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267A - 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267A
KR20200045267A KR1020180126129A KR20180126129A KR20200045267A KR 20200045267 A KR20200045267 A KR 20200045267A KR 1020180126129 A KR1020180126129 A KR 1020180126129A KR 20180126129 A KR20180126129 A KR 20180126129A KR 20200045267 A KR20200045267 A KR 2020004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verter
output voltage
regenerative brak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9724B1 (en
Inventor
김돌로레스
민병선
김명철
서상철
양정모
유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724B1/en
Publication of KR2020004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7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60L2240/52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02T10/72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C/DC converter control method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mounted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first battery for driving a motor, a second battery for electric load, and a DC/DC convert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he DC/DC converter control method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comprises the steps of: controlling output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to first voltage as the vehicle enters a regenerative braking mode; changing an output voltage change rate of the DC/DC converter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when the termin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requested; and reduc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to second voltag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 방법{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BATTERY PACK, AND DC / 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배터리 팩,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DC / DC converter control method of a battery pack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최근 CO2 규제 등 환경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회사들은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이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lug-in Hybrid) 차량뿐만 아니라, 순수 전기 차량 또는 수소 차량에 대해 연구 및 제품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As environmental regulations such as CO2 regulations have recently been strengthened, interest in eco-friendly vehicles has increased. Accordingly, auto companies are actively researching and developing products for pure electric vehicles or hydrogen vehicles, as well as hybrid vehicles or plug-in hybrid vehicles.

친환경 차량에는 전기로 움직이는 구동 모터, 모터 구동용 메인 배터리, 전장 부하용 보조 배터리, 그리고 메인 배터리로부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컨버터 등이 장착된다. 친환경 차량에서 구동 모터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어 차량의 구동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량 감속이 필요한 상황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을 감속키면서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회생 제동(regenrative braking)이라고 한다. The eco-friendly vehicle is equipped with a motor driven by electricity, a main battery for driving the motor, an auxiliary battery for electric load, and a converter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from the main battery. In an eco-friendly vehicle, the driving motor is driven by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battery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needs to be decelerated, it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vehicle's driving direction to decelerate the vehicle while generating back EMF to generate the battery It can also be charged. As described above, charging the battery while decelerating the vehicle using the driving motor is referred to as regenerative braking.

친환경 차량에서 고전압인 메인 배터리와 저전압인 보조 배터리 사이에는 DC/DC 컨버터가 장착된다. 이러한 DC/DC 컨버터는 차량 제어기(Hybrid Control Unit, 또는 Vehicle Control Unit)로부터 요구 출력 전압 지령을 수신하며, 이를 토대로 메인 배터리의 고전압 출력을 요구 전압으로 변환하여 보조 배터리를 충전한다. 통상적으로, 차량 제어기는 메인 배터리의 충전 모드에서는 보조 배터리에 최대한 많은 에너지를 저장시키기 위해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상승시키고, 메인 배터리의 방전 모드에서는 메인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차량이 회생 제동 모드로 구동 중에는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상승하고, 회생 제동의 종료 시에는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하강한다. In an eco-friendly vehicle, a DC / DC converter is mounted between a high voltage main battery and a low voltage auxiliary battery. The DC / DC converter receives a required output voltage command from a vehicle control unit (Hybrid Control Unit, or Vehicle Control Unit), and on the basis of this, converts the high voltage output of the main battery to a required voltage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Typically, the vehicle controller increase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to store as much energy as possible in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charging mode of the main battery, and DC / in orde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battery in the discharge mode of the main battery.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converter is dropped. Therefore,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rises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decreases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finished.

긴 내리막 구간과 같이 타행 주행이나 브레이크 작동이 많은 상황에서 에너지 회생이 오래 유지되면, 메인 배터리가 완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메인 베터리가 완충되면 회생 제동을 종료하고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를 이용한 마찰 제동(friction brake)모드로 전환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회생 제동에서 마찰 제동으로 전환하는 구간은 토크 블렌딩(torque blending) 구간이라 한다. 이러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는 회생 제동에 의한 토크와 마찰 제동에 의한 토크의 합이 운전자가 느끼는 제동 토크가 될 수 있다. 이 때, 약간의 토크 변동만 있어도 운전자는 울컥거림(jerk)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는 이종(異種)의 토크에 대한 제어가 최대한 정밀하고 부드럽게 수행되어야 한다. When the energy regeneratio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lot of driving or braking such as a long downhill section, a situation in which the main battery is fully charged may occur. When the main battery is fully charged, the regenerative braking should be terminated and the brake brake pads should be used to switch to the friction brake mode. The section for switching from regenerative braking to friction braking is called a torque blending section. In this torque blending section, the sum of torque due to regenerative braking and torque due to friction braking may be a braking torque felt by the driver. At this time, even with slight torque fluctuations, the driver feels jerked. Therefore,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the control for the torque of the heterogeneous (異種) should be performed as precisely and smoothly a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회생 제동 종료 시 부드러운 토크 블렌딩 제어를 지원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capable of supporting smooth torque blending control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nd a DC / DC converter control method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용 제1배터리, 전장 부하용 제2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DC/DC 컨버터를 구비한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이 회생 제동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회생 제동 모드의 종료가 요청되면, 상기 제1배터리의 완충 여부에 따라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변화율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2전압까지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battery management system mounted on a vehicle having a first battery for driving a motor, a second battery for electric load, and a DC / DC convert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DC / DC converter control method, as the vehicle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to a first voltage, when the termin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requested, the first The method may include changing an output voltage change rate of the DC / DC converter according to whether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and reduc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to a second voltag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이면,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을 제1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anging step may include sett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a first value when the first battery is in a buffer state.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가 아니면,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을 상기 제1값보다 큰 제2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hanging step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a second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when the first battery is not in a buffer state.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또는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에 따라서, 상기 제1배터리의 완충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C / DC converter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according to a state of charge of the first battery or a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따라서 회생 제동 토크의 변화율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tep of chang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용 제1배터리, 전장 부하용 제2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DC/DC 컨버터를 구비한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은, 상기 차량이 회생 제동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으로 제어하고, 상기 회생 제동 모드의 종료가 요청되면, 상기 제1배터리의 완충 여부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되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2전압까지 감소시키는 제1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battery pack mounted in a vehicle having a first battery for driving a motor, a second battery for electric load, and a DC / DC convert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enter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is controlled to a first voltage, and when the termin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requested, the DC / DC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or not. It may include a first controller for reduc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to a second voltage based on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converter.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회생 제동 모드의 종료 요청 시 상기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이면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을 제1값으로 제어하고, 상기 회생 제동 모드의 종료 요청 시 상기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가 아니면,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을 상기 제1값보다 큰 제2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ler controls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a first value when the first battery is in a buffer state when requesting the termin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the first battery is in a buffer state when requesting the termin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therwise,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may be controlled to a second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상태 또는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배터리의 완충 여부를 판정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based on a state of charge of the first battery or a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may include the DC / DC converter.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기일 수 있다. The first controller may be a converte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상기 제1제어기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일 수도 있다. The first controller may b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회생 제동 종료 시 부드러운 토크 블렌딩 제어가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배터리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ooth torque blending control is possible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of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overcharged in th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차량의 제동 토크를 제어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의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illustrate examples of controlling a braking torque of a vehicle in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examples of controlling an output voltage of a DC / DC converter in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DC / DC converter control method in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실시 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이전 도면에 사용된 구성요소의 참조 번호를 다음 도면에서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embodiment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refore, reference numbers of components used in the previous drawings can be used in the following drawings.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실시 예들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 및 영역을 과장하여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cknesse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to clearly represent various layers and regions.

2개의 구성요소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는 것은 2개의 구성요소를 직접(directly) 연결할 경우뿐만 아니라,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서 연결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다른 구성요소는 스위치, 저항, 커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연결한다는 표현은, 직접 연결한다는 표현이 없는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Electrically connecting two components includes not only connecting two components directly, but also connecting two components via other components. Other components may include switches, resistors, capacitors, and the lik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expression “connecting” means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re is no expression of directly connecting.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제어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a DC / DC converte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실시 예를 명확하기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여 도시되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차량의 제동 토크를 제어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exemplary embodiment,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addition, FIGS. 2A and 2B illustrate examples of controlling a braking torque of a vehicle in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C / DC converter in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examples of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메인 배터리(110), 보조 배터리(120), DC/DC 컨버터(DC to DC converter)(130), 컨버터 제어기(140),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150), 차량 제어기(Hybrid Control Unit, 또는 Vehicle Control Unit)(160), 회생 제동 시스템(170), 및 마찰 제동 시스템(18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attery 110, an auxiliary battery 120, a DC / DC converter 130, and a converter controller 140 ),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150, a vehicle controller (Hybrid Control Unit, or Vehicle Control Unit) 160, a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and a friction braking system 180. have.

메인 배터리(110)는 차량의 구동 모터(미도시)로 구동 에너지(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로, 고전압 배터리이다. The main battery 110 is a battery for providing driving energy (electrical energy) to a driving motor (not shown) of the vehicle, and is a high voltage battery.

보조 배터리(120)는 차량의 전장 부하용 배터리로, 저전압 배터리이다. The auxiliary battery 120 is a battery for a vehicle's electric load, and is a low voltage battery.

DC/DC 컨버터(130)는 메인 배터리(110)와 보조 배터리(120) 사이에 연결되며, 메인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을 보조 배터리(120)의 충전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DC/DC 컨버터(130)는 메인 배터리(110)의 고전압 출력을 저전압으로 변환한 후, 보조 배터리(12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DC / DC converter 130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battery 110 and the auxiliary battery 120, and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main battery 110 into a charging voltage of the auxiliary battery 120. That is, the DC / DC converter 130 may convert the high voltage output of the main battery 110 to a low voltage, and then output it to the auxiliary battery 120.

컨버터 제어기(140)는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은 컨버터 제어기(140), BMS(150), 및 차량 제어기(160) 중 적어도 하나의 의해 결정되며, 차량의 주행 모드(회생 제동 모드, 마찰 제동 모드 등),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여부,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메인 배터리(110)의 전압, 고전압 전장부하의 구동여부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Here,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the BMS 150, and the vehicle controller 160, and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regenerative braking mode, friction braking mode) Etc.), whether the main battery 110 is charged,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main battery 110, the voltage of the main battery 110, whether it is driven based on whether or not the high voltage electric load is driven.

컨버터 제어기(140)는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모드에서는 보조 배터리(120)에 최대한 많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컨버터 제어기(140)는 메인 배터리(110)의 방전 모드에서는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모드일때보다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메인 배터리(11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 제어기(140)는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모드에서는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15V로 제어하고, 메인 배터리(110)의 방전 모드에서는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13V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모드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이라 명명하고, 메인 배터리(110)의 방전 모드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2전압'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In the charging mode of the main battery 110,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may increase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to store as much electrical energy as possible in the auxiliary battery 120. On the other hand,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reduce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discharge mode of the main battery 110 than in the charging mode of the main battery 110, thereby consuming power of the main battery 110. Can be minimized. For example,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to 15V in the charging mode of the main battery 110 and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discharge mode of the main battery 110. ) Output voltage of 13V can be controll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charging mode of the main battery 110 is referred to as a 'first voltage', and DC / DC in the discharge mode of the main battery 110 is described. The output voltage of the converter 130 is called 'second voltage' and used.

차량이 회생 제동 모드로 주행 중인 상태에서, 차량의 구동 모터는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메인 배터리(110)를 충전한다. 따라서, 차랑이 회생 제동 모드로 주행 중에는 메인 배터리(11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고, 컨버터 제어기(140)는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컨버터 제어기(140)는 이후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운전자 조작(브레이크 페달 또는 가속 페달 조작 등) 등으로 인해 회생 제동 모드가 종료되면,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2전압으로 변경한다.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generates a back EMF to charge the main battery 110. Therefore, the main battery 110 is operated in the charging mode while driving in the vehicular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can control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to the first voltag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terminated due to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the driver's operation (such as a brake pedal or an accelerator pedal),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set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to a second voltage. Changes to

한편, 컨버터 제어기(140)는 회생 제동 종료 상황이 발생하면,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에서 제2전압으로 즉시 변경하는 대신,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에서 제2전압으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의 변화율(출력 전압 변화 기울기)은,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은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해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차량의 제동 토크는 회생 제동 시스템(170)에 의해 발생된 제동 토크(이하, '회생 제동 토크'라 칭함)에서 마찰 제동 시스템(180)에 의해 발상된 제동 토크(이하, '마찰 제동 토크'라 칭함)로 점차적으로 전환된다. 본 문서에서는, 차량의 제동 토크가 회생 제동 토크에서 마찰 제동 토크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회생 제동 토크와 마찰 제동 토크가 블렌딩되어 차량의 제동 토크를 형성하는 구간을 '토크 블렌딩 구간'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Meanwhil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termination situation occurs,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immediately change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from the first voltage to the second voltage, instead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t may have an interval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voltage to the second voltage. At this time,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the slope of the change in the output voltage) may be different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110. In this document,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represents a rate at which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changes with tim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the braking torque of the vehicle is the friction braking system 180 from the braking torque generated by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generative braking torque') ) Is gradually converted to the braking torq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iction braking torque'). In this document,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braking torque of the vehicle from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to the friction braking torque, the section in which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and the friction braking torque are blended to form the braking torque of the vehicle is referred to as a 'torque blending section'. do.

차량의 제동 토크가 회생 제동 토크에서 마찰 제동 토크로 전환되는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 운전자가 느끼는 차량의 제동 토크는, 회생 제동 토크와 마찰 제동 토크의 합에 대응한다. 따라서, 토크 블렌딩 구간동안 회생 제동 토크와 마찰 제동 토크 간의 평형이 깨질 경우 차량의 제동 토크에 변동이 발생하고, 약간의 제동 토크 변동만으로도 운전자는 울컥거리는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이질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종(異種)의 제동 토크에 대한 제어가 최대한 정밀하고 부드럽게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회생 제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회생 제동 시스템(170)의 액츄에이터와 마찰 제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마찰 제동 시스템(180)의 액츄에이터는 서로 반응성이 달라 정밀하게 하나의 제동 토크를 만들기 쉽지 않다. 특히, 토크 블렌딩 구간이 짧을수록 두 제동 토크의 평형을 유지하는 제어가 더욱 어렵다.The braking torque of the vehicle felt by the driver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in which the braking torque of the vehicle is converted from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to the friction braking torque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and the friction braking torque. Accordingly, when the balance between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and the friction braking torque is broken during the torque blending section, a fluctuation occurs in the braking torque of the vehicle, and even with a slight braking torque fluctuation, the driver can feel a crying heterogeneity. In order to prevent such a feeling of heterogeneity, the control of the braking torque of the different species should be performed as precisely and smoothly as possible. However, the actuators of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generating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and the actuators of the friction braking system 180 generating the friction braking torqu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not easy to make precisely one braking torque. In particular, the shorter the torque blending section, the more difficult it is to maintain balance between the two braking torque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해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회생 제동 시스템(170)에 요구되는 요구 토크의 변화율(변화 기울기)을, 다른 이유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회생 제동 시스템(170)에 요구되는 요구 토크 변화율보다 작게 제어하여,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으로 차량의 제동 토크가 회생 제동 토크에서 마찰 제동 토크로 전환되는 경우의 토크 블렌딩 구간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토크 변화율은 대응하는 토크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Therefore, in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the change rate (change slope) of the required torque required for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for another reason,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is controlled to be smaller than the required torque change rate, the vehicle's braking torque is converted from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to the friction braking torque by buffering the main battery 110. It can increase the length of the torque blending section. In this document, the rate of torque change refers to the rate at which the corresponding torque changes with time.

도 2a는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해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의 제동 토크 변화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이 아닌 다른 이유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의 제동 토크 변화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해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의 회생 제동 토크의 변화율(TR1)은, 다른 이유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의 회생 제동 토크의 변화율(TR2)보다 작도록 제어되며, 이로 인해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해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의 토크 블랜딩 구간은, 다른 이유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의 토크 블랜딩 구간보다 길어질 수 있다. FIG. 2A shows an example of a change in braking torqu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and FIG. 2B is a case where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for reasons other than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It is shown as an example of a change in braking torque. 2A and 2B, the rate of chang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TR1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is the rate of chang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for another reason ( It is controlled to be smaller than TR2), whereby the torque blending period when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may be longer than the torque blending period when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for other reasons.

회생 제동 종료 시, 회생 제동 시스템(170)과 마찰 제동 시스템(180)에 요구되는 요구 토크는, 차량 제어기(16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160)는 회생 제동 시스템(170)과 마찰 제동 시스템(180)의 요구 토크(또는 요구 토크 변화율)가 결정되면, 이에 대응하여 회생 제동 시스템(170)과 마찰 제동 시스템(180)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회생 제동 시스템(170)과 마찰 제동 시스템(180)으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regenerative braking, the required torque required for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and the friction braking system 180 may be set by the vehicle controller 160. When the required torque (or the required torque change rat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and the friction braking system 180 is determined, the vehicle controller 160 responds correspondingly to the actuators of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and the friction braking system 180.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may be output to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and the friction braking system 180, respectively.

한편, 회생 제동 토크의 변화율(기울기)을 조정하여 토크 블렌딩 구간을 증가시키는 것은, 회생 제동 시간을 증가시켜 메인 배터리(110)의 과충전이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차량의 안전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creasing the torque blending section by adjusting the rate of change (tilt) of the regenerative braking torque may increase the regenerative braking time to cause overcharging of the main battery 110, which may lead to safety problems in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회생 제동 종료 상황이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한 것이면, 회생 제동 시스템(170)에 요구되는 요구 토크의 변화율 제어를 통해 토크 블렌딩 구간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하강 기울기)을 완만하게 조정하여, 메인 배터리(110)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생 제동 종료 상황이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한 경우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VR1)은, 다른 이유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VR2)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으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회생 제동을 종료하는 과정에서 보조 배터리(120)의 충전에 사용되는 에너지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토크 블렌딩 구간 증가시키더라도 메인 배터리(110)의 과충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으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토크 블렌딩 구간의 증가로 부드러운 토크 블렌딩 제어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토크 블렌딩 구간의 증가로 인해 메인 배터리(110)가 과충전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generative braking end situation is due to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torque blending through the control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required torque required for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interval,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falling slop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s gently adjusted to prevent overcharging of the main battery 110. Referring to FIG. 3,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VR1 of the DC / DC converter 130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end condition is caus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is DC / DC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for another reason. It may be set smaller than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VR2 of the converter 130. Accordingly,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the energy used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120 increases in the process of terminating the regenerative braking, thereby increasing the torque blending period. Overcharge of the battery 110 may be prevented. Therefor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not only the smooth torque blending control is possible due to the increase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but also the prevention of the overcharging of the main battery 110 due to the increase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can do.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여부는, BMS(150)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BMS(150)는 메인 배터리(110)의 SOC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메인 배터리(110)의 전압이 임계치 이상이면, 메인 배터리(110)가 완충 상태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반면에, BMS(150)는 메인 배터리(110)의 SOC가 임계치 미만이고, 메인 배터리(110)의 전압 또한 임계치 미만이면, 메인 배터리(110)가 완충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계치는,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상태에 대응하여 설정된 SOC 값 및 전압값일 수 있다. Whether or not the main battery 110 is fully charged may be determined by the BMS 150. If the SOC of the main battery 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or the voltage of the main battery 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BMS 150 may determine that the main battery 110 is in a fully charged state. On the other hand, if the SOC of the main battery 110 is less than a threshold, and the voltage of the main battery 110 is also below a threshold, the BMS 150 may determine that the main battery 110 is not in a fully charged state. Here, the threshold valu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main battery 110 is fully charged may be an SOC value and a voltage value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fully charged state of the main battery 110.

회생 제동 종료 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은, 컨버터 제어기(1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회생 제동 종료 시, 컨버터 제어기(140)는 BMS(150)로부터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판정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may be determined by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That is, at the end of the regenerative braking,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receives the result of the buffer determination of the main battery 110 from the BMS 150, and based on this,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Can decide.

회생 제동 종료 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은, BMS(150)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BMS(150)는 회생 제동 종료 시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판정 결과에 따라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BMS(150)는 결정된 전압 변화율 목표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컨버터 제어기(140)로 전달하고, 컨버터 제어기(140)는 BMS(150)에 의해 결정된 전압 변화율 목표치에 기초하여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may be determined by the BMS 150. That is, the BMS 150 may determine the target value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buffering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ain battery 110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In this case, the BMS 1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to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based on the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determined by the BMS 150.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can be controlled.

회생 제동 종료 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은, 차량 제어기(140)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차량 제어기(140)는 회생 제동 종료 시의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판정 결과를 BMS(15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제어기(160)는 결정된 전압 변화율 목표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컨버터 제어기(140)로 전달하고, 컨버터 제어기(140)는 차량 제어기(160)에 의해 결정된 전압 변화율 목표치에 기초하여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may be determined by the vehicle controller 140. That is, the vehicl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buffer of the main battery 110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from the BMS 150, and based on this, the target value of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Can decide. In this case, the vehicle controller 160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to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and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torque blending based on the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determined by the vehicle controller 160. An output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section may be set, and based on this, an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may be controlled.

한편, BMS(150)와 차량 제어기(160)는 상황에 따라 DC/DC 컨버터(150)의 출력 전압 또는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각각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컨버터 제어기(140)로 각각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BMS(150)와 차량 제어기(160)로부터 전압 변화율에 대한 제어 신호를 모두 수신한 컨버터 제어기(140)는,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BMS(150)는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여부, 메인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SOC), 메인 배터리(110)의 전압 등을 토대로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버터 제어기(140)로 전압 변화율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160)는 차량의 주행 상태, 고전압 전장 부하의 구동 여부 등을 토대로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버터 제어기(140)로 전압 변화율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BMS(150)와 차량 제어기(160)로부터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또는 전압 변화율 목표치에 모두 수신한 컨버터 제어기(140)는 기 설정된 선택 조건에 따라서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해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BMS(150)는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값에 비해 낮추어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컨버터 제어기(14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160)는 회생 제동 종료 시 배터리(110)의 완충 여부와 상관 없이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값을 전압 변화율 목표치로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컨버터 제어기(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버터 제어기(140)는 기 설정된 선택 조건에 따라 BMS(15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우선순위를 두어, BMS(150)로부터 수신되는 전압 변화율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MS 150 and the vehicle controller 160 may respectively determine the output voltage or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of the DC / DC converter 150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may respectively transmit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have. Accordingly,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which has received both control signals for the rate of voltage change from the BMS 150 and the vehicle controller 160, selects one of them and DC / DC converter 130 based on the selected control signal. ) Can control the output voltage. In this case, the BMS 150 is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based on whether the main battery 110 is charged,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main battery 110, the voltage of the main battery 110, and the like. The target value may be determined, and a control signal for the rate of voltage chan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correspondingly.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based o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whether the high voltage electric field load is driven, and the like, and determines the voltage change rate to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in response. Control signal.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receiving both the output voltage or the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from the BMS 150 and the vehicle controller 160 may select one of the two according to a preset selection condition. For exampl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the BMS 150 sets the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lower than the default value set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and converts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t can be output to the controller 140.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ler 160 sets the value set as the default value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to the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regardless of whether the battery 110 is fully charged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and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Can print In this case,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prioritize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BMS 150 according to a preset selection condition, an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or the rate of voltage change received from the BMS 15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can be controlled.

회생 제동 시스템(170)은 차량을 감속시키면서 메인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회생 제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회생 제동 시스템(170)은 차량의 구동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생 제동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며, 차량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이를 제어함으로써 회생 제동 토크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is a system that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to charge the main battery 110 while decelerating the vehicle.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includes an actu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regenerative braking torque using a driving motor (not shown) of the vehicle, and controls it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ler 160. The output of regenerative braking torque can be controlled.

마찰 제동 시스템(180)은 마찰력에 위해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마찰 제동 시스템(180)은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 등을 제어하여 마찰 제동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며, 차량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이를 제어함으로써 마찰 제동 토크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friction braking system 180 is a system for decelerating a vehicle for frictional force. The friction braking system 180 includes an actu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friction braking torque by controlling a brake disc pad, etc., and controlling the friction braking torque by controlling it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ler 160. The output can be controlled.

전술한 차량 제어 시스템(100)에서 BMS(150)는, 메인 배터리(110) 및 보조 배터리(120) 중 적어도 하나와 패키징되어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BMS(150)는 컨버터 제어기(140)와 하나의 배터리 팩 내에 패키징 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described above, the BMS 150 may be packaged with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110 and the auxiliary battery 120 to configure a battery pack. Also, the BMS 150 may be packaged in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and one battery pack.

한편, 도 1에서는 컨버터 제어기(140)가 차량 내 BMS(150) 및 차량 제어기(160)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버터 제어기(140)의 기능은, BMS(150) 또는 차량 제어기(16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1, a case where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is separately present in the vehicle BMS 150 and the vehicle controller 160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unction of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BMS 150 or the vehicle controller 16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DC / DC converte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이 회생 제동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S100),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도 4의 V1 참조)으로 제어한다(S110).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of a vehicle receive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as a first voltage as the vehicle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S100). (See V1 in FIG. 4) (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이 회생 제동 모드로 동작을 시작하면,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을 제2전압(도 4의 V2 참조)에서 제1전압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In step S110, when the vehicle starts operating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gradually increase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from the second voltage (see V2 in FIG. 4) to the first voltage. Can be increased.

이후, 회생 제동 종료가 요청되고(S120), 이 때의 메인 배터리(110)가 완충 상태이면(S130), 차량의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토크 블렌딩 구간을 증가시키고,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을 제1값으로 제어한다(S140).Then,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end is requested (S120), and the main battery 110 at this time is fully charged (S130),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of the vehicle increases the torque blending section, and DC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 Control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converter 130 to the first value (S140).

한편, 상기 S130 단계에서,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여부는, 메인 배터리(110)의 SOC 또는 전압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배터리(110)의 SOC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메인 배터리(110)의 전압이 임계치 이상이면, 메인 배터리(110)가 완충 상태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메인 배터리(110)의 SOC가 임계치 미만이고, 메인 배터리(110)의 전압이 임계치 미만이면, 메인 배터리(110)는 완충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Meanwhile, in step S130, whether the main battery 110 is fully charged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OC or voltage of the main battery 110 with a threshold value. For example, if the SOC of the main battery 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or if the voltage of the main battery 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main battery 110 may be determined to be in a fully charged state. Further, for example, if the SOC of the main battery 110 is less than the threshold, and the voltage of the main battery 110 is less than the threshold, the main battery 110 may be determined to be not in a fully charged state.

상기 S140 단계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 제어기(160)를 통해 회생 제동 시스템(170)의 요구 토크 변화율(도 2a의 TR1 참조)을 감소시킴으로써, 회생 제동 종료 과정에서의 토크 블렌딩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step S140,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reduces the required torque change rat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see TR1 in FIG. 2A) through the vehicle controller 160, thereby reducing the torque blending period in the regenerative braking end process. Can be increased.

한편, 차량의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회생 제동 종료가 요청되고(S120), 이 때의 메인 배터리(110)가 완충 상태가 아니면(S130), 회생 제동 종료 과정에서의 토크 블렌딩 구간을 노멀 상태로 제어하고,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을 제1값보다 큰 제2값으로 제어한다(S150). Meanwhile,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of the vehicle is requested to end the regenerative braking (S120), and if the main battery 110 at this time is not fully charged (S130), the torque blending section in the regenerative braking termination process is normal. And control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to a second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S150).

상기 S150 단계에서, 노멀 상태의 토크 블렌딩 구간은 상기 S140 단계에서의 토크 블렌딩 구간보다 그 길이가 짧게 설정된다. 즉, 상기 S150 단계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 제어기(160)를 통해 회생 제동 시스템(170)의 요구 토크 변화율을 상기 S140 단계에서보다 증가된 값(도 2b의 TR2 참조)으로 설정함으로써, 토크 블렌딩 구간을 상기 S140 단계에서보다 짧게 제어한다. In step S150, the normal length of the torque blending period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torque blending period in step S140. That is, in step S150,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sets the required torque change rat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through the vehicle controller 160 to an increased value (refer to TR2 in FIG. 2B) than in the step S140. , The torque blending section is controlled to be shorter than in step S140.

상기 S150 단계에서, 제2값은 제1값에 큰 작은 값일 수 있다. 즉,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은, 변화율이 제1값으로 변화할 때가 변화율이 제2값으로 변화할 때보다 완만하게 하강할 수 있다. In step S150, the second value may be a small value that is large to the first value. That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may drop gently when the rate of change changes to the first value than when the rate of change changes to the second value.

상기 S140 단계 및 S150 단계에서,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은 컨버터 제어기(140), BMS(150), 및 차량 제어기(16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In steps S140 and S150,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may be determined by any one of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the BMS 150, and the vehicle controller 160.

예를 들어, 회생 제동 종료 시, 컨버터 제어기(140)가 BMS(150)로부터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판정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receives the result of the buffer determination of the main battery 110 from the BMS 150, and based on thi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The rate of change can be determined.

또한, 예를 들어, 회생 제동 종료 시, BMS(150)가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판정 결과에 따라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Further, for example,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the BMS 150 may determine the target value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buffer determination of the main battery 110.

또한, 예를 들어, 회생 제동 종료 시, 차량 제어기(140)가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 판정 결과를 BMS(15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의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Further, for example,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the vehicl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buffer of the main battery 110 from the BMS 150, and based on this, the DC / DC converter 130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또한, 예를 들어, 회생 제동 종료 시, BMS(150)와 차량 제어기(160)가 DC/DC 컨버터(150)의 출력 전압 또는 출력 전압 변화율 목표치를 각각 결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컨버터 제어기(140)로 출력하면, 컨버터 제어기(140)가 기 설정된 선택 조건에 따라서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해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컨버터 제어기(140)는 기 설정된 선택 조건에 따라 BMS(15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BMS(15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는,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값에 비해 낮게 설정된 출력 전압 변화율(제1값)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이 아닌 다른 이유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컨버터 제어기(140)는 차량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제어기(16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는, 토크 블렌딩 구간에서 디폴트로 출력 전압 변화율(제2값)에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at the end of regenerative braking, the BMS 150 and the vehicle controller 160 determine the output voltage or output voltage change rate target value of the DC / DC converter 150, respectively, and convert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converter controller ( 140,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may select one of them according to a preset selection condition. When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may select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BMS 150 according to a preset selection condi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BMS 150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the first value) set lower than the default value in the torque blending perio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for any reason other than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the converter controller 140 may select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ler 160.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ler 160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second value) by default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회생 제동 종료 상황이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에 의한 것이면, 회생 제동 시스템(170)에 요구되는 요구 토크의 변화율 제어를 통해 토크 블렌딩 구간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DC/DC 컨버터(130)의 출력 전압 변화율(하강 기울기)을 완만하게 조정한다. 이에 따라, 메인 배터리(110)의 완충으로 회생 제동이 종료되는 경우, 토크 블렌딩 구간의 증가로 부드러운 토크 블렌딩 제어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토크 블렌딩 구간의 증가로 인해 메인 배터리(110)가 과충전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0 torques through the control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required torque required for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70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end situation is due to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blending period, the output voltage change rate (falling slope) of the DC / DC converter 130 is gently adjusted. Accordingly,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is terminated by the buffering of the main battery 110, not only the smooth torque blending control is possible due to the increase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but also the main battery 110 is overcharg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torque blending section. Can be prevented.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rawings referenced so far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cribed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It is not.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차량 제어 시스템
110: 메인 배터리
120: 보조 배터리
130: DC/DC 컨버터
140: 컨버터 제어기
150: BMS
160: 차량 제어기
170: 회생 제동 시스템
180: 마찰 제동 시스템
100: vehicle control system
110: main battery
120: auxiliary battery
130: DC / DC converter
140: converter controller
150: BMS
160: vehicle controller
170: regenerative braking system
180: friction braking system

Claims (9)

모터 구동용 제1배터리, 전장 부하용 제2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DC/DC 컨버터를 구비한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회생 제동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회생 제동 모드의 종료가 요청되면, 상기 제1배터리의 완충 여부에 따라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변화율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2전압까지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In the DC / DC converter control method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mounted on a vehicle having a first battery for driving a motor, a second battery for electric load, and a DC / DC convert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to a first voltage as the vehicle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the termin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requested, changing an output voltage change rate of the DC / DC converter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and
And reduc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to a second voltage based on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이면,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을 제1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hanging,
And when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sett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a first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가 아니면,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을 상기 제1값보다 큰 제2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changing,
And if the first battery is not fully charged, sett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a second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또는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에 따라서, 상기 제1배터리의 완충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according to a state of charge of the first battery or a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모터 구동용 제1배터리, 전장 부하용 제2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DC/DC 컨버터를 구비한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회생 제동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1전압으로 제어하고, 상기 회생 제동 모드의 종료가 요청되면, 상기 제1배터리의 완충 여부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되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2전압까지 감소시키는 제1제어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 battery pack mounted in a vehicle having a first battery for driving a motor, a second battery for electric load, and a DC / DC convert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When the vehicle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is controlled to a first voltage, and when the termin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requested, the DC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or not. A battery pack including a first controller that reduce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to a second voltage based on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 DC conver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회생 제동 모드의 종료 요청 시 상기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이면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을 제1값으로 제어하고, 상기 회생 제동 모드의 종료 요청 시 상기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가 아니면, 상기 출력 전압 변화율을 상기 제1값보다 큰 제2값으로 제어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troller controls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a first value when the first battery is in a buffer state when requesting the termin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the first battery is in a buffer state when requesting to end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therwise, the battery pack for controll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a second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상태 또는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배터리의 완충 여부를 판정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5,
The battery pack further include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fully charged based on a state of charge of the first battery or a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기인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ontroller is a battery pack that is a converte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 / DC conver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기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인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troller is a battery pack that i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20180126129A 2018-10-22 2018-10-22 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26197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29A KR102619724B1 (en) 2018-10-22 2018-10-22 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29A KR102619724B1 (en) 2018-10-22 2018-10-22 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267A true KR20200045267A (en) 2020-05-04
KR102619724B1 KR102619724B1 (en) 2023-12-28

Family

ID=7073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29A KR102619724B1 (en) 2018-10-22 2018-10-22 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7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724A (en) 2021-12-06 2023-06-13 (주)에너캠프 Scale up and down modular batter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559A (en) * 2013-06-04 2014-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LDC in regenerative braking of eco-friendly vehicle
KR20180022127A (en) * 2016-08-23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utput of low voltage DC-DC converter in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
KR20180039564A (en)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verter in hybrid vehicle
KR20180057277A (en) * 2016-11-22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e coope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559A (en) * 2013-06-04 2014-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LDC in regenerative braking of eco-friendly vehicle
KR20180022127A (en) * 2016-08-23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utput of low voltage DC-DC converter in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
KR20180039564A (en)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verter in hybrid vehicle
KR20180057277A (en) * 2016-11-22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e cooper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724A (en) 2021-12-06 2023-06-13 (주)에너캠프 Scale up and down modular batt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724B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088B2 (en) Speed control device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speed control device
KR102574116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EP2439094A1 (en) Clutch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CN107826099B (en)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RU2714094C1 (en) Method of torque control and torque control device
US10946761B2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GB2368664A (en) "Engine braking feel" for an electric motor of a hybrid powertrain
EP3121055B1 (en) Regenera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11505071B2 (en)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method and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EP2548779A2 (en) Control unit for hybrid vehicle
JP6626519B2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12092789B (en) Vehicle brake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vehicle
JP2021098402A (en)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control method
KR102619724B1 (en) Battery pack, and dc/dc conveter control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JP3721838B2 (en) Regenerative power control device
JP5961558B2 (e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JP2019199098A (en)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CN113556075A (en) Motor torque control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equipment
KR20170044526A (e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202000498A (en)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electric vehicles
KR101000405B1 (en)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for parallel HEV
JP2005170143A (en) Drive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CN114430719B (en) vehicle braking device
JP2020145840A (en) Control device, power unit, vehicle, and control method
CN110682797A (en) Brake recharging control method of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