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995A -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995A
KR20200046995A KR1020180128909A KR20180128909A KR20200046995A KR 20200046995 A KR20200046995 A KR 20200046995A KR 1020180128909 A KR1020180128909 A KR 1020180128909A KR 20180128909 A KR20180128909 A KR 20180128909A KR 20200046995 A KR20200046995 A KR 2020004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layer server
server
book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858B1 (ko
Inventor
유제승
Original Assignee
유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승 filed Critical 유제승
Priority to KR102018012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8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3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data contents, e.g. message 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6Join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은 일정 범위의 지역 내 위치하는 도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복수개의 제1 계층 서버; 및 상기 제1 계층 서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계층 서버 및 제N 계층 서버는,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노드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을 이전 블록에 연결시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부; 및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가 생성한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OOK-SHARING ECONOMIC PLATFORM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지역 내 존재하는 도서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서버를 이용해 작은 지역 단위에서부터 차례로 계층 구조를 형성하면서 도서 정보를 통합하고, 블록체인을 활용해 이러한 도서 정보들이 저장된 블록을 각 하위 노드들이 소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서 공유경제 플래폼을 형성하고 도서 상호대차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 도서 대여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도서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혹은 도서관이 구비한 도서에 관한 정보가 구축되어 있는 서버를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서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대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서 대여 서비스는, 주로 도서관을 매개로 하여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도서만을 활용하고 있을 뿐이므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막대한 양의 도서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 내에서는, 각 개인 역시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도서를 소장하거나, 때로는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고서 등 희귀서적을 소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인은 도서관으로부터 도서 대여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제공 받기만 할 뿐 도서 대여 서비스의 능동적인 제공 주체로서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각 도서관은 도서관 마다 독립적인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어 종래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각 도서관에 있는 도서를 검색 또는 대여하기 위해서는 각 서버에 일일이 접속을 해서 검색 또는 대여를 실시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구축된 각 도서관 서버들 사이에서도 서로 연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사한 지역 내에 위치한 도서관에 있어서 과도한 중복 구매가 발생하는 등 예산 집행의 면에서도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도서관뿐만 아니라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이를 위한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블록체인(block chain)은 거래 내역과 같은 특정 정보를 블록(Block)화 하여 상기 블록을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들이 분산 저장하고, 거래 내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블록을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해 체인 구조를 형성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에 참여한 참여자 전원이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운 블록을 검증함으로써 위, 변조가 어려운 특징이 있어, 종래 보안을 위한 기술로서 주로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들이 능동적으로 일정 정보를 포함한 블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된 블록은 검증 과정을 거쳐 모든 참여자에게 다시 공유되는 바, 이를 활용하면 각 네트워크 참여자들을 연결하는 공유경제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1583호(2017.09.2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종래 도서관만으로 한정되어 있던 도서 대여 시스템에 각 개인이 서비스 제공자로서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개인을 연결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 독립적으로 구축되어 있던 도서관의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계층 구조를 통해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서 대여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은, 일정 범위의 지역 내 위치하는 도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복수개의 제1 계층 서버(10); 및 상기 제1 계층 서버(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는,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와 통신하는 통신부(100); 상기 노드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을 이전 블록에 연결시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부(200); 및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200)가 생성한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에 대응되는 지역은, 하나 이상의 제N-1 계층 서버에 대응되는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잭션은, 노드 정보, 소장 정보 또는 거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계층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는, 제N-1 계층 서버와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되고 상기 제N-1 계층 서버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는, 노드로부터 수신한 트랜잭션에 따라 가상화폐를 지급 또는 반환시키는 가상화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서 통합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방법은, 상기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가, (a)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트랜잭션을 이전 블록에 연결시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한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계층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는, 제N-1 계층 서버와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되고 상기 제N-1 계층 서버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도서관만으로 한정되어 있던 도서 대여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로서 개개인 또한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개인을 연결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뿐만 아니라, 일반 개인들이 소지하고 있는 막대한 양의 도서를 활용한 도서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한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에서는 각 개인이 서비스 제공 주체로서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지 않던 도서를 발굴하여 개인에 의해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서 등록, 또는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서관으로서도 일정 지역 내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도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여 과도한 중복 구매를 방지하는 등의 운영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독립적으로 구축되어 있던 도서관의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계층 구조를 통해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서 대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제1 계층 서버(10) 및 하나 이상의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계층 서버들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 범위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도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때 상위 계층 서버는 하나 이상의 하위 계층 서버에 대응되는 지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범위의 지역'이라 함은 행정 구역에 따른 구분을 기반으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방식에 따른 지역 구분자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계층에 부여된 번호가 높을수록 상위 계층의 서버를 의미하나, 상기 계층에 부여된 번호는 포함 관계에 따라 상위 계층 및 하위 계층을 구분하기 위하여 임의로 부여된 것일 뿐, 계층에 부여된 번호가 동일하다고 해도 반드시 물리적으로 동일한 범위 혹은 행정 구역 상 동일한 범주의 지역 범위에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는, 각 지역에 설립되는 도서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별개의 서버로서 운영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층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계층 서버(10)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소장하는 도서와 관련된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유선 단말, 예를 들면 PC이거나, 무선 단말, 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일 수 있다. 구매자 단말은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제2 계층 서버(20)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구축된 복수개의 제1 계층 서버(10)로부터 도서와 관련된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제N 계층 서버(30)는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N-1 계층 서버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위 계층 서버는, 상위 계층 서버에 대응되는 지역에 포함되는 지역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하위 계층 서버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저장함으로써 지역 기반의 계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는 통신부(100); 블록체인 생성부(200); 데이터베이스(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는,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거나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노드는 후술할 블록체인 생성부(200)가 생성한 블록체인을 분산 저장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말 또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계층 서버(10)의 경우 사용자 단말을 노드로 할 수 있으며, 제N 계층 서버(30)의 경우 제N-1 계층 서버를 노드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N 계층 서버(30)는, 그보다 하위 계층인 제1,2,…,N-1 계층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노드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동일한 블록체인을 분산 저장하고 있는 서버 및 노드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상기 트랜잭션은 노드 정보, 소장 정보 또는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 정보는 각 노드를 식별하고 특정하기 위하여 노드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즉, 노드 정보를 통해 어떤 노드에서 트랜잭션을 전송하였는지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소장 정보는 각 노드가 소장하고 있는 도서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도서의 서명, 저자, 출판사 또는 판수 등과 같이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서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장 정보는 각 노드가 직접 소장하고 있는 도서의 정보뿐만 아니라, 각 노드의 하위 노드(각 계층 서버의 하위 계층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가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정보는 도서의 구매 및 판매, 또는 대여 및 대차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거래 정보는, 거래를 수행한 노드의 노드 정보, 거래가 이루어진 도서에 대한 정보 및 거래와 관련된 조건(대여 기간, 대여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생성부(200)는, 노드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을 이전 블록에 연결시켜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거래 내역과 같은 특정 정보를 블록(Block)화 하여 상기 블록을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들이 분산 저장하고, 거래 내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블록을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해 체인 구조를 형성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거래를 보증하는 제3자 없이도 당사자간의 가치 교환을 가능케 하고, 모든 거래 내역이 담긴 블록이 체인 형식으로 연결되어 저장되므로 거래 내역을 추적하고 위,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성부(200)는 노드로부터 노드 정보, 소장 정보 또는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이를 이전의 블록에 연결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계층 서버(10)의 블록체인 생성부(200)는 사용자 A가 소지한 제1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B가 소지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노드 정보와 사용자 A, B가 소장하고 있는 도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이를 이용해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도서 S를 빌려주는 거래가 발생한 경우, 대여를 해준 사용자의 단말(제1 사용자 단말), 대여를 받은 사용자의 단말(제2 사용자 단말)의 노드 정보 및 거래(대여)가 이루어진 도서(도서 S)에 대한 정보 및 거래에 대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대여의 경우, 대여 기간, 대여 가격, 반납 불이행 시 조건 등)를 포함하는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이를 이용해 블록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는 사용자 단말을 노드로 하는 제1 계층 서버(10)의 블록체인 생성부(200)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제N 계층 서버(30)의 블록체인 생성부(200) 역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N-1 계층 서버로부터 각 서버의 노드 정보,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관한 정보 및 제N-1 계층 서버를 구비한 기관 간의 거래가 발생할 경우 거래와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이를 이전 블록에 연결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잭션을 이용해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일정 지역 범위 내의 모든 참여자가 분산 저장하여 공유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다른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해당 기관이 구비한 서버로 직접 접속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한 모든 기관들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각 기관들이 구비한 서버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인접한 사용자 혹은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들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소장 도서가 확장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각 참여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들 중 누가(또는 어느 서버가) 어떤 책을 소장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당사자 간의 도서 거래(판, 구매 및 대여)가 이루어질 수 있고, 각 계층 별 서버를 소지하고 있는 기관으로서는 과도한 중복 구매를 방지함으로써 효율적인 예산 집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이전 거래 내역을 모두 블록화 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도서의 소재 및 거래 내용에 대한 위, 변조 또는 도서의 분실 등을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방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200)가 생성한 블록체인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블록체인은, 새로운 트랜잭션이 수신되는 경우 이전 블록에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생성되는 것이므로 현재 시점까지의 각 노드의 도서 소장 및 거래 내역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은, 가상화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폐 관리부는, 노드로부터 수신한 트랜잭션에 따라 각 노드에 가상화폐를 지급하거나 혹은 각 노드가 소지한 가상화폐를 반환시킬 수 있다.
상기 가상화폐는, 가상화폐를 소지한 노드가 포함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일종의 화폐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트랜잭션에 포함된 거래 정보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진 노드에 가상화폐를 지급하거나 또는 반환시킬 수 있다.
가상화폐 관리부는 특정 노드가 다른 노드에 도서를 판매 또는 대여 할 경우 가상화폐를 지급하고, 반대로 특정 노드가 다른 노드로부터 도서를 구매 또는 대여받는 경우 가상화폐를 반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또는 각 계층 서버 간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거래가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각 계층 서버는, 이를 포함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200)는, 가상화폐 관리부가 지급하거나 반환시킨 가상화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블록을 이전 블록에 연결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통합 관리 방법은, 제1 계층 서버(10) 및 제N 계층 서버(30)(N은 2이상의 자연수)가, (a)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트랜잭션을 이전 블록에 연결시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한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 계층 서버들은, 계층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 범위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도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때 상위 계층 서버는 하나 이상의 하위 계층 서버에 대응되는 지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범위의 지역'이라 함은 행정 구역에 따른 구분을 기반으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방식에 따른 지역 구분자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계층에 부여된 번호가 높을수록 상위 계층의 서버를 의미하나, 상기 계층에 부여된 번호는 포함 관계에 따라 상위 계층 및 하위 계층을 구분하기 위하여 임의로 부여된 것일 뿐, 계층에 부여된 번호가 동일하다고 해도 반드시 물리적으로 동일한 범위 혹은 행정 구역 상 동일한 범주의 지역 범위에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a) 단계에서, 통신부(100)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노드는 각 계층 서버가 생성한 블록체인을 분산 저장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말 또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계층 서버(10)의 경우 사용자 단말을 노드로 할 수 있으며, 제N 계층 서버(30)의 경우 제N-1 계층 서버를 노드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N 계층 서버(30)는, 그보다 하위 계층인 제1,2,…,N-1 계층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노드로 할 수도 있다.
(b) 단계에서, 블록체인 생성부(200)은 상기 트랜잭션을 이전 블록에 연결시켜 블록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은 노드 정보, 소장 정보 또는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생성부(200)는 노드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이를 이전의 블록에 연결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c) 단계에서, 상기 생성한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노드에 전송하여 각 노드가 상기 생성된 블록체인을 분산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로이 발생한 트랜잭션을 이용해 생성된 블록체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일정 지역 범위 내의 모든 참여자가 분산 저장하여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참여자는 각 서버에 일일이 접속하지 않고도 소지한 블록체인을 통해 일정 지역 범위 내 사용자 또는 도서관에 구비된 도서 및 도서에 대한 거래 정보를 모두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중복 서술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방법의 각 단계는 전술한 도서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도서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앞서 상술한 도서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기능들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 도서 통합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제1 계층 서버 20: 제2 계층 서버
30: 제N 계층 서버 100: 통신부
200: 블록체인 생성부 300: 데이터베이스
400: 제어부

Claims (9)

  1. 일정 범위의 지역과 대응되어 지역 내 위치하는 도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복수개의 제1 계층 서버; 및 상기 제1 계층 서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 서버 및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는,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노드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을 이전 블록에 연결시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부; 및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가 생성한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에 대응되는 지역은, 하나 이상의 제N-1 계층 서버에 대응되는 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은,
    노드 정보, 소장 정보 또는 거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는, 제N-1 계층 서버와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되고 상기 제N-1 계층 서버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 서버 및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는,
    노드로부터 수신한 트랜잭션에 따라 가상화폐를 지급 또는 반환시키는 가상화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7. 일정 범위의 지역 내 위치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복수개의 제1 계층 서버; 및 상기 제1 계층 서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가 수행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 서버 및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가,
    (a)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트랜잭션을 이전 블록에 연결시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한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N 계층 서버(N은 2이상의 자연수)는, 제N-1 계층 서버와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되고 상기 제N-1 계층 서버로부터 블록화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방법.

KR1020180128909A 2018-10-26 2018-10-26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102128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909A KR102128858B1 (ko) 2018-10-26 2018-10-26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909A KR102128858B1 (ko) 2018-10-26 2018-10-26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995A true KR20200046995A (ko) 2020-05-07
KR102128858B1 KR102128858B1 (ko) 2020-07-01

Family

ID=7073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909A KR102128858B1 (ko) 2018-10-26 2018-10-26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684A (ko) 2021-02-09 2022-08-18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의 대여 교환 및 매매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3B1 (ko) 2016-08-31 2017-09-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파일 관리/검색 시스템 및 파일 관리/검색 방법
KR101882187B1 (ko) * 2018-04-30 2018-07-26 코나아이 (주) 지역 내발적 발전 플랫폼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3B1 (ko) 2016-08-31 2017-09-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파일 관리/검색 시스템 및 파일 관리/검색 방법
KR101882187B1 (ko) * 2018-04-30 2018-07-26 코나아이 (주) 지역 내발적 발전 플랫폼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858B1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 Kawasmi et al. Bitcoin‐based decentralized carbon emissions trading infrastructure model
Li Emerging blockchain-based applications and techniques
KR20200037159A (ko) 특정 공간에서만 접속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US7680681B2 (en) Shared insurance industry system for non-disruptive enhancement and substitution of insurance transaction processing
CN110178338A (zh) 活动门票的数字证券化、模糊化、策略和商务
KR102313675B1 (ko) 기부 대상에 제한 없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기부 서버 및 기부 방법
CN117151853A (zh) 用于区块链上的安全点对点通信的方法
CN105190592A (zh) 具有深度因素和安全因素的电子商务网络
CN110009326A (zh) 账户系统、交易及其处理方法、终端、系统、装置及介质
Agrawal et al. Blockchain-based universal loyalty platform
CN110517020A (zh) 基于区块链网络的项目开发方法及区块链网络的节点
US20210295431A1 (en) Asset usage rights token for connected ecosystems
Bothos et al. Leveraging blockchain for open mobility-as-a-service ecosystems
Townsend Distributed Ledgers: Design and Regulation of Financial Infrastructure and Payment Systems
bin Khatiman et al. Blockchain-based Zakat collection to overcome the trust issues of Zakat payers
KR102048944B1 (ko)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획득되는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ouwelse et al. Laws for creating trust in the blockchain age
Pu et al. Market quality approach to IoT Data on blockchain big data
Buldakov et al. An open source solution for smart contract-based parking management
US20230142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share of asset of which owner cannot be specified or ownership does not exist
US20210287212A1 (en) Database system for a social network using blockchain technology
Lazareva et al. The Innovative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Sharing Economy Subject Decision Making
KR10212885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방법
CN113469852A (zh) 区块链捐赠平台
Menne Blockchain in the Sharing Economy: Will Blockchain Disrupt Today’s Winning Business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