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335A - 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 Google Patents

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335A
KR20200045335A KR1020180126266A KR20180126266A KR20200045335A KR 20200045335 A KR20200045335 A KR 20200045335A KR 1020180126266 A KR1020180126266 A KR 1020180126266A KR 20180126266 A KR20180126266 A KR 20180126266A KR 20200045335 A KR20200045335 A KR 20200045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umulativ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5498B1 (en
Inventor
김지식
이광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498B1/en
Publication of KR2020004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3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4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ystem for calculating a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which calculates a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for a structure where mechano-luminescence (ML) paint is applied and plastic deformation occurs. The system for calculating a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comprises: a photograph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images of the structur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calculates cumulative ML intensity from a preset initial time to the present, generates a cumulative ML isointensity image, and analyzes the cumulative ML isointensity image to extract pieces of information necessary to calcul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cks in the structure and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rein effective str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mulative ML intensity of the structure and information on a material constant of the structure; and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K^P_M) of the structure by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scription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본 발명은 탄소성 변형되는 구조물에 대해 압광을 이용하여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calculating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using a piezoelectric material for a structur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응력 확대 계수(stress intensity facttor; SIF) 값이 균열 첨단과 전형적인 균열 첨단 근처에서의 등색곡선(iso-chormatic) 패턴에서 주어진 프린지 루프상의 최원점 사이의 거리 및 균열 연장선과 최원점 사이의 회전각으로부터 계산 가능하다는 것이 Irwin에 의해 밝혀진 이후,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균열 첨단 응력장 근처에서의 정적 및 동적 문제들을 해석하기 위하여 등색곡선 패턴으로부터의 파괴인성(mode I fracture toughness; KI) 값 측정 시도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The stress intensity factor (SIF)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longest point on the fringe loop and the rotation angle between the longest point and the crack extension line in a given iso-chormatic pattern near the crack tip and the typical crack tip. Since Irwin was found to be calculable,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measure mode I fracture toughness (KI) values from isochromatic patterns to analyze static and dynamic problems near the crack tip stress field. Has been made.

여기에 더하여 유사한 목적으로 응력 확대 계수 값을 평가하기 위한 광학적인 방법들이 탄성 및 소성영역에서의 균열 현상 연구들을 통해 개발되어왔다. 구체적으로, 모아레 패턴에 기반한 방법, 변형된 표면에서의 왜곡현상을 이용한 방법, 광학 간섭법, 홀로그래피법 등의 광학적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광학적인 방법들을 포함한 어떠한 방법도 고비용과 복잡하고 무거운 장비의 필요, 시편 및 테스트된 데이터의 복잡한 사전 및/또는 사후 처리, 지엽적 또는 전체적 변형장의 평가 해결수단의 부족, 균열 전파가 일반적인 경우인지 동적인 경우인지를 결정하기에 요구되는 응답의 상대적인 느린 속도 등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없었다.In addition, optical methods for evaluating stress intensity factor values for similar purpos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studies of cracking in the elastic and plastic regions. Specifically, optical methods such as a method based on the moiré pattern, a method using distortion on a deformed surface, an optical interference method, and a holography method have been proposed. However, none of these methods, including these optical methods, is expensive and requires complex and heavy equipment, complex pre- and / or post-processing of specimens and tested data, lack of means of evaluating local or global strain, crack propagation is common. Problems such as the relatively slow speed of the response required to determine if it is a cognitive dynamic case could not be overcome.

이러한 균열 모니터링의 기술적 어려움들을 극복하기 위해, 압광(Mechano-luminescence, ML)을 이용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압광을 이용한 방법은 전체적 검사가 가능하고, 즉각적인 응답을 보여주고, 비접촉 측정이 가능하며, 균열 측정 비율이 낮은 등의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파괴역학에 기초한 균열 첨단에 가까운 영역에서 응력 분포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방법들의 기술적 문제점들을 회피할 수 있다. To overcome the technical difficulties of crack monitoring, a method using mechano-luminescence (ML) has been proposed. The method using piezoelectricit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an overall inspection, show an immediate response, perform non-contact measurement, and have a low crack measurement ratio, as well as evaluate stress distribution in areas close to the crack tip based on fracture mechanics. Therefore, technic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s can be avoided.

그러나 압광에 기초한 모든 파괴 연구는 현재까지 비선형적인 소성 및 혼합 모드의 복잡성 때문에 모드 I 크랙의 탄성 거동에 제한되었다. 파괴(fracture)는 일반적으로 혼합 모드 상호반응을 야기하는 전단 및 비틀림뿐만 아니라 장력이 인가되는 실제 구조물의 크랙 선단의 전방 부분에 있는 소성 변형의 영역을 포함하므로, 혼합 모드 하에서의 탄소성 균열에 대한 압광 평가 방법이 요구된다.However, all fracture studies based on piezoelectric metals have been limited to the elastic behavior of Mode I cracks due to the complexity of nonlinear firing and mixing modes. Fracture generally involves areas of plastic deformation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crack tip of the actual structure to which tension is applied, as well as shear and torsion that cause mixed mode interactions, so the piezoelectricity for elastoplastic cracks under mixed mode An evaluation method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균열 탐지 및 균열 첨단 부근에서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real-time calculation of non-destructive crack detection and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in the vicinity of a crack tip for a structure in which plastic deformation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은 압광(mechano-luminescence, ML) 페인트가 도포된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구조물에 대한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구조물에 대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부터 상기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초기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압광 발광 강도를 산출한 후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균열(crack)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구조물에 대한 누적 압광 강도에 따른 유효 응력 정보 및 상기 구조물의 재료 상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미지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

Figure pat00001
)를 산출하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한다.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for a structure in which plastic deformation is applied with mechano-luminescence (ML) paint, and a constant time interval for the structure An imaging unit continuously capturing an image; After receiving the images of the structure from the imaging unit, calculate a cumulative piezoelectric emission intensity from a preset initial time to the present, generate a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and analyze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to the structur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information required to calculate the existence of a crack and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A storage unit for storing effective str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strength of the structure and information about a material constant of the structure; And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tructure u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
Figure pat00001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상기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초기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압광 발광 강도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이미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균열의 존재 여부 및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에 균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균열의 첨단 부근에 위치하는 소성 변형 영역(plastic core field) 내에 위치하는 등색 프린지 패턴 상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 대한 극좌표(polar coordinate)를 생성하고, 상기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크랙의 성장 방향을 파악한 후 이로부터 소성 혼합 파라미터(MP)를 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unit calculates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emission intensity from a preset initial time to the present after receiving images of the structur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and then uses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An image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nd an imag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on unit and extracting first information necessary to calculate the existence of a crack and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for the structure, and cracking the structure. If present, the image analysis unit generates polar coordinates for a first point located on an isochromatic fringe pattern located in a plastic core field located near the tip of the crack, and the Using the cumulative piezo-intensity image, the growth direction of the crack can be determined, and then the plastic mixing parameter M P may be calculated therefro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하기 수식 1a 또는 수식 1b의 방정식에 적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

Figure pat00002
)를 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is applied to the following equation 1a or equation 1b equation,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tructure (
Figure pat00002
).

[수식 1a][Equation 1a]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식 1b][Equation 1b]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수식 1a 및 1b에서, σe 및 τxy는 각각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유효 응력’과 ‘유효 전단 응력’을 나타내고, 상기 r, θ 및 MP는 상기 제1 지점의 극좌표(polar coordinate) 성분들 및 상기 소성 혼합 파라미터를 각각 나타내고, σ0 및 m은 상기 구조물 재료의 항복 응력 및 변형강화 지수(strain hardening component)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5
는 θ, MP 및 m를 변수로 포함하는 무차원 유효 응력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06
이다.In Equations 1a and 1b, σ e and τ xy represent 'effective stress' and 'effective shear stress' at the first point, respectively, and r, θ, and M P are polar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 Components and the plastic mixing parameters, respectively, σ 0 and m represent the yield stress and strain hardening component of the structure material,
Figure pat00005
Represents a dimensionless effective stress including θ, M P and m as variables,
Figure pat00006
to b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소성 응력 확대 계수(

Figure pat00007
)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is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
Figure pat00007
)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소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된 교량, 대형 공작 기기 또는 건물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ructure may include a bridge, a large machine tool or a building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에 따르면, 구조물에 도포된 압광(mechano-luminescence, ML) 페이트의 발광을 측정함으로써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균열 탐지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구조물에 존재하는 균열 첨단 부근에서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erform non-destructive crack detection for a structure in which plastic deformation occurs, but also by simultaneously measuring light emission of a mechano-luminescence (ML) paint applied to the structure.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near the existing crack tip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제작된 2개의 4-포인트 전단 시편(a, b)과 1개의 텐션 시편(c)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텐션 시편에서 SAO 및 아크릴 레진으로 이루어진 코어 부분의 기계적 특성을 설명하는 인장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b는 비노치 전단 시편을 사용한 4-포인트 전단 테스트에서 측정된 누적 ML 강도와 유효 전단응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0 N, 689 N, 829 N 및 872 N의 외부 응력에 대한 4-포인트 전단 시편의 크랙 선단 부근에서의 ML 발광을 보여주는 이미지들이고, 도 4의 (e) 내지 (g)는 각각 상기 (b) 내지 (d)의 ML 이미지로부터 특정되는 ML의 면-강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각각 매트랩(MATLA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0으로부터 689N, 829N 및 871N까지 외부 전단 로드에 대한 ML 발광을 축적하여 생성된 불연속 등강도 이미지들로서, 가상의 크랙 선단의 전방에서의 탄성 원거리 필드를 나타낸다.
도 6의 (a) 및 (c)는 도 5의 (e) 및 (f)에서 플라스틱 영역으로부터 ML을 이용하여 실제 크랙 선단의 전방에서 플라스틱 근거리 필드의 분석을 위해 수집된 불연속적인 등강도 및 등색 등고선의 형태로 축적된 ML 이미지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produced two 4-point shear specimens (a, b) and one tension specimen (c).
Figure 3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tensile test explain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 core portion made of SAO and acrylic resin in a tension specimen, Figure 3b is a cumulative ML strength and measured in a 4-point shear test using a non-notched shear specimen It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 shear stress.
4 (a) to 4 (d) are images showing ML luminescence near the crack tip of a 4-point shear specimen for external stresses of 0 N, 689 N, 829 N, and 872 N. ) To (g) are images representing the surface-strength profile of ML specified from the ML images of (b) to (d), respectively.
5 (a) to 5 (c) are discontinuous constant intensity images generated by accumulating ML luminescence from 0 to 689N, 829N, and 871N, respectively, using MATLAB software, which are virtual crack tip It represents the elastic long distance field in front of.
(A) and (c) of FIG. 6 are discontinuous iso-intensities and isochromatics collected for analysis of the plastic near field in front of the actual crack tip using ML from the plastic region in FIGS. 5 (e) and (f). It shows ML images accumulated in the form of contour line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step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the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에 있어서, “응력 확대 계수(stress intensity factor, SIF)”는 균열이 성장하기 쉬운 정도를 정량화하여 표시하는 값으로서, 아주 동떨어진 평균 인장 응력 σ가 부하되었을 때 균열(龜裂) 선단에서의 응력 집중이 어느 정도가 되면 파괴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내는 계수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ss intensity factor (SIF)” is a value that quantifies and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cracks are likely to grow, and when the average tensile stress σ ∞, which is very far apart, is loaded, at the tip of the crack. It means the coefficient indicating how much the stress concentration of affects the fra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100)은 압광(mechano-luminescence, ML) 페이트의 발광을 측정함으로써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균열 탐지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구조물에 존재하는 균열 첨단 부근에서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고, 그 결과, 열화되는 구조물의 파괴 특성을 실시간으로 진단하면서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non-destructive crack detection for a structure in which plastic deformation occurs by measuring light emission of a mechano-luminescence (ML) pai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alculate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in the vicinity of the crack tip existing in the structur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evaluate and evaluate th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ed structure in real time.

상기 구조물은 소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된 교량, 대형 공작 기기, 건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표면에 상기 압광 페이트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압광 페인트는 기계적 응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이에 대응되는 형광을 발광하는 기능성 재료로서, 공지의 압광 페이트 재료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The structure may include a bridge, a large machine tool, a building, etc. made of a material that can undergo plastic deformation, and the piezoelectric paint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The piezoelectric paint is a functional material that emits fluorescence corresponding to it when mechanical stress is applied, and a known piezoelectric paint material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100)은 촬상부(110), 이미지 처리부(120), 저장부(130), 연산처리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n imaging unit 110,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calculation processing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

상기 촬상부(110)는 구조물에 대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인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촬상부(110)는 고속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예를 들면, CMOS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ing unit 110 may capture a continuous image at regular time intervals for the structure. In one embodiment, the imaging unit 110 may include a camera capable of high-speed imaging, for example, a CMOS camera.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상기 촬상부(110)에서 촬상된 상기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초기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압광 발광 강도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균열(crack)의 존재 여부 및 상기 구조물에 대한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calculates the cumulative photoluminescence intensity from a preset initial time to the present after receiving the images of the structure imaged by the imaging unit 110, and then uses the accumulated photoluminescence intensity image It can be generated, and by analyzing the generated cumulative piezo-intensity image, it is possible to extract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to calcul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cks in the structure and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for the structu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상기 촬상부(110)에서 촬상된 상기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초기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압광 발광 강도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121) 및 상기 이미지 생성부(121)에서 생성된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균열의 존재 여부 및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분석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the images of the structure imaged by the imaging unit 110 and calculates the cumulative photoluminescence intensity from a preset initial time to the present, and then uses it To analyze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or 121 and the image generator 121 to generate a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to calcul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cks in the structure and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It may include an image analysis unit 122 for extracting a variety of necessary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균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122)는 상기 균열의 첨단 부근에 위치하는 소성 변형 영역(plastic core field) 내에 위치하는 등색 프린지 패턴 상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 대한 극좌표(polar coordinate)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122)는 상기 크랙의 첨단을 원점으로 하고 상기 크랙의 축을 기준선으로 하여, 상기 원점과 상기 제1 지점 사이의 거리(r) 및 상기 크랙의 축과 상기 원점에서 상기 제1 지점을 연결한 선의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θ)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제1 지점의 극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a crack is present in the structure, the image analysis unit 122 may be disposed on an isochromatic fringe pattern located in a plastic core field located near the tip of the crack. You can create polar coordinates for one point. In this case, the image analysis unit 122 uses the tip of the crack as the origin and the axis of the crack as a reference line, the distance (r) between the origin and the first point, and the axis of the crack and the origin from the The polar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can be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angle θ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한편, 상기 이미지 분석부(122)는 상기 크랙의 성장 방향을 파악한 후 이로부터 소성 혼합 파라미터(MP)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소성 혼합 파라미터는 0 이상 1이하의 값을 갖는 파라미터로서, 크랙 첨단의 근거리 장에서 인장 응력이 인가되는 모드 I과 전단 응력이 인가되는 모드 Ⅱ의 혼합 정도를 나타낸다. 상기 소성 혼합 파라미터는 상기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들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Shih, C. F. (1973)‘analysis of combined mode crack problems' 참조)On the other hand, the image analysis unit 122 may determine the growth direction of the crack and calculate the plastic mixing parameter M P therefrom. The plastic mixing parameter is a parameter having a value of 0 or more and 1 or less, and indicates the degree of mixing between mode I in which tensile stress is applied in the near field of the crack tip and mode II in which shear stress is applied. The calcination mixing parameter can be calculated by a known method from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s (see Shih, CF (1973) 'analysis of combined mode crack problems').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구조물에 대한 누적 압광 강도에 따른 유효 응력(σc) 정보, 재료 상수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effective stress (σ c )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strength of the structure, information about a material constant, and the like.

상기 재료 상수는 상기 구조물 재료의 항복 응력(Yield stress, σ0), 탄성 계수(young's modulus, E), 변형 경화 상수(strain-hardening constant, m)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terial constant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yield stress (σ 0 ), elastic modulus (young's modulus, E), and strain-hardening constant (m) of the structure material.

상기 연산 처리부(140)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122)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하기 수식 1a 또는 수식 1b의 방정식에 적용하여 소성 응력 확대 계수(

Figure pat00008
)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140 applie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122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o the equations of Equation 1a or Equation 1b below to calculate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
Figure pat00008
).

[수식 1a][Equation 1a]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수식 1b][Equation 1b]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수식 1a 및 1b에서, σe 및 τxy는 각각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유효 응력’과 ‘유효 전단 응력’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상기 구조물에 대한 누적 압광 강도에 따른 유효 응력(σe)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생성부(121)에서 생성된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로부터 파악될 수 있고, 상기 r, θ 및 MP는 상기 제1 지점의 극좌표(polar coordinate) 성분들 및 상기 소성 혼합 파라미터를 각각 나타내는 값들로서 이들 정보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122)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σ0 및 m은 상기 구조물 재료의 항복 응력 및 변형강화 지수(strain hardening component)를 나타내는 값들로서 이들 정보는 상기 저정부(1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Figure pat00011
는 θ, MP 및 m를 변수로 포함하는 무차원 유효 응력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12
이다. 한편,
Figure pat00013
는 하기 수식 2의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In Equations 1a and 1b, σ e and τ xy are values representing 'effective stress' and 'effective shear stress' at the first point, respectively, and accumulate the cumulative light intensity for the structu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ccording to the effective stress (σ e ) information and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on unit 121, r, θ, and M P are polar coordinate components of the first point And the plastic mixing parameters, respectively. Thes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122, and σ 0 and m are values representing the yield stress and strain hardening component of the structure material. Thes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rom the low government 130,
Figure pat00011
Represents a dimensionless effective stress including θ, M P and m as variables,
Figure pat00012
to be. Meanwhile,
Figure pat00013
Can be calculated using the differential equation of Equation 2 below.

[수식 2][Equation 2]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수식 2에서, Φs는 응력 텐서(stress tensor) 성분의 각도 변수를 나타낸다. In Equation 2, Φ s represents the angular variable of the stress tensor component.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연산 처리부(140)에 의해 산출된 소성 응력 확대 계수(

Figure pat00015
)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is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140 (
Figure pat00015
) Can be displayed for the user to check.

본 발명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에 따르면, 구조물에 도포된 압광(mechano-luminescence, ML) 페이트의 발광을 측정함으로써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균열 탐지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구조물에 존재하는 균열 첨단 부근에서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erform non-destructive crack detection for a structure in which plastic deformation occurs, but also by simultaneously measuring light emission of a mechano-luminescence (ML) paint applied to the structure.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near the existing crack tip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대해 상술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유효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Hereinafter,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re only reference materials for expla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30 wt%의 SAO 형광체(SrAl2O3:Eu) 및 잔부의 아크릴 수지가 균일하게 혼합된 소재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4-포인트 전단 시편(a, b)과 1개의 텐션 시편(c)의 코어 부분들을 제조하였다. Two 4-point shear specimens (a, b) and one as shown in FIG. 2 using a material in which 30 wt% of SAO phosphor (SrAl 2 O 3 : Eu) and the remaining acrylic resin are uniformly mixed. The core parts of the tension specimen (c) were prepared.

먼저, 상기 소재를 칼리버 마운팅 기계를 사용하여 45 KN 조건 하에서 180℃에서 핫프레스하여, 50mm 직경 및 3mm의 두께를 갖는 디스크 형태의 생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36mm 길이, 25mm의 폭 및 3mm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절단하여, 4-포인트 전단 시편의 코어 부분을 제조하였고, 이를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확장하여 4-포인트 전단 시편(141mm 길이, 25mm 폭, 3mm 두께)을 제조하였다. 2개의 4-포인트 전단 시편 중 하나에는 전단 동안에 확장된 소성 영역 및 균일 첨단 필드를 제공하기 위해, 머시닝 센터를 사용하여 500μm 반경을 가진 무딘 노치 팁이 의도적으로 도입되었다. First, the material was hot-pressed at 180 ° C under a 45 KN condition using a caliber mounting machine to prepare a disc-shaped product having a diameter of 50 mm and a thickness of 3 mm, followed by a length of 36 mm, a width of 25 mm, and a thickness of 3 mm. By cutting with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core portion of a 4-point shear specimen was prepared and expanded using an epoxy resin to prepare a 4-point shear specimen (141 mm long, 25 mm wide, 3 mm thick). In one of the two 4-point shear specimens, a blunt notch tip with a 500 μm radius was intentionally introduced using a machining center to provide an extended firing area and uniform tip field during shearing.

이어서, ASTM E8M-04에 따른 비노치 전단 시편으로부터의 코어 부분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12mm 길이, 6mm 폭, 3mm 두께를 가진 텐션 시편이 또한 제작되었다.Subsequently, a tension specimen with a length of 12 mm, a width of 6 mm, and a thickness of 3 mm was also fabricate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re portion from the non-notched shear specimen according to ASTM E8M-04.

파괴 테스트에서, 기계적 크랙을 보유하는 4-포인트 전단 시편이 전단 형태 로딩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유니버셜 텐션 테스트 장치 위에 놓여졌다. 코어 부분은 365 nm 파장의 자외선 램프에 의해 10분 동안 조사되었고, 전단 응력 인가 전 기초 형광을 안정한 강도까지 감소시키기 위해 5분 동안 암흑에서 이완되었다. 그 후 0.5 mm/s의 크로스-헤드 스피드로 완전 파괴가 일어날 때까지 시편이 전단되었다. 노치 팁을 포함하는 코어 부분은 정치 전단응력 조건 하에서 초당 60 프레임의 속도로, 그리고 고속 CMOS 카메라를 사용하여 준 동적 크래킹의 조건 하에서 초당 1000 프레임의 속도로 촬영되었다. In the fracture test, a 4-point shear specimen bearing mechanical cracks was placed on a universal tension test device with a shear-shaped loading stage. The core portion was irradiated for 10 minutes by an ultraviolet lamp of 365 nm wavelength, and relaxed in the dark for 5 minutes to reduce the basic fluorescence to a stable intensity before applying the shear stress. The specimen was then sheared until complete failure occurred at a cross-head speed of 0.5 mm / s. The core portion containing the notch tip was photographed at a rate of 60 frames per second under static shear stress conditions and at a rate of 1000 frames per second under conditions of quasi-dynamic cracking using a high-speed CMOS camera.

또한, 코어 부분의 압광 현상 및 탄소성 거동을 보상하기 위해, 초당 60 프레임으로 이미지를 저장하였고, 텐션에 대해 0.1 mm/s 및 전단에 대해 0.5mm/s의 기계적 로딩을 포함하는 유사 실험 조건 하에서 텐션 및 비노치 전단 시편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텐션 테스트 및 4-포인트 전단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In addition, to compensate for the piezoelectricity and elastoplastic behavior of the core portion, images were stored at 60 frames per second and under similar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ing mechanical loading of 0.1 mm / s for tension and 0.5 mm / s for shear. Traditional tension tests and 4-point shear tests were performed using tension and non-notched shear specimens.

<실험예 1: 기계적 특성 및 보정된 ML(Mechano-luminescence) 곡선><Experimental Example 1: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ected ML (Mechano-luminescence) curve>

도 3a는 텐션 시편에서 SAO 및 아크릴 레진으로 이루어진 코어 부분의 기계적 특성을 설명하는 인장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3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tensile test explain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re portion made of SAO and acrylic resin in the tension specimen.

도 3a를 참조하면, 인장 테스트에서 텐션 시편은 명백히 램버그-오스구드(Ramberg-Osgood) 방정식에 따른 30 MPa의 항복응력(yield stress, σ0), 1.26 GPa의 탄성 계수(young's modulus, E), 13의 스트레인 경화 상수(strain-hardening constant)를 갖는 탄소성 거동을 나타내었다.Referring to Figure 3a, in the tensile test, the tension specimen clearly shows a yield stress of 30 MPa according to the Ramberg-Osgood equation (yield stress, σ 0 ), a Young's modulus (E) of 1.26 GPa, It exhibited an elasto-plastic behavior with a strain-hardening constant of 13.

도 3b는 비노치 전단 시편을 사용한 4-포인트 전단 테스트에서 측정된 누적 ML 강도와 유효 전단응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누적 ML 강도와 유효 전단응력 사이의 관계에서, 보정된 곡선에 대한 설명이나 이미지 프로세싱 절차의 세부사항은 이전의 연구결과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본 출원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3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ML strength and effective shear stress measured in a 4-point shear test using a non-notched shear specim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ML strength and the effective shear stress, the description of the corrected curve or the details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dure have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and are therefore omitted in this application specification.

도 3b를 참조하면, 전단 ML 결과로부터 유도된 보정 곡선(검정색 실선)은 기존의 이론적인 외삽법 방법에 따른 곡선(검정색 점선)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고, 인장 ML 결과로부터 간접적으로 유도된 보정 곡선(파란색 실선)은 “

Figure pat00016
”를 기초로 추론된 곡선(빨강색 일점쇄선)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ferring to FIG. 3B, the correction curve (solid black line) derived from the shear ML results was found to coincide with the curve (black dotted line) according to the existing theoretical extrapolation method, and the correction indirectly derived from the tensile ML results The curve (solid blue line) is “
Figure pat00016
It was found to coincide with the curve (red dot-dashed line) inferred based on ”.

따라서, 균열 첨단의 특수성 때문에, 비노치 샘플에서의 누적 ML 강도보다 확실히 큰 크랙 첨단 부근에서의 누적 ML 강도는 “

Figure pat00017
”의 관계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영역 내에서 대응되는 유효 전단 응력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refore,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 crack tip, the cumulative ML strength in the vicinity of the crack tip is clearly greater than the cumulative ML strength in the non-notched sample.
Figure pat00017
Using the relationship ”,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nverted into the corresponding effective shear stress in the plastic region.

<실험예 2: ML을 통한 가상의 크랙 선단 확장의 추적> <Experimental Example 2: Tracking Virtual Crack Tip Expansion Through ML>

도 4의 (a) 내지 (d)는 0 N, 689 N, 829 N 및 872 N의 외부 응력에 대한 4-포인트 전단 시편의 크랙 선단 부근에서의 ML 발광을 보여주는 이미지들이고, 도 4의 (e) 내지 (g)는 각각 상기 (b) 내지 (d)의 ML 이미지로부터 특정되는 ML의 면-강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이다. 4 (a) to 4 (d) are images showing ML luminescence near the crack tip of a 4-point shear specimen for external stresses of 0 N, 689 N, 829 N, and 872 N. ) To (g) are images representing the surface-strength profile of ML specified from the ML images of (b) to (d), respectively.

도 4의 (b) 내지 (d)를 참조하면, 689N, 829N, 872N의 3가지 외부 로드가 인가된 시편에서는 전단 크랙 선단 부근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피넛 형상의 탄소성(elasto-plastic) ML 발광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b) to (d) of FIG. 4, in a specimen in which three external rods of 689N, 829N, and 872N were applied, a peanut-shaped elasto-plastic ML arranged vertically near the front end of the shear crack It was confirmed that luminescence appeared.

ML 강도는 인가된 전단 로드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조금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탄소성 로딩과 ML 강도 사이의 관련성은 탄성 또는 소성 영역에 대해 단순히 선형적인 관계가 아님을 나타낸다. The ML strength was found to increase slightly non-linearly as the applied shear load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astoplastic loading and the ML strength is not simply a linear relationship to the elastic or plastic region.

도 4의 (e) 내지 (g)를 참조하면, 소성 코어 필드의 진화에 따라 ML 피크 좌표는 크랙 축에 평행하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크랙 첨단의 실제 위치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랙 첨단에서 소성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 크랙이 실제 물리적 사이즈보다 큰 것처럼 거동한다’는 파괴(fracture)에서의 소성 보정에 대한 Irwin의 제안을 고려하면, 상기와 같은 크랙의 길이 및 위치에서의 미스매치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상기 소성 영역 내에서 상기 ML 피크 좌표까지 연장된 가상의 크랙 첨단 이미지를 도입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e) to (g) of FIG. 4, ML peak coordinates were found to change in parallel with the crack axis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the firing core field, and it was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actual position of the crack tip. Considering Irwin's suggestion for plasticity correction in fractures, 'When plastic deformation occurs at the crack tip, the crack behaves as if it is larger than the actual physical size', the above-mentioned misalignment in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crack The only way to describe the match is to introduce a virtual crack tip image extending to the ML peak coordinates within the firing region.

상기와 같은 ML 기술을 사용한 소성 영역 내에서의 크랙 확장에 대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689N, 829N, 872N의 외부 로드에 대해 도 4로부터 평가된 실제 편차들과 유효한 크랙 길이의 소성 보정을 포함하는 종래의 모델들로부터 예측된 이론적인 편차들이 표 1에 기재되어 있다.To demonstrate the hypothesis for crack extension in the firing region using the M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including the actual deviations evaluated from FIG. 4 for the external loads of 689N, 829N, and 872N and the plasticity correction of the effective crack length. The theoretical deviations predicted from conventional models are listed in Table 1.

methodmethod crack extension formulacrack extension formula Extended crack length (mm)Extended crack length (mm) 689N689N 829N829N 872N872N ML methodML method -- 1.061.06 1.421.42 1.601.60 Irwin's modelIrwin's model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0.850.85 1.231.23 1.361.36 Dugdale's modelDugdale's model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1.041.04 1.521.52 1.681.68
New PZE methodNew PZE method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0.720.72 1.101.10 1.241.24

표 1을 참조하면, 도 4의 이미지 내의 픽셀 강도 좌표로부터 평가된 편차들(Δa)은 종래의 모델들로부터 예측된 이론적인 편차들과 잘 부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4의 이미지 내의 픽셀 강도 좌표로부터 평가된 편차들(Δa)은Dugdale 방법에 기초한 예측과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보여줬다.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deviations Δa evaluated from the pixel intensity coordinates in the image of FIG. 4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deviations predicted from the conventional models. In particular, the deviations (Δa) evaluated from the pixel intensity coordinates in the image of FIG. 4 showed almost the same results as the prediction based on the Dugdale method.

이상의 사항을 종합하면, ML 강도 이미지로부터 산출된 가상이 크랙 첨단 이미지를 도입하는 것은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Summarizing the above, it is judged that introducing a virtual crack cracked image derived from an ML intensity image can be a useful method.

<실험예 3: 탄성 ML 특이성><Experimental Example 3: Elastic ML specificity>

도 5의 (a) 내지 (c)는 각각 매트랩(MATLA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0으로부터 689N, 829N 및 871N까지 외부 전단 로드에 대한 ML 발광을 축적하여 생성된 불연속 등강도 이미지들로서, 가상의 크랙 선단의 전방에서의 탄성 원거리 필드를 나타낸다. 5 (a) to 5 (c) are discontinuous constant intensity images generated by accumulating ML luminescence from 0 to 689N, 829N, and 871N, respectively, using MATLAB software, which are virtual crack tip It represents the elastic long distance field in front of.

도 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도 4의 (b) 내지 (d)에 도시된 순간적인 ML 이미지와 달리, 4-포인트 전단이 진행되어 수직 방향으로 피넛 형상이 확장됨에 따라 축적된 ML 이미지의 전반적인 밝기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연속적인 ML 이미지들은 전형적인 모드 Ⅱ 탄성 필드에 따른 크랙 첨단 부근의 응력 필드의 형상 및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모드 Ⅱ 하에서 탄성 영역을 성공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 (a) to (c), unlike the instantaneous ML image shown in FIGS. 4 (b) to (d), as the 4-point shear progresses and the peanut shape expa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brightness of the accumulated ML images increased rapidly. These discontinuous ML images show the shape and size of the stress field near the crack tip according to the typical Mode II elastic fiel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lastic region can be successfully quantified under Mode II.

도 5의 (d) 내지 (f)는 689N, 829N 및 872N의 외부 로드에 대해 축적 ML 강도를 기초로 도출된 가상의 크랙 첨단 부근에서의 불연속적인 등강도 이미지들을 나타낸다. 5 (d) to 5 (f) show discontinuous iso-strength images in the vicinity of the virtual crack tip derived based on the accumulated ML intensity for the external loads of 689N, 829N, and 872N.

도 5의 (d) 내지 (f)를 참조하면, 불연속적인 등강도 이미지들에서 매트랩(MATLA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소성 기준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4개의 등색 등고선이 선택적으로 추출되었고, 축적 ML 원거리 필드를 사용하여 하기 수식 3의 방정식에 기초하여 탄성 ML 특이성(Elastic ML singularity)이 평가될 수 있다. 5 (d) to (f), the four isochromatic contours closest to the firing criterion were selectively extracted using the MATLAB software in discontinuous iso-intensity images and using the accumulated ML far field Therefore, the elastic ML singularity may be evaluated based on the equation 3 below.

도 5의 (d) 내지 (f) 이미지들에서, 수직축인 Y 라인과 수평축인 X 라인의 교차점은 물리적인 크랙 첨단을 나타내고, Y와 또다른 수평축인 X1의 교차점은 면의 ML 밝기 프로파일로부터 특정된 가상의 크랙 첨단을 나타낸다. In the images (d) to (f) of FIG. 5,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Y line which is the vertical axis and the X line which is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physical crack tip, and the intersection point of Y and another horizontal axis X1 is specified from the ML brightness profile of the surface. It represents a virtual crack tip.

[수식 3][Equation 3]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1

상기 수식 3에서

Figure pat00022
내지
Figure pat00023
는 하기 수식 4-1 내지 4-14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 In Equation 3 above
Figure pat00022
To
Figure pat00023
Can be respectively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s 4-1 to 4-14.

[수식 4-1][Formula 4-1]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4

[수식 4-2][Formula 4-2]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5

[수식 4-3][Formula 4-3]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6

[수식 4-4][Formula 4-4]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7

[수식 4-5][Formula 4-5]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8

[수식 4-5][Formula 4-5]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29

[수식 4-7][Formula 4-7]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0

[수식 4-8][Equation 4-8]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1

[수식 4-9][Equation 4-9]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2

[수식 4-10][Formula 4-10]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3

[수식 4-11][Formula 4-11]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4

[수식 4-12][Equation 4-12]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5

[수식 4-13][Formula 4-13]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6

[수식 4-14][Formula 4-14]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7

정적 전단 크랙의 경우에 대해서는 크랙 첨단 가속도(

Figure pat00038
)및 응력 확대 계수(K)의 변화율이 제로(0)로 동일하므로, 상기 수식 3은 하기 수식 4으로 변경될 수 있다. For static shear cracks, crack tip acceleration (
Figure pat00038
)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K is equal to zero (0), so Equation 3 can be changed to Equation 4 below.

[수식 4][Equation 4]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39

모드 I 응력 확대 계수인 KI, 모드 Ⅱ 응력 확대 계수인 K, 원거리 필드 응력 값인 σox를 파악하기 위해, 가상의 크랙 선단 및 2번째 등고선 상에서 -45°θ<45°의 x축 영역 내에 있는 몇 개의 점들을 취한 후 비선형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KI, K 및 σox을 계산하였고, 이를 표 2에 KI ML, K ML 및 σox ML로 나타내었다. To determine the mode I stress intensity factor K I , the mode II stress intensity factor K , and the far field stress value σ ox , within the x-axis region of -45 ° θ <45 ° on the virtual crack tip and the second contour line After taking several points, K I , K and σ ox were calculated using the nonlinear least squares method, which are presented in Table 2 as K I ML , K ML and σ ox ML .

ML 등색 패턴으로부터 계산된 응력 확대 계수(SIF-ML)와 함께, 모드 I 및 Ⅱ에 대해 다른 연구에서 정의된 분석 방법(Murakami, 1987)을 이용하여 계산된 응력 확대 계수(SIF-analytical)를 표 1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o the stress intensity factor (SIF-ML) calculated from the ML isochromatic pattern, the stress intensity factor (SIF-analytical) calculated using the analytical method (Murakami, 1987) defined in other studies for modes I and II is shown. It is shown in 1.

Applied load (N)Applied load (N) ML method
SIF-ML
ML method
SIF-ML
Analytical method
SIF-analytical
Analytical method
SIF-analytical
KI ML K I ML K ML K ML σox σ ox KI Anal K I Anal K Anal K Anal 689689 0.080.08 1.151.15 -0.05-0.05 0.120.12 1.261.26 829829 0.150.15 1.351.35 -0.15-0.15 0.140.14 1.521.52 872872 0.160.16 1.401.40 -0.20-0.20 0.150.15 1.601.60

표 3을 참조하면, 외부 전단 로드 689N, 827N, 872N에서 계산된 1.15, 1.35, 1.40 MPam1/2의 K ML 값들은 모두 K Anal 값들보다 조금 더 작았음에도 불구하고, 탄성 K-도메인 영역 내에서의 K Anal 값들과의 오차는 수용 가능할 정도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K ML 값들이 K Anal 값들보다 조금 더 작은 것은 플라스틱 J-도메인과 함께 가상 크랙의 영향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Referring to Table 3, although the K ML values of 1.15, 1.35, and 1.40 MPam 1/2 calculated from the external shear rods 689N, 827N, and 872N were all slightly smaller than the K Anal values, the elastic K-domain region The error with the K II Anal values within was found to be small enough to be acceptable. It is judged that all K II ML values are slightly smaller than K II Anal valu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virtual crack along with the plastic J-domain.

한편,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크랙 축에 평행한 외부 전단 모드 Ⅱ 로딩에도 불구하고, 모드 I 응력 확대 계수(KI ML) 및 원거리 필드 응력(σox)의 무시할 수 없는 값들이 획득되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able 3, despite the external shear mode II loading parallel to the crack axis, negligible values of the mode I stress intensity factor (K I ML ) and the far field stress (σ ox ) were obtained.

또한, 다른 연구에서 정의된 분석 방법(Murakami, 1987)으로부터 계산된 값들에서 모드 I 응력 확대 계수(KI Anal)에 대한 모드 Ⅱ 응력 확대 계수(K Anal)의 비율은 약 10.5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ML 등고선으로부터 계산된 값들에서는 대해 모드 I 응력 확대 계수(KI ML)에 대한 모드 Ⅱ 응력 확대 계수(K ML)의 비율이 689N, 827N, 872N에서 약 14로부터 약 9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비틀림 각도(kinking angle)를 정의하는 크래킹 진행에서 모드 Ⅱ로부터 모드 I으로의 전환을 암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mode II stress intensity factor (K II Anal ) to the mode I stress intensity factor (K I Anal ) in values calculated from the analysis methods defined in other studies (Murakami, 1987) is approximately 10.5, almost constant. Although maintained, the ratio of the mode II stress intensity factor (K II ML ) to the mode I stress intensity factor (K I ML ) for the values calculated from the ML contours is continuously from about 14 to about 9 at 689N, 827N, and 872N. Decreased. It is believed that this phenomenon suggests a transition from Mode II to Mode I in the cracking process that defines the twisting angle.

탄성 응력 확대 계수(SIF)의 크기와 함께 크랙 선단에서의 응력 필드의 탄성 형상을 증명하기 위해, 표 3에서 선택된 임계 유효 응력들 및 표 2로부터의 KI ML, K ML, σox ML을 사용하여 이론적인 등색 패턴들이 도 5의 (d) 내지 (f)에서 중첩되었다.To demonstrate the elastic shape of the stress field at the crack tip along with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SIF), the critical effective stresses selected in Table 3 and K I ML , K II ML , σ ox ML from Table 2 were used. The theoretical isochromatic patterns were superimposed in Figs. 5 (d) to (f).

Applied load (N)Applied load (N) Elastic second contourElastic second contour Plastic second contourPlastic second contour Acc.ML (A.U)Acc.ML (A.U) Effective shear stress
(MPa)
Effective shear stress
(MPa)
Acc.ML (A.U)Acc.ML (A.U) Effective shear stress
(MPa)
Effective shear stress
(MPa)
689689 1.571.57 9.89.8 -- -- 829829 2.592.59 12.412.4 6.986.98 19.6819.68 872872 3.023.02 13.413.4 8.328.32 21.3621.36

폰 미제스의 항복 조건(Von Mises yield criterion)으로부터 획득된 탄소성 경계선이 또한 내재화되었고, 내부 가장 이론적인 등고선에 대응되었다. 파괴 파라미터는 2번째 등고선을 이용하여 획득된 반면, 1번째 및 3번째 등고선은 실험적으로 계산된 파과 파라미터들을 증명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The elastoplastic boundary obtained from Von Mises yield criterion was also internalized and corresponded to the inner most theoretical contour. Fracture parameters were obtained using the second contour line, while the first and third contour lines were chosen to demonstrate experimentally calculated breakthrough parameters.

부분적인 미스매치에도 불구하고, 크기 및 형상의 관점에서 도 5의 (b)는 실험적으로 획득된 등고선 플랏들과 이론적으로 획득된 등고선 플랏들 사이의 수용가능할 정도로 일치함을 보여주고, 지엽적인 편차는 주로 전단 시편 내에서의 크랙 선단의 비현실적인 날카로움과 함께 물리적 크랙 선단의 전방에서의 플라스틱 응력 필드의 진화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물리적인 크랙 선단이 KI ML, K ML 및 σox ML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형상 및 크기 값들은 여기서 제시되지 않은 전체 미스매치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미스매치는 플라스틱 영역 내의 가상 크랙 선단의 도입에 의해 그리고 플라스틱 영역 부근에서 선형 탄성 파괴 메카닉의 무효화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Despite partial mismatches, FIG. 5 (b) in terms of size and shape shows acceptable agreement between experimentally obtained contour plots and theoretically obtained contour plots, and local deviation Is mainly attributed to the evolution of the plastic stress field in front of the physical crack tip, along with the unrealistic sharpness of the crack tip in the shear specim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ysical crack tip is used to determine K I ML , K II ML and σ ox ML , the shape and size values indicate the total mismatch not presented here, and this mismatch is virtual in the plastic region. It can be corrected by the introduction of a crack tip and by the nullification of the linear elastic fracture mechanism in the vicinity of the plastic region.

<실험예 4: 플라스틱 ML 특이성><Experimental Example 4: Plastic ML specificity>

도 6의 (a) 및 (c)는 도 5의 (e) 및 (f)에서 플라스틱 영역으로부터 ML을 이용하여 실제 크랙 선단의 전방에서 플라스틱 근거리 필드의 분석을 위해 수집된 불연속적인 등강도 및 등색 등고선의 형태로 축적된 ML 이미지를 나타낸다. (A) and (c) of FIG. 6 are discontinuous iso-intensities and iso-colors collected for analysis of the plastic near field in front of the actual crack tip using ML from the plastic region in FIGS. 5 (e) and (f). It shows ML images accumulated in the form of contour lines.

도 6의 (a) 및 (c)를 참조하면, 누적 플라스틱 ML 이미지들과 연관된 전체 ML 강도 및 형상에서의 진화 경향은 탄성 원거리 필드에서의 ML 강도 및 형상에 비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형적인 모드 Ⅱ 플라스틱 필드와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크랙 선단에 가까운 부근의 플라스틱 영역에서의 응력 분포 및 등색 등고선을 통해 모드 Ⅱ 하에서의 탄소성 크랙(elasto-plastic crack)의 경우에도 ML 기술을 통해 정량화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Referring to FIGS. 6A and 6C, the evolutionary trend in overall ML strength and shape associated with cumulative plastic ML images can be compared to ML strength and shape in the elastic distant field, as well as typical mode II. Compatible with plastic field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even in the case of elasto-plastic crack under mode II, it can be quantified through ML technology through stress distribution and isotropic contours in the plastic region near the actual crack tip.

도 6의 (b) 및 (d)는 도 6의 (a) 및 (c)에 대한 실제 크랙 선단 전방에서의 항복 기준(yield criterions)을 가진 등색 불연속적인 등색 이미지들이다. 6 (b) and (d) are isochromatic discontinuous isochromatic images with yield criterions in front of the actual crack tip for FIGS. 6 (a) and 6 (c).

도 6의 (b) 및 (d)를 참조하면, 축적된 근거리 필드 ML을 이용하는 경우, 하기 방정식 4-1 또는 방정식 4-2에 기초하여 플라스틱 특이성(Plastic ML singularity)을 평가할 수 있고, 이를 위해 Shih's 플라스틱 기준이 아닌 도 6의 (b) 및 (d)에 도시된 더 작은 등색 등고선을 선택하였다. Referring to (b) and (d) of FIG. 6, when using the accumulated near field ML, plastic specificity (Plastic ML singularity) may be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4-1 or Equation 4-2. Smaller contour lines shown in Figs.

[수식 5-1][Equation 5-1]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0

[수식 5-2][Equation 5-2]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1

수식 5-1 및 5-2에서, σe, τxy, σ0, KM P, Mp 및 m은 각각 유효 응력, 유효 전단 응력, 항복 응력,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 근거리 플라스틱 혼합 파라미터(near field plastic mixity parameter) 및 변형강화 지수(strain hardening component)를 나타내고, r 및 θ는 크랙 선단에서의 극좌표(polar coordinate) 성분들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42
는 θ, MP 및 m를 변수로 포함하는 무차원 유효 응력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43
이다. In Equations 5-1 and 5-2, σ e , τ xy , σ 0 , K M P , M p and m are effective stress, effective shear stress, yield stress,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and near plastic mixing parameters (near), respectively. field plastic mixity parameter) and strain hardening component, r and θ indicate polar coordinate components at the crack tip,
Figure pat00042
Represents a dimensionless effective stress including θ, M P and m as variables,
Figure pat00043
to be.

한편,

Figure pat00044
는 하기 수식 2의 미분방정식을 해결함에 의해 수치적으로 풀 수 있다. Meanwhile,
Figure pat00044
Can be solved numerically by solving the differential equation of Equation 2.

[수식 2][Equation 2]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5

수식 2에서, Φs는 응력 텐서(stress tensor) 성분의 각도 변수를 나타낸다. In Equation 2, Φs represents the angular variable of the stress tensor component.

인가된 외부 로드 및 유효 응력으로부터 선택된 등고선에 대응하는 축적 플라스틱 ML 강도 값들은 도 3b에 도시된 보정된 곡선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고, 이들 값들은 모두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The accumulated plastic ML strength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lines selected from the applied external load and effective stress can be found from the corrected curve shown in FIG. 3B, all of which are listed in Table 3.

이어서, 플라스틱 혼합 계수(MP)와 탄성 혼합 파라미터(Me) 사이의 관계를 사용하여, 탄성 혼합 파라미터(Me=0.07)로부터 플라스틱 혼합 계수(MP=0.09)가 평가되었고, 이에 대응되는 무차원 유효 응력(σs)이 m=13에 기초하여 예측되었다. The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stic mixing coefficient (M P ) and the elastic mixing parameter (M e ), the plastic mixing coefficient (M P = 0.09) was evaluated from the elastic mixing parameter (M e = 0.07), and the corresponding The dimensionless effective stress (σ s ) was predicted based on m = 13.

최종적으로,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KM p)는 크랙 축을 기준으로 대응된 선들의 기울기 각도와 함께 실제 크랙 선단과 등색 ML 패턴에서의 선택된 프린지 루프 상의 몇 개의 점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었다. (872N 및 829N에 대해 각각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임)Finally,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K M p )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ctual crack tip and several points on the selected fringe loop in the isochromatic ML pattern along with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rresponding lines relative to the crack axis. there was. (For 872N and 829N respectively
Figure pat00046
And
Figure pat00047
being)

소성 영역 내에서의 등색 ML 등고선으로부터 획득된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의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해, 수식 6에 기초한 J-적분 방법을 사용하여 탄성 응력 확대 계수로부터 간접적으로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가 예측되었다.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obtained from the isochromatic ML contour in the firing region,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was predicted indirectly from the e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using the J-integration method based on Equation 6.

[방정식 6][Equation 6]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8

방정식 6에서, KI 및 K는 모드 I 탄성 응력 확대 계수 및 모드 Ⅱ 탄성 응력 확대 계수를 각각 나타내고, 이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α, σ0, Im은 재료 상수들로서, 각각 0.046, 30MPa의 항복응력 및 무차원 상수 0.9197이다. In Equation 6, K I and K II represent the mode I e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and the mode II e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respectively, which are listed in Table 2. And α, σ 0 , and I m are material constants, and yield stress and dimensionless constant of 0.9197 of 0.046 and 30 MPa, respectively.

하기 표 4에 ML 플라스틱 필드로부터 직접 측정된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KM p)와 탄성 응력 확대 계수로부터 간접적으로 예측된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KM pe)를 나타내었다.Table 4 below shows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K M p ) measured directly from the ML plastic field and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K M pe ) indirectly predicted from the e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m=3m = 3 ML methodML method J-integral methodJ-integral method Applied load (N)Applied load (N) KM p K M p KM pe K M pe 829829 0.730.73 0.810.81 872872 0.800.80 0.820.82

표 4를 참조하면, 탄성 원거리 필드로부터의 간접 예측된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KM pe)가 ML 플라스틱 필드로부터 직접 측정된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KM p)보다 조금 더 컸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편차는 11%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KM p와 KM pe 사이의 불일치는 탄성 응력 확대 계수와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크랙 선단들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특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원주 거리 및 대응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가상의 크랙 선단이 원점으로 간주되었으나, 플라스틱 특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원주 거리 및 대응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물리적 크랙 선단이 원점으로 간주되었다. 실제 크랙 선단의 적용이 탄성 응력 확대 계수를 결정할 때 수용할 수 없는 결과를 야기하는 것과 유사하게,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KM P) 등과 같은 플라스틱 특이성을 결정하는데 가상의 크랙 선단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수용할 수 없는 결과를 야기하였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Table 4, although the indirect predicted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K M pe ) from the elastic distal field was slightly larger than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K M p ) measured directly from the ML plastic field, their The deviation was found to be less than 11%. This discrepancy between K M p and K M pe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crack tip used to determine the e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and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Specifically, when measuring the circumferential distance and the corresponding angle to evaluate the elasticity specificity, the virtual crack tip was considered as the origin, but when measuring the circumferential distance and the corresponding angle to evaluate the plastic specificity, the physical crack tip It was considered the origin. Similar to the fact that the application of an actual crack tip causes unacceptable results when determining the e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when a hypothetical crack tip is applied to determine plastic specificity, such as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K M P ), This is because it has caused unacceptable results.

이상의 사항을 종합하면, ML 플라스틱 필드로부터 직접 유효하게 플라스틱 응력 확대 계수(KM p)가 측정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ummarizing the above,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K M p ) can be effectively measured directly from the ML plastic fiel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0: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
110: 촬상부 120: 이미지 처리부
130: 저장부 140: 연산처리부
150: 표시부
100: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110: imaging unit 120: image processing unit
130: storage unit 140: arithmetic processing unit
150: display unit

Claims (5)

압광(mechano-luminescence, ML) 페인트가 도포된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구조물에 대한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하는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에서,
상기 구조물에 대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부터 상기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초기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압광 발광 강도를 산출한 후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균열(crack)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구조물에 대한 누적 압광 강도에 따른 유효 응력 정보 및 상기 구조물의 재료 상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미지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
Figure pat00049
)를 산출하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
In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for calculating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for a structure where plastic deformation with mechano-luminescence (ML) paint applied occurs,
An imaging unit continuously capturing images at regular time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After receiving the images of the structure from the imaging unit, calculate a cumulative piezoelectric emission intensity from a preset initial time to the present, generate a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and analyze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to the structur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information required to calculate the existence of a crack and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A storage unit for storing effective str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strength of the structure and information about a material constant of the structur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tructure u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
Figure pat00049
), A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comprising a calculation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상기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초기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압광 발광 강도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이미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균열의 존재 여부 및 소성 응력 확대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에 균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균열의 첨단 부근에 위치하는 소성 변형 영역(plastic core field) 내에 위치하는 등색 프린지 패턴 상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 대한 극좌표(polar coordinate)를 생성하고, 상기 누적 압광 등강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크랙의 성장 방향을 파악한 후 이로부터 소성 혼합 파라미터(MP)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unit,
An image generating unit that receives the images of the structure imaged by the imaging unit and calculates a cumulative piezoelectric emission intensity from a preset initial time to the present, and then uses the image to generate a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And
And an image analysis unit that extracts first information necessary to calculate the existence of cracks and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s in the structure by analyzing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on unit,
When a crack is present in the structure, the image analysis unit may calculate polar coordinates for a first point located on an isochromatic fringe pattern located in a plastic core field located near the tip of the crack. Generating, determining the growth direction of the crack by using the cumulative piezoelectric intensity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the plastic mixing parameter (M P ),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하기 수식 1a 또는 수식 1b의 방정식에 적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소성 응력 확대 계수(
Figure pat00050
)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
[수식 1a]
Figure pat00051

[수식 1b]
Figure pat00052

상기 수식 1a 및 1b에서, σe 및 τxy는 각각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유효 응력’과 ‘유효 전단 응력’을 나타내고, 상기 r, θ 및 MP는 상기 제1 지점의 극좌표(polar coordinate) 성분들 및 상기 소성 혼합 파라미터를 각각 나타내고, σ0 및 m은 상기 구조물 재료의 항복 응력 및 변형강화 지수(strain hardening component)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53
는 θ, MP 및 m를 변수로 포함하는 무차원 유효 응력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54
이다.
According to claim 2,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is applied to the equations 1a or 1b below to calculate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tructure (
Figure pat00050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Equation 1a]
Figure pat00051

[Equation 1b]
Figure pat00052

In Equations 1a and 1b, σ e and τ xy represent 'effective stress' and 'effective shear stress' at the first point, respectively, and r, θ, and M P are polar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 Components and the plastic mixing parameters, respectively, σ 0 and m represent the yield stress and strain hardening component of the structure material,
Figure pat00053
Represents a dimensionless effective stress including θ, M P and m as variables,
Figure pat00054
to 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소성 응력 확대 계수(
Figure pat00055
)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
Figure pat00055
),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소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된 교량, 대형 공작 기기 또는 건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comprises a bridge, a large machine tool or a building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lastic deformation, plastic stress expansion coefficient calculation system.
KR1020180126266A 2018-10-22 2018-10-22 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KR1021654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66A KR102165498B1 (en) 2018-10-22 2018-10-22 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66A KR102165498B1 (en) 2018-10-22 2018-10-22 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35A true KR20200045335A (en) 2020-05-04
KR102165498B1 KR102165498B1 (en) 2020-10-14

Family

ID=7073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266A KR102165498B1 (en) 2018-10-22 2018-10-22 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49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016A (en) * 2018-10-30 2020-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evice for inspecting display device and inspectnig method thereof
KR20230064980A (en) * 2021-11-04 2023-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valuating the stability of the target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988A (en) * 2006-12-23 2008-06-26 오원웅 Safety check apparatus of bridge
KR101337896B1 (en) * 2011-11-08 2013-12-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afety diagnosis device for crack of installation and diagnosis method thereof using mechanoluminescence
KR101447833B1 (en) * 2013-09-25 2014-10-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measuring stress intensity fa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988A (en) * 2006-12-23 2008-06-26 오원웅 Safety check apparatus of bridge
KR101337896B1 (en) * 2011-11-08 2013-12-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afety diagnosis device for crack of installation and diagnosis method thereof using mechanoluminescence
KR101447833B1 (en) * 2013-09-25 2014-10-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measuring stress intensity fa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016A (en) * 2018-10-30 2020-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evice for inspecting display device and inspectnig method thereof
KR20230064980A (en) * 2021-11-04 2023-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valuating the stability of the target structure
WO2023080492A1 (en) * 2021-11-04 2023-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valuating stability of targe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498B1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owmik et al. An experimental approach for characterization of fracture process zone in concrete
Costa et al. A new method for prediction of nodular cast iron fatigue limit
US9128018B2 (en) Method for evaluating corrosion-fatigue life of steel material
Silva et al. Determination of cohesive laws in wood bonded joints under mode II loading using the ENF test
CN110532591A (en) Method based on DIC-EFG associative simulation analysis crack tip strain field
KR102165498B1 (en) System for calculating plastic stress intensity factor
Dellenbaugh et al. Development of a distortion-induced fatigue crack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CN113008669A (en) Method for dynamically monitoring stress intensity factor of crack tip
Hutson et al. Characterization of fretting fatigue crack initiation processes in CR Ti–6Al–4V
Moshtaghin et al.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longitudinal mechanical properties of clear timber: Random spatial variability and size effects
Surendranath et al. Recycled materials execution through digital image processing
Abshirini et al. Interaction of two parallel U-notches with tip cracks in PMMA plates under tension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Vasco-Olmo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CTOD in constant amplitude fatigue crack growth from crack tip displacement fields
Rigon et al. Analysis of dissipated energy and temperature fields at severe notches of AISI 304L stainless steel specimens
Nowell et al. Investigation of fatigue crack models by micro-scale measurement of crack tip deformation
Jia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mixed mode I–II fatigue crack propagation in concrete using a digital image correlation method
Chen et al. Fatigue behavior and digital image correlation monitoring of steel plates with mixed-mode edge cracks repaired with CFRP materials
CN108717063B (en) Quantitative measurement method for concrete damage
JP6543019B2 (en) Evaluation method of corrosion fatigue life of steel
Conrad et al. GPU-based digital image correlation system for uniaxial and biaxial crack growth investigations
CN209432829U (en) A kind of evaluating apparatus of cement base self-repair material repairing performance
Seitl et al. Williams' expansion‐based approximation of the displacement field in an Al 2024 compact tension specimen reconstructed from optical measurements
Hos et al. Measurement and simulation of strain fields around crack tips under mixed-mode fatigue loading
CN207882178U (en) A kind of concrete fracture assessment of impairments device
Šimonová et al. Detailed determination of mechanical fracture parameters of concrete after fire experi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