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098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098A
KR20200047098A KR1020180129122A KR20180129122A KR20200047098A KR 20200047098 A KR20200047098 A KR 20200047098A KR 1020180129122 A KR1020180129122 A KR 1020180129122A KR 20180129122 A KR20180129122 A KR 20180129122A KR 20200047098 A KR20200047098 A KR 20200047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inge
fixing
plat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772B1 (ko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18012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7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넓은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고 접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휨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접철선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접철선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힌지부는, 코일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내측스프링과, 코일의 단면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힌지부가 절곡될 때 상기 내측스프링의 코일과 코일 사이로 침투하여 상기 스프링힌지부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외측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Portable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넓은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고 접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표시장치는 CRT(cathode-Ray Tube)를 대신해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이하 "FPD") 위주로 그속히 변화해 왔다. FPD에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표시장치(LED) 등이 있다. 이러한 FPD는 CRT에 비해 경량 박형이고 대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반면, FPD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 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와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휠 수 있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간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영상의 휘도 및 색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간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의 기울어진 정도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영상의 휘도 및 색죄표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한 후, 보정된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한 케이스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고, 접히는 과정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들뜨지 않도록 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힌지부재(B)의 구조가 복잡하고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단말기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단말기를 접었을 때도 힌지부재(B)와 가까운 부분의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간이 많이 벌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0456호(2013.11.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4281호(2014.10.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5457호(2015.03.2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힌지구조를 단순화하여 휴대단말기를 접거나 펼쳤을 때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고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휨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접철선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접철선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힌지부는, 코일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내측스프링과, 코일의 단면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힌지부가 절곡될 때 상기 내측스프링의 코일과 코일 사이로 침투하여 상기 스프링힌지부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외측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상기 스프링힌지부를 덮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가 각각 힌지결합되는 힌지케이스와, 상기 힌지케이스를 덮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힌지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커버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제1 바디부에는 상기 힌지커버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힌지커버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커버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힌지커버가 상기 제1 삽입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긴 제1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커버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힌지커버가 상기 제2 삽입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긴 제2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에는 상기 제1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제2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안내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부착되는 제1 플레이트와, 일면에 상기 제1 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상기 힌지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1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1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1 커버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부착되는 제2 플레이트와, 일면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상기 힌지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하우징과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상기 제2 하우징과 제2 커버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 바디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바디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바디부에 장착되는 제1 고정케이스와, 제1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고정가이드와,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에 장착되는 제2 고정케이스와, 제2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고정가이드와,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타단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측스프링의 외경은 상기 내측스프링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외측스프링의 내경은 상기 내측스프링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외측스프링의 코일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힌지구조를 단순화하여 휴대단말기를 접거나 펼쳤을 때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힌지부에 의해 자유롭게 접거나 펼칠 수 있으며, 180°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각도에서도 꺾인 상태를 유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접은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펼친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은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가 일정 각도로 꺾여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 제2 고정부재 및 스프링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힌지부의 단면도.
도 11은 스프링힌지부가 꺾여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단면도.
도 13은 도 6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단면도.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일정 각도로 꺾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스프링힌지부에 의해 자유롭게 접거나 펼칠 수 있고, 180°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각도에서도 꺾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 제1 바디부(200), 제2 바디부(300), 힌지케이스(400), 힌지커버(500), 제1 고정부재(600), 제2 고정부재(700) 및 스프링힌지부(800)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휨변형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부(100) 자체를 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넓은 디스플레이부(100)를 제공할 수 있고,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기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00)는 접히는 부분이 분명히 구분되지는 않지만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00)에 점선으로 표시하고 접철선(S)이라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철선(S)은 디스플레이부(100)의 1/2 지점이지만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접철선(S)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가 비대칭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접철선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100)의 어느 일측에 결합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의 어느 일부분이 제1 바디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부(200)는 제1 하우징(210), 제1 플레이트(220) 및 제1 커버플레이트(230)로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210), 제1 플레이트(220) 및 제1 커버플레이트(230)는 도 8에서 좌측에 위치한다. 제1 하우징(210)은 힌지케이스(400)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제1 하우징(210)에는 복수의 자석이 장착된다. 제1 하우징(210)에 장착되는 자석은 휴대단말기를 접었을 때 자석의 인력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220)는 제1 하우징(210)의 일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220)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어느 일부분이 부착된다. 제1 커버플레이트(230)는 제1 하우징(210)의 타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제1 바디부(200)에는 제1 고정홈(240) 및 제1 삽입홈(250)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홈(240)은 제1 하우징(210)과 제1 플레이트(220)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고정홈(240)에는 스프링힌지부(800)의 일단이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홈(240)에는 제1 고정부재(600)가 삽입되고, 제1 고정부재(600)에 의해 스프링힌지부(800)의 일단이 고정된다. 제1 삽입홈(2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0)과 제1 커버플레이트(230)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삽입홈(250)에는 힌지커버(500)의 어느 일측이 삽입된다. 한편, 제1 하우징(210)에는 힌지커버(500)를 향해 제1 안내돌기(211)가 형성된다. 제1 안내돌기(211)는 힌지커버(500)에 형성되는 제1 안내홈(510)에 삽입된다.
제2 바디부(30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접철선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10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는 어느 일부분이 제1 바디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이 제2 바디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부(300)는 제2 하우징(310), 제2 플레이트(320) 및 제2 커버플레이트(330)로 이루어진다. 제2 하우징(310), 제2 플레이트(320) 및 제2 커버플레이트(330)는 도 8에서 우측에 위치한다. 제2 하우징(310)은 힌지케이스(400)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제2 하우징(310)에는 복수의 자석이 장착된다. 제2 하우징(310)에 장착되는 자석은 휴대단말기를 접었을 때 자석의 인력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휴대단말기를 접었을 때 제1 하우징(210)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과 제2 하우징(310)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이 서로 근접하여 마주하게 되고,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지는 두 자석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휴대단말기가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제2 플레이트(320)는 제2 하우징(310)의 일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320)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다른 일부분이 부착된다. 제2 커버플레이트(330)는 제2 하우징(310)의 타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제2 바디부(300)에는 제2 고정홈(340) 및 제2 삽입홈(350)이 형성된다. 제2 고정홈(340)은 제2 하우징(310)과 제2 플레이트(320)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홈(340)에는 스프링힌지부(800)의 타단이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홈(340)에는 제2 고정부재(700)가 삽입되고, 제2 고정부재(700)에 의해 스프링힌지부(800)의 타단이 고정된다. 즉 스프링힌지부(800)의 일단은 제1 고정부재(600)에 의해 고정되고, 스프링힌지부(800)의 타단은 제2 고정부재(700)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삽입홈(3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10)과 제2 커버플레이트(330)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삽입홈(350)에는 힌지커버(500)의 다른 일측이 삽입된다. 즉 힌지커버(500)의 어느 일측은 제1 삽입홈(250)에 삽입되고, 힌지커버(500)의 다른 일측은 제2 삽입홈(350)에 삽입된다. 한편, 제2 하우징(310)에는 힌지커버(500)를 향해 제2 안내돌기(311)가 형성된다. 제2 안내돌기(311)는 힌지커버(500)에 형성되는 제2 안내홈(520)에 삽입된다.
힌지케이스(400)는 스프링힌지부(800)를 덮고 제1 바디부(200)와 제2 바디부(300)가 각각 힌지결합된다. 즉 제1 바디부(200)와 제2 바디부(300)는 각각 힌지케이스(400)에 힌지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접거나 평행이되도록 펼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310)이 각각 힌지케이스(400)에 힌지결합된다.
힌지커버(500)는 힌지케이스(400)를 덮고 제1 바디부(200)와 제2 바디부(300)를 연결한다. 이러한 힌지커버(50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삽입홈(250)으로 삽입되는 힌지커버(500)의 어느 일측(도 8에서 좌측)에는 힌지커버(500)가 제1 삽입홈(250)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긴 제1 안내홈(510)이 형성된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내홈(510)에는 제1 안내돌기(211)가 삽입된다. 또한, 제2 삽입홈(350)으로 삽입되는 힌지커버(500)의 다른 일측(도 8에서 우측)에는 힌지커버(500)가 제2 삽입홈(350)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긴 제2 안내홈(520)이 형성된다. 도 12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내홈(520)에는 제2 안내돌기(311)가 삽입된다.
제1 고정부재(600)는 제1 바디부(200)에 장착되고 스프링힌지부(800)의 일단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600)는 제1 고정케이스(610), 제1 고정가이드(620) 및 제1 고정플레이트(630)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케이스(610)는 제1 바디부(200)에 장착된다. 즉 제1 바디부(200)는 제1 고정홈(240)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210)에 장착된다. 제1 고정가이드(620)는 제1 고정케이스(6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고정가이드(620)에는 제1 슬라이드홈(621)이 형성된다. 제1 고정플레이트(630)는 제1 슬라이드홈(6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플레이트(630)에는 스프링힌지부(800)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고정핀(631)이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스프링힌지부(800)가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제1 고정플레이트(630)가 제1 슬라이드홈(621)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스프링힌지부(800)가 자연스럽게 구부러지거나 펴지게 된다.
제2 고정부재(700)는 제2 바디부(300)에 장착되고 스프링힌지부(800)의 타단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재(700)는 제2 고정케이스(710), 제2 고정가이드(720) 및 제2 고정플레이트(730)로 이루어진다. 제2 고정케이스(710)는 제2 바디부(300)에 장착된다. 즉 제2 바디부(300)는 제2 고정홈(340)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310)에 장착된다. 제2 고정가이드(720)는 제2 고정케이스(7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고정가이드(720)에는 제2 슬라이드홈(721)이 형성된다. 제2 고정플레이트(730)는 제2 슬라이드홈(7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플레이트(730)에는 스프링힌지부(800)의 타단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고정핀(731)이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스프링힌지부(800)가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제2 고정플레이트(730)가 제2 슬라이드홈(721)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스프링힌지부(800)가 자연스럽게 구부러지거나 펴지게 된다.
복수의 스프링힌지부(800)는 제1 바디부(200)와 제2 바디부(300)를 연결한다. 이러한 스프링힌지부(800)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스프링(810)과 외측스프링(820)으로 이루어진다. 내측스프링(810)은 코일(C1)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외측스프링(820)은 내측스프링(810)의 외측에 위치하며, 코일(C2)의 단면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스프링(810)의 코일(C1)과 코일(C1) 사이로 침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스프링(820)의 코일(C2)의 단면은 삼각형이며, 외측스프링(820)의 외경은 내측스프링(810)의 외경보다 크고, 외측스프링(820)의 내경은 내측스프링(810)의 외경보다 작다. 상술한 스프링힌지부(8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힌지부(800)가 절곡될 때 외측스프링(820)이 내측스프링(810)의 코일(C1)과 코일(C1) 사이로 침투하여 스프링힌지부(800)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스프링힌지부(800)에 의해 자유롭게 접거나 펼칠 수 있고, 180°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각도에서도 꺾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스프링힌지부(800)는 두께가 2~2.5mm로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힌지부(800)를 이용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힌지부(800)는 표면을 도금하여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펼쳐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00), 제1 바디부(200), 제2 바디부(300)는 서로 나란히 위치하고, 제1 커버플레이트(230)와 제2 커버플레이트(330)는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근접 위치하여 힌지커버(500)를 덮는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내돌기(211)는 제1 안내홈(510) 내에서 우측에 위치하고, 제2 안내돌기(311)는 제2 안내홈(520) 내에서 좌측에 위치한다.
이후, 제1 바디부(200) 또는 제2 바디부(300)를 힌지커버(50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근접해 있던 제1 커버플레이트(230)와 제2 커버플레이트(330)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힌지커버(500)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힌지커버(500)의 양단이 제1 삽입홈(250)과 제2 삽입홈(350)으로부터 점점 인출되면서, 제1 안내돌기(211)는 제1 안내홈(510)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 안내돌기(311)는 제2 안내홈(520)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힌지부(800)가 휘어지면서 휘어지는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스프링(820)의 코일(C2)이 내측스프링(810)의 코일(C1)과 코일(C2) 사이로 침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스프링(820)의 코일(C2)이 내측스프링(810)의 코일(C1)과 코일(C1) 사이로 침투함으로써, 스프링힌지부(800)는 임의로 다시 펴지지 않고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특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힌지부(80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제1 고정플레이트(630)가 제1 슬라이드홈(621)을 따라 이동하고, 스프링힌지부(800)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는 제2 고정플레이트(730)가 제2 슬라이드홈(72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스프링힌지부(800)가 자연스럽게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를 접고 펴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부(200) 또는 제2 바디부(300)를 더 회전시키면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200)와 제2 바디부(300)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 하우징(210)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과 제2 하우징(310)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휴대단말기가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휴대단말기를 다시 펼치는 동작은 전술한 접는 동작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부,
200 : 제1 바디부,
210 : 제1 하우징,
211 : 제1 안내돌기,
220 : 제1 플레이트,
230 : 제1 커버플레이트,
240 : 제1 고정홈,
250 : 제1 삽입홈,
300 : 제2 바디부,
310 : 제2 하우징,
311 : 제2 안내돌기,
320 : 제2 플레이트,
330 : 제2 커버플레이트,
340 : 제2 고정홈,
350 : 제2 삽입홈,
400 : 힌지케이스,
500 : 힌지커버,
510 : 제1 안내홈,
520 : 제2 안내홈,
600 : 제1 고정부재,
610 : 제1 고정케이스,
620 : 제1 고정가이드,
621 : 제1 슬라이드홈,
630 : 제1 고정플레이트,
631 : 제1 고정핀,
700 : 제2 고정부재,
710 : 제2 고정케이스,
720 : 제2 고정가이드,
721 : 제2 슬라이드홈,
730 : 제2 고정플레이트,
731 : 제2 고정핀,
800 : 스프링힌지부,
810 : 내측스프링,
820 : 외측스프링,

Claims (5)

  1. 휨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접철선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접철선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힌지부는,
    코일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내측스프링과,
    코일의 단면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힌지부가 절곡될 때 상기 내측스프링의 코일과 코일 사이로 침투하여 상기 스프링힌지부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외측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힌지부를 덮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가 각각 힌지결합되는 힌지케이스와,
    상기 힌지케이스를 덮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힌지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커버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제1 바디부에는 상기 힌지커버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힌지커버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커버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힌지커버가 상기 제1 삽입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긴 제1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커버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힌지커버가 상기 제2 삽입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긴 제2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에는 상기 제1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제2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부착되는 제1 플레이트와,
    일면에 상기 제1 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상기 힌지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1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1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1 커버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부착되는 제2 플레이트와,
    일면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상기 힌지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하우징과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상기 제2 하우징과 제2 커버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바디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바디부에 장착되는 제1 고정케이스와,
    제1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고정가이드와,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에 장착되는 제2 고정케이스와,
    제2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고정가이드와,
    상기 스프링힌지부의 타단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스프링의 외경은 상기 내측스프링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외측스프링의 내경은 상기 내측스프링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외측스프링의 코일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KR1020180129122A 2018-10-26 2018-10-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KR102165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22A KR102165772B1 (ko) 2018-10-26 2018-10-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22A KR102165772B1 (ko) 2018-10-26 2018-10-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098A true KR20200047098A (ko) 2020-05-07
KR102165772B1 KR102165772B1 (ko) 2020-10-14

Family

ID=7073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22A KR102165772B1 (ko) 2018-10-26 2018-10-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77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6838B2 (ja) * 2005-02-18 2010-06-0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フレキシブルパイプおよびグースネック型マイクロホン装置
KR101330456B1 (ko) 2006-12-12 2013-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KR20140124281A (ko) 2013-04-16 2014-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5457B1 (ko) 2014-04-18 2015-03-25 (주) 프렉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JP2015084491A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グースネックマイクロホン
KR20160097034A (ko) * 2015-02-06 201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80030433A (ko) * 2016-09-15 2018-03-23 노완동 수직 이동 받침판 폴더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US20180210512A1 (en) * 2017-01-26 2018-07-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oupling member,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JP6401400B2 (ja) * 2016-04-26 2018-10-10 ウエストユニティス株式会社 ネックバンド型コンピュータ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6838B2 (ja) * 2005-02-18 2010-06-0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フレキシブルパイプおよびグースネック型マイクロホン装置
KR101330456B1 (ko) 2006-12-12 2013-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KR20140124281A (ko) 2013-04-16 2014-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84491A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グースネックマイクロホン
KR101505457B1 (ko) 2014-04-18 2015-03-25 (주) 프렉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60097034A (ko) * 2015-02-06 201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401400B2 (ja) * 2016-04-26 2018-10-10 ウエストユニティス株式会社 ネックバンド型コンピュータ
KR20180030433A (ko) * 2016-09-15 2018-03-23 노완동 수직 이동 받침판 폴더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US20180210512A1 (en) * 2017-01-26 2018-07-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oupling member,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772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7823B2 (en) Display apparatus
US967853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310551B2 (en) Foldable device
CN108269497B (zh) 可折叠显示装置
US10185367B2 (en) Display device
KR1026506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1047B1 (ko) 케이스 및 표시 장치
US20240040723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EP3657766B1 (en) Display device
US11144096B2 (en) Housing member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70142240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90004618A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US20120200991A1 (en) Variable display area type display device
KR102178724B1 (ko)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608916B1 (ko) 타일링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US2022008310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201113901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JP5363415B2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EP3757716B1 (en) Rollabl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20004709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US20200266383A1 (en) Bendable backplate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2019007912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80254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EP3955554B1 (en) Electronic device, screen assembly, and screen protection member
WO2022206644A1 (zh) 折叠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