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889A - 온열장치 - Google Patents

온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889A
KR20200045889A KR1020180126963A KR20180126963A KR20200045889A KR 20200045889 A KR20200045889 A KR 20200045889A KR 1020180126963 A KR1020180126963 A KR 1020180126963A KR 20180126963 A KR20180126963 A KR 20180126963A KR 20200045889 A KR20200045889 A KR 2020004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heating device
outlet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현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쉐어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쉐어라이트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쉐어라이트
Priority to KR102018012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5889A/ko
Publication of KR2020004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열원을 이용하는 온열장치에 있어서, 열원에 의해 데워지는 제1 판; 공기가 들어오는 제1 입구가 구비되고, 제1 판 아래에 구비되는 바닥; 바닥과 제1 판 사이에 구비되며,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으로서, 열원이 구비되는 제1 내부공간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나가는 제1 출구가 구비되는 제1 측벽; 그리고, 바닥 및 제1 판 사이에 구비되며, 제1 내부공간의 외부에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 측벽;으로서, 제2 측벽과 제1 측벽 사이에 제2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제2 내부공간의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출구가 구비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열장치{HEATING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가 필요하지 않은 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2654호에 휴대할 수 있는 다용도 간이의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름관(2)에 손과 발을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앉을 수 있는 간이의자(10)이다. 농어촌이나 산업현장에서 작업시 가벼워서 이동이 용이하며 앉아서 몸을 전후 좌우로 굽혀 움직여도 지지판(1) 전체가 바닥에 닿아서 몸이 균형을 잡을 수 있어 안전하고 공기가 주입된 주름관에 의해 탄력이 있다.
도 2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1828호에 핫팩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몸에 부착시키거나 스마트폰의 케이스에 부착하여 몸과 외부 온도와의 차이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여 충전을 시키는 경우에 핫팩(11)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충분한 발전을 하여 충전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이종의 금속 또는 반도체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서로 접속하여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속부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곳을 향하는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속부가 핫팩(1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서 검출되는 온도차에 기초하여 열기전력을 생산하는 열전소자(12), 상기 열전소자(12)에 의해 생산된 열기전력을 공급받아 설정된 전압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소자, 상기 설정된 전압레벨로 변환된 열기전력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커넥터(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열전소자(12)는 펠티에 소자라고도 하며, 열전소자(12)는 제어백효과 및 펠티에 효과 등에 의해 작동한다. 제어벡효과란 두 접점에 온도차가 형성되면 온도차로 인해 생기는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펠티에효과란 금속 내에 전류가 흐르면 금속의 한쪽은 열을 흡수하고 다른 한쪽은 열을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도 2는 제어벡효과를 이용한 발전장치이다. 열을 이용하여 발전하여 전기로 휴대폰을 충전하는데 사용한다. 따라서, 핫팩(11)을 몸에 사용하는 대신 열전소자(12)에 부착한다. 이렇게 사용하면 야외에서 핫팩(11)을 이용해 추위도 피하면서 전기도 발전하기 보다는 전기의 발전을 위해 핫팩(11)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동시에 온열과 발전이 가능한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외기 온도가 낮은 겨울철의 낚시나 캠핑, 노점상 등과 같은 실외 활동에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휴대용 가스 버너 또는 숯이나 나무 등을 연료로 하는 가열 장치와 실외에서의 체온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기 난로나 전기 장판 또는 연탄을 발열체로 하는 연탄 난로와 같은 난방 장치가 사용된다. 이 중 실외에서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난방 장치의 경우 전기 난로나 전기 장판과 같은 전열 장치를 사용 시 전기 배전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으며, 전기 배전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외 활동 중 동반하는 우천이나 습기에 의해 누전에 의한 감전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또한, 연탄을 발열체로 하는 연탄 난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연탄을 일정 수량 적치해 두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물품을 동반하는 실외 활동의 특성상 휴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연탄의 연소 시 발생하는 고열 또는 일산화탄소에 의해 화상이나 질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개시는 사용이 간편한 열원을 이용하여 열원에서 발생한 열을 통해 의자를 온열기구로 사용 가능할 수 있고, 열원을 이용하여 열원에서 발생한 열을 통해 열전소자에 온도차를 주어,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열원을 이용하는 온열장치에 있어서, 열원에 의해 데워지는 제1 판; 공기가 들어오는 제1 입구가 구비되고, 제1 판 아래에 구비되는 바닥; 바닥과 제1 판 사이에 구비되며,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으로서, 열원이 구비되는 제1 내부공간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나가는 제1 출구가 구비되는 제1 측벽; 그리고, 바닥 및 제1 판 사이에 구비되며, 제1 내부공간의 외부에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 측벽;으로서, 제2 측벽과 제1 측벽 사이에 제2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제2 내부공간의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출구가 구비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온열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2654호에 휴대할 수 있는 다용도 간이의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1828호에 핫팩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열원이 구비되는 홀더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온열장치(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c)는 도 3(b)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열원(H)을 이용하는 온열장치(100)에 있어서, 온열장치(100)는 제1 판(110), 바닥(120), 제1 측벽(130) 및 제2 측벽(140)을 포함한다. 열원(H)은 연료가 연소하면서 열을 내는 열원(H)으로 예를 들면, 양초, 기름램프 일 수 있다. 제1 판(110)은 열원(H)에 의해 직접 데워질 수 있고, 열원(H)에 의해 데워진 공기에 의해 데워질 수 있다. 바닥(120)에 제1 측벽(130) 및 제2 측벽(140)이 구비되며, 열원(H)이 구비된다. 바닥(120)에는 공기가 들어오는 제1 입구(121)가 구비된다. 제1 입구(121)는 열원(H) 주위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측벽(130)은 바닥(120)과 제1 판(110) 사이에 구비되고, 제1 내부공간(151)을 형성한다. 제1 측벽(130)이 제1 내부공간(151)을 둘러싼다. 제1 측벽(130)에는 제1 출구(131)가 구비되며, 제1 출구(131)를 통해 제1 내부공간(151)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나간다. 제2 측벽(140)은 바닥(120) 및 제1 판(110) 사이에 구비된다. 제2 측벽(140)은 제2 내부공간(152)을 형성하며, 제1 측벽(130)과 제2 측벽(140) 사이에 제2 내부공간(152)이 구비된다. 제2 측벽(140)에는 제2 출구(141)가 구비되며, 제2 출구(141)에서는 제1 출구(131)를 통해 제2 내부공간(152)으로 들어온 공기가 제2 출구(141)를 통해서 밖으로 나간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측벽(130)과 제1 판(110)은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비접촉에 의해 제1 측벽(130)과 제1 판(110) 사이에 제1 출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110), 바닥(120), 제1 측벽(130) 및 제2 측벽(140)은 난연소재로 형성되거나, 금속으로 형성되어 열원(H)에서 불이 붙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원(H)은 제1 내부공간(151)에 구비된다. 제1 내부공간(151)에 구비된 열원(H)이 제1 내부공간(151)의 공기를 데우면 제1 내부공간(151)의 공기는 제1 출구(131)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제1 내부공간(151)을 나간다. 제1 내부공간(151)을 나간 공기는 제2 내부공간(152)에 머물면서 제2 내부공간(152)과 제1 판(110)을 데울 수 있다. 또한, 제2 내부공간(152)을 데운 공기는 제1 판(110)을 데울 수 있고, 제2 출구(141)로 나간다. 제2 출구(141)로 공기가 나가면 바닥(120)에 구비된 제1 입구(121)를 통해서 공기가 들어온다. 제1 입구(121)가 바닥(120)에 구비되기 때문에 열원에 의한 공기의 대류에 의해 공기가 들어올 수 있다. 제2 출구(141)는 열원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나갈 수 있도록 제2 측벽(1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자연스럽게 공기가 제2 출구(141)로 나갈 수 있다.
제2 내부공간(152)은 제1 내부공간(151)을 둘러싸고 있음으로서, 제1 내부공간(151)에서 데워진 공기가 제2 내부공간(152)을 한 번 더 데울 수 있다. 또한, 제2 내부공간(152)은 열원(H)이 구비된 제1 내부공간(151)으로 직접적인 바람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한다. 제2 내부공간(152) 없이 제1 내부공간(151)만 있다면 제1 내부공간(151)을 보호하지 못하고 바람이 들어가서 열원(H)이 꺼질 수 있다.
제1 출구(131)는 제1 내부공간(151)에서 열원(H)에 의해서 데워진 공기가 제2 내부공간(152)으로 보내기 위해서 제1 측벽(1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출구(141)는 제1 내부공간(151)에서 데워진 공기가 제2 내부공간(152)에 와서 제2 내부공간(152)을 데우고 밖으로 나갈 때 공기의 연소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서 제2 측벽(140)에 구비된 제2 출구(141)는 제1 출구(131)의 높이보다 위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입구(121)는 바닥(120)에 위치함으로서 열원(H)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짐으로서 상승하면서 제1 입구(121)에서 차가운 공기가 제1 내부공간(151)으로 들어올 수 있다.
제1 입구(121)는 열원(H)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연소하는 공기가 대칭으로 공급되어야 연소가 더 안정적으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열장치(100)는 열차단부(180)를 더 구비한다. 열차단부(180)는 제2 출구(141) 주위에 구비되며, 제2 출구(141)로 나가는 공기가 가열되지 않도록 제1 판(1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열차단부(180)는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110)이 오랜시간 데워지는 경우에 제2 출구(141)측의 제1 판(110)도 뜨거워질 수 있다. 그러면 제2 내부공간(152)의 공기 중에 제1 판(110) 주위의 공기가 제1 판(110)에 의해 뜨거워지면서 제2 출구(141)로 공기가 나가지 않고 정체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내부공간(152)에서 데워진 공기가 제2 내부공간(152)에 정체되고, 제1 내부공간(151)의 공기가 제1 출구(131)로 나가지 못하고 제1 내부공간(151)에 정체 되면, 입구로 공기가 들어올 수 없어 열원(H)인 양초가 꺼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내부공간(152)의 제1 판(110)이 뜨거워져 공기의 순환이 정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2 출구(141)측의 제1 판(110) 주위에 열차단부(180)가 구비된다.
제1 입구(121)는 제2 내부공간(152) 아래의 바닥(120)에 구비된다. 또한, 제1 측벽(130)에는 제2 입구(132)가 구비된다. 제2 입구(132)는 제1 입구(121)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는 곳이며, 제1 출구(131)의 높이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내부공간(152)의 아래에 구비된 제1 입구(121)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제2 입구(132)를 통해 제1 내부공간(151)으로 들어간다.
바닥(120)에 제1 입구(121)를 통해 공기가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온열장치(100) 아래에 제1 입구(121)를 막지 않는 케이스(c)가 구비되거나, 온열장치(100) 아래에 다리(받침대)와 같은 것이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제1 입구(121) 쪽으로 공기가 흘러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1 판(11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열원과 제1 판(110) 사이, 즉, 열원의 열이 닿는 제1 판(110) 하면에 복수의 핀들로 구성되어 표면적이 넓어 열원의 열과 접촉하는 면을 크게하는 집열판(도 8 참조;210)을 부착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온열장치(100)는 도 3에 기재된 온열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복수의 제2 출구(141)가 구비된 온열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출구(141)가 제2 측벽(140)에 복수개 구비된 예이다.
제2 출구(141) 중 하나에 화살표 방향으로 바람이 들어오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제2 출구(141)로 제2 내부공간(152)의 공기가 나갈 수 있다. 제2 내부공간(152)은 제1 내부공간(151)을 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2 출구(141)가 하나가 있는 경우 제2 출구(141)로 바람이 들어오는 경우 제2 출구(141)로 연소된 공기가 나갈 수 없게 된다. 그렇게 되면 공기의 흐름이 좋지 않아져서 열원(H)이 꺼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측벽(140)의 다른 면에 복수의 제2 출구(1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서 제2 측벽(140)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출구(141)의 사이에 공기의 흐름을 막는 제1 측벽(130)이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의 복수의 제2 출구(141)는 마주보고 형성되며, 하나의 제2 출구(141)로 바람이 들어오면서 다른 하나의 제2 출구(141)로 바람이 나오도록 형성된다.
도 5(b)의 복수의 제2 출구(141)는 인접한 면에 구비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출구(141)들이 인접한 면에 구비되어 하나의 제2 출구(141)로 바람이 들어와도 다른 하나의 제2 출구(141)로 나갈 수 있으며,
도 5에서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온열장치(100)는 도 3에 기재된 온열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열장치(100)는 복수의 제1 내부공간(151)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측벽(130) 그리고, 복수의 제2 내부공간(152)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측벽(140)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측벽(140) 내부에 제1 측벽(130)이 구비되며, 복수의 제2 내부공간(152) 사이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다. 복수의 제2 내부공간(152) 사이에 공기가 통하게 되면 각 내부공간으로부터 배출된 연소가스가 섞이면서 공기의 흐름에 난류가 발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소가스가 정체 되면서 열원이 꺼지는 등 여러 가지의 변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온열장치(100)는 도 3에 기재된 온열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출구(141)로부터 돌출된 관(160)이 구비된다. 관(160)에는 복수의 홀(161)이 구비된다. 관(160)을 따라서 나오던 연소된 공기가 바람(w)을 만나도 복수의 홀(161)을 통해서 연기가 배출되어 공기 흐름이 방해되지 않는다.
도 7(a)의 관(160)은 'ㄱ' 모양으로 형성된 모양이며, 도 7(b)의 관(160)은 '1' 모양으로 형성된 모양이다.
도 7에서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온열장치(100)는 도 3에 기재된 온열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온열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열장치(100)는 열전소자(170), 열차단부(180), 제2 판(190) 및 열전달부(200)를 포함한다. 열전소자(170)는 열원(H)에 의해 가열되는 제1 면(171)과 제1 면(171)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2 면(172)을 포함하며, 제2 면(172)은 제1 판(110)과 접촉된다. 열차단부(180)는 열전소자(170)의 측면을 둘러싸고, 열차단부(180)는 단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판(190)은 열차단부(180)와 접촉하며, 제1 판(110) 아래에 구비되며, 제1 판(110)과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제1 판(110)과 제2 판(190) 사이에 공기층(153)이 형성된다. 열전달부(200)는 제1 판(110)과 제2 판(190) 사이에 구비되며, 열전달부(200)는 제2 판(190)의 열을 제1 판(110)의 가장자리에 열을 전달한다. 열전달부(200)는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열판(2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집열판(210)은 열전소자(170)의 제1 면에 최대한 많은 열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의 모양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집열판(210)에는 복수의 핀들이 구비되어 열원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복수의 핀들을을 가열하는 경우 가열된 공기가 접촉하는 면을 크게하여 집열판(210)이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열전소자(170)는 열차단부(180)의 개구(181) 안쪽에 위치한다. 열전소자(170)를 둘러싸는 열차단부(180)는 제2 판(190)과 접촉한다. 제2 판(190)은 열차단부(180)와 같이 개구(192)를 형성하며, 개구(192) 주위의 제2 판(190)의 끝부분(191)은 열전소자(170) 및 집열판(210)과 접촉하지 않고, 제2 판(190)만 접촉한다.
집열판(210)이 열을 잘 흡수하고, 열차단부(180)가 제1 판(110)에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열차단부(180)는 집열판(210)과 제1 판(1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차단부(180)의 개구(181) 면적은 열전소자가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차단부(180)의 개구(181)보다는 제2 판(190)의 개구(192)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층(153)은 제1 판(110)과 제2 판(190)사이에 형성되며, 제2 판(190)의 열이 공기층(153)으로 인해 제1 판(110)으로 가는 열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판(110)은 열전달부(200)에 의해 제2 판(190)의 열을 전달받는다. 제2 판(190)의 온도는 제1 판(110)과 온도가 차이가 많이 날수록 좋지만, 온열장치(100)이기 때문에 제1 판(110)은 따뜻함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제2 판(190)에서 제1 판(110)으로 일부의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열전달부(200)의 위치는 열전소자(170)의 전기 발전 효율을 위해서 열전소자(170)로부터 가능한 먼 쪽에 위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험 결과 거리가 10cm 이상이 될 경우 열전소자(170)의 효율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열전소자(170)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조명, 라디오, 충전 장치 등 전기가 필요한 다양한 제품의 전원으로 활용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본 개시의 온열장치(100)에 내장되어서 구성 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온열장치(100)는 도 3에 기재된 온열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열원이 구비되는 홀더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홀더(220)는 몸체(211)와 경사면(213)을 가지며, 홀더(220)에는 열원(H)이 구비되며, 몸체(211)는 열원(H)을 감싼다. 몸체(211)를 향해 경사면(213)이 구비된다. 홀더(220)는 열원(H)으로서 초를 구비할 수 있다. 초가 구비되는 경우 온열장치(100;도 3 참조)가 흔들리면서 촛농(d)이 흐르는 경우에도 경사면(213)을 통해서 촛농(d)이 다시 초(H)로 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열원(H)의 주위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220)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홀더(220)에 구비된 열원(H)을 제거 하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220)는 내열성 재료로 형성되어 열원(H)을 이동할 때, 홀더(220)에 열원(H)의 열 때문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220)는 일 예로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열원(H)과 몸체(211)는 밀착되어 있지만,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도 가능하다.
도 9(b)와 같은 홀더(220) 아래에는 자석(2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온열장치(100)의 바닥(120)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도 9(b)와 같이 홀더(220)의 몸체(211)는 경사면(213)을 지지 할 수 있도록 경사면 아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9(c)와 같은 홀더(220)에는 손잡이(217)가 구비된다. 손잡이(217)는 경사면(213)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열원을 이용하는 온열장치에 있어서, 열원에 의해 데워지는 제1 판; 공기가 들어오는 제1 입구가 구비되고, 제1 판 아래에 구비되는 바닥; 바닥과 제1 판 사이에 구비되며,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으로서, 열원이 구비되는 제1 내부공간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나가는 제1 출구가 구비되는 제1 측벽; 그리고, 바닥 및 제1 판 사이에 구비되며, 제1 내부공간의 외부에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 측벽;으로서, 제2 측벽과 제1 측벽 사이에 제2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제2 내부공간의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출구가 구비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온열장치.
(2) 제2 출구 주위에 구비되며, 제2 출구로 나가는 공기가 가열되지 않도록 판의 하부에 형성된 열차단부;를 구비하는 온열장치.
(3) 제1 입구는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바닥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4) 제1 입구는 제2 내부공간이 형성된 바닥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5) 제1 측벽에는 제2 입구가 구비되며, 제2 내부공간의 아래에 구비된 제1 입구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제2 입구를 통해 제1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온열장치.
(6) 제2 입구의 높이는 제1 출구의 높이보다 낮은 온열장치.
(7) 제1 입구는 열원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온열장치.
(8) 제2 출구는 복수 개 구비되며, 제2 출구는 마주보는 다른 제2 측벽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9) 복수의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측벽 그리고, 복수의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측벽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2 측벽 내부에 제1 측벽이 구비되며, 복수의 제2 내부공간 사이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온열장치.
(11) 제2 출구로부터 돌출된 관;을 포함하며, 관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는 온열장치.
(12)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제1 면과 제1 면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로서, 제2 면은 제1 판과 접촉되는 열전소자; 열전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는 열차단부; 제1 판 아래에 구비되며, 열차단부와 접촉하는 제2 판;으로서,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제2 판;그리고,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구비되며,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온열장치.
(13) 열전소자의 제1 면에 열을 전달하는 집열판;을 포함하는 온열장치.
(14) 열원을 감싸는 몸체, 몸체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홀더;가 구비되는 온열장치.
(15) 제1 판의 아래에 구비되어 제1 판에 열을 전달하는 집열판;을 포함하는 온열장치.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온열장치에 의하면,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이 분리되어 제1 내부공간의 열원의 연소를 안정되게 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온열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바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게 된다.
100: 온열장치 110: 제1 판 120: 바닥 130: 제1 측벽
140: 제2 측벽 151: 제1 내부공간 152: 제2 내부공간 160: 관
170: 열전소자 180: 열차단부 190: 제2 판 200: 열전달부
220: 홀더

Claims (14)

  1. 열원을 이용하는 온열장치에 있어서,
    열원에 의해 데워지는 제1 판;
    공기가 들어오는 제1 입구가 구비되고, 제1 판 아래에 구비되는 바닥;
    바닥과 제1 판 사이에 구비되며,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으로서, 열원이 구비되는 제1 내부공간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나가는 제1 출구가 구비되는 제1 측벽; 그리고,
    바닥 및 제1 판 사이에 구비되며, 제1 내부공간의 외부에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 측벽;으로서, 제2 측벽과 제1 측벽 사이에 제2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제2 내부공간의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출구가 구비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온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출구 주위에 구비되며, 제2 출구로 나가는 공기가 가열되지 않도록 제1 판의 하부에 형성된 열차단부;를 구비하는 온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입구는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바닥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입구는 제2 내부공간이 형성된 바닥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측벽에는 제2 입구가 구비되며,
    제2 내부공간의 아래에 구비된 제1 입구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제2 입구를 통해 제1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온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 입구의 높이는 제1 출구의 높이보다 낮은 온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입구는 열원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온열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출구는 복수 개 구비되며,
    제2 출구는 마주보는 다른 제2 측벽에 구비되는 온열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측벽 그리고, 복수의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측벽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2 측벽 내부에 제1 측벽이 구비되며, 복수의 제2 내부공간 사이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온열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출구로부터 돌출된 관;을 포함하며,
    관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는 온열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제1 면과 제1 면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로서, 제2 면은 제1 판과 접촉되는 열전소자;
    열전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는 열차단부;
    제1 판 아래에 구비되며, 열차단부와 접촉하는 제2 판;으로서,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제2 판;그리고,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구비되며,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온열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열전소자의 제1 면에 열을 전달하는 집열판;을 포함하는 온열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열원을 감싸는 몸체, 열원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홀더;가 구비되는 온열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판의 아래에 구비되어 제1 판에 열을 전달하는 집열판;을 포함하는 온열장치.
KR1020180126963A 2018-10-23 2018-10-23 온열장치 KR20200045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63A KR20200045889A (ko) 2018-10-23 2018-10-23 온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63A KR20200045889A (ko) 2018-10-23 2018-10-23 온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231A Division KR20210002095A (ko) 2020-12-28 2020-12-28 온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89A true KR20200045889A (ko) 2020-05-06

Family

ID=7073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963A KR20200045889A (ko) 2018-10-23 2018-10-23 온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58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385B2 (en) Combustion device utilizing thermoelectrical generation
US20120060819A1 (en) High Efficiency Combustion Stove
CN203704044U (zh) 燃气具
CN106953548B (zh) 一种基于塞贝克效应和相变储热的热电燃气炉
KR102366298B1 (ko) 휴대용 충전식 발열난로
US20050037303A1 (en) Generation of electricity in a fireplace using thermoelectric module
CN103629702A (zh) 一种环形烟道辐射取暖炉
KR20200045889A (ko) 온열장치
CN110657590B (zh) 一种温差发电炉
CN109237469A (zh) 提高安全性的燃烧器装置
KR20210002095A (ko) 온열장치
KR102328632B1 (ko) 연통형 열전소자를 적용한 열전발전시스템
CN107612424A (zh) 发电系统以及电器
WO2013046174A1 (en) Heating device
CN105333424A (zh) 户外便携式自发电吹风机取暖器
KR101658395B1 (ko) 온풍기용 팬
KR101529219B1 (ko) 가스를 연료로 하는 발열 기구의 유실열을 이용한 발전 장치
KR102219350B1 (ko) 열전발전기를 포함하는 연소장치
RU98231U1 (ru) Электрогенерирующее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KR102219213B1 (ko) 과열보호부가 구비된 열전발전기를 포함하는 연소장치
CN205155951U (zh) 户外便携式自发电吹风机取暖器
CN205174815U (zh) 户外便携式废气分离自发电取暖器
CN105333612B (zh) 户外便携式废气分离自发电取暖器
KR20100087691A (ko) 가스토치가 결합된 이동용 난방/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