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364A -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364A
KR20200046364A KR1020180127411A KR20180127411A KR20200046364A KR 20200046364 A KR20200046364 A KR 20200046364A KR 1020180127411 A KR1020180127411 A KR 1020180127411A KR 20180127411 A KR20180127411 A KR 20180127411A KR 20200046364 A KR20200046364 A KR 2020004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alue
output terminal
power supply
curren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준필
남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2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364A/ko
Publication of KR2020004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류를 도통시키는 회로에 RC 회로를 추가 설계함으로써,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을 벗어나는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LOW PASS FILTER}
본 발명은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류를 도통시키는 회로에 RC 회로를 추가 설계함으로써,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을 벗어나는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차량(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Vehicle) 또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중대형 배터리를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이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시스템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를 사용하는 차량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안정성과 관련된 문제라고 할 수 있는데, 최근에도 자동차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로 인해서 마스터 BMS와 슬레이브 BMS 간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옵토 커플러 소자의 출력을 담당하는 출력단의 일부 회로가 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옵토 커플러 소자의 불량 발생으로 인해 차량의 BMS 기능에 문제가 생기므로,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옵토 커플러를 보호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66556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전압이 인가되는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연결된 회로 상에 커패시터 및 저항기를 포함한 RC 회로를 추가 설계하여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을 벗어나는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통해 옵토 커플러 출력단의 Vcc핀 정격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순간적으로 인가되어 회로 소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전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하는 옵토 커플러 및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키는 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원부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원부는, 차량에 탑재된 압축 배터리를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입력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회로는 커패시터 소자, 저항 소자 및 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C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회로는,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일부를 상기 접지부로 우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 감소율은, 상기 커패시터 소자 및 저항 소자 각각에 할당된 값과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마스터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과 슬레이브 BMS 간의 신호를 전달하는 옵토 커플러 및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키는 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원부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원부는, 차량에 탑재된 압축 배터리를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입력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옵토 커플러를 통해,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필터 회로를 통해,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옵토 커플러를 통해,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원부를 통해,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옵토 커플러를 통해,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원부를 통해, 차량에 탑재된 압축 배터리를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회로를 통해,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일부를 상기 접지부로 우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은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을 벗어나는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통해 옵토 커플러 출력단의 Vcc핀 정격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순간적으로 인가되어 회로 소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옵토 커플러를 이용한 통신 회로(1)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입력 전압에 대한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형태의 입력 전압에 대한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을 통한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옵토 커플러를 이용한 통신 회로(1)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옵토 커플러를 이용한 통신 회로(1)는 먼저, 옵토 커플러(1a) 내부의 입력단(1b)에 신호 전달을 하기 위한 입력 전압(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 인가되고, 입력단(1b)은 내부의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를 통해서 출력단(1c)에 전원(1e)으로부터 정격 전압 범위 안에 해당하는 전류가 도통되도록 한다.
한편, 옵토 커플러(1a)의 전원(1e)으로부터 출력단(1c)에 연결되는 회로는 커패시터(1d)를 통한 우회 회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우회용 커패시터(1d)만을 사용하는 회로는 순간적으로 고전압 전류가 밀려들어오는 상황에 있어서 좋은 효율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우회 회로를 사용하는 차량의 BMS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원인을 토대로 발생되는 과전압 유입으로 인해 옵토 커플러(1a)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회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은 크게 옵토 커플러(101) 및 필터 회로(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먼저, 옵토 커플러(101)는 제2 전원부(11)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13)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10)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전원부(10)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옵토 커플러(101)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옵토 커플러(101)의 출력단(12)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부(10)는 차량에 탑재된 메인 배터리를 관리하고,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BMS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원부(11)는 차량에 탑재된 압축 배터리를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옵토 커플러(101)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옵토 커플러(101)의 입력단(13)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원부(11)는 차량에 탑재된 압축 배터리를 관리하고,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BMS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 회로(102)는 제1 전원부(10)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 회로(102)는 커패시터 소자(14), 저항 소자(15) 및 접지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C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회로(102)는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의 일부를 접지부(16)로 우회시킬 수 있다.
또한,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 감소율은,
커패시터 소자(14) 및 저항 소자(15) 각각에 할당된 값과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 감소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입력 전압에 대한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기 입력 전압(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 및 출력 전압(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은 옵토 커플러(101)의 출력단에 대한 것이고, 전압 단위는 볼트(V), 시간 단위는 뮤세컨드(μs)로 표현되었다.
필터 회로(102)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 감소율은 필터 회로(102)에 포함되는 RC회로의 커패시터 소자(14) 및 저항 소자(15)에 할당된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각 소자의 할당값은 옵토 커플러(101)의 설계에 따라 맞춰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필터 회로(102)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 감소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상술한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이러한 전압값의 변화 형태에 따른 실험 결과를 시각적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실험예에서는 저항 소자(15)에 39Ω의 값이 할당되고, 커패시터 소자(14)에 1μF의 값이 할당되었다.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약 2μs의 시간 내에 10V 이상의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어, 실제 BMS에서 외부 노이즈 등으로 인한 과전압 인가 상황에 대등하도록 전압값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주기가 짧은 파형은 일반적인 교류 전압에서 고주파의 형태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필터 회로(102)의 고주파 차단 작용에 의해 출력단(12)에 인가된 전압값 변화량의 대부분이 감소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면, 약 5μs의 시간 내에 10V 이상의 노이즈 전압이 인가되어, 상대적으로 파형이 도 5에 도시된 바에 비해 저주파의 형태를 띄고 있는데, 필터 회로(102)의 저역 통과 특성에 따라 저주파의 형태를 나타내는 노이즈에 대해서는 출력단(12)에 인가된 전압값 변화량에 대한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노이즈 전압이 긴 시간 동안 인가되어, 상술한 전압값 변화량에 대한 감소율이 더 적어질 수 있는 경우, BMS에 의해서 제어되는 릴레이(18)를 통해 옵토 커플러(101)의 출력단(12)에 도통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실시 형태를 표현하고 있다. 일정 이상의 시간 동안 과전압이 인가되면 전압 측정부(17)에서 과전압에 대한 정보를 BMS에 전달하고 BMS는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릴레이(18)를 제어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의 실험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은 더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전압값 변화에 대해서 더 높은 감소율을 보이며, 실제 기기 운용에서 순간적인 전압 튐 현상과 같은 상황에서 효율이 좋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7을 통해 이러한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을 통한 통신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먼저 제2 전원부에서 옵토 커플러의 입력단에 인가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압을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에 맞춰 변경하게 된다(S501).
다음으로, 변환된 전류가 옵토 커플러의 입력단에 도통되고, 입력단의 내부의 다이오드 소자가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전류가 도통되도록 동작하게 된다(S502).
다음으로, 제1 전원부에서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인가되어아 하는 전류의 전압을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에 맞춰 변경하게 된다(S503).
다음으로, 변환된 전류가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도통되어(S504), 출력단의 출력 단자를 통해 신호가 전달된다(S505').
여기에서, 제1 전원부의 전압 변환과는 별도의 원인으로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류의 전압이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을 벗어나 변화하게 되는 경우, 필터 회로의 작용으로 변화하는 전압의 변화폭을 감쇠시켜 출력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S505).
전술한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종래의 옵토 커플러를 이용한 통신 회로
1a: 옵토 커플러
1b: 입력단
1c: 출력단
1d: 커패시터
1e: 전원
10: 제1 전원부
11: 제2 전원부
12: 출력단
13: 입력단
14: 커패시터 소자
15: 저항 소자
16: 접지부
17: 전압 측정부
18: 릴레이
100: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101: 옵토 커플러
102: 필터 회로

Claims (13)

  1.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하는 옵토 커플러; 및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키는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부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부는,
    차량에 탑재된 압축 배터리를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로는,
    커패시터 소자, 저항 소자 및 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C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로는,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일부를 상기 접지부로 우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 감소율은,
    상기 커패시터 소자 및 저항 소자 각각에 할당된 값과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7.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마스터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과 슬레이브 BMS 간의 신호를 전달하는 옵토 커플러; 및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키는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부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부는,
    차량에 탑재된 압축 배터리를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0. 옵토 커플러를 통해,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필터 회로를 통해,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옵토 커플러를 통해,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원부를 통해,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옵토 커플러를 통해, 제2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류 및 제1 전원부로부터 제공되어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를 토대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원부를 통해, 차량에 탑재된 압축 배터리를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값을 상기 옵토 커플러의 정격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옵토 커플러의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로를 통해,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에 대한 변화량을 감소 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전압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출력단에 도통되는 전류의 일부를 상기 접지부로 우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20180127411A 2018-10-24 2018-10-24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6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11A KR20200046364A (ko) 2018-10-24 2018-10-24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11A KR20200046364A (ko) 2018-10-24 2018-10-24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364A true KR20200046364A (ko) 2020-05-07

Family

ID=7073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411A KR20200046364A (ko) 2018-10-24 2018-10-24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63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9265A (zh) * 2020-05-25 2020-08-21 惠州市丝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便携式16kw交流充电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64B1 (ko) 2014-12-10 2016-10-13 상신브레이크(주) 회생 제동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부하 회로 및 회생 제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64B1 (ko) 2014-12-10 2016-10-13 상신브레이크(주) 회생 제동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부하 회로 및 회생 제동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9265A (zh) * 2020-05-25 2020-08-21 惠州市丝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便携式16kw交流充电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4114B2 (ja) 電気系統を保護するためのインタロック回路
CN102047560B (zh) 具有过压保护的输出驱动器
WO2014061422A1 (ja) 電圧検出装置
CN103843215A (zh) 自动电源变换器旁路
CN104022634B (zh) 一种储能电容式高、低压浪涌抑制电路及其抑制方法
CN110581541A (zh) 一种隔离控制的浪涌电流抑制电路
CN105514949A (zh) 一种具有防潜通功能的固态功率控制器和控制方法
KR20200046364A (ko) 저역 필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6163470A (en) EMI filter for an inrush relay
CN100530914C (zh) 用于开关电源电路的缓启动单元
CN203800819U (zh) 变频器及其上电保护模块
US7907380B2 (en) High power integrating power conditioner
CN102983764A (zh) 多路输入回馈式电子负载系统
CN203135826U (zh) 电压型栅控器件的驱动电路
CN104467156A (zh) 一种电源自动修复系统
CN105092942A (zh) 掉电告警系统
CN103261990B (zh) 安全区电压和电流接口
CN104660229A (zh) Pwm调制型设备及其输出功率限制电路
CN104714579A (zh) 基于rlc振荡放电的星载相机供电系统
CN211577382U (zh) 短路检测装置及充电设备
CN103151923A (zh) 一种稳压装置
CN106356963B (zh) 软启动电路
CN104714581A (zh) 基于变压器的星载相机供电系统
CN205005035U (zh) 一种可实现高电平到低电平转换的输出接口电路
CN102369666B (zh) 一种双稳态光开关实现单稳态功能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