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671A - 카드 리더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리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671A
KR20200043671A KR1020180124315A KR20180124315A KR20200043671A KR 20200043671 A KR20200043671 A KR 20200043671A KR 1020180124315 A KR1020180124315 A KR 1020180124315A KR 20180124315 A KR20180124315 A KR 20180124315A KR 20200043671 A KR20200043671 A KR 20200043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value
interval
signal
decoding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5414B1 (ko
Inventor
강신형
이태훈
최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4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Abstract

카드 리더 장치가 개시된다. 카드 리더 장치는,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의 인터벌(interval)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디코딩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리더 장치 {CARD READER DEVICE}
본 발명은 카드 리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의 마그네틱 정보를 리드하는 카드 리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카드 리더 장치 카드 결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온/오프 전용라인을 통하여 중계 서버 또는 VAN사 서버와 연결되어 동작한다.
카드 리더 장치에는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에 인코딩(Encoding)된 카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해 자기 스트립 리더(magnetic stripe reader: MSR) 모듈이 구비된다. 이때, 자기 스트립 리더 모듈을 통해 리딩된 카드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정보 상태이다.
마그네틱 카드의 기억 용량은 수십 바이트이지만, 재 기록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편리성 및 경제성 때문에 마그네틱 카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마그네틱 카드의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리드하고자 하는 연구도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마그네틱 카드의 정보 리드에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마그네틱 카드 리드 속도가 향상되고, 마그네틱 카드 정보의 정확한 리드가 가능한 카드 리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는,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의 인터벌(interval)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디코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방법은,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의 인터벌(interval)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은,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 리더 장치는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정보의 리드에 효과적인 알고리즘이 적용됨으로써 마그네틱 카드의 리드 속도가 향상되고, 마그네틱 카드 정보의 정확한 리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의 변환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릭터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펄스 신호의 인터벌 정보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 및 이에 상응한 기능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의 변환 과정을 도시한다.
신용카드 등의 거래 결제시에 사용되는 마그네틱 카드(magnetic card, MSR)는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 간의 간격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한다. 마그네틱 카드가 카드 리더 장치에 스와이프 되는 경우, 카드 리더 장치는 마그네틱 스트립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로드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로 데이터(raw data)(1)는 바이너리 데이터(binary data)(2)로, 바이너리 데이터(2)는 캐릭터 데이터(character data)(3)로 순차적으로 변환된다.
로 데이터(1)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카드가 카드 리더 장치에 스와이프 되면서 유발되는 자기장에 의한 펄스 신호의 인터벌(interval)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펄스 신호의 인터벌(20)은
Figure pat00001
로 정의될 수 있다.
바이너리 데이터(2)는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한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벌 정보들을 '0' 또는 '1'로 변환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1 펄스 신호(31) 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1회 감지된 경우, 바이너리 데이터(2)는 '0'으로 디코딩될 수 있다. 또는, 제2 펄스 신호(32)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2회 감지된 경우, 바이너리 데이터(2)는 '1'로 디코딩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너리 데이터(2)는 5진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이너리 데이터(2) 5개는 1개의 5진수에 대응될 수 있다.
캐릭터 데이터(3)는 바이너리 데이터(2)가 디코딩된 데이터이다. 여기서, 바이너리 데이터(2)는 5진수로 변환된 후 10진수의 캐릭터 데이터(3)로 변환될 수 있다(캐릭터 데이터(3)의 예는 도 4 참조).
상술한 내용에서, 바이너리 데이터(2)가 캐릭터 데이터(3)로 변환되는 과정은 오류 가능성이 적은 수학 연산이다. 로 데이터(1)가 바이너리 데이터(2)로 변환되는 과정은 마그네틱 카드의 불규칙한 스와이프 과정과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의 훼손 등으로 오류의 가능성이 많은 과정이다. 이하에서는, 로 데이터(1)가 바이너리 데이터(2)로 오류 없이 효과적으로 변환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드 리더 장치(500)는 감지부(510) 및 프로세서(520)를 포함한다.
감지부(510)는 마그네틱 스트립에 의해 유발되는 펄스 신호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510)는 마그네틱 스트립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선은 N극 또는 S극을 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일회용 가상 카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자기장으로 송신하는 경우에도 감지부(510)는 펄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카드 리더 장치(5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520)는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감지된 펄스 신호의 인터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인터벌 정보는 순서 정보(000. 001, 002, …) 및 해당 순서 정보에서 감지된 펄스의 인터벌(시간)(88557982, 911, 916, …)이 매핑된 정보(000:8557982, 001:911, 002:916, … )일 수 있다. 여기서, 인터벌 정보의 단위는
Figure pat00002
일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20)는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1회 감지된 경우, 해당 펄스 신호를 '0'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520)는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2회 감지된 경우, 해당 펄스 신호를 '1'로 디코딩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판단(또는 디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제1 펄스 신호 및 제2 펄스 신호는 연속하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20)는 제3 펄스 신호와의 비교의 기준이 되는 기준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값은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준 값이 결정되는 경우, 프로세서(520)는 결정된 기준 값 및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20)는 결정된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factor)를 곱한 제1 값 및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정의된 펙터 값은 0과 1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정의된 펙터 값은 0.65일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준 값을 정하고, 정해진 기준 값 및 디코딩 대상이 되는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을 비교하여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결정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펄스 신호의 인터벌 정보를 도시한다.
일 예로, 000번째 인터벌 값부터 004번째의 인터벌 값은 카드가 스와이프되는 경우 처음으로 인식되는 펄스의 인터벌 값으로 오류의 가능성이 큰 값이므로 프로세서(520)는 000번째 인터벌 값부터 004번째 인터벌 값까지를 무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20)는 013번째 인터벌 값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005번째 인터벌 값부터 012번째 인터벌 값까지의 값의 평균 값을 결정하고 이를 기준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값과 013번째 인터벌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값보다 013번째 인터벌 값이 크거나 같은 경우, 013번째 인터벌 값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값보다 013번째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013번째 인터벌 값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005번째 인터벌 값부터 012번째 인터벌 값까지의 값의 평균 값 1151(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 0.65를 곱한 값인 748 및 013번째 인터벌 값 1168을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013번째 인터벌 값 1168이 748보다 크므로, 013번째 인터벌 값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과 같은 인터벌 정보를 디코딩하는 경우, XXX번째 인터벌 값을 디코딩하는 방법은 4가지 유형으로 정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XX번째 인터벌 값보다 먼저 디코딩되는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이 00인 경우(실시예 1), 01인 경우(실시예 2), 10인 경우(실시예 3), 11인 경우(실시예 4)의 4가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XXX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00인 경우
감지부(510)에 의해 감지되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펄스 신호는 제1 펄스 신호, n번째 펄스 신호는 제2 펄스 신호, n+1번째 펄스 신호는 제3 펄스 신호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펄스 신호(또는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다.
여기서,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 1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Figure pat00004
는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Figure pat00005
는 제2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013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014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인 경우, 기준 값은 013번째 인터벌 값 및 014번째 인터벌 값의 평균 값(
Figure pat00006
)으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평균 값 1162에 기정의된 펙터 0.65를 곱한 값인 755와 015번째 인터벌 값 1193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015번째 인터벌 값 1193이 755보다 크므로, 프로세서(520)는 015번째 인터벌 값에 대응되는 디코딩 결과 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01인 경우
감지부(510)에 의해 감지되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펄스 신호는 제1 펄스 신호, n번째 펄스 신호는 제2 펄스 신호, n+1번째 펄스 신호는 제3 펄스 신호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펄스 신호(또는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다.
여기서,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 2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Figure pat00008
는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Figure pat00009
는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017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018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인 경우, 기준 값은 017번째 인터벌 값 및 018번째 인터벌 값을 수학식 2에 대입한 결과 값 (
Figure pat00010
)으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상기 결과 값 1677에 기정의된 펙터 0.65를 곱한 값 1090과 019번째 인터벌 값 649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019번째 인터벌 값 649가 1090보다 작으므로, 프로세서(520)는 019번째 인터벌 값에 대응되는 디코딩 결과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017번째 인터벌 값 및 018번째 인터벌 값을 수학식 2에 대입하는 방법 외에도, 016번째 인터벌 값 및 018번째 인터벌 값을 수학식 2에 대입하는 방법으로도 동일한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 이는, 016번째 인터벌 값 및 017번째 인터벌 값은 전체로서 이진수 값 0으로 디코딩되기 때문이다(도 3의 31 참조).
실시예 3: 10인 경우
감지부(510)에 의해 감지되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펄스 신호는 제1 펄스 신호, n번째 펄스 신호는 제2 펄스 신호, n+1번째 펄스 신호는 제3 펄스 신호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펄스 신호(또는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다.
여기서,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 3으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Figure pat00013
는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021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022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인 경우, 기준 값은 021번째 인터벌 값 및 022번째 인터벌 값을 수학식 3에 대입한 결과 값 (
Figure pat00014
)으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상기 결과 값 1101에 기정의된 펙터 0.65를 곱한 값 715와 023번째 인터벌 값 524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023번째 인터벌 값 524가 715보다 작으므로, 프로세서(520)는 023번째 인터벌 값에 대응되는 디코딩 결과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021번째 인터벌 값 및 022번째 인터벌 값을 수학식 3에 대입하는 방법 외에도, 020번째 인터벌 값 및 022번째 인터벌 값을 수학식 3에 대입하는 방법으로도 동일한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 이는, 20번째 인터벌 값 및 21번째 인터벌 값은 전체로서 이진수 값 1로 디코딩되기 때문이다(도 3의 32 참조).
실시예 4: 11인 경우
감지부(510)에 의해 감지되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펄스 신호는 제1 펄스 신호, n번째 펄스 신호는 제2 펄스 신호, n+1번째 펄스 신호는 제3 펄스 신호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펄스 신호(또는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다.
여기서,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 4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5
(여기서,
Figure pat00016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17
는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520)는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018 및 019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020 및 021번째 인터벌 값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인 경우, 기준 값은 020번째 인터벌 값 및 021번째 인터벌 값을 수학식 4에 대입한 결과 값 (
Figure pat00018
)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상기 결과 값 1159에 기정의된 펙터 0.65를 곱한 값 753과 022번째 인터벌 값 1081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022번째 인터벌 값 1081이 753보다 크므로, 프로세서(520)는 022번째 인터벌 값에 대응되는 디코딩 결과 값을 0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020번째 인터벌 값 및 021번째 인터벌 값을 수학식 4에 대입하는 방법 외에도, 018번째 인터벌 값 내지 021번째 인터벌 값 중 2를 임의로 선택하여 수학식 4에 대입하는 방법으로도 동일한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 이는, 18번째 인터벌 값 및 19번째 인터벌 값은 전체로서 이진수 값 1로 디코딩 되고, 20번째 인터벌 값 및 21번째 인터벌 값도 전체로서 이진수 값 1로 디코딩되기 때문이다(도 3의 32 참조).
상술한 예에서, 제1 펄스 신호 내지 제2 펄스 신호는 마그네틱 스트립에 형성된 복수의 자성 선 중 연속하는 두 개의 자성 선 각각에 의해 유발된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마그내틱 카드에서 발되는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도 6의 인터벌 정보에 각 실시 예에 맞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벌 정보의 인터벌 정보들을 단순히 비교하지 않고, 특정 인터벌 값의 이전 인터벌 값을 참조하기 때문에 가독성과 정확도가 크게 개선된 카드 리더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MSR 디코더 모듈과 MCU(micro control unit) 간의 통신을 위한 핀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증폭기를 이용하여 마그네틱 카드 정보를 해독할 수 있으므로 카드 리더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마그네틱 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자기장을 이용해 카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방식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일회용 가상 카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자기장으로 송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카드 리더 방법은,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710) 및 감지된 펄스 신호의 인터벌(interval) 정보를 생성하고(720),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하는 과정(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은,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펄스 신호와 비교되는 기준 값은,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은, 기준 값 및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 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은,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factor)를 곱한 제1 값 및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제2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제3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기준 값은, 수학식 1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제3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제2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제3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기준 값은, 수학식 2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크기 값이 큰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크기 값이 작은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제2 펄스 신호는 인터벌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제3 펄스 신호는 인터벌 신호 중 n+1번째 신호일 수 있다.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기준 값은, 수학식 3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제2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제3 펄스 신호는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기준 값은, 수학식 4로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제1 값보다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제3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 펄스 신호 및 제2 펄스 신호는, 마그네틱 스트립에 형성된 복수의 자성 선 중 연속하는 두 개의 자성 선 각각에 의해 유발된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기정의된 펙터는 1 미만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드 리더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 및 감지된 펄스 신호의 인터벌(interval) 정보를 생성하고,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은,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 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감지부: 510 프로세서: 520

Claims (18)

  1. 카드 리더 장치에 있어서,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의 인터벌(interval)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을 디코딩 하는, 카드 리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기준 값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 값 및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이진수 값을 디코딩 하는, 카드 리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factor)를 곱한 제1 값 및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이진수 값을 디코딩 하는, 카드 리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3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상기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되고,

    Figure pat00019
    = 기준 값
    (여기서,
    Figure pat00020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21
    는 상기 제2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되는, 카드 리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3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상기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되고,

    Figure pat00022
    = 기준 값
    (여기서,
    Figure pat00023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24
    는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크기 값이 큰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크기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되는, 카드 리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인터벌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3 펄스 신호는 상기 인터벌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상기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되고,

    Figure pat00025
    = 기준 값
    (여기서,
    Figure pat00026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27
    는 상기 제2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되는, 카드 리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3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상기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되고,

    Figure pat00028
    = 기준 값
    (여기서,
    Figure pat00029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30
    는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되는, 카드 리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 및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마그네틱 스트립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자성 선 중 연속하는 두 개의 자성 선 각각에 의해 유발된 신호인, 카드 리더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상기 기정의된 펙터는 1 미만인, 카드 리더 장치.
  10. 카드 리더 방법에 있어서,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에 배치된 복수의 자성 선에서 유발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의 인터벌(interval)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펄스 신호를 이진수 값으로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이진수 값은,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 되는, 카드 리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기준 값은,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 및 상기 인터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이진수 값은,
    상기 기준 값 및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 되는, 카드 리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이진수 값은,
    상기 기준 값에 기정의된 펙터(factor)를 곱한 제1 값 및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 되는, 카드 리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3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상기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되고,

    Figure pat00031
    = 기준 값
    (여기서,
    Figure pat00032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33
    는 상기 제2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되는, 카드 리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3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상기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되고,

    Figure pat00034
    = 기준 값
    (여기서,
    Figure pat00035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36
    는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크기 값이 큰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크기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되는, 카드 리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인터벌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3 펄스 신호는 상기 인터벌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0이고,
    상기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되고,

    Figure pat00037
    = 기준 값
    (여기서,
    Figure pat00038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39
    는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되는, 카드 리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3 펄스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 중 n+1번째 신호이고,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디코딩 결과 값은 1이고,
    상기 기준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되고,

    Figure pat00040
    = 기준 값
    (여기서,
    Figure pat00041
    는 상기 제1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Figure pat00042
    는 상기 제2 펄스 신호의 상기 인터벌 값)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큰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0으로 결정되고,
    상기 기준 값에 상기 기정의된 펙터를 곱한 상기 제1 값보다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인터벌 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제3 펄스 신호의 상기 디코딩 결과 값은 1로 결정되는, 카드 리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신호 및 상기 제2 펄스 신호는,
    상기 마그네틱 스트립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자성 선 중 연속하는 두 개의 자성 선 각각에 의해 유발된 신호인, 카드 리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정의된 펙터는 1 미만인, 카드 리더 방법.

KR1020180124315A 2018-10-18 2018-10-18 카드 리더 장치 KR10210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15A KR102105414B1 (ko) 2018-10-18 2018-10-18 카드 리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15A KR102105414B1 (ko) 2018-10-18 2018-10-18 카드 리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671A true KR20200043671A (ko) 2020-04-28
KR102105414B1 KR102105414B1 (ko) 2020-04-29

Family

ID=70456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315A KR102105414B1 (ko) 2018-10-18 2018-10-18 카드 리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4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580A (ko) * 1989-06-03 1991-01-31 심재위 카드리더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23750A (ko) * 2016-02-12 2016-03-03 이도훈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는 모바일 자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3859A (ko) * 2014-09-18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674299B1 (ko) * 2015-04-30 2016-11-22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마그네틱 카드 리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580A (ko) * 1989-06-03 1991-01-31 심재위 카드리더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33859A (ko) * 2014-09-18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674299B1 (ko) * 2015-04-30 2016-11-22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마그네틱 카드 리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20160023750A (ko) * 2016-02-12 2016-03-03 이도훈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는 모바일 자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414B1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70927A1 (en) Distributed tokenization using several substitution steps
KR101879416B1 (ko) 이상 금융거래 탐지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46178B2 (en) Secure data storage based on 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s
CN103500586B (zh) 检测移动存储装置容量的方法及设备
EP2909790A2 (en) Detecting embossed characters on cards
CN109977976B (zh) 可执行文件相似度的检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20040037121A1 (en)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ts authentication method
US8407221B2 (en) Generalized notion of similarities between uncertain time series
EP3454244B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CN103703436A (zh) 数据处理装置、数据处理方法、数据处理程序、以及记录该程序的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US10366582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detecting unauthorized communication of data from a magnetic stripe device or embedded smart chip device
KR102105414B1 (ko) 카드 리더 장치
EP24507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vement of a medium and providing associated output
CN113344572A (zh) 一种离线支付方法、装置及设备
US10114995B2 (en) Method and arrangements for estimating one or more dominating orientations in a digital image
CN105450591A (zh) 一种验证信息的方法、系统、客户端及服务器
KR102449473B1 (ko) Mst 결제방식을 지원하는 결제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EP345114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cure input processing
EP1033670A2 (en) Digital magnetic read channel and method
CN112929395B (zh) 云数据去重方法及系统
KR102554852B1 (ko)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rsa 암호에 대한 부채널 분석 방법 및 장치
JP2013225252A5 (ko)
US8179258B1 (en) Method for reading a tag
JP2004152347A (ja) 記憶装置、記憶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記憶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CN117786173A (zh) 显卡防伪方法、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