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605A -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605A
KR20200046605A KR1020180128001A KR20180128001A KR20200046605A KR 20200046605 A KR20200046605 A KR 20200046605A KR 1020180128001 A KR1020180128001 A KR 1020180128001A KR 20180128001 A KR20180128001 A KR 20180128001A KR 20200046605 A KR20200046605 A KR 20200046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image
value
ambi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309B1 (ko
Inventor
정혜영
이성주
김주용
안진성
이승신
정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309B1/ko
Priority to US16/660,991 priority patent/US20200135127A1/en
Priority to PCT/KR2019/014028 priority patent/WO2020085804A1/en
Publication of KR20200046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 제1화질값을 획득하고, 제1디스플레이의 조도값 및 제1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디스플레이의 조도값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CONSISTING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자체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다중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로 상이한 환경 하에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대해, 어느 한 디스플레이를 보는 사용자가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다중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고, 복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예시로는 비디오 월(video wall)이 있다.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경우에, 각 디스플레이가 서로 상이한 표시환경 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예시로는 양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있는데, 두 대의 디스플레이가 건물의 창문 등에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는 실내에 위치하며 제2디스플레이는 실외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 실내에 있는 제1디스플레이 및 실외에 있는 제2디스플레이는 동일한 화질 속성의 영상을 각각 표시한다고 하더라도, 표시환경의 차이 때문에 사람이 인지하는 영상의 화질에서 서로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제1디스플레이에 있는 사용자가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 속성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제2디스플레이는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데이터를 제1디스플레이에 전송하고, 제1디스플레이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는 표시하는 영상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화질 속성의 설정값을 제2디스플레이에 전송한다. 제2디스플레이는 수신되는 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 각각의 표시환경이 상이하므로, 최종적으로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은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인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외가 실내에 비해 조도 레벨의 차이가 큰 환경이라면, 사용자가 조정한 영상은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때에 사람이 인지하기에 적절하였다고 하더라도,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때에 사람이 인지하기에 곤란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 사용자가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불편함이 크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 속성을 조정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이 어떻게 인지될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부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주변광의 주변광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를 보고 있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이한 표시환경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화질값을 이용하여 ,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사용자가 의도하는 화질이 적절히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변광값은, 상기 주변광의 조도값 또는 색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의 밝기 또는 감마커브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주변광값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복수의 화질값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미리 정해진 주변광값 및 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화질값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연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미리 정해진 주변광값 및 제1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한 연산식을 이용하여, 화질값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광값을 대신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주변광에 대한 사용자입력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센서부에 의한 주변광값 대신에, 주변광에 대한 사용자입력값을 이용하여 화질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광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선택 가능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메뉴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광에 대한 사용자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주변광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주변광값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광값을 대신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주변광에 대한 수집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센서부에 의한 주변광 감지가 적절하지 않거나, 사용자 입력 없이도, 주변광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주변광값과, 상기 수신된 주변광값의 차이가 문턱값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상기 화질값의 조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 디스플레이 각각의 표시환경이 유사하여 화질 조정의 실질적인 효과가 미비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대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화질값의 조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의 표시환경이 유사한 시간대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제2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영상의 화질값과, 상기 제2영상의 표시 시에 감지된 주변광의 제2주변광값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 조정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을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까지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제1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와는 다른 표시환경에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부와; 제1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정된 화질값과, 상기 감지된 주변광의 주변광값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2통신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부와; 제2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상기 조정된 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주변광의 주변광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부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영상의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주변광의 주변광값에 대응하도록 조정된 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정된 화질값과, 상기 감지된 주변광값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제2영상의 표시 시에 감지된 주변광의 제2주변광값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주변광값에 기초하여 조정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표시된 제2영상을 상기 제2화질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하여 주변광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주변광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와, 제2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하여 주변광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하여 주변광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상기 조정된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와,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디스플레이의 조도값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조정한 제1화질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조도값 및 상기 제1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조도값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가 제2디스플레이를 가진 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경우에, 제2디스플레이를 보고 있는 사용자가 직접 제1디스플레이를 보지 않더라도,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에 해당 사용자가 의도하는 화질이 적절히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와, 제2디스플레이와,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조도값과, 영상의 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조도값에 대응하는 제1화질값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 제2화질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디스플레이를 보고 있는 사용자가 화질을 조정한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어떻게 영상을 인지하였는지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태를 반영하여 조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와, 사용자입력부와,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디스플레이의 조도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조도값과, 영상의 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조도값에 대응하는 제1화질값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 제2화질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화질값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의 화질 조정을 위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가 제2디스플레이를 가진 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를 보고 있는 사용자가 화질을 조정한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어떻게 영상을 인지하였는지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태를 반영하여 조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 제1화질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조도값 및 상기 제1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조도값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제2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디스플레이를 보고 있는 사용자가 제1디스플레이와 상이한 표시환경의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화질을 제1디스플레이를 통해 조정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직접 제2디스플레이를 보지 않더라도,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에 사용자의 의도하는 화질이 적절히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제2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차이에 대응하여 영상의 조도 레벨을 조정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표시환경의 색온도 차이에 대응하여 영상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환경의 상태 중 주변 조도를 판단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환경의 상태 중 주변 색온도를 판단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영상처리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조도 레벨의 차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화질 시뮬레이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시간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화질 시뮬레이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100; 이하, 간략히 '시스템'이라고도 함)은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110, 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110, 120)는 각 화면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양면 디스플레이 구조로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110) 및 제2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110) 및 제2디스플레이(120)는 양면 디스플레이 구조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상호 분리 및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디스플레이(110) 및 제2디스플레이(120)는 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가능하게 마련되는 별개의 장치로 마련되는 바, 이하 제1디스플레이장치(1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20)로 각각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있어서, 서로 별개의 장치로서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2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와, 또 다른 하나를 지칭하는 것이라면, 그 명칭이 '마스터 디스플레이장치/슬레이브 디스플레이장치', '내부 디스플레이장치/외부 디스플레이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불리우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2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의 표시환경을 제1표시환경이라고 지칭하고,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의 표시환경을 제2표시환경이라고 할 때,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환경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고 있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영상의 색감이 결정되는 환경을 말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와,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의 표시환경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은, 동일한 영상을,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제1표시환경에서 보고 있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색감과,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의 제2표시환경에서 보고 있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색감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제1표시환경은 실내에서 전등에 의한 실내광 하에 있는 반면, 제2표시환경은 실외에서 태양에 의한 실외광 하에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환경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의 특성, 예컨대, 조도값, 색온도 등으로 특정되거나, 혹은 주변 온도, 습도 등에 의해서도 특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표시환경은 제1디스플레이장치(110)가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인 반면, 제2표시환경은 제2디스플레이장치(120)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은 서로 상이한 표시 환경 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구분일 뿐이며, 각 표시환경이 상기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하나의 예로서, 실내에 있는 조정자 또는 사용자(101)가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특성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해 고려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의 특성은, 영상의 밝기, 색상, 콘트라스트 등과 같은 영상의 화질값(이하, 설명에 따라 '설정값'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101)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 마련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영상의 다양한 속성에 관한 설정값을 입력 또는 조정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에 관한 정보를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전송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12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로부터의 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을 표시한다.
그런데,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은 주변광에 관련된 환경 조건이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면, 전등에 의한 광의 영향 하에 있는 제1표시환경에 비해, 낮에 태양광의 영향 하에 있는 제2표시환경의 주변 밝기가 상대적으로 훨씬 높다. 또는, 밤의 경우에는 반대로 제2표시환경의 주변 밝기가 제1표시환경에 비해 낮을 수도 있다. 주변광에 관련된 환경 조건은 주변 밝기 뿐만 아니라, 주변광의 색온도 등 다양한 패러미터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주변광의 밝기가 동일하다고 해도, 주변 온도, 습도 등이 서로 다르거나, 혹은 장치가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가 여부 등에 따라서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표시환경의 차이로 인해, 어느 표시환경에서 영상을 보는 사람이 인지하는 영상의 화질 또는 색감(이하, '화질'이라고만 하더라도, '색감'을 언급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음)은, 다른 표시환경에서 인지한 영상의 화질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 표시되는 영상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감은 사람이 상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101)가 인지하는 대로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를 통해 화질을 조정한 영상이 차후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서 표시될 때, 해당 영상이 사용자(101)가 의도한 화질로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제1표시환경에 있는 사용자(101)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고, 이 조정된 영상이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시스템(100)은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에 의한 영향을 함께 고려한 화질로 영상을 시뮬레이팅한다. 이로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제2표시환경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제1표시환경 하에서 제2표시환경과 마찬가지의 색감으로 인지하도록 표시함으로써, 실제 제2표시환경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조정되는 화질에 보다 근접한 화질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 제1디스플레이장치(1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20)가 마련된다. 본 도면의 제1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은 앞선 도면에서의 동일 명칭의 장치들과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치들이다.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211)와, 소정의 신호 또는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마련된 제1신호입출력부(212)와, 영상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213)와,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제1사용자입력부(214)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215)와,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표시환경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216)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1프로세서(217)를 포함한다. 물론,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상기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제품의 구현 시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계 변형이 반영될 수도 있다.
이하,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각 구성요소들에 관해 설명한다.
제1통신부(21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예를 들면, 제1통신부(211)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서 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이나,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신호입출력부(212)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를 비롯한 소정의 외부장치와 일대일 또는 일대다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에 대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1신호입출력부(212)는 예를 들면, HDMI 또는 DisplayPort 등의 규격에 따른 복수의 커넥터 또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부(213)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제1디스플레이부(213)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이 추가된다.
제1사용자입력부(214)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1사용자입력부(214)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와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제1디스플레이부(213)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제1저장부(215)는 제1프로세서(217)에 의해 억세스되며, 제1프로세서(217)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제1저장부(215)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1센서부(216)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가 설치된 제1표시환경의 다양한 속성의 상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제1센서부(216)는 예를 들면, 제1표시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제1표시환경의 광의 색온도를 감지하는 컬러센서, 제1표시환경의 주변 온도 혹은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습도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설치 각도, 화면 표시 각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다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가 제1센서부(216)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제1센서부(216)가 아닌 별도의 방법을 통해 제1표시환경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제1사용자입력부(214)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당 정보를 취득하거나, 제1통신부(211) 또는 제1신호입출력부(212)를 통해 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제1프로세서(217)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마이크로컨트롤러,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프로세서(217)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세서(217)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제2통신부(221)와, 제2신호입출력부(222)와, 제2디스플레이부(223)와, 제2사용자입력부(224)와, 제2저장부(225)와, 제2센서부(226)와, 제2프로세서(227)를 포함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의 기본적 구성은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제2통신부(221) 또는 제2신호입출력부(222)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와 통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부(226)는 제2표시환경의 다양한 속성의 상태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2센서부(226)를 포함하지 않고,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경우에 유사하게 별도의 방법을 통해 제2표시환경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시스템은,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에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 제1화질값을 획득하고,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표시환경 및 제1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의 표시환경에 대응하는 제2화질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환경은 다양한 예시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조도값, 색온도, 주변온도, 주변습도, 화면 표시 각도 등 중에서 어느 하나, 혹은 어느 2이상의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도값 또는 색온도는 '주변광값'이라고도 한다. 이로써,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영상을 보고 있는 사용자가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와 상이한 표시환경의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화질을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를 통해 조정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직접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를 보지 않더라도,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는 영상에 사용자의 의도하는 화질이 적절히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시스템은,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의 표시환경과, 영상의 화질값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표시환경에 대응하는 제1화질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1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 제2화질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제2화질값을 가지는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한다. 이로써,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를 보고 있는 사용자가 화질을 조정한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함에 있어서,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의 표시환경에서 어떻게 영상의 색감을 인지할 것인지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태를 반영하여 조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의 각 동작은 제1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2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20) 중 어느 장치가 각 동작을 수행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통신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20)가 각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지만,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시스템은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제1표시환경에 관한 정보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의 제2표시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는 영상이 제2표시환경에서 인지되는 화질로 제1표시환경 하에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에 표시되게 한다.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여 화질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화질값에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변경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는 영상의 데이터와, 제2표시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2표시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화질이 변경된 해당 영상을 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여 화질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화질값을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전송한다. 이로써,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수신되는 화질값에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변경되도록 한다.
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는 영상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해당 영상을 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여 화질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화질값을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전송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화질값과 함께, 제1표시환경에 관한 정보를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로부터 획득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획득한 화질값 및 제1표시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변경되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를 통해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고, 화질이 조정된 해당 영상이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서 표시되는 경우에,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는 영상이 사용자의 인지 화질에 보다 접근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디스플레이장치(210)가 반드시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동작 방식에 따라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가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21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20)와 동일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안이라면,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필요 없이, 이미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가 영상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서버, 광학미디어 재생장치 등의 다양한 영상소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각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동작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실행되거나, 별도의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310 단계에서 시스템은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320 단계에서 시스템은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제1표시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330 단계에서 시스템은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제2표시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340 단계에서 시스템은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여 영상 화질의 조정을 위한 제1설정값을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 사이의 차이는, 예컨대, 제1표시환경의 조도값과, 제2표시환경의 조도값의 차이를 말하며, 340 단계는, 이 예시의 경우, 두 조도값의 차이에 따라 두 표시환경에서 인지되는 색감의 차이만큼을 화질값에 반영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350 단계에서 시스템은 제1설정값에 따라서 조정된 영상이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게 제어한다. 즉, 시스템은 제1표시환경 하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제2표시환경의 상태를 반영하도록,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 사이의 차이를 영상 화질의 조정에 반영한다.
360 단계에서 시스템은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에 대한 화질 조정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2설정값을 획득한다. 이 때,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은 제2설정값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영상을 조정한다.
370 단계에서 시스템은 제2설정값에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조정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제2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와, 반대로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의 두 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두 실시예 모두,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조정하는 사용자가 보고 있는 장치이며,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조정한 영상을 최종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하, 각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제2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1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제2디스플레이장치(402)로부터, 제2디스플레이장치(402)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물론,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401)가 해당 영상데이터를 반드시 제2디스플레이장치(402)로부터 수신하는 경우만 있는 것은 아니며,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별도의 컨텐츠소스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취득하거나 또는 자체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취득할 수도 있다.
42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제1표시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제1환경정보는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이하, '조도값'이라고도 함), 색온도, 주변온도, 주변습도, 화면 표시 각도 등 중에서 어느 하나 혹은 2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자체 구비한, 예컨대, 조도 센서 등의 감지 결과로부터 제1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425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402)는 제2표시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제2환경정보는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색온도, 주변온도, 주변습도, 화면 표시 각도 등 중에서 어느 하나 혹은 2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402)는 자체 구비한 조도 센서 등의 감지 결과로부터 제2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43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제2디스플레이장치(402)로부터 제2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차후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 사이의 연산이 가능하도록,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가 나타내는 조도 레벨 등의 인자는 동일 차원의 정량화된 값을 가진다.
44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 사이의 차이를 산출한다.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 사이의 차이는, 예컨대,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및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사이의 차이에 해당한다.
45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산출된 차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의 화질의 제1설정값을 도출한다. 여기서, 제1설정값의 도출은 기 설정된 룩업테이블이나, 수학적 함수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제1설정값의 도출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한다. 제1설정값은, 예를 들면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및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영상의 화면 밝기 레벨의 조정값으로 마련될 수 있다.
46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제1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영상데이터의 화면 밝기 레벨에 상기한 조정값을 더한다. 즉,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제1표시환경에서, 제2표시환경 하에서의 영상에 대해 사람이 인지하는 화질을 시뮬레이팅하여 제2표시환경과 마찬가지의 색감으로 인지되도록 영상을 표시한다.
47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2설정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제2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401)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입력부를 사용하여 영상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48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제2설정값을 제2디스플레이장치(402)에 전송한다.
485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402)는 제2설정값에 따라서 영상데이터의 화질을 조정하고, 조정된 영상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401)는 제2표시환경 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화면 밝기를 예측하고, 제1표시환경 하의 사용자에 제공하도록 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화면 밝기를 조정한 영상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표시환경에서 제2표시환경과 마찬가지의 색감으로 영상을 인지하여 화질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정 장소를 옮기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표시환경으로서 조도 레벨을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환경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조도 레벨 뿐만 아니라, 색온도, 주변온도, 주변습도, 화면 표시 각도 등 다양한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화질로서 화면 밝기를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질은, 표시환경에 맞게 다양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의 밝기, 감마커브, 색상, 콘트라스트 등 중에서 어느 하나 혹은 2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환경과, 화질(혹은 화질값)의 다양한 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어느 실시예의 설명에서, 표시환경 혹은 화질(값)의 예시로서 특정한 예만 설명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예시 외에, 앞서 언급된 다양한 예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설정값에 관한 내용과, 제1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예시가 가능하다. 이하,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방법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차이에 대응하여 영상의 조도 레벨을 조정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500)는 조도 센서(510)로부터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s1을 획득하고, 제2디스플레이장치(520)로부터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s2를 획득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및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사이의 차이, 즉 (s2-s1)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s1=500룩스, s2=10,000룩스이면, (s2-s1)=9,500룩스가 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500)는 기 설정된 LUT(Look-Up Table)(530)를 호출한다. LUT(530)는 복수의 (s2-s1) 값들에 각기 대응하도록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1설정값 n1을 포함한다. LUT(530)는 다양한 형태의 실험을 통해 제조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500)에 저장되거나, 제1디스플레이장치(500)가 외부메모리장치 또는 서버와 같은 별도의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1디스플레이장치(50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LUT(530)의 예시를 들고 있지만, 기 설정된 함수 또는 알고리즘이 LUT(530) 대신 적용될 수도 있다.
LUT(530)의 각 제1설정값 n1은 영상(540)의 조도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LUT(530)의 구성 방식이 어느 한 가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종적으로 조정하고자 하는 영상(550)의 밝기 값일 수도 있고, 또는 영상(540)의 현재 밝기 값 n0에 대하여 가감할 조정값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s2-s1)=9,500룩스이면, 제1디스플레이장치(500)는 LUT(530)의 검색을 통해 9,500룩스에 대응하는 제1설정값 n1=950니트(nit)를 도출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500)는 영상(540)의 현재 밝기 레벨 n0에, 도출된 제1설정값 n1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영상(540)의 밝기 레벨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n0=300니트이면, (n0+n1)=1,250니트가 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500)는 최종적으로 영상(540)의 밝기 레벨을 1,250니트가 되도록 조정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및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화면 밝기의 조정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조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면 밝기를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환경의 상태 속성이 조도이고, 영상의 화질 속성 중에서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표시환경의 상태 속성 및 이에 대응하는 영상의 화질 속성은 다양한 예시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표시환경의 색온도 차이에 대응하여 영상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센서(610)로부터 제1표시환경의 색온도 k1을 획득하고, 제2디스플레이장치(620)로부터 제2표시환경의 색온도 k2를 획득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600)는 제1표시환경의 색온도 및 제2표시환경의 색온도 사이의 차이, 즉 (k2-k1)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k1=5,000K, k2=6,500K이면, (k2-k1)=1,500K가 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600)는 기 설정된 LUT(630)를 호출한다. LUT(630)는 복수의 (k2-k1) 값들에 각기 대응하도록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1설정값 c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LUT(630) 또한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LUT(630)의 각 제1설정값 c1은 영상(640)의 RGB값을 조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예를 들면 R-레벨, G-레벨, B-레벨 각각의 조정값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k2-k1)=1,500K이면, 제1디스플레이장치(600)는 LUT(630)의 검색을 통해 1,500K에 대응하는 제1설정값을 도출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600)는 영상(640)의 현재 RGB값 c0에, 도출된 제1설정값 c1을 더하는 방식으로, 영상(640)의 RGB값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c1이 R-레벨 -20, B-레벨 +50으로 지정되어 있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600)는 영상(640)의 현재 RGB값 c0이 나타내는 RGB 레벨에서, R-레벨을 20만큼 줄이고, B-레벨을 50만큼 늘려서 조정하여, 조정된 영상(650)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600)는 제1표시환경의 색온도 및 제2표시환경의 색온도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RGB값의 조정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조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RGB값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환경의 여러 속성 중에서, 주변 조도 또는 주변 색온도 어느 한 가지만을 고려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가 주변 조도 및 주변 색온도를 함께 고려하는 경우도 가능한 바, 예를 들면 LUT의 제1설정값은,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및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사이의 차이와, 제1표시환경의 색온도 및 제2표시환경의 색온도 사이의 차이에 함께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만일 표시환경의 속성이 셋 이상인 경우에도, 이러한 원리가 적용되어 LUT가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주변 조도, 주변 색온도 등과 같은 표시환경의 상태를 센서에 의해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가 센서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표시환경의 상태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구성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환경의 상태 중 주변 조도를 판단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표시환경의 상태를 입력하도록 마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영상(710)을 표시한다. 영상(710)은 표시환경의 서로 상이한 복수의 기 설정된 상태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나타낸다. 여기서, 표시환경의 상태는 표시환경의 여러 가지 속성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환경의 조도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을 표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영상(710)은 주변의 조명 상태(이하, '주변광의 정보'라고도 함)에 관련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한다. 주변의 조명 상태는, 현재 시간, 날씨 등과 같은 외부의 자연광, 실내 전등으로 인한 인공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항목은 밤과 낮의 구분, 맑은 날씨, 흐린 날씨, 비오는 날씨의 구분, 오전과 오후의 구분 등과 같이,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 상태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각 항목은, 밤, 맑은 날씨의 낮, 흐린 날씨의 낮, 비오는 날씨의 낮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각 항목은, 촛불, 백열전구, 텅스텐 램프, 할로겐 램프, 형광등 등와 같이, 전등의 종류에 따른 실내의 조명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항목들의 내용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현재 상태를 판단하여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기술적으로는 사용자가 현재 표시환경의 조도를 수치상으로 입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표시환경의 조도를 알기는 곤란하다. 이에,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시간, 날씨, 또는 전등의 종류 등의 조합에 따른 항목들이 마련되며, 각 항목들에 대응하는 주변 조도가 맵핑된 LUT(720)가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영상(710)에 나타난 복수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조도 레벨을 LUT(72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조도 레벨을 표시환경의 조도 레벨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맑은 날씨의 낮"이라는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디스플레이장치 LUT(720)에서 "맑은 날씨의 낮"이라는 항목에 대응하는 주변 조도 레벨 s2를, 표시환경의 조도 레벨로 판단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색온도와 같은 다른 속성의 상태도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환경의 상태 중 주변 색온도를 판단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표시환경의 상태를 입력하도록 마련된 영상(810)을 표시한다. 본 영상(810)은 표시환경의 서로 상이한 복수의 기 설정된 조명 상태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환경의 색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항목을 표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영상(810)은 현재 시간 및 날씨에 관련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목들의 내용은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한데, 본 실시예에서의 LUT(820)는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하게, 각 항목들에 대응하는 표시환경의 속성이 조도 레벨이 아닌 색온도가 된다.
LUT(820)는 조명 상태에 관한 복수의 항목에 각기 대응하는 색온도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810)을 통해 사용자가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색온도 값을 LUT(820)에서 검색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검색된 값을 표시환경의 색온도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형광등"이란 항목을 선택하면, LUT(820)에서 "형광등"에 대응하는 색온도 k4를 표시환경의 색온도로 판단한다.
이상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또는 색온도를 각기 판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표시환경의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해 함께 판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영상을 통해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조도 레벨 및 색온도를 함께 LUT에서 검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환경의 상태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더라도 서버를 통해 표시환경의 상태에 대하여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기상청의 실시간 날씨 정보를 서버로 전달받으면, 해당 날씨에 대응하는 주변 조도 레벨과 색온도를 표시환경의 조도 레벨과 색온도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제2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하,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91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는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영상데이터를 제1디스플레이장치(901)에 전송한다.
911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901)는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한다.
913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901)는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도록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2설정값을 획득한다.
915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901)는 제1표시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901)는 자체 구비한 센서의 감지 결과로부터 제1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92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는 제2표시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는 자체 구비한 센서의 감지 결과로부터 제2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93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는 제1디스플레이장치(901)로부터 제2설정값 및 제1환경정보를 수신한다.
94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는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의 차이, 즉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의 차이를 산출한다.
95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는 산출된 차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의 화질의 제1설정값을 도출한다.
96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는 제1설정값 및 제2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장치(902)는 제1디스플레이장치(901)의 사용자가 조정한 제2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함에 있어서, 제1표시환경 하의 사용자가 어떻게 영상의 색감을 인지하였는지를 제2표시환경에 반영하여 화질을 조정하고, 화질 조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은 시스템이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고,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반영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별도의 영상처리장치가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영상처리장치(1000)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1)와, 제2디스플레이장치(1002)를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1)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002)의 기본적인 구성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처리장치(1000)는 통신부(1010)와, 신호입출력부(1020)와, 사용자입력부(1030)와, 프로세서(1050)를 포함한다. 영상처리장치(1000)는 셋탑박스, 컨텐츠소스와 같이 영상데이터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1)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002)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또는 컨트롤박스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1)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002)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10)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신호입출력부(102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1)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002)를 비롯한 소정의 외부장치와 일대일 또는 일대다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에 대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처리장치(1000)는 통신부(1010) 및 신호입출력부(10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1)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002)와 각각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는, 통신부(1010) 및 신호입출력부(10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1)와 통신이 가능하고, 제1디스플레이장치(1001)가 제2디스플레이장치(1002)와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0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저장부(1040)는 프로세서(1050)에 의해 억세스되며, 프로세서(105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프로세서(1050)는 영상처리장치(1000)의 제반 동작을 위한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050)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처리장치(10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영상처리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예측하는 경우에 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1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영상처리장치(1100)가 영상소스인 경우에 자체 저장되거나 또는 자체 재생하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1111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101)는 제1표시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이와 유사하게, 1113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1102)는 제2표시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환경정보를 획득한다. 각 환경정보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101)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102)가 각기 구비한 센서의 감지 결과로부터 획득된다.
112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1)로부터 제1환경정보를 수신한다.
113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1102)로부터 제2환경정보를 수신한다. 물론 영상처리장치(1100)가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상기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에도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114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의 화질의 제1설정값을 도출한다.
115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제1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제1설정값의 도출 및 제1설정값에 따른 화질의 조정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116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영상의 화질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제1디스플레이장치(1101)에 전송한다. 이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1)를 보고 있는 사용자가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1161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101)는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2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1)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대로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117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1)로부터 제2설정값을 수신한다.
118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제2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119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1100)는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제2디스플레이장치(1102)에 전송한다. 또는, 영상처리장치(1100)는 제2설정값에 따라서 영상데이터를 조정하지 않고, 제2설정값 및 영상데이터를 제2디스플레이장치(1102)에 전송함으로써 제2디스플레이장치(1102)가 제2설정값에 따라서 영상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1191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1102)는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표시환경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다른 표시환경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조정에 반영되도록 하는 동작(이하, 간략히 '화질 조정 동작'이라고도 함)은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고자 할 때, 항상 수행되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조건 하에서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화질 조정 동작은,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 및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에 효과가 현저하고, 상기한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 효과가 크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화질 조정 동작은 상기한 차이가 클 경우에 수행되고, 작을 경우에 수행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조도 레벨의 차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화질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동작은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121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122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표시환경의 조도 레벨을 획득한다.
123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표시환경의 조도 레벨을 획득한다.
124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차이가 임계치보다 크면, 125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영상데이터에 화질 조정 동작을 수행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화질 조정 동작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반면에, 상기한 차이가 임계치보다 크지 않으면,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화질 조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126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해당 영상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이후의 단계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 사이의 조도 레벨 차이가 큰 경우에 한해, 화질 조정 동작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효과가 크지 않은 경우에 화질 조정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 사이의 조도 레벨의 차이를 직접 계측하는 방법 이외에도, 현재 시간을 실행 선택 조건으로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시간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화질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동작은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131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132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시간을 확인한다.
133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대에 해당하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시간이,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 사이의 조도 레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낮 시간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대에 해당하면, 134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영상데이터에 화질 조정 동작을 수행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화질 조정 동작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반면에,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대에 해당하지 않으면,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화질 시뮬레이팅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135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해당 영상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이후의 단계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가 별개의 장치로 마련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디스플레이, 제2디스플레이 및 이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400)는, 통신부(1410), 신호입출력부(1420), 제1디스플레이부(1430), 제2디스플레이부(1440), 사용자입력부(1450), 저장부(1460), 센서부(1470), 프로세서(148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400)의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기본적인 구성은,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400)가 제1표시환경에 있는 제1디스플레이부(1430)와, 제2표시환경에 있는 제2디스플레이부(1440)와, 제1디스플레이부(1430) 및 제2디스플레이부(1440) 각각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1480)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부(1470)는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제1표시환경 및 제2표시환경은 서로 상이한 환경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480)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장치(14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인지 화질을 제2디스플레이부의 화질 조정에 반영하는 경우에 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15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표시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환경정보 및 제2표시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환경정보를 획득한다.
15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환경정보 및 제2환경정보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의 화질의 제1설정값을 도출한다.
15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설정값에 따라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여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15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2설정값을 수신한다.
15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설정값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15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설정값에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표시환경 하의 사용자가 보는 영상으로부터 인지되는 색감을 고려하여, 제2표시환경에서 제1표시환경과는 다른 색감으로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제2표시환경에서 실제 영상을 보면서 조정하는 화질에 보다 근접하게 영상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deep-running)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100 : 시스템
110 : 제1디스플레이
120 : 제2디스플레이

Claims (17)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부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주변광의 주변광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광값은, 상기 주변광의 조도값 또는 색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의 밝기 또는 감마커브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주변광값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복수의 화질값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연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광값을 대신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주변광에 대한 사용자입력값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광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선택 가능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메뉴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광에 대한 사용자입력값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광값을 대신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주변광에 대한 수집값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주변광값과, 상기 수신된 주변광값의 차이가 문턱값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상기 화질값의 조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대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화질값의 조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제2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영상의 화질값과, 상기 제2영상의 표시 시에 감지된 주변광의 제2주변광값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제1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와는 다른 표시환경에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부와;
    제1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정된 화질값과, 상기 감지된 주변광의 주변광값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2통신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부와;
    제2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상기 조정된 화질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주변광의 주변광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광값은, 상기 주변광의 조도값 또는 색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의 밝기 또는 감마커브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프로세서는, 복수의 주변광값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복수의 화질값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프로세서는,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연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질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7.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을 감지하여 주변광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값과, 화질값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주변광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128001A 2018-10-25 2018-10-25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3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001A KR102613309B1 (ko) 2018-10-25 2018-10-25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660,991 US20200135127A1 (en) 2018-10-25 2019-10-23 Display apparatus of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14028 WO2020085804A1 (en) 2018-10-25 2019-10-24 Display apparatus of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001A KR102613309B1 (ko) 2018-10-25 2018-10-25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605A true KR20200046605A (ko) 2020-05-07
KR102613309B1 KR102613309B1 (ko) 2023-12-14

Family

ID=7032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001A KR102613309B1 (ko) 2018-10-25 2018-10-25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35127A1 (ko)
KR (1) KR102613309B1 (ko)
WO (1) WO20200858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70A1 (ko) * 2021-10-27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9062A (ja) * 2020-10-23 2022-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2365863A (zh) * 2020-11-17 2021-02-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亮度调节方法、装置、显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946A (ko) * 2009-11-11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전, 멀티 비전 구현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US20110285746A1 (en) * 2010-05-21 2011-11-24 Jerzy Wieslaw Swic Enhancing Color Images
US20130027370A1 (en) * 2011-02-03 2013-01-3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load sharing between electronic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642B1 (ko) * 2009-10-15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9724B1 (ko) * 2012-10-29 2019-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휘도 보정 방법
KR102354883B1 (ko) * 2013-11-18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4730A (ko) * 2015-06-09 201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
KR102501676B1 (ko) * 2016-07-07 202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눈부심 현상이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946A (ko) * 2009-11-11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전, 멀티 비전 구현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US20110285746A1 (en) * 2010-05-21 2011-11-24 Jerzy Wieslaw Swic Enhancing Color Images
US20130027370A1 (en) * 2011-02-03 2013-01-3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load sharing between electronic display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70A1 (ko) * 2021-10-27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35127A1 (en) 2020-04-30
WO2020085804A1 (en) 2020-04-30
KR102613309B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JP5255431B2 (ja) 照明状態記録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8662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580066B (zh) 环境光上下文知晓显示
US1020459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13309B1 (ko)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24566B2 (en) User interface with adaptive extent of user control based on user presence information
US10930246B2 (en)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US201001031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ambient light affected appearing imagery based on sensed ambient lighting
CN106605447A (zh) 基于用户简档的来自装置屏幕的预测照明
US10586351B1 (en) Ambient light estimation for camera device in infrared channel
US111074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acklight and ambient light sensor control management with semi-supervised machine learning for digital display operation
US9013370B2 (en) Display system for meeting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6319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thereof
US2017037160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20190134370A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콘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CN115953965A (zh) 显示设备和显示参数调整方法
US10969622B2 (en) Multi-element backlight to highlight or obscure informational element
KR102668429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40144517A1 (en) Displaying an aggregation of data in dependence on a distance to a closest device in an image
EP3948793B1 (en) Determining lighting design preferences in an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2021005917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5382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7473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6935798A (zh) 显示设备、显示屏背光调整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