(offgel) 전기영동으로 미토콘드리아 펩티드의 분획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질잡종 세포의 P2 미토콘드리아 분획으로부터의 500 ㎍의 트립신 절단 펩티드를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3100 OFFGEL Fractionato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로 분획하여, 오프겔 분획을 26 분획으로 수행하였다. 24 웰의 트레이를 3 내지 10 범위의 선형 pH 구배(Immobiline DryStrip, GE Healthcare Life Sciences, Uppsala, Sweden)의 24 cm IPG 겔 스트립으로 사용하였고, 겔 스트립을 웰 당 25 mL의 재수화 용액으로 15 분 동안 재수화하였다. 트립신 절단 펩티드를 0.72 ㎖ 탈이온화된 물에 용해시키고 2.88 ㎖의 offgel 스톡 용액과 혼합하였다. 각 웰에, 150 ㎖의 얻어진 용액을 로딩하였다. 포커싱은 20℃에서 500 내지 8,000 V의 전압 범위 및 50 kVh에서 50 mA의 최대 전류로 수행하였다. 포커싱 후, 여분의 산(양극 말단) 및 여분 염기(음극 말단) 분획뿐만 아니라, 24 웰로부터 펩티드 분획을 수집하였다. 글리세롤을 제거하기 위해, 스핀 탈염 컬럼을 사용하였다. 그후, 펩티드를 진공 농축기로 건조시켰다.The isolated mitochondria were fractionated by mitochondrial peptide by offgel electrophoresis. Specifically, 500 μg trypsin cleavage peptide from the P2 mitochondrial fraction of cytoplasmic hybrid cells was fractionated with 3100 OFFGEL Fractionato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 and the offgel fraction was performed in 26 fractions. A tray of 24 wells was used as a 24 cm IPG gel strip of a linear pH gradient ranging from 3 to 10 (Immobiline DryStrip, GE Healthcare Life Sciences, Uppsala, Sweden), and the gel strip was 15 minutes with 25 mL of rehydration solution per well During rehydration. Trypsin cleavage peptide was dissolved in 0.72 ml deionized water and mixed with 2.88 ml offgel stock solution. To each well, 150 ml of the obtained solution was loaded. Focusing was performed at a voltage range of 500 to 8,000 V at 20 ° C. and a maximum current of 50 mA at 50 kVh. After focusing, the peptide fraction was collected from 24 wells, as well as the extra acid (positive end) and extra base (negative end) fractions. To remove glycerol, a spin desalting column was used. The peptide was then dried with a vacuum concentrator.

수득된 오프겔 분획을 실시예 1.1(4) 내지 (6)에 따라 LC-MS/MS 분석하고, 펩티드를 식별한 후 식별된 펩티드를 UMC에 따라 분류하였다.The obtained off-gel fractions were analyzed by LC-MS / MS according to Examples 1.1 (4) to (6), and after identifying the peptide, the identified peptid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UMC.

3. 미토콘드리아 마스터 정밀 질량 및 시간 태그(accurate mass and time tag: AMT)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구축 및 시료간 펩티드의 정렬3. Construction of mitochondrial master precision mass and time tag (AMT) database (DB) and alignment of peptides between samples

80 개의 LC-MS/MS 데이터세트 모두(18개 시료의 3회 반복의 LC-MS/MS 실험 및 오프겔 분획의 26 LC-MS/MS 실험)의 펩티드 ID를 갖는 UMC의 정보를 마스터 AMT DB에 편집하였다(Oracle Database 10g Enterprise Edition Release 10.2.0.1.0; 도 1a). 단일동위원소 질량 및 NET가 실험적으로 결정된 고유한 펩티드인 AMT의 집합이다. 펩티드를 여러번 측정한 경우, 각 AMT마다 NET의 평균 질량과 중앙값을 기록하였다. 이 과정으로 42,132 펩티드 (또는 AMT)를 포함하는 마스터 DB를 얻었다(도 1b의 각 점).Master AMT DB with information from UMC with peptide IDs of all 80 LC-MS / MS datasets (LC-MS / MS experiment of 3 replicates of 18 samples and 26 LC-MS / MS experiment of off-gel fraction) Edited in (Oracle Database 10g Enterprise Edition Release 10.2.0.1.0; Figure 1a). Monoisotopic masses and NETs are a collection of AMTs, unique peptides that are determined experimentally. When the peptide was measured several times, the average mass and median of NET were recorded for each AMT. In this process, a master DB containing 42,132 peptides (or AMT) was obtained (each point in FIG. 1B).

현재의 단백체 분석 플랫폼을 언더샘플링(undersampling) 때문에, LC-MS/MS 실험에서 UMCs의 큰 부분은 MS/MS 실험과 단백질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의해 식별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개별 LC-MS/MS 데이터세트로부터, 42,132 개의 UMC가 MS 스펙트럼에서 측정되었고, 그중 5,602 UMC가 단백질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의해 식별되었다(UMC로 식별됨; 도 1c).Because of the undersampling of the current protein analysis platform, a large portion of UMCs in LC-MS / MS experiments were not identified by MS / MS experiments and protein database searches. For example, from an individual LC-MS / MS dataset, 42,132 UMCs were measured in the MS spectrum, of which 5,602 UMCs were identified by protein database searches (identified as UMCs; FIG. 1C).

MS 스캔에서 검출되었지만 MS/MS 분석의 기회가 없는 펩티드 이온, 또는 단편화되었으나 품질이 낮은 이온은 이러한 미식별 UMC의 주요 원인이다. 미식별된 UMC(도 1c의 빨간색 점)에 펩티드 ID를 배정하기 위해, 질량 및 NET 허용치(즉, 각 ± 10ppm, ± 0.025 NET, 도 1d) 하에서 마스터 AMT DB와 일치시켰다. 식별되지 않은 UMC에 펩티드 ID를 배정하는 과정은 마스터 AMT DB 정보에 의해 식별된 3,363 개의 추가 UMC로 되고, 이에 의해 펩티드 ID 배정을 가진 UMC의 총 개수를 8,965개(배정된 UMC)로 증가하였다.Peptide ions detected in MS scan but without the opportunity for MS / MS analysis, or fragmented but poor quality ions are the main cause of this gastronomic UMC. To assign peptide IDs to the categorized UMC (red dot in FIG. 1C), the master AMT DB was matched under mass and NET tolerances (ie, each ± 10 ppm, ± 0.025 NET, FIG. 1D). The process of assigning peptide IDs to unidentified UMCs is 3,363 additional UMCs identified by the master AMT DB in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total number of UMCs having peptide ID assignments to 8,965 (assigned UMCs).

시료간 식별된 펩티드를 정렬하기 위해, 마스터 AMT DB를 이용하여, 펩타이드 ID에 미식별된 UMC를 배정한 후, 54 개의 LC-MS/MS 데이터세트(즉, 18 개의 개별 미토콘드리아 펩티드 시료의 3회 반복 LC-MS/MS 데이터세트)로부터 배정된 결과를 각 열이 각 LC-MS/MS 실험으로부터 UMC 강도에 상응하는 펩티드 ID를 포함한 정렬 테이블에 조합하였다. 정렬된 데이터의 사분위수(Quantile) 정규화를 수행하여 개별 LC-MS/MS 데이터세트들 간의 펩티드 존재도(abundance)의 시스템상 편차를 보정하였다.To align the identified peptides between samples, the master AMT DB is used to assign the distinct UMC to the peptide ID, followed by 3 replicates of 54 LC-MS / MS datasets (i.e., 18 individual mitochondrial peptide samples) The results assigned from the LC-MS / MS dataset) were combined into an alignment table with peptide IDs corresponding to the UMC intensity in each column from each LC-MS / MS experiment. Quantile normalization of sorted data was performed to correct for systemic deviations in peptide abundance between individual LC-MS / MS datasets.

마스터 AMT DB의 42,132 개의 펩타이드 중, T2DM(n ≥5) 및 대조군(n≥5) 시료의 절반 이상에서 검출된 7,635 개의 펩티드를 선별하고, 1,711 개의 단백질에 맵핑하였다. 이들 중, 높은 신뢰도를 갖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로 2개 이상의 형제 펩티드를 가진 1,171개의 단백질(1,150 개의 단백질-코딩 유전자)을 선별하였다.Of the 42,132 peptides in the master AMT DB, 7,635 peptides detected in more than half of the T2DM (n ≧ 5) and control (n ≧ 5) samples were selected and mapped to 1,711 proteins. Among them, 1,171 proteins (1,150 protein-coding genes) having two or more sibling peptides were selected as mitochondrial proteins with high reliability.

4. 미토콘드리아 단백체의 분석4. Analysis of mitochondrial proteins

T2DM 환자와 비당뇨병 대조군 간에 차등 발현된 단백질을 확인하기 위해, 우선 1) 해당 단백질이 2 개 이상의 비중복 펩티드를 갖는 펩티드 세트를 선별하였다. 2) 통계적 예측력(statistical power)을 높이기 위해, 각 그룹의 모든 개체의 50% 이상에서 검출된 펩티드 세트를 선별하였다. 이 선별된 펩티드에 대해, 스튜던트 t-검정과 log2-중앙값 비율 검정을 통합한 통계적 가설 검정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 between the T2DM patient and the non-diabetic control group, first, 1) a peptide set in which the protein has two or more non-overlapping peptides was selected. 2) In order to increase statistical power, a set of peptides detected in more than 50% of all individuals in each group was selected. For this selected peptide, a statistical hypothesis test was performed incorporating the Student's t-test and the log2-median ratio test.

간단히 말해, 선별된 펩티드에 대해, 1) 스튜던트 t-검정과 log2-중앙값 비율 검정을 적용하여 T-값 및 log2-중앙값 비율을 계산하고, 2) 이전에 기재된 무작위 순열 실험으로부터 추정된 2 가지 검정에 대한 경험적 영점(null) 분포를 이용하여 각 펩티드에 대한 보정된 T-값 및 log2-중앙값 비율을 산출하고, 3) 각 펩타이드에 대해 Stouffer 방법을 이용하여 2가지 검정으로부터 보정된 P-값을 통합하고, 4) Storey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합된 P-값에 대한 FDR을 계산한 후 FDR ≤0.1 및 발현 비율 ≥ 1.5배를 만족하는 차등 발현된 펩티드를 선별한 후, 차등 발현된 펩티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군을 (differentially expressed DEP)를 선별하였다. 또한, DEP와 관련된 세포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세포 내 기능 농축 분석 툴인 DAVI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DEP에 의해 대표하는 세포 내 기작 (GOBP)을 확인하였다. DEP에 의해 변화를 보이는 GOBP는 P≤0.05인 기작들을 선별하였다.Briefly, for the selected peptides, 1) a student's t-test and a log 2 -median ratio test were applied to calculate the T-value and log 2 -median ratio, and 2) 2 estimated from random permutation experiments previously described. Corrected T-values and log 2 -median ratios for each peptide are calculated using the empirical null distribution for the eggplant assay, and 3) P corrected from the two assays using the Stouffer method for each peptide. -Integrate the values, 4) After calculating the FDR for the integrated P-value using the Storey method, select differentially expressed peptides satisfying FDR ≤0.1 and expression ratio ≥ 1.5 times, and then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 groups containing peptides (differentially expressed DEP) were selected. In addition, to understand the cellular function associated with DEP, the intracellular mechanism (GOBP) represented by DEP was identified using DAVID software, an intracellular function enrichment analysis tool. GOBP showing a change by DEP was selected for mechanisms with P≤0.05.

5. 골격근 유래 단백체의 특성5. Characteristics of skeletal muscle-derived proteins

골조직 유래 미토콘드리아 단백체의 포괄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전 논문에서 보고된 가장 포괄적인 마우스 및 인간 미토콘드리아 단백체와 1,150 개의 단백질을 비교하였다. Pagliarini et al., Cell 2008; 134(1): 112-23은 1) 14 마리의 마우스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의 LC-MS/MS 프로파일, 2) 이전 문헌에서 보고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및 3) GFP 태그 현미경 데이터의 통합 분석으로부터 유래된 1,098개의 단백질-코딩 유전자의 미토콘드리아 개요를 제공했다. 1,098 개의 유전자는 Mouse Genome Informatics 데이터베이스의 인간-마우스 이종상동성(orthology) 정보를 기반으로 1,012 개의 인간 이종상동성을 맵핑하였다. Lefort et al., J Proteomics 2009; 72(6): 1046-60은 인간 골격근으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의 단백체를 프로파일링한 후 823 개의 단백질을 규명했으며, 803 개의 단백질-코딩 유전자에 맵핑하였다. 비교 결과, 1,150 개의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코딩 유전자는 각각 14 개의 마우스 조직과 인간 골격 근육 조직에서 확인된 397개(1,012개의 39.2 %)와 481개(803개의 60.0%)의 단백질-코딩 유전자(총 558 개)를 포함하였다(도 2a). 1,150개의 단백질-코딩 유전자 중 나머지 592개는 2개의 이전 미토콘드리아 단백체에서 보고되지 않았다.To assess the inclusiveness of bone tissue-derived mitochondrial proteins, 1,150 proteins were compared to the most comprehensive mouse and human mitochondrial proteins reported in previous papers. Pagliarini et al., Cell 2008; 134 (1): 112-23 are derived from 1) LC-MS / MS profile of mitochondria isolated from 14 mouse tissues, 2) mitochondrial proteins reported in previous literature, and 3) integrated analysis of GFP tag microscopic data Provided an overview of the mitochondria of 1,098 protein-coding genes. 1,098 genes mapped 1,012 human heterologous homology based on human-mouse orthoology information from the Mouse Genome Informatics database. Lefort et al., J Proteomics 2009; 72 (6): 1046-60 identified 823 proteins after profiling mitochondrial proteins isolated from human skeletal muscle and mapped them to 803 protein-coding gen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1,150 mitochondrial protein-coding genes were found in 14 mouse tissues and human skeletal muscle tissue, respectively, 397 (1,012 39.2%) and 481 (803 60.0%) protein-coding genes (total 558) ) (FIG. 2A). The remaining 592 of the 1,150 protein-coding genes were not reported in two previous mitochondrial proteins.

미토콘드리아 단백체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Gene Ontology Cellular Components(GOCCs)에 기반하여 1,150개의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를 조사하였다.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1,150개 중 455 개; 39.6 %)이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하고, 원형질막과 세포질/세포골격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도 2b). LC-MS / MS에 의해 검출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체의 비교는 GOCC에 기반하여 미토콘드리아로 주석된 단백질의 분획(39.6%)이 앞서 언급한 Paglianini et al. 및 Lefort et al.에서 보고된 바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455개 단백질의 위치 분포는 미토콘드리아 외막(outer membrane) 및 내막(inner membrane)에서 내부 막 공간(intermembrane space) 및 미토콘드리아 기질(matrix)에 이르는, 하위-미토콘드리아 구획의 전체 스펙트럼에 위치된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c). 다음으로, DAVI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Gene Ontology Biological Processe (GOBP)의 농축(enrichment) 분석을 수행하여 1,150개의 단백질에 의해 대표되는 세포 내 기능을 조사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단백체에 의해 유의하게(P<0.05) 나타나는 세포 과정은 산화성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OXPHOS), 해당과정(glycolysis) 트리카르복시산(tricarboxylic acid: TCA) 사이클, 미토콘드리아 조직(organization)/수송, 지방산 베타-산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번역과 같은, 골격근에서 T2DM-연관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관련된 과정을 포함한다(도 2d). OXPHOS 복합체의 경우, 단백체는 미토콘드리아 또는 핵-암호화된 OXPHOS 단백질(도 2f)과 관계없이, 5 개 복합체 모두에서 단백체의 포괄적인 커버리지(48 내지 100%)를 제공하였다(도 2e). 이러한 데이터는 포괄성 외에, 미토콘드리아 단백체가 하부-미토콘드리아 구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병리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광범위한 미토콘드리아 프로테옴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한다.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itochondrial proteins, the intracellular location of 1,150 proteins was investigated based on Gene Ontology Cellular Components (GOCCs). The largest number of proteins (455 out of 1,150; 39.6%) was located in the mitochondria, followed by the plasma membrane and cytoplasm / cytoskeleton (FIG. 2B). The comparison of mitochondrial proteins detected by LC-MS / MS was based on GOCC, where a fraction of mitochondrial annotated protein (39.6%) was previously described in Paglianini et al. And Lefort et al .. In addition, the location distribution of the 455 mitochondrial proteins is located in the entire spectrum of the sub-mitochondrial compartment, ranging from the mitochondrial outer membrane and inner membrane to the inner membrane space and the mitochondrial matrix. It was found to include (Fig. 2c). Next, enrichment analysis of Gene Ontology Biological Processe (GOBP) was performed using DAVID software to investigate intracellular function represented by 1,150 proteins. Cell processes that are significantly (P <0.05) marked by mitochondrial proteins include oxidative phosphorylation (OXPHOS), glycolysis tricarboxylic acid (TCA) cycles, mitochondrial organization / transportation, and fatty acid beta- Processes related to T2DM-associated mitochondrial function in skeletal muscle, such as oxidatio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and translation (FIG. 2D). For the OXPHOS complex, the protein provided comprehensive coverage (48-100%) of the protein in all 5 complexes, regardless of mitochondrial or nuclear-encoded OXPHOS protein (Figure 2f) (Figure 2e). These data confirm that, in addition to comprehensiveness, mitochondrial proteins provide a wide range of mitochondrial proteams involved in various pathological processes occurring in the sub-mitochondrial compartment.

6. T2DM에서 변화된 골격근의 미토콘드리아 단백체6. Mitochondrial protein of skeletal muscle changed in T2DM

골격근에서, T2DM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체의 존재도에서의 변화를 수반한 미토콘드리아 이상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존재도가 비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T2DM에서 변화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을 식별하기 위해, 54 LC-MS/MS 데이터세트(9명의 T2DM 환자에 대해 27개 및 9명의 비당뇨병성 대조군에 대해 27개)에서 측정된 펩티드를 정렬한 후, 실시예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T2DM와 비당뇨병성 대조군 간에 차등발현된 523개의 펩티드를 식별하였다.In skeletal muscle, T2DM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mitochondrial abnormalities with changes in the presence of mitochondrial proteins. In the 54 LC-MS / MS dataset (27 for 9 T2DM patients and 27 for 9 non-diabetic controls), to identify mitochondrial proteins with altered presence in T2DM compared to non-diabetic controls After sorting the measured peptides, 523 peptides differentially expressed between T2DM and non-diabetic controls were identified as described in Example 1.3.

523개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335개 단백질을 T2DM과 비당뇨병성 대조군 간의 차등발현된 단백질(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 DEP) 로 선별하였다. 335개의 DEP 중, 135개의 단백질이 비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T2DM에서 상향조절되었고, 200개의 단백질이 하향조절되었다(도 3a). DEP와 T2DM의 기능적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DAVI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향 및 하향 조절된 단백질이 나타내는 세포 내 기작을 확인하였다.335 proteins containing 523 peptides were select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 (DEP) between T2DM and a non-diabetic control. Of the 335 DEPs, 135 proteins were up-regulated in T2DM compared to the non-diabetic control, and 200 proteins were down-regulated (FIG. 3A).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nctional linkage between DEP and T2DM, DAVID software was used to identify the intracellular mechanisms represented by up- and down-regulated proteins.

이 분석 결과 135개의 상향조절된 단백질은 주로 분자 수송 (칼슘 이온 수송, 단백질 수송, 및 칼슘 이온 항상성)과 세포골격 조직(근육 수축, 액틴 필라멘트-기반 과정, 및 액틴 세포골격 조직)(도 3b), 분자 수송 및 세포골격 조직과 관련된 과정에 주로 관련된다는 것을 나타내었고, 이는 분자 수송 및 세포골격 조직(cytoskeleton organization)이 T2DM 병인에 관여되어 있다는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반면에, 200개의 하향조절된 단백질은 포도당 대사 (해당 과정), 지방산 대사 과정(지방산 베타-산화) 및 TCA회로와 같이 대사 과정에 주로 관여하였으며, 이는 T2DM 병인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도 3c). 특히, 상향조절된 단백질과 하향조절된 단백질(각각 6개와 16개의 단백질) 모두가 유의하게 OXPHOS를 나타냈다. OXPHOS 단백질의 상반되는 변화 패턴은 이전 연구에서 OXPHOS 유전자에 대해 발견된 패턴과 일치했다.As a result of this analysis, 135 up-regulated proteins mainly consist of molecular transport (calcium ion transport, protein transport, and calcium ion homeostasis) and cytoskeletal tissue (muscle contraction, actin filament-based processes, and actin cytoskeletal tissue) (Figure 3B). , It has been shown to be primarily involved in the processes involved in molecular transport and cytoskeletal tissue,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that molecular transport and cytoskeleton organization are involved in T2DM etiology. On the other hand, 200 down-regulated proteins were mainly involved in metabolic processes, such as glucose metabolism (corresponding process), fatty acid metabolism process (fatty acid beta-oxidation) and TCA cycle,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T2DM etiology (Fig. 3c). . In particular, both up-regulated and down-regulated proteins (6 and 16 proteins,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OXPHOS. The pattern of opposing changes in the OXPHOS protein was consistent with the pattern found for the OXPHOS gene in previous studies.

T2DM-관련 프로세스의 총괄적인 기능을 탐색하기 위해, 분자 수송, 대사, 및 세포골격 조직과 관련된 GOBP에 수반된 DEP들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네트워크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DEP에 대한 네트워크 모델 분석을 위해, DEP에 의해 대표되는 T2DM-관련 GOBP에 속하는 DEP중 일부를 선별한 다음, 4 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체(interactome)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별된 DEP에 대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정보를 수집하였다: BIND (Biomolecular Interaction Network Database), HPRD (Human Protein Reference Database), BioGRID (Biological General Repository for Interaction Datasets), 및 MINT (Molecular INTeraction Database). 초기 네트워크 모델은 시각화 툴인Cytoscape를 이용하여 선별된 DEP와 상호작용 정보로 구축하였다. 그후 각 단백질과 연관된 GOBP및 세포 내 신호경로에 따라 노드(node)를 배열하여 유사한 기능을 가진 노드가 가까이 배치되도록 하였다. 동일한 GOBP와 관련된 노드들의 그룹은 상응하는 GOBP로 라벨링하였다. 재구성된 네트워크 모델은 도 3d 및 도 3e에 나타내었다. 도 3d의 네트워크 모델은, 해당과정 경로(HK1, GPI, PGM1, ENO3, 및 PKM), TCA 사이클 (ACO2, IDH3A, OGDH, DLST, SUCLA2, SDHA, FH, 및 MDH1), 및 지방산 β산화(ACADM, DECR1, ECH1, HADH, 및 HADHB)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이 T2DM에서 비당뇨병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하향조절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로의 하향조절과 뿐만아니라, 포도당 및 아스파르산염(SLC25A12), 피루베이트(MCP1/2), 말산염 및 α-케토글루타르산염(SLC25A11), 및 지방산(ACSL1과 CPT1B/2)의 수송도 T2DM에서 하향조절되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5개의 OXPHOS 복합체의 단백질은 T2DM에서 크게 하향조절되는 반면, 여러 단백질(ATP5O 및 NDUFA6/A7/A12/AB1/S6)이 역으로 상향조절되어, T2DM에서 OXPHOS 시스템의 복잡한 변화 패턴을 시사한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수송(TIMM44)은 분자 샤프론(HSPA1A/D1)와 함께, T2DM에서 하향조절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모델은 칼슘 (MICU1 및 VDAC1/3) 및 ATP 수송 (SLC25A4 및 VDAC1/3)의 하향 조절을 또한 나타내었다. 총괄하면, 네트워크 모델에서 이러한 주요 미토콘드리아 대사과정의 하향 조절은 비당뇨병 대조군에 비해 T2DM에서 미토콘드리아 대사의 전반적인 활성이 감소되어있다는 것을 나타낸다.To explore the overall function of the T2DM-related process, a network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interaction between DEPs involved in GOBP related to molecular transport, metabolism, and cytoskeletal tissue. Specifically, for network model analysis for DEP, some of the DEPs belonging to the T2DM-related GOBPs represented by DEPs were selected, and then proteins for DEPs selected from four protein-protein interaction databases -Protein interaction information was collected: Biomolecular Interaction Network Database (BIND), Human Protein Reference Database (HPRD), Biological General Repository for Interaction Datasets (BIGRID), and Molecular INTeraction Database (MINT). The initial network model was constructed with the selected DEP and interaction information using the visualization tool Cytoscape. After that, the node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GOBP associated with each protein and the intracellular signal path, so that nodes with similar functions were placed close together. Groups of nodes related to the same GOBP were labeled with the corresponding GOBP. The reconstructed network model is shown in FIGS. 3D and 3E. The network model in FIG. 3D includes glycolysis pathways (HK1, GPI, PGM1, ENO3, and PKM), TCA cycles (ACO2, IDH3A, OGDH, DLST, SUCLA2, SDHA, FH, and MDH1), and fatty acid β oxidation (ACADM) , DECR1, ECH1, HADH, and HADHB) related protein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T2DM compared to non-diabetic controls. Down-regulation of these pathways as well as transport of glucose and aspartate (SLC25A12), pyruvate (MCP1 / 2), malate and α-ketoglutarate (SLC25A11), and fatty acids (ACSL1 and CPT1B / 2) It also shows that it was down-regulated in T2DM. In addition, the proteins of the five OXPHOS complexes a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T2DM, while several proteins (ATP5O and NDUFA6 / A7 / A12 / AB1 / S6) are inversely upregulated, suggesting a complex pattern of changes in the OXPHOS system in T2DM. . In addition, mitochondrial protein transport (TIMM44) was down-regulated in T2DM, along with molecular chaperones (HSPA1A / D1). In addition, the network model also showed down regulation of calcium (MICU1 and VDAC1 / 3) and ATP transport (SLC25A4 and VDAC1 / 3). Collectively, down-regulation of these major mitochondrial metabolic processes in the network model indicates that the overall activity of mitochondrial metabolism in T2DM is reduced compared to non-diabetic controls.

한편, 도 3e에 도시된 네트워크 모델은 원래 소포체 (ER)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된 몇몇 과정의 상향 조절을 나타내었다: ER 칼슘 수송 (RYR1 및 ATP2A1/A3) (도 3e의 위) 및 ER폴딩되지 않은 단백질 반응 (PDIA3/4 및 ERP29) 및 소포-매개 단백질 수송 (SORT1, RAB1A/10, STX7, 및 COPB1)(도 3e의 중간). T2DM에서 상향 조절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로 대표되는 이러한 ER 세포 과정은 T2DM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ER의 잠재적 연관성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model shown in FIG. 3E showed up-regulation of several processes originally reported to be related to vesicles (ER): ER calcium transport (RYR1 and ATP2A1 / A3) (above FIG. 3E) and ER unfolded. Protein reaction (PDIA3 / 4 and ERP29) and vesicle-mediated protein transport (SORT1, RAB1A / 10, STX7, and COPB1) (middle of Figure 3e). This ER cell process, represented by the mitochondrial protein up-regulated in T2DM, indicates the potential associ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 with ER in T2DM.

도 3e의 네트워크 모델은 비당뇨병 대조군에 비해 T2DM에서 세포골격 구성 경로(ITGB1, RHOA, MYLPF, DOCK2, PDLIM3, ACTN4, DES, DYNC1H1 및 TPM1)의 상향 조절을 보인 반면, 경로의 여러 분자(FLNA, ACTA1/C1, ACTN2, 및 TNNC1)는 역으로 하향조절되었다.The network model of FIG. 3e showed up-regulation of cytoskeletal constituent pathways (ITGB1, RHOA, MYLPF, DOCK2, PDLIM3, ACTN4, DES, DYNC1H1 and TPM1) in T2DM compared to non-diabetic controls, while multiple molecules of the pathway (FLNA, ACTA1 / C1, ACTN2, and TNNC1) were inversely downregulated.

최근, 미토콘드리아의 서브세트가 ER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연관 ER 막(mitochondria-associated ER membrane: MAM)이라고 불리는 경계면을 형성하고, 병리학적 조건 하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감소된 경우 MAM의 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여러 연구에서 이전에 보고된 MAM 단백질 중에서, 이들 중 상당 부분(40.1 %; 이전 MAM 단백질 37개 중 15개)이 미토콘드리아의 단백체에서 검출되었다. 이러한 데이터는 실시예 1.1에서 준비된 미토콘드리아 시료가 MAM를 포함하고, 상향 조절된 MAM 단백질(도 3e)은 또한 T2DM-연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나타내는 미토콘드리아 프로파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Recently, a subset of mitochondria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ER, forms an interface called a mitochondria-associated ER membrane (MAM), and increases the function of MAM when mitochondrial function is reduced under pathological conditions. It was reported to do. Of the MAM proteins previously reported in several studi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m (40.1%; 15 of the 37 previous MAM proteins) were detected in mitochondrial proteins. These data show that the mitochondrial sample prepared in Example 1.1 contains MAM, and the up-regulated MAM protein (FIG. 3E) can also be used as a mitochondrial profile indicating the function of T2DM-associated mitochondria.

7. T2DM 병태생리를 나타내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체 프로파일7. Mitochondrial protein profile indicating T2DM pathophysiology

T2DM에 걸린 인간 개체와 설치류의 골격근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은 인슐린 저항성 상태로 관찰되었다. 기능이상은 손상된 OXPHOS, 해당과정, 및 TCA주기와 관련되어 있고, 비당뇨병 대조군에에 비해 T2DM에서 이러한 과정의 하향조절과 일치한다(도 3c 내지 도 3d). 이 데이터에 기반하여, T2DM-관련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나타내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체 프로파일로서, 처음에 하향조절된 OXPHOS에 대한 하기 대표적인 단백질을 선별하였다: 1-2) 하향조절된 NDUFS3 (복합체 I) 및 COX2 (복합체 IV). 이러한 하향조절된 과정과 달리, 상향조절된 세포 과정의 기전적 연결고리는 불분명했다(도 3e).In human and rodent skeletal muscles with T2DM, mitochondrial dysfunction was observed in insulin resistance.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impaired OXPHOS, glycolysis, and TCA cycles, and is consistent with down-regulation of this process in T2DM compared to non-diabetic controls (FIGS. 3C-3D). Based on this data, as mitochondrial protein profiles showing T2DM-related mitochondrial function, the following representative proteins were initially selected for downregulated OXPHOS: 1-2) Downregulated NDUFS3 (Complex I) and COX2 (Complex IV) ). Unlike this down-regulated process, the mechanism of the up-regulated cellular process was unclear (Fig. 3e).

반면에,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은 손상된 칼슘 수송과 연결되어, 그후 이는 MAM에서 칼슘 항상성을 변화시킬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일하게, 도 3e의 네트워크 모델은 MAM에서 상향조절된 칼슘 수송을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has been linked to impaired calcium transport, after which it has been shown to alter calcium homeostasis in MAM. Similarly, the network model in FIG. 3e showed upregulated calcium transport in MAM.

또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은 미토콘드리아로의 단백질 수송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그 후 MAM 에서 단백질 수송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동일하게, 도 3e의 네트워크 모델은 MAM에서 단백질 수송이 상향조절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T2DM-연관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미토콘드리아 단백체 프로파일로서 칼슘 및 단백질 수송을 위한 하기 대표적인 단백질을 추가로 선별하였다: 3) 칼슘 수송을 위한 상향 조절된 CALR 및 4-5) 단백질 수송을 위한 상향 조절된 SORT1.In addition, mitochondrial dysfunction has been reported to result in a decrease in protein transport to mitochondria, which in turn has been reported to alter protein transport in MAM. Similarly, the network model in FIG. 3E showed that protein transport is upregulated in MAM. Based on these data, the following representative proteins for calcium and protein transport were further selected as additional mitochondrial protein profiles exhibiting T2DM-associated mitochondrial function: 3) Up-regulated CALR for calcium transport and 4-5) protein transport Up-regulated SORT1 for.

8. T2DM을 나타내는 선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프로파일의 검증8. Verification of selected mitochondrial protein profiles indicating T2DM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선별된 단백질의 유효성을 실험적으로 검사하기 위해, 먼저 당뇨병 마우스 모델, 고지방 식이(high fat diet: HFD)-유도 비만 모델에서 웨스턴 블로팅 분석을 이용하여 5종의 선별된 단백질의 차등 발현을 확인했다.To experimentally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selected protein as described in Example 1.7, first, five types were screened using Western blotting analysis in a diabetic mouse model, a high fat diet (HFD) -induced obesity model. Differential expression of proteins was confirmed.

HFD 마우스(6 주령)에서 체중, 지방량, 혈당 수치, 및 혈중 인슐린 수준이 일반식이 사료를 먹은 생쥐에 비해 현저히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면역블로팅 분석을 위해, HFD 마우스의 골격근 조직 및 대조군으로서 정상 식이를 한 마우스의 골격근 조직으로부터 총 용해물 및 조 미토콘드리아를 준비하였다. 총 용해물을 준비하기 위해, 조직을 10 mM Na4P2O7, 100 mM NaF, 2 mM Na3VO4, 1% NP-40, 및 프로테아제 저해제 칵테일(10 μg/μl 아프로티닌, 10 μg/μl 류펩틴 및 1 mM PMSF)을 함유한 20 mM Tris-HCl 완충액(pH 7.4)에 용해시켰다. 용해물을 15초 동안 2회 초음파처리하고, 세포 잔해물을 4℃에서 30 분 동안 원심분리(13,000 rpm)으로 제거하였다. 조 미토콘드리아를 준비하기 위해, 조직을 4℃에서 미토콘드리아 분리 완충액(250 mM 수크로스, 25 mM Tris-HCl pH7.4, 1 mM EDTA)에 균질화하였다. 그후, 용해물을 1000g에서 원심분리하여 핵 및 세포질성 분획을 분리하고, 세포질성 분획은 4℃에서 10000 g으로 더 원심분리하여 조 미토콘드리아 펠렛을 수득하였다. 펠렛을 단백질 용해 완충액에 용해시켰다. 약 20 내지 30 ㎍의 총 용해물 및 조 미토콘드리아를 SDS-PAGE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Whatman, Dassel, Germany)에 트랜스퍼하였다. 멤브레인을 Tris-완충 염수-Tween20 (TBS-T) 중 5% 스킴 밀크로 실온에서 1~2 h 동안 블로킹한 후, 선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 항체로 4℃에서 밤새 탐침하였다. 밴드 강도를 정량하고, 그 결과를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LC-MS/MS 데이터와 유사하게, SORT1, CALR, 및 RAB1A는 HFD-마우스의 골격근 조직(도 4a)과 골격근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도 4b) 모두에서, 정상-식이를 한 마우스의 시료에 비해, 유의하게 상향조절되었다(P <0.05). 또한, HFD-마우스의 골격근 조직 및 이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도 4B) 모두에서 COXII와 NDUFS3가 유의하게 하향조절됨을 확인하였다(P <0.05).It was confirmed that HFD mice (6 weeks of age) had significantly higher body weight, fat mass, blood sugar level, and blood insulin levels than mice fed the normal diet. For immunoblotting analysis, total lysate and crude mitochondria were prepared from skeletal muscle tissue of HFD mice and skeletal muscle tissue of normal-fed mice as controls. To prepare the total lysate, tissues were treated with 10 mM Na 4 P 2 O 7 , 100 mM NaF, 2 mM Na 3 VO 4 , 1% NP-40, and protease inhibitor cocktail (10 μg / μl aprotinin, 10 μg / μl Leupeptin and 1 mM PMSF) was dissolved in 20 mM Tris-HCl buffer (pH 7.4). Lysates were sonicated twice for 15 seconds, and cell debris was removed by centrifugation (13,000 rpm) at 4 ° C. for 30 minutes. To prepare the crude mitochondria, the tissue was homogenized in a mitochondrial separation buffer (250 mM sucrose, 25 mM Tris-HCl pH7.4, 1 mM EDTA) at 4 ° C. Thereafter, the lysate was centrifuged at 1000 g to separate the nucleus and cytoplasmic fractions, and the cytosolic fraction was further centrifuged at 4 ° C. to 10000 g to obtain crude mitochondrial pellets. The pellet was dissolved in protein lysis buffer. About 20-30 μg total lysate and crude mitochondria were isolated on SDS-PAGE. The isolated protein was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Whatman, Dassel, Germany). The membrane was blocked with 5% skim milk in Tris-buffered saline-Tween20 (TBS-T) for 1-2 h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probed at 4 ° C. overnight with specific antibodies against selected mitochondrial proteins. The band intensity was quantifi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4A and 4B. 4A and 4B, similar to LC-MS / MS data, SORT1, CALR, and RAB1A were both in skeletal muscle tissue (FIG. 4A) of HFD-mouse and mitochondria isolated from skeletal muscle tissue (FIG. 4B). , Compared to the sample of normal-fed mice, it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P <0.05).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OXII and NDUFS3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both skeletal muscle tissue of HFD-mouse and mitochondria isolated therefrom (FIG. 4B) (P <0.05).

또한, 인간 골격근 조직에서 5종의 선별된 단백질의 차등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1(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기준에 근거하여, 14명의 T2DM 환자와 12명의 비 당뇨병 대조군의 독립적인 세트로부터 골격근 조직을 수집하였다.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 공복 혈당, 및 기타 실험적 수치와 같은 T2DM 환자 및 비 당뇨병 대조군의 특징을 하기 표 2에 요약하였다.In addition, to confirm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five selected proteins in human skeletal muscle tissue, based on the same criteria as described in Example 1.1 (1), from an independent set of 14 T2DM patients and 12 non-diabetic controls. Skeletal muscle tissue was col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2DM patients and non-diabetic controls such as age, gender,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glucose, and other experimental values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정상군(n=12) Normal group (n = 12) 당뇨군(n=14) Diabetes group (n = 14) p-값p-value 연령age 56.1 ± 16.5 56.1 ± 16.5 70.0 ± 12.8 70.0 ± 12.8 0.03* 0.03 * 성별(남성:여성)Gender (male: female) 6:6 6: 6 3:11 3:11 체질량 지수(kg/m2) Body mass index (kg / m 2 ) 26.1 ± 2.4 26.1 ± 2.4 25.0 ± 3.3 25.0 ± 3.3 0.36 0.36 수축기 혈압(mm/Hg) Systolic blood pressure (mm / Hg) 129.8 ± 9.7 129.8 ± 9.7 127.2 ± 17.6 127.2 ± 17.6 0.95 0.95 확장기 혈압(mm/Hg) Diastolic blood pressure (mm / Hg) 74.8 ± 8.3 74.8 ± 8.3 70.6 ± 13.0 70.6 ± 13.0 0.33 0.33 공복 혈당(mg/dl) Fasting blood sugar (mg / dl) 100.1 ± 18.3 100.1 ± 18.3 151.5 ± 65.5 151.5 ± 65.5 0.01* 0.01 * 헤모글로빈 A1c (%) Hemoglobin A1c (%) 5.6 ± 0.3 5.6 ± 0.3 6.7 ± 1.4 6.7 ± 1.4 0.02* 0.02 * 총 콜레스테롤 (mg/dl) Total cholesterol (mg / dl) 186.8 ± 43.9 186.8 ± 43.9 180.1 ± 42.1 180.1 ± 42.1 0.69 0.69 BUN BUN 14.5 ± 5.5 14.5 ± 5.5 18.7 ± 6.2 18.7 ± 6.2 0.08 0.08 Cr Cr 0.8 ± 0.2 0.8 ± 0.2 1.1 ± 0.2 1.1 ± 0.2 0.01* 0.01 *

(데이터는 평균값 ± 표준 편차로 표시, *: p<0.05) (Data is expressed as mean value ± standard deviation, *: p <0.05)

수집된 조직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하고, 면역블로팅을 수행한 결과를 도 4c 및 도 4d에 나타내었다. 도 4c 및 도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LC-MS/MS 데이터와 유사하게, SORT1, CALR 및 RAB1A는 T2DM 환자의 골격근 조직(도 4c) 및 이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도 4d) 모두에서 유의하게 상향조절된 패턴을 나타내었다(P < 0.05). 이와 유사하게, COX2와 NDUFS3는 비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T2DM 환자의 골격근 조직(도 4c) 및 이의 미토콘드리아(도 4d) 모두에서 유의하게(P < 0.05) 하향조절된 패턴을 나타내었다(P < 0.05).The results of separating mitochondria from the collected tissue and performing immunoblotting are shown in FIGS. 4C and 4D. 4C and 4D, similar to LC-MS / MS data, SORT1, CALR and RAB1A were significantly upward in both skeletal muscle tissue of T2DM patients (FIG. 4C) and mitochondria isolated therefrom (FIG. 4D). The adjusted pattern was shown (P <0.05). Similarly, COX2 and NDUFS3 showed significantly (P <0.05) down-regulated patterns in both skeletal muscle tissue (Fig. 4c) and mitochondria (Fig. 4d) of T2DM patients compared to non-diabetic controls (P <0.05). 0.05).

따라서, 선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체 프로파일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T2DM-연관 조절이상, MAM 기능의 상향조절 및 OXPHOS의 하향조절의 표지자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ed mitochondrial protein profile may act as a marker of T2DM-associated dysregul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 up-regulation of MAM function and down-regulation of OXPHOS.

Claims (12)

근육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시료로부터, 소르틸린 1(Sortilin 1: SORT1), 칼레티쿨린(Calreticulin: CALR), 및 Ras-관련 단백질 Rab-1A(Ras-related protein Rab-1A: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조성물.From a sample derived from muscle tissu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ilin 1: SORT1, Calreticulin (CALR), and Ras-related protein Rab-1A (RAB1A)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diabetes, comprising an agent that measures the expression level of a selected protein or fragment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 분획물인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mple is a fraction containing mitochondri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인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betes is type 2 diabetes.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COX2) 및 NADH 데히드로게나제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3(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iron-sulfur protein 3: NDUFS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yclooxygenase-2 (Cyclooxygenase-2: COX2) and 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iron-sulfur protein 3 (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iron-sulfur protein 3: NDUFS3)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agent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인 것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mulation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he protein or fragment thereof; or
A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nucleotide that is identical to or complementary to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protein or fragment there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폴리클론 항체 또는 모노클론 항체인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ntibody is a polyclonal antibody or a monoclonal anti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인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nucleic acid is a primer or a probe. 근육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시료로부터,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키트.A kit for diagnosing diabetes, compris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from a sample derived from muscle tissue. 당뇨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근육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시료에서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의 단백질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방법.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in a sample derived from muscle tissue isolated from a subject suspected of diabetes;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measured expression level with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the normal control,
A method of detecting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ng diabete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료와, SORT1, CALR, 및 RAB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asuring step comprises incubating the sample with an antibody specifically binding to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T1, CALR, and RAB1A.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에서 COX2 및 NDUFS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X2 and NDUFS3 in the sampl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근육생검, 전기영동, 면역블로팅,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면역염색, 단백질 칩, 면역침강, 마이크로어레이, 노던(Northern) 블로팅, 폴리머라제 증폭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measuring step is muscle biopsy, electrophoresis, immunoblott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staining, protein chip, immunoprecipitation, microarray, Northern (Northern) ) Blott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r a combination thereof.
KR1020180130294A 2018-10-29 2018-10-29 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 KR102135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294A KR102135308B1 (en) 2018-10-29 2018-10-29 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294A KR102135308B1 (en) 2018-10-29 2018-10-29 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322A true KR20200048322A (en) 2020-05-08
KR102135308B1 KR102135308B1 (en) 2020-07-20

Family

ID=7067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294A KR102135308B1 (en) 2018-10-29 2018-10-29 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30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5868A1 (en) * 2001-05-29 2008-06-19 Pride Proteomics A/S Method for diagnosing diabetes in a mamm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5868A1 (en) * 2001-05-29 2008-06-19 Pride Proteomics A/S Method for diagnosing diabetes in a mamm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cey Hongjie Ma et al., 'Comparative Proteomic Analysis of the Mitochondria-associated ER Membrane (MAM) in a Long-term Type 2 Diabetic Rodent Model', Scientific Reports, 2017, Vol. 7, pp 1-1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308B1 (en)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y et al. Deep undepleted human serum proteome profiling toward biomarker discovery for Alzheimer’s disease
Ebhardt et al. Applications of targeted proteomics in systems bi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US8389222B2 (en) Apolipoprotein fingerprinting technique and methods related thereto
EP2210108B1 (en) Methods for detecting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events
Barallobre-Barreiro et al. Proteomics and metabolomics for mechanistic insights and biomarker discovery in cardiovascular disease
JP2011501133A5 (en)
Chae et al. A mitochondrial proteome profile indicativ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skeletal muscles
Calvo et al. Applying selected reaction monitoring to targeted proteomics
JP7285215B2 (en) Biomarkers for detecting colorectal cancer
US10768183B2 (en) Metabolite panel for improved screening and diagnostic testing of cystic fibrosis
WO2007103770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nalyzing renal cancer
López‐Villar et al. A proteomic approach to obesity and type 2 diabetes
KR20160072027A (en) Biomarker for diagnosis of liver cancer and use thereof
Nedelkov et al. Top-down mass spectrometric immunoassay for human insulin and its therapeutic analogs
Singh et al. Proteomic approaches to decipher mechanisms underlying pathogenesis in multiple sclerosis patients
Bergman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proteomic methods and disease biomarkers
Percy et al. Multiplexed panel of precisely quantified salivary proteins for biomarker assessment
Chen et al. Targeted protein quantitation in human body fluids by mass spectrometry
US20150338412A1 (en)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lung cancer and diagnosis kit for lung cancer
JP7076075B2 (en) Diagnosis method of Alzheimer&#39;s disease using signal peptide as an index
Rezeli et al. MRM assay for quantitation of complement components in human blood plasma—a feasibility study on multiple sclerosis
WO2006108051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o alzheimer&#39;s disease
Merchant Mass spectrometry in chronic kidney disease research
Baldan-Martin et al. Tissue proteomic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102135308B1 (en) 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