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495A - Interdental brush - Google Patents

Interdental 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495A
KR20200045495A KR1020207006448A KR20207006448A KR20200045495A KR 20200045495 A KR20200045495 A KR 20200045495A KR 1020207006448 A KR1020207006448 A KR 1020207006448A KR 20207006448 A KR20207006448 A KR 20207006448A KR 20200045495 A KR20200045495 A KR 2020004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ristle holder
interdental brush
bristle
transi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2174B1 (en
Inventor
마르코 자발로니
Original Assignee
쿠라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덴 아게 filed Critical 쿠라덴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4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4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n or between belt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2Clip or snap connection for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 부분(2), 및 치간 브러시(1)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3)를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1)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브러시 부분(2)은 칫솔모 홀더(4) 및 칫솔모 홀더(4)에 고정된 칫솔모(5)를 포함한다. 여기서, 칫솔모 홀더(4)는 칫솔모 홀더(4)가 샤프트(3)에 앵커링되는(anchored) 제 1 단부(7)를 가지며, 샤프트(3)는 2 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치간 브러시(1)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 및 치간 브러시(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ntal brush (1) comprising a brush part (2) and a shaft (3) for removably securing the interdental brush (1) to the handle part, wherein the brush part (2) is a bristle holder (4) and the bristles (5) fixed to the bristle holder (4). Here, the bristle holder 4 has a first end 7 to which the bristle holder 4 is anchored to the shaft 3, and the shaft 3 is made of two parts.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bination article comprising an interdental brush 1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terdental brush 1.

Description

치간 브러시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브러시 부분 및 손잡이 부분에 치간 브러시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브러시 부분은 칫솔모 홀더 및 칫솔모 홀더에 고정된 칫솔모를 포함하고, 칫솔모 홀더는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에 앵커링되는(anchored) 제 1 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간 브러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ntal brush comprising a shaft for detachably fixing an interdental brush to a brush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wherein the brush portion includes a bristle holder and a bristle fixed to the bristle holder, and the bristle holder is a bristle holder Has a first end anchored to the shaft.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making an interdental brush.

포괄적인 치아 관리에는 치아 자체의 청소뿐만 아니라 치아 사이 공간의 청소도 포함된다. 박테리아가 이들에 형성되어, 충치, 플라크 및 구내염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치아 사이 공간은 칫솔로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사이 공간을 청소하기 위해 소위 치간 브러시가 사용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칫솔에 비해 훨씬 작은 미세한 칫솔모를 갖는 브러시 헤드를 가지므로, 브러시 헤드가 치아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미세한 칫솔모는 이 경우 칫솔모 홀더에 고정되며, 이러한 칫솔모 홀더는 종종 트위스팅된 와이어의 형태로 설계된다. 칫솔모 홀더는 일 단부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 내에 주조되거나 또는 삽입된다. 다시 샤프트는 손잡이 부분에 공지된 방식으로 수용된다. 손잡이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치간 브러시의 양호한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Comprehensive tooth care includes not only cleaning the teeth themselves, but also cleaning the spaces between the teeth. Bacteria can form in them, causing tooth decay, plaque and stomatitis. However, the space between the teeth is very difficult to clean with a toothbrush. For this reason, so-called interdental brushes are used to clean the interspace. They generally have brush heads with finer bristles that are much smaller than toothbrushes, so the brush head can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The fine bristles are in this case secured to the bristle holders, which are often designed in the form of twisted wire. The bristle holder is cast or inserted into the shaft of an interdental brush, one end of which is generally made of plastic. Again the shaft is received in a manner known in the handle part. The handle portion can be held well by hand by the user, thus enabling good handling of the interdental brush.

치간 브러시를 사용하는 동안, 브러시 헤드는 강하게 응력을 받고, 종종 탄성적으로 또는 가소성으로 구부러진다. 브러시 부분이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로부터 찢어져 나오지 않고 또는 브러시 부분이 샤프트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 내에 주조된 브러시 부분의 단부는 종종 형상부를 가지므로, 앵커링된 단부는 보다 양호하게 샤프트 내에 유지될 수 있다.During the use of the interdental brush, the brush head is strongly stressed and is often elastically or plastically bent. To ensure that the brush portion does not tear off the shaft of the interdental brush or that the brush portion can rotate on the shaft, the end of the brush portion cast in the shaft often has a shape, so the anchored end is better maintained in the shaft You can.

예를 들어, JP 2008 154901 A[라이온 코포레이션(Lion Corp.)]는 치간 브러시를 개시하고, 여기서 트위스팅된 와이어로 제조된 브러시 홀더의 앵커링된 단부 부분은 치간 브러시의 플라스틱 샤프트에 단부 부분을 확실하게 앵커링할 수 있도록 아치형, 직사각형, 반원형 또는 삼각형 형상부를 갖는다.For example, JP 2008 154901 A (Lion Corp.) discloses an interdental brush, where the anchored end portion of a brush holder made of twisted wire secures the end portion to the plastic shaft of the interdental brush. It has an arcuate, rectangular, semicircular or triangular shape for anchoring.

DE 103 54 774 A1[자호란스키(Zahoransky)]은 브러시 부분이 손잡이 그립에 분리 불가능하게 앵커링되어 있는 치간 브러시를 개시하고 있다. 손잡이 그립은 리세스를 갖는 손잡이 그립 베이스 본체 및 이러한 리세스 내에 주입 성형된 손잡이 부분을 포함한다. 먼저, 손잡이 그립 베이스 본체는 샤프트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의 중앙 부분이 손잡이 그립 베이스 본체에 주조되도록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제 2 사출 성형에 의해, 샤프트의 각진 단부는 손잡이 부분으로 주조된다. 손잡이 부분은 베이스 본체와 비교하여 약간 더 연성이고 고무 같은 재료로 구성되어, 보다 양호한 그립력이 생성된다.DE 103 54 774 A1 (Zahoransky) discloses an interdental brush in which the brush portion is anchored non-removably to the handle grip. The handle grip includes a handle grip base body having recesses and a portion of the handle molded into the recess. First, the handle grip base body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ftless bristle end is cast into the handle grip base body. By the second injection molding, the angled end of the shaft is cast into the handle portion. The handle portion is made of a slightly softer, rubbery material compared to the base body, resulting in better grip.

손잡이 그립이 통합되어 있는 이러한 치간 브러시는, 손잡이 부분이 제 2 제조 단계에서 베이스 본체에 주입 성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하기에 복잡하다. 또한, 브러시 부분의 칫솔모가 마모되면, 손잡이 그립을 갖는 치간 브러시 전체가 교체되어야 한다. 이는 비싸고 많은 폐기물이 발생된다.This interdental brush with integrated handle grip is complicated to manufacture, since the handle portion must be injection molded into the base body in the second manufacturing step. Also, when the bristles of the brush part wear out, the entire interdental brush with the handle grip must be replaced. This is expensive and generates a lot of waste.

그러나, 치간 브러시가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시스템도 또한 알려져 있다. 치간 브러시가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치간 브러시는 손잡이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치간 브러시가 손잡이 부분 내로 삽입될 수 있다.However, systems are also known in which the interdental brush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If the interdental brush needs to be replaced, the interdental brush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portion, and a new interdental brush can be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손잡이 부분 및 교환 가능한 치간 브러시를 갖는 이러한 시스템이 예를 들어 DE 10 2005 047 340 A1[브라운 게엠베하(Braun GmbH)]에 개시되어 있다. 치간 브러시는 그 샤프트에서 브러시로부터 멀리 향하는 샤프트의 자유 단부에, 샤프트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들을 포함한다. 치간 브러시가 손잡이 부분의 개구에 삽입될 때, 홈들 사이의 벽 섹션은 손잡이 부분의 개구의 내벽과 클램프를 형성한다. 따라서, 치간 브러시는 손잡이 부분에 유지되고, 필요하다면, 교환을 위해 손잡이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Such a system with a handle part and an interchangeable interdental brush is disclosed, for example, in DE 10 2005 047 340 A1 (Braun GmbH). The interdental brush includes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at the free end of the shaft facing away from the brush in the shaft. When the interdental brush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handle portion, the wall section between the grooves forms a clamp with the inner wall of the opening of the handle portion. Thus, the interdental brush is held on the handle portion and, if necessary, can be separated from the handle portion for replacement.

교환 가능한 치간 브러시의 다른 실시예가 WO 1986/02532[쿠라덴(Curaden)]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치간 브러시는 트위스팅된 와이어 루프로 형성되고 칫솔모를 갖는 칫솔모 캐리어 및 칫솔모가 없는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브러시 부분을 포함한다. 단부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치간 브러시의 원통형 샤프트에 주조된다. 샤프트의 자유 단부에는, 정지부를 형성하고 2 개의 아암을 갖는 크로스 부재가 형성된다. 크로스 부재가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나사산 슬리브가 크로스 부재의 아암에 닿고 아암이 나사산 슬리브 사이와 손잡이 부분의 홈의 바닥 사이에 클램핑될 때까지, 크로스 부재를 향해 손잡이 부분의 나사산 슬리브가 조여짐으로써, 치간 브러시는 손잡이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changeable interdental brush is disclosed in WO 1986/02532 (Curaden). This interdental brush comprises a brush portion formed of a twisted wire loop and comprising a bristle carrier with bristles and an end portion without bristles. The end part is cast on a cylindrical shaft of an interdental brush made of plastic. At the free end of the shaft, a cross member is formed which forms a stop and has two arms. The threaded sleeve of the handle portion towards the cross member is inserted until the cross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the threaded sleeve contacts the arm of the cross member and the arm is clamped between the threaded sleeve and the bottom of the groove of the handle portion. By being tightened, the interdental brush can be mounted on the handle portion.

칫솔모 홀더의 단부 부분의 형상부를 통해,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치간 브러시의 경우에도, 칫솔모 홀더는 샤프트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치간 브러시는 칫솔모 홀더와 샤프트 사이의 연결과 관련하여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Even in the case of an interdental brush that can be removably secured to the handle portion through the shape of the end portion of the bristle holder, the bristle holder can be held securely on the shaft. However, this known interdental brush has several disadvantag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bristle holder and the shaft.

칫솔모 홀더는 치간 브러시를 사용하는 동안 종종 탄성적으로 또는 심지어 가소성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칫솔모 홀더의 재료는 위치별로 매우 강하게 응력을 받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칫솔모 홀더의 이러한 구부러짐은 주로 한 위치에서 발생하는데, 즉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로부터 나오는 위치에서 발생한다. 이를 통해 이러한 출구 위치에서는 종종 재료 피로가 유발되어, 칫솔모 홀더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Since the bristle holder often bends elastically or even plastically while using the interdental brush, the bristles holder's material is very strongly stressed by location. To make matters worse, this curvature of the bristle holder occurs mainly in one position, ie where the bristle holder comes out of the shaft. This often leads to material fatigue at these exit locations, which can result in bristle holder breakage.

칫솔모 홀더의 굽힘 또는 파손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WO 1986/02532[쿠라덴(Curaden)]는 칫솔모 홀더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특수한 형상의 보어를 갖는 샤프트를 개시하고 있다.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샤프트는 출구를 향해 확장되는 전방의, 원추형 또는 쌍곡선 형상의 섹션을 포함한다. 칫솔모 홀더의 단부 부분의 후방 섹션은 보어의 후방 섹션에 단단히 앵커링되어 있다. 칫솔모 홀더의 단부 부분의 전방 섹션은 보어의 점차 확장되는 섹션에서 칫솔모의 방향으로 점점 증가하는 유격을 가지고 휨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단부 부분의 전방 섹션은 보어 섹션에서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여기서 보어 섹션의 벽은 칫솔모 홀더의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구부러짐을 방지한다.To avoid the risk of bending or breaking the bristle holder, WO 1986/02532 (Curaden) discloses a shaft with a specially shaped bore for receiving the end portion of the bristle holder. The shaft made of rigid plastic includes an anterior, conical or hyperbolic section extending toward the outlet. The rear sec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bristle holder is securely anchored to the rear section of the bore. The front sec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bristle holder is flexibly supported with a gradually increasing play in the direction of the bristle in the gradually expanding section of the bore. Thus, the front section of the end portion can be elastically bent in the bore section, where the wall of the bore section prevents bending beyond the elastic limit of the bristle holder.

샤프트 내의 이러한 최적화된 형상의 보어에도 불구하고, 칫솔모 홀더는 출구 위치에서 강하게 응력을 받고, 칫솔모 홀더는 손상을 입거나 또는 심지어 파손될 수도 있다. 또한, 원추형 출구를 갖는 위에서 설명한 보어는 제조하기에 어렵다.Despite this optimized shaped bore in the shaft, the bristle holder is strongly stressed in the exit position, and the bristle holder may be damaged or even broken. Also, the bore described above with a conical outle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에 칫솔모 홀더를 수용하는 것이 개선되고 이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프트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기술 분야에 속하는 치간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dental brush belonging to the technical field mentioned at the outset, in which the receiving of the bristle holder on the shaft is improved and in this case the shaft is nevertheless easily manufactured.

이러한 목적에 대한 해결 방안은 본원의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는 2 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The solution to this purpose is defined by the features of claim 1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haft is made of two parts.

이를 통해,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를 일부 영역에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샤프트의 제 2 부분과 상이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의 개별 영역에 대한 서로 다른 요구 사항이 더 양호하게 충족될 수 있다.Through this, it can be made in a simple way to configure the shaft of the interdental brush to have different properties in some areas. Thus, 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can have a different shap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 than the second portion of the shaft. Thus, different requirements for individual areas of the shaft can be better fulfilled.

따라서,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로부터 나오는 샤프트의 영역은 매우 정밀하게 형성되어 칫솔모 홀더를 정확하게 안내하는 제 1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 칫솔모 홀더는 사용 중에 파손되지 않고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샤프트의 하부 단부 영역은 정밀하게 제조될 필요는 없고 단지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를 견고하게 앵커링시키는 역할만을 하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부분은 보다 간단한 공구에 의해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2 부분은 스탬핑을 통해 또는 간단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의 각 부분에 대해 가장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제조 공정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샤프트는 최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us, for example, the area of the shaft where the bristle holder comes out of the shaft can be formed by a first part that is precisely formed and accurately guides the bristle holder, so that the bristle holder can bend without breakage during use.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lower end region of the shaft need not be made precisely and may consist of a second part which serves only to firmly anchor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Thus, the second part can be produced cost-effectively with a simpler tool. Thus, for example, the second part can be produced through stamping or by a simple injection molding process. Thus, the most efficient and cost-effective manufacturing process for each part of the shaft can be selected. Through this, the shaft can be optimally configured.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간 브러시"는 인간 또는 동물 치아의 치아 사이 공간을 청소하는데 적합한 브러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 치간 브러시를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클램핑 또는 스크류 고정에 의해 치간 브러시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손잡이 부분이 필요하다. 손잡이 부분은 치간 브러시가 취급하기에 양호하고 이에 따라 치아들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치간 브러시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부분은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라는 용어와 구별되어야 한다. 샤프트는 칫솔모 홀더를 앵커링하고 치간 브러시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interdental brush” is understood to mean a brush suitable for cleaning the space between the teeth of human or animal teeth. In this case, in order to use the interdental brush, there is a need for a handle portion that can detachably fix the interdental brush, for example by clamping or screwing. The handle portion is used so that the interdental brush is good for handling and thus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nd moved between the teeth. Accordingly, the handle portion capable of gripping the interdental brush by hand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term "shaft" of the interdental brush. The shaft serves to anchor the bristle holder and detachably connect the interdental brush to the handle.

"앵커링"이라는 용어는 분리될 수 없는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샤프트에 접착되거나, 주조되거나, 또는 클램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플러그 또는 나사 연결 또는 베이어닛 결합(bayonet joint)과 같은 분리 가능한 연결은 "앵커링"이라는 용어에 해당하지 않는다.The term "anchoring" is understood to mean an inseparable connection. Thus, for example,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glued, cast, or clamped to the shaft. Accordingly, a detachable connection, for example a plug or screw connection or a bayonet joint, does not fall under the term “anchor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는 2 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통해, 샤프트는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즉, 각 부분은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 후 샤프트를 제조하기 위해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부분은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 또는 스크류 연결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예를 들어 접착 또는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경우, 제 2 부분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제 1 부분 상에 스프레이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제 2 부분은 초음파 용접, 진동 용접(VIB 용접), 오비탈 용접, 거울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제 1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haft is made of two parts. Preferably, through this, the shaft is formed in two parts. That is, each part can be manufactured individually, and then connected to other parts to manufacture the shaft.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arts can be detachably connected, for example by means of a plug connection or screw connection, or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non-removably, for example by gluing or bonding. If the second part is made of plastic, the second part can be spray molded on the first part, for example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or the second part is ultrasonic welding, vibration welding (VIB welding), orbital welding ,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art by mirror welding or gluing.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they can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샤프트는 샤프트의 종 방향으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샤프트의 부분들이 샤프트의 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샤프트의 제 1 부분 및/또는 제 2 부분의 개별 영역 또는 요소가 종 방향으로 각각 다른 부분으로 돌출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종 방향으로 샤프트의 제 2 부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탭 또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preferred that the shaft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par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This means that parts of the shaft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However, this does not exclude that individual areas or elements of the first and / or second part of the shaft protrud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may include a projection, tab, or wing that protrudes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샤프트의 제 1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의 종 방향으로 제 1 부분으로부터 돌출하고 샤프트의 제 2 부분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샤프트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접촉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부분 사이를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of the shaft preferably includes a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firs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and receiving a corresponding recess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shaft. Through thi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shaft can be enlarged. This ensures a stable and reliable connection between the two parts.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샤프트의 개별 영역이 각각의 요구 사항에 특히 잘 맞을 수 있다. 샤프트의 제 1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재료로 제조되고, 샤프트의 제 2 부분은 제 2 재료로 제조된다. 이는 상이한 기계적 성질 및 상이한 색상을 갖는 재료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부분들은 다른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The shaft preferably comprises two different materials. This allows the individual areas of the shaft to fit particularly well with each requirement. The first part of the shaft is preferably made of a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part of the shaft is made of a second material. This allows the use of materials with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different colors. Also, the parts may be manufactured using other manufacturing processes.

따라서,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로부터 나오는 샤프트의 해당 부분은 손잡이 부분에 수용되도록 설계되는 샤프트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서의 제 2 부분보다 더 유연한 또는 더 탄성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부분은 이 경우 예를 들어 경질의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로부터 나오는 영역에서의 제 1 부분의 유연한 또는 탄성 재료로 인해, 칫솔모 홀더가 구부러질 때, 샤프트의 제 1 부분은 휘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칫솔모 홀더는 잘 지지되어, 출구 영역에서 칫솔모 홀더의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구부러짐이 회피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칫솔모 홀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의 자유 단부의 영역의 제 2 부분은 경질 재료로 인해 내마모성이어서, 이에 따라 손상되지 않고 손잡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경질 재료를 통해, 샤프트와 손잡이 부분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재료의 선택은 또한 그 반대도 이루어질 수도 있고, 치간 브러시와 손잡이 부분 사이의 탄성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샤프트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서 제 2 부분에 연성 또는 탄성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Thus,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haft where the bristle holder comes out of the shaft can be made of a more flexible or more elastic material than the second portion in the region of the free end of the shaft that is designed to be received in the handle portion. The second part can in this case be made of, for example, a hard wear-resistant material. Due to the flexible or elastic material of the first part in the area where the bristle holder comes out of the shaft, when the bristle holder is bent, the first part of the shaft is bent, but the bristle holder is nevertheless well supported, making the bristles in the outlet area Bending that exceeds the elastic limit of the holder can be avoided.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ush head holder from being damag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art of the region of the free end of the shaft is wear-resistant due to the hard material, and thus can be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without being damaged. In addition, through a hard material, a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handle portion can be made possible.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may also be vice versa, or a soft or elastic material may be used in the second part in the region of the free end of the shaft, to enable an elastic connection between the interdental brush and the handle part. have.

상이한 재료들을 통해, 샤프트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 칫솔모 홀더를 앵커링하기 위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의 각각의 형상에 특히 양호하게 적합할 수 있는 재료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칫솔모 홀더는 샤프트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샤프트에 앵커링되기 위한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예를 들어 반원형, V 자형, 톱니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nchor the bristle holder to the area of the free end of the shaft through different materials, the bristle holder is secure to the shaft, as a material that can be particularly well suited to each shape of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selected. Can be maintained.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for anchoring to the shaft can be formed, for example, in a semicircular, V-shaped, serrated or curved shape.

따라서, 2 개의 재료로 이루어진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는 특히 양호하게 요구 사항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샤프트의 다양한 재료를 통해, 샤프트의 영역의 각각의 형상에 가장 적합한 재료로 영역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샤프트의 상부 영역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출구 개구의 특히 정밀한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면에 샤프트의 하부 영역은 예를 들어, 여기에는 덜 정밀한 성형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효율적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Thus, the shaft of the interdental brush made of two materials can be tailored to the requirements particularly well. In addition, through the various materials of the shaft, the region can be made of the material most suitable for each shape of the region of the shaft. Thus, for example, the upper region of the shaft can be made of special plastic to enable particularly precise molding of the outlet opening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On the other hand, the lower region of the shaft can be made of a cost-effective material, for example because it requires less precise shaping. This enables efficient and cost-effective manufacturing.

그러나 샤프트는 또한 3 개, 4 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이한"이라는 용어는 재료의 특성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재료의 일반적인 명칭에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제 1 경도를 갖는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경도를 갖는 제 2 플라스틱이 본 명세서에서 "2 개의 상이한 재료"로 간주되지만, 둘 다 "플라스틱"이라는 용어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샤프트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및 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재료는 본 명세서에서, 색상을 제외하고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2 개의 상이한 재료로 간주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파란색 플라스틱은 빨간색 플라스틱과 상이한 재료이다.However, the shaft may also include three, four or more different materials. The term "different" here refers to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and is not related to the general name of the material, for example. This means that the first plastic with the first hardness and the second plastic with the second hardness are considered "two different materials" herein, but both belong to the term "plastic". However, the shaft may also comprise plastic and metal, for example. Also, materials having different colors are considered to be two different materials in this specification, even if they have the same properties except for colors. Thus,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blue plastic is a different material from red plastic.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앵커링 부분에 앵커링된다.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들은 각각 원통형, 구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또한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shaft preferably comprises a transition portion and an anchor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is anchored to the anchoring portion.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can have any shape. Thus, for example, they can each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pherical or cuboid shape.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can also be detachably connected, for example via a plug connection, o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non-removably.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에 대응되고, 앵커링 부분은 샤프트의 제 2 부분에 대응된다. 샤프트가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샤프트의 기능은 제 1 및 제 2 부분으로 나뉜다. 이는 간단한 구조 및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앵커링 부분은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의 최적의 앵커링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전이 부분은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의 최적의 지지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ition portion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first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corresponds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shaft. Since the shaft includes a transition portion and an anchoring portion, the function of the shaft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portions. This enables simpl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Thus, for example, the anchor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for optimal anchoring of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while the transition portion can be configured for optimal support of the bristle holder, for example.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함께 주조되므로, 이들은 견고하고 분리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샤프트는 안정하게 된다.Preferably,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are cast together, so that they are rigid and insepa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makes the shaft stable.

대안적으로, 또한, 샤프트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을 갖지 않고,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가 샤프트의 두 부분에 앵커링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Alternativel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shaft does not have a transition portion and an anchoring portion, and that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is anchored to the two portions of the shaft.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부분의 종 방향으로 전이 부분을 향해 돌출하는 2 개의 날개부를 포함한다.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부분의 날개부를 수용하기 위한 2 개의 절개부를 포함한다.The anchoring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two wing portions projecting toward the transitio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choring portion. The transition portion preferably includes two incisions for receiving the wing portion of the anchoring portion.

날개부를 통해, 전이 부분과 앵커링 부분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이는 전이 부분과 앵커링 부분 사이에 특히 강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앵커링 부분이 전이 부분에 스프레이 성형되면, 확대된 접촉 영역을 통해, 전이 부분과 앵커링 부분 사이의 특히 안정적인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Through the w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is increased. This allows a particularly strong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tion part and the anchoring part. If the anchoring portion is spray molded to the transition portion, a particularly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nlarged contact area.

칫솔모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칫솔모 영역을 가지며, 여기서 전이 부분은 앵커링된 제 1 단부와 칫솔모 홀더의 칫솔모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는 그 칫솔모 영역과 제 1 단부 사이의 영역에서 전이 부분에 의해 최적으로 안내되고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치아를 청소할 때 칫솔모 홀더가 구부러지면, 칫솔모 홀더는 칫솔모 홀더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가 앵커링 부분에 진입하는 전이 위치에서 칫솔모 홀더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칫솔모 홀더의 하중이 감소될 수 있고, 칫솔모 홀더의 파손 또는 좌굴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The bristle holder preferably has a bristle area, where the transition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anchored first end and the bristle area of the bristle holder. Thereby, the bristle holder can be optimally guided and supported by the transition portion in the area between the bristle area and the first end. Thus, for example, if the bristle holder is bent when cleaning a tooth, the bristle holder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bristle holder. Through this, the load applied to the bristle holder at the transition position where the bristle holder enters the anchoring portion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load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reduced, and the risk of breakage or buckling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prevented.

전이 부분은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 옆에 측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칫솔모 홀더를 둘러쌀 수도 있다.The transition portion can have any shape. For example, it may be arranged laterally next to the bristle holder or may surround the bristle holder.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재료 중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앵커링 부분은 2 개의 재료 중 제 2 재료를 포함한다.The transition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the first of the two materials, and the anchoring portion comprises the second of the two materials.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를 안내하기에 최적인 재료가 전이 부분에 대해 선택될 수 있고,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의 특히 안정적인 앵커링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가 앵커링 부분에 대해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는 특히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이 부분은 변형될 때에도 칫솔모 홀더를 안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f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because the material that is optimal for guiding the bristle holder can thereby be selected for the transition portion, and a material that enables particularly stable anchoring of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selected for the anchoring portion. It can be advantageously configured. Thus, for example, as already described above, the transition portion can be constructed of an elastic material to guide and support the bristle holder even when deformed.

전이 부분이 가능하게는 치아 청소 중에 치아 및/또는 잇몸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전이 부분은 더 연성인 재료로 구성되어, 치아 또는 잇몸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앵커링 부분에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앵커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앵커링 부분에 대해서는 강성 또는 경질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Since the transition portion may possibly contact the teeth and / or gums during tooth cleaning, the transition portion may consist of a softer material, reducing the risk of damage to the teeth or gums. On the other hand, a rigid or rigid material may be selected for the anchoring portion in order to stably and securely anchor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to the anchoring portion.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또한 제 1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샤프트를 손잡이 부분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부분, 예를 들어 연결 부분은 제 2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can also be made of a first material, and a third portion for connecting the shaft to the handle portion, for example a connection portion, can be made of a second material.

제 2 재료는 유리하게는 제 1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다.The second material advantageously has a greater bending stiffness than the first material.

예를 들어 앵커링 부분이 전이 부분의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 재료를 갖는 경우,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강성 재료에 의해 앵커링 부분에 특히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앵커링될 수 있고, 한편 덜 강성인 전이 부분에 의해 칫솔모 홀더의 특히 양호한 안내 및 지지가 달성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전이 부분은 칫솔모 홀더와 함께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if the anchoring portion has a material having a greater bending stiffness than the material of the transition portion,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anchored particularly stably and firmly to the anchoring portion by the rigid material, while the transition is less rigid Particularly good guidance and support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achieved by the part, since the transition part can be slightly elastically deformed with the bristle holder.

따라서,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의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Thus, the anchoring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a material having a greater bending stiffness than the material of the transition portion.

대안적으로, 2 개의 상이한 재료는 또한 동일한 굽힘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two different materials may also have the same bending stiffness.

제 1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다. 제 2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다. 플라스틱은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전이 부분 및/또는 앵커링 부분의 제조에 매우 적합하다. 이를 통해,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이 비용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is preferably plastic. The second material is preferably plastic. Plastics are readily available and are very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transition and / or anchoring parts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Through this,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can be produced in mass production cost-effectively.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또한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금속과 같은 다른 생체 적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ition portion and anchoring portion can also be made of other biocompatible materials, for example ceramic or metal.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칫솔모 홀더의 영역이 개구 내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는 전이부의 영역에서 전이 부분에 의해 사방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전이 부분을 통해 칫솔모 홀더의 최적의 안내 및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보어로서 설계되고, 원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는 또한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The transition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an opening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to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wherein an area of the bristle holder is located within the opening. Through this, the bristle holder is surrounded in all directions by the transition portion in the region of the transition portion. Thus, optimal guidance and support of the bristle holder is possible through the transition portion. The opening is preferably designed as a bore and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In other embodiments, the opening may also have a rectangular, triang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이 칫솔모 홀더의 일 측면 상에만 배치되고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Alternativel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transition part is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bristle holder and does not include an opening.

개구는 유리하게는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에 모따기부를 갖는다. 이는 개구가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을 향해 점차 확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개구에 위치한 칫솔모 홀더는 개구 내에서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움직이고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균일한 굽힘 응력이 달성되고, 그에 따라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에서의 개구의 출구에서 그렇지 않다면 존재하는 칫솔모 홀더의 굽힘 및 파손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모따기부는 바람직하게는 개구의 종 방향 축과 모따기부의 표면 사이에서 측정된 30° 미만의 각도를 갖는다. 이를 통해, 특히 칫솔모 홀더의 양호한 안내 및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The opening advantageously has a chamfer on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This means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gradually expands towards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Through this, the bristle holder located in the opening can move and bend more and mor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within the opening. Thus, a uniform bending stress is achieved, so that the risk of bending and breaking of the bristle holders that are otherwise present at the exit of the opening at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can be reduced. The chamfer preferably has an angle of less than 30 ° measured betwee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opening and the surface of the chamfer. This enables good guidance and support of the bristle holder in particular.

개구가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에서 개구의 둘레에 원주 방향 모따기부를 갖는다. 개구가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경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에서 개구의 각 모서리에 모따기부를 갖는다.When the opening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opening preferably has a circumferential chamfer around the opening at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If the opening has a rectangular, triang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the opening preferably has a chamfer at each edge of the opening at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이 모따기부를 갖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Alternativel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transition portion does not have a chamfer.

개구의 내부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개구 내에 위치되는 칫솔모 홀더의 영역의 외부 치수보다 크므로, 칫솔모 홀더는 개구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치수는 칫솔모 홀더의 단면과 관련이 있다. 이는 칫솔모 홀더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 경우, 외부 치수는 칫솔모 홀더의 외부 직경에 대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치수는 개구의 2 개의 내벽 사이의 최소 거리에 대응한다. 개구가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내부 치수는 개구의 내부 직경에 대응한다.Since the internal dimension of the opening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area of the bristle holder located within the opening, the bristle holder is movable within the opening. In this case, the external dimensions relate to the cross section of the bristle holder. This means that when the bristle holder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the external dimensions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ristle holder. The inner dimension corresponds to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two inner walls of the opening. If the opening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inner dimension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개구의 내부 치수가 칫솔모 홀더의 외부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칫솔모 홀더는 개구 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는 칫솔모 홀더가 약간의 유격으로 전이 부분의 개구 내에서 안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의 좌굴 및 파손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Since the inner dimension of the opening is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bristle holder, the bristle holder is movable within the opening and can be easily deformed. This means that the bristle holder is guided within the opening of the transition portion with slight play. Through this, the risk of buckling and breakage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reduced.

대안적으로, 칫솔모 홀더는 유격 없이 전이 부분의 개구 내에서 안내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ristle holder can be guided within the opening of the transition portion without play.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이 하나의 부재로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샤프트는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a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This means that the transition part and the anchoring part, which can preferably be manufactured individuall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ngle member. Through this, the shaft can be configured compactly. Since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preferably by injection molding,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대안적으로,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은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되는 2 개의 개별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are also not formed integrally and may consist of two separate portions, for example loosely coupled by a bristle holder.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치간 브러시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잠금 요소에 의해, 샤프트는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손잡이 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치간 브러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샤프트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2 개의 아암을 갖는 크로스 부재 형태로 설계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과 치간 브러시의 베이어닛 결합에 의해, 간단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anchoring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locking element for removably securing the interdental brush to the handle portion. By means of the locking element, the shaft can be fixed to the handle portion in a simple and reliable manner. This facilitates handling of the interdental brush. The locking element is preferably designed in the form of a cross member with two arm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Through this, simple locking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combining the handle portion with the bayonet of the interdental brush.

대안적으로, 앵커링 부분이 잠금 요소를 갖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샤프트는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의 개구 내로 간단히 삽입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anchoring portion does not have a locking element. In this case, the shaft can be simply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handle portion, for example.

칫솔모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트위스팅된 와이어로 제조된다. 이를 통해, 칫솔모는, 트위스팅된 와이어의 턴들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칫솔모 홀더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칫솔모 홀더를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bristle holder is preferably made of twisted wire. Through this, the bristles can be held firmly and securely in the bristle holder by being clamped between turns of the twisted wir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ristle holder simply and cost effectively.

대안적으로, 칫솔모 홀더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바아(bar)로 제조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ristle holder can be made of, for example, a plastic bar.

칫솔모 홀더는 유리하게는 제 1 단부에서 아치형 형상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칫솔모 홀더는 샤프트에 특히 확실하게 앵커링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칫솔모 홀더는 칫솔모 홀더의 축 방향으로 앵커링 부분으로부터 간단하게 찢어져 나올 수 없고, 또는 칫솔모 홀더는 원하지 않게 앵커링 부분 내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치형 형상부는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으로 설계되고, 제 1 단부의 최후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다시 직선형으로 설계되므로, 이러한 형상부는 칫솔모 홀더의 함몰부 또는 벌지의 유형으로 설계된다.The bristle holder advantageously comprises an arcuate shape at the first end. With this, the bristle holder can be anchored particularly reliably to the shaft, because the bristle holder cannot simply tear off the anchoring 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istle holder, or the bristle holder is undesirably centered around its axis within the anchoring part. Because it can rotate. Since the arcuate features are preferably design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rearmost region of the first end is preferably designed again in a straight line, such features are designed in the form of depressions or bulges of the bristle holder.

칫솔모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칫솔모와 제 1 단부 사이에 칫솔모가 없는 섹션을 가지므로, 칫솔모와 전이 부분 사이에 거리가 존재한다.The bristle holder preferably has a bristle-free section between the bristle and the first end, so that there is a distance between the bristle and the transition portion.

칫솔모가 없는 섹션에서 칫솔모 홀더는 특히 양호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섹션에는 칫솔모 홀더가 움직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칫솔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사용 중에 요구되는 칫솔모 홀더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The bristle holder can be particularly well elastically deformed in a section without bristles, since there is no bristle in this section that can prevent the bristle holder from moving. Through this, elastic deformation of the bristle holder required during use is possible.

대안적으로, 칫솔모 홀더가, 샤프트에 앵커링되지 않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칫솔모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칫솔모가 없는 섹션을 갖지 않게 되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Alternativel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bristle holder can have a bristle along its entire length that is not anchored to the shaft and thus not have a bristle-free section.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assortment)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의 각각은 샤프트 상에서 개별 특징부를 포함한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ssembly having at least two interdental brushes as described above,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two interdental brushes comprises individual features on the shaft.

이러한 특징부를 통해, 하나의 치간 브러시는 다른 치간 브러시와 구별될 수 있다. "조합 물품"이라는 용어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치간 브러시는 예를 들어 다음 특성들이 상이할 수 있다:Through these features, one interdental brush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interdental brush. The term "combined article" is understood to mean at least two interdental brushes with different properties. The interdental brush can have different properties, for example:

· 칫솔모의 길이,· The length of the brush head,

· 칫솔모의 두께,· The thickness of the brush head,

· 칫솔모의 탄성,· Elasticity of the bristles,

· 칫솔모의 형상,· The shape of the brush head,

· 칫솔모 홀더의 탄성, 또는· The elasticity of the bristle holder, or

· 예를 들어 클릭 플라스틱 홀더, 알루미늄 홀더 또는 앵글 피스와 같은 특정 손잡이 부분에 대한 사용 가능성.· Possibility to use for certain handle parts, for example click plastic holder, aluminum holder or angle piece.

개별 특징부를 통해, 조합 물품 내의 치간 브러시는 사용자에게 양호하게 명확하게 특징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복수의 치간 브러시의 취급을 단순화시킨다.Through the individual features, the interdental brush in the combination article can be clearly and clearly characterized to the user. This simplifies the handling of multiple interdental brushes with different properties.

개별 특징부는 예를 들어 샤프트의 형상, 샤프트의 부분의 표면 구조, 칫솔모의 외부 윤곽, 칫솔모의 색상 또는 샤프트의 부분의 색상, 샤프트의 2 개의 부분에 대한 재료 선택 또는 샤프트의 2 개의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샤프트는 치간 브러시를 특징짓기 위해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Individual features are,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shaft,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part of the shaft, the outer contour of the bristle, the color of the bristles or the color of the part of the shaft, the material selection for the two parts of the shaft or the two parts of the shaft to each other It can be formed by a method. Thus, for example, the shaft may have a rectangular, triangular or circular cross section to characterize the interdental brush.

샤프트의 2 개의 부분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인코딩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간단한 개별적인 특징부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샤프트의 제 2 부분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제 1 부분은 예를 들어 샤프트의 제 2 부분과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인코딩은 예를 들어 레이저 조각, 탐폰 인쇄, 엠보싱 또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또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샤프트의 제 1 부분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샤프트의 제 2 부분은 둥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분당 몇 개의 요소를 사용하면, 두 부분 인코딩을 조합함으로써 더 다양한 정보가 인코딩될 수 있다.Each of the two parts of the shaft preferably forms an encoding. This enables simple individual features. For example, the first part may have a different color than the second part of the shaft, or the first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econd part of the shaft, for example. In addition, encoding may also be achieved using laser engraving, tampon printing, embossing or insert plates, for example. Further, 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of the shaft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shaft may have a round cross section. In addition, using several elements per part, more diverse information can be encoded by combining two part encodings.

대안적으로, 샤프트의 개별 부분이 인코딩을 갖지 않고 이에 따라 서로 구별되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Alternativel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individual parts of the shaft have no encoding and thus are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terdental brush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칫솔모 홀더 및 이러한 칫솔모 홀더에 고정된 칫솔모를 포함하는 브러시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a brush portion comprising a bristle holder and a bristle fixed to said bristle holder;

b) 전이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 전이 부분은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함 - ;b) providing a transition portion, the transition portion comprising an opening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to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c) 제 1 단부의 영역이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에서 돌출될 때까지, 전이 부분의 제 1 측면으로부터 개구를 통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c) inserting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until the region of the first end projects from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d)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에 앵커링 부분을 부착하여,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의 돌출된 영역은 앵커링 부분에 앵커링되고, 앵커링 부분은 전이 부분 상에 고정되는 단계.d) attaching the anchoring portion to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so that the protruding area of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is anchored to the anchoring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is fixed on the transiti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치간 브러시는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앵커링 부분은 예를 들어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 상에의 초음파 용접, 진동 용접, 오비탈 용접, 거울 용접에 의해 또는 접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앵커링 부분이 사출 성형에 의한 스프레잉에 의해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에 부착되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Wit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interdental brush can be produced efficiently. The anchoring portion can be provided, for example, by ultrasonic welding, vibration welding, orbital welding, mirror welding or by adhesion on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anchor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by spraying by injection molding.

앵커링 부분을 전이 부분에 용접하거나, 두 부분을 접착하거나, 또는 앵커링 부분을 전이 부분 상에 스프레잉함으로써, 앵커링 부분과 전이 부분은 서로 견고하고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전이 부분 및 앵커링 부분을 포함하는 샤프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샤프트의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By welding the anchoring portion to the transition portion, gluing the two portions, or spraying the anchoring portion on the transition portion, the anchoring portion and the transition portion are firmly and insepa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 shaft including the transition portion and the anchor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Through this, a compact configuration of the shaft is possible.

앵커링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전이 부분의 제 2 측면 상에 스프레이 성형된다. 사출 성형을 위한 플라스틱은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상이한 특성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는 요구 사항에 대해 최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앵커링 부분을 스프레이 성형함으로써, 칫솔모 홀더는 그 제 1 단부가 앵커링 부분에 확실하게 유지된다.The anchoring portion is preferably spray molded on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Plastics for injection molding are readily available and available in different properties. With this, the shaft of the interdental brush can be optimally tailored to the requirements. In addition, by spray molding the anchoring portion, the bristle holder has its first end securely held in the anchor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개구를 통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후에, 제 1 단부는 변형된다.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아치형으로 변형된다. 그러나, 제 1 단부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직사각형 굽힘, 지그재그 형상 또는 만곡에 의해 변형될 수도 있다. 변형에 의해,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앵커링 부분에 특히 양호하게 앵커링될 수 있으므로, 칫솔모 홀더는 앵커링 부분으로부터 찢어져 나오지 않고 또는 칫솔모 홀더는 앵커링 부분에서 그 종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Preferably, after the step of inserting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through the opening, the first end is deformed.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is preferably deformed arcuately. However, the first end can also be deformed in other ways, for example by a rectangular bend, zigzag shape, or curvature. By deformation,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particularly well anchored to the anchoring portion, so that the bristle holder does not tear out from the anchoring portion or the bristle holder can rotat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in the anchoring portion.

칫솔모 홀더가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칫솔모 홀더의 제 1 단부는 와이어를 구부림으로써 용이하게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ristle holder is made of a wire structure, the first end of the bristle holder can be easily formed into an arcuate shape by bending the wire.

대안적으로, 제 1 단부가 변형되지 않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Alternativel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end does not deform.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전체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 및 특징의 조합이 얻어진다.From the following full description and claims, a combination of other advantageous embodi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단면도는 치간 브러시의 종 방향 축을 통해 연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치간 브러시의 전이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전이 부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전이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전이 부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의 샤프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치간 브러시의 조합 물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치간 브러시의 조합 물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치간 브러시의 조합 물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원칙적으로,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The drawings used to describe the exemplary embodiment are as follows.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dental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ross-section extends throug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nterdental brush.
2 shows a schematic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dental brush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shows a side view of the transitional part of the interdental brush.
FIG. 4 shows a front view of the transition portion of FIG. 3.
5 show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ition portion.
FIG. 6 shows a front view of the transition portion of FIG. 5.
7 show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of an interdental brush.
8 shows a top view of the shaft of FIG. 5.
9 shows a schematic view of a combination article of interdental brushes.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mbination article of interdental brushes.
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mbination article of interdental brushes.
In princip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provided to the same par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면도는 여기서 치간 브러시(1)의 종 방향 축을 통해 연장된다. 치간 브러시(1)는 브러시 부분(2) 및 샤프트(3)를 포함한다. 브러시 부분(2)은 치아 사이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칫솔모 영역(6)을 포함한다. 샤프트(3)는 브러시 부분(2)과 여기서 도시되지 않는 손잡이 부분 사이의 연결부를 나타낸다.1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dental brush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ross section here extends throug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nterdental brush 1. The interdental brush 1 comprises a brush portion 2 and a shaft 3. The brush part 2 comprises a bristle area 6 for cleaning the space between the teeth. The shaft 3 represen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brush portion 2 and the handle portion not shown here.

브러시 부분(2)은 트위스팅된 와이어로 이루어진 칫솔모 홀더(4) 및 트위스팅된 와이어 사이에 유지되는 미세 칫솔모(5)를 포함한다.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가 없는 제 1 단부(7)의 영역에서, 칫솔모 홀더(4)는 칫솔모(5)를 포함하지 않는다. 치아 사이 공간을 청소하는 역할을 하는 칫솔모 영역(6)은 제 2 단부의 영역에 배치된다. 치간 브러시(1)의 샤프트(3)는 전이 부분(8) 및 앵커링 부분(9)에 의해 형성된다. 전이 부분(8)은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전이 부분(8)의 제 2 측면으로 연속 개구(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은 칫솔모 영역(8)과 대면하고, 전이 부분(8)의 제 2 측면은 앵커링 부분(9)에 연결된다.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7)는 전이 부분(8)의 이러한 개구(10)를 통과하여, 앵커링 부분(9)에 앵커링된다. 이는, 전이 부분(8)이 칫솔모 영역(6)과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7)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앵커링 부분(9)은 샤프트(3)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를 형성하여 이에 따라 치간 브러시(1)의 폐쇄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유 단부에서, 앵커링 부분(9)은 치간 브러시(1)를 손잡이 부분에 잠금시키기 위해, 2 개의 아암(12.1, 12.2)을 갖는 크로스 부재(11) 형태의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파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손잡이 부분에 의해 치간 브러시(1)를 치아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다.The brush part 2 comprises a bristle holder 4 made of twisted wire and a fine bristle 5 held between the twisted wire. In the area of the bristles first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the bristle holder 4 does not include the bristles 5. The bristle area 6, which serves to clean the space between the teeth, is arranged in the area of the second end. The shaft 3 of the interdental brush 1 is formed by the transition portion 8 and the anchoring portion 9. The transition portion 8 comprises a continuous opening 10 from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to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Here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art 8 faces the bristle area 8, and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art 8 is connected to the anchoring part 9. The bristle-free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passes through this opening 10 of the transition portion 8 and is anchored to the anchoring portion 9. This means that the transition portion 8 is disposed between the bristle area 6 and the bristle-free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while the anchoring portion 9 forms the bristle-free end of the shaft 3 Thus, it means that the closed part of the interdental brush 1 is formed accordingly. At this free end, the anchoring portion 9 comprises a locking element in the form of a cross member 11 with two arms 12.1 and 12.2, to lock the interdental brush 1 to the handle portion. Since the handle portion not shown here can be gripped by the user by hand, the user can accurately position and move the interdental brush 1 between the teeth by the handle portion.

크로스 부재(18)는 앵커링 부분(9)에서 샤프트(3)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 위치되는데, 즉 모따기부(14)를 갖는 개구(10)의 입구가 존재하는 곳과 다른 샤프트의 단부에 위치된다. 크로스 부재(11)의 아암(12.1, 12.2)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샤프트(3)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샤프트(3)로부터 돌출된다. 아암(12.1, 12.2)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손잡이 부분은 상부로 개방된 2 개의 홈을 가지며, 여기서 각각의 홈은 크로스 부재(11)의 하나의 아암(12.1, 12.2)을 수용할 수 있다.The cross member 18 i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free end of the shaft 3 in the anchoring part 9, ie at the end of the shaft different from where the entrance of the opening 10 with the chamfer 14 is present do. The arms 12.1 and 12.2 of the cross member 11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protrude from the shaft 3 at a right angl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3. The arms 12.1 and 12.2 have a substantially square cross section. The handle portion has two grooves open upwards, where each groove can receive one arm 12.1, 12.2 of the cross member 11.

치간 브러시(1)를 손잡이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해, 아암(12.1, 12.2)은 손잡이 부분의 홈에 배치되고, 그 후 치간 브러시(1)는 그 종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를 통해, 아암(12.1, 12.2)은 홈 내로 더 삽입되어, 치간 브러시(1)는 더 이상 그 종 방향 축의 방향으로 손잡이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치간 브러시(1)는 그의 크로스 부재(11)에 의해 베이어닛 결합 방식으로 손잡이 부분과 잠금될 수 있다.To fix the interdental brush 1 to the handle portion, the arms 12.1 and 12.2 are placed in the groove of the handle portion, after which the interdental brush 1 is rotated about its longitudinal axis. Through this, the arms 12.1 and 12.2 are further inser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interdental brush 1 can no longer be moved away from the handl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its longitudinal axis. Thus, the interdental brush 1 can be locked with the handle portion in a bayonet engagement manner by its cross member 1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200)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치간 브러시(200)는 앵커링 부분(209)의 자유 단부에 원주 방향 홈(215)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치간 브러시(200)의 이러한 실시예는 치간 브러시(200)가 손잡이 부분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치간 브러시(200)가 손잡이 부분으로 삽입될 때 홈(2158) 내로 맞물리는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부분을 필요로 한다.2 show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dental brush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 the interdental brush 200 includes a circumferential groove 215 at the free end of the anchoring portion 209. Through this, this embodiment of the interdental brush 200 is such that one protrusion that engages into the groove 2158 when the interdental brush 20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so that the interdental brush 200 is retained in the handle portion Requires the included handle part.

이하에서는 치간 브러시(1)의 개별 요소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In the following,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interdental brush 1 ar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칫솔모(5)는 트위스팅된 와이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 영역(6)에 배치되므로, 갭 없이 칫솔모(5)는 트위스팅된 와이어 또는 칫솔모 홀더(4)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칫솔모(5)는 칫솔모 홀더(4)의 종 방향 축에 대해 60° 내지 80°의 각도로 트위스팅된 와이어로부터 돌출된다. 칫솔모 홀더의 칫솔모 영역(6)과 칫솔모가 없는 단부(7) 사이에서, 칫솔모 홀더(4)는 칫솔모가 없는 영역(13)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칫솔모(5)와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 사이에 거리가 존재한다.As can be seen in FIG. 1, the bristles 5 are placed in the bristle area 6 of the bristle holder 4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wisted wire, so that the bristles 5 are twisted wires or without gaps. It protrudes in all directions from the bristle holder 4. The bristle 5 here protrudes from the twisted wire at an angle of 60 ° to 80 °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ristle holder 4. Between the bristle area 6 and the bristle end 7 of the bristle holder, the bristle holder 4 comprises a bristle free area 13. Thereby, a distance exists between the bristles 5 and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art 8.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3)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이 부분(8) 및 앵커링 부분(9)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앵커링 부분(9) 및 전이 부분(8)은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이들은 또한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다. 전이 부분(8)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앵커링 부분(9)은 전이 부분과 비교하여 연성 플라스틱보다 굽힘 강성이 더 큰 경질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앵커링 부분(9)은 전이 부분(8) 상으로 스프레이 성형되어, 전이 부분(8) 및 앵커링 부분(9)은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As can be seen in FIG. 2, the shaft 3 is shown to be formed by the transition part 8 and the anchoring part 9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Here, the anchoring portion 9 and the transition portion 8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ey also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The transition portion 8 is made of soft plastic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and the anchoring portion 9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of a hard plastic having a greater bending stiffness than the soft plastic compared to the transition portion. Here, the anchoring portion 9 is spray molded onto the transition portion 8, so that the transition portion 8 and the anchoring portion 9 are integrally formed by being irre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칫솔모 홀더(4)의 칫솔모가 없는 단부(7)는 여기서 앵커링 부분(9)에서 주조된다. 칫솔모 홀더(4)가 앵커링 부분(9)으로부터 찢어져 나올 수 없도록, 칫솔모 홀더(4)의 주조된 칫솔모가 없는 단부(7)는 반원형 형상부(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부를 통해, 칫솔모가 없는 단부(7)가 칫솔모 홀더(4)의 종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고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도록 보장된다.The bristle-free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is here cast in the anchoring part 9. The casted bristle-free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includes a semicircular shape 20 so that the bristle holder 4 cannot tear off the anchoring portion 9. Through this feature, it is ensured that the brushless end 7 cannot rotat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ristle holder 4 and cannot be dis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앵커링 부분(9)은 2 개의 서로 대향하는 날개부(19.1, 19.2)를 가지며, 이들은 칫솔모(5)의 방향으로 샤프트(3)의 종 방향으로 앵커링 부분(9)으로부터 돌출된다. 날개부(19.1, 19.2)는 반원형 형상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날개부(19.1, 19.2)는 그러나 또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도 5 및 도 6에 표시된 것과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이 부분(8)은 반대 형상을 갖고 하나의 날개부(19.1, 19.2)가 각각 수용되는 2 개의 절개부를 포함하여, 샤프트(3)의 외부 윤곽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원통형 형상을 유지한다. 앵커링 부분(9)의 날개부(19.1, 19.2)를 통해, 앵커링 부분(9)과 전이 부분(8)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이를 통해, 앵커링 부분(9)은, 전이 부분(8) 상에 스프레이 성형될 때, 앵커링 부분(9)에 특히 양호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증가된 접촉 면적은 앵커링 부분(9)이 초음파, 진동, 오비탈 또는 거울 용접에 의해 또는 접착에 의해 전이 부분(8)에 연결되는 실시예에서 유리하다.The anchoring portion 9 has two opposing wing portions 19.1, 19.2, which protrude from the anchoring portion 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3 in the direction of the bristles 5. The wing portions 19.1 and 19.2 have a semicircular shape. In other embodiments, the wings 19.1, 19.2 may, however, also have other shapes. For example, they can be formed into triangle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transition portion 8 has opposite shapes and includes two incisions in which one wing portions 19.1 and 19.2 are respectively received, so that the outer contour of the shaft 3 maintains a cylindrical shape over its entire length. Through the wing portions 19.1 and 19.2 of the anchoring portion 9,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nchoring portion 9 and the transition portion 8 is increased. Thereby, the anchoring part 9 can be particularly advantageously connected to the anchoring part 9 when spray-molded on the transition part 8. The increased contact area is advantageous in embodiments in which the anchoring portion 9 is connected to the transition portion 8 by ultrasonic, vibration, orbital or mirror welding or by adhesion.

앵커링 부분(9)은 여기서 착색된 플라스틱(예를 들어 보라색)으로 제조되고, 전이 부분(8)은 다르게 착색된 플라스틱(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제조된다. 이를 통해, 칫솔모의 탄성 및 칫솔모의 길이가 사용자에 의해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게 하는 인코딩이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인코딩은 또한 레이저 조각, 탐폰 인쇄, 엠보싱 또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anchoring part 9 is here made of colored plastic (eg purple) and the transition part 8 is made of differently colored plastic (eg black). Through this, encoding that enables elasticity of the bristles and length of the bristles to be clearly recognized by the user is available.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encoding may also be accomplished using laser engraving, tampon printing, embossing, or insert plates.

도 3 및 도 4에서, 전이 부분(8)은 브러시 부분(2) 없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전이 부분(8)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4에는 전이 부분(8)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전이 부분(8)이 도 3과 비교하여 종 방향 축을 중심으로 90° 회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앵커링 부분(9)의 날개부(19.1, 19.2)가 수용되는 절개부(18.1, 18.2)가 도시되어 있다.In Figures 3 and 4, the transition part 8 is shown without the brush part 2. 3 shows the transition part 8 in a side view. 4 the transition part 8 is shown in front view. This means that the transition portion 8 is shown rotated 90 ° about the longitudinal axis compared to FIG. 3. 3 and 4, there are shown cutouts 18.1, 18.2 in which the wing portions 19.1, 19.2 of the anchoring portion 9 are received.

도 3 및 도 4에는 또한 전이 부분(8)에서 개구(1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구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개구(10)의 내경은 여기서 칫솔모 홀더(4)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므로, 칫솔모 홀더는 개구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전이 부분(8)에서, 개구(10)는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에 모따기부(14)를 포함한다. 모따기부(14)는 여기서 개구(10)의 입구를 향해 또는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을 향해 더 커진다. 이를 통해, 모따기부(1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쌍곡선 형상을 갖는다.3 and 4 also show that the opening 10 in the transition part 8 is continuously formed. The opening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1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ristle holder 4 here, the bristle holder can move within the opening. In the transition portion 8, the opening 10 includes a chamfer 14 on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The chamfer 14 here becomes larger towards the inlet of the opening 10 or towards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art 8. Through this, the chamfer 14 has a hyperbolic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이러한 모따기부(14)를 통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칫솔모 홀더(4)는 개구(10) 내에서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 상의 개구(10)의 입구를 향해 움직이고 구부러진다. 이를 통해, 앵커링 부분(9)에서 움직일 수 없게 그리고 견고하게 주조된 칫솔모 홀더(4)의 제 1 단부(7)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칫솔모 영역(6)으로의 연속적인 전이부가 생성된다.Through this chamfer 14, the bristle holder 4 not shown in FIGS. 3 and 4 is moved and bent toward the entrance of the opening 10 on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within the opening 10. All. This creates a continuous transition from the first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which is immovably and rigidly cast in the anchoring portion 9 to the bristle area 6.

도 5 및 도 6은 브러시 부분(2)이 없는 전이 부분(108)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전이 부분(8)과 대조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삼각형 절개부(118.1, 118.2)를 포함하며, 이러한 삼각형 절개부에는 앵커링 부분(9)의 대응하게 삼각형으로 형성된 날개부(19.1, 19.2)가 수용될 수 있다.5 and 6 show a further embodiment of the transition portion 108 without the brush portion 2. In contrast to the transition portion 8 of FIGS. 3 and 4,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and 6 includes triangular incisions 1118.11 and 118.2, which correspond to the anchoring portion 9. Wings (19.1, 19.2)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can be accommodated.

도 7 및 도 8에는 브러시 부분(2)이 없는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303)의 추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은 샤프트(303)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샤프트(303)의 상부 영역은 여기서 단면도로 도시되며, 여기서 이 영역에서의 섹션은 샤프트(303)의 종 방향 축을 통해 연장된다. 이를 통해, 샤프트(303) 내의 개구(310)가 더 잘 보일 수 있다. 또한, 공간 때문에 샤프트(303)는 그 전체 길이가 도시되지는 않았다. 도 8은 도 7의 샤프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7 and 8 further embodiments of the shaft 303 of the interdental brush without the brush portion 2 are shown. Here, FIG. 7 shows the shaft 303 in a side view. The upper region of the shaft 303 is shown here in cross-section, where the section in this region extends throug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303. Through this, the opening 310 in the shaft 303 can be better seen. Also, due to space, the entire length of the shaft 303 is not shown. FIG. 8 shows a top view of the shaft of FIG. 7.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샤프트(303)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다. 이것은 제조의 측면에서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7 및 도 8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실시예에서, 제조 시에 앵커링 부분(309)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후에 스프레이 성형되지 않고, 전이 부분(308)과 함께 이전에 개별적으로 제조되었다. 그 후, 칫솔모 홀더(4)는 그 칫솔모가 없는 단부(7)가 샤프트(303) 내의 개구(310) 내로 삽입되고, 샤프트(303)에 접착된다. 그러나, 명확성을 위해, 도 7 및 도 8에서는 칫솔모 홀더(4) 없이 샤프트(303)만이 도시되어 있다.The shaft 303 shown in FIGS. 7 and 8 is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dental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ffers from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 and 2 in terms of manufacturing. In the embodiment of the interdental brush according to Figs. 7 and 8, the anchoring portion 309 at the time of manufacture was not spray-formed afterwards as described above, but was previously individually produced with the transition portion 308. Thereafter, the bristle holder 4 has its brushless end 7 inserted into the opening 310 in the shaft 303 and adhered to the shaft 303. However, for clarity, only shaft 303 is shown in FIG. 7 and FIG. 8 without bristle holder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3) 내의 개구(310)는 전이 부분(308)을 통해 이어지고, 앵커링 부분(309)에서 종료된다. 여기서 개구(310)는 3 개의 내벽(313.1, 313.2, 313.3)에 의해 형성되고,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여기서 삼각형 단면의 모든 측면은 동일한 길이이다. 개구(310)의 이러한 형상은 도 8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310)는 연속적이지 않고, 샤프트(303)의 중심에서 대략 종 방향으로 폐쇄부를 가지며, 이 폐쇄부는 샤프트(303)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는 폐쇄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310)의 단부 영역(311)에서, 이는 또한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이는 내벽(313.1, 313.2, 313.3)이 이러한 단부 영역(311)에서 서로에 대해 테이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5, the opening 310 in the shaft 303 runs through the transition portion 308 and ends at the anchoring portion 309. Here the opening 310 is formed by three inner walls 313.1, 313.2, 313.3,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where all sides of the triangular cross section are the same length. This shape of the opening 310 can be clearly seen in FIG. 8. As can be appreciated, the opening 310 is not continuous, and has a closed portion approximat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303, the closed portion being aligned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303 It is formed by. In the end region 311 of the opening 310, it also includes a tapered portion. This means that the inner walls (313.1, 313.2, 313.3) taper to each other in this end region (311).

전이 부분(308)에서, 개구(310)는 칫솔모 부분을 향하는 전이 부분(308)의 제 1 측면에 모따기부(314)를 포함한다. 모따기부(314)는 여기서 제 1 모따기부 표면(315.1, 315.2, 315.3)을 포함하며, 이는 통상적인 원형 및 원추형 모따기부 커터에 의해 모따기함으로써 생성된다. 모따기부(314)는 3 개의 내벽(313.1, 313.2, 313.3)을 모따기함으로써 생성된 제 2 모따기부 표면(316.1, 316.2 316.3)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3 개의 내벽(313.1, 313.2, 313.3)이 각각 전이 부분(308)의 제 1 측면의 방향으로 제 2 모따기 표면(316.1, 316.2, 316.3) 중 하나로 전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모따기부 표면(315.1, 315.2, 315.3)은 여기서 샤프트(303)의 종 방향 축에 대해 20° 내지 30°의 각도를 가지며, 제 2 모따기부 표면(316.1, 316.2, 316.3)은 샤프트(303)의 종 방향 축에 대해 30° 미만의 각도로 정렬된다.In the transition portion 308, the opening 310 includes a chamfer 314 on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308 facing the bristle portion. The chamfer 314 here includes the first chamfer surfaces 315.1, 315.2, 315.3, which are created by chamfering by conventional circular and conical chamfer cutters. The chamfer 314 further includes second chamfered surfaces 316.1, 316.2 316.3 created by chamfering the three inner walls 313.1, 313.2, 313.3. This means that the three inner walls (313.1, 313.2, 313.3) transition to one of the second chamfered surfaces (316.1, 316.2, 316.3)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308), respectively. The first chamfered surfaces 315.1, 315.2, 315.3 have an angle of 20 ° to 30 °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303, and the second chamfered surfaces 316.1, 316.2, 316.3 have a shaft 303 ) At an angle of less than 30 ° to the longitudinal axis.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앵커링 부분(309)은 그 자유 단부에서 약간 더 작은 외경을 갖는 단부 영역을 가지므로, 앵커링 부분(309)에 숄더(316)가 형성된다. 또한, 앵커링 부분(309)은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이 단부 영역에서 원주 방향 홈(319)을 포함한다. 또한, 이 단부 영역에서 앵커링 부분(309)은 앵커링 부분(309)의 종 방향으로 절단되어, 앵커링 부분(309)은 앵커링 부분(309)의 종 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표면(318)을 갖는다. 앵커링 부분(309)의 단부에서, 앵커링 부분(309)도 또한 모따기되어, 앵커링 부분(309)은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 부분 내의 개구 내로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303)가 삽입되는 손잡이 부분은 대응하는 카운터 형상을 가지므로, 샤프트(303)가 손잡이 부분에 연결될 때, 표면(318)은 손잡이 부분 내의 카운터 표면 상에 지지된다. 또한, 손잡이 부분은 샤프트(303)가 손잡이 부분에 삽입될 때, 샤프트(303)를 유지하기 위해, 앵커링 부분(309)의 홈(319)에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in FIG. 7, the anchoring portion 309 has an end region with a slightly smaller outer diameter at its free end, so a shoulder 316 is formed in the anchoring portion 309. In addition, the anchoring portion 309 includes a circumferential groove 319 in this end region with a smaller outer diameter. In addition, in this end region, the anchoring portion 309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choring portion 309, so that the anchoring portion 309 has a surface 318 align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nchoring portion 309. Have At the end of the anchoring portion 309, the anchoring portion 309 is also chamfered, so that the anchoring portion 309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opening in the handle portion not shown. The handle portion into which the shaft 303 is inserted has a corresponding counter shape, so when the shaft 303 is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the surface 318 is supported on the counter surface in the handle portion.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that engages the groove 319 of the anchoring portion 309 to retain the shaft 303 when the shaft 303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도 9에는 개략적으로 그리고 단순화된 형태로 치간 브러시(100.1-100.5)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이 도시되어 있다. 조합 물품은 예를 들어 5 개의 치간 브러시(100.1-100.5)를 포함하며, 이들 치간 브러시들은 각각은 상이한 경도 및 형상을 갖는 칫솔모를 포함한다. 치간 브러시(100.1-100.5)가 사용자에 의해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샤프트는 상이한 인코딩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전이 부분(108.1-108.5)은 각각 앵커링 부분(109.1-109.5)과 다르게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앵커링 부분(109.1-109.5)의 색상은 바람직하게는 칫솔모의 탄성을 나타내고, 전이 부분(108.1-108.5)의 색상은 바람직하게는 칫솔모의 형상 또는 길이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코딩은 또한 샤프트의 형상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각각의 앵커링 부분(109.1-109.5) 또는 각각의 전이 부분(108.1-108.5)은 상이한 단면,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을 가질 수 있다. 앵커링 부분(109.1 내지 109.5) 및 전이 부분(108.1 내지 108.5)의 단면의 특정 조합에 의해, 마찬가지로 치간 브러시(100.1 내지 100.5)의 개별 특징화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9 shows a combination article with an interdental brush 100.1-100.5 in a schematic and simplified form. The combination article comprises, for example, five interdental brushes (100.1-100.5), each of these interdental brushes comprising bristles having different hardness and shape. In order for the interdental brush 100.1-100.5 to be distinguishable by the user, each shaft contains a different encoding.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ition portions 108.1-108.5 are colored differently from the anchoring portions 109.1-109.5, respectively. Here, the color of the anchoring portion (109.1-109.5) preferably represents the elasticity of the bristle, and the color of the transition portion (108.1-108.5) preferably represents the shape or length of the bristle. In other embodiments, encoding may also be based on the shape of the shaft. Thus, for example, each anchoring portion 109.1-109.5 or each transition portion 108.1-108.5 may have a different cross-section, for example rectangular, triangular or circular. By specific combinations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anchoring portions 109.1 to 109.5 and transition portions 108.1 to 108.5, individual characterization of the interdental brushes 100.1 to 100.5 may likewise be possible.

도 10은 치간 브러시(500.1-500.5)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조합 물품과 대조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치간 브러시(500.1-500.5)는 샤프트 내에 각각 홈을 포함하며, 이러한 홈에는, 치간 브러시(500.1-500.5)가 각각 손잡이 부분 내에 유지될 때, 손잡이 부분의 돌출부가 맞물린다.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mbination article having an interdental brush 500.1-500.5. In contrast to the combination article of FIG. 9, the interdental brush 500.1-500.5 shown in FIG. 10 includes grooves in the shaft, respectively, in which the interdental brush 500.1-500.5 is held in the handle portion, respectively. The protrusion of the handle part is engaged.

도 11에는 치간 브러시(600.1-600.6)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치간 브러시(600.1-600.6)는 구형, 평행 사변형 또는 삼각형 외부 윤곽을 갖는 칫솔모 헤드를 포함한다.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mbination article having an interdental brush 600.1-600.6. This interdental brush 600.1-600.6 includes a bristle head having a spherical, parallelogram or triangular outer contour.

도 9 내지 도 11의 배치는 여기서 도시된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또한 도 11의 치간 브러시(600.1-600.6) 또는 도 10의 치간 브러시(500.1-500.5)는 또한 치간 브러시(400.1-400.5)와 같이 손잡이 부분에 연결하기 위한 크로스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시된 모든 치간 브러시(400.1-400.5, 500.1-500.5 및 600.1-600.6)의 임의의 조합이 하나의 조합 물품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arrangement of Figures 9-11 is not limited to the combinations shown here. Thus, for example, the interdental brush 600.1-600.6 in FIG. 11 or the interdental brush 500.1-500.5 in FIG. 10 may also include a cross member for connection to the handle portion, such as the interdental brush 400.1-400.5. It might be. Moreover, any combination of all interdental brushes shown (400.1-400.5, 500.1-500.5 and 600.1-600.6) may be placed in one combination article.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치간 브러시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치간 브러시의 샤프트는 또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이 부분의 모따기부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이 부분 및/또는 앵커링 부분이 원통형 단면을 갖지 않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도 또한 존재한다. 또한, 치간 브러시는 반드시 잠금 요소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이를 포함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로서 또는 홈의 형태로 설계될 필요는 없다. 또한, 브러시 부분은 다르게 설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칫솔모 홀더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interdental brush described herein. Thus, for example, the shaft of an interdental brush can also have an opening with a rectang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Further, the chamfer of the transition portion may have a different shape.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transition portion and / or the anchoring portion does not have a cylindrical cross section, for example a rectang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interdental brush need not necessarily have a locking element, and if it comprises, it need not be designed as a cross member or in the form of a groove, as described above. Also, the brush portion may be designed differently. Thus, for example, the bristle holder can be made of plastic.

요약하면, 샤프트 내에 칫솔모 홀더를 개선된 방식으로 수용하고, 제조하기에 용이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가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In summary, it is found that an interdental brush can be created that accommodates the bristle holder in the shaft in an improved manner and includes a shaft that is easy to manufacture.

Claims (18)

브러시 부분(2) 및 치간 브러시를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3)를 포함하는 치간 브러시(1)로서, 상기 브러시 부분(2)은 칫솔모 홀더(4) 및 상기 칫솔모 홀더(4)에 고정된 칫솔모(5)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상기 칫솔모 홀더(4)가 상기 샤프트(3)에 앵커링되는(anchored) 제 1 단부(7)를 포함하는, 상기 치간 브러시(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는 2 개의 부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An interdental brush (1) comprising a brush part (2) and a shaft (3) for removably fixing an interdental brush to a handle part, said brush part (2) comprising a bristle holder (4) and said bristle holder (4) ) Comprises a bristle (5) fixed to the bristle, and the bristle holder (4) comprises a first end (7) to which the bristle holder (4) is anchored (anchored) to the shaft (3), the interdental brush In (1),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3 is made of two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는 2 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3 comprises two different material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는 전이 부분(8) 및 앵커링 부분(9)을 포함하고,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제 1 단부(7)는 상기 앵커링 부분(9)에 앵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haft 3 comprises a transition part 8 and an anchoring part 9, the interden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is anchored to the anchoring part 9. brus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칫솔모 영역(6)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 부분(8)은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앵커링된 제 1 단부(7)와 상기 칫솔모 영역(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of claim 3,
The bristle holder 4 includes a bristle area 6, and the transition portion 8 is disposed between the anchored first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and the bristle area 6.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부분(8)은 상기 2 개의 재료 중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 부분(9)은 상기 2 개의 재료 중 제 2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ition portion (8) comprises the first of the two materials, and the anchoring portion (9) comprises the second of the two material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재료는 상기 제 1 재료보다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aterial has a greater bending stiffness than the first material.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부분(8)은 상기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전이 부분(8)의 제 2 측면으로 연장되는 개구(10)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일 영역이 상기 개구(10)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The transition portion 8 comprises an opening 10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to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wherein one area of the bristle holder 4 is the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opening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는 상기 전이 부분(8)의 상기 제 1 측면 상에서 모따기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of claim 7,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10) comprises a chamfer (14) on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의 내부 치수는 상기 개구(10) 내에 위치되는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영역의 외부 치수보다 크므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상기 개구(10)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of claim 7 or 8,
Since the internal dimension of the opening 10 is larger than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area of the bristle holder 4 located within the opening 10, the bristle holder 4 is movable within the opening 10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부분(8) 및 상기 앵커링 부분(9)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9,
The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ition portion (8) and the anchoring portion (9) are integrally formed.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부분(9)은 상기 치간 브러시(1)를 상기 손잡이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잠금 요소(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0,
The anchoring portion 9 comprises a locking element 11 for separably fixing the interdental brush 1 to the handle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트위스팅된 와이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stle holder (4) is made of twisted wire.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상기 제 1 단부(7)에 아치형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Interdental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stle holder (4) comprises an arcuate shape at the first end (7).
제 3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홀더(4)는 상기 칫솔모(5)와 상기 제 1 단부(7) 사이에 칫솔모가 없는 섹션을 포함하여, 상기 칫솔모(5)와 상기 전이 부분(8) 사이에 거리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3,
The bristle holder 4 comprises a section without bristles between the bristle 5 and the first end 7,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a distance between the bristle 5 and the transition portion 8 Interdental brush.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1)를 구비하는 조합 물품(assortment)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치간 브러시(1)의 각각은 상기 샤프트(3) 상에서 개별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물품.
A combination article comprising at least two interdental brushes 1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at least two interdental brushes 1 comprises an individual feature on the shaft 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의 상기 2 개의 부분의 각각은 인코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물품.
The method of claim 15,
Combination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two parts of the shaft (3) forms an encoding.
치간 브러시(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칫솔모 홀더(4) 및 상기 칫솔모 홀더(4)에 고정된 칫솔모(5)를 포함하는 브러시 부분(2)을 제공하는 단계;
b) 제 1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전이 부분(8)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전이 부분(8)은 상기 전이 부분(8)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전이 부분(8)의 제 2 측면으로 연장되는 개구(10)를 포함함 - ;
c) 제 1 단부(7)의 일 영역이 상기 전이 부분(8)의 상기 제 2 측면에서 돌출될 때까지, 상기 전이 부분(8)의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상기 개구(10)를 통해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제 1 단부(7)를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전이 부분(8)의 상기 제 2 측면에 앵커링 부분(9)을 부착하여,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제 1 단부(7)의 상기 돌출된 영역은 상기 앵커링 부분(9)에 앵커링되고, 상기 앵커링 부분(9)은 상기 전이 부분(8) 상에 고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terdental brush (1),
a) providing a brush portion 2 comprising a bristle holder 4 and a bristle 5 fixed to said bristle holder 4;
b) providing a transition portion 8 made of a first plastic, the transition portion 8 extending from a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to a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 10)-;
c) the bristles from the first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through the opening 10 until a region of the first end 7 protrudes from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Inserting the first end 7 of the holder 4;
d) By attaching an anchoring portion 9 to the second side of the transition portion 8, the projected area of the first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is attached to the anchoring portion 9 Being anchored, the anchoring part 9 being fixed on the transition part 8
How to includ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를 통해 상기 칫솔모 홀더(4)의 상기 제 1 단부(7)를 삽입하는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 1 단부(7)는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After the step of inserting the first end 7 of the bristle holder 4 through the opening 10, the first end 7 is deformed.
KR1020207006448A 2017-08-25 2017-08-25 interdental brush KR1024021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71472 WO2019037879A1 (en) 2017-08-25 2017-08-25 Interdental 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495A true KR20200045495A (en) 2020-05-04
KR102402174B1 KR102402174B1 (en) 2022-05-25

Family

ID=5969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448A KR102402174B1 (en) 2017-08-25 2017-08-25 interdental brush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72446B1 (en)
JP (1) JP7330947B2 (en)
KR (1) KR102402174B1 (en)
CN (1) CN111225585B (en)
WO (1) WO201903787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59989A (en) * 2020-10-02 2022-04-14 株式会社 Ufcサプライ Interdental brus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532A1 (en) * 1984-10-25 1986-05-09 Curaden Ag Devic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ings
DE10354774A1 (en) * 2003-11-21 2005-06-23 Zahoransky Ag Dental or cosmetic brush manufacturing process involves connecting a twisted wire carrier part to a first part of a molded handle, shaping the end of the wire carrier and molding a second part of handle onto wire end
WO2009081783A1 (en) * 2007-12-26 2009-07-02 Lion Corporation Interdental brush
WO2009108470A1 (en) * 2008-02-27 2009-09-03 Swain Ryan B Orthodontic kit and methods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54Y2 (en) * 1987-06-11 1996-03-13 鐘紡株式会社 toothbrush
JPH0446576Y2 (en) * 1988-03-23 1992-11-02
EP0550818B1 (en) 1992-01-09 1998-03-18 Breitschmid AG Handle with fixing means and interdental brush for removable fitting to said fixing means
JPH06154030A (en) * 1993-07-06 1994-06-03 Dentaru Kagaku Kk Antimicrobial apatite and antimicrobial resin containing the same
JPH1033262A (en) * 1996-07-26 1998-02-10 Heraeus Dentaru Material Kk Inter-tooth brush
JPH10248639A (en) * 1997-03-13 1998-09-22 Taihei Kogyo Kk Interdentium brush
ITMI20012245A1 (en) * 2001-10-25 2003-04-25 Ponzini Spa DEVICE OF SUPPORTS FOR INTERDENTAL BRUSH AND SIMILAR ORAL HYGIENE TOOLS
JP3886050B2 (en) 2003-05-20 2007-02-28 株式会社 Ufcサプライ Interdental 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05047340B4 (en) 2005-09-30 2008-02-07 Braun Gmbh Dental cleaning device
BRPI0712190B1 (en) * 2006-05-30 2018-02-14 Tepe Munhygienprodukter Ab INTERDENTAL BRUSH
JP2008154901A (en) 2006-12-26 2008-07-10 Lion Corp Interdental brush
KR200438714Y1 (en) * 2007-05-15 2008-03-03 장강식 Interdental toothbrush for refill
JP2009005740A (en) 2007-06-26 2009-01-15 Lion Corp Interdental brush
JP4942794B2 (en) * 2009-07-02 2012-05-30 株式会社 Ufcサプライ Interdental 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532A1 (en) * 1984-10-25 1986-05-09 Curaden Ag Devic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ings
DE10354774A1 (en) * 2003-11-21 2005-06-23 Zahoransky Ag Dental or cosmetic brush manufacturing process involves connecting a twisted wire carrier part to a first part of a molded handle, shaping the end of the wire carrier and molding a second part of handle onto wire end
WO2009081783A1 (en) * 2007-12-26 2009-07-02 Lion Corporation Interdental brush
WO2009108470A1 (en) * 2008-02-27 2009-09-03 Swain Ryan B Orthodontic kit and methods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2446A1 (en) 2020-07-01
CN111225585B (en) 2023-07-14
JP7330947B2 (en) 2023-08-22
BR112020003641A2 (en) 2020-09-01
JP2020531154A (en) 2020-11-05
WO2019037879A1 (en) 2019-02-28
EP3672446B1 (en) 2023-10-04
EP3672446C0 (en) 2023-10-04
KR102402174B1 (en) 2022-05-25
CN111225585A (en)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054B2 (en) Brush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KR102401908B1 (en) Refills for Electric Toothbrush
US11672633B2 (en)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US5230118A (en) Orthodontic tooth-brush
US6085761A (en) Toothpick brush
CA3068026C (en) Coupling mechanism for electric toothbrush
EP0311937B1 (en) Interdental brush
HUT68609A (en) Self-adjusting three-sided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21102612A1 (en) Oral care implement, handle thereof, and oral care refill head therefor
JP7050681B2 (en) Brush head
KR20030066716A (en) Tooth brusher
US20040134002A1 (en) Dental brush for use on a rotary dental hand piece
CN108024619B (en) Tooth brush
KR102402174B1 (en) interdental brush
JP2019202136A (en) Toothbrush bristle and bristle tuft
JP2005512654A (en) Stepped diameter brush hair for toothbrush
US20080313834A1 (en) Interdental Brush
EP2335644A1 (en) Oral cleaning section
US20040117930A1 (en) Toothbrush
KR200292879Y1 (en) A interdental brush with adjustment function
JP3138924U (en) Interdental brush for easy insertion from the back
BR112020003641B1 (en) INTERDENTAL BRUSH, ASSORTMENT WITH AT LEAST TWO INTERDENTAL BRUSHE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INTERDENTAL BRUSH
US20230225492A1 (en) An electrically operated assembly and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US20230225841A1 (en)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and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US20230233303A1 (en) Electrically operated assembly and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