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349A -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349A
KR20200043349A KR1020200046264A KR20200046264A KR20200043349A KR 20200043349 A KR20200043349 A KR 20200043349A KR 1020200046264 A KR1020200046264 A KR 1020200046264A KR 20200046264 A KR20200046264 A KR 20200046264A KR 20200043349 A KR20200043349 A KR 20200043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2368B1 (en
Inventor
이창수
서준규
강경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64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04500B1/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368B1/en
Publication of KR2020004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by a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situ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determining a display mode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situ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in the determined display mode, wherein the display mode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mode and a map mode.

Description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차량{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therefor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차량 내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context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on a transparent display in the vehicl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therefor.

과거의 자동차 개발은 차량 고유의 성능인 주행 속도와 연비 효율 향상 등에 치중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자동차 개발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 향상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안전벨트, 에어백, 충격 흡수 차체 등과 같은 안전 부품이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충돌 시험이 확대되는 등 자동차에 대한 안전 의식이 높아졌으나, 이는 사고 후의 피해를 경감시키는 수동적인 방안에 불과하다.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s focused on improving the driving speed and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However, current automobile development places great importance on improving driver convenience and safety. In addition, safety parts such as seat belts, airbags, shock absorbers, etc. have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and safety awareness about automobiles has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collision tests, but this is only a passive method to reduce damage after an accident. .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 중에 필요한 정보 또는 차량 내외부의 상황 정보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보급이 필요하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issemination of 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at enables the driver to clearly recognize information required during driving or situation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and to prevent an accident from being caused by the driver's carelessness.

본 발명은 차량에서 수집 가능한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차량 내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차량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a driver by displaying situation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that can be collected by the vehicle on a transparent display in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비 가시 거리에 위치한 정보들을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시선 분산 없이 상황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차량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for enabling the driver to quickly grasp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without distracting the gaze, by displaying information located at a non-visible distance of the driver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소정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모드는, 증강 현실 모드 및 맵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context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Determining a display mode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acquired context information; And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in the determined display mode, and the display mode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mode and a map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는,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정보, 정차 상태 정보, 이용 차선 정보, 및 방향 지시 등 조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moving route information, driving speed information, vehicle stop status information, usage lan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dic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외부 차량으로부터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from an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etermining a display mod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증강 현실 모드로 결정하고,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맵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is less than a preset distance, the display mode is determined as an augmented reality mo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is preset. When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determining the display mode as the map mode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정된 거리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상기 외부 차량을 볼 수 있는 가시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The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sible distance that the driver can see the external vehicle with the naked ey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증강 현실 모드인 경우, 차량 외관 정보 및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카메라를 통해 외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및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가 인식된 외부 차량의 실제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hen the determined display mode is an augmented reality mode, recognizing an external vehicle through a camera based on at least one of vehicle appearance information and a vehicle number; And display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on the transparent display so as to overlap the recognized actual image of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차량 외관 정보 및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복수의 후보 차량을 선정하는 단계; 운전자의 시선 정보 또는 운전자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후보 차량 중 외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lecting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recognized through a camera based on at least one of vehicle appearance information and a vehicle number; And recognizing an external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based on the driver's gaze information or the driver's inpu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외부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정보, 정차 상태 정보, 이용 차선 정보, 및 방향 지시 등 조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displaying at least one of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route information, driving speed information, stop state information, usage lan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dication of an external vehicle.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맵 모드인 경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지도 상에 맵핑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on a map and displaying it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when the determined display mode is a map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크기, 표시 주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hang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object size, a display period, and a color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운전자의 눈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운전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표시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ognizing a driver's eye position; And adjusting and displaying a display position or angl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river's ey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외부 차량은, 정보 제공 차량과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운전자로부터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위치 정보 교환을 요청하는 단계; 및 외부 차량으로부터 위치 정보 교환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from a driv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external vehicle; And receiving an acceptance messag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equest from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차량의 외부의 조도(illuminance)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illumination information external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or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river's gaz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획득된 정보 제공 차량의 외부의 조도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기초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based on the acquired illumin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ing the information or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gaz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획득된 정보 제공 차량의 외부의 조도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hanging and displaying a color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acquired illumin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ing information or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gaze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외부 차량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이 제공하는 정보를 외부 차량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vig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from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잔여 연료가 소정 수량 이하인 경우, 잔여 연료 내에서 정보 제공 차량이 도달할 수 있는 주유소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hen the residual fue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quantity, searching for a gas station within which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can reach within the residual fuel;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earched gas st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검색된 주유소가 인식되는 경우, 검색된 주유소에 대응되는 객체가 인식된 주유소의 실제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gas station overlapping an actual image of the recognized gas station when the gas station searched through the camera is recognized.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차량의 결함 발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결함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결함 발생 부분을 정비할 수 있는 정비소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정비소에 관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defect generation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Searching for a workshop capable of servicing the defective portion based on the defect occurrence information; An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ound workshop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사고 발생 지점 정보, 사고 발생 시점 정보, 사고 발생 차선 정보, 및 우회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ccident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accident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accident occurrence lane information, and bypass road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은,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상황 인식부; 획득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모드는, 증강 현실 모드 및 맵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tuation recognition unit for obtaining situ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display mode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acquired context information; And a transparent display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in the determined display mode, and the display mode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mode and a map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상황 인식부는, 외부 차량으로부터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vehicle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제어부는,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display mod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제어부는,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증강 현실 모드로 결정하고,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맵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isplay mode as the augmented reality mod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is less than a preset dist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is When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play mode may be determined as a map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정된 거리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외부 차량을 볼 수 있는 가시 거리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제어부는, 날씨 정보, 조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가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et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sible distance through which a driver can see an external vehicle with the naked eye, and the controll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illuminance information, and The visibility distance may be adjus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humidity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상황 인식부는,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증강 현실 모드인 경우, 차량 외관 정보 및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카메라를 통해 외부 차량을 인식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가 인식된 외부 차량의 실제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n external vehicle through a camera based on at least one of vehicle exterior information and a vehicle number when the determined display mode is an augmented reality mode.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to be superimposed on the recognized actual image of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상황 인식부는, 차량 외관 정보 및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복수의 후보 차량을 선정하고, 운전자의 시선 정보 또는 운전자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후보 차량 중 외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recognized through a camera based on at least one of vehicle exterior information and a vehicle number, and inputs driver's gaze information or a driver's input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 external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외부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정보, 정차 상태 정보, 이용 차선 정보, 및 방향지시등 조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display at least one of moving path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driving speed information, stop status information, use lane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uch as a direction indicato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맵 모드인 경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지도 상에 맵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ermined display mode is the map mode,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may be mapped and displayed on the m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제어부는,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지도의 축척을 변경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ange the scale of the map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정보 제공 차량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크기, 표시 주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size, display cycle, and color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external vehicle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상황 인식부는, 운전자의 눈 위치를 인식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표시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driver's eye position, and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driver's eye position, and the external vehicle It can be displayed by adjusting the display position or angl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상황 인식부는, 운전자로부터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위치 정보 교환을 요청하고, 외부 차량으로부터 위치 정보 교환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that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from a driver; An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to the external vehicle, and receiving an acceptance messag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equest from the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상황 인식부는, 정보 제공 차량의 외부의 조도(illuminance)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illumination information outsid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or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river's gaz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제어부는, 획득된 정보 제공 차량의 외부의 조도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기초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based on the obtained illumin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ing information or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gaz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획득된 정보 제공 차량의 외부의 조도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color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illumin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ing information or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gaze direction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외부 차량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이 제공하는 정보를 외부 차량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of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by navigation of an external vehicle from an extern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제어부는, 잔여 연료가 소정 수량 이하인 경우, 잔여 연료 내에서 정보 제공 차량이 도달할 수 있는 주유소를 검색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검색된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 gas station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can reach within the residual fuel when the residual fue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quantity, and provide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vehicle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earched gas s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검색된 주유소가 인식되는 경우, 검색된 주유소에 대응되는 객체가 인식된 주유소의 실제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gas station overlapping an actual image of the recognized gas station when the searched gas st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camer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상황 인식부는, 정보 제공 차량의 결함 발생 정보를 획득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제어부는, 결함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결함 발생 부분을 정비할 수 있는 정비소를 검색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검색된 정비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defect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defect generation information, the defect Searching for a workshop capable of servicing an occurrence portion, and a transparent display of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earched worksho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사고 발생 지점 정보, 사고 발생 시점 정보, 사고 발생 차선 정보, 및 우회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ccident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accident occurrence time point information, accident occurrence lane information, and bypass road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 제공 차량이 외부 차량과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 제공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증강 현실 모드에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식별 표시 주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차량에 대한 이미지 형태의 식별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모드에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목적지 안내 정보, 타 차량의 사고 정보,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타 차량의 사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타 차량의 사고 정보를 지도 상에 맵핑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운전자의 비 가시(invisible)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도로 정보를 장애물 위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운전자의 비 가시권에 존재하는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필수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 내부의 결함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 내부의 결함 발생 부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비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vehicl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splay mod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n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in an augmented reality mod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dentification display cy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identification mark in the form of an image for an external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in a ma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creen providing information on an external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destination guide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an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mapping and displaying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map.
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river's invisible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are views illustrating a screen for displaying road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obstacle.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gas st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on a gas station existing in a non-visible area of a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information on essential gas station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defect generation information inside a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efective portion inside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workshop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from th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appeara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bl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 제공 차량(100), 타 차량(200), 이동 단말(300), 기지국(400), 서버(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other vehicle 200, a mobile terminal 300, a base station 400, a server 500, and the like. It can cont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투명 디스플레이란 정보를 표시하는 스크린의 뒷면이 비치는 형태의 정보 표시 장치를 말한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소자로 구성되고, 투명 소자에 대한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각 픽셀의 RGB값을 조절하여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vehicle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A transparent display refers to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which the back side of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is reflected. The transparent display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element, and the transparency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ight transmittance for the transparent element or by adjusting the RGB value of each pix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소형, 중형, 대형, 이륜 및 특수 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승용, 승합, 트럭, 버스 및 화물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ype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include small, medium, large, two-wheel and special vehicles, and may include passenger cars, passenger cars, trucks, buses, and freight vehicle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내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내부의 상황 정보에는 주기적으로 감지되는 차량 정보(예컨대, 차량 속도, 차량의 이동 방향, 주행 차선, 차 안 온도, 습도, 타이어 상태, 엔진 상태 등), 차량 내의 운전자에 대한 정보(운전자의 눈 위치 정보, 졸음 운전 상태 정보, 음주 상태 정보, 이동 단말 이용 상태 정보 등), 차량 내에서 발생되는 돌발 상황(예컨대, 차량 내 결함 발생, 연료 부족, 사고 발생 등)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quire contex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 the vehicle context information, periodically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eg, vehicle speed, vehicle moving direction, driving lane, car temperature, humidity, tire condition, engine condition, etc.), information about the driver in the vehicle (driver's eye There may be location information, drowsy driving status information, drinking statu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usage status information, etc., and information about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ring in a vehicle (for example, a defect in a vehicle, lack of fuel, an accident, etc.).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 차량(200), 이동 단말(300), 기지국(400), 서버(500) 등과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quire context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ommunicate with other vehicles 200, the mobile terminal 300, the base station 400, the server 500, and the like through wired or wireless, to obtain context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란,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상황에 관한 정보로서, 외부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예컨대, 타 차량(200)의 위치 정보, 타 차량(200)의 속도, 타 차량(200)의 주행 차선, 타 차량(200)의 방향 지시 등 상태 등), 소정 거리 내의 배경 정보(건물 정보, 타 차량 정보, 날씨 정보, 조도 정보 등),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situation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is information about a situation occurring outside the vehicle,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200, speed of the other vehicle 200, and other vehicle 200) Driving lane, status of other vehicle 200, such as direction indication), background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uilding information, other vehicl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illumination information, etc.), accident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200,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There may be a ba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차량(200)은 차량 간 통신(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네트워크(예컨대, IEEE 802.11p WAVE)를 통해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차량(200)은, 운행 속도 정보, 정차 상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차선 정보, 사고 정보 등을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타 차량(200)은 정보 제공 차량(100)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소정 주기로 정보를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Another vehic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rough a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eg, IEEE 802.11p WAVE). For example, the other vehicle 200 may transmit driving speed information, stop status informatio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lane information, and accident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t this time, the other vehicle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or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t a predetermined cycle.

이동 단말(300)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300)은 정보 제공 차량(100)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300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e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이동 단말(300)을 통해 타 차량, 타 차량(200)의 이동 단말, 기지국(400), 서버(500) 등과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3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3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vehicle,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vehicle 200, the base station 400, the server 50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like. have. The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300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n electronic book terminal,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기지국(400)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RSU(Roadside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00)은 기지국(400)의 통신 범위 내에 들어온 정보 제공 차량(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이 요청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400 may include a roadside unit (RSU) installed on the roadside. The base station 400 may receive a service request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ase station 400, and provide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예를 들어, 기지국(400)은 타 차량(200)의 위치 정보 또는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 실시간 교통 정보, 디지털 지도, 영화, 음악 등을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도 기지국(400)을 통해서 자신의 사고 정보를 외부에 방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station 400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200 or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200,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digital maps, movies, music, and the like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 Als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broadcast its own accide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se station 400.

서버(500)는 정보 제공 차량(100)이 수집한 상황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웹에서 검색하고, 검색한 결과를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는 타 차량의 사고 정보와 관련된 기사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제공하거나, 목적지와 관련된 지도 정보를 검색하여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정보 제공 차량(100)이 수집한 상황 정보를 정보 제공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관리할 수도 있다. The server 500 may sear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x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on the web, and provide the search results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For example, the server 500 may search for articles related to accident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in real time and provide them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or search map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have. In addition, the serv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nd store / manage the situ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 제공 차량이 외부 차량과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 차량(200)과 차량 간 통신(V2V communication)이 가능하다. 차량 간 통신(예컨대, IEEE 802.11p WAVE)은 높은 이동성을 제공하며, 도플러 전이(Doppler Shift) 등의 간섭이 잘 발생하는 실외 환경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 차량 간 통신은 실외에서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량간 통신이므로, 주파수 선택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애드 훅 방식에 따라 타 차량(200)과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애드 혹(ad hoc) 방식은 AP(액세스 포인트: access point, 예컨대, 무선 공유기) 없이 단말기끼리 P2P(Peer to Peer)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을 의미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이동 통신 망(cellular network)을 통해 타 차량(2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이 데이터를 이동 통신 망을 통해 서버(500)로 전송하는 경우, 서버(500)는 정보 제공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타 차량(200)에 전송해 줄 수 있다. 반대로, 서버(500)는 타 차량(2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전송해 줄 수도 있다.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vehicle. As shown in FIG. 2 (a),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can communicate with another vehicle 200 and the vehicle (V2V communication). Inter-vehicle communication (for example, IEEE 802.11p WAVE) provides high mobility and has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an outdoor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such as Doppler shift occurs well. Sinc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i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moving at high speed outdoors, frequency selective fading frequently occur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communicates with other vehicles 200 according to an ad-hook method. It might be. The ad hoc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exchanging data in a peer-to-peer (P2P) format between terminals without an AP (access point, for example, a wireless router). As shown in FIG. 2 (b),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ommunicate with other vehicles 200 through a cellular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ransmits data to the server 5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er 500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o another vehicle 200. I can do it. Conversely, the server 500 may receive data from another vehicle 200 and transmit it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내의 이동 단말(300-1)과 타 차량(200) 내의 이동 단말(300-2)은 이동 통신 망 또는 무선 랜(와이파이)을 통해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 내의 이동 단말(300-1)과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타 차량(200)도 타 차량(200) 내의 이동 단말(330-2)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2 (c), the mobile terminal 300-1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300-2 in the other vehicle 200 us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LAN (Wi-Fi). Through this, mutual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300-1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n addition, the other vehicle 200 may als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330-2 in the other vehicle 200.

근거리 통신의 일례로 무선 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Wireless LAN (Wi-Fi), Bluetooth (Bluetooth),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Fi Direct (WF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복수의 타 차량과 애드 훅 등을 통해 그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B, C, D 네 사람이 동일한 목적지를 각자의 차를 가지고 이동하는 경우, A의 차와, B의 차와, C의 차와, D의 차는 애드 훅 연결을 통해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form a group through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and an ad hook. For example, if four people A, B, C, and D travel to the same destination with their own cars, A's car, B's car, C's car, and D's car will be grouped through an ad-hoc connection. It can be formed.

그룹핑된 정보 제공 차량(100) 및 복수의 타 차량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거나, 내비게이션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에서 제공되는 정보에는, 최단 이동 경로 정보, 현재 이동 위치 정보, 지도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grouped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may share multimedia content or information provided in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navigation may include shortest moving route information, current moving lo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그룹핑된 정보 제공 차량(100) 및 복수의 타 차량은 보안을 위해 공통의 인증 정보(예컨대, 공통 PIN)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ped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may use comm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a common PIN) for security.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정보 제공 차량(100)의 구성에 대해서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 제공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상황 인식부(110), 출력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정보 제공 차량(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정보 제공 차량(100)은 구현될 수 있다. 3A,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tuation recognition unit 110, an output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However, not all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lso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상황 인식부(110)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인식부(110)는 센싱부(111), 카메라(112), 마이크(113), 통신부(1114), 사용자 입력부(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xt recognition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modules for acquiring context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110 may include a sensing unit 111, a camera 112, a microphone 113, a communication unit 1114, a user input unit 115, and the like.

센싱부(111)는 차량 내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음성 인식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11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obtaining contex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 tilt sensor, a gyro sensor, a 3-axis magnetic sens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like.

센싱부(111)는 차량(100) 내의 연료 상태 정보, 엔진 상태 정보(엔진 상태, 엔진 오일 상태, 타이밍 벨트 상태에 관한 정보), 타이어 정보(타이어 마모도, 뒤틀림 정도 등), 주행 속도 정보, 주행 방향 정보, 방향 지시 등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11 includes fuel state information in the vehicle 100, engine state information (engine state, engine oil state, timing belt state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tire wear, degree of distortion, etc.), driving speed information, and driving Status information such as direc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dication may be obtained.

이 경우, 센싱부(111)는 차량 내부의 결함 발생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는 타이어가 임계치 이상 마모되거나, 타이어의 공기압이 임계치 이상 낮아지거나, 엔진 오일이 임계치보다 낮아지거나, 브레이크가 미작동하는 등의 결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111 may acquire defect generation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10 may acquire defect information such as the tire is worn above a threshold,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becomes lower than the threshold, the engine oil is lower than the threshold, or the brake is not working.

또한, 센싱부(111)는 조도 센서를 통해, 주간인지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센싱부(111)는 주간의 밝기 정도 또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조도란 어떤 면이 받는 광속(光束)의 밀도를 말하며, 통상의 단위로는 룩스(lx)가 사용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11 may determine whether it is daytime or nighttime,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sensing unit 111 may acquire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rightness level of the daytime or the driver's gaze direction. Illuminance refers to the density of a light beam received by a surface, and lux (lx) is used as a normal unit.

한편, 센싱부(111)는 레이더 센서를 통해 앞 차량을 인식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ensing unit 111 may recognize a vehicle in front through a radar sensor.

카메라(112)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12)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14)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12)는 구현 예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2)는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좌측 카메라, 우측 카메라, 내부 카메라, 블랙박스 카메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12)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112 is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nd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camera 112 may be stored in a memory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4. Two or more cameras 112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For example, the camera 11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ront camera, a rear camera, a left camera, a right camera, an internal camera, and a black box camera. In addition, the camera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rared camera.

카메라(112)는 차량 외부에 존재하는 객체, 지형, 도로에 관한 배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112)는 차량(100)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건물, 산, 타 차량, 보행자, 차선, 전조등, 가로수 등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황 인식부(11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정보 또는 비전(vision) 기술을 기초로, 운전자가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목적물 또는 목적 경로를 관측하는데 방해가 되는 장애물의 형태 또는 종류를 배경 정보에서 인식할 수도 있다. The camera 112 may acquir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an object, terrain, and road existing outside the vehicle. That is, the camera 112 is capable of recognizing buildings, mountains, other vehicles, pedestrians, lanes, headlights, and street tre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100. At this time,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110 based on GPS (Global Position System) information or vision (vision) technology, the type or type of obstacles that interfere with the driver to observe the object or the target path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Can also be recognized in the background information.

또한, 카메라(112)는 타 차량(200)의 차량 번호 또는 차종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12)는 운전자의 눈(시선)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때, 상황 인식부(110)는 적외선 LED를 더 이용하여 운전자의 눈동자를 검출하고 추적할 수도 있다. 적외선 LED를 카메라(112) 축에 가까운 곳에 둘 경우 동공은 보통 혈액이 풍부한 망막에서 빛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평소보다 더욱 밝게 보인다. 이런 현상은 "Bright pupil effect"라고 불리는데, 눈동자를 검출하고 추적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112 may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or vehicle type of another vehicle 200. Meanwhile, the camera 112 may recognize the driver's eye (gaze) position. At this time,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110 may further detect and track the driver's pupil using an infrared LED. When the infrared LED is placed close to the axis of the camera 112, the pupil usually looks brighter than usual because it reflects light from the blood-rich retina. This phenomenon is called the "Bright pupil effect" and can be very useful for detecting and tracking pupils.

마이크(11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1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1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microphone 113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통신부(114)는 정보 제공 차량(100)과 타 차량(200) 간의 통신, 정보 제공 차량(100)과 이동 단말(300) 간의 통신, 정보 제공 차량(100)과 기지국(400) 간의 통신, 정보 제공 차량(100)과 서버(50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4)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4 communicates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another vehicle 200, communic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300, communic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base station 400, information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server 5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4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and the like.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타 차량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 server, and other vehicles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may be internal or external.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Fi Direct (WFD). Can be used.

또한,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 example is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The GPS module can obtain not only the location of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but also accurate time with 3D speed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통신부(114)는, 타 차량(200), 이동 단말(300), 기지국(400), 및 서버(5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4)는, 차량(100)과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400)으로부터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는, 외부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외부 차량의 운행 속도 정보, 외부 차량의 정차 상태 정보, 외부 차량의 차선 정보, 및 외부 차량의 조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4 may receive context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from at least one of the other vehicle 200, the mobile terminal 300, the base station 400, and the server 5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4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from the base station 4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the exchange of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vehicle 100.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vement path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stoppag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lan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통신부(114)는 목적지 안내 정보,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 교통 상황 정보(예컨대, 차 막힘 정보, 도로의 차선수, 도로폭, 도로종별, 제한높이, 제한중량, 회전규제) 등을 획득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4 includes destination guidance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200,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eg, car blockage information, road riders, road width, road type, limit height, limit weight, rotation regulation), and the like. It can also be obtained.

통신부(114)는,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소정 외부 차량에 위치 정보 교환을 요청하고, 소정 외부 차량으로부터 위치 정보 교환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4 may request the exchange of locatio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and receive an acceptance messag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equest from the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사용자 입력부(115)는 운전자가 정보 제공 차량(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입력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 입력부(115)는 운전자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예컨대, 목적지 입력 정보, 차량 내 온도 설정 정보, 라디오 주파수 설정 정보 등), 기기 조작(예컨대, 가속 패달 조작, 핸들 조작, 브레이크 조작, 기어(gear) 조작)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5)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3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5)는 운전자로부터 위치 정보 교환을 요청하기 위한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수신 수도 있다. The user input unit 115 receives data input by the driv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at is, the user input unit 115 includes information set by the driver (eg, destination input information, in-vehicle temperature setting information, radio frequency setting information, etc.), device operation (eg, accelerator pedal operation, handle operation, brake operation, gear) (gear)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user input unit 115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power outag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131 described later, it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user input unit 115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from the driver.

또한, 사용자 입력부(115)는 운전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음성 인식 모듈은 음성 인식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Also, the user input unit 115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receiving a driver's voice command.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may recognize a user's voice using a voice recognition engine and transmit the recognized voice to the controller 130.

사용자 입력부(115)는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이 운전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의 일례로 운전자 전용 리모콘, 스마트 폰, 핸드폰,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15 may exist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 device.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for manipulating the transparent display screen may be attached to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s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may be a driver-only remote control,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출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투명 디스플레이(121)와 음향 출력 모듈(122), 알람부(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and may include a transparent display 121, an audio output module 122, and an alarm unit 123.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정보 제공 차량(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상황 인식부(110)에서 획득한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12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For example, the transparent display 121 may display an image (UI (User Interface) or Graphic User Interface (GUI))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ntext recognition unit 110.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display 121 may display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in 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增强現實,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 정보를 갖는 가상 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Augmented reality (增强 現實, augmented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virtual objects on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sees with their eyes. Augmented reality is also called mixed reality (MR) because it shows a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in real time in one image.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지도 상에 맵핑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121 may map and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context information on a map.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12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차량(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12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앞 유리창, 옆 유리창, 뒷 유리창 등에 투명 디스플레이(121)가 존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and the touch pad ar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the transparent display 12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transparent displays 121 may be presen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For example, the transparent display 121 may be present in the front windshield, the side windshield, and the rear windshield of the vehicle 100.

음향 출력 모듈(122)은, 통신부(114)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22)은 정보 제공 차량(100)에서 수행되는 기능(목적지 음성 안내, 교통 상황 음성 안내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2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4 or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2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destination voice guidance, traffic situation voice guidance, etc.) perform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2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23)는 정보 제공 차량(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정보 제공 차량(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차량 내부 결함 발생, 타 차량의 사고 정보 수신, 연료 부족 상황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람부(12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alarm unit 12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include an occurrence of a defect in the vehicle, reception of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and a situation of insufficient fuel. The alarm unit 12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a signal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제어부(130)는, 통상적으로 정보 제공 차량(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상황 인식부(110), 영상 처리부(120), 출력부(1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드는 증강 현실 모드 및 맵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usu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overall control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11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the output unit 12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a display mode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At this time, the display mode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mode and a map mode.

제어부(130)는 상황 인식부(110)에서 획득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뿐 아니라 동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의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ntext recognition unit 110.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a moving image as well as a still image.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20)는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새로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에서 기 생성된 영상을 추출하거나 추출된 영상을 상황 정보에 맞게 편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120)는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지도(map) 상에 맵핑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20 may generate a new image in real time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n image previously generated from the memory or edit the extracted image accor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Meanwhi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context information by mapping it on a map.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의 조도(illuminance) 정보를 기초로,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조도가 높은 경우(밝은 날)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투명도를 낮추고, 조도가 낮은 경우(어두운 날)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위치 별로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121) 내의 투명도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해 그라데이션을 줄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ased on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lower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when the illumination is high (bright day) and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when the illumination is low (dark da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differently for each posi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Meanwhile, when the transparency i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s not uniform, the controller 130 may give a gradation for natural expression.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투명 소자로 구성되므로, 제어부(130)는 투명 소자에 대한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각 픽셀의 RGB값을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조절하여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Since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element,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y adjust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element or the RGB value of each pixel by adjusting the RGB value of each pixel. Transparency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기초로,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태양을 마주보고 운전 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투명도를 낮추고, 운전자가 태양을 등 뒤에 두고 운전 중인 경우,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ased on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gaze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driver is driving facing the sun, the controller 130 lowers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and when the driver is driving with the sun behind his back, the controller 130 is the transparent display 121 Can increase the transparency.

한편,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가 결합된 형태의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경우,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평상시에는 투명한 유리와 같은 상태로 유지하다가,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가 빛을 차단하게 하여, 투명 디스플레이(202)를 불투명한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ransparent display 121 in the form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the control unit 130, the transparent display 121, such as a transparent glass in the normal While maintaining the state, by supplying power to the transparent display 121, the liquid crystal display may block light, and the transparent display 202 may be set to an opaque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의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일부 영역 또는 전 영역에 불투명 색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정보 제공 차량(100) 주변의 건물의 색상이나 지형 등에 따라 주변 상황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색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색상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불투명 색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an opaque color in some or all areas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ased on background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automatically adjust the color of all or part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with a color that can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 color or topography of the building aroun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an opaque color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ased on a user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통신부(114)를 통해 정보 제공 차량(100)의 사고 정보를 외부로 방송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may broadcast accident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4 to the outside.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상황 정보,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not shown). In the memory (not shown),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may be stored, and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contex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context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still images, and videos) Etc.).

메모리(미도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미도시)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not shown)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Als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a memory (not shown) on the Internet.

이하에서는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대해서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transparent display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B.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형, 투명 TFEL(Thin-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형, 투명 OLED 형, 투사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The transparent display 12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LCD) type, a transparent thin-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TFEL) type, a transparent OLED type, and a projection type.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structure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will be described.

투명 LCD 형이란 현재 사용되고 있는 LCD 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을 제거하고, 한 쌍의 편광판, 광학 필름,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 투명 전극 등을 사용하여 구현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투명 LCD 장치는,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 등이 사용되어 투명도가 낮고, 백라이트 유닛 대신 주변 광을 이용하여 광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으나, 대면적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transparent LCD type means a transparent display implemented by removing a backlight unit from a currently used LCD device and using a pair of polarizers, optical films,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s, and transparent electrodes. The transparent LCD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polarizing plate or an optical film is used to have low transparency, and light efficiency is low by using ambient light instead of a backlight unit, but there is an advantage of realizing a large area transparent display.

투명 TFEL 형이란 투명 전극, 무기 형광체,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교류형 무기박막 EL 디스플레이(AC-TFEL)를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AC-TFEL은 무기 형광체 내부에 가속이 된 전자가 지나가면서 형광체를 여기시켜 빛을 내게 하는 디스플레이이다. 투명 디스플레이(121)가 투명 TFEL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30)는 적절한 위치로 전자가 투사되도록 조정하여, 정보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무기 형광체, 절연막이 투명한 특성을 가지므로, 매우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TFEL type means a device using an AC type inorganic thin film EL display (AC-TFEL) compos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an inorganic phosphor, and an insulating film. AC-TFEL is a display that excites the phosphor and emits light as the accelerated electrons pass inside the inorganic phosphor.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TFEL,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by adjusting the electron to be project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Since the inorganic phosphor and the insulating film have transparent properties, a very transparent display can be realized.

그 밖에, 투명 OLED형이란 자체 발광이 가능한 OLED를 이용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유기 발광층이 투명하기 때문에, 양쪽 전극을 투명 전극으로 사용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OLED는 유기 발광층 양쪽에서 전자와 정공을 주입하면 이들이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되면서 빛을 내게 된다. 투명 OLED 장치는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전자 및 정공을 주입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transparent OLED type means a transparent display using an OLED capable of self-emission.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transparent, if both electrodes are used as transparent electrodes, it can be realized a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OLEDs emit light when electrons and holes are injected from both sid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y are combin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transparent OLED device displays information by injecting electrons and holes into a desired position using this principle.

도 3b는 투명 OLED 형으로 구현된 투명 디스플레이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s) 형으로 구현된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는 참조부호 131을 부여한다.3B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a transparent display implemented with a transparent OLED typ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numeral 131 is given to a transparent display implemented in a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type.

도 3b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투명 기판(121-1), 투명 트랜지스터층(121-2), 제 1 투명 전극(121-3), 투명 유기 발광 층(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layer)(121-4), 제 2 투명 전극(121-5), 연결 전극(121-6)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FIG. 3B,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121-1, a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1-2,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1-3, and a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21-4),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1-5), and includes a connecting electrode (121-6).

투명기판(12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 또는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투명 기판(121-1)의 재질은 투명 디스플레이(121)가 적용된 사용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가령, 폴리머 재료는 가볍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는 상점의 쇼윈도(show window)나 일반 창문 등에 사용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21-1 may be made of glass or a polymer material such as plastic having transparent properties.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21-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s applied. For example, the polymer material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weight and flexible, and thus can be used in a portable display device, and glass can be used in a shop's show window or a general window.

투명 트랜지스터층(121-2)이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투명 트랜지스터층(121-2) 내에는 소스, 게이트, 드레인 및 각종 유전막(121-7, 121-8)이 마련되며, 드레인과 제 1 투명 전극(12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121-6)도 마련될 수 있다. 도 3b에서는 투명 트랜지스터 층(121-2) 내에 소스, 게이트, 드레인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투명 트랜지스터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된 복수 개의 투명 트랜지스터가 마련된다. 제어부(130)는 투명 트랜지스터층(121-2) 내의 각 트랜지스트들의 게이트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투명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1-2 means a layer including a transistor manufactured by replacing the opaque silicon of the existing thin film transistor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zinc oxide or titanium oxide. A source, a gate, a drain, and various dielectric films 121-7 and 121-8 are provided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1-2, and a connectio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rain and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1-3 ( 121-6) can also be provided. In FIG. 3B, only one transparent transistor including source, gate, and drain is illustrated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1-2, but a plurality of transparent transistor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urface is provided. The controller 130 may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gates of the respective transistors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1-2 to drive the transparent transistor to display information.

제 1 투명 전극 (121-3) 및 제 2 투명 전극(121-5)은 투명 유기 발광층(121-4)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 1 투명 전극(121-3), 투명 유기 발광층(121-4) 및 제 2 투명 전극(121-5)은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s)를 형성한다.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1-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1-5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based on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1-4.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1-3,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1-4,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1-5 form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구동 방식에 따라 크게 수동형(Passive Matrix OLED)과 능동형 (Active Matrix OLED)으로 분류된다. PMOLED는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121-3, 121-5)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화소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반면, AMOLED는 각 화소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있는 구조이다. 도 3b에서는 능동형을 나타내고 있다.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 passive matrix OLED and an active matrix OLED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PMOLED i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121-3 and 121-5 cross each other forms a pixel. On the other hand, AMOLED has a structure i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TFT) for driving each pixel is provided. 3B shows the active type.

제 1 투명 전극 (121-3) 및 제 2 투명 전극(121-5)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 전극을 포함하며, 라인 전극의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가령, 제 1 투명 전극(121-3)의 라인 전극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었다면, 제 2 투명 전극(121-5)의 라인 전극들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 1 투명 전극(121-3) 및 제 2 투명 전극(121-5) 간에는 복수의 교차 영역이 형성된다. 각 교차 영역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트랜지스터가 연결된다.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1-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1-5 each include a plurality of line electrodes, and alignment directions of the line electrodes ar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line electrodes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1-3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ine electrodes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1-5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crossing region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1-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1-5. A transparent transistor is connected to each crossing region as shown in FIG. 3B.

제어부(130)는 투명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각 교차 영역 별로 전위차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위차가 형성된 교차 영역 내에서 각 전극으로부터 전자와 정공이 투명 유기 발광층(121-4)으로 유입되어 결합하면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반면, 전위차가 형성되지 않은 교차 영역은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후면 배경이 그대로 투명하게 비치게 된다.The control unit 130 allows a potential difference to be formed for each crossing region using a transparent transistor. Electrons and holes are introduced into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1-4 from each electrode in the crossing region where the potential difference is formed, and light is emitted while bonding. On the other hand, the crossing area where no potential difference is formed does not emit light, and accordingly, the rear background is transparently reflected.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121-3, 121-5)으로는 ITO(indium tin 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121-4)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Indium tin oxide (ITO) may be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121-3 and 121-5. Alternatively, new materials such as graphene may be used. Graphene refers to a material having transparent properties with a carbon atom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honeycomb plane. In addition,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1-4 may also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aterial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121)는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형, 투명 TFEL(Thin-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형, 투명 OLED 형 이외에 투사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투사형이란 HUD(Head Up Display)와 같이 투명한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display 121 may be implemented in a projection type in addition to a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LCD) type, a transparent thin-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TFEL) type, and a transparent OLED type. The projection type means a method of projecting and displaying an image on a transparent screen such as a HUD (Head Up Display).

이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정보 제공 차량(100)이 기 설정된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external vehicle in which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preset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41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소정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는,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정보, 정차 상태 정보, 이용 차선 정보, 및 방향 지시 등 조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외부 차량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차량일 수 있다. In step 41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btain context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moving route information, driving speed information, vehicle stop status information, usage lan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dication. The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may be a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으로부터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는 차량 간 통신, 애드 훅, 또는 이동 통신 망을 통해 외부 차량으로부터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노변에 위치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context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vehicle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contex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from the external vehicle through inter-vehicle communication, an ad hoo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context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from a base station located on the roadside.

단계 42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획득된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는, 증강 현실 모드 및 맵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모드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에 가상 이미지를 합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맵 모드란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지도에 맵핑하여 표시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In step 42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a display mode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acquired contex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The display mode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mode and a map mode. The augmented reality mode means that a virtual image is combined and displayed as a single image in the real world viewed by the user. The map mode means displaying and displaying context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on a map.

단계 43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In step 43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 the determined display mode.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에는,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관측되는 실제 외부 차량을 타 차량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 마크, 지도 상에 외부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외부 차량의 이미지,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includes an identification mark for distinguishing the actual external vehicle observ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from other vehicles, an image of an external vehicle, an icon, etc.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on the map You can.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사용자가 실제로 관측할 수 있는 거리 내에 외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외부 차량에 대한 식별 마크를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관측하기 어려운 거리에 외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외부 차량의 위치를 지도상에 맵핑하여 투명 디스플레(12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identification mark for the external vehicle on a transparent display when the external vehicle exists within a distance that the user can actually observe, and the external vehicle at a distance tha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observe When present,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may be mapped on the map and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splay mod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51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소정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차량(100)은 획득된 소정 외부 차량의 상황 정보 중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외부 차량과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51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btain context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among the obtained context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단계 52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52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the display mod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the display mode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to the external vehicle is less than a preset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 설정된 거리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외부 차량을 볼 수 있는 가시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차량(100)은 운전자들이 평균적으로 외부 차량을 볼 수 있는 가시 거리를 디스플레이 모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날씨 정보, 조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가시 거리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경우나 조도가 낮은 경우에는, 정보 제공 차량(100)은 가시 거리를 평균 가시 거리에 비해 짧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distance may include a visible distance through which a driver can see an external vehicle with the naked ey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set in advance the visible distance that drivers can see on the outside on average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display mode.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be set by changing a visible distan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weather information, illuminanc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rain or low illumina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set the visible distance shorter than the average visible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GPS 정보, 기 저장된 맵 정보, 나침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외부 차량이 평균적인 가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whether an external vehicle is located within an average visible distance using GPS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pre-stored map information, compass information, and the like. have.

단계 53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증강 현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차량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시 거리 내에 외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증강 현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53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is less than a preset distanc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the display mode as the augmented reality mode.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vehicle exists within a visible distance from which a user can visually view the external vehic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the display mode as the augmented reality mode.

단계 54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카메라를 통해 외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외관 정보 및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카메라를 통해 외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외부 차량의 번호판 숫자를 이미지 처리 기술을 통해 인식하고, 메모리에 기 저장된 소정 외부 차량의 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소정 외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소정 외부 차량의 외관 정보(예컨대, 차종, 차 윤곽 등)를 근거로 템플릿을 미리 정의하고, 기 정의한 템플릿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비교, 대조 함으로써 소정 외부 차량을 인식할 수도 있다. In step 54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an external vehicle through a camera.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an external vehicle through a camera based on at least one of vehicle exterior information and a vehicle numb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by recognizing the number plate number of the external vehicl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through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comparing the number of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hav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efines a template in advance based on the appearance information (eg, car model, car outline, etc.) of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and compares and contrasts the predefined template and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to provide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s can also be recogniz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외관 정보 및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복수의 후보 차량을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차량(100)은 운전자의 시선 정보 또는 운전자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후보 차량 중 소정 외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select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recognized through a camera based on at least one of vehicle exterior information and a vehicle numb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based on the driver's gaze information or the driver's input information.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이 비전 기술을 통해 차량으로 추정되는 복수의 후보 차량을 선정한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내부 센서(예컨대, 내부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의 시선을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소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위치의 차량을 소정 외부 차량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selects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estimated to be vehicles through vision technolog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alyzes the driver's gaze through an internal sensor (eg, an internal camera). ,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vehicle where the driver's gaze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s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복수의 후보 차량을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해 주고,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을 수도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21)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된 복수의 후보 차량 중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추적하고자 하는 외부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 입력을 통해서, 복수의 후보 차량 중 소정 외부 차량을 선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and receive a selection from the user.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cludes a touch interface, the user may select an external vehicle to be tracked by touching on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 addition, the user may select a predetermined external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vehicles through voice input.

단계 55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가 외부 차량의 실제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정보, 정차 상태 정보, 이용 차선 정보, 및 방향 지시 등 조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차량의 실제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후에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n operation 55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so tha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is superimposed on the actual image of the external vehic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a transparent display 121 so as to superimpose at least one of the mo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the vehicle stop status information, the usage lane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uch as direction indication on the actual image of the external vehicle You can also mark on. 6 to 10,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단계 56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맵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차량을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비 가시 거리에 외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맵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In operation 56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vehicl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distanc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the display mode as the map mode.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vehicle exists at a non-visible distance where a user cannot see the external vehicle with the naked ey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the display mode as the map mode.

단계 57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지도 상에 맵핑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지도의 축척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 축척의 지도(상세하게 나타낸 지도) 상에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맵핑하여 표시하고, 거리가 멀수록 소 축척의 지도(간략하게 나타낸 지도) 상에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맵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11을 참조하여, 후에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n step 57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map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on the map and display it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hange the scale of the map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ps and displays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on a large-scale map (detailed map) as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vehicle is closer, and the smaller the distance, the smaller the distan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may be mapped and displayed on a map (a briefly shown map). With reference to 11,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운전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표시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y adjusting the display position or angl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driver's eye position.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의 조도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을 변경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조도가 높은 경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을 어둡게 변경하고, 조도가 낮은 경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을 밝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의 배경 색상에 기초하여,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hange the color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and display it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ased on the external illumination information or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gaze direc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to dark when the illumination is high, and brightly change the color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when the illumination is low.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hange the color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external background color.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이 제공하는 정보를 외부 차량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vig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from the external vehicl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map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n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61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과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대 이상의 차량이 동일한 목적지로 함께 이동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두 대 이상의 차량은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6, in step 61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mutually authenticate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with an external vehicle. For example, when two or more vehicles move together to the same destination, two or more vehicles can mutually authenticate the exchange of location information.

정보 제공 차량(100)은 운전자(또는 탑승자)로부터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의 일례로 차량 번호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외부 차량에 위치 정보 교환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으로부터 위치 정보 교환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정보 교환 요청 및 수락 메시지 수신은, 차량 간 통신, 이동 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from a driver (or a passenger). A vehicle number may be an exampl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an acceptance messag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equest from the extern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quest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an acceptance message may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inter-vehicle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이 외부 차량으로부터 위치 정보 교환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락 메시지를 외부 차량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a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equest from an external vehicle, and in response, may transmit an acceptance message to the external vehicle.

단계 62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step 62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information exchange.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에는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 외부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외부 차량의 운행 속도 정보, 외부 차량의 정차 상태 정보, 외부 차량의 차선 정보, 외부 차량의 조작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차량의 조작 상태 정보란 운전자가 방향 지 등, 브레이크, 가속 페달, 핸들 등을 조작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vehicle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moving path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stop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lan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and the like. hav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means information that a driver manipulates a steering wheel, a brake, an accelerator pedal, and a steering wheel.

정보 제공 차량(100)은 기지국(400)으로부터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이 기지국(400)으로 외부 차량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기지국(400)은 외부 차량의 번호판에 기반하여,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정보 제공 차량(100)에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500) 또는 외부 차량(500)의 이동 단말 등으로부터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vehicle from the base station 400.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to the base station 400, the base station 400, based on the license plate of the external vehicle,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from the external vehicle 500 or a mobile terminal of the external vehicle 500.

한편, 외부 차량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예컨대, 전방 카메라 또는 블랙박스 카메라를 통해 외부 차량이 관측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블랙박스 카메라 또는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차량의 차량 번호 또는 차종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차량(100)은 인식된 외부 차량의 차량 번호 또는 차종을 기초로,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external vehicl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vehicle is observed through the front camera or the black box camera),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uses the black box camera or the front camera to external vehicle Can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or vehicle model.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or vehicle type of the external vehicle.

단계 63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차량이 정보 제공 차량(100) 운전자의 가시 거리에 존재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대한 식별 표시를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In operation 63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00.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vehicle exists at a visible distance of a driv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identification display for the external vehi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외부 차량에 대한 식별 표시란,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을 타 차량과 구별하기 위한 표시를 의미한다.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외곽선을 표시하거나, 식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대한 외곽선 또는 식별 이미지를 소정 주기로 표시할 수도 있다. The identification display for an external vehicle means an indication for distinguishing an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the exchange of location information from another vehicle.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outline on an external vehicle or an identification imag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outline or an identification image of the external vehicle at a predetermined cyc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외부 차량에 대한 식별 표시의 크기, 표시 주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size, display period, and color of the identification display for the external vehicl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vehicle.

반면에, 외부 차량이 정보 제공 차량(100) 운전자의 비가시 거리에 존재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외부 차량 사이에 존재하는 장애물 위에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vehicle is present at the invisible distance of the driv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on the obstacle existing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Can be displayed.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 augmented reality.

또한, 외부 차량이 정보 제공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밖에 위치하는 경우(예컨대, 정보 제공 차량(100)과 외부 차량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가상 이미지를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vehicle is located outsi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eg, when an obstacle exists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a virtual of the external vehicle. The imag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 차량이 B 차량을 목적지까지 뒤 따라 가는 경우에 있어서, A 차량의 운전자는 타 차량과 B 차량을 명확히 구별할 수 있으며, B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운전 중에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 차량의 운전자도 뒤 따라오는 A 차량의 위치를 운전 중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뒤 따라 오는 A차량을 위해 주행 속도나 차선 등을 조절해 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A follows the vehicle B to the destination, the driver of the vehicle A can clearly distinguish the vehicle from the other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B The transparent display 121 can be easily checked while driving. In addition, since the driver of vehicle B can also check the position of vehicle A following while driving, it is possible to adjust driving speed or lanes for vehicle A follow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증강 현실 모드에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in an augmented reality mod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전방 카메라 또는 블랙 박스 카메라를 통해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이 인식되는 경우, 외부 차량에 외곽선(1410)을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해줄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일례로 외곽선 형태의 식별 표시를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is recognized through the front camera or the black box camera,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isplays the outline 1410 on the external vehicle as a transparent display 121. Can be displayed through. Although the identification mark in the form of an outline is mentioned as an exampl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in FIG. 7,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또는 탑승자)는 앞 유리 창(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측되는 복수의 차량 중에서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을 쉽게 구별(인식)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or occupant) can easily distinguish (recognize) an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the exchange of loc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vehicles observed through a windshield window (or a transparent display). .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식별 표시 주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dentification display cy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대한 외곽선 형태의 식별 표시를 소정 주기로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예컨대, 외곽선 형태의 식별 표시)를 소정 주기로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외곽선 형태의 식별 표시가 반복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되었다가(811) 사라졌다가(812) 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identification display in the form of an outline of the external vehicl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eg, an identification display in the form of an outline) on a transparent display at a predetermined cycle. That is, the identification display in the form of an outline may be repeatedly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811) and then disappeared (812).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외곽선((810)이 표시되는 주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 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외곽선(810)이 표시되는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 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외곽선(810)이 표시되는 주기를 길게 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hange the period in which the outline 810 is display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shorten the period in which the outline 810 is displayed as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vehicle approaches, or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pproach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lengthen the period in which the outline 810 is display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차량에 대한 이미지 형태의 식별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identification mark in the form of an image for an external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전방 카메라 또는 블랙 박스 카메라를 통해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이 인식되는 경우(외부 차량이 운전자의 가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외부 차량에 대한 식별 이미지(910)를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는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의 일례로 차량 형태의 식별 이미지만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는 화살표 형태, 별 형태, 원 형태 등 다양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9,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recognizes an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a front camera or a black box camera (when an external vehicle is located within a driver's visible distance) , The identification image 910 for the external vehicl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 FIG. 9, as an exampl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only an identification image in the form of a vehicle is illustrated, but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n arrow shape, a star shape, and a circle shape.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과의 거리 정보, 외부 차량의 차선 정보(예컨대, 2nd line), 방향 지시 등 조작 정보, 외부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예컨대, 30km/h)(920) 등을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vehicle, lane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eg, 2nd line), operation information such as direction indication, and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an external vehicle (eg, 30 km / h) 920 )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에 대한 차량 형태의 식별 이미지(1010)를 소정 주기로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외부 차량 간의 거리 또는 정보 제공 차량(100)의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 형태의 식별 이미지((1710)가 표시되는 주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identification image 1010 in the form of a vehicle for an external vehicl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at a predetermined cycle. .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or the driving speed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 identification image in the form of a vehicle ( The period at which the 1710 is displayed may be chang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모드에서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fo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vehicle in a ma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차량이 운전자의 비 가시 거리(예컨대, 1km 앞)에 위치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미지(1110)를 지도 상에 맵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상기 외부 차량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지도의 축척을 변경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an external vehicle is located at a driver's non-visible distance (for example, 1 km ahea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ps an image 1110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on a map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change the scale of the map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1110)이 정보 제공 차량(100)보다 1km 앞에 있는 경우(도 11(a))에 비해, 외부 차량(1110)이 정보 제공 차량(100)보다 400 m 앞에 있는 경우(도 11(b))에 지도의 축척을 크게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e external vehicle 1110 provide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xternal vehicle 1110 is 1 km ahead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FIG. 11 (a)). If it is 400 m ahead of () (Fig. 11 (b)), the scale of the map can be greatly adjust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과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질수록 대 축척의 지도에 외부 차량에 대응하는 객체를 맵핑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외부 차량이 운전자의 가시 거리 내까지 가까워지는 경우, 외부 차량의 실제 이미지에 외부 차량에 대응하는 객체(예컨대, 식별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p and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on a map of a larger scale as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vehicle becomes closer. When it is closer to the visible distanc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eg, an identification image) may be superimposed on the actual image of the external vehicl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screen providing information on an external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과 외부 차량 사이에 장애물(예컨대, 건물)이 존재하여, 정보 제공 차량(100)의 전방 카메라 또는 블랙박스 카메라로 외부 차량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장애물 위에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이 따라가던 외부 차량이 건물에 가려 보이지 않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위치를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해 줄 수 있는 것이다.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an obstacle (eg, a building) exists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vehicle, the external vehicle is not recognized by the front camera or black box camera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on the obsta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vehicle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has followed is not visible by the build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도 12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이 위치한 곳을 화살표(1220)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즉, 화살표가 위치한 오른쪽 방향에 외부 차량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 차량의 속도(30km/h), 외부 차량이 현재 이용하는 차선(2차선)(1210), 외부 차량 과의 거리(예컨대, 900m)(1240) 등을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화살표의 오른쪽을 백색으로 표시(1230)함으로써, 외부 차량이 오른쪽 방향 지시 등을 조작한 상태 임을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해 줄 수도 있다. In FIG. 12,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indicate where the external vehicle is located with an arrow 1220. That is, an external vehicle may exist in the right direction where the arrow is locat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ransparently displays the speed (30 km / h) of the external vehicle, the lane (two lanes) 1210 currently used by the external vehicle,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vehicle (eg, 900 m) 1240, etc. (121).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right side of the arrow in white (1230), so that the external vehicle is in the state of manipulating the right direction indicator or the lik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하지 않은 타 차량을 일방적으로 추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이 경찰차인 경우, 신호 위반을 한 타 차량을 일방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unilaterally track other vehicles that do not mutually authenticate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a police car, it is possible to unilaterally track other vehicles that have violated the signal.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블랙박스 카메라 또는 전방 카메라를 통해서 추적 차량의 번호판 및 형태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차량(100)은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된 번호판의 숫자 및 글자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번호판의 숫자 및 글자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된 차량 형태로부터 차종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차종을 데이터베이스에 추적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photograph the license plate and the shape of the tracking vehicle through a black box camera or a front camera.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numbers and letters of the photographed license plate us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may accumulate the recognized numbers and letters of the license plate in a databas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a vehicle model from a vehicle type photographed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may track the recognized vehicle model in a datab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종 또는 번호판을 기반으로 추적 차량을 인식할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121) 상에 추적 차량에 대한 식별 표시를 해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이 수월하게 타 차량을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a tracking vehicle based on a vehicle model or a license plate, and may display an identification mark for the tracking vehicl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helps to easily track another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외부로부터 추적 차량의 차량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주변 기지국(400)에 추적 차량의 차량 번호를 송신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the vehicle number of the tracking vehicle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transmit the vehicle number of the tracking vehicle to the peripheral base station 400.

그리고 정보 제공 차량(100)은 기지국(400)으로부터 추적 차량의 차량 번호에 기반한 추적 차량의 위치를 GPS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 차량(100)은 추적 차량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추적 차량의 위치를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해 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the location of the tracking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number of the tracking vehicle from the base station 400 as GP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tracking vehicl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tracking vehicl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목적지 안내 정보, 타 차량의 사고 정보,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destination guide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an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121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목적지 안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운전자(또는 탑승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 받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목적지까지의 주행 안내 정보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목적지 안내 정보를 기지국(400) 또는 서버(50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121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btain destination guide information. That is, when a destination is input from a driver (or a passenger),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searches for driv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quest and receive destination guide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400 or the server 5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안내 정보에는 목적지 위치 정보, 목적지까지의 거리 정보,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 차량 제한 속도 정보, 단속 카메라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destination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estination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travel rout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vehicle speed limit information, and intermittent camera location information.

단계 132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목적지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목적지 안내 정보를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도 있고, 지도상에 맵핑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In step 132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guide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destination guide information in augmented reality or may be displayed by mapping it on a map.

단계 133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타 차량(200)이 사고가 발생한 경우, 타 차량(200)은 기지국(400) 또는 서버(500)로 사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를 기지국(400) 또는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간 통신(V2V) 네트워크를 통해 타 차량으로부터 직접 사고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In step 133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btain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200. When the other vehicle 200 has an accident, the other vehicle 200 may transmit th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400 or the server 500.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can receive accident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200 from the base station 400 or the server 500.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accident information directly from another vehicle through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에는 사고 발생 지점, 사고 발생 차선, 우회 도로, 사고 발생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ccid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an accident lane, a bypass road, an accident occurrence time, and the like.

단계 134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사고 발생 지점 정보, 사고 발생 차선 정보, 및 우회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In step 134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200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ccident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accident occurrence lane information, and bypass road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단계 135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교통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 정보에는 차 막힘 정보, 도로의 차선 수, 도로 폭, 도로종별, 제한높이, 제한중량, 회전규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n step 135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btain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raffic jam information, the number of lanes on the road, the width of the road, the type of the road, the limit height, the limit weight, and rotation restrictions.

단계 136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교통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In operation 136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1310 내지 단계 1360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steps 1310 to 1360 may be changed, and some steps may be omitt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타 차량의 사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4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전방 1km에서 3중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목적지까지 30분 정도가 소요될 예정”이라는 메시지 또는 영상(1410)을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정보 제공 차량(100)은 사고 발생 지점을 화살표 등으로 표시해 줄 수 있으며, 사고 발생 차선 정보(예컨대, 2차선)도 표시해 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200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capable of displaying a message or image 1410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that “a triple collision occurs at 1 km ahead, and it will take about 30 minutes to the destinatio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by an arrow or the like, and may also display accident occurrence lane information (eg, two lane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는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타 차량(200)의 사고에 즉각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사고 지점을 피하기 위해 우회 도로를 검색하거나, 사고 지점을 통과하기 전에 미리 차선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quickly check the accident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200 and immediately respond to the accident of the other vehicle 200. For example, the driver can search for a detour to avoid an accident point, or change lanes in advance before passing the accident point.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타 차량의 사고 정보를 지도 상에 맵핑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mapping and displaying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map.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사고 발생 위치, 사고 내용, 사고 지점까지의 소요 시간, 사고 발생 시간 등)를 지도에 맵핑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1510)해 줄 수도 있다.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accident information (accident occurrence location, accident content, time required to the accident point, accident occurrence time) of the other vehicle 200 And the like) on the map to display 1510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지도에 맵핑된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를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accident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200 mapped to the map from the server 500.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10]]. As illustrated in FIG. 16,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quire context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S1610].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내부의 상황 정보로 연료 상태 정보, 엔진 상태 정보, 타이어 정보, 정보 제공 차량(100)의 위치 정보, 주행 속도 정보, 주행 방향 정보, 방향지시등 상태 정보, 온도, 습도, 운전자에 관한 정보(운전자의 눈 위치, 졸음 운전 상태, 음주 상태) 등을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the status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such as fuel state information, engine state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riving speed information,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direction indicator light status information , Temperature, humidity, information about the driver (driver's eye position, drowsy driving state, drinking state), and the like.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로, 차량 외부에 존재하는 객체 또는 지형에 관한 배경 정보, 조도 정보, 타 차량(200)의 사고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목적지 정보, 위치 정보 교환을 상호 인증한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context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an object or terrain existing outside the vehicle, illumination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200,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an external vehicle that mutually authenticated the exchange.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 차량(100), 이동 단말(300), 기지국(400), 서버(500) 등으로부터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receives other situation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from the other vehicle 100, the mobile terminal 300, the base station 400, the server 500, and the like. You can.

정보 제공 차량(100)은 획득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162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context information [S1620].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획득된 상황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연료 상태에 기초하여, 잔여 연료가 소정 수량 이하인지 판단하거나, 엔진 상태 정보, 타이어 상태 정보 등을 분석하여, 차량 내 결함 발생 여부, 결함 발생 위치 등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nalyze the acquired situ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sidual fuel is below a predetermined quantity based on the fuel condition, or analyzes engine condition information, tire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o determine whether a defect occurs in the vehicle, a location of the defect, or the like. It can be extracted.

이때, 정보 제공 차량(100)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 연료가 부족한 상황인 경우, 주유소 정보(주유소 위치, 가격 등)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fuel is insuffici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gas station information (gas station location, price, etc.).

또한, 운전자에게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목적지 안내 정보(이동 경로, 차선, 제한 속도 등)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nformation on a destination is input from a driver,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destination guide information (travel path, lane, speed limit,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차량(100)의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16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of the vehicle 100 [S1630].

따라서, 운전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실제 세계를 관측하면서,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상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 중에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게 해 준다. Accordingly, the driver can check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while observing the real worl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s gaze from being dispersed while driving, and to allow the driver to easily and quickly recognize situation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운전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투명 디스플레이(121) 상에 표시되는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etermines a position or angle in which an image corresponding to context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river's eyes.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이 운전자에 의해 관측되는 특정 건물에 대한 식별 표시를 투명 디스플레이(121) 상에 표시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운전자의 눈 위치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정확하게 특정 건물에 식별 표시가 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식별 표시의 표시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isplays an identification mark for a specific building observed by the driver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considers the driver's eye position,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play position or angle of the identification mark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as an identification mark on a specific building.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 표시 주기, 색상 등을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djust the size, display period, color, and the lik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context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의 주행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크게 하거나, 표시 주기를 빠르게 하거나, 영상의 색을 파랑 계열 색에서 붉은 계열 색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as the driving speed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increased, the display period may be increased, or the color of the image may be changed from blue to r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 정보를 지도 상에 맵핑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context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in augmented reality.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map situation information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on a map and display it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외부의 조도(illuminance) 정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10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또는 앞차의 전조등에 의해 차량 외부의 조도가 높은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00)의 일부 또는 전부의 투명도를 낮추고, 조도가 낮은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100)의 일부 또는 전부의 투명도를 높여, 운전자가 차량 외부를 잘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illumination of the vehicle is high due to the sun or the headlight of a front vehic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lowers the transparency of some or all of the transparent display 100, and when the illumination is low, the transparent display 100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some or all of the, so that the driver can observe the outside of the vehicle well.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차량(100)은 현재 이동 방향, 현재 시각에 따른 태양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조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cquire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gaze direc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cquire illum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river's gaze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a current moving direction and a position of the sun according to a current time.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운전자의 시선 방향이 태양을 마주하는 방향인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투명도를 낮출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lower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when the driver's gaze direction is the direction facing the su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외부의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121)의 일부 영역 또는 전 영역에 불투명 색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t an opaque color in some or all areas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1 based on background information outside the vehicle.

이하에서는 운전자가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직접 관측하지 못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hat the driver cannot directly observ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19.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운전자의 비 가시(invisible)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river's invisible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주변의 배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710].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건물 정보, 타 차량 정보, 가로수 정보, 가로등 정보, 차선 정보, 보행자 정보, 지형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cquire background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S1710].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cquire building informa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ther vehicle information, roadside information, street light information, lane information, pedestrian information, and terrain information.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비전 기술을 이용하여 배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차량(100)은 카메라를 통해 도로를 촬영하고, 에지 검출(edge detection) 기법, 주파수 기반, 템플릿(template) 기반 기법 등을 통해 도로의 차선, 노면 표식, 타 차량, 보행자 등의 특징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이 상하좌우 대칭성을 지닌다는 점, 차량의 아래 지역은 어두운 그림자가 진다는 점, 차량의 뒷부분은 대체로 사각 형태를 이루며 에지가 많이 존재한다는 점 등을 이용하여, 타 차량(200)을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cquire background information using vision technolog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photographs a road through a camera, and features elements such as lanes, road markings, other vehicles, and pedestrians on the road through edge detection, frequency-based, and template-based techniques.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e vehicle has symmetrical up, down, left, and right symmetry, a dark shadow is formed in the lower area of the vehicl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is generally square and has many edges. By using,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other vehicle 200.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에서 항상 발견되는 고유 번호판과 후방 창문, 야간 주행 시에 발견되는 헤드라이트 등을 근거로 템플릿을 미리 정의하고, 기 정의한 템플릿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비교, 대조 함으로써, 타 차량(200)을 인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providing vehicle 100 pre-defines a template based on a unique license plate, a rear window, and a headlight found when driving at night, which are always found in the vehicle, and compares the predefined template and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 By contrast, the other vehicle 200 may be recognized.

한편,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전방의 주행 환경에 대한 3D 정보를 구성할 수 있는 스테레오 비전에 기법 또는 이미지 시퀀스를 활용하는 움직임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주변 객체를 인식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surrounding objects using a stereo vision technology or a motion analysis technique using an image sequence in a stereo vision that can configure 3D information about a driving environment in front of the vehicle.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정보 제공 차량(100)과 목적물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720]. 목적물이란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의 건물, 목적 장소, 목적 이동 경로, POI(Point of Interest)(예컨대, 주유소, 정비소 등) 등을 의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and the target object [S1720]. The target object may mean a building of a destination set by a driver, a target place, a target travel route, a point of interest (POI) (eg, a gas station, a repair shop, etc.).

장애물이란 차량(100)과 목적물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운전자가 투명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목적물을 눈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을 방해하는 객체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건물, 타 차량, 가로수, 산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차량 주변의 배경 정보에서 추출될 수 있다. Obstacles mean objects that are positioned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object,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directly observing the object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00. For example, there may be buildings, other vehicles, roadside trees, mountains, and the like.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from background information around a vehicle obtained through a camera.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100)의 GPS 정보와 목적물의 GPS 정보, 맵 정보, 나침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비전 기술을 통해 장애물의 종류 및 형태를 인식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obstacle using GPS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and GPS information of the target object, map information, compass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ognize the type and shape of the obstacle through vision technology.

장애물이 인식된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목적물에 관한 정보를 장애물 위에 표시할 수 있다[S1730].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목적물에 관한 정보를 증강 현실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an obstacle is recognize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on the obstacle [S1730].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전방 카메라 또는 블랙박스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목적물에 대한 식별 표시를 증강 현실로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도 있다[S1740]. If there is no obstac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identification display of the object recognized through the front camera or the black box camera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 augmented reality [S1740].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도로 정보를 장애물 위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8 and 19 are views illustrating a screen for displaying road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obstacle.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차량에 의해 목적지 경로가 가려진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앞 차량 위에 목적지 경로(181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앞 차량에 의해 운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목적지 경로(1810)를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목적지 경로(1810)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As illustrated in FIG. 18, when the destination path is obscured by the vehicle in front,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destination path 1810 on the vehicle in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isplays the destination path 1810 that the driver cannot directly check by the front vehi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check the destination path 1810.

한편, 목적지 경로(1810)를 표시함으로써, 주행에 지장을 줄 수 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목적지 경로(1810)를 점선 형태 또는 반투명 상태로 표시하거나, 소정 주기로 점멸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by displaying the destination path 1810, if it is possible to interfere with driv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isplays the destination path 1810 in a dotted or translucent stat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or at a predetermined cycle. It can also be displayed by flashing.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애물 뒤편으로 우회전 도로가 있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해당 도로(1910)를 장애물 위에 점선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right turn road behind the obstac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ashed the corresponding road 1910 over the obstac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t can also be displayed.

이하에서는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상황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각각의 상황 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ituation occurring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for each situa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gas st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201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내부의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소정 주기로 차량 내부의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이다. In step 201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obtain fuel stat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cquire fuel stat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cycle.

단계 202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연료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잔여 연료가 소정 수량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202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nalyze the fuel stat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residual fuel is below a predetermined quantity.

단계 2030에서, 잔여 연료가 소정 수량 이하인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잔여 연료 내에서 차량(100)이 도달할 수 있는 주유소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차량(100)은 연비 정보 및 잔여 연료 정보에 기초하여, 잔연 연료를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는 주유소들을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In step 2030, when the residual fue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quantit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search for a gas station within the residual fuel that the vehicle 100 can reach.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searches for gas stations that can be reached using residual fuel, based on fuel efficiency information and residual fuel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기지국(400)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유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서버(500)에 잔여 연료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잔여 연료 내에서 도달할 수 있는 주유소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receive gas station informa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40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transmit residual fuel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500 and receive gas st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reached within the residual fuel from the server 500.

단계 204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검색된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주유소에 관한 정보에는 주유소의 위치, 주유소까지 거리, 주유소 마크, 정보 제공 차량(100)에서 사용하는 연료에 대한 해당 주유소에서의 가격, 주유소 진입 경로, 주유소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n step 204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searched gas statio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The information on the gas station may include the location of the gas station, the distance to the gas station, the gas station mark, the price at the gas station for fuel us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e gas station access route, the gas station contact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운전자의 비 가시권에 존재하는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1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on a gas station existing in a non-visible area of a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하면, 검색된 AAA 주유소가 1.5km 앞에 있어, 앞 차량 때문에 운전자가 앞 유리를 통해 AAA 주유소를 직접 볼 수 없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AAA 주유소에 관한 정보(2110)를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증강 현실로 표시해 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earched AAA gas station is 1.5 km ahead and the driver cannot see the AAA gas station directly through the windshield due to the vehicle in front,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AAA gas station information 2110 may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 augmented reality.

만일, 정보 제공 차량(100)에서 디젤이 사용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AAA 주유소에서의 디젤 가격(\ 1800)을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해 줄 수도 있다. If diesel is us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diesel price (\ 1800) at the AAA gas statio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필수 주유소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2 is a view showing information on essential gas station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필수 주유소란 정보 제공 차량(100)이 잔여 연료 내에서 반드시 들려야 하는 주유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의 연비 정보 및 잔여 연료 정보를 기초로 계산한 결과, 잔여 연료로는 정보 제공 차량(100)이 2km밖에 이동할 수 없다고 가정하자. 이때, 0.5km 앞에 AAA 주유소가 있고, 그 다음 주유소인 BBB 주유소는 3km 앞에 있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0.5km 앞에 AAA 주유소가 잔여 연료 내에서 갈 수 있는 마지막 주유소임을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해 줄 수 있다. The essential gas station means a gas station that the information-providing vehicle 100 must hear in the remaining fuel. For example, as a result of calculation based on fuel efficiency information and residual fuel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suppose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can move only 2 km as the residual fuel. At this time, if there is an AAA gas station in front of 0.5 km, and the next gas station, BBB gas station in front of 3 km,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a transparent display that the AAA gas station is the last gas station that can go within the remaining fuel in front of 0.5 km (121) Can be displayed through.

한편,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앞 유리를 통해서 필수 주유소를 직접 관측할 수 있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필수 주유소에 대한 식별 표시(2210)를 할 수 있다. 필수 주유소에 대한 식별 표시란 필수 주유소를 다른 객체와 구별하기 위한 표시를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2 (a), when the driver can directly observe the essential gas station through the windshiel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the identification mark for the essential gas station ( 2210). An identification mark for an essential gas station means an indication for distinguishing an essential gas station from other objects.

또한,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차량(100)은 필수 주유소에 대한 식별 표시(2210)를 소정 주기로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정보 제공 차량(100)은 주행 속도 또는 필수 주유소와의 거리에 따라 식별 표시가 표시되는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속도가 빠르거나 주유소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식별 표시 주기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b),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the identification display 2210 for the essential gas station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djust the cycl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mark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or the distance from the essential gas station.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speed is fast or the distance from the gas station is getting closer,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can speed up the identification display period.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 내부의 결함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defect generation information inside a vehicl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231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차량 내부의 결함 발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차량(100)은 엔진 상태 정보, 타이어 정보 등을 기초로, 타이어가 임계치 이상 마모되거나, 타이어의 공기압이 임계치 이상 낮아지거나, 엔진 오일이 임계치보다 낮아지거나, 브레이크가 미작동 하는 등의 차량 내부의 결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In step 231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acquire defect generation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is based on engine state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tire is worn over a threshold, the tire air pressure is lower than the threshold, the engine oil is lower than the threshold, or the brake is not activated. That is, it is possible to obtain defec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단계 232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결함 발생 부분에 관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의 공기압이 임계치 이상 낮아진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이어 이미지를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step 232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defective portio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1. For example, when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is lowered over a threshol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can display the tire image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단계 233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결함 발생 부분이 정비가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340에서, 결함 발생 부분이 정비가 가능한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결함 발생 부분을 정비할 수 있는 정비소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의 마모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타이어 업체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In step 233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fective portion is serviceable. In step 2340, if the defective portion is serviceab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search for a workshop capable of servicing the defective portion. For example, when the wear degree of the ti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searches for a tire compan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차량(100)은 결함 발생 부분에 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지국(400) 또는 서버(500)로 전송하고, 기지국(400) 또는 서버(500)로부터 정비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transmit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regarding a defective portion to a base station 400 or a server 500, and a workshop from the base station 400 or the server 500. You can also receive information about.

단계 2350에서, 정보 제공 차량(100)은 검색된 정비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정비소에 관한 정보에는 정비소의 식별 정보(명칭 등), 정비소의 위치 정보, 정비 견적, 정비소 연락처, 정비소 진입 경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기로 한다. In step 2350,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found workshop. Information about the workshop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shop (name, et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shop, maintenance estimates, contact information of the workshop, and a path to the workshop.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24 and 25.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 내부의 결함 발생 부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4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efective portion inside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오일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엔진 오일이 부족하다는 경고 메시지(2410) 또는 경고 이미지(242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또는 탑승자)로부터 엔진 오일을 채울 수 있는 정비소에 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의 정비소를 검색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4, when the engine oil is below a threshol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display a warning message 2410 or warning image 2420 that the engine oil is insufficient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In addition, when a search request for a workshop capable of filling engine oil is received from a driver (or occupant),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search for a workshop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정비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5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workshop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소가 검색된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검색된 정비소에 관한 정보(예컨대, “15km 부근에 AAA 정비소가 있습니다”)(2510)를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차량(100)은 AAA 정비소에서의 엔진 오일 교체 가격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더 표시해 줄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5, when the workshop is searched,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searched workshop (eg, “There is an AAA workshop near 15 km”) 2510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You can.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may further display engine oil replacement price information in the AAA workshop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1.

한편, 검색된 정비소가 전방 카메라 또는 블랙박스 카메라 등을 통해 인식되는 경우(즉, 운전자가 앞 유리창 또는 투명디스플레이를 통해 검색된 정비소를 관측할 수 있는 경우), 정보 제공 차량(100)은 투명 디스플레이(121)에 검색된 정비소에 대한 식별 표시를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arched workshop is recognized through a front camera or a black box camera (that is, when the driver can observe the searched workshop through a windshield or a transparent display), th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100 has a transparent display 121 ) Can also be identified for the found worksho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0: 정보 제공 차량
110: 상황 인식부
120: 출력부
130: 제어부
200: 타 차량
300: 이동 단말
400: 기지국
500: 서버
100: informational vehicle
110: situation recognition unit
120: output unit
130: control unit
200: another vehicle
300: mobile terminal
400: base station
500: server

Claims (21)

차량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소정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상황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a vehicle,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ing an image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And
And providing movement rout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identifi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situ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태 정보는,
연료 상태 정보, 엔진 상태 정보, 및 타이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atu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fuel condition information, engine condition information, and tire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잔여 연료의 양, 잔여 엔진 오일의 양, 및 타이어의 공기압 중 하나를 소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이라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Comparing one of the residual fuel amount, the residual engine oil amount, and the tire air pressure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step of displaying the image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And displaying an image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playing the image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And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or a warning image informing that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잔여 연료의 양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상기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유소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주유소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And when the amount of residual fue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the predetermined situa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image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Searching for a gas sta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based on the user input; And
And providing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gas st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소정값 이하인 잔여 엔진 오일의 양 또는 타이어의 공기압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상기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정비소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정비소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And determining, based on the amount of engine oil remain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that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image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Searching for a worksh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based on the user input; And
And providing the moving route information to the workshop using augmented real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playing the image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Displaying the image show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The step of providing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제1 항에 있어서,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vehicle; And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vehicle, display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using augmented realit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외부 차량의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Display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And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so as to overlap the image of the external vehicl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정보, 정차 상태 정보, 이용 차선 정보, 또는 방향 지시 등 조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And at least one of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moving path information, driving speed information, stop status information, usage lane information, or direction indication.
차량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소정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소정 상황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장치.
In the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the vehicle,
display;
At least one processor; 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at least one processor,
Obtain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and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The at least one processor,
Based on the judgment, the display is controlled to display an image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and the device provides a movement path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identifi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situ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황 정보는,
연료 상태 정보, 엔진 상태 정보, 및 타이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it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fuel condition information, engine condition information, and tire informatio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잔여 연료의 양, 잔여 엔진 오일의 양, 및 타이어의 공기압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이라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mpares at least one of the residual fuel amount, the residual engine oil amount, and the tire air pressure with a predetermined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n image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warning message or warning image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잔여 연료의 양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상기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유소를 검색하고,
상기 주유소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rocessor,
When the amount of residual fue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predetermined situati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video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user input, search for a gas sta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provide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gas st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정값 이하인 잔여 엔진 오일의 양 또는 타이어의 공기압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소정 상황을 나타내는 상기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정비소를 검색하고,
상기 정비소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rocessor,
Based on the amount of residual engine oil or tire pressure below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the predetermined situati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video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user input, search for a worksh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A de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 route to the service center using augmented reality.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play comprises a transparent display.
제11 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More cameras,
The at least one process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through the camera,
The display,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vehicle, the device for display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using augmented reality.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외부 차량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외부 차량의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display,
And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vehicle so as to overlap the image of the external vehicl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차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정보, 정차 상태 정보, 이용 차선 정보, 또는 방향 지시 등 조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vehicle,
And at least one of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moving route information, driving speed information, stop status information, usage lane information, or direction indication of the external vehicle.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KR1020200046264A 2019-03-07 2020-04-16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2282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64A KR102282368B1 (en) 2019-03-07 2020-04-16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478A KR102104500B1 (en) 2019-03-07 2019-03-07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20200046264A KR102282368B1 (en) 2019-03-07 2020-04-16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478A Division KR102104500B1 (en) 2019-03-07 2019-03-07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349A true KR20200043349A (en) 2020-04-27
KR102282368B1 KR102282368B1 (en) 2021-07-27

Family

ID=7046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264A KR102282368B1 (en) 2019-03-07 2020-04-16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3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7491A (en) * 1998-08-06 2000-02-25 Nissan Motor Co Ltd On-vehicl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JP2006029911A (en) * 2004-07-14 2006-02-02 Toyota Motor Corp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
KR20110101462A (en) * 2010-03-08 2011-09-16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illing station information in car navigation
KR20110117966A (en) * 2010-04-22 2011-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multimedia contents in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7491A (en) * 1998-08-06 2000-02-25 Nissan Motor Co Ltd On-vehicl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JP2006029911A (en) * 2004-07-14 2006-02-02 Toyota Motor Corp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
KR20110101462A (en) * 2010-03-08 2011-09-16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illing station information in car navigation
KR20110117966A (en) * 2010-04-22 2011-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multimedia contents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368B1 (en)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943B1 (en)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2104500B1 (en)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2366723B1 (en) Method for providing visual guarantee image to vehicle, electr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1619940B2 (en) Operating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road user reaction modeling with occlusions
US20170352277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danger element, and method thereof
US20190057209A1 (en) Recognizing assigned passengers for autonomous vehicles
KR20190029192A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71074A1 (en) Ar service platfor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US11840173B2 (en) External facing communica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US20230375362A1 (en) Reachability User Experience Interfaces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282368B1 (en)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US20230304822A1 (en) Route guidance device and route guidance method thereof
US8995721B1 (en) Using object appearance changes due to high reflectivity for featur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