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126A - 웨이브 퍼머장치 - Google Patents

웨이브 퍼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126A
KR20200048126A KR1020180129857A KR20180129857A KR20200048126A KR 20200048126 A KR20200048126 A KR 20200048126A KR 1020180129857 A KR1020180129857 A KR 1020180129857A KR 20180129857 A KR20180129857 A KR 20180129857A KR 20200048126 A KR20200048126 A KR 2020004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hair
fixed
ban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도
Original Assignee
양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도 filed Critical 양희도
Priority to KR102018012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126A/ko
Publication of KR2020004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 A45D2/18Flexible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 A45D2/20Elastic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2006/005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머리카락을 웨이브 형태로 파마할 경우 웨이브 굵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웨이브 퍼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 퍼머장치는
양단에 고정밴드가 고정되고, 겹쳐지는 한 쌍의 플렉시블한 판 형태의 웨이브 패널;
상기 고정밴드 중 일측 고정밴드에 당김줄 일단을 고정하고 타측 고정밴드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상기 당김줄의 타단을 고정하되, 상기 당김줄은 상기 웨이브 패널의 가장자리에 시침질형태로 형성됨;
바닥면에 연장형성되는 고정바에 의해 상기 웨이브 패널의 외측면을 가로질러 교호적으로 고정되는 웨이브 링;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머리카락 수용부와 상기 머리카락 수용부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으로 이루어지는 당김바, 상기 머리카락 수용부에 머리카락이 끼워진 상기 당김바를 상기 웨이브 패널을 통과시킴에 따라 상기 웨이브 패널 사이에 머리카락을 펼쳐 끼워주게 됨;
상기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밴드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는 당김줄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관통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가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퍼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이브 퍼머장치{wave perm device}
본 명세서는 퍼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머리카락을 웨이브 형태로 파마할 경우 웨이브 굵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웨이브 퍼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퍼머롯드(1)를 이용하여 퍼머할 경우, 원통형의 퍼머롯드(1)와 퍼머롯드(1)를 쒸우는 롯드커버(2)를 이용하여 머리카락(3)을 말아준 후, 퍼머약을 바르고 임의시간이 경과되도록 함에 따라 퍼머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머리카락을 말아주는 형태로 퍼머를 연출하게 되므로 퍼머 표현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웨이브 굵기가 한정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굵기의 웨이브를 성형할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굵기의 웨이브를 주지 못함에 따라 정해진 느낌 이외의 색다른 느낌으로 인한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824호에 "웨이브 퍼머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굵기의 웨이브를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웨이브 퍼머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퍼머에 전문적 지식 또는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도 쉽게 머리카락을 웨이브 형태로 퍼머할 수 있도록 한, 웨이브 퍼머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단에 고정밴드가 고정되고, 겹쳐지는 한 쌍의 플렉시블한 판 형태의 웨이브 패널;
상기 고정밴드 중 일측 고정밴드에 당김줄 일단을 고정하고 타측 고정밴드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상기 당김줄의 타단을 고정하되, 상기 당김줄은 상기 웨이브 패널의 가장자리에 시침질형태로 형성됨;
바닥면에 연장형성되는 고정바에 의해 상기 웨이브 패널의 외측면을 가로질러 교호적으로 고정되는 웨이브 링;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머리카락 수용부와 상기 머리카락 수용부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으로 이루어지는 당김바, 상기 머리카락 수용부에 머리카락이 끼워진 상기 당김바를 상기 웨이브 패널을 통과시킴에 따라 상기 웨이브 패널 사이에 머리카락을 펼쳐 끼워주게 됨;
상기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밴드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는 당김줄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관통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가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퍼머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사용자가 웨이브 패널에 형성되는 주름부 간격을 쉽게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다양한 굵기의 웨이브를 쉽게 조절하여 개성 있는 아름다운 퍼머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퍼머에 전문적 지식 또는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도 머리카락을 웨이브 형태로 퍼머할 경우, 퍼머액이 도포된 머리카락이 내부에 끼워진 웨이브 패널에 주름부를 형성하기 위해 당김줄을 잡아당길 경우 퍼머장치가 머리카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어 편의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퍼머롯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 퍼머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웨이브 퍼머장치에서, 웨이브 패널에 당김바를 집어넣은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웨이브 퍼머장치에서, 웨이브 굵기가 크게 형성되도록 웨이브 패널을 느슨한 상태로 당긴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웨이브 퍼머장치에서, 웨이브 굵기가 작게 형성되도록 웨이브 패널을 타이트하게 상긴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웨이브 퍼머장치에서, 고정밴드의 요부발췌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웨이브 퍼머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웨이브 퍼머장치에서, 당김바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 퍼머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 퍼머장치는
양단에 고정밴드(10,11)(12,13)가 고정되고, 겹쳐지는 한 쌍의 플렉시블한 판 형태의 웨이브 패널(14,15)(일 예로서, 연성의 고무재, 우레탄재, 실리콘재, 합성수지재로 형성됨);
고정밴드(10,11)(12,13)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내설되고, 고정밴드(10,11)(12,13)를 탈착시키기 위한 자성체(16);
고정밴드(10,11)(12,13) 중 일측 고정밴드(13)에 당김줄(17) 일단을 고정하고 타측 고정밴드(10)에 형성되는 스토퍼(18)에 당김줄(17)의 타단을 고정하되, 당김줄(17)은 웨이브 패널(14,15)의 가장자리에 시침질형태로 형성됨;
바닥면에 연장형성되는 고정바(19)에 의해 웨이브 패널(14,15)의 외측면을 가로질러 교호적으로 고정되며, 퍼머되는 머리카락이 웨이브 형태를 유지하도록 당김줄(17)을 당길 경우 웨이브 패널(14,15)에 주름부(3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게 되는 웨이브 링(20)(또는 웨이브 링(20)은 웨이브 패널(14,15)에 접착제(미 도시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머리카락 수용부(21)와, 머리카락 수용부(21)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22)으로 이루어지는 당김바(23), 머리카락 수용부(21)에 머리카락이 끼워진 당김바(23)를 웨이브 패널(14,15)을 통과시킴에 따라 웨이브 패널(14,15) 사이에 머리카락을 펼쳐 끼워주게 됨;
스토퍼(18)가 형성된 고정밴드(10)에 형성되고, 스토퍼(18)를 통과하는 당김줄(17)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관통공(24)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가이더(25);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웨이브 패널(14,15)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밴드(10,11)(12,13)의 밀착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당김바(23)의 손잡이부(22)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홈(26);을 더 구비한다.
고정밴드(10,11)(12,13) 중 어느 고정밴드(11,12) 양단에 대향되게 연장형성되고 슬롯(27)(slot)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날개형 연장편(28);
고정밴드(10,11)(12,13) 중 어느 고정밴드(10,13) 양단에 돌출되어 슬롯(27)을 따라 이동되고, 탈착되는 고정밴드(10,12)(11,13)가 임의간격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29);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 퍼머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겹쳐지는 웨이브 패널(14,15) 사이에 끼워지는 머리카락을 웨이브 형태로 퍼머할 수 있도록 머리카락에 임의의 퍼머액을 도포하고, 머리카락이 닿지 않게 웨이브 패널(14,15) 외측으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발열시트(미도시됨)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머리카락을 임의온도로 가열함에 따라 웨이브 형태로 퍼머를 성형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웨이브 패널(14,15)을 전개시키되, 퍼머액이 도포된 머리카락 일부를 당김바(23)의 머리카락 수용부(21)에 끼운 상태에서, 당김바(23)의 손잡이부(22)를 고정밴드(10,12) 사이에 집어 넣어 웨이브 패널(14,15)을 통과시킨다. 즉 당김바(23)의 머리카락 수용부(21) 및 손잡이부(22)가 웨이브 패널(14,15) 외측으로 노출되게 집어넣는다.
전술한 손잡이부(22)를 고정밴드(10,12) 사이에 집어 넣을 경우, 고정밴드(10,12)에 내설된 자성체(16)에 의해 고정밴드(10,12)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밴드(10)에 형성된 날개형 연장편(28)의 슬롯(27)과, 슬롯(27)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고정밴드(12) 양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돌기(29)에 의해 고정밴드(10,12)가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밴드(11,13)는 탈착되도록 자성체(16)가 내설되고, 슬롯(27) 및 슬라이딩돌기(29)에 의해 고정밴드(11,13)가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내용은, 전술한 고정밴드(10,1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자성체(16)는 고정밴드(10,12) 모두에 다른 극성을 유지하도록 배치하거나, 어느 고정밴드(10)에 자성체(16)를 설치하고 다른 고정밴드(12)에 금속체(미 도시됨)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 손으로 고정밴드(10)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당김바(23)의 손잡이부(22)를 파지하여 당김바(23)를 웨이브 패널(14,15)로부터 인출할 경우 머리카락이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웨이브 패널(14,15) 내부에 끼워지게 된다.
전술한 당김바(23)를 웨이브 패널(14,15)을 통과시킬 경우, 머리카락 수용부(21) 내측면에 형성된 빗(21a)에 의해 퍼머액이 도포된 머리카락을 곱게 빗으면서 웨이브 패널(14,15)로부터 빠져 나가게 되므로 웨이브 패널(14,15) 내부에서 머리카락이 뭉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밴드(10,12)(11,13)는 자성체(16)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퍼머액이 도포된 머리카락은 웨이브 패널(14,15) 사이에 끼워진 형태를 유지하고,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한 손으로 스토퍼(18)를 가압하여 당김줄(17)의 로킹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당김줄(17)을 잡아당길 경우, 당김줄(17)이 웨이브 패널(14,15)의 가장자리에 시침질형태로 형성되고, 웨이브 패널(14,15) 외측면에 교호적으로 고정된 웨이브 링(20)에 의해 웨이브 패널(14,15)에 주름부(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18)가 형성된 고정밴드(10) 상면에 형성된 가이더(25)에 의해 당김줄(17)을 수직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즉, 퍼머액이 도포된 머리카락이 내부에 끼워진 웨이브 패널(14,15)에 주름부(30)를 형성하기 위해 당김줄(17)을 잡아 당길 경우, 스토퍼(18)를 통과하는 당김줄(17)을 가이더(25)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24)을 통과시켜 수직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로 인해, 한 손으로 머리측에 위치한 고정밴드(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당김줄(17)을 안정된 자세로 수직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머리측 머리카락으로부터 퍼머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종래의 퍼머장치에서는 퍼머액이 도포된 머리카락이 내부에 끼워진 웨이브 패널(14,15)에 주름부(30)를 형성하기 위해 당김줄(17)을 잡아 당길 경우, 한 손으로 머리카락의 끝단부측에 위치한 고정밴드(11,13)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당김줄을 잡아 당기게 된다.
즉, 웨이브 패널(14,15)에 주름부(30)를 형성하기 위해 당김줄(17)을 잡아 당길 경우, 머리측의 머리카락에 고정된 고정밴드(10,12)로부터 손을 이탈시켜야 되므로 머리측 머리카락으로부터 고정밴드(10,12)가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웨이브 패널(14,15)에 주름부(30)를 성형한 후 스토퍼(18)를 가압한 외력을 제거할 경우, 스토퍼(18)에 의한 당김줄(17)이 로킹상태로 전환되므로 웨이브 패널(14,15)에 형성된 주름부(30)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스토퍼(18)를 가압시 로킹상태가 해제되므로 당김줄(17)을 자유롭게 잡아당김에 따라 웨이브 패널(14,15)에 주름부(30)를 형성할 수 있고, 스토퍼(18)를 가압한 외력을 제거함에 따라 스토퍼(18)에 의한 당김줄(17)의 로킹상태가 전환되므로 웨이브 패널(14,15)에 형성된 주름부(30)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양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당김줄(17)이 웨이브 패널(14,15)의 가장자리에 시침질형태로 지지됨에 따라 당김줄(17)을 잡아당길 경우 웨이브 패널(14,15)에 주름부(30)를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당김줄(17)을 잡아당기는 정도에 따라 퍼머되는 머리카락의 웨이브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줄(17)을 작은 힘으로 잡아 당길 경우(일 예로서, 이웃한 주름부(30)의 외측면이 임의간격을 유지한 경우를 말함) 주름부(30) 간격이 넓게 형성되므로 퍼머되는 머리카락의 웨이브 굵기를 크게 성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줄(17)을 큰 힘으로 잡아 당길 경우(일 예로서, 이웃한 주름부(30)의 외측면이 밀착된 경우를 말함) 주름부(30) 간격이 좁게 되므로 퍼머되는 머리카락의 웨이브 굵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크기로 주름부(30)를 형성한 웨이브 패널(14,15) 외측으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발열시트(미 도시됨)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머리카락을 임의굵기의 웨이브를 성형하도록 퍼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퍼머액이 머리카락에 도포된 후 겹쳐진 웨이브 패널(14,15)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시간동안 발열시트에 의해 웨이브 형태의 퍼머가 성형될 경우, 한 손으로 스토퍼(18)를 가압할 경우 로킹상태가 해제되므로 다른 손으로 고정밴드(11,13)를 파지하여 당김줄(17)을 잡아당김에 따라 웨이브 페널(14,15)을 전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웨이브 패널(14,15)에 형성된 주름부(30) 형태로 물결 모양과 같은 웨이브가 퍼머된 머리카락을 웨이브 패널(14,15)로부터 뻬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 퍼머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웨이브 패널에 형성되는 주름부 간격을 당김줄을 잡아당기는 정도에 따라 조절함에 따라 퍼머시 웨이브 굵기를 쉽게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로 퍼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퍼머에 전문적 지식 또는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도 퍼머액이 도포된 머리카락이 내부에 끼워진 웨이브 패널에 웨이브 성형용 주름부를 형성하기 위해 당김줄을 잡아당길 경우, 고정밴드에 형성된 가이드에 의해 당김줄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퍼머장치가 머리카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1,12,13; 고정밴드
14,15; 웨이브 패널
16; 자성체
17; 당김줄
18; 스토퍼
19; 고정바
20; 웨이브 링
21; 머리카락 수용부
22; 손잡이부
23; 당김바
24; 관통공
25; 가이더
26; 가이드홈
27; 슬롯
28; 날개형 연장편
29; 슬라이딩돌기

Claims (4)

  1. 양단에 고정밴드가 고정되고, 겹쳐지는 한 쌍의 플렉시블한 판 형태의 웨이브 패널;
    상기 고정밴드 중 일측 고정밴드에 당김줄 일단을 고정하고 타측 고정밴드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상기 당김줄의 타단을 고정하되, 상기 당김줄은 상기 웨이브 패널의 가장자리에 시침질형태로 형성됨;
    바닥면에 연장형성되는 고정바에 의해 상기 웨이브 패널의 외측면을 가로질러 교호적으로 고정되는 웨이브 링;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머리카락 수용부와 상기 머리카락 수용부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으로 이루어지는 당김바, 상기 머리카락 수용부에 머리카락이 끼워진 상기 당김바를 상기 웨이브 패널을 통과시킴에 따라 상기 웨이브 패널 사이에 머리카락을 펼쳐 끼워주게 됨;
    상기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밴드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는 당김줄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관통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가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퍼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패널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밴드의 밀착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퍼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 중 어느 고정밴드 양단에 대향되게 연장형성되고, 슬롯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날개형 연장편;
    상기 고정밴드 중 어느 고정밴드 양단에 돌출되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되고, 탈착되는 상기 고정밴드가 임의간격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퍼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내설되고, 상기 고정밴드를 탈착시키기 위한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퍼머장치.
KR1020180129857A 2018-10-29 2018-10-29 웨이브 퍼머장치 KR20200048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57A KR20200048126A (ko) 2018-10-29 2018-10-29 웨이브 퍼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57A KR20200048126A (ko) 2018-10-29 2018-10-29 웨이브 퍼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26A true KR20200048126A (ko) 2020-05-08

Family

ID=7067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857A KR20200048126A (ko) 2018-10-29 2018-10-29 웨이브 퍼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1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599B2 (en) Hairstyling apparatus and kit
US3232300A (en) Adjustable hair roller
US5813419A (en) Hair curler
KR101606908B1 (ko) 웨이브 퍼머장치
JP2007098064A (ja) 毛髪をカールにしたり、ウェーブにしたり、癖毛や縮れ毛やタメージ毛やハイダメージ毛やカール毛を真直にする方法とその器具
KR20200048126A (ko) 웨이브 퍼머장치
KR100910102B1 (ko) 헤어 아이론
KR101750012B1 (ko) 모발 관리용 헤어클립
KR101518424B1 (ko) 웨이브 퍼머장치
US20190183223A1 (en) Hair Straightening Device
KR101903908B1 (ko) 직경 가변형 헤어롤 조립체
US4901741A (en) Hair waving device
KR200456033Y1 (ko) 퍼머용 집게
JP2007319517A (ja) ヘアカーラー
US1701270A (en) Hair waver
KR101721367B1 (ko) 헤어볼륨과 웨이브를 동시 성형하는 원터치식 퍼머넌트 기구
US2466976A (en) Hair curler
US1511743A (en) Hair curler
KR102130836B1 (ko) 퍼머장치의 웨이브 패널
KR102090330B1 (ko) 헤어 스타일링 기구
KR20190000525A (ko) 모발 두피부 볼륨용 퍼머넌트 웨이브 기구
KR101050921B1 (ko) 헤어 컬링기
JP6277574B1 (ja) 毛髪矯正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毛髪矯正方法
US731763A (en) Hair-waver.
US2323254A (en) Hair cur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