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351A -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351A
KR20200043351A KR1020200046550A KR20200046550A KR20200043351A KR 20200043351 A KR20200043351 A KR 20200043351A KR 1020200046550 A KR1020200046550 A KR 1020200046550A KR 20200046550 A KR20200046550 A KR 20200046550A KR 20200043351 A KR20200043351 A KR 20200043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upling
communication
antenn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택
나세웅
정하윤
Original Assignee
(주)카네비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네비컴 filed Critical (주)카네비컴
Publication of KR2020004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는,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외부 안테나 장치; 및 차량 내부에 부착되며, 복수의 통신 영역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통신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 커플링 방식으로 연결되어 차량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Hybrid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라디오 수신을 위해서 차량 지붕을 피해 앞이나 뒤쪽 휀더에 약 70cm 전후 길이의 수동식 또는 자동식 안테나를 설치하여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차량 외관의 스타일링을 고려해 후방 글라스의 열선 구조를 이용하여 TV용 안테나까지 조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TV 안테나의 열악한 지향성 및 수신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다중수신(Diversity) 안테나 방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출고 후 수신기를 장착할 경우에는 별수 없이 외장 안테나를 설치할 수밖에 없다.
안테나 이론에 따르면 세단 및 RV 차량의 경우, 라디오(Radio), TV등의 방송 수신이나 기타 무선통신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안테나 방식은 차량의 지붕(Roof panel)에 막대형(Rod) 안테나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초단파(VHF)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파장에 비례하는 안테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 차량 외관을 해치고, 안테나 고정과 동축 케이블 연결을 위해 차체에 관통 구(Feed-thru hole)가 필요하게 되는 장착 상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차량에 주로 적용되는 안테나의 방식은 고전적인 로드 형 안테나를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로드 형 안테나의 주된 장착방식은 그라운드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하여 차량의 지붕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것의 고정을 위해서 장착홀(Mounting Hole)을 마련하거나 자석(Magnetic)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배선은 주위의 틈새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외부에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로드 안테나, 차체와의 결합부분, 전송선로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보다 향상된 성능을 위하여 추가 적으로 증폭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안테나와 커플링되어 차량 통신(V2X)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안테나와의 커플링을 통해 차량 통신 안테나와 위성 항법 통신(GNSS)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안테나와 커플링되어 차량 통신(V2X)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외부 안테나 장치; 및 차량 내부에 부착되며, 복수의 통신 영역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통신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 커플링 방식으로 연결되어 차량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기는,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의 커플링 없이 독립적으로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모듈; 및 제1 커플링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플링 패턴을 통해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 커플링되어 상기 차량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커플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기는 상기 차량 유리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되,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차량 유리의 쉐도우 라인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커플링부는 상기 쉐도우 라인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차량 단말기가 상기 차량 유리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플링 패턴은 상기 차량 통신 및 위성 항법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은 급전부와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커플링부는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 또는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을 형성할 수 잇다.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는, 제2 커플링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플링 패턴에 의해 커플링되는 제2 커플링부; 및 상기 제2 커플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플링부는, 위성 항법 통신을 위한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플링부는, 상기 제1 커플링 패턴에 따라 상호 분리된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상호 분리된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차량 통신을 위한 제2 커플링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플링부는 차량 유리 외측 표면에 부착되되, 상기 쉐도우 라인 외부에 상기 제1 커플링부와 상기 차량 유리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외부에 부착되며, 차량 통신 안테나 패턴 및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외부 안테나 장치; 및 상기 차량 내부에 부착되며,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 커플링 방식으로 연결되어 차량 통신 및 위성 항법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 통신 안테나 패턴은 다이폴 안테나 패턴이며, 상기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 패턴은 패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는, 상기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와 커플링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통신 안테나 패턴은 상기 안테나부에 형성되며, 상기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 패턴은 상기 커플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외부에 부착된 외부 안테나 장치와 커플링되는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 결합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결합된 외부 기기가 차량 통신 기기인 경우,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에 의해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에 하나의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 상기 차량 단말기가 커플링되어 차량 통신 안테나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된 외부 기기가 상기 차량 통신 기기 및 위성 항법 통신 기기인 경우,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 중 하나는 위성 항법 통신(GNSS) 안테나를 위한 패턴을 포함함; 및 상기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에 의해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는 상호 분리된 제2 커플링 패턴과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며, 상호 분리된 제2 커플링 패턴과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안테나와 커플링되어 차량 통신(V2X)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안테나와의 커플링을 통해 차량 통신 안테나와 위성 항법 통신(GNSS)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단말기가 차량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안테나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와 외부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단말기가 차량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100)은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차량 유리(10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단말기(110)는 차량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외부 안테나 장치(120)와 커플링되어 차량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110)는 외부 안테나 장치(120)와의 커플링 없이 독립적으로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단말기(110)는 차량 내부에 부착된다. 즉, 차량 단말기(110)는 차량 유리(전면 유리)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다. 또한, 차량 단말기(110)의 일부는 차량 전면 유리에 형성되는 쉐도우 라인(Shadow line)상에 위치되고, 나머지 영역은 쉐도우 라인 외부에 위치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110)는 외부 안테나 장치(120)와 커플링을 통해 차량 통신 및 위성 항법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따라서, 차량 단말기(110)에서 외부 안테나 장치(120)와 커플링되는 일부 영역은 차량 전면 유리의 쉐도우 라인 외부에 위치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가 차량 전면 유리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차량 전면 유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후면 유리에 쉐도우 라인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110)는 "ㄱ"자 형상(교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110)는 LTE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에 설치된 외부 안테나와의 커플링을 통해 차량 통신 안테나로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110)는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 이외에도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110)는 외부 안테나 장치(120)과 커플링을 통해 차량 통신 안테나와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차량 전면 유리의 외측 표면에 부착된다. 외부 안테나 장치(120)를 차량 전면 유리의 외측 표면에 부착함에 있어, 차량 유리의 쉐도우 라인 외부에 위치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안테나부는 외부 안테나 장치(120)의 본체(501)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안테나부의 종단은 차량 유리의 외부까지 배열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외부 안테나 장치(12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110)는 안테나 모듈(610), 제1 커플링부(620) 및 프로세서(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안테나 모듈(610)은 외부 안테나 장치(120)와의 커플링 없이 제1 통신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제1 통신은 LTE통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610)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안테나 모듈(610)은 급전부로서 동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테나 모듈(610)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이동통신을 위한 구동부와 차량 통신을 위한 구동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이 LTE 통신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외에도 다른 이동통신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차량 단말기(110)를 차량 내부(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함에 있어, 차량 단말기(110)의 안테나 모듈(610)이 차량 전면 유리에 형성된 쉐도우 라인(shadow line)상에 위치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110)를 차량 전면 유리 내부 표면에 부착함에 있어, 차량 단말기(110)의 제1 커플링부(620)는 차량 전면 유리에 형성된 쉐도우 라인 외부에 위치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쉐도우 라인은 차량 전면 유 리에 햇빛의 유입을 막기 위해 차량 유리 상단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110)는 차량 유리 상단에 존재하는 쉐도우 라인을 이용하여 제1 통신과 제2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커플링부(620)가 쉐도우 라인상에 위치되는 경우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외부 안테나 장치(120)와 커플링되는 차량 단말기(110)의 제1 커플링부(620)는 반드시 쉐도우 라인 외부에 위치되도록 부착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 단말기(110)에 구비되는 안테나 모듈(610)은 쉐도우 라인 상에 설치되고, 제1 커플링부(620)는 쉐도우 라인 외부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차량 단말기(110)는 "ㄱ"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플링부(620)는 외부 안테나 장치(120)와 커플링 방식을 통해 제2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은 차량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플링부(620)는 제1 커플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안테나부(720), 제1 커플링부(620))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미도시)와 연동되며,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4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차량 통신 및 위성 항법 통신(예를 들어, GPS)을 위한 기기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예를 들어, USB)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630)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를 감지하여 차량 통신 및 위성 항법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커플링 패턴 형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30)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 통신을 위한 장치가 결합되는 경우,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630)는 차량 단말기에 차량 통신과 위성 항법 통신을 위한 각각의 장치가 결합되는 경우,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30)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 안테나 장치(120) 또한 상호 분리된 제2 커플링 패턴과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안테나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제2 커플링부(710)와 안테나부(720)를 포함한다.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전면 유리의 외측 표면에 부착된다. 외부 안테나 장치(120)를 차량 전면 유리의 외측 표면에 부착함에 있어, 차량 단말기(110)와 커플링되어 차량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2 커플링부(710)는 차량 전면 유리의 쉐도우 라인 외부에 위치되도록 외부 안테나 장치(120)가 차량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안테나 장치(120)의 제2 커플링부(710)는 차량 단말기(110)와의 커플링을 위해 차량 단말기(110)의 제1 커플링부(620)와 차량 유리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차량 유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 부착될 수 있다.
외부 안테나 장치(120)의 제2 커플링부(710)는 차량 유리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제2 커플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플링부(710)는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720)는 제2 커플링부(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360도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외부 안테나 장치(120)에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안테나부(720)는 차량 유리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하나의 차량용 안테나로서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차량 단말기(110)의 제1 커플링부(620)는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 안테나 장치(120)의 제2 커플링부(710)에 하나의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720)는 다이폴 안테나 소자일 수 있다. 따라서, 다이폴 안테나 소자가 제2 커플링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가 하나의 차량용 안테나로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차량용 안테나와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GNSS 안테나)로서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단말기(110)의 제1 커플링부(620)는 상호 분리된 2개의 제1 커플링 패턴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외부 안테나 장치(120)의 제2 커플링부(710)에 상호 분리된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부(720)는 상호 분리된 2개의 제2 커플링 패턴 중 차량용 안테나를 위한 제2 커플링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차량 통신용 안테나와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GNSS 안테나)로서 동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와 외부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 단말기(110)에 구비된 LTE 안테나 모듈은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동 방법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가 커플링 방식을 통해 차량 통신 및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로 동작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810에서 차량 단말기(110)는 당해 차량 단말기에 외부 기기 결합 여부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차량 단말기(110)는 차량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USB)의 물리적 접속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 기기 결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815에서 차량 단말기(110)는 결합된 외부 기기가 차량 통신 기기인지 GPS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결합된 외부 기기가 차량 통신용 기기 하나인 경우, 단계 820에서 차량 단말기(110)는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을 형성한다.
차량 단말기(110)에서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하나의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2 커플링 패턴은 안테나부(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차량 단말기(110)는 외부 안테나 장치(120)와 커플링되어 하나의 차량용 안테나로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결합된 외부 기기가 차량 통신용 기기와 위성 항법 통신을 위한 기기인 경우, 단계 825에서 차량 단말기(110)는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을 형성한다.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 중 어느 하나는 위성 항법 통신(예를 들어, GPS) 안테나를 위한 패턴일 수 있다.
차량 단말기(110)에서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2 커플링 패턴 중 차량 통신을 위한 제2 커플링 패턴은 안테나부(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차량 단말기(110)와 외부 안테나 장치(120)는 커플링되어 차랑용 안테나와 위성 항법 통신 안테나로서 동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 통신 단말기
110: 차량 단말기
120: 외부 안테나 장치

Claims (7)

  1.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외부 안테나 장치; 및
    상기 차량 유리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통신 영역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통신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 커플링 방식으로 연결되어 차량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단말기는,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의 커플링 없이 독립적으로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모듈; 및
    제1 커플링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플링 패턴을 통해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와 커플링되어 상기 차량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커플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플링부는 쉐도우 라인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차량 단말기가 상기 차량 유리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패턴은 상기 차량 통신 및 위성 항법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급전부와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커플링부는 하나의 제1 커플링 패턴 또는 상호 분리된 복수의 제1 커플링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안테나 장치는,
    제2 커플링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플링 패턴에 의해 커플링되는 제2 커플링부; 및
    상기 제2 커플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부는,
    위성 항법 통신을 위한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부는,
    상기 제1 커플링 패턴에 따라 상호 분리된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상호 분리된 제2 커플링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차량 통신을 위한 제2 커플링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부는 차량 유리 외측 표면에 부착되되, 상기 쉐도우 라인 외부에 상기 제1 커플링부와 상기 차량 유리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KR1020200046550A 2018-06-11 2020-04-17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43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57 2018-06-11
KR20180067057 2018-06-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491A Division KR20190140383A (ko) 2018-06-11 2018-08-27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351A true KR20200043351A (ko) 2020-04-27

Family

ID=690562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491A KR20190140383A (ko) 2018-06-11 2018-08-27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200046550A KR20200043351A (ko) 2018-06-11 2020-04-17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491A KR20190140383A (ko) 2018-06-11 2018-08-27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14038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83A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4645B2 (en) Antenna module for a motor vehicle
CN113169442A (zh) 搭载于车辆的天线系统
KR20210147725A (ko) 차량용 v2x통신 시스템
ES2282571T3 (es) Antena multibanda que usa un reflector de cavidad electricamente corta.
EP3096397B1 (en) Window glass for vehicle and glass antenna
US9698473B2 (en) Vehicle-mounted antenna device
US20190348754A1 (en) Smart antenna for in-vehicle applications that can be integrated with tcu and other electronics
EP2833479B1 (en) Antenna system for a vehicle
US7289074B2 (en) Composite antenna device
KR20200072992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3743263B2 (ja) 自動車電話機用アンテナ装置
CN104183899A (zh) 整合式车用天线
KR20120068102A (ko) 유리창 부착형 통합 외장형 안테나
KR20200043351A (ko) 하이브리드 차량 통신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7106263B2 (en) Window-integrated antenna for LMS and diversitary FM reception in mobile motor vehicles
US20220294105A1 (en) Multi-antenna ground plane structure for integration in a vehicle
US20210083371A1 (en) In-vehicle wireless system
CN110537290B (zh) 转换器设备和具有转换器设备的机动车
KR101077044B1 (ko)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이에 포함된 룸미러 구조체, 상기 룸미러 구조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쉐이드 밴드
US20240178555A1 (en) Smart antenna for in-vehicle applications that can be integrated with tcu and other electronics
US11056776B2 (en) Antenna arrangement for a vehicle
KR200491620Y1 (ko) 차량용 다이폴 안테나
KR20160023744A (ko) 차량 통신시스템
KR101985510B1 (ko) 개인 항법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
US20180097280A1 (en) Bluetooth contro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