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176A -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176A
KR20200046176A KR1020180124252A KR20180124252A KR20200046176A KR 20200046176 A KR20200046176 A KR 20200046176A KR 1020180124252 A KR1020180124252 A KR 1020180124252A KR 20180124252 A KR20180124252 A KR 20180124252A KR 20200046176 A KR20200046176 A KR 2020004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integrated
internet
plug
io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974B1 (ko
Inventor
문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엔엔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엔엔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엔엔에프텍
Priority to KR102018012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에서 사용할 각종 전기전자 기기를 책상에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에 장착하고, 스마트기기로 제어하게 하여, 개인화한 책상 사용 환경을 제공하며, 각 개인별 사용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여 상대적 평가하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에 구멍을 내어 레일 콘센트(310)를 설치하고, 전기전자 기기를 IOT 기기로 구성한 악세사리 플러그(340) 및 스마트기기(360)로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수용한 메인 플러그(320)를 탈착 가능하게 레일 콘센트(310)에 장착하고, 착석여부를 감지하게 한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을 책상에 구축하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서 착석 여부에 따라 판정한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에 따라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낸다.

Description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본 발명은 책상에서 사용할 각종 전기전자 기기를 책상에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에 장착하고, 스마트기기로 제어하게 하여, 개인화한 책상 사용 환경을 제공하며, 각 개인별 사용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여 상대적 평가하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책상에서 사용하는 전기전자 기기는 조명기구 이외에도 최근 스마트기기와 관련된 미러링 모니터, 블루투스 스피커, 충전 거치대 등으로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멀티기기 또는 인터넷을 통해 학습하여야 할 시간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를 위한 전기전자 기기를 책상에서 간편하게 사용하게 하여, 학습 효율를 높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전기전자 기기는 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그동안은 멀티콘센트를 사용하여 왔으나, 여러 전기전자 기기에 연결된 코드선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게 되어서 사용상 불편하고 코드선 정리도 어려웠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264062호는 인터넷 접속 및 전원 연결이 간편한 IP 분배용 자동 제어 멀티탭을 책상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공개특허 제10-2007-0054812호는 책상에서의 개인 시간을 관리하는 개인 시간 관리 시스템을 책상에 구축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사용 개수가 많아진 전기전자 기기를 책사에 비치하는 것은 책상 사용을 번거롭게 하고, 책상 위의 정리정돈을 어렵게 한다.
또한, 단순히 시간 관리하여 계획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넘어, 추세를 따를 방식으로 학습하여야만 실력 향상을 위한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효율적 학습을 지원할 수 없다.
KR 10-2007-0054812 A 2007.05.30. KR 10-1264062 B1 2013.05.0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위에서 사용할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 기기를 정리정돈할 필요없이 개인 맞춤형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전자 기기를 이용한 개인별 학습 방식을 비교 평가하는 서비스의 제공으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360)의 접속을 허용하고 인터넷망(200)에 연결되게 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내부에 수용한 메인 플러그(320); 및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의해 제어되도록 IOT 기기로 구성하여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책상에 조성한 구멍에 삽입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인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전달하는 근접 센서(350)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가 스마트기기(360)의 지령 또는 설정에 따라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IOT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하고, 착석 여부에 따른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포함한 책상 이용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복수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및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별로 기록 관리한 책상 이용 정보를 취합하고, 공부 시간과 악세사리 플러그(340) 활용도를 연계시킨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내어, 스마트기기(360)가 접속할 시에 조회할 수 있게 한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착석 시작 및 착석 종료 시에 각각 스마트기기(360)에게 확인 요청하고, 공부하기 위한 착석임을 알려올 시에 공부 시간으로 산정하고, 상기 스마트기기(360)는 확인 요청에 따라 공부하기 위한 착석 여부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알린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는 공부 시간 내에 사용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 및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활용도의 통계를 내어, 활용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대적 평가 결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01)의 상판 저면에 설치되되, 의자(303)의 착석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출현한 물체를 감지하게 하여, 의자(303)에 착석한 인체의 윗다리 출현을 감지함으로써 착석 상태를 감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01)의 상판 저면에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 콘센트(310)는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삽입하는 장공(311)의 입구의 반대측도 개방하여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하부 구조를 하부 개구 아래로 늘어뜨리게 할 수 있고, 상하를 개구한 장공(311)의 양측 내벽에 상호 마주하는 돌출부(312)를 조성하고, 양측 돌출부(312)의 마주하는 면에 길이방향의 홈을 조성하여 전극(313)을 설치한 것으로서, 책상의 상판에 구멍을 내어 삽입 고정하게 하고,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상단이 상기 레일 콘센트(310)의 상단 높이에 맞춰지도록 각각 돌출부(312)의 상면에 걸쳐지며 장공(311)에 삽입되게 하고, 회동시에 전극(313)에 접촉되는 단자(322a) 및 돌출부(312)의 저면에 밀착되는 돌출편(322b)을 구비한 락스위치(322)를 손으로 회전시켜서 레일 콘센트(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 기기를 IOT 기기화하여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로 구성하고, 책상에 설치한 레일 콘센트(310)에 삽입하여 일렬로 정렬함으로써, 정리정돈할 필요가 었고, 개인 맞춤형 학습 환경을 스마트기기로 간편하게 조성할 수 있으며, 개인별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 활용도에 따라 얻는 상대적 평가 결과에 따라 현 추세를 따른 학습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게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도 2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을 책상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내장한 메인 플러그(320) 및 전기전자 기기(343)를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메인 플러그(320)를 레일 콘센트(310)에 고정한 상태의 락스위치(322) 부위 단면도.
도 6은 레일 콘센트(3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절개하여 레일 콘센트(310)의 절반부와 메인 플러그(320)의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a) 및 락스위치(322)를 회동시키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b, c)
도 7은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의 전기 신호적 블록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개인별로 사용하는 책상에 설치한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및 인터넷망(200)을 통해 각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에 연결되게 한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은 책상에서의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포함하는 책상 이용 정보를 획득하여 기록 관리하고,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는 각각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에서 전송하는 개인별 책상 이용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취합부(110), 취합한 개인별 책상 이용 정보에 따라 통계를 내는 통계부(120), 및 통계에 따라 개인별로 제공할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내는 평가부(130)를 구비하며, 인터넷망(200)을 통해 접속한 스마트기기(360)에서 통계 자료 및 개인별 상대적 평가 결과를 조회할 수 있게 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별 공부 시간을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e-러닝(전자 학습 또는 전자 교육) 또는 인터넷 강의 등의 활성화에 따라 다양한 전기전자 기기를 이용한 학습 환경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전기전자 기기를 활용도도 비교하여, 개인별 학습 방식에 대해 개선 방향도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설치 상태도와 도 3에 도시한 설치 과정의 도면을 참조하면,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은 책상(301)의 상판에 길게 구멍(302)을 뚫고 삽입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310)와,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구성되어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는 메인 플러그(320)와, 메인 플러그(3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되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를 레일 콘센트(310) 위로 돌출되어 있도록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와, 인체의 의자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착석 신호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전달하는 근접 센서(350)와,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플러그(320)에게만 단독으로 옥내 전기 배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체 시스템이 동작한다.
그리고, 메인 플러그(320)에 수용된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인터넷 통신하여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망(200)에 연결되어 있다.
스마트기기(360)는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공지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로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망(200)을 통한 원거리 통신으로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접속한 후, 메인 플러그(320)에 구비된 제어대상 및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장착한 제어대상(즉, 전기전자 기기)에 대해 지령 또는 환경 설정을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접속하에 제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레일 콘센트(310),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한다.
도 4는 메인 플러그(31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장착한 전기전자 기기(343)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기구를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 미러링 모니터를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 블루투스 스피커를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 및 충전 거치대를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 등이 있고, 탁상용 가습기, 공기청정기, 선풍기 등을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5는 메인 플러그(320)를 레일 콘센트(310)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락스위치(322)가 설치된 부위를 폭방향을 따라 수직 절개한 단면도이다.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단면도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악세사리 플러그(340)도 락스위치(342)를 구비하여서, 레일 콘센트(31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레일 콘센트(3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절개하여 레일 콘센트(310)의 일측 폭방향 절반부와 메인 플러그(320)의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a) 및 락스위치(322)를 회동시키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b, c)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 콘센트(310)는 조명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통상적인 조명용 레일 콘센트처럼 장방형의 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좁은 장공(311)을 형성하고, 돌출부(312)를 장공(311)의 양측 내벽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조성하며, 양측 돌출부(312)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각각 길이방향의 홈을 조성한 후 전극(313)을 홈을 따라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돌출부(312)는 전기 절연을 위한 절연체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레일 콘센트(310)는 통상적인 조명용 레일 콘센트와는 다르게, 책상의 상판에 길게 구멍을 뚫은 후 그 구멍에 삽입 고정하게 하고, 돌출부(312)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상부 구조를 걸쳐 고정하게 하고, 장공(311)의 하부도 개방하여서,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하부 구조를 하부 개구 아래로 늘어뜨리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각종 전기 전자 부속품을 수용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하부로 긴 형태를 갖게 되더라도 설치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 설치하는 메인 플러그(320)를 통해 레일 콘센트(310)의 전극(313)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전극(313)에 전기를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전선 연결구조를 레일 콘센트(310)에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다.
다른 한편으로서, 통상적으로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는 단상 2선식 220V 전기를 사용하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극(313)이 필요하지만, 접지를 위해서 양측 돌출부(312) 중에 적어도 어느 한쪽 돌출부(312)에 전극을 추가하여 접지극으로 사용하고, 후술하는 락스위치(322, 342)에도 접지극에 접촉시킬 접지단자를 추가하는 것도 좋다.
상기 메인 플러그(320)는 단턱(321a)에 의해서 돌출부(312)의 상면에 걸쳐지고 단턱(321a)의 아래 부위는 양측 돌출부(3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두께의 케이스(321)를 갖추어서, 상부를 걸쳐지게 하며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입할 수 있되, 레일 콘센트(310)의 상단 위로 돌출되는 부위를 가능하면 적게 하거나 아니면 레일 콘센트(310)의 상단 높이에 맞춰지게 한다.
이러한 케이스(21)의 상면에는 락스위치(322), 콘센트(323), USB 단자(324), NFC(332), 조도 센서(333), 무선 충전기(334) 및 오토 스위치(335)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321) 내부에는 콘센트(323) 및 USB 단자(324) 용도의 전원부(323a, 324a)와, NFC(332), 조도 센서(333), 무선 충전기(334) 및 오토 스위치(335)가 연결되고 통신모듈(336)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실장되어 있는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 통합 IOT 디바이스(330) 및 근접 센서(350) 전원 용도의 전원부(331)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메인 플러그(320)는 케이스(321) 내에 여러 구성요소를 수용함에 따라 그 크기를 충분히 키워야 하고, 책상(301)에 설치함에 있어 레일 콘센트(310) 위로 돌출되지 아니하게 하기 위해서, 레일 콘센트(310)의 아래로 늘어뜨리는 형태로 장착하게 한다.
그리고, 케이스(321)의 하단측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전원 콘센트(325)를 구비한다. 또한, 인터넷망(200)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336)의 단자가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구비하되, 케이스(321)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하여서, 사물 인터넷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케이스(321)의 하단측에는 근접 센서(350)에 전기 공급하고 근접 센서(35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근접 센서 연결부(338)를 구비한다.
상기 락스위치(322)는 케이스(321) 상면에 노출되는 손잡이를 잡고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케이스(321) 내부로 길게 이어진 부위에는 회동시에 양측 전극(313)에 일대일로 접촉되는 2개의 단자(322a) 및 양측 돌출부(312)의 저면에 일대일로 밀착되는 2개의 돌출편(322b)을 구비한다. 물론, 단자(322a) 및 돌출편(322b)이 케이스(321)의 측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321)의 양측 면에 각각 단자(322a) 및 돌출편(322b)의 위치에 맞게 구멍(321b, 321c)이 조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락스위치(322)를 구비함으로써, 단자(22a) 및 돌출편(322b)이 케이스(321)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메인 플러그(320)를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탈할 수 있고(도 6a, 도 6b), 메인 플러그(320)를 장공(3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락스위치(322)를 회동시켜서, 단자(322a)를 전극(313)에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돌출편(322b)이 돌출부(312)에 걸려 빠지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도 5, 도 6c).
물론, 메일 플러그(320)를 돌출부(312)에 걸쳐지게 하여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입하였을 시에, 락스위치(322)에 조성할 단자(322a) 및 단자(322a)를 통과시킬 케이스(321) 구멍(321b)이 레일 콘센트(310)의 전극(313)와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조성하고, 락스위치(322)에 조성할 돌출편(322b) 및 돌출편(322b)을 통과시킬 케이스(321) 구멍(321c)이 레일 콘센트(310)의 돌출부(312) 저면 높이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이어진 형태로 조성하여야 한다.
한편, 내부 결선에 필요에 전선, 통신선 등은 케이스(321) 내의 구성요소를 잘 보여주기 위해 도면에 도시한 점을 유의하며 살펴 봐야할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343)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의해 제어되도록 IOT 기기로 구성하되, 메인 플러그(320)와 마찬가지로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탈 가능하게 구성하여서, 삽입 장착할 상태에서 레일 콘센트(31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게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돌출부(312)에 걸쳐지는 단턱(341a)을 구비하여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입 장착할 수 있게 하고, 전극(313)과 마주하는 구멍(341b) 및 돌출부(312)의 저면 높이를 상단 높이로 하는 구멍(341c)을 양 측면에 각각 조성한 케이스(341)와, 케이스(341)의 상면 일측에 손잡이를 갖추되 회전시킬 시에 구멍(341b)을 통과하며 전극(313)에 접촉되는 단자(342a) 및 구멍(341c)을 통과하며 돌출부(312)의 저면에 접촉되는 돌출편(342b)이 조성된 락스위치(342)와, 케이스(341)의 상면에 돌출되게 장착한 전기전자 기기(343)와, 케이스(341) 내부에 수용되는 하기의 IOT 디바이스(344)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예시적으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301)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의 형상, 크기, 사용 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케이스(341)의 형태를 갖추게 제작하면 된다.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10)의 상판 저면에 설치되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시킨 복수 개로 설치된다. 물론, 책상(310) 상판의 폭방향은 의자(303)가 아래로 들어오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의자(303)에 착석하여 공부 또는 학습 자세를 취하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근접 센서(350)를 구비하되, 책상(310)의 상판 저면에 구비하므로, 의자(303)의 착석 부위(또는 착석 면, 좌판)보다 높은 위치에 출현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도(즉, 검출 거리)를 갖게 한다. 즉, 책상(310) 저면에 출현하는 물체를 감지할 시에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되, 의자(303)의 착석 부위 높이까지는 물체가 출현하더라도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게 한다.
이에, 의자(303)에 착석한 사용자가 의자(303)를 책상(310) 상판 아래로 약간 들이밀며 공부 또는 학습 자세를 취할 시에, 사용자의 윗다리(또는 대퇴부)의 출현을 상기 근접 센서(350)로 감지한다. 물론, 착석하지 아니한 의자(303)의 착석 부위를 책상(310) 상판 아래로 가 있게 하면, 감도에 의해서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지 아니한다.
또한, 복수 개의 근접 센서(350)를 간격을 두고 책상(301) 상판 저면에 설치함으로써, 위치 변동이 있는 의자(303)에 착석한 사용자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접 센서(350)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근접 센서(350)는 인체의 윗다리를 감지할 시에 착석 신호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01)의 저면에 설치하고,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유선 연결하므로, 도 2 및 도 3의 사시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원만 유선 연결로 공급받게 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무선 연결하게 하여도 좋다. 물론, 유선 연결을 위한 배선을 책상(301)의 저면에 고정하는 방식, 또는 책상(301) 저면에 매립하는 방식 등으로 하고, 단부를 하부로 늘여뜨려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의 근접 센서 연결부(338)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접 센서(350)를 대신하여 압력 센서를 의자(303)를 설치함으로써, 착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의자(303)에 착석한다고 하여 반드시 책상(301)에서 공부 또는 학습한다고 할 수 없고, 의자(303)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인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려면 한정된 전력량을 갖는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근접 센서(350)를 책상(301)에 설치하였다.
다음으로,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7에 도시한 전기 신호적 블록구성도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메인 플러그(320) 및 복수의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각각 레일 콘센트(310)에 삽입 장착되어 락스위치(322, 342)의 단자(322a, 342a)를 통해 레일 콘센트(310)의 전극(313)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플러그(320)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고, 메인 플러그(320) 내에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구비하므로, 전기 투입을 위한 온내 전기 배선과의 연결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망과의 연결은 메인 플러그(320)에 대해서만 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 락스위치(322)의 단자(322a), 콘센트(323)에 전기를 공급하되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 및 누전이나 과전류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부(323a), USB 단자(324)에 전기를 공급하되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부(324a) 및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 근접 신호 연결부(338)에 전기 공급하는 전원부(331)는 온내 전기 배선에 연결된 전원 콘센트(325)를 통해서 각각 전기를 투입받는다.
단자(322a)에 공급하는 전기는 레일 콘센트(310)의 전극(313)을 통해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투입된다.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통신모듈(336)을 통해 인터넷망(200, 실제로는 인터넷 유무선 접속기기)에 연결되어 원격 제어를 허용하고, NFC(332)를 통해 스마트기기(360)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고, 조도 센서(333)로 감지한 조도 및 온/오프(ON/OFF) 스위치로 구성한 오토 스위치(335)의 스위칭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무선 충전기(334)를 통해 스마트기기(360)를 무선 충전하게 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37)을 통해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와 통신 연결된다.
여기서,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 악세사리 플러그(340)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ZigBee 통신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전원부(323a, 324a)를 제어하여 콘센트(323)에의 전기 투입을 단속하고 USB 단자(324)에의 전원 투입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오토 스위치(335)가 온/오프(ON/OFF) 스위칭 동작하여 콘센트(323), USB단자(324)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에의 전원 투입을 단속하는 스위치이다. 즉,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오토 스위치(335)를 온(ON) 하였을 시에 콘센트(323), USB단자(324)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전원을 투입하게 하고, 오토 스위치(335)를 오프(OFF) 하였을 시에는 투입하던 전원을 차단한다.
여기서,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인터넷망(200) 또는 NFC(332)를 통한 스마트기기(360)의 접속을 언제든 허용하기 위해서 전원부(331)를 통해 항시 전기 공급받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하였다.
콘센트(323) 및 USB단자(324)에 대한 전원 투입의 단속은 각각에 연결된 전원부(323a, 324a)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대한 전원 투입의 단속은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컨트롤러(344)에 지령 하달함으로써 가능하다. 변형된 실시 예로서, 메인 플러그(320) 내에서 전원 콘센트(325)와 단자(322a) 사이에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고, 그 스위치를 제어하여 레일 콘센트(310)에 투입하는 전기를 단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인터넷망(200) 또는 NFC(332)를 통해 접속한 스마트기기(360)로부터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제어하라는 지령을 받으면, 우선적으로 그 스위치를 온(ON)함으로써, 전기를 레일 콘센트(310)에 투입되게 하고, 그 이후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제어하게 한다.
한편, 오토 스위치(335)를 오프한 상태에서 무선 충전기(334)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전 거치대를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대해서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구성하거나 또는 스마트기기(360)를 이용한 설정에 의해서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근접 센서 연결부(338)에 연결된 근접 센서(350)를 통해서, 책상(301)에서 공부 또는 학습 자세를 취한 인체를 감지하기도 한다.
각각의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구비된 컨트롤러(344)는 락스위치(342)의 단자(342a)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활성화되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45)를 통해 통합 IOT 디바이스(337)와 통신하게 되고, 통합 IOT 디바이스(337)로부터 수신하는 지령에 따라 전기전자 기기(343)를 온오프 또는 동작 제어한다. 이때의 컨트롤러(344)는 전기전자 기기(343)의 동작 상태 정보를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전달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시스템은 NFC(332)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인터넷망(200)에 연결된 통신모듈(336)을 통해 원격 접속하는 스마트기기(360)로부터 동작 환경 설정 또 지령을 받아 제어 대상을 제어하고, 제어 대상의 상태 정보를 스마트기기(360)의 요청에 따라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제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대상은 메인 플러그(320)에 있어서 유선으로 제어하는 콘센트(323), USB 단자(324) 및 무선 충전기(334)와,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설치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개별 제어하는 각종 전기전자 기기(343)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플러그(320)에 있는 콘센트(323), USB 단자(324) 및 무선 충전기(334)에 대해 전원 온오프 제어(즉 투입 전기의 단속)한다. 각 전기전자 기기(343)에 대한 제어는 전원 온오프 제어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기기(343)의 종류에 따라 전기전자 기기(343)에서 허용하는 제어 동작을 추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기구의 디밍 제어, 미러링 모니터의 화면 밝기 제어, 블루투스 스피커의 볼륨 제어 등이 있다. 또한, 콘센트(323)에 연결할 전기전자 기기의 종류를 스마트기기(360)를 통해 등록하게 하고, 콘센트(323)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시에 등록된 전기전자 기기의 종류를 확인하며 제어하게 한다.
동작 환경 설정으로는 조도 센서(333)로 감지한 조도에 따라 조명기구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게 하는 기능 또는 미러링 모니터의 화면 밝기를 자동 제어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설정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명기구를 점등하였을 시의 미리링 모니터의 화면 밝기를 자동 조절하게 설정하는 것도 좋다.
제어 대상의 상태 정보로서, 각 제어 대상의 온오프 여부, 조명기구의 밝기, 미러링 모니터의 화면 밝기, 충전 거치대의 충전 정도 등을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서 취합하여 스마트기기(360)에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상태 정보 확인, 동작 환경 설정 및 지령 하달을 메뉴 항목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기기(360)에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스마트기기(360)와 통합 IOT 디바이스(330) 간에 상호 페어링에 의해 연결되게 함으로써, 스마트기기(360)를 이용한 근거리 제어 또는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예외적으로, 미러링 모니터, 블루투스 스피커 등은 스마트기기(360)와 직접 페이링시킬 수 있으므로, 페어링이 되어 있는 경우 통합 IOT 디바이스(330)의 중계 및 제어에 의하지 않고서도 직접 제어할 수 있게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페어링된 스마트기기(360)에 의해서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페어링된 스마트기기(360)를 소지하지 아니한 상황에서도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즉,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스마트기기(360)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환경 설정 및 지령을 메모리에 저장하되, 변동이 있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갱신 저장하고, 최종 지령 및 동작 환경 설정을 항시 저장 보관한다. 상기 오토 스위치(335)를 오프(OFF)하더라도 최종 지령 및 동작 환경 설정을 저장 보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오토 스위치(335)가 눌려 온(ON) 스위칭 동작을 할 시에 최종 지령 및 동작 환경 설정에 따라 제어 대상을 제어한다.
이러한 오토 스위치(335)를 이용한 제어는 책상 사용자 입장에서도 빈번하게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 상태를 셋팅하여 둠으로써, 그 사용 상태를 위한 동작 환경 설정 및 지령을 스마트기기(360)로 매번 지정하지 않고서도, 오토 스위치(335)만 눌러 그 사용 상태를 만들 수 있게 한다.
한편,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책상(301)의 상판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책상(301) 상판의 테두리측에 수직으로 세운 앞가림판의 벽면에 설치하거나 아니면 앞가림판의 상단에 아래를 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전기자자 기기(343)를 장착할 시에 방향을 고려하여 장착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상기 메인 플러그(320)에는 콘센트(323)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전기전자 기기를 대신하여 콘센트(323)를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사용하여도 좋다. 물론, 콘센트(323)를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서 통합 IOT 디바이스(330)가 하달하는 지령에 따라 전원 투입을 단속 제어한다.
이상에 설명한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은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서 스마트기기(360)의 지령 또는 설정에 제어하여, 스마트기기(360)의 소유자에 의해 개인화한 책상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근접 센서(350)를 통해 인체 유무를 감지하여, 인체가 감지되는 착석 시작 시각부터 인체가 감지되지 아니하게 되는 착석 종료 시각(이석(離席) 시각)까지의 시간인 착석 시간을 얻고, 착석 시간에 따라 공부 시간(또는 학습 시간)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근접 센서(350)를 구비하므로, 어느 하나의 근접 센서(350)라도 대퇴부의 출현을 감지하여 착석 신호를 전달해오면, 인체가 공부 자세를 취한 것으로 간주하게 한다.
여기서, 공부 시간은 사용자의 확인을 받아 결정하게 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착석 시작이 감지될 시에 확인 요청 메시지를 스마트기기(360)에게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전달하고, 스마트기기(360)에서 확인 요청에 따른 응답을 하면, 공부 시간의 카운터를 시작할 것인지를 스마트기기(360)의 응답에 따라 정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360)는 확인 요청을 받을 시에 '공부 시작 YES/NO'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여 'YES' 아니면 'NO'를 선택하게 하고, 이때, 'YES'를 선택하면 공부를 시작한다는 'YES' 응답을 하고, 'NO'를 선택하면 공부하지 아니한다는 'NO' 응답을 한다. 그리고,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YES' 응답이 있는 경우에만 공부 시간을 카운터하기 시작한다.
착석 종료가 감지될 시에도 확인 요청 메시지를 스마트기기(360)에게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전달하고, 스마트기기(360)에서 확인 요청에 따른 응답을 하면, 공부 시간의 카운터를 종료할 것인지를 스마트기기(360)의 응답에 따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360)는 착석 종료에 따른 확인 요청을 받을 시에 '공부 종료 YES/NO'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여 'YES' 아니면 'NO'를 선택하게 하고, 이때, 'YES'를 선택하면 공부를 종료한다는 'YES' 응답을 하고, 'NO'를 선택하면 공부를 계속하고 있다는 'NO' 응답을 한다. 그리고,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YES' 응답이 있는 경우에만 공부 시간의 카운터를 멈추고, 공부 시작부터 공부 종료까지의 시간을 공부 시간으로 정한다. 물론, 미리 정한 시간 내에 'NO' 응답이 없으면 'YES' 응답으로 하는 것이 좋다. 공부를 하는 중에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또는 다른 교재를 찾는 등의 이유로 잠깐 이석(離席)할 수도 있으므로, 공부를 종료한다는 'YES' 응답이 있을 때까지 공부 시간을 카운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획득한 공부 시간을 메모리(미도시)에 기록 관리한다.
또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메모리(미도시)에 기록 관리한다.
여기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는 ON시켜 사용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 및 ON시켜 사용한 시간을 포함한다. 즉, 활용도는 복수의 악세사리 플러그(340) 중에 어느 것을 사용하였는지, 그리고, 얼마 동안 사용하였는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기록 관리한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 활용도는 책상 이용 정보이며,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책상 이용 정보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한다.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는 각각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에서 전송하는 책상 이용 정보(공부 시간 및 활용도)를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 별로 저장 관리한다.
그리고,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 별로 저장 관리한 책상 이용 정보를 취합하여 통계를 내고, 상대적 평가를 한다.
예를 들어,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의 사용자별로 일일/주간/월간/분기 누적 공부 시간을 얻고, 사용자별 누적 시간의 평균치를 일일/주간/월간/분기로 나눠 얻어, 사용자별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낸다.
또한, 공부 시간 내에 사용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취합하여 통계를 내고, 상대적 평가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별로 일일/주간/월간/분기 누적 활용도를 얻고, 사용자별 활용도의 평균치를 일일/주간/월간/분기로 나눠 얻어, 사용자별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낸다. 물론, 활용도가 높을수록 평가 점수를 높게 하는 평가 결과를 낼 수 있다. 그렇지만, 공부하는 활용할 수 있는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를 미리 한정하여 두고, 한정된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따라 평가 결과를 내는 것이 좋다.
평가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도 좋지만, 공부 시간이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선정한 상위 그룹의 공부 시간 및 활용도를 기준(예를 100점 만점)으로 한 후, 그 기준과 비교 결과에 따라 점수를 주는 평가이어도 좋다.
또한, 평가는 공부 또는 학습에 사용되는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를 미리 정하여 둔 후, 해당 종류의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사용 빈도에 대해 통계를 내고, 그 통계에 따라 내린 상대적 평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얻은 통계 자료 및 평가 결과는 사용자의 스마트기기(360)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할 시에 조회할 수 있게 한다.
100 : 통합 모니터링 서버
110 : 취합부 120 : 통계부 130 : 평가부
200 : 인터넷망
300 :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
301 : 책상 302 : 구멍
303 : 의자
310 : 레일 콘센트
311 : 장공 312 : 돌출부 313 : 전극
320 : 메인 플러그
321 : 케이스 321a : 단턱 321b, 321c : 구멍
322 : 락스위치 322a : 단자 322b : 돌출편
323 : 콘센트 323a : 전원부
324 : USB 단자 324a : 전원부
325 : 전원 콘센트
330 : 통합 IOT 디바이스
331 : 전원부 332 : NFC 333 : 조도 센서
334 : 무선 충전기 335 : 오토 스위치 336 : 통신모듈
337 :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338 : 근접 센서 연결부
340 : 악세사리 플러그
341 : 케이스 341a : 단턱 341b, 341c : 구멍
342 : 락스위치 342a : 단자 342b : 돌출편
343 : 전기전자 기기 344 : 컨트롤러
345 :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350 : 근접 센서
360 : 스마트기기

Claims (6)

  1.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360)의 접속을 허용하고 인터넷망(200)에 연결되게 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내부에 수용한 메인 플러그(320); 및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의해 제어되도록 IOT 기기로 구성하여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책상에 조성한 구멍에 삽입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인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전달하는 근접 센서(350)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가 스마트기기(360)의 지령 또는 설정에 따라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IOT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하고, 착석 여부에 따른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포함한 책상 이용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복수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및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별로 기록 관리한 책상 이용 정보를 취합하고, 공부 시간과 악세사리 플러그(340) 활용도를 연계시킨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내어, 스마트기기(360)가 접속할 시에 조회할 수 있게 한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
    를 포함하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착석 시작 및 착석 종료 시에 각각 스마트기기(360)에게 확인 요청하고, 공부하기 위한 착석임을 알려올 시에 공부 시간으로 산정하고,
    상기 스마트기기(360)는
    확인 요청에 따라 공부하기 위한 착석 여부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알리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는
    공부 시간 내에 사용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 및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활용도의 통계를 내어, 활용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대적 평가 결과를 얻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01)의 상판 저면에 설치되되, 의자(303)의 착석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출현한 물체를 감지하게 하여, 의자(303)에 착석한 인체의 윗다리 출현을 감지함으로써 착석 상태를 감지하게 한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01)의 상판 저면에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설치되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콘센트(310)는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삽입하는 장공(311)의 입구의 반대측도 개방하여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하부 구조를 하부 개구 아래로 늘어뜨리게 할 수 있고, 상하를 개구한 장공(311)의 양측 내벽에 상호 마주하는 돌출부(312)를 조성하고, 양측 돌출부(312)의 마주하는 면에 길이방향의 홈을 조성하여 전극(313)을 설치한 것으로서, 책상의 상판에 구멍을 내어 삽입 고정하게 하고,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상단이 상기 레일 콘센트(310)의 상단 높이에 맞춰지도록 각각 돌출부(312)의 상면에 걸쳐지며 장공(311)에 삽입되게 하고, 회동시에 전극(313)에 접촉되는 단자(322a) 및 돌출부(312)의 저면에 밀착되는 돌출편(322b)을 구비한 락스위치(322)를 손으로 회전시켜서 레일 콘센트(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게 한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124252A 2018-10-18 2018-10-18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4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252A KR102142974B1 (ko) 2018-10-18 2018-10-18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252A KR102142974B1 (ko) 2018-10-18 2018-10-18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176A true KR20200046176A (ko) 2020-05-07
KR102142974B1 KR102142974B1 (ko) 2020-08-10

Family

ID=7073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252A KR102142974B1 (ko) 2018-10-18 2018-10-18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64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음성 인식 기반의 인공지능 모듈이 탑재된 전자 교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812A (ko) 2005-11-24 2007-05-30 변민관 개인 시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JP2008251502A (ja) * 2007-03-30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システム
JP2011156075A (ja) * 2010-01-29 2011-08-18 Kokuyo Co Ltd テーブル
KR20120087257A (ko) * 2010-12-20 2012-08-07 (주)세오전자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소전력 원격 제어관리시스템
KR101264062B1 (ko) 2013-02-08 2013-05-21 엠넥스텍 주식회사 Ip 분배용 자동 제어 멀티탭, 그리고 이를 장착한 ip 분배용 멀티 콘센트 일체형 책상 및 개인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JP2014236619A (ja) * 2013-06-04 2014-12-15 鹿島建設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給電制御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812A (ko) 2005-11-24 2007-05-30 변민관 개인 시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JP2008251502A (ja) * 2007-03-30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システム
JP2011156075A (ja) * 2010-01-29 2011-08-18 Kokuyo Co Ltd テーブル
KR20120087257A (ko) * 2010-12-20 2012-08-07 (주)세오전자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소전력 원격 제어관리시스템
KR101264062B1 (ko) 2013-02-08 2013-05-21 엠넥스텍 주식회사 Ip 분배용 자동 제어 멀티탭, 그리고 이를 장착한 ip 분배용 멀티 콘센트 일체형 책상 및 개인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JP2014236619A (ja) * 2013-06-04 2014-12-15 鹿島建設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給電制御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64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음성 인식 기반의 인공지능 모듈이 탑재된 전자 교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974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3051B1 (en) Control attachment for an in-wall power adapt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control attachment
US9768562B2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US11990718B1 (en) Power adapter hav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US11978988B1 (en) Power adapter having contact elements in a reces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adapter
US11189948B1 (en) Power adapt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to provide power to a load
EP2740183B1 (en) Active cover plates
US11264769B1 (en) Power adapter having contact elements in a reces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adapter
US11888256B2 (en) Modular consumer-configurable electrical fixture system
US20190020156A1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US12013709B1 (en) Power adapt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to provide power to a load
CN101262728A (zh) 用作通信设备的灯开关
KR102142974B1 (ko)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20992B1 (ko) 원격 제어 멀티탭/콘센트 장치
KR20130137976A (ko) 독거노인용 주거활동 감지시스템
US4096428A (en) Instrument supporting transformer unit
US8957551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EP2973885B1 (en) Wireless connector node and system
MX2015005159A (es) Dispositivos electricos modificados.
KR101950963B1 (ko)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시스템
US11579640B1 (en) Control attachment for an in-wall power adapter
KR101938605B1 (ko) 가구 설치용 전원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구
JP2021524994A (ja) 電気使用物
CN215119436U (zh) 一种双模智能遥控插座
KR102347549B1 (ko) 책상 거치식 멀티탭
CN220272902U (zh) 一种多路温控器及遥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