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203A -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 Google Patents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203A
KR20200048203A KR1020180130010A KR20180130010A KR20200048203A KR 20200048203 A KR20200048203 A KR 20200048203A KR 1020180130010 A KR1020180130010 A KR 1020180130010A KR 20180130010 A KR20180130010 A KR 20180130010A KR 20200048203 A KR20200048203 A KR 20200048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r
exposed
folded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678B1 (ko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주)아이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존 filed Critical (주)아이존
Priority to KR1020180130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the trackw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자동차를 대형의 자동차 크기로 변형하여 다양한 자동차의 주행놀이가 가능토록 한 것으로써, 소형의 자동차를 절첩되는 외부구조와 내부구조로 구분토록 하면서 상기 외부구조는 자동차의 엔진이 수용되는 전면부가 2단의 절첩에 의하여 바닥면과 밀착되게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의하여 전면유리창의 하단에 끼임되어진 후 자동차의 좌우측면부는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의하여 절첩되어지고, 후면부는 자동차의 몸통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후방으로 빠져나오고 절첩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하고, 자동차의 몸통부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빠져나온 후면부는 내부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구조에는 상승하강되면서 높낮이가 변형되어지는 레일을 형성하고, 또 다른 레일은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차가 수직으로 떨어지면서 전방으로 나갈 수 있는 외부구조를 형성하는 일측 측면부의 어느 하나에는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슈팅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한 주행레일과 또 다른 측면부에는 다양한 주차시설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A toy car in which various driving behaviors are exposed by deformation}
본 발명은 완구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은 자동차를 대형의 자동차 크기로 변형하여 다양한 자동차의 주행놀이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완구자동차를 가지고 다양한 놀이를 하기 위하여는 완구자동차 이외에 또 다른 놀이 장치 예를 들면 완주자동차가 주행이 가능한 일렬로 방향이 전환되어지게 조립되어지는 레이싱 레일셋트라든지 아니면 슈팅장치라던지 아니면 주행시 장애물로 사용되어지는 다양한 물품 또는 완구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 시설물이라든지 아니면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소방시설이나 경찰서 또는 병원 등의 별도의 시설물이 요구되는 것이고, 이러한 것들은 반드시 별도로 제작되어 별도로 유통되거나 또는 보관되어지고, 이러한 것들을 각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사용자들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고, 특히 이러한 것들을 한 장소에서 보관하지 못하게 되는 취급 등의 부주의에 의하여 어느 하나가 훼손되어나 분실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결국 자동차 놀이를 할 수 없는 등의 많은 불면함은 물론 이러한 것들을 버려야 함으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곤 하였다.
따라서 최근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원 출원인이 대형의 소방차를 활용하여 바퀴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소방차의 좌우면은 물론 전후 면이 절첩가능하게 하여 펼쳐지면서 또 다른 자동차를 가지고 다양한 놀이가 가능토록 하였고, 접을 경우에는 간단하게 소방차만을 보관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작동구조가 대형자동차에서만 가능하여 부피가 커서 판매를 위한 보관이나 운반 등에 따른 불편함과 또한 이들을 구매하여 사용하게 되는 사용자들에게도 보관이나 운반시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완구자동차를 대형의 완구자동차로 변형토록 한 후 노출되는 내부구조가 변형토록 하여 다양한 자동차 놀이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형의 자동차를 절첩되는 외부구조와 내부구조로 구분토록 하고, 상기 외부구조는 자동차의 엔진이 수용되는 전면부가 2단의 절첩에 의하여 바닥면과 밀착되게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의하여 전면유리창의 하단에 끼임되어진 후 자동차의 좌우측면부는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의하여 절첩되어지고, 후면부는 자동차의 몸통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후방으로 빠져나오고 절첩에 의하여 180도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몸통부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빠져나온 후면부는 내부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구조에는 상승하강되면서 높낮이가 변형되어지는 레일을 형성하고, 또 다른 레일은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차가 수직으로 떨어지면서 전방으로 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외부구조를 형성하는 좌우 측면부의 어느 하나에는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슈팅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토록 하고, 또 다른 하나에는 다양한 주차시설을 구비가능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소형의 자동차를 가지고 대형의 완구자동차처럼 동일한 놀이가 가능토록 할 수 있어 판매나 놀이시에 편의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고, 놀이자에게 또 다른 취미감을 부여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외부구조가 절첩되어지는 상태의 일 실시 예.
도2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가 노출될 수 있도록 후면부가 자동차의 몸통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상태의 일 실시 예.
도3은 본 발명의 내부구조의 레일의 작동상태의 일 실시 예
도4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의 또 다른 레일의 작동상태의 일 실시 예
도5는 도2의 몸통부에서 후면부가 후방으로 빠질 경우에 더 이상 빠짐을 단속토록 하는 수단을 나타낸 일 실시 예
도6은 도2의 몸통부에서 후면부가 후방으로 빠진 이후에도 상측으로 들어올려짐이 방지되어진 수단을 나타낸 일 실시 예
도7은 본 발명의 후면부가 절첩되어지는 상태의 일 실시 예
도8은 본 발명의 후면부에서 연장되는 레일이 노출되는 상태의 일 실시 예
도9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의 레일이 상하로 승강되어지는 일 실시 예
도10은 본 발명의 내부구조의 또 다른 레일이 버튼의 조작으로 하방으로 떨어지는 상태의 일 실시 예
도11은 본 발명의 좌우측면부의 어느하나의 측면부에 자동차의 슈팅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12는 본 발명의 전면부가 다단으로 절첩되면서 전면창의 하단에 조립되는 일 실시 예
도13과 도14는 본 발명의 전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또 다른 레일의 작동을 나타낸 일 실시 예
도15는 본 발명의 좌우측면부가 절첩될 경우에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가능토록 고정되는 수단을 예시한 일 실시 예
도16은 본 발명의 측면부에 주차놀이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17은 본 발명의 레일놀이시에 소형자동차가 몸통부의 내공간으로 내입될 경우에 꺼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 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형의 자동차가 절첩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의하여 자동차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외부구조(100)와 상기 외부구조(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되면서 대형의 자동차로 변환되면서 노출되어 다양한 주행놀이를 할 수 있는 내부구조(200)로 구분토록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외부구조(100)는 자동차의 엔진이 수용되는 전면부(110)가 2단의 절첩에 의하여 바닥면(160)과 밀착되게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의하여 상단부(120)의 전면창(121) 하단에 끼임되어 고정되고, 그 후 자동차의 좌우 측면부(130,140)는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의하여 절첩되어지고, 후면부(150)는 자동차의 내부구조(200)의 몸통부(210)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되면서 후방으로 빠져나오고 절첩에 의하여 180도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몸통부(210)와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빠져나온 후면부(150)는 내부구조(200)의 슬라이드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220)에는 승강되면서 높낮이가 변형되어지는 승강축(230)과 상기 승강축(230)의 상단에 장착되는 수평레일(231)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레일(231)의 양단으로는 각각 승강축(230)의 승강에 따라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첩되어지는 경사레일(232,233)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레일(232,233)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각각 지지레일(240,151)이 연결되어져 별도로 구성되는 미니자동차완구(300)를 수평레일(23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단에 위치된 경사레일(232,233)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연결되는 지지레일(240,151)에 의하여 미니자동차완구(300)의 점프나 주행놀이가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축(230)의 측방에는 또 다른 레일이 구비되고, 이러한 또 다른 레일은 하강버튼(251)의 조작에 의하여 하방으로 낙하되면서 전방으로만 미니자동차완구(300)를 슈팅 할 수 있는 하강레일(250)과 하강된 상태에서의 하강레일(250)의 전방으로는 또 다른 지지레일(260)이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강레일(250)은 각각의 절첩점(252)에서 회동되는 두 개의 지지대(253)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지지대(253) 중 후방에 위치된 지지대(253)에는 상단바(254)의 조작으로 하강된 하강레일(250)이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상태에서는 락킹요소(255)에 의하여 락킹되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고, 상기 하강버튼(251)의 조작에 의하여 락킹 상태가 해제되면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부(220)에는 하강레일(250)의 후방에 위치된 지지대(253)의 절첩점(252)에는 회동공간(223)에 의해 90도 반경으로만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하강레일(250)이 락킹된 수평상태에서 지지대(253)가 회동공간(223)에 의해 90도 반경으로 회동되면서 발생되는 반동으로 인하여 하강레일(250)에 놓여진 미니자동차완구(300)가 튕겨나가게 되면서 또 다른 지지레일(260)을 통해 전방으로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통부(210)는 외부구조(100)를 형성하는 자동차의 전면창(121) 및 측면창(122)을 형성하는 상단부(120)가 연결되고, 상단부(120)의 하단 좌우 양측으로 측벽(211)에 의하여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후방에서 슬라이드부(220)가 슬라이드되어 이동되어지고, 전방에는 경사레일(232) 또는 하강레일(250)을 통해서 하강되어지는 미니자동차완구(300)가 몸통부(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레일(240,260)에 의해 전방으로 점핑되거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단부(120)의 상면에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연결되면서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램프와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220)는 전후 이동시 유격이 발생되지 않토록 하단 좌우 양측에 레일수단(221)이 형성되어 바닥면(160)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드레일(161)에 전후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바닥면(160)의 저면으로 슬라이드부(220)의 분리를 방지하는 조립체(170)가 조립되어 상기 지지레일(240,260)이 형성된 몸통부(210)의 내측으로 출입되어짐으로 유동 가능한 유격을 제거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220)가 전후로 슬라이드 될 경우에는 후방으로 빠짐 방지를 위하여 조립체(170)에 형성되는 후방스토퍼(171)와 전방으로 진입단속을 위하여 슬라이드레일(161)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스토퍼(162)가 각각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220)가 전방스토퍼(162) 및 후방스토퍼(171)의 사이에서 전후로 정확하게 슬라이드되어 안정적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220) 내측 공간으로 미니자동차완구(300)를 보관할 수 있고 이를 꺼내거나 놀이중에 실수에 의하여 미니자동차완구(300)가 들어간 상태에서 꺼냄을 위하여 슬라이드부(22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절첩에 의해 개폐되는 절첩도어(222)가 구비하여 유아나 어린이가 손쉽게 꺼내도록 한 것이다.
또한 외부구조(100)를 형성하는 좌우 측면부(130,140)는 바닥면(160)과 평행이 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노출되는 내측면이 평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면부(130,140)의 어느 하나에는 발사버튼(142)의 조작에 의하여 탄지된 상태에서 슈팅이 가능한 슈팅수단(143)을 구비토록 하여 미니자동차완구(300)를 슈팅수단(143)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사버튼(142)을 누르면 슈팅수단(143)이 발사탄력에 의해 미니자동차완구(300)를 먼 거리로 슈팅시키게 되고, 상기 몸통부(210)의 측면에는 내입된 상태에서 절첩에 의해 측면부(140)상에 위치되어 슈팅되는 미니자동차완구(300)가 결승점을 통과하는 피니쉬부(212)가 구비되어 또 다른 재미를 부여토록 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에는 미니자동차완구(300)가 주차되거나 헬기가 착륙하는 주차 또는 착륙공간으로 사용되거나 다양한 주차시설을 구비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좌우 측면부(130,140)에는 소형의 자동차 형상인 외부구조(100)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구비되어 유아나 어린이가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주행놀이를 할 수 있게 되어 재미와 흥미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2단으로 절첩되는 전면부 중에 바닥면(160)과 연결되어 절첩되는 내측 전면부(110a)에는 하강레일(250)을 통해서 몸통부(210)의 또 다른 지지레일(260)에 의해 주행이 이루어지는 미니자동차완구(300)를 직진이나 측면으로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축회전되는 방향전환바(111)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전면부(110a)와 외측 전면부(110b)에는 상기 방향전환바(111)에 의하여 직진 또는 곡선으로 주행되는 미니자동차완구(300)의 주행을 보조하는 각각의 보조레일(1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측 전면부(110a)에는 외측 전면부(110b)와 절첩되면서 외측 전면부(110b)의 내측으로 내입된 상태에서 당김에 의해 길이가 연장되는 연장레일(113)이 더 형성되어 레일의 길이를 더 길게 연장하게 되어 길어진 주행놀이를 제공하게 되면서 초대형의 자동차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면부(150)에는 슬라이드부(220)에서 승강축(230)에 의해 승강되는 수평레일(23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레일(233)과 연결되는 지지레일(151)의 내측에서 수용된 상태에서 인출되면서 지면에 놓여지는 인출레일(152)을 구비하여 미니자동차완구(300)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부(150)는 인출레일(152)이 인출되지 않고 180도로 절첩된 상태에서는 지면에 이격되면서 지지레일(151)이 급경사로 놓여지게 되어 미니자동차완구(300)의 하강에 의한 급가속으로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고, 후면부(150)에서 인출레일(152)이 인출되어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후면부(150)의 절첩되는 각도가 완만하게 되면서 지지레일(151)이 완만한 경사로 놓여지게 되어 미니자동차완구(300)의 주행속도가 급가속 주행보다 느린 속도로 주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우의 측면부(130,140)는 절첩되어 몸통부(210)에 닫혀진 상태에서 임의적인 펼쳐짐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부(120)의 전면창에 끼임되어 고정되는 전면부(121)와 몸통부(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220)에 절첩되어 맞물려지는 후면부(150)의 좌우 양측면에 결합홈(114,153)을 형성하고, 측면부(130,140)에는 결합홈(114,153)에 서로 맞물림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131,141)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소형의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구조(100)로 조립된 상태에서 전면부(110)와 후면부(150)와 양 측면부(130,140)가 절첩에 의해 임의적인 펼쳐짐을 방지하여 조립된 상태의 소형의 자동차로 이루어진 외부구조(100)로 주행완구의 놀이가 가능하게 되고, 소형의 자동차의 외부구조(100)에서 대형의 자동차로 변형되면서 다양한 주행놀이가 가능한 내부구조(200)로 사용되는 것이다.
100: 외부구조
110: 전면부 120: 상단부
130,140: 측면부 150: 후면부
151: 지지레일 160: 바닥면
170: 조립체
200: 내부구조
210: 몸통부 220: 슬라이드부
230: 승강축 240: 지지레일
250: 하강레일 260: 또 다른 지지레일

Claims (13)

  1. 소형의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구조(100);
    상기 외부구조(100)에서 절첩에 의하여 대형의 자동차로 변형되면서 미니자동차완구(300)의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내부구조(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구조(100)는 내부구조(200)로 변형을 위하여,
    상단부(120)가 형성된 몸통부(210)를 중심으로 절첩에 의하여 바닥면(160)과 수평이 되게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태에서 상단부(120)의 전면창(121)에 결합되는 전면부(110)와,
    절첩에 의하여 바닥면(160)과 수평이 되게 펼쳐지는 좌우 측면부(130,140)와,
    상기 몸통부(210)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절첩에 의하여 길이가 연장되어 펼쳐지게 되는 후면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10)에는 후면부(150)와 연결되어 슬라이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슬라이드부(220)와 상기 슬라이드부(220)에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50)로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사레일(232,233)과 전방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는 하강레일(250)로 구분된 2개의 주행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레일(232,233)은 슬라이드부(220)에 승강되면서 높낮이가 변형되는 승강축(230)과 상기 승강축(230)의 상단에 장착되는 수평레일(231)의 양 단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축(230)의 상승에 의해 경사레일(232,233)이 양단으로 경사지게 절첩되어 전면부(110)와 후면부(150)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레일(250)은 슬라이드부(220)와 각각의 절첩점(252)에서 회동되는 두 개의 지지대(253)와 연결되고, 후방에 위치된 지지대(253)의 상단바(254)의 조작으로 하강된 하강레일(250)을 상승토록 하면서 상승된 하강레일(250)을 락킹요소(255)에 의해 락킹시켜 상승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락킹요소(255)를 하강버튼(251)의 조작에 의해 락킹을 해제시켜 하강되는 반동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10) 내측에는 경사레일(232)과 연결되어 점핑을 위한 지지레일(240)과 하강레일(250)과 연결되어 전면부(120)로 직진주행을 위한 또 다른 지지레일(2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10)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220)의 하단 좌우 양측에 레일수단(221)이 형성되고, 바닥면(160)에는 복수의 슬라이드레일(161)이 형성되어 슬라이드부(220)의 레일수단(221)이 끼워져 안착된 상태에서 분리를 방지하는 조립체(170)가 조립되어 슬라이드부(220)가 몸통부(210)의 내측으로 출입되는 슬라이드부(220)의 유격을 제거하여 출입이 용이하게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20)가 전후로 슬라이드 작동시에 슬라이드레일(161)의 전방에는 진입을 단속하는 전방스토퍼(162)와 후방으로 빠짐을 방지하도록 조립체(170)에 후방스토퍼(17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2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들어간 주행놀이를 위한 미니자동차완구(300)의 꺼냄을 위하여 절첩에 의해 개폐되는 절첩도어(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되는 일측 측면부(130)에는 주차시설이 구비되는 주차놀이 공간으로 사용되고, 절첩되는 타측 측면부(140)에는 발사버튼(142)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슈팅되는 슈팅수단(143)이 구비되어 슈팅놀이 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0)는 2단으로 절첩되는 내측 전면부(110a)와 외측 전면부(110b)로 구분되고, 내측 전면부(110a)에는 미니자동차완구(300)를 직진이나 측면으로 방향전환을 위하여 축회전되는 방향전환바(111)가 구비되고, 상기 방향 전환바(111)에 의해 직진이나 측면으로 방향 전환된 미니자동차완구(300)를 안내하도록 내측 전면부(110a)와 외측 전면부(110b)에 각각의 보조레일(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전면부(110a)에는 외측 전면부(110b)와 절첩되면서 외측 전면부(110b)의 내측에 내입되어 당김에 의해 돌출되어 레일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레일(11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150)의 내측에는 후면판(150)의 절첩되는 각도를 급경사 또는 완만한 경사로 조절하는 인출레일(15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0)와 후면부(150)의 좌우 양측면에는 결합홈(114,153)을 형성하고 양 측면부(130,140)에는 상기 결합홈(114,153)에 서로 맞물림되어 끼워지는 결합돌기(131,141)가 형성되어 절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펼쳐짐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KR1020180130010A 2018-10-29 2018-10-29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KR10216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10A KR102166678B1 (ko) 2018-10-29 2018-10-29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10A KR102166678B1 (ko) 2018-10-29 2018-10-29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03A true KR20200048203A (ko) 2020-05-08
KR102166678B1 KR102166678B1 (ko) 2020-10-19

Family

ID=7067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010A KR102166678B1 (ko) 2018-10-29 2018-10-29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7999A (en) * 1983-03-10 1984-10-23 Kabushiki Kaisha Bandai Transformable toy vehicle
US4516948A (en) * 1983-09-22 1985-05-14 Takara Co., Ltd. Reconfigurable toy assembly
US20110217901A1 (en) * 2007-06-02 2011-09-08 Payne Julian R Pop-up Play Set
JP2013126500A (ja) * 2011-12-19 2013-06-27 Aidesu Kk 乗用玩具
JP3184412U (ja) * 2013-04-15 2013-06-2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玩具用通路切換装置
CN206334341U (zh) * 2016-11-07 2017-07-18 广州市三宝玩具有限公司 一种可变形玩具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412B2 (ja) * 1994-11-07 2001-07-09 キヤノンアプテ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7999A (en) * 1983-03-10 1984-10-23 Kabushiki Kaisha Bandai Transformable toy vehicle
US4516948A (en) * 1983-09-22 1985-05-14 Takara Co., Ltd. Reconfigurable toy assembly
US20110217901A1 (en) * 2007-06-02 2011-09-08 Payne Julian R Pop-up Play Set
JP2013126500A (ja) * 2011-12-19 2013-06-27 Aidesu Kk 乗用玩具
JP3184412U (ja) * 2013-04-15 2013-06-2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玩具用通路切換装置
CN206334341U (zh) * 2016-11-07 2017-07-18 广州市三宝玩具有限公司 一种可变形玩具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78B1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504A (en) Container and start apparatus for toy cars
US8568191B2 (en) Spinning toy vehicle and game
US8876573B2 (en) Toy
US6913508B2 (en) Race car and track
CN108463276B (zh) 配备发射装置的变形玩具
US5145446A (en) Retractable toy sword with video and sound effect
ES2247065T3 (es) Circuito para vehiculos de juguete que tiene intersecciones multiples.
EP0332407A1 (en) Toy unit
US11325050B2 (en) Reconfigurable toy vehicle launcher
US20140051325A1 (en) Toy system having two play structures and a figurine
US8790152B2 (en) Ramp for a ride-on toy
CN111450550A (zh) 变形发射器
KR20200048203A (ko) 변형에 의해 다양한 주행놀이가 노출되는 완구자동차
CN111921207B (zh) 一种跳跃式变形玩具车加速用弹射装置
KR102091321B1 (ko) 액션완구
US11498012B2 (en) Transformable toy vehicle hauler
CN212467142U (zh) 变形弹射玩具
US2672709A (en) Toy vehicle lift
KR200495583Y1 (ko) 쌓기놀이가 가능한 자동차 완구
US20210379481A1 (en) Toy vehicle playset kit and collision game
JP2002011239A (ja) メダルプッシャゲーム装置
US7037171B2 (en) Entertainment device
CN210044853U (zh) 可变形玩具车
KR101826901B1 (ko) 완구용 차량
CN219897031U (zh) 一种可变换形态和可发射的收纳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