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476A -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476A
KR20200044476A KR1020180125284A KR20180125284A KR20200044476A KR 20200044476 A KR20200044476 A KR 20200044476A KR 1020180125284 A KR1020180125284 A KR 1020180125284A KR 20180125284 A KR20180125284 A KR 20180125284A KR 20200044476 A KR20200044476 A KR 20200044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information
worker
inspectio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김정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4476A/ko
Publication of KR2020004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의 유지보수 일정을 관리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의 장비 정보, 장비 설치위치 정보, 장비 점검이력 정보 및 작업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작업 관리부 및 설정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A system for managing task in a shipyard}
본 발명은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는 수 천개 이상의 장비가 탑재되는 대형 구조물이다.
최근 국제유가의 하락 및 세계 경기의 하강으로 인하여, 선주사에 의해 발주된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의 인도가 연기되거나 인도를 취소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종 인도일까지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에 탑재된 수 천개 이상의 장비의 성능 유지를 위한, 장비의 유지보수 작업은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의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인 작업이다.
종래에는 장비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하여, 수 천개의 장비 각각에 대한 일정 및 작업 관리를 엑셀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진 일정 및 작업 관리를 체크 리스트를 통하여 문서로 발송하고, 작업자가 발송된 문서를 이용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형태로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작업 결과 또한 문서로서 반영이 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 때문에, 수 천개 이상의 장비에 대한 일정 및 작업 관리를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관계로, 입력 과정에서의 오류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 과정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작업 결과가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아, 작업이 중복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구체적으로는 장비의 유지보수 일정 및 작업 관리를 서버를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장비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의 유지보수 일정을 관리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의 장비 정보, 장비 설치위치 정보, 장비 점검이력 정보 및 작업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작업 관리부 및 설정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작업 관리부는 수집된 장비 점검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 점검 주기에 따라 일자별로 점검할 장비의 리스트를 설정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작업 관리부는 장비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를 점검 형태별로 분류하여 1차 그룹핑하고, 장비 설치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그룹핑된 장비를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설치위치별로 2차 그룹핑하며, 그룹핑된 장비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작업 관리부는 작업자 정보와 그룹핑된 장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장비와 연관된 작업자를 매칭시키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는 장비의 종류, 특성 및 점검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비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 정보 수집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장비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장비 설치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 설치위치 정보 수집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의 유지보수 이력을 나타내는 장비 점검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 점검이력 정보 수집부 및 작업자의 부서정보, 전공정보 및 담당 업무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자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장비의 유지보수 일정 및 작업 관리를 서버를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 일정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한 유지보수 작업 결과가 실시간으로 반영됨에 따라 중복 작업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장비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설치위치별 그룹핑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들의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작업 관리시스템을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분야 이외의 다른 다양한 기술 분야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100)은, 정보 수집부(110), 작업 관리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0)는 조선소 내에 구비된 DB 서버(10)로부터 장비 정보, 장비 설치위치 정보, 장비 점검이력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조선소의 경우 각종 조선 및 해양 설비 관련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조선 및 해양 설비와 관련된 기술 자료 또는 업무 자료 등이 축적되는 DB 서버(10)를 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DB 서버(10)에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됨은 물론, 각종 장비의 유지보수 정보도 함께 저장되며, 또한 조선소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자(조선소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수집부(110)는 DB 서버(10)로부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되는 각종 장비에 대한 장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각각의 장비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서 어느 위치에 설치되는지에 대한 장비 설치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장비별로 유지보수에 따른 장비 점검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더불어, DB 서버(10)로부터 해당 조선소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110)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110)는 장비 정보 수집부(111), 장비 설치위치 정보 수집부(112), 장비 점검이력 정보 수집부(113) 및 작업자 정보 수집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비 정보 수집부(111)를 통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되는 장비의 종류, 특성 및 점검 방법 등을 포함하는 장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장비 설치위치 정보 수집부(112)를 통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장비의 설치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점검이력 정보 수집부(113)를 통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장비에 대해 유지보수에 따른 점검이력 정보(장비별 점검 주기에 따른 지난 점검 이력 및 다음 점검 일정 등)를 수집할 수 있고, 작업자 정보 수집부(114)를 통해 작업자의 부서정보, 전공정보 또는 담당 업무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작업 관리부(120)는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장비 정보, 장비 설치위치 정보, 장비 점검이력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작업 관리부(120)는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함에 있어,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유지보수 대상 장비를 타입별로 그룹핑하고,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설치위치별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정보를 기반으로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관리부(120)는 해당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장비 점검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 점검 주기에 따라 일자별로 점검할 장비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에는, 장비 점검이력 정보에 포함된 장비별 점검 주기에 따른 지난 점검 이력 및 다음 점검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자별로 점검일에 해당하는 장비를 분류하여 리스트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종류, 특성 및 점검 방법 등을 포함하는 장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장비를 점검 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별로 분류하여 1차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기와 같은 회전식 동력장치의 경우, 점검 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모터 또는 엔진 등과 함께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장비 설치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 형태별로 1차 그룹핑된 장비를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설치위치별로 2차 그룹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설치위치별 그룹핑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에 설치되는 장비에 대해 설치위치별로 그룹핑하는 경우, 해당 선박을 기 설정된 다수의 구역(a,b,c)으로 분할하고, 점검 형태별로 1차 그룹핑된 장비들을 각각의 해당 구역 내에 설치된 장비들끼리 2차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을 선수부(a), 선중부(b) 및 선미부(c)로 3등분하여 세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1차 그룹핑된 장비들(1~7)을 각각의 해당 구역 내에 설치된 장비들끼리 2차 그룹핑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선박의 종류 또는 규모에 따라 구역의 분할 개수나 분할 범위를 다르게 하여 구역내 장비들끼리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관리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검 형태별 및 설치위치별로 그룹핑된 장비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에는, 작업자의 부서정보, 전공정보 또는 담당 업무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핑된 장비와 작업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부서, 전공 또는 업무이력이 동력 계통의 장비와 관련성이 높은 경우, 점검 형태별로 그룹핑된 발전기, 엔진 또는 모터 등의 장비와 해당 작업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 매칭되는 장비들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설치위치별로 그룹핑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동선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유지보수 대상 장비 중, 점검 행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의 장비들이 1차 그룹핑되어 담당 작업자에게 매칭될 수 있는데, 동일 계통의 1차 그룹핑된 유지보수 대상 장비들(1~7) 중 제1 내지 제4 장비(1~4)가 선수부(a)에 위치하고, 제5 내지 제7 장비(5~7)가 선미부(c)에 위치하는 경우, 설치위치별로 2차 그룹핑된 장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수부(a)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장비(1~4)가 해당 작업자에게 매칭될 수 있고, 선미부(c)에 위치한 제5 내지 제7 장비(5~7)는 다른 작업자에게 매칭될 수 있다.
즉, 대형 선박의 경우, 선수에서 선미까지 거리가 수백미터이고, 선박 내에 수 천개 이상의 장비가 탑재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작업 동선을 고려하여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작업 관리부(120)는 해당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장비 점검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그날 점검해야할 장비 리스트를 설정하고, 점검할 장비들을 점검 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별로 분류하여 1차 그룹핑하며, 또한 1차 그룹핑된 장비들을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설치위치별로 2차 그룹핑함으로써, 그룹핑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30)는 작업 관리부(120)에 의해 설정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30)는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화면 또는 프린트물로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해당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작업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나 PC 등의 작업자 단말기(20)로 전송하여 화면을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0)는 작업자에게 일자별로 그날에 점검할 장비 리스트를 제공하고, 각각의 장비에 대한 장비 특성, 점검 방법이나 점검 주기 등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100)은 작업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입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작업 관리부(120)와 연동하며, 정보 입력을 통해 작업 관리부(120)에 저장되는 장비 점검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점검 완료시, 입력부(140)를 통해 점검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하여 장비 점검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노후나 이상 등을 이유로 점검 주기를 변경하는 경우, 작업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변경된 점검 주기를 입력하여 장비 점검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40)는 작업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나 PC 등의 작업자 단말기(20)와 연동하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100)은, 종래에 수작업 형태로 진행되었던 장비의 유지보수 일정 및 작업 관리를 서버를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하여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고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장비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방법은, 조선소 내 DB 서버(10)로부터 장비 정보, 장비 설치위치 정보, 장비 점검이력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10),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단계(S120) 및 설정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비 정보 수집부(111)를 통해 조선소 내 DB 서버(10)로부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되는 장비 정보, 장비 설치위치 정보, 장비 점검이력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
즉, 조선소 내 DB 서버(10)로부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되는 장비의 종류, 특성 및 점검 방법 등을 포함하는 장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장비의 설치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에 따른 점검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서정보, 전공정보 또는 담당 업무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관리부(120)를 통해 장비 정보, 장비 설치위치 정보, 장비 점검이력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S120).
즉, 도 5를 참조하면,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해당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장비 점검이력 정보(장비별 점검 주기에 따른 지난 점검 이력 및 다음 점검 일정에 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장비 점검 주기에 따라 일자별로 점검할 장비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S210).
이후,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종류, 특성 및 점검 방법 등을 포함하는 장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장비를 점검 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별로 분류하여 1차 그룹핑할 수 있다(S220).
다음,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장비 설치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점검 형태별로 1차 그룹핑된 장비를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설치위치별로 2차 그룹핑할 수 있다(S230).
또한, 점검 형태별 및 설치위치별로 그룹핑된 장비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S240).
이때에는, 작업자의 부서정보, 전공정보 또는 담당 업무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핑된 장비와 작업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 매칭되는 장비들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설치위치별로 그룹핑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동선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장비 유지보수 일정이 설정되면, 출력부(130)를 통해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30).
이때에는, 해당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작업자의 휴대단말기나 PC 등의 작업자 단말기(20)로 전송하여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에 의한 장비 점검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입력부(140)를 통해 각각의 유지보수 대상 장비에 대한 점검 완료를 입력하여 장비 점검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유지보수 대상 장비의 노후나 이상 등을 이유로 점검 주기를 변경하는 경우, 작업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변경된 점검 주기를 입력하여 장비 점검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은, 장비의 유지보수 일정 및 작업 관리를 서버를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 일정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한 유지보수 작업 결과가 실시간으로 반영됨에 따라 중복 작업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장비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DB 서버 20 : 작업자 단말기
100 :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110 : 정보 수집부
120 : 작업 관리부 130 : 출력부
140 : 입력부

Claims (5)

  1.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의 유지보수 일정을 관리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의 장비 정보, 장비 설치위치 정보, 장비 점검이력 정보 및 작업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 점검 주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작업 관리부; 및
    상기 설정된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부는,
    상기 수집된 장비 점검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비 점검 주기에 따라 일자별로 점검할 장비의 리스트를 설정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부는,
    상기 장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비를 점검 형태별로 분류하여 1차 그룹핑하고, 상기 장비 설치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차 그룹핑된 장비를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설치위치별로 2차 그룹핑하며,
    상기 그룹핑된 장비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자 이력 및 작업 동선을 고려한 상기 장비 유지보수 일정을 설정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부는,
    상기 작업자 정보와 상기 그룹핑된 장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핑된 장비와 연관된 작업자를 매칭시키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장비의 종류, 특성 및 점검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장비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 정보 수집부;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 상기 장비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장비 설치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 설치위치 정보 수집부;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장비의 유지보수 이력을 나타내는 상기 장비 점검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 점검이력 정보 수집부; 및
    작업자의 부서정보, 전공정보 및 담당 업무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작업자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자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KR1020180125284A 2018-10-19 2018-10-19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KR20200044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284A KR20200044476A (ko) 2018-10-19 2018-10-19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284A KR20200044476A (ko) 2018-10-19 2018-10-19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476A true KR20200044476A (ko) 2020-04-29

Family

ID=7046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284A KR20200044476A (ko) 2018-10-19 2018-10-19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44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073A (ko) * 2021-06-02 2022-12-09 강병석 선박용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240003363A (ko) 2022-06-30 2024-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용자 패턴 학습을 이용한 조선업 전용 챗봇 시스템 및 초기화면 구성 방법
KR20240006248A (ko) 2022-07-06 2024-01-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챗봇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엔지니어링 지식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1378A (ko) 2022-07-19 2024-0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챗봇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도면 검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073A (ko) * 2021-06-02 2022-12-09 강병석 선박용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240003363A (ko) 2022-06-30 2024-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용자 패턴 학습을 이용한 조선업 전용 챗봇 시스템 및 초기화면 구성 방법
KR20240006248A (ko) 2022-07-06 2024-01-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챗봇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엔지니어링 지식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1378A (ko) 2022-07-19 2024-0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챗봇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도면 검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4476A (ko) 조선소 내 작업 관리시스템
Poór et al. Historical overview of maintenance management strategies: Development from breakdown maintenance to predictive maintenance in accordance with four industrial revolutions
Kececioglu Reliability engineering handbook
Favi et al. Life cycle model and metrics in shipbuilding: how to use them in the preliminary design phases
Sinha Towards higher maintenance effectiveness: Integrating maintenance management with reliability engineering
Chybowski et al.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in components importance analysis applied to a complex marine system
Hallihan et al. JIT manufacturing: The evolution to animplementation model founded in current practice
Böhner et al. Integrating digitization technologies into resource efficiency driven industrial learning environments
Salonen The need for a holistic view on dependable production systems
Rameez et al. Areas of lean manufacturing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in a manufacturing unit
Khairuddin et al. Critical needs for piston engine overhaul centre in Malaysia
Bolaji et al. Evaluation of maintenance culture in manufacturing industries in Akure metropolitan of Nigeria
Koenig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dern work breakdown structures in naval construction: A case study
Salger On the use of handover checkpoints to manage the global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Lyakhomskii et al. Consulting on energy management systems in mining industry
Christer et al. Stochastic Modelling in Innovative Manufacturing: Proceedings, Cambridge, UK, July 21–22, 1995
Fariya et al. Determining the effects of implementing IMO’s Hong Kong Convention’s requirements on the productivity of a ship recycling yard by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KR20200076290A (ko) 항공용 부품제조 및 인터그레이션 흐름에 기반한 통합정비분석 및 설계 장치 및 방법
Elgazzar The effe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changing production requirements (Economic-Technical-Human)
Sunithkumar et al. Design of IoT based smart shop floor-an exploratory case study
Aigner et al. Digitalization of Repair Processes in Aviation: Process Mapping, Modelling and Analysis for Composite Structures
Abbu et al. Cost model for remanufacturing
Gorelov et al. Strategic security assessment model for innovation projects in the aviation industry
Machingauta An investigation into the benefits obtained by introducing Reliability Centred Maintenance in industrial organisations
Duin et al. Challenges for the port of the future: findings from a scenario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