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483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483A
KR20200047483A KR1020200050591A KR20200050591A KR20200047483A KR 20200047483 A KR20200047483 A KR 20200047483A KR 1020200050591 A KR1020200050591 A KR 1020200050591A KR 20200050591 A KR20200050591 A KR 20200050591A KR 20200047483 A KR20200047483 A KR 2020004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rack
inlet
supply port
work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해웅
김성환
배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7483A/en
Publication of KR2020004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4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ing device with high drying efficiency. The laundry treating device comprises: a receiving body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a front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 rear surfac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front surface, and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 drying chamber provided with a chamber bottom surface, a chamber front surface, a chamber rear surface, a first chamber side surface, and a second chamber side surfac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respectively, and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a rack provided inside the drying chamb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n object to be dried is seated; an inlet provided to penetrate the rear surface;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heated air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body and the drying chamber through the inlet; and a supply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chamber front surface to introduce air inside the receiving body into the chamber.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Clothing treatment device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대상물(의류 등)을 세탁하는 장치,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In general,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for washing an object to be washed (clothing, etc.), a device for drying the object to be dried, and a device capable of washing and drying both clothes.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를 교반키면서 가열된 공기를 의류에 공급함으로써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의류에 주름이 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There was a cabinet, a drum provided rotatably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clothes, and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heated air to the drum.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was a method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garment by supplying heated air to the garment while rotating the drum to stir the garment. However, since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supplies heated air while rotating the drum, a problem that wrinkles remain in the garment may occur.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랙(rack), 상기 건조챔버의 바닥면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이 있었다. 랙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주름이 남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지만, 건조챔버의 바닥면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경우 건조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drying chamber providing a drying space, a plurality of racks provided inside the drying chamber to provide a space for clothing, and a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ar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Some were provided to include an air supply for supplying heated air through.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rack can minimize the problem of wrinkles remaining in the clothe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ying efficiency is low when the heated air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본 발명은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high dry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랙의 회전각도를 조절 가능한 힌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that can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rack to which the object to be dried is seated.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구분된 두 개의 건조공간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wo drying spa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방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을 연결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이 구비된 수용바디; 상기 바닥면, 상기 전방면, 상기 후방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챔버 바닥면, 챔버 전방면, 챔버 후방면, 챔버 제1측면 및 챔버 제2측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 상기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건조챔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챔버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의 공기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공급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surface, a front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 rear surfac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front surfac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 receiving body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connecting the; Chamber bottom surface, chamber front surface, chamber rear surface, chamber first side and chamber second sid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respectively. A drying chamber provided inside and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A rack provided inside the drying chamber to provide a space for drying objects to be seated; An inlet provided to penetrate the rear surface;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heated air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on body and the drying chamber through the inlet; And a supply port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to introduce air inside the receiving body into the chamber.

상기 랙은 상기 챔버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이 지지되는 메쉬가 구비된 제1랙; 및 상기 제1랙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랙과 이격되며 건조대상물이 지지되는 메쉬가 구비된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될 수 있다.The rack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a first rack having a mesh to support a drying object; And a second rack positioned above the first rack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ck and provided with a mesh for supporting a drying object. The supply por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It may be provided.

상기 유입구는 상기 챔버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본 발명은 상기 전방면과 상기 챔버 전방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과 상기 챔버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the flow path forming unit for guiding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hamber bottom surface to the supply port; may further include a have.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급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더; 및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이더의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is projected toward the front surfa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the first guid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supply port; And a second guider protruding from the chamber front surface toward the front surfac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and provided at an opposite position of the first guider with the supply port interposed therebetween. You can.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may be provid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point where the first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본 발명은 상기 챔버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와 상기 수용바디를 연통시키는 챔버 바닥면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amber bottom surface through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to communicate the drying chamber and the receiving body.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may be provided to extend to the bottom surface.

상기 공급구는 상기 챔버 전방면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공급구 및 제2공급구로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공급구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공급구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유입구로 구비되며,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 및 상기 제2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유로형성부로 구비될 수 있다.The supply port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ly port and a second supply port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and the inlet port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supply port is projected to the rear surface. An inlet and the second supply port are provided as a second inlet port provided at a position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flow path forming part guides air to the first supply port through the first flow path forming part and the second supply port. It may be provided as a second flow path forming portion for guiding.

상기 제1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3가이더 및 제4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forming part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toward the front surface, and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and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supply por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part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toward the front surface,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and the third guider and the third guide facing each other with the second supply port therebetween. It may include four guiders.

상기 제1유입구는 상기 제1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제3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4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is loca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point where the first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second inlet has a third guider that is the rear surface. It may be loca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point projected on the fourth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본 발명은 상기 챔버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와 상기 수용바디를 연통시키는 챔버 바닥면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amber bottom surface through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to communicate the drying chamber and the receiving body.

본 발명은 상기 건조챔버 외주면과 상기 수용바디 내주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챔버로 향을 공급하는 첨가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첨가제 공급부; 상기 챔버 전방면, 상기 챔버 후방면, 상기 챔버 제1측면 및 상기 챔버 제2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첨가제 공급부에서 배출되는 향을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첨가제 공급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detachably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and an additive supply unit providing a space in which additives for supplying fragrance to the drying chamber are received; An additive supply port provided to penetrate any on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the rear surface of the chamber, the first side of the chamber and the second side of the chamber, and flowing the fragrance discharged from the additive supply unit into the drying chamber;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상기 수용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방면이 위치된 방향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을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는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abinet that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receiving body is accommodated; It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cabinet, the outlet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surface is located;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the inlet for introducing the object to be dried into the drying chamber; further comprising, the receiving body may be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through the outlet.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제2캐비닛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인출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캐비닛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연통하는 제2캐비닛 투입구;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cabinet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binet; A drum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receiving clothes; A second cabinet inlet provided in a sp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is located, and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drum;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heated air to the drum.

본 발명은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을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투입구; 상기 제1캐비닛 또는 상기 건조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the inlet for introducing the object to be dried into the drying chamber; The first cabinet or the door provided in the drying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제2캐비닛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연통하는 제2캐비닛 투입구;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cabinet located under the first cabinet; A drum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receiving clothes; A second cabinet input port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drum;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heated air to the drum.

본 발명은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treatment device having high dry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랙의 회전각도를 조절 가능한 힌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hinge portion that can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rack to be dried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구분된 두 개의 건조공간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wo drying spa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드로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유로형성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첨가제 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구비된 랙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구비된 힌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제1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와 도 15는 랙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n example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second processing devic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to 4 show an example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xample of a draw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7 and 8 show an example of a flow path forming un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an additive supply un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show an example of a rack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n example of the hinge porti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4 and 1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rack.
1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대상물(의류 등)을 건조하는 제1처리장치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건조하는 제1처리장치 및 의류를 건조하거나 세탁하도록 구비된 제2처리장치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건조하는 제1처리장치(A) 및 제1처리장치의 상부면에 안착된 제2처리장치(B)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ly with a first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an object to be dried (clothing, etc.), and includes both a first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clothing and a second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or washing clothes. It may be provided.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the garment treatment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treatment apparatus (A) for drying clothes and a second treatment apparatus (B)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eatment apparatus. will b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A)는 전방면에 인출구(11)가 구비된 제1캐비닛(1), 상기 인출구(11)를 통해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C), 상기 건조챔버(C)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공급부(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is a drawer that can be withdrawn from the first cabinet through the first cabinet (1) and the withdrawal port (11) is provided with an outlet (11) on the front surface (2), a drying chamber (C) provided inside the drawer to provide a drying space, and a first air supply unit (5) for supplying heated air to the drying chamber (C).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B)는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제2처리장치(B)가 건조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B)는 상기 제1캐비닛(11)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41), 상기 제2캐비닛(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2),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제2공기공급부(461, 463, 467, 468)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B) may be provided with a dryer for drying clothes, or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FIG. 2 shows the case wher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B) is provided with a dryer. It is shown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B)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binet (41), the second cabinet (41)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binet (11), the drum is stored inside the clothing (drum) 42), it may include a second air supply unit (461, 463, 467, 468) for drying the clothing by supplying the heated air to the drum.

상기 제2캐비닛(41)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제1캐비닛의 인출구(11)가 구비된 방향을 향하는 면(제2캐비닛의 전방면)에는 제2캐비닛 투입구(4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캐비닛 투입구는 제2캐비닛 도어(413)에 의해 개폐된다.In the space provided by the second cabinet 41, a second cabinet inlet 411 is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11 of the first cabinet is provide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binet), and the second The cabinet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cabinet door 413.

상기 드럼(4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바디(42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바디(421)의 전방면은 상기 제2캐비닛(41) 내부에 고정된 제1지지부(4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드럼바디(421)의 후방면은 제2캐비닛(41) 내부에 고정된 제2지지부(4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22)에는 상기 제2캐비닛 투입구(411)와 드럼바디(4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423)가 구비된다.The drum 42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rical drum body 421 with an empty inside, and a front surface of the drum body 421 is a first support portion 422 fixed inside the second cabinet 41. To the rotatable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body 421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6 fixed inside the second cabinet 41. The first support part 422 is provided with a drum inlet 42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abinet inlet 411 and the interior of the drum body 421.

상기 제2공기공급부는 상기 드럼바디(421)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급덕트(461), 상기 드럼바디(421) 내부의 공기를 제2캐비닛(4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463), 상기 공급덕트(461)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468), 상기 배기덕트(463)에 구비되어 드럼바디(421) 내부의 공기를 배기덕트(463)로 이동시키는 제2처리장치 임펠러(4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461)는 제2지지부에 구비된 흡기구(427)를 통해 드럼바디(421)에 연통하고, 상기 배기덕트(463)는 제1지지부에 구비된 배기구(425)를 통해 드럼바디(421)에 연통할 수 있다.The second air supply unit is a supply duct for guiding air to the drum body 421, an exhaust duct 463 for guiding air inside the drum body 421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binet 41, A heating unit 468 provided in the supply duct 461 for heating air, and a second treatment device impeller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463 to move the air inside the drum body 421 to the exhaust duct 463 (467). The supply duct 461 communicates with the drum body 421 through the intake port 427 provided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exhaust duct 463 is connected to the drum body through the exhaust port 425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 421).

상기 드럼바디(421)와 상기 제2처리장치 임펠러(467)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드럼모터(4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모터(441)에 구비된 드럼모터 회전축(443)의 일단에는 풀리(445)가 고정되고, 상기 드럼모터 회전축(443)의 타단에는 상기 제2처리장치 임펠러(467)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풀리(445)의 회전력은 벨트(447)를 통해 상기 드럼바디(421)에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um body 421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impeller 467 are rotated by a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as a drum motor 441. A pulley 445 is fixed to one end of the drum motor rotating shaft 443 provided in the drum motor 441,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impeller 467 can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drum motor rotating shaft 443. . In this c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445 may be provided to be transmitted to the drum body 421 through the belt 447.

도 3을 참고하여 제1처리장치(A)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는 인출구(11)를 통해 제1캐비닛(1)에서 제1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수용바디(21), 건조챔버(C)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바디(21)에 고정된 챔버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shown in FIG. 3, the drawer 2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body 21 and a drying chamber C that can be withdrawn from the first cabinet 1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binet through the withdrawal opening 11 and the It may include a chamber body 23 fixed to the receiving body (21).

상기 수용바디(21)의 전방면에는 패널(29)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21)가 상기 제1캐비닛(1)에 삽입되면 상기 패널(29)은 상기 인출구(11)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anel 29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1. When the receiving body 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binet 1, the panel 29 may be provided in a shape capable of closing the outlet 11.

상기 수용바디(21)가 제1캐비닛(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패널(29)은 제1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될 것이므로, 상기 패널(29)에는 컨트롤패널(29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컨트롤패널(291)이 패널(29)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패널(291)에는 입력부(291a) 및 표시부(29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91b)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입력부(291a)는 제1처리장치(A)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다.Even if the receiving body 21 is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first cabinet 1, the panel 29 will be located outside the first cabinet 1, so that the panel 29 has a control panel 291. This may be provided.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panel 29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29, and the control panel 291 may include an input unit 291a and a display unit 291b. The display unit 291b is a means for displaying a user-selectable control command and executing a selected control command, and the input unit 291a is a means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상기 수용바디(21)의 내주면과 상기 챔버바디(23)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1공기공급부(5)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C)로 안내하는 유로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바디(21)는 바닥면(211),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방면(212),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면(213),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212)과 상기 후방면(213)을 연결하는 제1측면(214) 및 제2측면(215)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바디(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챔버바디(23)가 삽입되는 개방면(216)이 구비될 수 있다.A flow path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body 23 to guide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unit 5 to the drying chamber C. 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receiving body 21 is a bottom surface 211, a front surface 212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facing the front surface It includes a rear surface 213 provided at a viewing position, a first side 214 and a second side 215 that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connect the front surface 212 and the rear surface 213.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surface 216 into which the chamber body 23 is inserted.

도 4는 상부면이 개방면(216)으로 구비된 육면체 형상의 수용바디(21)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수용바디(21)의 형상이 반드시 육면체 형상일 필요는 없다. 즉, 상부면에 관통홀이 구비되거나 상부면이 개방면(216)으로 구비되는 한 상기 수용바디(21)의 형상은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FIG. 4 shows a hexahedral receiving body 21 having an upper surface as an open surface 216, but the shape of the receiving body 21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hexahedral shape. That is, the shape of the receiving body 21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shape as long as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as an open surface 216.

상기 수용바디(21)에는 상기 제1공기공급부(5)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수용바디(21)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217, 제1유입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전방면(212), 후방면(213), 제1측면(214) 및 제2측면(2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eceiving body 21 is provided with an inlet 217 (a first inlet) for introducing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unit 5 into the receiving body 21, wherein the inlet 217 is It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at least one of the side 212, the rear side 213, the first side 214, and the second side 215.

상기 챔버바디(23)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C),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건조챔버(C)로 유입시키는 투입구(236), 상기 건조챔버(C)를 수용바디(2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37)를 포함한다.The chamber body 23 is provided with a drying chamber (C) providing a drying space, an inlet 236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to introduce clothing into the drying chamber (C), and the drying chamber (C). It includes a fixing portion 237 fixed to the receiving body (21).

상기 건조챔버(C)는 상기 수용바디(21)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챔버 바닥면(231), 챔버 전방면(232), 챔버 후방면(233),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drying chamber (C) is a chamber bottom surface 231, a chamber front surface 232, a chamber rear surface 233, a chamber first side surface 234 and a chamber second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receiving body 21 It can be formed by the side 235.

상기 챔버 바닥면(231), 챔버 전방면(232), 챔버 후방면(233),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은 상기 수용바디의 바닥면(211), 전방면(212), 후방면(213), 제1측면(214) 및 제2측면(215) 각각을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챔버 전방면(232)은 상기 수용부의 전방면(212)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챔버 후방면(233)은 상기 수용바디의 후방면(213)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은 상기 수용바디의 전방면(212) 및 후방면(213)을 각각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the chamber rear surface 233, the chamber first side 234 and the chamber second side 235 are the bottom surface 211,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12, the rear surface 213, the first side 214 and the second side 215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That is,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front surface 212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hamber rear surface 233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rear surface 213 of the receiving body. , The chamber first side 234 and the chamber second side 235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the front side 212 and the rear side 213 of the receiving body, respectively.

상기 고정부(237)는 상기 투입구(236)의 가장자리에서 투입구(236)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판(plate)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용바디의 상단이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237)에 의해 상기 챔버 전방면(232)은 상기 전방면(212)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챔버 후방면(233)은 상기 후방면(213)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은 상기 제1측면(214) 및 제2측면(215)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237 may be provided as a plate protruding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236 at the edge of the inlet 236, or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body is accommodated. , By the fixing portion 237,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maintains a state separated from the front surface 212, and the chamber rear surface 233 separates the state from the rear surface 213. The first side 234 of the chamber and the second side 235 of the chamber may mainta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irst side 214 and the second side 215.

상기 챔버 바닥면(231)은 상기 챔버 전방면, 챔버 후방면, 챔버 제1측면 및 제2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면(211)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챔버 바닥면(231)은 상기 수용바디(21)의 바닥면(211)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217)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챔버 전방면(232)을 향해 이동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함이다.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the rear surface of the chamber, the first side of the chamber, and the second side of the chamber and is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211. In addition, 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is preferably provided to maintain a state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211 of the receiving body 21. This is to form a flow path in which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7 is movable toward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상기 챔버바디(23)에는 상기 수용바디(2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C)로 유입시키는 공급구(238a, 제1공급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 챔버 후방면(213),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hamber body 23 is provided with a supply port 238a (a first supply port) for introducing ai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body 21 into the drying chamber C. The supply port 238a is provided with the chamber. It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at least one of the front surface 232, the chamber rear surface 213, the chamber first side 234 and the chamber second side 235.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는 의류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rack)이 구비되는데, 상기 랙은 상기 챔버 바닥면(231)과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랙(81), 상기 제1랙(81)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1랙(8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랙(8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랙(81)은 건조챔버(C) 내주면에 지지되는 프레임(811),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에 위치하는 메쉬(813, mesh)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랙(82) 역시 프레임(821) 및 메쉬(8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drying chamber (C) is provided with a rack (rack) providing a space in which clothing is seated, the rack is a first rack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81), the first rack 81 may be provided as a second rack 82 positioned above the first rack 81 so as to be spaced apart. The first rack 81 is provided to include a frame 811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C, a mesh 813 positioned in a frame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frame, and the second rack ( 82) may also be provided to include a frame 821 and a mesh 823,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공기공급부(5)는 상기 수용바디(21)의 후방면(213)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21)가 형성하는 공간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공급부(5)는 상기 유입구(217)로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51),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유입구(217)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7, 제1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ir supply part 5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213 of the receiving body 21 a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space formed by the receiving body 21. The first air supply unit 5 is a housing 51 for guiding air to the inlet 217, a fa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51 to move air to the inlet 217, the housing 51 It may include a heater (57, the first heater) that is provided inside to heat the air.

상기 팬은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53, 제1임펠러), 상기 임펠러(53)를 회전시키는 회전축(551)이 구비된 모터(55)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551)에 의해 상기 임펠러(53)가 회전하면, 제1캐비닛의 배면에 구비된 배면 관통홀(15)이나 인출구(11) 등을 통해 상기 제1캐비닛(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51)을 따라 상기 유입구(217)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히터(57)에 의해 가열될 것이다.The fan may be provided as a motor 55 having an impeller 53 (first impeller)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51 and a rotating shaft 551 rotating the impeller 53. Therefore, when the impeller 53 is rotated by the rotating shaft 551, it flows into the first cabinet 1 through a rear through-hole 15 or an outlet 11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binet. The air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217 along the housing 51 and will be heated by the heater 57 in this process.

상기 수용바디(21)에 구비되는 유입구(217)와 상기 건조챔버(C)에 구비되는 공급구(238a)는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수용바디의 후방면(213)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챔버(C) 내부에 저장된 의류와 공기가 열교환을 시작하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함이다.The inlet 217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21 and the supply hole 238a provided in the drying chamber C are preferably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the inlet 217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213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supply port 238a is provided on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desirable. This is to speed up the time when the clothes and air stored in the drying chamber C start heat exchange.

상기 유입구(217)와 상기 공급구(238a)가 서로 마주보는 수용바디의 일면과 챔버바디의 일면에 각각 구비되면(유입구는 후방면에 구비되고, 공급구는 챔버 후방면에 구비되는 경우 등), 상기 유입구(217)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공급구(238a)를 통해 곧바로 건조챔버(C)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된 공기와 의류의 열교환은 건조챔버 및 수용바디 등의 온도가 의류의 온도 이상이 된 때 개시되고,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 위치된 의류는 공기가 건조챔버(C)나 수용바디(21)에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상기 유입구(217)와 상기 공급구(238a)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수용바디의 일면과 챔버바디의 일면에 각각 구비되면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inlet 217 and the supply port 238a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facing each other and one surface of the chamber body (the inlet por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he supply por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hamber, etc.), The hot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7 may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mber C through the supply port 238a. However,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ed air and the clothes is star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chamber and the receiving body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clothes, and the clothes located inside the drying chamber (C), the air receives the drying chamber (C) Since it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body 21, when the inlet 217 and the supply port 238a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nd one surface of the chamber body, a problem in which drying time increases may occur. have.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 유입구(217) 및 공급구(238a)를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된 수용바디의 일면 및 건조챔버의 일면에 각각 구비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공급부(5)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수용바디(21)와 챔버바디(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 뒤 건조챔버(C)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설계하면, 상기 수용바디(21) 및 챔버바디(23)가 빨리 가열되고 이를 통해 의류와 공기가 열교환을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단축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providing the inlet 217 and the supply port 238a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drying chamber, respectively, which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If the flow path is designed such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unit 5 flows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body 21 and the chamber body 23 and then flows into the drying chamber C, the receiving body ( 21) and the chamber body 23 is heated quickly, so it will be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it takes for clothes and air to start heat exchange.

따라서,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수용바디의 후방면(213)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수용바디의 전방면(212)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후방면(233)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제1측면(214)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제2측면(235)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refore, the inlet 217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213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supply port 238a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232 of the chamber. Alternatively, the inlet 217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212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supply port 238a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233 of the chamber. In addition, the inlet 217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ide 214, and the supply port 238a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ide 235 of the chamb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이 건조챔버(C)의 높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랙(81)과 제2랙(82)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 사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rack is provided as a first rack 81 and a second rack 82 sequentially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C), the supply port (238a) is It is preferably provided to supply air between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종래 랙을 구비한 건조기의 건조방식은 상기 제1랙(81)과 챔버 바닥면(2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건조챔버(C)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함으로써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이었다.The drying method of a dryer having a conventional rack supplies heated air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rack 81 and 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mber C is supplied to the first. The clothes were drie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상술한 종래 건조방식에 의하면, 제1랙(81)과 챔버 바닥면(231)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메쉬(813)를 통해 제1랙(81)에 안착된 의류로 공급되어 의류와 열교환을 하고, 상기 제1랙(81)에 안착된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제2랙의 메쉬(823)를 거쳐 제2랙(82)에 안착된 의류에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랙에 안착된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제2랙의 메쉬(823)를 통해 제2랙(82)에 안착된 의류로 이동하는 것보다 제2랙(82)의 가장자리와 건조챔버(C)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건조챔버의 투입구(236)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제2랙의 메쉬(823)를 거쳐 상기 투입구(236)로 이동하는 경로의 유로 저항이 상기 제2랙의 가장자리를 거쳐 상기 투입구(236)로 이동하는 경로의 유로 저항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의류와 열교환 가능한 에너지를 가진 공기를 건조챔버(C)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종래 건조방식은 건조효율이 낮은 문제,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 등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rying method, the air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rack 81 and 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is supplied to the clothes mounted on the first rack 81 through the mesh 813 to exchange heat with the clothes. , Air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with clothing seated on the first rack 81 must be supplied to clothing seated on the second rack 82 through the mesh 823 of the second rack. However, the air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with the clothing seated in the first rack is dried with the edge of the second rack 82 rather than moving through the mesh 823 of the second rack to the clothes seated in the second rack 82.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move to the inlet 236 of the drying chamber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hamber C. This is because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path moving through the mesh 823 of the second rack to the input port 236 is greater than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path moving through the edge of the second rack to the input port 236. Since this phenomenon is not different from discharging air having heat exchangeable energy with clothing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chamber C, the conventional drying method has a problem of low drying efficiency, a problem of increasing drying time, and a problem of wasting energy. There was a back.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 공급구(238a)를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가열된 공기가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면, 큰 운동에너지를 가진 상태의 공기가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에 동시에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메쉬(813, 823)의 유로 저항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공기가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공급구(238a)의 위치를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종래 건조방식에 비해 10% 이상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placing the supply port 238a between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That is, when the heated air flows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air having a large kinetic energy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 Most of the air can be supplied to the clothes despite the flow resistance of the meshes 813 and 823.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dry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10% or mo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rying method by positioning the position of the supply port 238a between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한편, 상기 공급구(238a)로 공급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유입구와 공급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후방면(21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챔버 바닥면(231)과 상기 바닥면(2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처리장치(A)는 상기 바닥면(211)과 상기 챔버 바닥면(23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급구(238a)로 안내하는 유로형성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25)는 상기 전방면(212)과 상기 챔버 전방면(2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kinetic energy of the air supplied to the supply port (238a) (to minimize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supply port), the inlet port 217 has the rear surface 213 )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and the bottom surface 211. Furthermore,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for guiding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211) and 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to the supply port (238a). Can be. The flow path forming part 25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212 and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공급구(238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더(251) 및 제2가이더(253)로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고). 상기 제1가이더(251)와 상기 제2가이더(253)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서 상기 수용바디의 전방면(212)을 향해 돌출된 판(plate)으로, 상기 건조챔버(C)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고).6 and 7, the flow path forming part may be provided as a first guider 251 and a second guider 253 facing each other with the supply port 238a therebetween (see FIG. 6). ). The first guider 251 and the second guider 253 are plates protruding from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toward the front surface 212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drying chamber C It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see Fig. 7).

상기 유입구(217)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21)로 공급된 공기의 운동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제1가이더(251)가 후방면(213)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253)가 후방면(213)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R1, 도 6 참고)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유입구(217)의 지름(L2)은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 사이의 간격(L1) 이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7 참고).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kinetic energy of the air supplied to the receiving body 21 through the inlet 217, the inlet 217 has a point where the first guider 251 is projected to the rear surface 213. The second guider 253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space (R1, see FIG. 6) formed between the point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213. Furthermore, the diameter (L2) of the inlet 217 is preferably provided less tha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see Fig. 7).

또한, 상기 제1가이더(251) 및 제2가이더(253)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을 벗어나지 않는 길이(H1)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용바디의 바닥면(211)까지 연장(H2)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7)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21)로 유입된 공기가 신속히 상기 공급구(238a)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r 251 and the second guider 253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H1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and extend to the bottom surface 211 of the receiving body (H2 ). This is to allow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body 21 through the inlet port 217 to quickly move to the supply port 238a.

나아가,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의 너비방향 중앙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구(238a)가 챔버 전방면의 너비방향 중앙에 구비되면, 상기 건조챔버(C) 내부공간 전체에 공기 순환류(F1, F2)를 형성할 수 있어 건조효율이 향상될 것이기 때문이다.Furthermore, the supply port 238a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This is because, when the supply port 238a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air circulation flows F1 and F2 may be formed in the entire interior space of the drying chamber C, so that drying efficiency will be improve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챔버(C)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급구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공급구(238a) 및 제2공급구(238b)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바디(21)에 구비되는 유입구는 제1유입구(217) 및 제2유입구(219)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유입구(217)는 상기 제1공급구(238a)가 상기 후방면(213)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유입구(219)는 상기 제2공급구(238b)가 상기 후방면(213)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he supply por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drying chamber (C)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ly port (238a) and the seco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It may be provided as a supply port (238b). In this case, the inlet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21 should be provided as a first inlet 217 and a second inlet 219. The first inlet port 217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supply port 238a is projected onto the rear surface 213, and the second inlet port 219 is provided after the second supply port 238b. 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projected to the direction 213.

상기 제1공급구(238a) 및 제2공급구(238b)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의 너비방향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순환류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 공기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supply port 238a and the second supply port 238b are preferably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The purpose is to ensure that air is evenly delivered inside the drying chamber (C) through a circulating flow.

상기 제1유입구(217)와 상기 제2유입구(219) 각각으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기공급부(5)는 모터의 회전축(551)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1임펠러(53), 모터의 회전축(551)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유입구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2임펠러(54), 상기 제1임펠러와 제1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1히터(57), 및 상기 제2임펠러(54)와 제2유입구(219) 사이에 위치하는 제2히터(58)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ir supply part 5 is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onal shaft 551 of the motor so that the heated air can be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inlet 217 and the second inlet 219, to the first inlet. The first impeller 53 for moving air, the second impeller 54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551 of the motor to move the air to the second inlet, and the first impeller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first inlets I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eater (57), and a second heater (58) located between the second impeller (54) and the second inlet (219).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공급구(238a)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251, 253) 및 상기 제2공급구(238b)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유로형성부(255, 257)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is a first flow path forming portion (251, 253) for guiding air to the first supply port (238a) and a second flow path forming portion (255) for guiding air to the second supply port (238b) , 257).

상기 제1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공급구(238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더(251) 및 제2가이더(253)로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는 상기 제2공급구(238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3가이더(255) 및 제4가이더(257)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forming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r 251 and a second guider 253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supply port 238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part includes the second supply port ( 238b) may be provided as a third guider 255 and a fourth guider 257 facing each other.

상기 제1가이더(251), 제2가이더(253), 상기 제3가이더(255) 및 제4가이더(257)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서 상기 수용바디의 전방면(212)을 향해 돌출된 판(plate)으로, 상기 건조챔버(C)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r 251, the second guider 253, the third guider 255 and the fourth guider 257 protrude from the chamber front face 232 toward the front face 212 of the receiving body. As a plate, it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C).

이 경우, 상기 제1유입구(217)는 상기 제1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R1)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입구(219)는 상기 제3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4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R2)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inlet 217 is located in a space R1 formed between the point where the first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second inlet 219 is preferably located in a space R2 formed between the point where the third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point where the fourth guider is projected on the rear surface.

나아가, 상기 제1유입구(217)의 지름은 상기 제1가이더와 제2가이더 사이의 간격(L1)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제2유입구(219)의 지름은 상기 제3가이더와 제4가이더 사이의 간격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217 is set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rs,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let 219 is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guiders It is preferably set to less than the interval.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처리장치(A)는 상기 챔버 바닥면(23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C)와 상기 수용바디(21)를 연통시키는 챔버 바닥면 관통홀(238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챔버 바닥면 관통홀(238c)를 통해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chamber bottom surface 231, the chamber to communicate the drying chamber (C) and the receiving body (21) A surface through hole 238c may be further included. According to an experiment, drying efficiency may be improved through the through hole 238c at the bottom of the chamb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A)에는 상기 건조챔버(C)로 첨가제를 공급하는 첨가제 공급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첨가제는 의류에 향기를 공급하거나 의류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시트형(sheet) 방향제가 일례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supply unit 7 for supplying additives to the drying chamber C. The additive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a substance that supplies fragrance to clothing or removes odor from clothing, and a sheet fragrance may be an example.

상기 첨가제 공급부(7)는 상기 건조챔버(C)의 외주면과 상기 수용바디(2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챔버 전방면(232)과 전방면(212) 사이에 구비된 장착부(27)에 상기 첨가제 공급부(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dditive supply part 7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C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1, FIG. 1 shows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and the front surface. It shows an example where the additive supply unit 7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27 provided between 21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27)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된 케이스 수용부(271), 상기 챔버바디(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삽입구(2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273)는 챔버바디에 구비된 고정부(237)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portion 27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case receiving portion 271 and the chamber body 23 provided on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to cover the case receiving portion 271.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insertion hole (273)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insertion hole 273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fixing portion 237 provided in the chamber body.

이 경우, 상기 제1가이더(251) 및 제2가이더(253)는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의 바닥면에서 상기 건조챔버(C)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 바닥면(231) 또는 상기 바닥면(211)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guider 251 and the second guider 253 are the bottom of the chamber 231 or the bottom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C)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ccommodating portion 271 It may be provided to extend to the surface 211.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첨가제 공급구(239)를 통해 건조챔버(C)와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의 바닥면에는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관통홀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보다 효과적으로 첨가제를 건조챔버(C)로 공급하기 위함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case accommodating portion 271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drying chamber C through an additive supply hole 239 provided to penetrate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through hol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case receiving portion 27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receiving portion 271. It is to supply the additives to the drying chamber (C) more effectively.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첨가제 공급부(7)는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첨가제(78)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케이스(71) 및 제2케이스(73)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additive supply part 7 is provided in a shape insertable in the case accommodating part 271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additive 78 is accommodated, the first case 71 and the second case (73).

상기 제1케이스(71)와 제2케이스(73)는 힌지(75)를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71)에는 첨가제(78)가 수용된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홀(731) 및 제2홀(733)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ase 71 and the second case 7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75, and the first case 71 has a first hole communicating the space in which the additive 78 is accommodated with the outside. 731 and a second hole 733 may be provided.

상기 제1홀(731)과 제2홀(733)은 홀 개폐부(77)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데, 상기 홀 개폐부(77)는 상기 제1케이스(71)와 제2케이스(73)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플레이트(771),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플레이트 관통홀(773),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된 핸들(77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hole 731 and the second hole 733 are opened or closed by the hol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7, and the hol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7 is inside the first case 71 and the second case 73. It may include a reciprocable plate 771, a plate through hole 773 provided to penetrate the plate, and a handle 775 fixed to the plate.

상기 핸들(775)은 상기 제1케이스(71)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슬릿(735)에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스(71)의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는 상기 슬릿(735)을 따라 핸들(775)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handle 775 is inserted into the slit 735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ase 71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71, and the user handles the slit 735 along (775) can be moved left and right.

상기 제1홀(731), 제2홀(733) 및 상기 플레이트 관통홀(773)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771)의 너비가 상기 제1홀(731)과 제2홀(733) 사이의 최대 간격과 동일하게 구비될 경우, 상기 플레이트 관통홀(773)이 제1홀(731)과 제2홀(733) 사이에 위치하면, 제1홀(731)과 제2홀(733)은 플레이트(77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핸들(775)이 제1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홀(731)과 상기 플레이트 관통홀(773)이 겹쳐지면 상기 제1홀(731) 및 제2홀(733)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될 것이다.The first hole 731, the second hole 733, and the plate through hole 773 ar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nd the width of the plate 771 is the first hole 731 and the second hole ( 733) when provided with the same spacing as the maximum, if the plate through hole 77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hole 731 and the second hole 733, the first hole 731 and the second hole ( 733) remains closed by the plate 771. However, when the first hole 731 and the plate through hole 773 overlap because the handle 775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e is located, the first hole 731 and the second hole 733 Will be all open.

따라서, 의류에 향기를 공급하거나 의류에서 냄새를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제1홀(731)과 제2홀(733)이 개방시킨 뒤 상기 첨가제 공급부(7)를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에 장착하면 된다.Accordingly, when supplying fragrance to clothing or removing odor from clothing, the user opens the first hole 731 and the second hole 733 and opens the additive supply unit 7 to the case accommodating portion 271. You can mount it on.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랙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랙(81)은 프레임(811),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프레임 관통홀(811a),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 관통홀에 위치하는 메쉬(813)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관통홀(811a)에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바(814)가 구비될 수도 있다.10 shows an example of a rack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ack 81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811, a frame through hole 811a provided to penetrate the frame, and a mesh 813 fixed to the frame and positioned in the frame through hole. .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frame through-hole 811a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rs 81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2랙(82)은 제1랙(81)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랙(82)은 프레임(821), 프레임 관통홀(821a), 및 상기 프레임 관통홀(821a)에 구비되는 메쉬(823) 또는 다수의 바(8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ack 82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rack 81. That is, the second rack 82 may include a frame 821, a frame through hole 821a, and a mesh 823 or a plurality of bars 824 provided in the frame through hole 821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은 힌지부(9)를 통해 건조챔버(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랙(81)은 제1전방지지부(241)와 제1힌지부(9a)에 의해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랙(82)은 제2전방지지부(243)와 제2힌지부(9b)에 의해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drying chamber C through the hinge portion 9. That is, the first rack 81 is fixed inside the drying chamber C by the first anti-prevention part 241 and the first hinge part 9a, and the second rack 82 is the second anti-prevention part The drying chamber C may be fixed by the 243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9b.

상기 제1전방지지부(241)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되어 제1랙의 프레임(811)의 일단을 지지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2전방지지부(243)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되어 제2랙의 프레임(821)의 일단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전방지지부(243)은 상기 제1전방지지부(241)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The first anti-prevention support portion 24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232 to support one end of the frame 811 of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anti-prevention support portion 243 includes the chamber front surface 232 ) Is a means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frame 821 of the second rack. The second anti-static portion 243 is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anti-static portion 241.

상기 제1랙(81)은 제1힌지부(9a)를 통해 건조챔버(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랙(82)은 제2힌지부(9b)를 통해 건조챔버(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rack 8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ying chamber C through the first hinge portion 9a, and the second rack 82 is provided with a drying chamber C through the second hinge portion 9b. ) Is rotatably coupled.

상기 제2랙(82)이 제2힌지부(9b)를 통해 회전될 수 있게 한 것은 제1랙(81)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랙에 안착된 의류를 건조챔버(C)의 외부로 인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상기 제1랙(81)이 제1힌지부(9a)를 통해 회전될 수 있게 한 것은 상기 제1랙(81)을 제1힌지부(9a)에서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second rack 82 can be rotated through the second hinge portion 9b. The clothes are put into the first rack 81 or the clothes seated in the first rack are outside the drying chamber C. To facilitate withdrawal, and to enable the first rack 81 to be rotated through the first hinge portion 9a is to separate the first rack 81 from the first hinge portion 9a To facilitate this,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provided later.

상기 제1랙(81)을 건조챔버(C)에 결합시키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2랙(82)을 건조챔버(C)에 결합시키는 제2힌지부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는 상기 건조챔버(C)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각 프레임(811, 821)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랙 회전축(911), 상기 건조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랙 회전축(911)에 의해 회전하는 제1작동바디(91), 상기 건조챔버(C)의 외부에 위치하며 제1스토퍼(955) 및 제2스토퍼(957)가 구비되는 스토퍼 바디(95), 상기 제1스토퍼(955)와 상기 제2스토퍼(957)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작동바디(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디(93)는 상기 제1작동바디(91)의 회전 시 상기 제1작동바디(91)에 접촉하여 상기 제1작동바디(9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The first hinge portion for coupling the first rack 81 to the drying chamber C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for coupling the second rack 82 to the drying chamber C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hinge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drying chamber (C), the rack rotating shaft (911) to form the rotation center of each frame (811, 821), the drying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chamber, the first operating body 91 rotated by the rack rotating shaft 911,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rying chamber C, and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955 and a second stopper 957 It may include a stopper body 95, the first stopper 955 and the second operating body 93 provided to rotate between the second stopper 957. The second working body 93 is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working body 91 when the first working body 91 rotates and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orking body 91 .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바디(95)는 상기 제1스토퍼(955) 및 제2스토퍼(957)와 함께 상기 제2작동바디(93)가 수용되는 공간(수용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951) 및 제2베이스(953)로 구비될 수 있다. 12 (b), the stopper body 95 i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working body 93 is accommodated (accommodat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topper 955 and the second stopper 957. It may be provided as a first base (951) and a second base (953) forming a.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제2작동바디(9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98)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력 제공부(98)는 상기 스토퍼 바디(95)에 고정된 체결부(981), 상기 수용부 내부를 왕복 가능한 지지부(983), 상기 지지부(983)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바디(9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바디 회전축(984), 및 상기 체결부(981)와 상기 지지부(983)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98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9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providing portion 98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second working body 93, wherein the elastic force providing portion 98 is a fastening portion 981 fixed to the stopper body 95, The support body 983 reciprocating the receiving portion, the support body 983 is provided in the second working body 9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working body rotating shaft 984, and the fastening portion 981 and the A connection portion 985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983 and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support portion 983 may be included.

상기 작동바디 회전축(984)은 제2작동바디(93)에 구비된 체결홀(931)을 통해 제2작동바디(93)에 결합된다. The working body rotating shaft 984 is coupled to the second working body 93 through a fastening hole 931 provided in the second working body 93.

상기 체결부(981), 지지부(983) 및 연결부(985)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연결부(985)는 상기 체결부(981) 및 지지부(983)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부(985)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When the fastening portion 981, the support portion 983, and the connection portion 985 are provided with the same material, the connection portion 985 is provid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fastening portion 981 and the support portion 983.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support. Alternatively, the connecting portion 985 may be provided with a spring.

한편, 상기 제1랙(81)은 상기 제1힌지부(9a)의 랙 회전축(9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랙(82)은 상기 제2힌지부(9b)의 랙 회전축(9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ack 8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ack rotating shaft 911 of the first hinge portion 9a, and the second rack 82 is a rack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hinge portion 9b.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911).

이를 위해 상기 제1랙과 제2랙 각각에는 축 체결부(815, 8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811, 82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랙 회전축(911)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홈(815a, 825a), 및 상기 제1홈(815a, 825a)에서 상기 프레임(811, 82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랙 회전축(911)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홈(815b, 825b)로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shaft locks 815 and 825 may be further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As shown in Figure 10, the shaft fastening portion is exten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811, 821) the first groove (815a, 825a) to provide a path for the rack axis of rotation (911), and It may be provided as second grooves 815b and 825b extending from the first grooves 815a and 825a toward the front of the frames 811 and 821 to provide a path for the rack rotation shaft 911 to move.

사용자는 상기 제1랙과 제2랙을 투입구 방향으로 회전시킨 뒤 건조챔버(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 랙을 당기면 각 랙을 건조챔버(C)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챔버(C) 내부를 청소하거나 부피가 큰 건조대상물을 건조할 때 사용자는 각 랙(81, 82)을 건조챔처(C)에서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separate each rack from the drying chamber (C)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racks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and pulling each rack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rying chamber (C). Accordingly,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C or drying a bulky object to be dried, the user may separate each rack 81 and 82 from the drying chamber C.

상술한 구조를 가진 힌지부(9)의 작동과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2(a)는 제1랙(81)과 제2랙(82)이 제1전방지지부(241) 및 제2전방지지부(243)에 각각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랙이나 제2랙을 회전시키면 랙 회전축(911)에 의해 제1작동바디(91)도 회전하게 된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hinge part 9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s shown in FIG. 12. FIG. 12 (a)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are seated on the first anti-prevention part 241 and the second anti-prevention part 243, respectively. 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the first operation body 91 is also rotated by the rack rotation axis 911.

상기 제1작동바디(91)가 기 설정된 제1각도(A1)까지 회전하면, 상기 제1작동바디(91)의 자유단은 제2작동바디(93)에 연결된다. 상기 제2작동바디(93)는 탄성력 제공부(98)에 의해 상기 제1작동바디(91)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제1작동바디(91)가 제2작동바디(93)에 결합되면 제1랙(81)과 제2랙(82)은 제1각도(A1)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랙(82)이 제1각도(A1)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면 사용자는 제1랙(81)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랙에 저장된 의류를 건조챔버의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When the first working body 91 rotates to a predetermined first angle A1, the free end of the first working body 91 is connected to the second working body 93. Since the second working body 93 maintains a stat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working body 91 by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98, the first working body 91 is the second working body 93 When coupled to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is able to maintain a rotated state by a first angle (A1). When the second rack 82 is rotated by the first angle A1, it is easy for a user to put clothes into the first rack 81 or to take out clothes stored in the first rack out of the drying chamber. something to do.

한편, 상기 제2작동바디(93)의 반시계방향 최대 회전각도는 제2스토퍼(957)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제2작동바디(93)의 시계방향 최대 회전각도는 제1스토퍼(955)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제1각도(A1)보다 더 큰 각도로 설정된 제2각도(A2)까지 제1랙이나 제2랙이 회전하면, 상기 제2작동바디(93)는 상기 제2스토퍼(957)에 접촉하고, 각 랙은 제2각도(A2)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이 제2각도(A2)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면 사용자는 제1랙(81) 및 제2랙(82)을 편리하게 건조챔버(C)에서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ximum counterclockwis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orking body 93 is limited by the second stopper 957, and the maximum clockwis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orking body 93 is the first stopper 955 Is limited by. When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rotates to the second angle A2 set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A1, the second working body 93 contacts the second stopper 957 , Each rack is rotated by the second angle (A2). When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are rotated by the second angle A2, the user can conveniently dry the first rack 81 and the second rack 82 with the drying chamber C ).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랙의 프레임(811, 821)에는 절곡부(811b, 821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811b, 821b)는 상기 랙 회전축(911)이 결합되는 프레임의 일면이 상기 건조챔버(C)의 내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811b, 821b)는 각 랙(81, 82)에 의해 구분되는 두 개의 공간(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수단이다.10 and 11, the frames 811 and 821 of each rack may further include bent portions 811b and 821b. The bent portions 811b and 821b are provided with one side of the frame to which the rack rotating shaft 911 is coupled bent awa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C. The bent portions 811b and 821b are means for communicating two spaces (spaces located at the top of the frame and space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divided by the racks 81 and 82.

의류와 같은 건조대상물이 접히지 않은 상태로 랙(81, 82)에 거치되어야만 건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상기 절곡부(811b, 821b)는 의류가 접힘 없이 랙에 거치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절곡부(811b, 821b)가 각 프레임(811, 821)에 구비되면, 의류의 소매와 같이 길이가 긴 건조대상물은 각 랙(81, 82)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는 길이가 긴 의류를 접지 않고도 랙에 거치할 수 있다.The drying time can be minimized only when the object to be dried, such as clothes, is mounted on the racks 81 and 82 without being folded, and the bent portions 811b and 821b are means to allow the clothes to be mounted on the rack without folding. When the bent portions 811b and 821b are provided in each frame 811 and 821, a long dry object such as a sleeve of clothing can move to a space located under each rack 81 and 82, so that the user Long garments can be mounted on a rack without folding.

도 13은 제1처리장치(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처리장치(A)는 제1랙(81)은 제1전방지지부(241) 및 제1후방지지부(242)에 의해 건조챔버(C)에 지지되고, 제2랙(82)은 제2전방지지부(243) 및 제2후방지지부(244)에 의해 건조챔버(C)에 지지되는 것이 특징이다.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ack (81) is the first anti-prevention part (241) and the first re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by the drying chamber (C) by the support portion 242, and the second rack (82) is supported by the drying chamber (C) by the second pre-prevention support portion 243 and the second post-prevention support portion 244. .

이 경우, 상기 제1랙과 제2랙은 도 14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4의 랙은 프레임(81),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프레임 관통홀(811a), 상기 프레임 관통홀에 구비되는 메쉬(83) 또는 바(bar), 상기 프레임(81)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구비되는 제1회전판(86) 및 제2회전판(88)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14. The rack of FIG. 14 includes a frame 81, a frame through hole 811a provided to penetrate the frame, a mesh 83 or bar provided in the frame through hole, and opposite sides of the frame 81. It includes a first rotating plate 86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provided in the.

상기 제1회전판(86)은 제1힌지(863)을 통해 상기 프레임(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판(86)에는 제1회전판(86)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제1회전판 관통홀(86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판(88) 역시 제2회전판 고관통홀(881) 및 제2힌지(88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plate 8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81 through a first hinge 863,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86 has a plurality of agents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rotating plate 86. One through plate through hole 861 may be provide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may also be provided to include a second rotating plate high through hole 881 and a second hinge 883.

상술한 구조를 가진 랙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1회전판(86)과 제2회전판(88)을 도 15와 같이 접을 수 있어, 상술한 절곡부(821b)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 rack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llows the user to fold the first rotating plate 86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as shown in FIG. 15, thereby realizing the same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bent portion 821b.

도 16은 제1처리장치(A)가 제2처리장치(B)의 상부에 위치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처리장치(B)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2처리장치(B)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FIG. 16 shows an example of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A is located above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B.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B described through FIG. 2.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A)는 제1캐비닛(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13), 및 상기 제1캐비닛(1) 또는 드로워(2)에 구비되어 건조챔버(C)의 투입구(236)를 개폐하는 도어(236a)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3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binet 1 and the first cabinet 1 or the drawer 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oor 236a to open and close the inlet 236 of the drying chamber C.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righ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의류처리장치 A: 제1처리장치 B: 제2처리장치
1: 제1캐비닛 11: 인출구 13: 관통홀
2: 드로워 21: 수용바디 23: 챔버바디
236: 투입구 236a: 도어 238a: 제1공급구
238b: 제2공급구 238c: 챔버 바닥면 관통홀
239: 첨가제 공급구 251: 제1가이더 253: 제2가이더
255: 제3가이더 257: 제4가이더 27: 장착부
271: 케이스 수용부 273: 삽입구 29: 패널
291: 컨트롤패널 5: 제1공기공급부 51: 하우징
3: 제1임펠러 54: 제2임펠러 57: 제1히터
58: 제2히터 7: 첨가제 공급부 81: 제1랙
811: 프레임 811a: 프레임 관통홀 811b: 절곡부
813: 메쉬 814: 바 815: 축 체결부
82: 제2랙 9: 힌지부 91: 제1작동바디
911: 랙 회전축 93: 제2작동바디 931: 체결홈
95: 스토퍼 바디 955: 제1스토퍼 957: 제2스토퍼
98: 탄성력 제공부 981: 체결부 983: 지지부
984: 작동바디 회전축 985: 연결부
100: clothing processing unit A: first processing unit B: second processing unit
1: First cabinet 11: Outlet 13: Through hole
2: Drawer 21: Receiving body 23: Chamber body
236: input port 236a: door 238a: first supply port
238b: Second supply port 238c: Chamber bottom surface through hole
239: additive supply port 251: first guider 253: second guider
255: third guider 257: fourth guider 27: mounting portion
271: case receiving portion 273: insertion port 29: panel
291: control panel 5: first air supply 51: housing
3: First impeller 54: Second impeller 57: First heater
58: second heater 7: additive supply unit 81: first rack
811: frame 811a: frame through hole 811b: bend
813: mesh 814: bar 815: shaft joint
82: second rack 9: hinge 91: first working body
911: Rack rotating shaft 93: Second working body 931: Fastening groove
95: stopper body 955: first stopper 957: second stopper
98: elastic force providing portion 981: fastening portion 983: support portion
984: working body rotating shaft 985: connection

Claims (16)

밑면 및 상기 밑면과 연결된 옆면들을 포함하는 수용바디;
챔버 밑면 및 챔버 옆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 내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건조챔버;
상기 챔버 밑면과 이격되어 건조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랙;
상기 수용바디의 옆면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챔버 옆면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바디 내부의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공급구;
상기 챔버 옆면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전방지지부; 및
상기 챔버 옆면에 고정되고, 상기 랙을 상기 건조챔버에 회전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receiving body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 drying chamber including a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and side surfaces of the chamber and spaced apart inside the receiving body;
A rack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support an object to be dried;
An inlet configured to penetrate any one of side surfaces of the receiving body;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air to the receiving body through the inlet;
A supply port formed on any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hamber and introducing air inside the receiving body into the drying chamber;
A front support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rack; And
And a hinge portion fixed to the side of the chamber and rotatingly coupling the rack to the drying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건조대상물이 지지될 수 있는 메쉬(mesh) 또는 다수의 바(bar)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ck is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sh (mesh) or a plurality of bars (bar) to which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suppo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챔버 밑면과 이격되며 건조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랙; 및
상기 제1랙의 상부에 위치하고 건조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ck,
A first rack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support a drying object; And
A second rack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ck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an object to be dried.
The supply port is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회전중심을 정의하는 랙 회전축,
상기 건조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랙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작동바디;
상기 건조챔버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 바디;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작동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hinge portion,
Rack axis of rotation that defines the center of rotation,
A first operating body located outside the drying chamber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the rack rotating shaft;
A stopper body located outside the drying chamber and including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And a second working body configured to rotate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바디는 상기 제1작동바디의 회전 시, 상기 제1작동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제1작동바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working body, when the first working body is rotated, touches the first working body and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orking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바디는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바디는 상기 제1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topper body further includes a first base and a second base,
The second operating body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by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스토퍼 바디에 고정된 체결부;
상기 수용부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
상기 제2작동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바디 회전축; 및
상기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hinge portion,
A fastening part fixed to the stopper body;
A support portion configured to reciprocate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 rotating shaft of the working body to which the second working body is rotatably coupled; And
And an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including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fasten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configured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support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바디가 기 설정된 제1각도까지 회전할 때, 상기 제1작동바디의 일단은 상기 제2작동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작동바디는 상기 상기 제1작동바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first working body rotates to a preset first angle, one end of the first working body is connected to the second working body, and the second working body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working body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바디가 상기 제1각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2각도까지 회전할 때, 상기 제2작동바디는 상기 제2스토퍼에 접촉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first working body rotates to a second preset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the second working body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to maintain the st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랙 회전축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랙 회전축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rack,
frame;
A first groove extending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and configured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rack rotation axis moves; And
And a second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groove toward the front of the frame and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rack rotation axis m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챔버 밑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is located in a lower position than the bottom of the chamber,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밑면과 상기 챔버 밑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유로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guider and a second guide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pply por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urther comprising a flow path form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ir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hamber bottom surface to the supply port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공급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 사이의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let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supply por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overlap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폭은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 사이의 간격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width of the inlet is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공급구 및 제2공급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급구와 상기 제1유입구는 서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급구와 상기 제2유입구는 서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ly port includes a first supply port and a second supply port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inlet includes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first inlet is dispos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each other overlap, and the second supply port and the second inlet are dispos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each other overlap.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모터의 회전축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1임펠러;
상기 모터의 회전축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유입구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2임펠러;
상기 제1임펠러와 제1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1히터; 및
상기 제2임펠러와 제2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2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air supply unit of claim 15,
A first impeller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o move air to the first inlet;
A second impeller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o move air to the second inlet;
A first heat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mpeller and the first inlet; And
And a second heate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impeller and the second inlet.
KR1020200050591A 2020-04-27 2020-04-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474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591A KR20200047483A (en) 2020-04-27 2020-04-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591A KR20200047483A (en) 2020-04-27 2020-04-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294A Division KR102107802B1 (en) 2019-01-08 2019-01-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483A true KR20200047483A (en) 2020-05-07

Family

ID=7073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591A KR20200047483A (en) 2020-04-27 2020-04-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748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4895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US9010158B2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KR10193929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1817B1 (en) Laundry Machine
KR10231608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30220605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365510B2 (en) Iron device,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488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009326A (en) Laundry drying Apparatus
AU2017205824B2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KR101319881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3007898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774206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U202420195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0662472B1 (en) Laundry dryer with steam generator
KR10210780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4748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8167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40125039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30063654A (en) Washer dryer
KR10231608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113012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