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501A - 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 Google Patents

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501A
KR20200044501A KR1020180125345A KR20180125345A KR20200044501A KR 20200044501 A KR20200044501 A KR 20200044501A KR 1020180125345 A KR1020180125345 A KR 1020180125345A KR 20180125345 A KR20180125345 A KR 20180125345A KR 20200044501 A KR20200044501 A KR 2020004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membrane
active layer
compound
layer
present spec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3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2132B1 (en
Inventor
이가현
신정규
이영주
변은경
최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2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132B1/en
Publication of KR2020004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5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membrane including a porous layer and an active layer containing a compound hav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ct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paration membrane. A salt removal rate and flow rate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분리막, 분리막의 활성층 형성용 조성물 및 분리막의 제조방법{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forming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paration membran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본 명세서는 분리막, 분리막의 활성층 형성용 조성물 및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separation membrane,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act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paration membrane.

투과성막으로 격리된 두 용액 사이에서 용매가 용질의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 높은 용액 쪽으로 분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현상을 삼투 현상이라 하며, 이때 용매의 이동으로 용질의 농도가 높은 용액 측에 작용하는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그런데 삼투압보다 높은 외부 압력을 걸어주면 용매는 용질의 농도가 낮은 용액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현상을 역삼투라고 한다. 역삼투 원리를 이용하여 압력 구배를 구동력으로 해서 반투과성 막을 통해 각종 염이나 유기 물질을 분리해낼 수 있다. 이러한 역삼투 현상을 이용한 역삼투막은 분자 수준의 물질을 분리하고, 염수 또는 해수에서 염을 제거하여 가정용 및 건축용, 산업용 용수를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The phenomenon in which the solvent moves between the two solutions separated by the permeable membrane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from the solution having a low solute concentration to the high solution is called an osmotic phenomenon, and at this time, the pressure acting on the side of the solution having a high solute concentration by the movement of the solvent. Is called osmotic pressure. However, when an external pressure higher than the osmotic pressure is applied, the solvent moves toward a solution having a low solute concentration, which is called reverse osmosis. By using the reverse osmosis principle, various salts or organic substances can be separated through a semi-permeable membrane using a pressure gradient as a driving force. Reverse osmosis membranes using this reverse osmosis phenomenon are used to separate molecular-level materials and remove salts from salt water or sea water to supply water for household, construction, and industrial use.

이러한 역삼투막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아미드계 역삼투막을 들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계 역삼투막은 미세 다공층 지지체 상에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위에 폴리설폰층을 형성하여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형성하고, 이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mPD) 수용액에 침지시켜 mPD층을 형성하고, 이를 다시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유기 용매에 침지시켜 mPD층을 TMC와 접촉시켜 계면 중합시킴으로써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A typical example of such a reverse osmosis membrane is a polyamide-based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the polyamide-based reverse osmosis membrane is produced by a method of forming a polyamide active layer on a microporous layer support, and more specifically, a polysulfone layer on a nonwoven fabric. Forming to form a microporous support, and immersing the microporous support in an aqueous solution of m-Phenylene Diamine (mPD) to form an mPD layer, which is again trimesoyl chloride (TMC) organic It is produced by a method of forming a polyamide layer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by immersing in a solvent to contact the mPD layer with TMC.

한국 특허 공개 10-2015-001647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5-0016475

본 명세서는 분리막, 분리막의 활성층 형성용 조성물 및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separation membrane,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act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paration membran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다공성층; 및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제공한다.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porous layer; And an active layer comprising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module including the separato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리막의 활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active layer of a separator comprising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and an acyl halide compoun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다공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층 상에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ming a porous layer; And forming an active layer comprising a compound compris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on the porous lay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분리막은 활성층 형성 시,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동시에 가지는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염 제거율과 유량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simultaneously improve the salt removal rate and the flow rate by using an additive hav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at the same time when forming the active layer.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분리막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처리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sepa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llustrates a water treatment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 memb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memb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one member abuts another member, but also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다공성층; 및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porous layer; And an active layer comprising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역삼투막에 있어서, 염제거율과 유량을 향상시키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이슈이며, 종래에는 역삼투막의 활성층 형성 시 화학적 방법, 예컨대 불소계 첨가제들을 사용하여 물성을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In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mproving the salt removal rate and flow rate is the most important issue, and in the past, a method of increasing physical properties by using chemical methods such as fluorine-based additives has been used when forming the active layer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었던 불소계 첨가제들은 염 제거율은 향상시켰으나, 유량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이 있었다. However, the fluorine-based additives previously used have improved salt removal rates, but have a side effect of reducing the flow rat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분리막은 상기 활성층에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동시에 포함된 화합물을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활성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의 염 제거율 및 유량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었다.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simultaneously improve the salt removal rate and flow rate of the separator including the active layer by including a compound containing phosphoryl and trifluoromethyl groups simultaneously in the active layer.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의 불소 작용기는 염제거율을 향상 시키며, 포스포릴기는 수용액 내 m-페닐렌디아민(mPD)가 유기상(Organic phase)이 되는 과정에서 확산 속도를 높여, m-페닐렌디아민(mPD)와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MC)의 반응을 증가 시키며 이로 인해 분리막의 유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luorine functional group of the trifluoromethyl group improves the salt removal rate, and the phosphoryl group increases the diffusion rate in the process where the m-phenylenediamine (mPD) in the aqueous solution becomes an organic phase, m-phenylenediamine (mPD) And trimethoyl chloride (TMC) to increase the reaction, thereby improving the flow rate of the membran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포함된 화합물은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ound containing the phosphoryl group and the trifluoromethyl group may be n-triflylphosphoramid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층은 아실클로라이드와 반응하는 작용기로서 -SH-, -OH 및 -N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ctive layer including the compound containing the phosphoryl group and the trifluoromethyl group may further include -SH-, -OH and -NH- as functional groups that react with acyl chlorid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의 두께는 150 nm 내지 250 n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0 nm 내지 220 nm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may be 150 nm to 250 nm, and preferably 180 nm to 220 nm.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제1 다공성 지지체 및 제2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rous layer includes a first porous support and a second porous support.

상기 제1 다공성 지지체로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nonwoven fabric may be used as the first porous support.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부직포의 두께는 50㎛ 내지 1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께는 80㎛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may be 50 μm to 15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the thickness may be 80 μm to 120 μm. When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satisfies the above range, durabi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cluding the porous layer may be maintained.

상기 제2 다공성 지지체는 상기 제1 다공성 지지체 상에 고분자 재료의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재료로서 폴리설폰을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porous support may mean that a coating layer of a polymer material is formed on the first porous support. As the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olycarbonate, polyethylene oxide, polyimide, polyetherimide, polyetheretherketone, 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polymethylchlorid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Ride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Specifically, polysulfone can be used as the polymer material.

상기 제2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20㎛ 내지 1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께는 4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다공성 치치체를 포함하는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의 내구성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rous support may be 20 μm to 10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the thickness may be 40 μm to 80 μm. Whe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durability of the separator including the porous layer including the second porous tooth body may be properly maintain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 및 제2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분리막을 10cm x 10cm로 잘라 샘플을 제조한 후, 디지매틱 두께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두께는 상기 디지매틱 두께게이지를 이용하여 5번 측정한 후, 그 평균값으로 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rous support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rous support can be measured by cutting the separator to 10 cm x 10 cm and preparing a sample, using a digimatic thickness gauge. . The thickness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hickness 5 times using the digimatic thickness gauge, and then obtaining the average value.

상기 디지매틱 두께게이지는 Mitutoyo社의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digimatic thickness gauge may be from Mitutoyo,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다공성 지지체는 상기 폴리설폰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설폰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은, 상기 폴리설폰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용매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10 중량% 내지 20 중량%의 폴리설폰 고형을 넣고 80℃ 내지 85℃ 에서 12시간동안 녹인 후 얻은 균질(homogeneous)한 액상일 수 있으나, 상기 중량 범위가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ond porous support may be made of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sulfone. The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sulfon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sulfone, put polysulfone solids of 10% to 20% by weight in 80% to 90% by weight of solvent dimethylformamide It may be a homogeneous liquid obtained after melting at 80 ° C to 85 ° C for 12 hours, but the weight rang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range.

상기 폴리설폰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범위의 폴리설폰 고형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분리막의 내구성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polysulfone solid in the above range is included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sulfone, the durability of the separator including the second porous support may be appropriately maintained.

상기 제2 다공성 지지체는 캐스팅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스팅은 용액 주조(casting)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재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접착성이 없는 평활한 표면에 전개시킨 후 용매를 치환시키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로 치환시키는 방법은 비용매 유도 상분리법(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비용매 유도 상분리법이란,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시켜 균일 용액을 만들고 이를 일정형태로 성형시킨 후 비용매에 침지시킨다. 이후 비용매와 용매의 확산에 의한 상호교환이 이루어지며 고분자 용액의 조성이 변하게 되고, 고분자의 침전이 일어나면서 용매와 비용매가 차지하던 부분을 기공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이다.The second porous support may be formed by a method of casting. The casting means a solution casting method. Specifically, after dissolving the polymer material in a solvent, it may mean a method of displacing the solvent after being developed on a smooth, non-adhesive surface. Specifically, the method of substituting with the solvent may use a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method. With the non-solvent-induced phase separation method, a polymer is dissolved in a solvent to form a uniform solution, molded into a certain shape, and then immersed in a non-solvent. After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diffusion of the non-solvent and the solvent is carried out, the composition of the polymer solution changes, and precipitation of the polymer occurs, thereby forming a portion of the solvent and the non-solvent into por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폴리아미드 활성층일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의 계면중합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ctive layer may be a polyamide active layer. The active layer may be formed through interfacial polymerization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amine compound and an organic solution containing an acyl halide compound.

구체적으로,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과 상기 유기용액의 접촉시, 상기 다공성층의 표면에 코팅된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이 반응하면서 계면중합에 의해 폴리아미드를 생성하고, 상기 다공성층에 흡착되어 박막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 방법에 있어서, 침지, 스프레이 또는 코팅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upon contact between the aqueous solution layer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and the organic solution, an amine compound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layer and an acyl halide compound react to generate polyamide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and the porous layer It is adsorbed to form a thin film. In the above contact method, the polyamide active layer may be formed through a method such as dipping, spraying or coatin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에 포함되는 아민 화합물은 방향족 아민 화합물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mine compound included in the aqueous solution layer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may be an aromatic amine compoun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아민 화합물은 분리막 제조에 사용되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구체적인 예를 들면, m-페닐렌디아민(mPD), p-페닐렌디아민, 1,2,4-벤젠트리아민, 4-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2-클로로-1,4-페닐렌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페닐렌디아민(mPD)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romatic amine compound is not limited if it is an aromatic amine compound used in the production of a separator, for example, m-phenylenediamine (mPD), p-phenylenediamin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2,4-benzenetriamine, 4-chloro-1,3-phenylenediamine, 2-chloro-1,4-phenylenediamine, and mixtures thereof. Specifically, m-phenylenediamine (mPD) is preferabl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용매는 물일 수 있으며,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상기 아민 화합물을 제외한 잔부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필요에 따라 후술할 염기성 산 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민 화합물 및 상기 염기성 산 수용체를 제외한 잔부는 물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olvent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may be water, and the remainder excluding the amine compound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may be water. Whe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further includes a basic acid accept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f necessary, the balance excluding the amine compound and the basic acid acceptor may be water.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은 필요에 따라 염기성 산 수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산 수용체는 예컨대, 트리알킬아민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틸렌아민캄포술폰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기성 산 수용체는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may further include a basic acid acceptor, if necessary. The basic acid acceptor may be, for example, a trialkylamine compound, specifically, triethyleneamine camposulfon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asic acid acceptor may be included from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아민 화합물의 함량은 2 중량% 내지 6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산업용 운전 조건에서 요구하는 염 제거율과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the content of the amine compound may be 2% to 6% by weight. When the above content is satisfied, the salt removal rate and flow rate required in industrial operating conditions can be secur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2 내지 3 개의 카르복실산 할라이드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서,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MC),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드,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cyl halide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as an aromatic compound having 2 to 3 carboxylic acid halides, trimesoyl chloride (TMC), isophthaloyl It may be a mixture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ide, terephthaloyl chloride, and mixtures thereof.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0.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산업용 운전 조건에서 요구하는 염 제거율과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 of the acyl halide compound may be included 0.1% to 0.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acyl halide compound. When the content of the acyl halide compound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alt removal rate and a flow rate required in industrial operating condition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은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기 용매로는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예를 들면, 프레온류와 탄소수가 5 내지 12인 헥산, 사이클로헥산, 헵탄, 알칸과 같은 물과 섞이지 않는 소수성 액체, 예를 들면, 탄소수가 5 내지 12인 알칸과 그 혼합물인 IsoPar(Exxon), ISOL-C(SK Chem), ISOL-G(Exxon), IsoPar G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 용매는 IsoPar G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acyl halide compound may further include an organic solvent, and the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n aliphatic hydrocarbon solvent, for example, freons and 5 to 5 carbon atoms. Hydrophobic liquids that are immiscible with water such as hexane, cyclohexane, heptane, alkanes of 12, for example, alkanes having 5 to 12 carbon atoms and mixtures thereof, IsoPar (Exxon), ISOL-C (SK Chem), ISOL-G (Exxon), IsoPar G, etc.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the organic solvent may be IsoPar 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 용매는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에서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제외한 잔부는 상기 유기용매일 수 있다.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이 상기 실리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 및 상기 실리콘 첨가제를 제외한 잔부는 상기 유기용매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rganic solvent is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acyl halide compound, the remainder excluding the acyl halide compound may be the organic solvent. When the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acyl halide compound further includes the silicone additive, the remainder excluding the acyl halide compound and the silicone additive may be the organic solven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2,000ppm NaCl 수용액, 압력 150psi, 온도 25℃, 4L/min 조건에서 염 제거율이 99.3 % 내지 99.7 %이고, 유량이 21 GFD 내지 27 GFD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salt removal rate of 99.3% to 99.7% and a flow rate of 21 GFD to 27 GFD at 2,000 ppm NaCl aqueous solution, pressure 150 psi, temperature 25 ° C., and 4 L / mi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2,000ppm NaCl 수용액, 압력 150psi, 온도 25℃, 4L/min 조건에서 염 제거율이 99.35 % 내지 99.5 %이고, 유량이 21 GFD 내지 25 GFD인 분리막을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salt removal rate of 99.35% to 99.5% and a flow rate of 21 GFD to 25 GFD at 2,000 ppm NaCl aqueous solution, pressure 150 psi, temperature 25 ° C., and 4 L / min.

상기 염 제거율은 2,000ppm NaCl 수용액, 압력 150psi, 온도 25℃, 4L/min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운전한 후, 원수와 생산수의 전도도를 측정하여 염 제거율을 측정할 수 있다.The salt removal rate is 2,000 ppm NaCl aqueous solution, pressure 150 psi, temperature 25 ℃, after operating the water treatment module containing the separation membrane for 1 hour under conditions of 4, after measuring the conductivity of raw water and production water to measure the salt removal rate You can.

상기 유량은 2,000ppm NaCl 수용액, 압력 150psi, 온도 25℃ 조건에서, 4L/min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운전한 후 일정 시간 안에 생산되는 생산수의 양을 계산한 것이다. 상기 일정 시간이란 1 시간 내지 2 시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시간일 수 있다.The flow rat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produced within a certain time after operating the water treatment module including the separation membrane for 1 hour under a condition of 4 L / min under a condition of 2,000 ppm NaCl aqueous solution, pressure of 150 psi, and temperature of 25 ° C.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1 hour to 2 hours. Preferably it may be 1 hou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다공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층 상에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술한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ming a porous layer; And forming an active layer comprising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on the porous layer.

상기 다공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전술한 설명에 의한다.In the step of forming the porous layer, the porous layer is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상기 다공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다공성 지지체 상에 제2 다공성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다공성 지지체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설명에 의한다.The forming of the porous layer may include forming a second porous support on the first porous support. The method of forming the second porous support is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아미드 활성층은 상기 다공성층 상에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 상에 아실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을 접촉시켜,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ctive layer may mean a polyamide active layer, and the polyamide active layer includes forming an aqueous layer containing an amine compound on the porous layer; It may be formed through the step of forming an polyamide active layer by contacting an organic solution containing an acyl halide compound on the aqueous solution layer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상기 폴리아미드 활성층은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의 접촉시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이 반응하면서 계면 중합에 의해 폴리아미드를 생성하고, 상기 다공성층에 흡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olyamide active layer may be formed by generating polyamide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and adsorbing on the porous layer while the amine compound and the acyl halide compound react upon contact of the amine compound and the acyl halide compound.

상기 접촉은 침지, 스프레이 또는 코팅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 중합의 조건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tact may be a method such as dipping, spraying or coating. As the conditions for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thos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상기 다공성층 상에 방향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다공성층 상에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층 상에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분무, 도포, 침지, 적하 등을 들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forming an aqueous solution layer containing an aromatic amine compound on the porous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method capable of forming an aqueous solution layer containing an amine compound on the porous layer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pecifically, a method of forming an aqueous layer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on the porous layer may include spraying, coating, dipping, dropping, and the like, and thos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이 때,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은 필요에 따라 과잉의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상기 다공성층 상에 형성된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은, 상기 다공성층 상에 존재하는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불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는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불균일하게 분포하는 경우에는 이후의 계면 중합에 의해 불균일한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성층 상에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층을 형성한 후에 과잉의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제거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스펀지, 에어나이프, 질소 가스 블로잉, 자연건조, 또는 압축 롤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queous layer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step of removing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excess amine compound, if necessary. The aqueous solution layer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formed on the porous layer may be non-uniformly distributed whe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present on the porous layer is too large, and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is non-uniformly distributed. If it does, a heterogeneous polyamide active layer may be formed by subsequent interfacial polymeriz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excess amine compound after forming an aqueous solution layer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on the porous layer. The removal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ponge, an air knife, nitrogen gas blowing, natural drying, or a compression rol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의 계면중합에 의하여 수행하고, 상기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 하는 유기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0.0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orming of the active layer is performed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and an organic solution containing an acyl halide compound, and includes the phosphoryl group and trifluoromethyl group The compound may be 0.001% to 0.0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acyl halide compound, and preferably 0.001% to 0.01% by weight.

상기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포함하는 화합물을, 상기 중량% 범위로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 하는 유기용액에 첨가하는 경우, 분리막의 유량과 염제거율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고, 0.01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분리막의 유량은 증가하나 염제거율이 감소할 수 있다. When the compound containing the phosphoryl group and the trifluoromethyl group is added to the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acyl halide compound in the weight% range, both the flow rate of the separator and the salt removal rate can be improved, and it exceeds 0.01% by weight. When included as, the flow rate of the membrane increases, but the salt removal rate may decreas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은 정밀 여과막(Micro Filtration), 한외 여과막(Ultra Filtration), 나노 여과막(Nano Filtration) 또는 역삼투막(Reverse Osmosis)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역삼투막으로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used as a micro filtration membrane (Micro Filtration), ultra filtration membrane (Ultra Filtration), nano filtration membrane (Nano Filtration) or reverse osmosis membrane (Reverse Osmosis), specifically, used as a reverse osmosis membrane Can b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수처리 모듈에 포함되는 분리막은 1 내지 50개일 수 있으며, 1 내지 30개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8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module including the separator. The separation membrane includ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may be 1 to 50, may be 1 to 30, preferably 24 to 28,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수처리 모듈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예에는 판형(plate & frame) 모듈, 관형(tubular) 모듈, 중공사형(Hollow & Fiber) 모듈 또는 나권형(spiral wound)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pecific type of the water treatment modu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may include a plate & frame module, a tubular module, a hollow & fiber module, or a spiral wound module. .

또한, 상기 수처리 모듈은 전술한 분리막을 포함하는 한, 그 외의 기타 구성 및 제조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수단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long as the water treatment module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eparator, other configura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general means known in the field can be employed without limita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분리막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제1 다공성 지지체(100), 제2 다공성 지지체(200) 및 활성층(300)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분리막을 도시한 것으로서, 활성층(300)으로 염수(400)가 유입되어, 정제수(500)가 지지체(100)를 통하여 배출되고, 농축수(600)는 활성층(300)을 통과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된다. 1 shows a sepa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pecifically, FIG. 1 shows a separator in which the first porous support 100, the second porous support 200, and the active layer 300 are sequentially provided, and brine 400 is introduced into the active layer 300, The purified water 500 is discharged through the support 100, and the concentrated water 6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ctive layer 300.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처리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처리 모듈은 중앙 튜브(40), 공급 스페이서(Feed spacer)(20), 분리막(10), 트리코트 여과수로(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처리 모듈에 원수를 흘려 보내주면, 수처리 모듈 내 공급 스페이서(20)를 통해, 원수가 유입된다. 하나 이상의 분리막(10)은 튜브(4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튜브(40) 둘레로 권취되게 된다. 공급 스페이서(20)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하나의 분리막(10)과 다른 하나의 분리막(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공급 스페이서(20)는 하나 이상의 분리막(10)과 상측 및 하측에서 접촉하며 튜브(40) 둘레로 권취되게 된다. 트리코트 여과수로(30)는 일반적으로 직물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분리막(10)을 통해 정제된 물이 흘러 나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유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튜브(4)는 수처리 모듈의 중심에 위치하며,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튜브(40) 외측에는 여과된 물이 유입되도록 소정 크기의 공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illustrates a water treatment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pecifically, the water treatment module includes a central tube 40, a feed spacer 20, a separation membrane 10, a tricoat filtered waterway 30, and the like. When the raw water flows through the water treatment module, the raw water flows through the supply spacer 20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The one or more separators 10 extend outwardly from the tube 40 and are wound around the tube 40. The supply spacer 2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from the outside, and serves to maintain a gap between one separation membrane 10 and the other separation membrane 10. To this end, the supply spacer 20 is in contact with one or more separators 10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is wound around the tube 40. The tricoat filtered water channel 30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fabric, and serves as a flow path that creates a spac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can flow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10. The tube 4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treatment module, and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filtered wat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t this time, the outside of the tube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es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so that the filtered water is introduced,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are formed.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interpret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실시예 1.Example 1.

(다공성층의 제조)(Production of porous layer)

제1 다공성 지지체로서 부직포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였고, 두께가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다.A non-woven fabric was used as the first porous support, the non-woven fabric w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was used.

상기 제1 다공성 지지체 상에 제2 다공성 지지체(폴리설폰층)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설폰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설폰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은, 상기 폴리설폰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84 중량%의 용매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16 중량%의 폴리설폰 고형(solid)을 넣고 80℃ 내지 85℃ 에서 12시간동안 녹인 후 얻은 균질(homogeneous)한 액상이었다.To prepare a second porous support (polysulfone layer) on the first porous support,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polysulfone was prepared. The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sulfon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sulfone, put 16% by weight of polysulfone solid in 84% by weight of solvent dimethylformamide (80 to 85 ° C) It was a homogeneous liquid obtained after dissolving in for 12 hours.

이후, 상기 제1 다공성 지지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위에 40㎛로 상기 폴리설폰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을 슬롯 다이코팅 방법으로 캐스팅하여, 제2 다공성 지지체(폴리설폰층)를 제조하였다. 이를 통해, 제1 다공성 지지체 및 제2 다공성 지지체(폴리설폰층)를 포함하는 다공성층을 제조하였다.Thereafter,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sulfone was cast on the first porous suppor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t 40 μm by a slot die coating method to prepare a second porous support (polysulfone layer). Through this, a porous layer including a first porous support and a second porous support (polysulfone layer) was prepared.

(활성층의 제조)(Preparation of active layer)

상기 다공성층 상에 활성층을 제조하기 위해,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은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 중량%의 메타페닐렌디아민(mPD), 5 중량%의 트리에틸렌아민캄포술폰산(TEACSA)을 포함시켰다.In order to prepare an active layer on the porous layer,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amine compound was prepared.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included 4% by weight of metaphenylenediamine (mPD) and 5% by weight of triethyleneamine camposulfonic acid (TEACSA)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mine compound.

이후, 제조한 상기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상기 지지체 상에 도포하여 수용액층을 형성하였다. 나아가, 도포시 발생한 여분의 수용액을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Thereafter,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prepared amine compound was applied on the support to form an aqueous solution layer. Furthermore, the excess aqueous solution generated during application was removed using an air knife.

상기 수용액층 상에 전체 유기용액에 대하여 0.2중량%의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MC), 0,001중량%의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 및 잔부의 유기용매(IsoPar G)를 포함하는 유기용액을 도포하였다. On the aqueous layer containing 0.2% by weight of trimethoyl chloride (TMC), 0,001% by weight of n-triflylphosphoramide (n-triflylphosphoramide) and the balance of organic solvent (IsoPar G) relative to the total organic solution The organic solution was applied.

그리고, 95℃에서 액상 성분이 모두 증발할 때까지 건조한 후, 초순수 증류수(DIW)로 세척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Then, after drying until all the liquid components evaporated at 95 ℃, and washed with ultrapure distilled water (DIW) to prepare a separator.

실시예Example 2. 2.

상기 실시예 1에서 0.01 중량%의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A separ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 Example 1, 0.01% by weight of n-triflylphosphoramide was us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except that n-triflylphosphoramide was not us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 대신 0.01중량%의 Hexamethyl phosphoamide(Sigma-Aldrich사 Hexamethylphosphoramide제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01% by weight Hexamethyl phosphoamide (manufactured by Sigma-Aldrich, Hexamethylphosphoramide) was used instead of n-triflylphosphoramid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 대신 0.01중량%의 Trifluoromethyl aniline Sigma-Aldrich사 4-(Trifluoromethyl)aniline제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ion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01% by weight of Trifluoromethyl aniline Sigma-Aldrich (4- (Trifluoromethyl) aniline) was used instead of n-triflylphosphoramide.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첨가제로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를 0.1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1% by weight of n-triflylphosphoramide was used as an additiv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분리막의 성능 측정)(Measurement of separator performance)

염제거율 및 유량 측정Salt removal rate and flow measurement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의하여 제조된 분리막에 대하여, 2,000 ppm의 NaCl 수용액을 150 psi, 4L/min의 유량으로 1 시간 가량 장비 운전을 실시하여 안정화된 것을 확인한 후, 25℃에서 10분간 투과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투과유량(flux: GFD(gallon/ft2·day))을 계산하고, 전도도 미터(Conductivity Meter)를 사용하여 투과 전과 후의 염 농도를 분석하여 염 제거율(Rejection)을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After confirming that the separation membran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stabilized by performing 2,000 ppm of NaCl aqueous solution at a flow rate of 150 psi, 4 L / min for 1 hour, operating the equipment for about 1 hour. The amount of water permeated at 10 ° C is measured to calculate the permeate flow rate (flux: GFD (gallon / ft 2 · day)), and the salt removal rate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salt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permeation using a conductivity meter. Rejection) is calculated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성능변화는 첨가제를 넣지 않은 비교예 1을 기준으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2 내지 4에 대한 염제거율과 유량의 변화값이다. The performance change of Table 1 is a change value of salt removal rate and flow rate for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4 based on Comparative Example 1 without additives.

상기 표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포함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리막(실시예 1 및 2)은,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 포스포릴기만 포함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 트리플루오로메틸기만 포함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3 및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를 0.1 중량% 사용한 비교예 4의 분리막보다 염제거율 및 유량이 동시에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 the separation membrane (Examples 1 and 2) containing an additive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arative Example 1, POS without additives Comparative Example 2 containing only the additive containing only the poryl group, Comparative Example 3 containing only the additive containing only the trifluoromethyl group, and the separation membrane of Comparative Example 4 using 0.1% by weight of n-triflylphosphoramide (n-triflylphosphoramide) It was confirmed that the salt removal rate and the flow rate were improved simultaneously.

10: 분리막
20: 공급 스페이서
30: 트리코트 여과수로
40: 튜브
100: 제1 다공성 지지체
200: 제2 다공성 지지체
300: 활성층
400: 염수
500: 정제수
600: 농축수
10: separator
20: Supply spacer
30: Tricot filtered water
40: tube
100: first porous support
200: second porous support
300: active layer
400: brine
500: purified water
600: concentrated water

Claims (11)

다공성층; 및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Porous layer; And
Separator comprising an active layer comprising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n-트리플릴포스포르아미드(n-triflylphosphoramide)인 것인 분리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is a separation membrane that is n-triflylphosphoramide (n-triflylphosphoram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폴리아미드 활성층인 것인 분리막.The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ive layer is a polyamide activ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의 두께는 150 nm 내지 250 nm 인 것인 분리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is 150 nm to 250 nm separation membrane. 청구항 1에 있어서, 2,000ppm NaCl 수용액, 압력 150 psi, 온도 25℃, 4L/min 조건에서 염 제거율이 99.3 % 내지 99.7 %이고, 유량이 21 GFD 내지 27 GFD인 분리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000ppm NaCl aqueous solution, pressure 150 psi, temperature 25 ℃, salt removal rate is 99.3% to 99.7% at 4L / min conditions, the flow rate is 21 GFD to 27 GFD separation membrane.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분리막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A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one or more of the separators according to claim 1.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리막의 활성층 형성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forming an active layer of a separation membrane comprising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and an acyl halide compoun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리막의 활성층 형성용 조성물.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ctive layer of a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organic solvent. 다공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층 상에 포스포릴기와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의 제조방법.
Forming a porous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ion membrane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n active layer comprising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yl group and a phosphoryl group and a trifluoromethyl group on the porous lay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의 계면중합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은 상기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분리막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active layer is formed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amine compound and an organic solution containing an acyl halide compound,
The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acyl halide compound further comprises a compound containing the phosphoryl group and trifluoromethyl group.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기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 포함하는 것인 분리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mpound containing the phosphoryl group and trifluoromethyl group comprises 0.001% to 0.0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acyl halide compound.
KR1020180125345A 2018-10-19 2018-10-19 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KR102212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345A KR102212132B1 (en) 2018-10-19 2018-10-19 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345A KR102212132B1 (en) 2018-10-19 2018-10-19 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501A true KR20200044501A (en) 2020-04-29
KR102212132B1 KR102212132B1 (en) 2021-02-03

Family

ID=7046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345A KR102212132B1 (en) 2018-10-19 2018-10-19 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132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787A (en) * 2011-09-08 2013-03-18 한국화학연구원 Polyamide nanofiltration composite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09802A (en) * 2013-07-17 2015-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16475A (en) 2013-08-01 2015-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amide water-treatment membranes having properies of high dur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32212A (en)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Water-treatment membranes having ion-exchangeable polym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79180A (en) * 2013-12-31 2015-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Reverse-osmosis membrane having high boron rej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170126693A (en) * 2016-05-10 2017-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method manufacturing same
WO2018012459A1 (en) * 2016-07-15 2018-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Oxygen separation membrane
JP2018512999A (en) * 2015-06-03 2018-05-24 エルジー・ナノエイチツー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hemical additive for improving the water flow rate of the membrane {CHEMICAL ADDITIVES FOR ENHANCEMENT OF WATER FLUX OF A MEMBRAN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787A (en) * 2011-09-08 2013-03-18 한국화학연구원 Polyamide nanofiltration composite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09802A (en) * 2013-07-17 2015-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16475A (en) 2013-08-01 2015-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amide water-treatment membranes having properies of high dur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32212A (en)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Water-treatment membranes having ion-exchangeable polym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79180A (en) * 2013-12-31 2015-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Reverse-osmosis membrane having high boron rej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18512999A (en) * 2015-06-03 2018-05-24 エルジー・ナノエイチツー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hemical additive for improving the water flow rate of the membrane {CHEMICAL ADDITIVES FOR ENHANCEMENT OF WATER FLUX OF A MEMBRANE}
KR20170126693A (en) * 2016-05-10 2017-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method manufacturing same
WO2018012459A1 (en) * 2016-07-15 2018-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Oxygen separation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132B1 (en)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18B1 (en) Reveres osmosis membrane having properties of high salt rejection and high flu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804616B2 (en) Polyamide-based water 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excellent in stain resistance, its production method, water treatment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JP5923793B2 (en) Highly permeable reverse osmosis membrane containing carbodiimide compoun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30292325A1 (en) Method for preparing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prepared thereby
KR10111466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amide-based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polyamide-based reverse osmosis membrane manufactured thereby
KR102097849B1 (en) Composition for interfacial polymerizing polyamide, method for manufacturing reverse osmosis membrane using the same
KR10207984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and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KR2017004711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membrane, water-treatment membrane manufactured by thereof, and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membrane
KR102101061B1 (en) Composition for preparing reverse osmosis membrane, method for preparing reverse osmosis membrane using the same,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odule
KR102212132B1 (en) Separation membrane, composition for active layer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separation membrane
KR102045108B1 (en)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method manufacturing same
KR10215793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manufactured by thereof, and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US11517861B2 (en) Water 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7013030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membrane, water-treatment membrane manufactured by thereof, and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membrane
KR10215792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 treatment module and water treatment module prepared by thereof
KR2017006442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membrane, water-treatment membrane manufactured by thereof, and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membrane
KR10252436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odule
KR10194698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membrane, water-treatment membrane manufactured by thereof, and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membrane
KR10215793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manufactured by thereof, and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water-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KR102075192B1 (en) Composition for interfacial polymerizing polyamide, method for preparing water 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using the same, and water treatment separation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odule
KR2022001374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 treatment membrane, water treatment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odule
KR20220011999A (en) Composition for forming active layer of reverse osmosis membrane, preparation method for reverse osmosis membrane,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odule
KR101520150B1 (en)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high flu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2662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odule
KR20170104831A (en) Composition for interfacial polymerizing polyamide, method for preparing reverse osmosis membrane using the same,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