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208A -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208A
KR20200047208A KR1020180129363A KR20180129363A KR20200047208A KR 20200047208 A KR20200047208 A KR 20200047208A KR 1020180129363 A KR1020180129363 A KR 1020180129363A KR 20180129363 A KR20180129363 A KR 20180129363A KR 20200047208 A KR20200047208 A KR 20200047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ultivation
plant
unit
growth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다윤
Original Assignee
최다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다윤 filed Critical 최다윤
Priority to KR102018012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7208A/ko
Publication of KR2020004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otan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재배용 작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고, 주위의 날씨 변화에 따라 날씨 변화를 상쇄할 수 있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며, SNS를 통하여 식물과 스마트폰등의 이용자가 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촉성재배와 아울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음악 또는 음성의 음향 데이터를 식물을 향하여 재생하는 식물재배 음향부; 식물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물재배 촬영부;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통신 모듈과, 컴퓨터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마련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에, 상기 음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식물재배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식물재배 표시부; 및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저장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식물재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재배 음향부로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식물재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재배 표시부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Smart system for promoting plant growth using contents}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재배용 작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고, 주위의 날씨 변화에 따라 날씨 변화를 상쇄할 수 있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며, SNS를 통하여 식물과 스마트폰등의 이용자가 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촉성재배와 아울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악을 동식물, 특히 농작물에 들려주어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은 비료나 농약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생육방법과 달리, 환경공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식물에 음악을 들려주어 생육을 촉진하려는 시도는 1860년경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에 의해 최초로 시도된 이래, 1950년 인도의 싱 교수가 인도의 전통음악인 라가를 벼, 땅콩 및 담배에 들려주어 수확량 증가를 이룬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음파가 식물세포에 공명현상을 일으켜 신진대사를 자극하고 음향에너지가 세포분자 및 원형질의 운동을 촉진시킴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육촉진방법에 사용된 음악은 주로 4,000Hz의 이상의 고주파를 사용하는 동시에 오케스트라에 의한 심포니 연주음악과 유사한 복잡한 음악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간의 청신경을 자극하여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며, 인공음으로 듣기에도 거북하여 재배자의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식물의 생육촉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전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그린음악, 음파, 초음파 등을 이용한 동, 식물 등의 생육 및 병·해충 억제에 관한 방법, 장치 등은 단순하게 음악, 음파, 초음파 등이 동, 식물 재배 관련하여 그 효과, 장치 등을 내용으로 하나 넓은 작물재배 공간과 좁고 긴 시설하우스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그 방법과 시스템장치 구현에 관한 내용이 나와 있지 않았고 주파수 범위가 폭넓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실제 농식물 재배 농장에서 구현 가능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의 IT분야는 기술의 효용성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다시 말해 정확성, 속도, 효율성을 앞세웠던 IT 기술이 센서의 발전을 바탕으로 인간과의 감성, 교감, 소통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인간과 사물의 인터랙션을 중요시하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이 주요한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지능화된 디지털 기기의 보급 확산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더욱 활성화되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모바일 인터넷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1대1 관계(이미 상호간에 알고 있던 사람들 사이의 관계)로만 이루어지던 소통 방식을 1대다수 간에 소통할 수 있는 소통 방식으로 변화시켰다.
상기와 같은 변화 추세에 따라 더욱 최근에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던 소통 방식을 사람과 사물(예 : 식물, 동물) 사이에서도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있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인터넷이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작물 재배 환경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 있을 뿐, 사용자와 식물간에 대화를 하는 느낌을 갖거나, 또는 감성적으로 교류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없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식물이 재배되고 있는 땅(또는 온실)의 상태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예 : 급수 요구 정보)를 통보하거나, 급수 장치 또는 조도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종래에는 인터넷이나 문자 메시지를 수단으로 이용하여 작물의 재배 환경 정보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현재 해야할 일을 알 수 있도록 할 뿐이었다.
국내등록특허번호 “10-0131133-0000 호” “음악을 이용한 동식물의 생육 촉진 방법및 그 제조방법 ” 국내 등록특허번호 “10-0561035-0000 호”“음악을 이용한 건포도종 배양장치 및 그 배양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물의 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재배용 작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고, 주위의 날씨 변화에 따라 날씨 변화를 상쇄할 수 있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며, SNS를 통하여 식물과 스마트폰등의 이용자가 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촉성재배와 아울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재배 베이에 마련되며, 음악 또는 음성의 음향 데이터를 식물을 향하여 재생하는 식물재배 음향부;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식물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물재배 촬영부;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통신 모듈과, 컴퓨터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마련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에, 상기 음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식물재배 통신부;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에 마련되며,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식물재배 표시부; 및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에 마련되며,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저장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식물재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재배 음향부로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식물재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재배 표시부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재배용 작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고, 주위의 날씨 변화에 따라 날씨 변화를 상쇄할 수 있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며, SNS를 통하여 식물과 스마트폰등의 이용자가 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촉성재배와 아울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보 온도, 측정 온도, 설정 온도, 운전 온도 및 보정 온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예보 습도, 측정 습도, 설정 습도, 운전 습도 및 보정 습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는, 식물재배 음향부(110), 식물재배 촬영부(120), 식물재배 통신부(130), 식물재배 표시부(140) 및 식물재배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식물재배 음향부(110)는 수경 재배인 경우에 식물재배 베이(10)의 각층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설치하여 음악 또는 음성의 음향 데이터를 식물을 향하여 재생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20) 또는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기(30)에 저장된 음악의 음향 데이터나 사용자의 음성을 식물재배 음향부(110)는 식물재배 통신부(130)를 통해 내려 받아 실시간 또는 저장하여 재생한다. 즉, 식물재배 음향부(110)는 음향 데이터 메모리와 다수의 블루투스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10)(bay)에는 수경 재배 작물이 심어질 수 있다.
수경 재배 작물의 생장을 위해 베이(10)에는 양액이 수용될 수 있다. 양액은 수경 재배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과 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수경 재배 작물은 생장을 위해 물을 흡수하므로, 베이(10)에 수용된 양액의 양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수경 재배 작물은 양액에 포함된 비료도 흡수하므로, 베이(10)에 수용된 양액의 비료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수경 재배 작물을 성장시키기 위한 베이(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온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온실의 경우에는 각층에 블루투스 스피커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식물별로 구획된 구역에 설치된다.
식물재배 촬영부(120)는 베이(10)의 각 층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식물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촬영될 수 있으며 연속으로 촬영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동영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로 생성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촬영 요청하는 경우, 식물재배 제어부(15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언제든지 식물을 촬영할 수 있다.
식물재배 통신부(130)는 베이(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통신 모듈(131)과, 컴퓨터(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에 마련되는 제2 통신 모듈(132)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모듈(131) 및 제2 통신 모듈(132) 간에, 음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식물재배 표시부(140)는 컴퓨터(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 상에 마련되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식물재배 표시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식물재배 제어부(150)는 컴퓨터(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 상에 마련되며, 컴퓨터(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에서 생성되거나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식물재배 통신부(130)를 통하여 식물재배 음향부(110)로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식물재배 제어부(150)는 영상 데이터를 식물재배 통신부(130)를 통하여 식물재배 표시부(140)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식물재배 제어부(150)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 제어부(150)는 식물 재배 촬영부(120)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식물 종류를 구분하고, 그에 따른 음향을 식물재배 음향부(110)가 제공하도록 한다.
일예로, 보통 식물들은 고전 음악을 좋아하나, 오이와 호박은 퉁소 독주를 좋아하며, 토마토는 낭만적인 음악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식물 재배 제어부(150)는 확인된 식물 종류에 적합한 음향을 식물재배 음향부(110)가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식물 재배 제어부(150)는 날씨를 확인하여 날씨가 화창한 경우에는 느린 음악을 제공하며, 날씨가 흐린 날에는 경괘한 음악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제어부(150)는 토마토인 경우에 900 Hz 내지 1200 Hz의 음파를 처리하여 과실의 성숙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는, 식물 재배 제어부(150)는 토마토인 경우에 900 Hz 내지 1100 Hz의 음파를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50 내지 100 dB의 소리 크기로 처리하여 과실의 성숙을 지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 제어부(150)는, 식물재배 촬영부(120)가 식물의 성장 상태를 주기적으로 스틸샷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 즉시 영상 데이터를 식물재배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식물의 성장 정도를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은, 식물의 성장 상태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은,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식물 재배 베이(10)에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음향을 제공하는 한편, 식물의 성장 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식물 재배의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은, 식물재배 음향부(210), 식물재배 촬영부(220), 식물재배 통신부(230), 식물재배 표시부(240), 식물재배 제어부(250) 및 성장대화 생성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의 식물재배 음향부(210), 식물재배 촬영부(220), 식물재배 통신부(230), 식물재배 표시부(240) 및 식물재배 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의 식물재배 음향부(110), 식물재배 촬영부(120), 식물재배 통신부(130), 식물재배 표시부(140)
및 식물재배 제어부(1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구조 및 동작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를 참조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은, 컴퓨터(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 상에 마련되며, 식물의 종류에 따라 성장 주기별 성장정보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영상 데이터를 성장정보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거나 영상 데이터 자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성장 변화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하되, 대화형 성장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성장대화 생성부(260)를 더 포함한다.
대화형 성장변화 데이터는 식물재배 제어부(250)에 의해 식물재배 표시부(240)에 전송되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성장대화 생성부(260)가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식물의 성장주기에 따른 꽃의 이미지 정보, 열매의 이미지 정보, 잎과 줄기의 크기, 색상 등의 변화 이미지 정보 등과 이미지 처리 기법으로 분석하여 성장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딸기의 열매 형상 및 색상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형상 및 색상 이미지가 있는지 검출 결과에 따라 딸기 열매가 생성될 정도로 성장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성장 정도, 관리 주기 등에 맞추어 미리 대화 목록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해 둠으로써, 필요한 경우 이를 읽어 들여 상황에 맞춘 대화형 성장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딸기를 키우고 있다면 성장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주인님 열매가 나기 시작했어요”, “주말에 쉬시는 동안 전 이만큼 성장했어요”, “제가 맛있게 성장했어요” 등 다양한 대화로 성장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은, 식물의 성장 상태를 분석하여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에 대화형 성장변화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마치 식물이 성장 상태를 직접 말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어, 식물 재배의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은, 식물재배 음향부(310), 식물재배 촬영부(320), 식물재배 통신부(330), 식물재배 표시부(340), 식물재배 제어부(350) 및 식물재배 조명부(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의 식물재배 음향부(310), 식물재배 촬영부(320), 식물재배 통신부(330), 식물재배 표시부(340) 및 식물재배 제어부(3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의 식물재배 음향부(110), 식물재배 촬영부(120), 식물재배 통신부(130), 식물재배 표시부(140) 및 식물재배 제어부(1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구조 및 동작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참조하기로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는, 식물재배 베이(10)의 각층에 마련되며, 수경재배 가능하도록 LED로 형성되는 식물재배 조명부(3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식물재배 조명부(360)는 식물재배 제어부(350)의 제어 동작으로 LED가 켜지는 시간, 켜지는 주기, 켜지는 밝기, 이에 따른 식물재배 베이(10) 내의 온도 제어까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는 식물의 수경 재배가 가능하게 되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30)를 이용하여, 휴일, 휴가 또는 출장 중에도 식물재배 제어부(350)를 통해 식물재배 조명부(360)를 원격제어하는 것에 의해 식물을 원격으로 재배 관리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은, 식물재배 음향부(410), 식물재배 촬영부(420), 식물재배 통신부(430), 식물재배 표시부(440), 식물재배 제어부(450), 식물재배 온도감지부(460) 및 식물재배 습도감지부(4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의 식물재배 음향부(410), 식물재배 촬영부(420), 식물재배 통신부(430), 식물재배 표시부(440) 및 식물재배 제어부(4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의 식물재배 음향부(110), 식물재배 촬영부(120), 식물재배 통신부(130), 식물재배 표시부(140) 및 식물재배 제어부(1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구조 및 동작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를 참조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는, 식물재배 베이(10)의 각층에 마련되며, 식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물재배 온도감지부(460)와, 식물재배 베이(10)의 각층에 마련되며, 식물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물재배 습도감지부(4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는 식물재배 통신부(430)를 통하여 식물재배 표시부(440)에 표시되도록 식물재배 제어부(450)가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모든 정보는 PC 또는 스마트폰에 전송되며 각각의 소프트웨어에서는 식물의 온도, 습도 등 정보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즉, 온도 및 습도는 식물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모니터링하여 식물 재배 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식물재배 제어부(450)는 일기 예보 서버(500)로부터 1일 예보 온도, 예보 습도 등을 전송받는다.
그리고, 식물재배 제어부(4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온도(일예로 13도)에서 10도 이상 차이가 나면 온열기(510)와 냉방기(520)의 운전 온도를 차이에 비례하여 저감하게 되며 이러한 온도 차이가 10도 이하로 될때까지 지속한다.
이때, 식물재배 제어부(450)는 기상 센서부(530)를 통하여 외부의 측정된 온도를 입력받아 측정된 온도가 예보 온도보다 3도 이상 이격되어 있으면 측정 온도를 반영하여 운전 온도를 더 저감시킨 보정 온도로 온열기(510)와 냉방기(520)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처럼 측정된 온도가 예보 온도보다 일정 이상이 된 경우에만 반영하도록 한 경우에는 운전 상태의 빈번한 변화로 인한 여러가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식물재배 제어부(4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습도(일예로 30%)에서 30% 이상 차이가 나면 습도 조절기(540)의 운전 습도를 차이에 비례하여 저감하게 되며 이러한 습도 차이가 30% 이하로 될때까지 지속한다.
이때, 식물재배 제어부(450)는 기상 센서부(530)를 통하여 외부의 측정된 습도를 입력받아 측정된 습도가 예보 습도 보다 3% 이상 이격되어 있으면 측정 습도를 반영하여 운전 습도를 더 저감시킨 보정 습도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처럼 측정된 습도가 예보 습도보다 일정 이상이 된 경우에만 반영하도록 한 경우에는 운전 상태의 빈번한 변화로 인한 여러가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식물재배 제어부(45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를 통해 재배할 식물과 사용자가 감성적인 소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소통되는 감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물의 생장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물에 대응하는 SNS 계정에 상기 식물의 생장 상태에 대응하는 감성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식물 관리자 뿐만 아니라, 다수의 SNS 이용자(예 : SNS 팔로워)들도 상기 식물과 대화하고 감성을 교류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재배용 작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고, 주위의 날씨 변화에 따라 날씨 변화를 상쇄할 수 있는 종류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며, SNS를 통하여 식물과 스마트폰등의 이용자가 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촉성재배와 아울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된다.
10 : 식물 재배 베이
20 : 컴퓨터
30 : 모바일 단말기
110, 210, 310, 410 : 식물재배 음향부
120, 220, 320, 420 : 식물재배 촬영부
130, 230, 330, 430 : 식물재배 통신부
131, 231, 331, 431 : 제1 통신 모듈
132, 232, 332, 432 : 제2 통신 모듈
140, 240, 340, 440 : 식물재배 표시부
150, 250, 350, 450 : 식물재배 제어부
260 : 성장대화 생성부
360 : 식물재배 조명부
460 : 식물재배 온도감지부
470 : 식물재배 습도감지부

Claims (15)

  1. 식물재배 베이에 마련되며, 음악 또는 음성의 음향 데이터를 식물을 향하여 재생하는 식물재배 음향부;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식물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물재배 촬영부;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통신 모듈과, 컴퓨터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마련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에, 상기 음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식물재배 통신부;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에 마련되며,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식물재배 표시부; 및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에 마련되며,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저장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식물재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재배 음향부로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식물재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재배 표시부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는 상기 식물재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식물 종류를 확인하여 확인된 식물 종류에 따른 음향을 상기 식물재배 음향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는 상기 식물재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확인된 식물 종류가 오이나 호박인 경우에 퉁소 독주를 상기 식물재배 음향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4.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는 상기 식물재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확인된 식물 종류가 토마토인 경우에 900 Hz 내지 1200 Hz의 음파를 처리하여 과실의 성숙을 지연시키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5.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는 상기 식물재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확인된 식물 종류가 토마토인 경우에 900 Hz 내지 1100 Hz의 음파를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50 내지 100 dB의 소리 크기로 처리하여 과실의 성숙을 지연시키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6.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제어부는 날씨를 확인하여 날씨에 따른 음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는, 상기 식물재배 촬영부가 상기 식물의 성장 상태를 주기적으로 스틸샷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 즉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식물재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식물의 성장 정도를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에 마련되며, 상기 식물의 종류에 따라 성장 주기별 성장정보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성장정보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 자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성장 변변화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하되, 대화형 성장변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성장대화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화형 성장변화 데이터는 상기 식물재배 표시부에 전송되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내측에 마련되며, 수경재배 가능하도록 LED로 형성되는 식물재배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음향부는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각층에 설치된 다수의 블루투스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11.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촬영부는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각층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1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를 통해 재배할 식물과 사용자가 감성적인 소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1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식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물재배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식물재배 베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식물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물재배 습도감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상기 습도 데이터는 상기 식물재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재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14.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는 일기 예보 서버로부터 예보 온도를 입력받아 식물재배 베이의 설정 온도를 입력받은 예보 온도에 따라 변경한 운전 온도로 제어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15.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 제어부는 일기 예보 서버로부터 예보 온도를 입력받아 식물재배 베이의 설정 온도를 입력받은 예보 온도에 따라 변경한 운전 온도로 제어하며, 기상 센서부에서 측정된 외부 측정 온도가 예보 온도와 일정 이상 차이가 있으면 운전 온도를 보정한 보정 온도로 온열기 또는 냉방기를 구동하는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KR1020180129363A 2018-10-26 2018-10-26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KR20200047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63A KR20200047208A (ko) 2018-10-26 2018-10-26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63A KR20200047208A (ko) 2018-10-26 2018-10-26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208A true KR20200047208A (ko) 2020-05-07

Family

ID=7073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63A KR20200047208A (ko) 2018-10-26 2018-10-26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72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9924A (zh) * 2021-05-10 2021-07-30 中外智库国际经济文化交流(北京)中心 一种促进藤蔓植物生长的人工智能装置
CN114731859A (zh) * 2022-04-26 2022-07-12 张美连 一种区域环境内农作物生长监控和控制方法及系统
KR102595648B1 (ko) * 2023-03-10 2023-10-27 주용제 자연광 송광형 스마트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035B1 (ko) 2004-02-24 2006-03-17 주식회사 기린 음악을 이용한 건포도종 배양장치 및 그 배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035B1 (ko) 2004-02-24 2006-03-17 주식회사 기린 음악을 이용한 건포도종 배양장치 및 그 배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9924A (zh) * 2021-05-10 2021-07-30 中外智库国际经济文化交流(北京)中心 一种促进藤蔓植物生长的人工智能装置
CN114731859A (zh) * 2022-04-26 2022-07-12 张美连 一种区域环境内农作物生长监控和控制方法及系统
KR102595648B1 (ko) * 2023-03-10 2023-10-27 주용제 자연광 송광형 스마트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044B1 (ko)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47208A (ko)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CN203433329U (zh) 一种智能温室大棚物联网远程监控装置
CN10665740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作物生长监测平台及其监测方法
CN104855180A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种植装置、系统及方法
CN204837305U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种植装置、系统
JPWO2007091586A1 (ja) 携帯電話を利用した植物育成システム
JP2017143794A (ja) 育成システム、栽培機器、育成管理サーバー、栽培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育成方法
CN107248340A (zh) 一种基于立体农业的农业知识科普教育平台
KR102128266B1 (ko) IoT 기술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961875A (zh) 一种基于微型农场的在线视频云教学系统
CN104115696A (zh) 基于物联网的箱式数字农场
KR20160110634A (ko)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및 스마트 식물 재배 방법
KR101949252B1 (ko)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의 내부 환경을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03892B1 (ko) 식물 재배 시스템
CN114341935A (zh) 呈现与种植方案连同每个种植阶段的条件一起存储的图像
CN207908882U (zh) 智能生态种植设备及控制系统
KR102377963B1 (ko) 육묘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7750725A (zh) 结合人工智能的宠物盆栽系统
CN107871422A (zh) 一种基于立体农业的农业知识科普教育平台
CN10898384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中草药种植监测系统
WO20182315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waves in a grow pod
US20150312701A1 (en) Framework of cloud service for biological growth
KR102564968B1 (ko) 블록 코딩에 기반한 개인용 식물 재배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Mayton Sensor networks for experience and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