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736A -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736A
KR20200044736A KR1020200014937A KR20200014937A KR20200044736A KR 20200044736 A KR20200044736 A KR 20200044736A KR 1020200014937 A KR1020200014937 A KR 1020200014937A KR 20200014937 A KR20200014937 A KR 20200014937A KR 20200044736 A KR20200044736 A KR 20200044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ed
receiving device
contents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396B1 (ko
Inventor
권예은
강예영
정희용
안혜정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1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et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 장치에 노출하며, 노출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 리스트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질병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질병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컨텐츠 타입 별로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Description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RECEIVING APPARATUS FOR INTERNET PROTOCOL TELEVISION(IPTV)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건강 프로그램들이 방송된다. 하지만, 시청자들은 원하는 주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을 찾기가 어렵다. 특히, 시니어(senior) 시청자인 경우, IPTV를 조작하는 것이 어려워,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기가 더욱 어렵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5927호(발명의 명칭: IPTV를 통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출원인: SK 텔레콤)가 있다. 해당 공개특허공보에는 IPTV를 이용하여 독거 노인과 같이 홀로 계신 분들이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건강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측에 따른 수신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표시 장치에 노출하며, 상기 노출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 리스트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질병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질병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컨텐츠 타입 별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들 각각의 명칭을 상기 표시 장치의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선택된 질병의 명칭을 상기 제1 영역의 최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컨텐츠 타입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각 컨텐츠 타입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들 각각은 상기 신체 부위의 각 컨텐츠 타입으로 분류되도록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해 병원에서 제작된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다큐멘터리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예능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피트니스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및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의사 정보의 대표 이미지 각각을 상기 표시된 질병 리스트의 인접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셋탑 박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표시 장치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 리스트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질병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질병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컨텐츠 타입 별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병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들 각각의 명칭을 상기 표시 장치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병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선택된 질병의 명칭을 상기 제1 영역의 최상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각 컨텐츠 타입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각 컨텐츠 타입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들 각각은 상기 신체 부위의 각 컨텐츠 타입으로 분류되도록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해 병원에서 제작된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다큐멘터리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예능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피트니스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및 상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의사 정보의 대표 이미지 각각을 상기 표시된 질병 리스트의 인접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셋탑 박스에 해당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기록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기존 건강 프로그램에 신뢰를 잃은 시니어에게 병원에서 제작한 공신력 있는 의학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건강 관련 컨텐츠들을 주제 별로 편성함으로써 시니어가 관심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100)은 수신 장치(110) 및 표시 장치(120)를 포함한다.
수신 장치(110) 및 표시 장치(120) 각각은 별개의 물리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에 해당할 수 있다. 셋탑 박스는 셋탑 단말 또는 셋탑 장치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20)는, 예를 들어, TV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 장치(110) 및 표시 장치(120)는 하나의 장치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110)는 시니어(senior)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여러 메뉴들(예를 들어, 건강 메뉴, 여행 메뉴 등)을 포함한다. 수신 장치(110)는 표시 장치(12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 장치(120)에 노출한다. 수신 장치(110)는 표시 장치(120)에 노출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 리스트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 수신 장치(110)는 표시된 질병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질병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예를 들어, 포스터)를 컨텐츠 타입 별로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PTV 시스템(100)은 신체 부위들(대분류), 각 신체 부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질병(중분류), 각 신체 부위의 하나 이상의 질병에 관한 컨텐츠의 타입(소분류) 별 대표 이미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IPTV 시스템(100)은 대분류에 해당하는 신체 부위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특정 신체 부위의 선택이 있는 경우, 중분류에 해당하는 각 신체 부위의 하나 이상의 질병을 표시하며, 특정 질병의 선택이 있는 경우, 소분류에 해당하는 컨텐츠 타입 별로 각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 장치(12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PTV 시스템(100)은 사용자(예를 들어, 시니어 시청자로, 나이가 55세 이상인 사용자)가 관심 질환에 대한 컨텐츠 또는 건강 주제별 컨텐츠를 쉽게 찾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110)는 표시 장치(120)에 IPTV 서비스의 화면 정보를 출력한다. 도 2a에 도시된 화면은 표시 장치(120)에 출력된 화면 정보에 해당한다.
화면 정보는 복수의 서비스 메뉴들(210-1 내지 210-7)을 포함한다. 일례로, 도 2a에 도시된 예와 같이, 화면 정보는 영화에 관한 "영화 메뉴(210-1)",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TV 다시 보기 메뉴(210-2)", 애니메이션에 관한 "애니메이션 메뉴(210-3)", 다큐 및/또는 공연에 관한 "다큐/공연 메뉴(210-4)", TV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TV 앱 메뉴(210-5)", 키즈(kids)를 위한 "아이들 나라 메뉴(210-6)", 및 시니어를 위한 "시니어 서비스 메뉴(210-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도 2a에 도시된 시니어 서비스 메뉴(210-7)를 선택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이러한 선택을 감지하여 진입 화면 정보를 표시 장치(120)에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120)에 출력된 진입 화면 정보의 일례가 도 2b에 도시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의 텍스트가 표시 장치(120)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110)는 시간대에 맞는 텍스트를 표시 장치(120)에 출력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시간대 및 텍스트의 일례를 보여준다.
시간대 텍스트(인사말)
06~10시 좋은 날, 좋은 아침입니다.
10~12시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12~13시 맛있는 점심 드시고 힘내세요.
13~17시 차 한잔과 함께 여유로운 오후를 보내 보세요.
17~20시 즐거운 저녁 시간 되세요.
20~24시 하루를 차분하게 마무리해보세요.
24~06시 잠 못 드는 새벽, 시니어 TV와 함께해보세요.
특정일(예를 들어, 크리스마스, 명절, 생일 등)의 경우, 수신 장치(110)는 특정 문구를 위 표 1의 텍스트보다 우선적으로 표시 장치(120)에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추석 오전 9시에 "시니어 서비스 메뉴(210-7)"로 진입된 경우, 수신 장치(110)는 "즐거운 한가위 보내세요"의 텍스트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보다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진입 화면은 특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5초 동안) 표시 장치(120)에 표시될 수 있다. 특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수신 장치(110)는 시니어 서비스의 복수의 배경 영상들 중 하나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고 복수의 메뉴들을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배경 영상들 각각은 시청자에게 정신적 안정감을 주는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배경 영상들 각각은 자연을 촬영한 영상 및 해당 자연의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20)에 바다를 촬영한 배경 영상과 시니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60)가 표시된다. 달리 표현하면, 표시 장치(120)에 바다를 촬영한 배경 영상이 재생되고 재생 화면 위에 복수의 메뉴들(260-1 내지 260-6)이 표시된다. 이 때, 파도 소리 등 자연의 소리도 출력된다. 이러한 소리는 시청자의 뇌의 알파파 활성화를 도와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배경 영상과 사운드를 감상하고 있으면, 심신에 안정을 느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2c에 도시된 배경 영상은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30분) 동안 재생될 수 있다. 해당 배경 영상의 길이가 30분 미만인 경우, 수신 장치(110)는 해당 배경 영상을 반복 재생하여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해당 배경 영상의 길이가 5분인 경우, 해당 배경 영상은 미리 정해진 시간 30분이 경과하기 전까지 6번 반복 재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 복수의 배경 영상들 중 표시 장치(120)에서 재생되는 배경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배경 영상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재생하여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예에서, 수신 장치(110)는 바다를 촬영한 배경 영상의 재생 시간(또는 반복 재생 시간)이 30분을 경과하면, 다른 배경 영상을 선택하여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장치(110)는 다른 배경 영상으로 전환할 때 시청자가 끊기는 느낌을 받지 않도록 애니메이션 효과를 표시 장치(120)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110)는 배경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복수의 메뉴들(260-1 내지 260-6) 중 다른 메뉴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해당 배경 영상의 재생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특정 시간이 경과한 후 힐링 메뉴(260-1)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기록된 재생 시간과 특정 시간의 합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장치(110)는 기록된 재생 시간과 특정 시간의 합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배경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고 기록된 재생 시간과 특정 시간의 합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배경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예에서, 수신 장치(110)는 배경 영상이 10분 동안 재생한 시점에 건강 메뉴(260-2)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다고 하자. 이 경우, 수신 장치(110)는 배경 영상의 재생 시간 10분을 기록할 수 있다. 15분 후 수신 장치(110)는 힐링 메뉴(260-1)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배경 영상의 재생 시간 10분과 15분의 합에 해당하는 25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인 30분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해당 배경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수신 장치(110)가 25분 후에 제1 메뉴(260-1)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배경 영상의 재생 시간 10분과 25분의 합에 해당하는 35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인 30분을 초과하므로, 다른 배경 영상을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정보 전달 영역(230)에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는, 예를 들어, 명언, 및 사자성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생활 정보 영역(240)에 생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생활 정보는, 예를 들어, 시간 정보, 날짜 정보, 날씨 정보, 및 날씨와 관련된 문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설명 영역(250)에 표시 장치(120)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라지게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예와 같이, 설명 영역(250)에 "리모컨 녹색키를 누르시면 정보들이 사라져요"의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시청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녹색키를 누르는 경우, 수신 장치(110)는 정보 전달 영역(230)에 표시된 텍스트 및 생활 정보 영역(240)에 표시된 정보를 표시 장치(120)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장치(110)는 정보를 다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텍스트를 설명 영역(250)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리모컨 녹색키를 누르시면 원래대로 돌아와요"의 텍스트가 설명 영역(250)에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신 장치(110)는 시니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60)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0)는 도 2c에 도시된 예와 같이, 힐링 메뉴(260-1), 건강 메뉴(26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화면은 힐링 메뉴(260-1)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건강 메뉴(260-2)를 선택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이러한 선택을 감지하여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 장치(120)에 노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110)는 표시 장치(120)에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310 내지 321)을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신 장치(110)는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310 내지 32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수신 장치(110)는 대분류에 해당하는 신체 부위들 각각의 이미지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신체 부위들은, 예를 들어, 뇌와 신경, 척추와 관절, 심장과 혈관, 눈, 호르몬과 성인병, 폐, 치아와 잇몸, 귀/코와 기관지, 뼈와 근육, 위장과 간, 신장과 비뇨/생식기, 및 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그래픽 객체와 인접한 영역에 각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에 관한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그래픽 객체(310) 밑에 "뇌와 신경"의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그래픽 객체(311) 밑에 "치아와 잇몸"의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110)(또는 수신 장치(110)의 서버)는 사용자가 그래픽 객체들(310 내지 321) 각각을 선택한 횟수를 기초로 그래픽 객체들(310 내지 321)을 정렬할 수 있다. 일례로, 수신 장치(110)(또는 수신 장치(110)의 서버)는 사용자가 그래픽 객체들(310 내지 321) 각각을 선택한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특정 그래픽 객체를 N번(예를 들어, 5번) 이상 선택한 경우, 해당 그래픽 객체를 좌측 화면 최상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눈"의 그래픽 객체(316)를 N번 이상 선택하고 나머지들을 N번 미만 선택한 경우, "눈"의 그래픽 객체(316)가 "뇌와 신경"의 그래픽 객체(310)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N번 이상 선택한 그래픽 객체가 둘 이상인 경우, 수신 장치(110)(또는 수신 장치(110)의 서버)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그래픽 객체를 좌측 화면 최상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20)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310 내지 32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뇌와 신경"의 그래픽 객체(310)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110)는 "뇌와 신경"에 관한 질병 리스트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질병 리스트는 "뇌와 신경"에 관한 여러 질병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수신 장치(110)는 대분류 "뇌와 신경"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여러 질병 메뉴들을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질병 리스트는 표시 장치(120)의 제1 영역(예를 들어, 왼쪽 상단)(410)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질병 리스트는 "치매, 두통/어지러움, 정신 질환, 중풍, 뇌혈관" 각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110) 또는 수신 장치(110)의 서버는 사용자가 질병 메뉴들 각각을 선택한 횟수를 기초로 질병 메뉴들을 정렬할 수 있다. 일례로, 수신 장치(110) 또는 수신 장치(110)의 서버는 사용자가 질병 메뉴들 각각을 몇 번 선택했는지를 카운팅할 수 있고, 특정 질병 메뉴를 N번(예를 들어, 5번) 이상 선택한 경우, 해당 질병 메뉴를 제1 영역(410)의 최상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N번 이상 선택한 질병 메뉴가 둘 이상인 경우, 수신 장치(110) 또는 수신 장치(110)의 서버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질병 메뉴를 제1 영역(410)의 최상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질병 리스트의 "치매"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 장치(120)의 제2 영역(4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420)에서 "치매"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는 컨텐츠 타입(421 내지 425) 별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타입(421)은 병원에서 제작된 영상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타입(422)은 건강에 대한 다큐멘터리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3 타입(423)은 건강에 대한 예능에 해당할 수 있고, 제4 타입(424)는 피트니스 영상에 해당할 수 있고, 제5 타입(425)은 의사 및/또는 전문 병원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영역(420)에는 "치매"에 관해 대학 병원에서 제작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예를 들어, 포스터, 썸네일, 또는 설명 문구 등), 건강에 대한 다큐멘터리에서 "치매"를 주제로 한 컨텐츠가 있는 경우 해당 다큐멘터리의 대표 이미지(예를 들어, 포스터, 썸네일, 또는 설명 문구 등), 건강에 대한 예능에서 "치매"를 주제로 한 컨텐츠가 있는 경우, 해당 예능의 대표 이미지(예를 들어, 포스터, 썸네일, 또는 설명 문구 등), "치매"에 관한 하나 이상의 피트니스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예를 들어, 포스터, 썸네일, 또는 설명 문구 등), 및 "치매"에 관한 의사 및/또는 전문 병원을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예를 들어, 포스터, 썸네일, 또는 설명 문구 등)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수신 장치(110)는 대표 이미지에 업데이트가 있음을 나타내는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다큐 프로그램 1에서 "치매"를 주제로 한 새로운 컨텐츠가 개시되는 경우, 수신 장치(110)는 다큐 프로그램 1의 대표 이미지에 "New"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해당 뱃지는 컨텐츠 개시일 기준으로 3일후에 사라질 수 있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질병 리스트 내에서 다른 질병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질병 리스트 내에서 "중풍" 메뉴를 선택한 경우, 수신 장치(110)는 "중풍"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컨텐츠 타입(421 내지 425) 별로 제2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컨텐츠 타입(422)에 속한 다큐 프로그램 1을 선택한다고 하자. 이 경우, 수신 장치(110)는 다큐 프로그램 1의 여러 컨텐츠들 중에서 "치매"를 주제로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사용자가 도 4의 다큐 프로그램 1을 선택했을 때의 상세 화면의 일례가 도시된다.
상세 화면에서, 영역(510)에는 "치매"를 다루는 컨텐츠를 모아두었음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된다.
또한, 상세 화면에서 다큐 프로그램 1의 여러 컨텐츠들 중 "치매"를 주제로 하는 컨텐츠들 각각의 회차 정보와 캡쳐 화면이 표시된다. 이 때, 각 캡쳐 화면 밑 또는 선택된 캡쳐 화면 밑에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 알 수 있게 하는 서브 타이틀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302회 캡쳐 화면 밑의 영역에 "당신의 뇌는 괜찮은 가요?"의 서브 타이틀이 표시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이 복수 회차의 컨텐츠로 편성된 프로그램인 경우, 본 발명의 시니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하위 메뉴가 아닌 일반 VOD 선택 하위 메뉴로 제공되어 해당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 (예를 들면 TV 다시 보기 메뉴(210-2)의 하위 메뉴) 제공되는 해당 프로그램의 상세화면은 해당 프로그램에 편성된 전체 회차의 복수의 컨텐츠가 최신 회차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되고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의 재생 선택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니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하위 메뉴로 특정 “질병”을 주제로 하는 하위 메뉴로 복수 회차의 컨텐츠로 편성된 프로그램이 도4와 같이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선택되는 경우 제공되는 상세 화면은 도 5와 같이 해당 프로그램에 편성된 복수 회차의 컨텐츠 중에 선택된 특정 “질병”을 주제로 하는 회차에 해당하는 컨텐츠 만이 표시되며, 특정 “질병”을 주제로 하는 회차가 복수개 이면 특정 기준(예를 들면 최신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되고,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의 재생 선택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즉 전체 회차 컨텐츠 중에서 특정 “질병”에 해당하는 주제를 다루는 회차의 컨텐츠만 모아서 프로그램의 상세화면의 사용자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질병을 회차의 주제로 다루는 컨텐츠로 편성된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일반 VOD 선택 하위 메뉴로 제공되는 경우와 본 발명의 시니어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경우 프로그램의 상세화면의 회차 컨텐츠가 표시가 다르게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질병 주제에 대한 컨텐츠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사용자는 컨텐츠 타입(425)에 속한 대표 이미지(425-1)를 선택한다고 하자. 이 경우, 수신 장치(110)는 치매 전문 의사에 관한 정보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도 6에 사용자가 대표 이미지(425-1)를 선택했을 때 표시 장치(120)에 표시되는 의사 정보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치매 전문 의사의 이름, 병원, 전문 분야 등이 표시 장치(12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경우, 해당 치매 전문 의사의 병원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 장치(120)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사용자는 대표 이미지(425-2)를 선택한다고 하자. 이 경우, 수신 장치(110)는 치매 전문 요양 병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20)에 표시되는 치매 전문 요양 병원에 관한 정보의 일례가 도 7에 도시된다. 해당 치매 전문 요양 병원 내부 사진 등이 표시 장치(1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예를 다르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체 부위 "뇌와 신경"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질병들 각각의 메뉴가 영역(410)에 표시된다. 이 때, 영역(420)에는 영역(4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치매"의 각 소분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도시된다.
영역(810)은 제1 타입 컨테이너로, 영역(810)에는 제1 타입(421)으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의 경우, 하나 이상의 대학 병원에서 제작된 하나 이상의 영상의 대표 이미지가 영역(810)에 표시될 수 있다.
영역(820)은 제2 타입 컨테이너로, 영역(820)에는 제2 타입(422)으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된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1 및 2 각각은 미리 정해진 주기(예를 들어, 1주일)마다 방영되어 다양한 주제의 컨텐츠가 있을 수 있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1 및 2 각각에 "치매"를 주제로 한 컨텐츠가 있으면,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1 및 2 각각의 대표 이미지가 영역(8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역(820)에 표시된 대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치매"를 주제로 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영역(830)은 제3 타입 컨테이너로, 영역(830)에는 제3 타입(423)으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된다. 예능 프로그램 1 내지 4 각각은 미리 정해진 주기(예를 들어, 1주일)마다 방영되어 다양한 주제의 컨텐츠가 있을 수 있다. 예능 프로그램 1 내지 4 각각에 "치매"를 주제로 한 컨텐츠가 있으면,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예능 프로그램 1 내지 4 각각의 대표 이미지가 영역(83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역(830)에 표시된 대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치매"를 주제로 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도 5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영역(840)은 제4 타입 컨테이너로, 영역(840)에는 제4 타입(424)으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의 경우, 뇌 혈류량 증가 체조에 관한 동영상 컨텐츠, 치매 예방 손동작에 관한 동영상 컨텐츠, 및 달리는 방법에 관한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대표 이미지가 영역(840)에 표시될 수 있다.
영역(850)은 제5 타입 컨테이너로, 영역(850)에는 제5 타입(425)으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의 경우, 치매 전문 의사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와 치매 전문 요양 병원의 대표 이미지가 영역(85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100)은 서버(9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910)는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예를 들어, 도 5를 통해 설명한 다큐멘터리 1의 302회)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를 수신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 장치(110)는 선택된 컨텐츠가 표시 장치(1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910)는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메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각 컨텐츠의 메타 정보를 통해 각 컨텐츠가 아래 표 1의 어떤 대분류에 속하는지, 어떤 중분류에 속하는지, 및 어떤 소분류에 속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910)는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을 주제 별로 편성할 수 있다.
대분류(신체 부위) 중분류(질병) 소분류(컨텐츠 타입)
테마 이슈가 되는 주제 각 질병 별로
- 대학병원 제작 영상
- 시사/교양/다큐 영상
- 예능 영상
- 피트니스 영상
- 의사 및 요양병원 정보
뇌와 신경 치매, 두통/어지러움, 정신질환, 중풍, 뇌혈관, 기타
척추와 관절 디스크, 관절염, 기타
심장과 혈관 심부전, 부정맥, 동맥질환, 고혈압, 기타
백내장, 녹내장, 망막질환, 암, 기타
호르몬과 성인병 남녀 갱년기, 갑상선,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암, 기타
폐렴, 폐질환, 암, 기타
치아와 잇몸 출혈, 입냄새, 이시림, 임플란트/틀니, 암, 기타
귀/코와 기관지 이명, 청력 저하, 콧물/코막힘, 기침, 목소리 갈라짐, 편도선염, 암, 기타
뼈와 근육 골절, 관절염, 어깨, 척추, 암, 기타
위장과 간 역류성 식도염, 위염/위궤양, 간/담낭/췌장염, 지방간, 담석, 항문질환, 용종, 암, 기타
신장과 비뇨/생식기 신부전, 결석, 방광염, 요실금, 자궁근종, 질염,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암, 기타
피부 피부관리, 탈모, 피부염, 건선, 암
일례로, 도 9b에 도시된 예에서, 서버(910)는 예능 1의 12회 컨텐츠가 치매를 주제로 하는 경우, 예능 1의 12회 컨텐츠에 "뇌와 신경, 치매, 예능 1의 타이틀(또는 제목)"을 메타 정보로 입력할 수 있다. 서버(910)는 예능 1의 12회 컨텐츠가 건강 카테고리의 대분류 "뇌와 신경"의 중분류들 중 "치매"의 예능 타입(423)(또는 예능 프로그램 컨테이너)에 분류 또는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910)는 다큐 프로그램 1의 302회 컨텐츠가 치매를 주제로 하는경우, 다큐 프로그램 1의 302회 컨텐츠에 "뇌와 신경, 치매, 다큐 프로그램 1의 타이틀(또는 제목)"을 메타 정보로 입력할 수 있다. 서버(910)는 다큐 프로그램 1의 302회 컨텐츠가 건강 카테고리의 대분류 "뇌와 신경"의 중분류들 중 "치매"의 다큐멘터리 타입(422)(또는 다큐 프로그램 컨테이너)에 분류 또는 편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 4를 통해 설명한 화면에서 다큐 프로그램 1을 선택했을 때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은 편성 정보가 표시 장치(120)에 표시될 수 있다.
위 표 1에서 대분류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그래픽 객체들(310 내지 321)가 대응될 수 있고, 중분류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질병 리스트 또는 질병 메뉴들에 대응될 수 있으며, 소분류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컨텐츠 타입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1010).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니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표시 장치(12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60)의 메뉴들(260-1 내지 260-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 장치(120)에 노출한다(1020).
수신 장치(110)는 표시 장치(120)에 노출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 리스트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1030). 일례로, 수신 장치(110)는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들 각각의 명칭을 표시 장치의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110)는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선택된 질병의 명칭을 제1 영역의 최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표시 장치(120)에 표시된 질병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질병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컨텐츠 타입 별로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1040). 일례로, 수신 장치(110)는 각 컨텐츠 타입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 컨텐츠 타입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장치(110)는 선택된 질병에 관해 병원에서 제작된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선택된 질병에 관한 다큐멘터리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선택된 질병에 관한 예능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선택된 질병에 관한 피트니스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 및 선택된 질병에 관한 의사 정보의 대표 이미지 각각을 질병 리스트의 인접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들 각각은 특정 신체 부위의 각 컨텐츠 타입으로 분류되도록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10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1110) 및 컨트롤러(120)를 포함한다.
수신 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1110)를 통해 서버(810)와 통신한다.
수신 장치(110)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시니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60)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
컨트롤러(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60)의 메뉴들(260-1 내지 260-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 장치(120)에 노출한다. 달리 표현하면, 컨트롤러(120)는 메뉴들(260-1 내지 260-6) 중 건강 메뉴(260-2)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수신부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 장치(120)에 노출한다.
컨트롤러(120)는 노출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에 관한 질병 리스트를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 달리 표현하면, 컨트롤러(120)는 노출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수신부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신체 부위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 장치(120)에 노출한다.
컨트롤러(120)는 표시된 질병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질병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질병에 관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컨텐츠 타입 별로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 달리 표현하면, 컨트롤러(120)는 질병 리스트 내의 특정 질병 메뉴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수신부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질병 메뉴에 속한 컨텐츠들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컨텐츠 타입 별로 표시 장치(120)에 표시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11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리스트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관한 컨텐츠들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회차 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관한 컨텐츠들의 회차들만 편성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신체 부위들 또는 각 신체 부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질병들을 포함하는 수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스트를 상기 표시 장치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수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들 각각은 상기 리스트 내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분류되도록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텐츠를 각각의 회차 정보 또는 서브 타이틀과 함께 상시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회차가 복수개인 컨테츠를 특정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은 최신 순인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셋탑 박스인 수신 장치.
  9.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관한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회차 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관한 컨텐츠들의 회차들만 편성하여 표시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신체 부위들 또는 각 신체 부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질병들을 포함하는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들 각각은 상기 리스트 내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분류되도록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각각의 회차 정보 또는 서브 타이틀과 함께 표시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차가 복수개인 컨테츠를 특정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은 최신 순인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셋탑 박스인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00014937A 2020-02-07 2020-02-07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70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37A KR102170396B1 (ko) 2020-02-07 2020-02-07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37A KR102170396B1 (ko) 2020-02-07 2020-02-07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144A Division KR102078930B1 (ko) 2018-10-19 2018-10-19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736A true KR20200044736A (ko) 2020-04-29
KR102170396B1 KR102170396B1 (ko) 2020-10-27

Family

ID=7046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937A KR102170396B1 (ko) 2020-02-07 2020-02-07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3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865A (ko) * 2008-12-30 2010-07-08 엔에이치엔(주) 프로그램 방송 중 통합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07829A (ko) * 2010-07-15 201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865A (ko) * 2008-12-30 2010-07-08 엔에이치엔(주) 프로그램 방송 중 통합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07829A (ko) * 2010-07-15 201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396B1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do et al. The rogue poster-children of universal design: Closed captioning and audio description
Krüger et al. Coping with shame in a media-saturated society: Norwegian web-series Skam as transitional object
Arunachalam et al. Grammatical form and semantic context in verb learning
Wijdicks et al. The portrayal of coma in contemporary motion pictures
KR20110065860A (ko) 상황과 문맥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Miller et al. How viewers process live, breaking, and emotional television news
Booth The provisional acknowledgement of identity claims in televised documentary
Gorman et al. Adaptive Subtitles: Preferences and Trade-Offs in Real-Time Media Adaption
KR102170396B1 (ko)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4240553A (ja) 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装置、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方法、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425407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プログラム
Wang Radio Culture in Cold War Hong Kong
KR102078930B1 (ko)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E102004033629A1 (de) Multimedia Player mit der Funktion des Variierens eines dargestellten Inhalts bei der Unterbrechungsbetriebsart
Kohn Iconic situations: multimodality, witnessing and collective memory
Priadko et al. Modern Ukrainian TV series: challenges of the global multimedia market
Jurberg et al. Embryonic stem cell: A climax in the reign of the Brazilian media
Holt Time Machine tv: digital television in Netflix’s dark
Cody et al. Entertainment-education programs of the BBC and BBC World Service Trust
Istad et al. Producing multiculturalism: casting and editing migrants in Korean reality television
Comelles et al. Fictional encounters and real engagements: the representation of medical practice and institutions in Medical TV shows
Miller et al. Ugandan adolescents’ source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sexual content in entertainment media programming
Ellis 19 Media and Disability
Pepper Subscribing to governmental rationality: HBO and the AIDS epidemic
Borge et al. Introduction: The science of television. Television and its importance for the history of health and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