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746A - 채혈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채혈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746A
KR20200046746A KR1020180128317A KR20180128317A KR20200046746A KR 20200046746 A KR20200046746 A KR 20200046746A KR 1020180128317 A KR1020180128317 A KR 1020180128317A KR 20180128317 A KR20180128317 A KR 20180128317A KR 20200046746 A KR20200046746 A KR 20200046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dy
region
syringe
blood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429B1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 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12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4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22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provided with indicating means, e.g. for vein en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39Aesthetic features, e.g. distraction means to prevent fears of child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단에 주사바늘이 장착되며, 내용물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는 측정 수단이 구비된 실린더 몸체 및 상기 실린더 몸체의 타단을 통해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몸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채혈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채혈용 주사기{INJECTOR FOR BLOOD GATHER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채혈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혈액 검사(blood cell count)의 진단, 치료 및 추적 관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 적응증을 갖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 중 하나이다. 이 검사를 통해, 혈액 내 존재하는 세 가지 종류의 세포(혈구), 즉 적혈구, 백혈구, 그리고 혈소판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지표(parameter)를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혈액 검사를 위해서 혈액을 채취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채혈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취하고 있다. 채혈용 주사기는 실린더 및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밀대를 포함하며, 밀대의 이동을 통해 혈액이 압력에 의해 실린더 내부로 흡입되어 채취된다. 이때, 종래의 채혈용 주사기는 채취자가 혈액의 채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린더가 투명하게 형성되는데, 피채취자 또한 채취된 혈액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시각적인 효과로 인하여 채혈에 대한 반감을 갖게 되거나 두려움을 갖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린더의 몸체가 일부를 제외하고 불투명하게 형성되어 피채취자에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채혈용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단에 주사바늘이 장착되며, 내용물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는 측정 수단이 구비된 실린더 몸체 및 상기 실린더 몸체의 타단을 통해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몸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채혈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유색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는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 유닛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 유닛 각각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불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표면에 대하여 예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면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는 실린더 몸체를 불투명하게 형성하는 제1 영역과 투명하게 형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혈액이 시인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채취자는 혈액에 대한 두려움 또는 반감이 저감되어 안정적인 수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채혈용 주사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돌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만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채혈용 주사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채혈용 주사기(10)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10)는 주사 바늘(200), 실린더 몸체(100) 및 밀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주사 바늘(200)은 구비된 선단부를 통해 피채취자의 혈관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실린더 몸체(1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바늘(200)은 실린더 몸체(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실린더 몸체(100)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주사 바늘(200)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금속 재질의 불투명성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채취되는 혈액을 시인할 수 없다. 또는, 주사 바늘(200)이 금속이 아닌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채취되는 혈액을 시인할 수 없도록 불투명한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실린더 몸체(100)는 일단에 주사 바늘(200)이 장착되고, 타단을 통해 밀대(300)가 삽입될 수 있다. 실린더 몸체(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채취되는 내용물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는 측정 수단(1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수단(120)은 눈금일 수 있다. 실런더 몸체(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영역(110)과, 제2 영역(110)을 제외한 영역으로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제1 영역(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01)은 실린더 몸체(10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이며,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내용물인 혈액을 시인할 수 없게 된다. 제1 영역(101)에 대응되는 실린더 몸체(100)는 불투명한 물질을 내부에 포함하거나, 실린더 몸체(100)의 외표면에 불투명한 물질로 표면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01)은 실린더 몸체(1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없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되면 되고, 색상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제1 영역(101)은 피채취자의 심리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문양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아동을 위한 캐릭터 문양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영역(110)은 실린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영역(110)은 채취자가 혈액 채취를 확인하는 수단으로써, 상기한 측정 수단(1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채취자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의 제2 영역(110)을 통해 혈액을 확인할 수 있고, 인접하게 배치된 측정 수단(120)을 이용하여 채취되는 혈액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110)의 면적은 제1 영역(10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10)는 혈액이 채취되는 과정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바, 제2 영역(110)의 면적을 작게 할수록 효과적일 수 있다. 다만, 채취자가 혈액을 채취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제2 영역(110)의 폭(L2)은 제1 영역(101)의 폭(L1)에 대하여 일정 범위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영역(101)의 폭(L1)에 대한 제2 영역(110)의 폭(L2)의 비율은 1/5 내지 1/1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0.2<L2/L1<0.01). 만약, 제1 영역(101)의 폭(L1)에 대한 제2 영역(110)의 폭(L2)의 비율이 1/5보다 큰 경우, 피채취자의 시인성이 급격히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100보다 작은 경우에는 채취자가 혈액의 채취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제1 영역(101)의 폭(L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채혈용 주사기(10)를 바라보았을 때 실린더 몸체(100)의 폭일 수 있으며, 실린더 몸체(100)의 지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제2 영역(110)의 폭(L2)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채혈용 주사기(10)를 바라볼 때 폭일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110)은 유색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110)은 혈액의 채취정도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만 있으면 되며, 이때, 유색 재료를 이용하여 혈액의 적색을 중화시킴으로써, 피채취자로 하여금 혈액 채취에 대한 반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채혈용 주사기(10)는 제2 영역(110) 상에 일방향 시인성을 갖는 편광 필름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편광 필름은 일방향으로 빛을 투과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취자의 시야방향에서는 혈액의 채취 과정을 시인하되, 피채취자의 시야방향에서는 혈액의 채취 과정이 시인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런더 몸체(100)는 주사 바늘(200)이 장착되는 일단에 인접한 제3 영역(103)을 더 구비하며, 제3 영역(103)은 상기 제2 영역(110)과 마찬가지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103)은 실린더 몸체(100)의 일단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주사바늘(200)로부터 혈액이 채취되고 있음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3 영역(103)은 제2 영역(110)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3 영역(103)은 실린더 몸체(100)의 일단의 전 영역 중 일부에 대해서만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혈액이 채취되는 과정을 최소한으로만 확인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103)의 폭은 제2 영역(11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영역(110)의 재질 또는 색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밀대(300)는 실린더 몸체(100)의 타단을 통해 실린더 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동에 따라 실린더 몸체(100) 내부로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실린더 몸체(10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돌출 유닛(111)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만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채혈용 주사기(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10')는 실린더 몸체(100), 주사 바늘(200) 및 밀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10')는 실린더 몸체(100)의 제2 영역(110)의 구성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10')의 실린더 몸체(100)는 제2 영역(110) 상에 배치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 유닛(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 유닛(111)은 실린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 유닛(111)은 외부의 특정 각도에서는 제2 영역(110)을 통해 실린더 몸체(100) 내부를 확인할 수 없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돌출 유닛(111) 각각은 실린더 몸체(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제1 경사면(111A)과, 상기 제1 경사면(111A)과 실린더 몸체(100)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제2 경사면(111B)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111A)과 제2 경사면(111B)은 제2 영역(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돌출 유닛(11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경사면(111A)은 실린더 몸체(100)의 외표면에 대하여 예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때, 제1 경사면(111A)은 밀대(300)를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11B)은 실린더 몸체(100)의 외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면일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111A)은 불투명하게 형성되고, 제2 경사면(111B)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채혈용 주사기(10')는 제2 영역(110)에 복수의 돌출 유닛(111)을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제1 경사면(111A)을 통해서는 외부에서 혈액의 채취 과정을 시인할 수 없게 되며, 제2 경사면(111B)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돌출 유닛(111)은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1 경사면(111A)에 불투명한 재질로 코팅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 유닛(111)의 측면(111C)도 불투명한 코팅 처치를 함으로써, 측방향에서의 혈액 채취 시인성도 저감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출 유닛(111)은 실린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데, 각 유닛의 단위 길이가 측정 수단(120)의 눈금과 일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돌출 유닛(111)의 단위 길이가 측정 수단(120)의 큰 눈금(121)과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작은 눈금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취자는 이를 통해, 실린더 몸체(100)의 외표면에 수직한 제2 경사면(111B)을 통해서도 혈액의 채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채취자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10')를 이용하여 채취할 때, 밀대(300)가 채취자를 향하게 된다. 이때, 제2 영역(110) 상의 복수의 돌출 유닛(111)들은 밀대(300)를 향하여 기울어진 제1 경사면(111A)이 불투명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피채취자의 시야(V1)에서는 혈액이 채취되는 과정이 시인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복수의 돌출 유닛(111)의 제2 경사면(111B)은 투명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채취자의 시야(V2)에서는 혈액의 채취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혈용 주사기는 실린더 몸체를 불투명하게 형성하는 제1 영역과 투명하게 형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혈액이 시인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채취자는 혈액에 대한 두려움 또는 반감이 저감되어 안정적인 수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채혈용 주사기
100: 실린더 몸체
101 : 제1 영역
110 : 제2 영역
103 : 제3 영역
111 : 복수의 돌출 유닛
200 : 주사 바늘
300 : 밀대

Claims (8)

  1. 일단에 주사바늘이 장착되며, 내용물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는 측정 수단이 구비된 실린더 몸체; 및
    상기 실린더 몸체의 타단을 통해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몸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채혈용 주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채혈용 주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유색 재료를 포함하는, 채혈용 주사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는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 유닛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채혈용 주사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 유닛 각각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채혈용 주사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불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투명하게 형성되는, 채혈용 주사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표면에 대하여 예각을 갖는, 채혈용 주사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면인, 채혈용 주사기.
KR1020180128317A 2018-10-25 2018-10-25 채혈용 주사기 KR102199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17A KR102199429B1 (ko) 2018-10-25 2018-10-25 채혈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17A KR102199429B1 (ko) 2018-10-25 2018-10-25 채혈용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46A true KR20200046746A (ko) 2020-05-07
KR102199429B1 KR102199429B1 (ko) 2021-01-06

Family

ID=7073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317A KR102199429B1 (ko) 2018-10-25 2018-10-25 채혈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4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189A (ko) * 2002-08-01 2004-02-11 소광섭 차광 주사기
JP2004309850A (ja) * 2003-04-08 2004-11-04 Aterio Design Kk プリズム遮光シート
US20080051729A1 (en) * 2006-08-24 2008-02-28 Hsien Tsung Wang Needle syringe having some disposable components
CN201798974U (zh) * 2010-09-26 2011-04-20 肖承志 注射器套
US9764094B1 (en) * 2002-01-24 2017-09-19 Robin Scott Gray Syringe with inspection window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4094B1 (en) * 2002-01-24 2017-09-19 Robin Scott Gray Syringe with inspection window
KR20040012189A (ko) * 2002-08-01 2004-02-11 소광섭 차광 주사기
JP2004309850A (ja) * 2003-04-08 2004-11-04 Aterio Design Kk プリズム遮光シート
US20080051729A1 (en) * 2006-08-24 2008-02-28 Hsien Tsung Wang Needle syringe having some disposable components
CN201798974U (zh) * 2010-09-26 2011-04-20 肖承志 注射器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429B1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31795T2 (de) Mikrosensor
DE60017713T2 (de) Schützender teststreifenaufbau für optische analysevorrichtung
Burns et al. Hemolysis in serum samples drawn by emergency department personnel versus laboratory phlebotomists
DE19758531C2 (de) Synchronisiertes Analyt-Testsystem
Laing et al. Changes in the corneal endothelium as a function of age
RU219444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содержания глюкозы в крови
DE2906208C2 (de) Einrichtung zum transkutanen Messen des Partialdrucks des Sauerstoffs im Blut
DE2927048C2 (d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analytischer Messungen an einer Flüssigkeit
US513208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blood constituent counts
US20040176705A1 (en) Cartridge having an integrated collection element for point of care system
JP2007244671A (ja) 採血針、注射針、翼付針、検査キットおよび採血キット
ATE118888T1 (de) Vorrichtung zum zählen und zur bestimmung mindestens einer leukozytensubpopulation.
DE112013006138B4 (de) Messvorrichtung für biologische Informationen
CN103336007A (zh) 一种可视化检测汗液中氯离子含量的便携式纸芯片
CN103718196B (zh) 柱状体、信息读取装置、药剂投予装置和信息读取方法
CN105636518A (zh) 体液采集装置和检查装置
EP2420829A2 (en) Disease diagnosing biosensor capable of promptly separating blood cells
KR20200046746A (ko) 채혈용 주사기
KR101589850B1 (ko) 분석물을 검출하기 위한 대칭적인 시험 요소
DE102006005664A1 (de) Überwachung des Gesundheitszustandes eines Fahrzeugführers
US9155840B1 (en) Syringe assembly including volume indicating indicia
JP2007159659A (ja) 採血用中空針
JPS6086439A (ja) 光学式微量定量装置
DE19734618A1 (de) Analysevorrichtung zur in vivo-Analyse im Körper eines Patienten
CN113960027A (zh) 一种即时检测的笔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