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284A -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284A
KR20200046284A KR1020180127206A KR20180127206A KR20200046284A KR 20200046284 A KR20200046284 A KR 20200046284A KR 1020180127206 A KR1020180127206 A KR 1020180127206A KR 20180127206 A KR20180127206 A KR 20180127206A KR 20200046284 A KR20200046284 A KR 20200046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ight source
detection device
microorganism detection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387B1 (ko
Inventor
김세리
추현진
김원일
함현희
김현주
이상대
김의중
김철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8012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3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ellular or enzymatic activity or functionality, e.g. cell vi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4Multiple separable units;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4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hand por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02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located outside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8Heat exchange systems, e.g. heat jackets or outer envelopes
    • C12M41/20Heat exchange systems, e.g. heat jackets or outer envelopes the heat transfer medium being a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8Automatic or computerized cont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미생물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부재;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시료가 담긴 복수 개의 배양용기가 일대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거치공간이 형성된 거치부재; 상기 제2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양용기에 담긴 시료로부터 미생물이 배양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료의 미생물 배양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에 삽입된 복수 개의 배양용기 측으로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시료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광원부 및 카메라부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양용기에 담긴 시료의 미생물 배양 여부를 판별하고,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Real time automatic device for detecting hazardous microbe}
본 발명은 미생물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시료에 있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신속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에 의한 감염은 인간 및 동물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요한 경로로써 이로 인해 임상적 및 경제적으로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한다. 특히, 이러한 미생물 중 음식물, 식수 또는 음식물 등에 포함된 대장균은 사람에게 식중독 등의 병을 유발하여 많은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킨다.
대장균군/대장균은 위생지표세균으로 특히 분변오염의 지표로 알려져 있다. 병원성 미생물을 개별적으로 검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위생지표세균을 조사하면 전반적인 위생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대장균의 10%는 병원성 대장균이며 국내에서 이에 의한 식중독 사례가 2015년도 39건, 2123명으로 식중독의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종래의 대장균을 검사하는 방법은 증균, 선택배지에서 분리 및 동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약 4일 정도 소요된다. 이러한 생화학적 방법에 기초한 종래의 대장균 분석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전문성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대장균 검사에 효소 발색법의 원리를 이용한 분석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효소발색법은 대장균이 β-D-galactosidase 및 β-D-glucuronidase를 분비하여 효소발색법에 이용되는 시약 중 발색기질을 분해하여 색깔의 변화를 일으키고 형광색을 나타내는 원리를 이용한 기술이다. 이러한 효소발색법은 환경부, 미환경청(EPA) 및 AOAC의 수질검사법에도 등재된 공인된 시험법이며, 18시간 내에 대장균 유무를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효소발색법은 인큐베이트, UV 장치 및 고압멸균기 등의 특수한 장비를 요구하는 방법으로, 가정, 급식소 또는 농식품 산업현장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생활환경에서 간편하게 식중독균을 검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채취된 시료로부터 미생물을 배양하는 과정과 배양된 미생물을 검출하는 과정이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되므로 채취된 시료로부터 미생물을 검출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가정, 급식소 또는 농식품 산업현장 등의 일상적인 생활 환경에서 간단하게 미생물을 배양하여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미생물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서 미생물의 배양과 검출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미생물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부재;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시료가 담긴 복수 개의 배양용기가 일대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거치공간이 형성된 거치부재; 상기 제2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양용기에 담긴 시료로부터 미생물이 배양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료의 미생물 배양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에 삽입된 복수 개의 배양용기 측으로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시료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광원부 및 카메라부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양용기에 담긴 시료의 미생물 배양 여부를 판별하고,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케이스부는 상부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플랜지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제1플랜지부와 대응되도록 상부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기 제1플랜지부의 상부에 접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플랜지부는 적어도 일면에 단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온도조절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공간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과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면에 상기 거치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상기 거치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거치부재는,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 개의 거치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칸막이부재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공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형성된 반사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광원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거치부재에 삽입된 복수 개의 배양용기를 동시에 조사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광원부는 전체 조사영역 중 일부의 조사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광원부는 제1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파장대역과 다른 제2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광원은 UV 엘이디일 수 있고, 상기 제2광원은 백색 엘이디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는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는, 상기 케이스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덮개부는 내부에 시료가 채취된 건조필름을 거치하기 위한 보조거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조거치부재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구조물일 수 있고, 상기 보조거치부재는 테두리 측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통하여 상기 내부덮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제2공간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한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공간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전소자는 펠티어 소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별된 각각의 시료에 대한 미생물의 배양 유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별된 시료의 미생물 배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장비를 통하여 미생물을 배양한 후 검출할 수 있음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배양용기가 장착되더라도 광의 간섭없이 균등한 조사가 가능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덮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덮개부를 제외한 나머지 주요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덮개부의 주요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C-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D-D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거치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에서 광원부의 조사영역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채취된 시료로부터 미생물을 배양한 후 배양된 미생물을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생물은 병원성 대장균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병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세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료는 가정, 급식소, 식당 또는 농식품 산업현장 등과 같은 일상적인 생활환경에서 채취될 수 있으며, 작업자, 작업도구, 작업자의 장갑, 농산물, 종자, 농업용수 및 식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채취될 수 있다.
또한, 채취된 시료는 배양용기(10) 또는 건조필름(20)에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100)를 이용하여 배양될 수 있으며,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광을 이용하여 배양된 미생물로부터 검출하고자 하는 대상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110), 지지부재(120), 거치부재(130), 온도조절부(140), 광원부(150), 카메라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114,115)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부(110)는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부(180)를 통하여 상기 내부공간(114,115)의 개방된 상부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1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17)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공간(114,115)은 후술하는 지지부재(120)를 통해 제1공간(114) 및 제2공간(115)으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114)은 미생물이 배양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115)은 상기 온도조절부(140)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1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10)는 외부케이스(111)와 내부케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케이스(112)가 상기 외부케이스(11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111)는 상부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케이스(112)는 상기 제1플랜지부(111a)와 대응되도록 상부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112)가 외부케이스(11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플랜지부(111a)가 제2플랜지부(112a)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내부케이스(112)가 외부케이스(1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2)는 내부가 상기 지지부재(120)를 통해 상술한 제1공간(114) 및 제2공간(115)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스(111) 측에는 상기 온도조절부(140), 디스플레이부(192)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111)는 외력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2)는 외부케이스(111)와 마찬가지로 내구성을 높을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플랜지부(112a)는 적어도 일면에 단열부재(113)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플랜지부(112a)가 제1플랜지부(111a)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스(112) 및 외부케이스(111)가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내부케이스(112) 및 외부케이스(111)는 상기 단열부재(113)를 통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케이스(112)는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상기 내부케이스(112)로부터 외부케이스(111) 측으로 열전달이 방지됨으로써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내부케이스(112) 및 외부케이스(111) 사이에는 상기 내부케이스(112)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부재(193)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는 상기 단열부재(193)에 의한 단열효과를 통해 급격하게 변경되거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내부케이스(112)는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변경되거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14,115)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공간(114,115)을 구획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재(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공간(114,115)을 제1공간(114)과 제2공간(115)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간(114)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공간(115)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20)를 통해 구획된 제1공간(114) 측에는 배양될 시료가 놓여진 후 배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115) 측에는 상기 제1공간(114)의 온도를 적정한 배양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20)는 복수 개의 통과공(122)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간(115)에서 온도조절부(14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통과공(122)을 통해 상기 제1공간(114)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가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적정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조절부(140)는 열교환을 통해 상기 제2공간(115)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는 열전소자(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열전소자(142)를 통해 열교환된 제2공간(115)의 공기는 송풍팬(144)을 통해 상기 제1공간(114)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조절부(140)는 상기 열전소자(142)가 상기 제2공간(115) 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전반적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공간(115)의 공기는 상기 열전소자(142)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거나 냉각된 후 상기 송풍팬(144)을 통해 복수 개의 통과공(122)을 거쳐 제2공간(115) 측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는 상기 제2공간(115)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승온되거나 냉각됨으로써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적정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191)가 상기 제1공간(114)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센서(191)는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한 후 측정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17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온도센서(191)로부터 전달된 온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온도조절부(140)를 작동시켜 상기 제1공간(114) 측으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142)는 공지의 펠티어 소자일 수 있고, 상기 송풍팬(144)은 열전소자(142)와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91)는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온도조절부(140)는 상기 제2공간(115)의 내부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제2공간(115)의 내부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후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공간(114) 측으로 송풍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공지의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130)는 상기 제1공간(114)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부재(130)는 내부에 시료가 저장된 배양용기(10)를 보관 및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양용기(10)는 상기 제1공간(114)에서 미생물이 배양될 수 있는 적정온도의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시료에서 미생물이 배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재(130)는 복수 개의 배양용기(10)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거치공간(13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배양용기(10)는 상기 복수의 거치공간(133)에 일대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거치공간(133)에 보관된 배양용기(10)는 미생물이 원활하게 배양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114)의 공기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거치부재(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부(131)와 상기 프레임부(131)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 개의 거치공간(133)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배양용기(10)가 제1공간(114)의 내부공기에 원활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칸막이부재(13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칸막이부재(132)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칸막이부재(132)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공간(133)이 서로 연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거치부재(130)는 상기 광원부(150)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반사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반사코팅층은 무광처리된 표면처리층일 수도 있고 유색의 안료가 도포된 도포층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거치공간(133)에 복수 개의 배양용기(10)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광원부(150)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양용기(10) 측으로 빛이 조사되더라도 각각의 거치공간(133) 측으로 유입된 빛은 상기 칸막이부재(132)를 통해 이웃하는 거치공간(133) 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60)는 각각의 거치공간(133)에 삽입된 배양용기(10)의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1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부재(132)를 통해 구획되는 거치공간(133)이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공간(133)은 삽입되는 배양용기(10)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재(130)는 상기 제1공간(114)에 배치되는 경우 흔들림에 의한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재(12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거치부재(130)가 놓여지는 상부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124)는 상기 거치부재(13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130)는 상기 가이드부(124)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100)의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배양용기(10)에 담긴 시료로부터 미생물이 안정적으로 배양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50)는 상기 배양용기(10) 측으로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시료에서 배양된 미생물 중 특정 미생물 또는 검사 대상 미생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60)는 상기 광원부(150)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시료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기 제1공간(114)에서 미생물의 배양이 완료된 후, 상기 광원부(150)를 이용하여 시료에 빛을 조사하면서 광원부(150)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60)를 통해 시료의 상태를 촬영함으로써 특정 미생물이 배양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미생물의 배양은 물론 시료에 특정 미생물이 존재하는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미생물 중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을 유발하는 대장균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존재유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농업용수, 식품 가공 현장, 가정, 급식소 및 식당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의 배양과 검출을 하나의 장비를 통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병을 유발하는 미생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원부(150) 및 카메라부(160)는 상기 제1공간(114)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부(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160)는 상기 거치부재(130)에 보관된 복수 개의 배양용기(10)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광원부(150) 및 카메라부(16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50) 및 카메라부(160)는 상기 제어부(170)의 구동을 통해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카메라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검출하고자 하는 미생물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70)는 회로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MCU와 같은 칩셋일 수 있고, 상기 제어부(170), 광원부(150) 및 카메라부(16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장착판(195)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케이스(112)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2)는 상기 광원부(150) 및 카메라부(1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간(114) 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150) 및 카메라부(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장착공(118)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부케이스(111)는 상기 장착판(195)과 대응되는 영역에 덮개판(116)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부(150)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적어도 2종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광원부(150)는 제1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151)과, 상기 제1파장대역과 다른 제2파장대역을 갖는 제2광원(1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기 광원부(150)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광원(151)은 UV 엘이디일 수 있고, 상기 제2광원(152)은 화이트 엘이디일 수 있으며, 상기 시료가 상기 제1파장대역 또는 제2파장대역에 반응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료는 상기 제1광원(151) 및 제2광원(152)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양용기(10)는 시료와 함께 유해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는 시약이 함께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시약은 유해 미생물이 존재하는 경우 형광색으로 발광하거나 블루 또는 옐로우와 같은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부(150)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배양용기(10)에 저장된 시료 측으로 조사되는 경우 상기 시료의 상태는 상기 카메라부(160)를 통해 촬영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어부(17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카메라부(1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시료에 검출하고자 하는 미생물이 배양되었는지에 대한 미생물 배양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시료가 형광색으로 발광하거나 블루 또는 옐로우와 같은 색상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시료에 미생물이 포함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생성된 미생물 배양정보는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100)에 자체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외부로 송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9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92)는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생성된 미생물 배양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미생물 배양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은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미생물 배양정보를 외부기기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기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일 수도 있고 서버일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나 NFC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일 수도 있고, 원거리 통신모듈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2)에 출력된 정보를 확인하거나 모바일기기 또는 서버를 통해 출력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시료에 검출하고자 하는 미생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카메라부(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분석된 미생물 배양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기 광원부(150)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소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151) 및 제2광원(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두 개의 광원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광원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60) 또는 온도센서(191)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광원부(150)는 상기 거치부재(130)에 각각 삽입된 복수 개의 배양용기(10)를 동시에 조사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광원부(150)는 전체 조사영역 중 일부의 조사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광원부(150)가 서로 다른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151) 및 제2광원(152)을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광원부(150)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제1광원(151)은 전체 조사영역 중 일부의 조사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고, 두 개의 광원부(150)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제2광원(152) 역시 전체 조사영역 중 일부의 조사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도 10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광원부(150)가 제1광원(151) 및 제2광원(152)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130)에 5개의 배양용기(10)가 거치된 경우, 도 10의 (a)(b)에서 왼쪽에 배치되는 광원부(150)의 제1광원(151) 및 제2광원(152)은 5개의 배양용기(10) 중 제일 왼쪽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4개의 배양용기(10)를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오른쪽에 배치되는 광원부(150)의 제1광원(151) 및 제2광원(152)은 5개의 배양용기(10) 중 제일 오른쪽부터 왼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4개의 배양용기(10)를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5개의 배양용기(10) 중 최외각에 배치된 두 개의 배양용기(10)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배양용기(10)는 도 10의 (a)(b)에서 왼쪽에 배치되는 광원부(150)와 오른쪽에 배치되는 광원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이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기 거치부재(130)에 각각 삽입된 복수 개의 배양용기(10) 전체가 상기 광원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을 모두 공급받을 수 있음으로써 상기 광원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이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두 개의 광원부(150)에서 각각 조사되는 빛이 중첩되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배양용기(10) 측에 보다 높은 휘도의 광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기 광원부(150)의 전체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전체 배양용기(10)가 모두 고르게 빛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카메라부(160)를 통해 각각의 배양용기(10)에 저장된 시료들의 상태를 촬영하는 경우 음영지역 없이 모든 배양용기(10) 측으로 각각 유입되는 빛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음으로써 검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거치공간(133)이 판상의 칸막이부재(132)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것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광원부(150)가 복수 개의 배양용기(10)를 조사하더라도 각각의 거치공간(133)으로 유입되는 빛이 서로 간섭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거치공간(133) 측으로 유입된 빛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음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부(160)를 통하여 각각의 거치공간(133)에 삽입된 배양용기(10)의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면과 상술한 설명에서는 전체 배양용기(10) 중 최외각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배양용기(10)가 두 개의 광원부(150)에서 각각 조사되는 빛이 중첩되는 중첩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광원부(150)에서 각각 조사되는 빛이 중첩되는 중첩영역에 배치되는 배양용기(10)의 전체개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10)에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10)는 상기 덮개부(180)를 통하여 상기 내부공간(114,115)의 개방된 상부가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18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덮개부(180)는 외부덮개(181) 및 내부덮개(1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덮개(182)가 상기 외부덮개(181)의 내측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덮개(181)는 상기 케이스부(11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덮개(181)는 상부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제3플랜지부(18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덮개(182)는 상기 제3플랜지부(181a)와 대응되도록 상부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4플랜지부(18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덮개(182)가 상기 외부덮개(18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3플랜지부(181a)가 제4플랜지부(182a)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내부덮개(182)가 외부덮개(18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덮개(181)는 외력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덮개(182)는 외부덮개(181)와 마찬가지로 내구성을 높을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4플랜지부(182a)는 적어도 일면에 단열부재(183)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4플랜지부(182a)가 제3플랜지부(181a)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덮개(182) 및 외부덮개(181)가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내부덮개(182) 및 외부덮개(181)는 상기 단열부재(183)를 통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덮개(182)는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상기 내부덮개(182)로부터 외부덮개(181) 측으로 열전달이 방지됨으로써 보조거치공간(185)의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내부덮개(182) 및 외부덮개(181) 사이에는 상기 내부덮개(182)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부재(19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거치공간(185)의 내부온도는 상기 단열부재(194)에 의한 단열효과를 통해 급격하게 변경되거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내부덮개(182)는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변경되거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부덮개(182)는 내부에 보조거치공간(18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덮개(182) 측에는 상기 보조거치공간(185)을 규정하는 보조거치부재(18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거치부재(184)는 상기 내부덮개(18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거치부재(184)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보조거치부재(184)는 테두리 측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84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내부덮개(182) 측에는 상기 걸림턱(184)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182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82b)는 상기 내부덮개(182)를 관통하는 관통구일 수도 있고, 상기 내부덮개(182)의 일면으로부터 인입형성되는 수용홈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거치부재(184)는 서로 대응되는 걸림턱(184a) 및 체결부(182b)를 통하여 상기 내부덮개(182)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거치공간(185) 측에는 또 다른 형태의 시료가 보관되는 경우, 상기 또 다른 형태의 시료는 상기 보조거치부재(184)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거치부재(184)는 상기 다수 개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공간(114)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거치공간(185)은 상기 덮개부(180)가 케이스부(1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덮히는 경우 상기 보조거치부재(184)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공간(114)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거치공간(185)은 내부온도가 상기 제1공간(114)의 내부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조거치공간(185)에 다른 형태의 시료가 보관된 경우 상기 보조거치공간(185)은 미생물이 배양될 수 있는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다른 형태의 시료에서도 미생물이 배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른 형태의 시료는 미생물이 포함된 시료가 묻힌 후 실링된 건조필름(20)일 수 있으며, 상기 건조필름은 상기 스프링 와이어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상기 거치부재(130) 및 보조거치부재(184)를 통해 서로 다른 형태로 채취된 시료가 각각 보관될 수 있음으로써 하나의 장비를 통해 서로 다른 형태로 채취된 시료로부터 미생물이 각각 배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전원공급원으로서 차량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시가잭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플러그(미도시)가 포함된 케이블(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는 차량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작동되어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음으로써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검출장치(100)의 전원공급원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케이스부(110)는 일측에 별도의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배양용기 20 : 건조필름
100 : 미생물 검출장치 110 : 케이스부
111 : 외부케이스 111a : 제1플랜지
112 : 내부케이스 112a : 제2플랜지
113 : 단열부재 114 : 제1공간
115 : 제2공간 116 : 덮개판
117 : 손잡이부 118 : 장착공
120 : 지지부재 122 : 통과공
124 : 가이드부 130 : 거치부재
131 : 프레임부 132 : 칸막이부재
133 : 거치공간 140 : 온도조절부
142 : 열전소자 144 : 송풍팬
150 : 광원부 151 : 제1광원
152 : 제2광원 160 : 카메라부
170 : 제어부 180 : 덮개부
181 : 외부덮개 181a : 제3플랜지부
182 : 내부덮개 182a : 제4플랜지부
183 : 단열부재 184 : 보조거치부재
185 : 보조거치공간 191 : 온도센서
192 : 디스플레이부 193,194 : 단열부재
195 : 장착판

Claims (18)

  1.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부재;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시료가 담긴 복수 개의 배양용기가 일대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거치공간이 형성된 거치부재;
    상기 제2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양용기에 담긴 시료로부터 미생물이 배양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료의 미생물 배양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에 삽입된 복수 개의 배양용기 측으로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시료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광원부 및 카메라부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양용기에 담긴 시료의 미생물 배양 여부를 판별하고,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부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플랜지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제1플랜지부와 대응되도록 상부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기 제1플랜지부의 상부에 접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적어도 일면에 단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되는 미생물 검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온도조절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공간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과공이 관통형성되는 미생물 검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면에 상기 거치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상기 거치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돌출형성되는 미생물 검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 개의 거치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부재를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공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형성된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광원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거치부재에 삽입된 복수 개의 배양용기를 동시에 조사하며, 각각의 광원부는 전체 조사영역 중 일부의 조사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이격배치되는 미생물 검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제1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파장대역과 다른 제2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을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UV 엘이디이고, 상기 제2광원은 백색 엘이디인 미생물 검출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는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는, 상기 케이스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내부에 시료가 채취된 건조필름을 거치하기 위한 보조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거치부재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구조물이고, 상기 프레임구조물은 테두리 측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통하여 상기 내부덮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미생물 검출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제2공간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한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공간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펠티어 소자인 미생물 검출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별된 각각의 시료에 대한 미생물의 배양 유무 정보를 표시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검출장치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별된 시료의 미생물 배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미생물 검출장치.
KR1020180127206A 2018-10-24 2018-10-24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 KR102134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06A KR102134387B1 (ko) 2018-10-24 2018-10-24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06A KR102134387B1 (ko) 2018-10-24 2018-10-24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284A true KR20200046284A (ko) 2020-05-07
KR102134387B1 KR102134387B1 (ko) 2020-07-15

Family

ID=7073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206A KR102134387B1 (ko) 2018-10-24 2018-10-24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3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6189A1 (zh) * 2020-12-04 2022-06-09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微生物分解装置
CN115109706A (zh) * 2022-06-09 2022-09-27 王登英 微生物检测用培养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959A (ko) * 2003-10-20 2005-04-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배양고
JP2007046904A (ja) 2005-08-05 2007-02-22 Sanyo Electric Co Ltd 反応検出装置
KR20090080390A (ko) * 2008-01-21 2009-07-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세포배양기를 구비한 인큐베이터
KR20150027577A (ko) * 2013-09-04 2015-03-12 주식회사 시현코리아 광 투과도를 이용한 세포 배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세포배양기 및 세포배양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20170024784A (ko) * 2015-08-25 2017-03-08 황준규 세포 배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세포 배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959A (ko) * 2003-10-20 2005-04-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배양고
JP2007046904A (ja) 2005-08-05 2007-02-22 Sanyo Electric Co Ltd 反応検出装置
KR20090080390A (ko) * 2008-01-21 2009-07-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세포배양기를 구비한 인큐베이터
KR20150027577A (ko) * 2013-09-04 2015-03-12 주식회사 시현코리아 광 투과도를 이용한 세포 배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세포배양기 및 세포배양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20170024784A (ko) * 2015-08-25 2017-03-08 황준규 세포 배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세포 배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6189A1 (zh) * 2020-12-04 2022-06-09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微生物分解装置
CN115109706A (zh) * 2022-06-09 2022-09-27 王登英 微生物检测用培养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387B1 (ko)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5443B2 (en) Thermochromic sens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718867B2 (en) Thermochromic sens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134387B1 (ko) 실시간 자동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
JP2002510387A (ja) 自動化微生物学的試験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898712B1 (ko) 침지형 피코시아닌 센서를 이용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EP2256482B1 (en) Method for analyzing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iological samples
Asif et al. based analytical devices for colorimetric detection of S. aureus and E. coli and their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in milk
CN105452435A (zh) 核酸扩增检测装置以及使用了该核酸扩增检测装置的核酸检查装置
RU2241756C2 (ru) Способ исследования микробов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80003757A (ko) 조류 모니터링 시스템
US11142744B2 (en) Infrared signal monitoring for cell cultures
KR102047854B1 (ko) 이동형 고감도 유해 미생물 검출 장치
KR20120041096A (ko) 파래를 이용한 수질 독성 자동 측정 장치
US20090142796A1 (en) Detection of Inducible Resistance to Macrolide-Lincosamide-Streptogramin b
JPH11178567A (ja) 細菌検出装置
KR101961658B1 (ko) 이동형 미생물 검출 장치
CA24751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reading of macro and micro matrices
US20110192990A1 (en) Measuring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bioluminescence, chemoluminescence or fluorescence of objects, irradiation device,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observation of plants
US9207180B2 (en) Detection of microorganisms with a fluorescence-based device
CN220043534U (zh) 一种摄像器及定量盘培养观察集成装置
Chew et al. Application Notes-APD LAMP Diagnostic App: Automated Colorimetric Analysis and Documentation
JP2021090392A (ja) 分析システム
JP2015146736A (ja) 多面付け微生物培養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Edwards Exploiting 3D printing and digital imaging technology to develop affordable phenotypic assays for rapid and portable detection of bacterial antibiotic resistance
WO2023129111A2 (en) Sterilization control device that can perform fast detection for sterilizati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