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913A -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913A
KR20200047913A KR1020180128935A KR20180128935A KR20200047913A KR 20200047913 A KR20200047913 A KR 20200047913A KR 1020180128935 A KR1020180128935 A KR 1020180128935A KR 20180128935 A KR20180128935 A KR 20180128935A KR 20200047913 A KR20200047913 A KR 2020004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formation
product
creator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8012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7913A/ko
Publication of KR2020004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따르면,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P(P≥2)개의 상품에 대한 P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상품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와, 상품을 판매하는 M(M≥1)개의 판매자가 이용하는 M개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M개의 판매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판매자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와, 동영상을 창작하는 C(C≥1)개의 창작자가 이용하는 C개의 창작자 단말로부터 C개의 창작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창작자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 중 제j(1≤j≤M)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상기 상품D/B에 등록된 P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할 pj(1≤pj≤P)개의 상품정보를 선택받아 상기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와 상기 선택된 pj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pj개의 상품 중 지정된 상품을 지정된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에 증강하기 위한 AR(Augmented Reality)데이터를 등록받아 제i 상품정보와 연계시켜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고, 상기 등록된 C개의 창작자 중 판매자 선택을 요청한 제k(1≤k≤C)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로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적어도 m(1≤m≤M)개의 판매자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상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제j 판매자정보를 운영D/B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pj개의 상품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사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고, 상기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제ki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창작되어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제ki 동영상에 대한 제ki 동영상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정보를 상기 제ki 동영상의 창작에 이용된 제i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와 상기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제j 판매자정보 및 상기 제ki 동영상을 창작한 제k 창작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Method for Registering Video about Selected Goods by Using Augment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영사에서 지정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등록하고, 창작자가 동영상을 창작할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를 선택하면, 상기 창작자에게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한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가 AR데이터를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해 창작한 동영상을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1인 미디어 커머스 시장이 형성되면서, 크리에이터(Creator)라는 직업군이 탄생하게 되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매니지먼트 회사도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판매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단순히 글이나 사진 등으로 확인하는 것보다 더 실제와 가깝게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구매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선행특허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840호(2011년 01월 27일 공개)는 온라인 동영상 쇼핑몰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품정보를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구축함에 있어서, 쇼핑몰 운영자가 직접 상품 정보 동영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위의 선행특허는 운영자가 상품관련 동영상을 제작하여 등록하는 것으로, 실제 다수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동영상 제작이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활성화되는 미디어 커머스 시장에서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보다 효과적이면 전문적으로 만들고, 이를 상품 판매와 연계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영사에서 지정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등록하고, 창작자가 동영상을 창작할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를 선택하면, 상기 창작자에게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한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가 AR데이터를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해 창작한 동영상을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은,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P(P≥2)개의 상품에 대한 P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상품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와, 상품을 판매하는 M(M≥1)개의 판매자가 이용하는 M개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M개의 판매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판매자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와, 동영상을 창작하는 C(C≥1)개의 창작자가 이용하는 C개의 창작자 단말로부터 C개의 창작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창작자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 중 제j(1≤j≤M)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상기 상품D/B에 등록된 P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할 pj(1≤pj≤P)개의 상품정보를 선택받아 상기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와 상기 선택된 pj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연계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pj개의 상품 중 지정된 상품을 지정된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에 증강하기 위한 AR(Augmented Reality)데이터를 등록받아 제i 상품정보와 연계시켜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등록된 C개의 창작자 중 판매자 선택을 요청한 제k(1≤k≤C)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로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적어도 m(1≤m≤M)개의 판매자정보를 제공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상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제j 판매자정보를 운영D/B에 연계 저장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pj개의 상품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사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제ki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창작되어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제ki 동영상에 대한 제ki 동영상정보를 확인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정보를 상기 제ki 동영상의 창작에 이용된 제i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와 상기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제j 판매자정보 및 상기 제ki 동영상을 창작한 제k 창작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AR데이터는,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지정된 상품의 실제 착용 상태와 동등하게 증강하기 위해 상기 제i 상품을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AR데이터는, 지정된 상품의 착용 시점 기하학 구조와 동등한 기하학 구조의 폴리곤(Polygon)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AR데이터는, 지정된 상품의 착용 시점 색상, 질감, 광투명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AR데이터는, 지정된 상품을 착용할 지정된 신체 부위와 상기 상품을 지정된 신체 부위에 착용 가능하게 가상화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매칭정보, 상기 상품을 착용할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 중 상기 상품을 착용할 지정된 신체 부위를 인식하기 위한 패턴이나 특징점을 포함하는 인식정보, 상기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을 통해 노출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인식하기 위한 패턴이나 특징점을 포함하는 인식정보, 상기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을 통해 노출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과 상기 가상객체 데이터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매칭하는 매칭정보 중 하나 이사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등록된 창작자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창작자가 지정된 동영상을 창작하여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하는 창작 활동과 관련된 창작자 별 활동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창작자 별 활동정보와 각 창작자정보를 연계하여 창작자D/B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를 근거로 상기 창작자D/B에 등록된 상기 제k 창작자의 활동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k 창작자의 활동정보와 상기 M개의 판매자 별 상품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M개의 창작자정보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미디어 영향력을 상품 판매에 적용 가능한 m개의 판매자정보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로 상기 m개의 판매자정보 별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j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pj개의 상품 중 동영상 창작을 요청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상기 제i 상품을 이용한 동영상 창작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동영상 창작 승인 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로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기 pj개의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pj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이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수신 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장자 단말의 앱은,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AR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할 지정된 신체 부위를 실시간 인식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실시간 인식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에 맞게 상기 제i 상품에 대응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실시간 증강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상기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과 통신하여 제i AR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지정된 기능을 구비한 앱이 설치 또는 구동되어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일대일 대응하거나 비례하는 지정된 축척 관계를 포함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지정된 기하학 구조를 포함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 별로 생성된 s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s개의 기하학 구조로 조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규격은, 둘 이상 복수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경우,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D(D≥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d(1≤d<D)개의 치수 부위는 각 사이즈 별로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다른 수치 값을 포함하고, (D-d)개의 치수 부위는 각 사이즈에 대하여 허용된 범위 내에서 동등한 수치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데이터는,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e(1≤e<E)개의 치수 부위의 수치 값을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창작자 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으로 상기 확인된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는 사이즈 규격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정보는, 창작자 단말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정된 특징점 간 거리 측정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정된 특징점 간 거리 측정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의 영상 정보 판독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을 통해 키 입력받아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으로 제공될 제i AR데이터에 포함된 가상객체 데이터에 포함된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e(1≤e<E)개의 치수 부위와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e개의 치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치수 부위를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AR데이터를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이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이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이 제i AR데이터에 포함된 가상객체 데이터에 포함된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e(1≤e<E)개의 치수 부위와 상기 확인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e개의 치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이 상기 지정된 치수 부위를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는, 상기 제k 창작자가 활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미디어매체를 포함하며,상기 제ki 동영상정보는,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상기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ki 동영상정보는, 복수의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ki 동영상이 창작된 경우, 상기 제ki 동영상의 재생구간 중 복수의 제i 상품 별 동영상 재생구간을 제각기 구별하여 식별하는 상품 별 재생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제ki 동영상을 창작하여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한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상기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k 창작자가 상기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창작한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미디어데이터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는,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의 채널 중 상기 제k 창작자가 활동하고 있는 채널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는, 상기 등록된 P개의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이용하여 창작된 동영상을 등록하기 위해 외부 미디어매체에 별도 할당된 별도의 채널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지정된 쇼핑몰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지정된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ki 동영상이 창작된 경우, 상기 제ki 페이지의 동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i 상품 중 현재 재생되는 재생구간에 대응하는 제i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ki 페이지의 인터페이스 영역을 통해 상기 확인된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 또는 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한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ki 판매결과정보에 대응하는 판매금액의 지정된 일부에 대응하는 가치를 상기 제k 창작자에게 배분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0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가 표시되어 상기 동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 또는 후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영역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한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에 있어서,상기 가치는, 상기 판매금액의 지정된 일부에 대응하는 금액, 지정된 비율로 현금화 가능한 전자화폐,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근거로 발행된 암호화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적인 크리에이터와 상품 판매자가 상호 연계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미디어 커머스 플랫폼을 구성함으로써, 크리에이터는 보다 많은 동영상 제작 기회 및 동영상을 통한 상품 판매 채널 제공 등으로 인해 수익을 높일 수 있으며, 상품 판매자는 해당 상품과 관련된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동영상을 제작받을 수 있으며, 또한 추가적인 상품 판매 채널을 확보할 수 있어 판매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상품정보와 판매자정보와 창작자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AR데이터를 창작자 단말로 제공하여 AR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창작된 동영상을 외부 미디어매체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창작된 동영상에 대응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운영사에서 지정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등록하고, 창작자가 동영상을 창작할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를 선택하면, 상기 창작자에게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한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가 AR데이터를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해 창작한 동영상을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상품을 등록 및/또는 판매하는 판매자가 운영하는 판매자 단말(180)과,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창작하는 창작자가 운영하는 창작자 단말(185)과,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190)과,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상기 상품 및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90)로 제공하여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서버(별도 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창작자가 상기 상품에 대해 창작한 동영상을 등록하거나,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미디어매체(195)와, 판매자의 상품을 판매 또는 홍보하기 위한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19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확인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버 측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180)은 판매할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등록 요청하는 판매자가 운영하는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판매자 단말(180)은 상품정보의 등록 및 판매 결과의 확인 등 본 발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창작자 단말(185)은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창작하는 창작자가 운영하는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창작자 단말(185)은 상기 창작자의 정보 등록, 상기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의 제작 및 등록 등 본 발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창작자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을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AR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창작자 단말(185)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동영상을 창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90)은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에 관련하여 상기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동영상을 재생하며, 상기 재생된 동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190)은 상기 사용자의 상품 구매,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등 본 발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창작자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쇼핑몰서버는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관련되어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동영상 또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 상기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정보가 등록될 수 있으며, 상기 쇼핑몰서버는 상기 운영서버(100)에 의해 구현되거나,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는 별도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는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관련되어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동영상이 등록되는 미디어서버 또는 미디어서버에서 관리하는 저장매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는 상기 운영서버(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서버(미디어서버 등)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나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기 구비된 서버에 설치되는 서버용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 실시예의 설명이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을 위한 기능 중 일부 기능은 운영서버(1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다른 일부 기능은 상기 판매자 단말(180), 창작자 단말(185), 사용자 단말(190) 등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서 상기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을 위한 기능이 단말 측 기능과 서버 측 기능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도시 설명된 단말 측 기능 중 일부는 서버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되거나 반대로 서버 측 기능 중 일부도 단말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품정보, 판매자 정보, 창작자 정보를 각각의 D/B에 등록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105)와, 상품정보를 판매자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상품정보 연계부(110)와,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AR데이터를 D/B에 저장하는 AR데이터 저장부(115)와, 창작자 단말(185)로 판매자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120)와, 판매자정보를 창작자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판매자정보 저장부(125)와, 상품정보를 창작자정보 및 판매자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상품정보 저장부(130)와,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상품에 대한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증강현실 기반 동영상을 창작하도록 하는 AR데이터 제공부(135)와,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동영상정보를 확인하는 동영상 확인부(140)와, 동영상정보를 상품정보, 판매자정보 및 창작자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14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부(105)는 지정된 P(P≥2)개의 상품에 대한 P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상품D/B(197)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와, 상품을 판매하는 M(M≥1)개의 판매자가 이용하는 M개의 판매자 단말(180)로부터 M개의 판매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판매자D/B(165)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와, 동영상을 창작하는 C(C≥1)개의 창작자가 이용하는 C개의 창작자 단말(185)로부터 C개의 창작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창작자D/B(170)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등록된 창작자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창작자가 지정된 동영상을 창작하여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하는 창작 활동과 관련된 창작자 별 활동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창작자 별 활동정보와 각 창작자정보를 연계하여 창작자D/B(170)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 연계부(110)는 상기 정보 등록부(105)를 통해 상기 P개의 상품정보를 상품D/B(197)에 등록 저장하고, 상기 M개의 판매자정보를 지정된 판매자D/B(165)에 등록 저장하고, 상기 C개의 창작자정보를 지정된 창작자D/B(170)에 등록한 이후,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 중 제j(1≤j≤M)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180)을 통해 상기 상품D/B(197)에 등록된 P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할 pj(1≤pj≤P)개의 상품정보를 선택받아 상기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와 상기 선택된 pj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운영D/B(175)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AR데이터 저장부(115)는 상기 상품정보 연계부(110)를 통해 상기 pj개의 상품정보를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175)에 저장한 이후, 상기 pj개의 상품 중 지정된 상품을 지정된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에 증강하기 위한 AR(Augmented Reality)데이터를 등록받아 제i 상품정보와 연계시켜 지정된 운영D/B(17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i AR데이터는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제i 상품의 실제 착용 상태와 동등하게 증강하기 위해 상기 제i 상품을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의 착용 시점 기하학 구조와 동등한 기하학 구조의 폴리곤(Polygon)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i 상품은 조립 전 상태나 접혀진 상태로 포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i AR데이터는 조립된 제i 상품이나 펼쳐진 제i 상품의 기하학 구조에 대응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의 착용 시점 색상, 질감, 광투명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을 착용할 지정된 신체 부위와 상기 제i 상품을 지정된 신체 부위에 착용 가능하게 가상화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매칭정보와, 제i 상품을 착용할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 중 상기 제i 상품을 착용할 지정된 신체 부위를 인식하기 위한 패턴이나 특징점을 포함하는 인식정보와, 상기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을 통해 노출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인식하기 위한 패턴이나 특징점을 포함하는 인식정보와, 상기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을 통해 노출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과 상기 가상객체 데이터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매칭하는 매칭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자와 창작자는 동일인이거나 또는 다른 사람일 수 있으며, 만약 창작자가 직접 착용한다면 창작자와 착용자는 동일인이고, 별도의 모델이 착용한다면 창작자와 착용자는 다른 사람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120)는 상기 AR데이터 저장부(115)를 통해 AR데이터와 제i 상품정보가 연계되어 지정된 운영D/B(175)에 저장된 이후, 상기 등록된 C개의 창작자 중 판매자 선택을 요청한 제k(1≤k≤C)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적어도 m(1≤m≤M)개의 판매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제공부(120)는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를 근거로 상기 창작자D/B(170)에 등록된 상기 제k 창작자의 활동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k 창작자의 활동정보와 상기 M개의 판매자 별 상품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M개의 창작자정보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미디어 영향력을 상품 판매에 적용 가능한 m개의 판매자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120)는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m개의 판매자정보 별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정보 저장부(125)는 상기 정보 제공부(120)를 통해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적어도 m개의 판매자정보가 제공된 이후, 상기 창작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상기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선택된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제j 판매자정보를 운영D/B(175)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판매자정보 저장부(125)를 통해 제j 판매자정보를 제k 창작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한 이후,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pj개의 상품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사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제j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180)로부터 상기 pj개의 상품 중 동영상 창작을 요청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상기 제i 상품을 이용한 동영상 창작을 요청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동영상 창작 승인 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기 pj개의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pj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이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수신 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과 통신하여 제i AR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지정된 기능을 구비한 앱이 설치 또는 구동되어 있는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AR데이터 제공부(135)는 상기 상품정보 저장부(130)를 통해 상기 제i 상품정보가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되어 운영D/B(175)에 저장된 이후, 상기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의 지정된 앱으로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제ki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은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AR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할 지정된 신체 부위를 실시간 인식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실시간 인식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에 맞게 상기 제i 상품에 대응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실시간 증강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일대일 대응하거나 비례하는 지정된 축척 관계를 포함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자의 경우, s개의 사이즈 규격은 L, XL 등의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대략 L 사이즈는 머리둘레가 58(±1)㎝, XL 사이즈는 머리둘레가 60(±1)㎝일 수 있는데, 가상객체 데이터는 창작자 단말의 앱을 통해 AR표시하는 AR 좌표계 상에서 각 사이즈 별로 머리둘레가 58(±1)㎝인 L 사이즈의 모자에 대응하는 가상객체 데이터와 머리둘레가 60(±1)㎝인 XL 사이즈의 모자에 대응하는 가상객체 데이터와 같이 상품의 사이즈 규격과 일대일 축척 관계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약 사이즈 규격의 단위는 ㎝인데 AR 좌표계의 좌표 단위가 ㎝가 아니라 다른 단위(예: 픽셀(pixel), 포인트(point), 파이카(pica), 퍼센트(percent), 인치(inch) 등)라면, 가상객체 데이터의 머리둘레는 사이즈 규격의 ㎝ 단위를 AR 좌표계 상의 좌표 단위로 변환 가능한 비례 관계의 축척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품의 사이즈가 다르더라도 상품이 모든 치수 부위가 동등하게 확대/축소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모자의 경우, 대부분 L 사이즈와 XL 사이즈는 머리둘레만 다르며, 그 외에 모자의 챙 길이, 모자 높이 등은 L 사이즈나 XL 사이즈나 동일하나, 만약 L 사이즈 모자에 대응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하나만 만들어 AR을 통해 착용자의 머리 부위에 중첩 표시하여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가 커서 L 사이즈를 단순 확대하여 착용자 머리에 중첩 표시하여 착용시키면, L 사이즈 모자가 전체적으로 확대되어 챙 길이나 모자 높이도 같이 확대되게 되며, 이 경우 XL 모자를 착용했을 때와 전혀 다른 핏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지정된 기하학 구조를 포함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선글라스의 경우, s개의 사이즈 규격은 안면 정면의 양안 부위 가로방향 간격에 따라 M, L, XL 등의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양안 부위 가로방향 간격에 따라 M, L, XL 사이즈 별로 선글라스 렌즈의 크기는 같고, 다만 선글라스 렌즈와 렌즈 사이의 테 간격이나 선글라스 렌즈의 옆 테 길이만 차이가 나게 되므로, 가상객체 데이터는 선글라스 렌즈의 크기는 동등하고, 사이즈 규격에 따라 선글라스 렌즈와 렌즈 사이의 테 간격이나 선글라스 렌즈의 옆 테 길이가 사이즈 규격에 따라 다른 형태로 생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 별로 생성된 s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s개의 기하학 구조로 조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이즈 규격은 둘 이상 복수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경우,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D(D≥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d(1≤d<D)개의 치수 부위는 각 사이즈 별로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다른 수치 값을 포함하고, (D-d)개의 치수 부위는 각 사이즈에 대하여 허용된 범위 내에서 동등한 수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자의 경우, L 사이즈와 XL 사이즈는 머리둘레(=d개의 치수 부위)만 다른 수치 값을 포함하며, 그 외에 모자의 챙 길이와 모자 높이 등(=(D-d)개의 치수 부위)은 L 사이즈나 XL 사이즈나 동등한 수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객체 데이터는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e(1≤e<E)개의 치수 부위의 수치 값을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모자의 경우, 프리 사이즈 모자의 머리둘레의 수치 값은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가능하며, 이 경우 가상객체 데이터는 다른 부위는 확장되지 않되, 머리둘레만 확장 가능한 구조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e개의 치수 부위의 수치 값은 길이, 너비, 각도 중 하나 이상의 수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R데이터 제공부(135)는 창작자 단말(185)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으로 상기 확인된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는 사이즈 규격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AR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즈 정보 창작자 단말(185)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정된 특징점 간 거리 측정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185)에 구비된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정된 특징점 간 거리 측정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185)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의 영상 정보 판독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키 입력받아 확인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AR데이터 제공부(135)는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으로 제공될 제i AR데이터에 포함된 가상객체 데이터에 포함된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e(1≤e<E)개의 치수 부위와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e개의 치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하고,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치수 부위를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AR데이터를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이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AR데이터 제공부(135)와 연동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이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이 제i AR데이터에 포함된 가상객체 데이터에 포함된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e(1≤e<E)개의 치수 부위와 상기 확인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e개의 치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하고,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이 상기 지정된 치수 부위를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확인부(140)는 상기 AR데이터 제공부(135)를 통해 창작자 단말(185)의 지정된 앱으로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제ki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가 수행되면,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창작되어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제ki 동영상에 대한 제ki 동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확인부(140)는 상기 제ki 동영상을 창작하여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한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상기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지정된 운영D/B(175)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확인부(140)는 상기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제k 창작자가 상기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창작한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미디어데이터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지정된 운영D/B(175)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는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의 채널 중 상기 제k 창작자가 활동하고 있는 채널에 등록되거나, 상기 M개의 판매자로부터 등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이용하여 창작된 동영상을 등록하기 위해 외부 미디어매체에 별도 할당된 별도의 채널에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는 상기 제k 창작자가 활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미디어매체(예컨대, 유튜브, 인스타그램을 포함하는 SNS 등)를 포함하며, 상기 제ki 동영상정보는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상기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k 창작자가 제ki 동영상을 창작하여 유튜브나 아프리카TV 또는 인스타그램 등의 외부 미디어매체에 업로드한(예: 외부 미디어매체에서 제k 창작자에게 할당한 채널에 업로드) 후 해당 동영상의 링크정보(예: 동영상 URL 등)를 확인하여 저장 및 등록하거나, 또는 제k 창작자가 제ki 동영상을 창작하여 등록하면, 상기 동영상 확인부(115)는 창작자의 제ki 동영상을 외부 미디어매체에 업로드(제k 창작자의 채널에 대행 업로드하거나 또는 본 발명을 위해 외부 미디어매체에 별도 할당된 별도 채널에 업로드함)한 후 해당 동영상의 링크정보(예: 동영상 URL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ki 동영상정보는 복수의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ki 동영상이 창작된 경우, 상기 제ki 동영상의 재생구간 중 복수의 제i 상품 별 동영상 재생구간을 제각기 구별하여 식별하는 상품 별 재생구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저장부(145)는 상기 동영상 확인부(140)를 통해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제ki 동영상에 대한 제ki 동영상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정보를 상기 제ki 동영상의 창작에 이용된 제i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와 상기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제j 판매자정보 및 상기 제ki 동영상을 창작한 제k 창작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확인부(115)는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지정된 쇼핑몰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확인부(115)는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지정된 검색엔진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엔진은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는 쇼핑몰서버의 검색엔진이거나, 또는 포털의 검색엔진이거나, 또는 미디어매체의 검색엔진일 수 있다.
한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품 판매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90)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50)와,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190)을 통해 재생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상품의 판매 결과를 확인하는 판매결과 확인부(155)와, 상기 판매 결과에 따라 판매 금액을 배분하는 수익 배분부(16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5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190)로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50)는 복수의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ki 동영상이 창작된 경우, 상기 제ki 페이지의 동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복수의 제i 상품 중 현재 재생되는 재생구간에 대응하는 제i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ki 페이지의 인터페이스 영역을 통해 상기 확인된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판매결과 확인부(155)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50)를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190)로 제공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190)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190)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한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판매결과 확인부(155)는 상기 사용자 단말(190)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가 표시되어 상기 동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 영역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한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익 배분부(160)는 상기 판매결과 확인부(155)를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한 제ki 판매결과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ki 판매결과정보에 대응하는 판매금액의 지정된 일부에 대응하는 가치를 상기 제k 창작자에게 배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치는 상기 판매금액의 지정된 일부에 대응하는 금액, 지정된 비율로 현금화 가능한 전자화폐,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근거로 발행된 암호화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상품정보와 판매자정보와 창작자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지정된 P(P≥2)개의 상품에 대한 P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상품D/B(197)에 등록 저장하고, 상품을 판매하는 M(M≥1)개의 판매자가 이용하는 M개의 판매자 단말(180)로부터 M개의 판매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판매자D/B(165)에 등록 저장하고, 동영상을 창작하는 C(C≥1)개의 창작자가 이용하는 C개의 창작자 단말(185)로부터 C개의 창작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창작자D/B(170)에 등록 저장하고, 상기 상품 중 지정된 상품을 지정된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에 증강하기 위한 AR데이터를 등록받아 상품정보와 연계시켜 지정된 운영D/B(175)에 저장한 후, 상기 M개의 판매자 중 제j(1≤j≤M) 판매자가 판매하는 pj(pj≥1)개의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pj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운영D/B(175)에 연계 저장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상품정보와 판매자정보와 창작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P개의 상품에 대한 P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상품D/B(197)에 등록 저장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그리고, 상품을 판매하는 M(M≥1)개의 판매자가 이용하는 M개의 판매자 단말(180)에서 M개의 판매자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등록 요청하면(2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M개의 판매자 단말(180)로부터 제공된 M개의 판매자정보를 지정된 판매자D/B(165)에 등록 저장한다(210).
한편, 동영상을 창작하는 C(C≥1)개의 창작자가 이용하는 C개의 창작자 단말(185)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로 C개의 창작자정보를 제공하여 등록 요청하면(2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C개의 창작자 단말(185)로부터 제공된 C개의 창작자정보를 지정된 창작자D/B(170)에 등록 저장한다(2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등록된 창작자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창작자가 지정된 동영상을 창작하여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하는 창작 활동과 관련된 창작자 별 활동정보를 확인하고(225), 상기 확인된 창작자 별 활동정보와 각 창작자정보를 연계하여 창작자D/B(170)에 등록 저장한다(230).
그리고, 운영서버(100)는 상기 P개의 상품 중 m(1≤m≤M)개의 판매자가 판매하는 제i(1≤i≤P) 상품을 지정된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에 증강하기 위한 제i AR데이터를 등록받아 제i 상품정보와 연계시켜 지정된 운영D/B(175)에 저장한다(235).
여기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일대일 대응하거나 비례하는 지정된 축척 관계를 포함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지정된 기하학 구조를 포함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 별로 생성된 s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s개의 기하학 구조로 조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즈 규격은 둘 이상 복수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경우,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D(D≥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d(1≤d<D)개의 치수 부위는 각 사이즈 별로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다른 수치 값을 포함하고, (D-d)개의 치수 부위는 각 사이즈에 대하여 허용된 범위 내에서 동등한 수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객체 데이터는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e(1≤e<E)개의 치수 부위의 수치 값을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M개의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180)로 상기 등록된 P개의 상품정보를 제공하면(240),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 중 제j(1≤j≤M)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180)에서 상기 상품D/B에 등록된 P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할 pj(1≤pj≤P)개의 상품정보를 선택하고(245), 상기 선택된 pj개의 상품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25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공된 pj개의 상품정보를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175)에 연계 저장한다(255).
이후, 상기 등록된 C개의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로부터 판매자 선택이 요청되면(26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등록된 C개의 창작자 중 판매자 선택을 요청한 제k(1≤k≤C) 창작자를 확인한다(265).
그리고, 상기 확인된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적어도 m(1≤m≤M)개의 판매자정보를 제공한다(270).
상기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에서 상기 제공된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를 선택하고(275), 상기 선택한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28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선택한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65)과 통신하여 제i AR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지정된 기능을 구비한 앱이 설치 또는 구동되어 있는지 인증한 후(285), 상기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선택된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한다(29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pj개의 상품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사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확인하고(295), 상기 확인된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한다(297).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j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180)로부터 상기 pj개의 상품 중 동영상 창작을 요청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상기 제i 상품을 이용한 동영상 창작을 요청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동영상 창작 승인 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로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기 pj개의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pj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이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수신 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175)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AR데이터를 창작자 단말로 제공하여 AR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의 과정 이후,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로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제ki 동영상을 창작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AR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을 창작하도록 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제i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와 상기 제i 상품을 이용한 동영상을 창작할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후,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에서 제i AR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지정된 기능을 구비한 앱이 구동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여기서,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은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AR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할 지정된 신체 부위를 실시간 인식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실시간 인식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에 맞게 상기 제i 상품에 대응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실시간 증강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의 앱에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지정된 신체 부위를 촬영한 동영상을 생성하고(305),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310). 여기서 상기 사이즈 정보는 창작자 단말(185)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정된 특징점 간 거리 측정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185)에 구비된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정된 특징점 간 거리 측정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185)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의 영상 정보 판독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키 입력받아 확인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185)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고(315), 상기 확인된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와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으로 제공될 제i AR데이터에 포함된 가상객체 데이터에 포함된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e(1≤e<E)개의 치수 부위를 비교하여(320), 상기 e개의 치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다(325).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치수 부위를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AR데이터를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으로 제공하고(330),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은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한다(33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이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고, 제i AR데이터에 포함된 가상객체 데이터에 포함된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e(1≤e<E)개의 치수 부위와 상기 확인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e개의 치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창작자 단말(185)의 앱이 상기 지정된 치수 부위를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할 수 있다.
도면4a와 도면4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창작된 동영상을 외부 미디어매체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a와 도면4b는 상기 도면3의 과정 이후, 창작자가 상품에 대한 AR데이터를 통해 창작한 동영상을 상기 창작자가 활동하는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a와 도면4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도면4a와 같이 창작자가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직접 동영상을 등록하는 경우와, 도면4b와 같이 운영서버(100)를 통해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동영상을 등록하는 경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a와 도면4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a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의 지정된 앱으로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제ki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제k 창작자가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을 창작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00a).
상기 제k 창작자는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창작된 제i 상품을 이용한 동영상을 상기 제k 창작자가 활동하는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한다(405a).
그리고, 상기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상기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상기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410a).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상기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확인하고(415a),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지정된 운영D/B(175)에 연계 저장한다(420a).
한편, 도면4b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185)의 지정된 앱으로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185)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제ki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제k 창작자가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을 창작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00b).
상기 제k 창작자는 창작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창작된 제i 상품을 이용한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405b).
그러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제i 상품을 이용한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확인하고(410b), 상기 확인된 미디어데이터를 제k 창작자가 활동하는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한다(415b). 여기서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는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의 채널 중 상기 제k 창작자가 활동하고 있는 채널에 등록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이용하여 창작된 동영상을 등록하기 위해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별도 할당된 별도의 채널에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미디어데이터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확인하고(420b),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지정된 운영D/B(175)에 연계 저장한다(425b).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창작된 동영상에 대응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a, 도면4b의 과정을 통해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제i AR데이터를 통해 창작되어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제ki 동영상에 대한 제ki 동영상정보가 저장된 이후, 사용자 단말(190)로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190)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동영상에 대응하는 상품을 판매 결제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도면4a 또는 도면4b의 과정을 통해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제i AR데이터를 통해 창작되어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195)에 등록된 제ki 동영상에 대한 제ki 동영상정보가 저장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구성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500).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구성된 제ki 페이지를 지정된 쇼핑몰서버 또는 검색엔진에 등록한다(505).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190)로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가 제공되면(510), 상기 사용자 단말(190)에서 상기 수신된 제ki 페이지에 포함된 동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이 재생되고(515), 상기 제ki 동영상의 재생 중 또는 후에 상기 제ki 페이지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영역을 통해 상기 제i 상품에 판매 결제가 되면(5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ki 페이지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영역을 통해 상기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한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한다(525).
상기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ki 판매결과정보에 대응하는 판매금액의 지정된 일부에 대응하는 가치를 상기 제k 창작자에게 배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30). 여기서 상기 가치는 상기 판매금액의 지정된 일부에 대응하는 금액, 지정된 비율로 현금화 가능한 전자화폐,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근거로 발행된 암호화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등록부
110 : 상품정보 연계부 115 : AR데이터 저장부
120 : 정보 제공부 125 : 판매자정보 저장부
130 : 상품정보 저장부 135 : AR데이터 제공부
140 : 동영상 확인부 145 : 동영상 저장부
150 : 인터페이스 제공부 155 : 판매결과 확인부
160 : 수익 배분부 165 : 판매자 D/B
170 : 창작자 D/B 175 : 운영 D/B
180 : 판매자 단말 185 : 창작자 단말
190 : 사용자 단말 195 : 외부 미디어매체
197 : 상품 D/B

Claims (35)

  1.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P(P≥2)개의 상품에 대한 P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상품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와, 상품을 판매하는 M(M≥1)개의 판매자가 이용하는 M개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M개의 판매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판매자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와, 동영상을 창작하는 C(C≥1)개의 창작자가 이용하는 C개의 창작자 단말로부터 C개의 창작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창작자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 단계;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 중 제j(1≤j≤M)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상기 상품D/B에 등록된 P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할 pj(1≤pj≤P)개의 상품정보를 선택받아 상기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와 상기 선택된 pj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연계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pj개의 상품 중 지정된 상품을 지정된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에 증강하기 위한 AR(Augmented Reality)데이터를 등록받아 제i 상품정보와 연계시켜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등록된 C개의 창작자 중 판매자 선택을 요청한 제k(1≤k≤C)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로 상기 등록된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적어도 m(1≤m≤M)개의 판매자정보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m개의 판매자정보 중 상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제j 판매자에 대한 제j 판매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제j 판매자정보를 운영D/B에 연계 저장하는 제5 단계;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pj개의 상품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사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는 제6 단계;
    상기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과 연계된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상기 제i AR데이터를 통해 증강한 제ki 동영상을 창작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제7 단계;
    상기 제i 상품에 대한 제i AR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창작되어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제ki 동영상에 대한 제ki 동영상정보를 확인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정보를 상기 제ki 동영상의 창작에 이용된 제i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와 상기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제j 판매자정보 및 상기 제ki 동영상을 창작한 제k 창작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R데이터는,
    현실세계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지정된 상품의 실제 착용 상태와 동등하게 증강하기 위해 상기 제i 상품을 가상화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R데이터는,
    지정된 상품의 착용 시점 기하학 구조와 동등한 기하학 구조의 폴리곤(Polygon)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R데이터는,
    지정된 상품의 착용 시점 색상, 질감, 광투명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R데이터는,
    지정된 상품을 착용할 지정된 신체 부위와 상기 상품을 지정된 신체 부위에 착용 가능하게 가상화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매칭하는 매칭정보,
    상기 상품을 착용할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 중 상기 상품을 착용할 지정된 신체 부위를 인식하기 위한 패턴이나 특징점을 포함하는 인식정보,
    상기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을 통해 노출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인식하기 위한 패턴이나 특징점을 포함하는 인식정보,
    상기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의 화면 영역을 통해 노출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과 상기 가상객체 데이터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매칭하는 매칭정보 중 하나 이사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등록된 창작자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창작자가 지정된 동영상을 창작하여 지정된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하는 창작 활동과 관련된 창작자 별 활동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창작자 별 활동정보와 각 창작자정보를 연계하여 창작자D/B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를 근거로 상기 창작자D/B에 등록된 상기 제k 창작자의 활동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k 창작자의 활동정보와 상기 M개의 판매자 별 상품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M개의 창작자정보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미디어 영향력을 상품 판매에 적용 가능한 m개의 판매자정보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로 상기 m개의 판매자정보 별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j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pj개의 상품 중 동영상 창작을 요청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제k 창작자에 의해 상기 제i 상품을 이용한 동영상 창작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동영상 창작 승인 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의 창작자 단말로 상기 제j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기 pj개의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pj개의 상품정보 중 상기 제k 창작자의 동영상 창작에 이용될 제i(1≤i≤pj) 상품에 대한 제i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수신 시, 상기 제i 상품정보를 상기 제k 창작자정보 및 제j 판매자정보와 연계하여 운영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장자 단말의 앱은,
    착용자를 포함하는 현실세계를 촬영한 동영상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AR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할 지정된 신체 부위를 실시간 인식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을 실시간 인식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향 방향이나 화면 노출 부분에 맞게 상기 제i 상품에 대응하는 가상객체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실시간 증강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2. 제 1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가 동영상의 창작을 위해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과 통신하여 제i AR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지정된 기능을 구비한 앱이 설치 또는 구동되어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일대일 대응하거나 비례하는 지정된 축척 관계를 포함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지정된 기하학 구조를 포함하여 생성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5. 제 1항 또는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 별로 생성된 s개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6. 제 1항 또는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i AR데이터는,
    제i 상품에 설정된 s(s≥1)개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s개의 기하학 구조로 조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7.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규격은,
    둘 이상 복수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경우,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D(D≥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d(1≤d<D)개의 치수 부위는 각 사이즈 별로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다른 수치 값을 포함하고, (D-d)개의 치수 부위는 각 사이즈에 대하여 허용된 범위 내에서 동등한 수치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8.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데이터는,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e(1≤e<E)개의 치수 부위의 수치 값을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창작자 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으로 상기 확인된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는 사이즈 규격의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AR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정보는,
    창작자 단말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정된 특징점 간 거리 측정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지정된 특징점 간 거리 측정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의 영상 정보 판독을 통해 확인되거나,
    창작자 단말을 통해 키 입력받아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으로 제공될 제i AR데이터에 포함된 가상객체 데이터에 포함된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e(1≤e<E)개의 치수 부위와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e개의 치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치수 부위를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AR데이터를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이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이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이 제i AR데이터에 포함된 가상객체 데이터에 포함된 E(E≥2)개의 지정된 치수 부위 중 허용된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e(1≤e<E)개의 치수 부위와 상기 확인된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e개의 치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지정된 치수 부위의 확장 또는 축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창작자 단말의 앱이 상기 지정된 치수 부위를 상기 지정된 신체 부위의 사이즈 정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한 가상객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동영상의 화면 영역에 드러난 지정된 신체 부위를 증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는, 상기 제k 창작자가 활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미디어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ki 동영상정보는,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상기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ki 동영상정보는,
    복수의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ki 동영상이 창작된 경우,
    상기 제ki 동영상의 재생구간 중 복수의 제i 상품 별 동영상 재생구간을 제각기 구별하여 식별하는 상품 별 재생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제ki 동영상을 창작하여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한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상기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제k 창작자가 이용하는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k 창작자가 상기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창작한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에 등록된 미디어데이터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k 창작자에 대한 제k 창작자정보와 상기 확인된 제ki 동영상의 링크정보를 지정된 운영D/B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는,
    상기 외부 미디어매체의 채널 중 상기 제k 창작자가 활동하고 있는 채널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는,
    상기 등록된 P개의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이용하여 창작된 동영상을 등록하기 위해 외부 미디어매체에 별도 할당된 별도의 채널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지정된 쇼핑몰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지정된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31.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i 상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ki 동영상이 창작된 경우,
    상기 제ki 페이지의 동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i 상품 중 현재 재생되는 재생구간에 대응하는 제i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ki 페이지의 인터페이스 영역을 통해 상기 확인된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3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 또는 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한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ki 판매결과정보에 대응하는 판매금액의 지정된 일부에 대응하는 가치를 상기 제k 창작자에게 배분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제ki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영역과 상기 제i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ki 페이지가 표시되어 상기 동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제ki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 또는 후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영역을 통해 상기 제ki 동영상에 대응하는 제i 상품을 판매 결제한 제ki 판매결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는,
    상기 판매금액의 지정된 일부에 대응하는 금액,
    지정된 비율로 현금화 가능한 전자화폐,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근거로 발행된 암호화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KR1020180128935A 2018-10-26 2018-10-26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935A KR20200047913A (ko) 2018-10-26 2018-10-26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935A KR20200047913A (ko) 2018-10-26 2018-10-26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13A true KR20200047913A (ko) 2020-05-08

Family

ID=7067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935A KR20200047913A (ko) 2018-10-26 2018-10-26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79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4256A (ko) 아트 아카이브 시스템
JP7069970B2 (ja) 閲覧システム、画像配信装置、画像配信方法、プログラム
US11432046B1 (en) Interactive, personalized objects in content creator&#39;s media with e-commerce link associated therewith
KR20200047905A (ko) 증강현실 기반의 상품 관련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03A (ko) 증강현실로 창작된 동영상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KR2020004791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 상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04A (ko) 증강현실 기반의 미디어 커머스를 위한 정보 등록 방법
KR20200047911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적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16A (ko) 창작자가 선택한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증강현실 기반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06A (ko) 증강현실 기반 동영상 창작을 위한 상품 선택 방법
KR20200047908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창작자 기반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15A (ko) 판매자가 선택한 창작자에 의한 증강현실 기반의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17A (ko) 창작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증강현실 기반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07A (ko) 증강현실 기반 동영상 등록을 위한 판매자와 창작자 매칭 방법
KR20200047912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판매자의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7910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상품 기반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2080A (ko) 미디어 커머스를 위한 정보 등록 방법
KR20200047902A (ko) 증강현실 기반 미디어 커머스 제공 방법
KR20200042078A (ko) 미디어 커머스 제공 방법
US20220222719A1 (en) Security Video Sharing via a Searchable Database
KR20200045618A (ko) 선택 화장품에 대한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5623A (ko) 동영상을 이용한 화장품 판매 방법
KR20200045612A (ko) 동영상 창작을 위한 화장품 선택 방법
KR20200045619A (ko) 판매자가 선택한 창작자에 의한 맞춤형 화장품 동영상 등록 방법
KR20200045610A (ko) 맞춤형 화장품 판매를 위한 정보 등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