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264A - 반려동물 급수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264A
KR20200043264A KR1020190080603A KR20190080603A KR20200043264A KR 20200043264 A KR20200043264 A KR 20200043264A KR 1020190080603 A KR1020190080603 A KR 1020190080603A KR 20190080603 A KR20190080603 A KR 20190080603A KR 20200043264 A KR20200043264 A KR 2020004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ll
water supply
plate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흥
김주겸
유현선
김성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571,09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60250B2/en
Priority to CN202210573983.2A priority patent/CN114868666A/zh
Priority to EP19198187.7A priority patent/EP3626065B1/en
Priority to EP21203731.1A priority patent/EP3977847B1/en
Priority to CN201910887007.2A priority patent/CN110915688B/zh
Publication of KR2020004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5Wate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H01L35/0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급수기는, 상측이 개구된 측벽을 구비한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된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물이 이송되는 급수관과; 상기 수조의 측벽의 내부에 상기 측벽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통되는 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는 상측면을 구비한 급수 플레이트; 및 상기 수조의 측벽의 개구에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 부터 하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된 물을 상기 수조로 배출하는 홀이 형성된 물받이;가 포함되어,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에게 청결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급수기{Water supply device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마실 물을 제공하는 급수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압송시키는 펌프와, 수조 내에 배치되어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공급받아 반려동물에게 마실 물을 제공하는 급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급수기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심 및 관심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어 반려동물을 위한 기구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반려동물은 수시로 물을 마셔야 생체리듬이 유지되나 홀로 있는 경우도 많고 인간과의 의사소통도 어렵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항상 청결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급수기에 대한 요청이 증대되고 있다.
US 2010/0095897A에 개시된 '동물용 급수 시스템'은, 물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설치된 펌프와, 펌프와 연결된 급수 파이프와, 급수 파이프의 상측에 설치되어 급수 파이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출하는 다수의 스파우트(spout)를 구비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펌프와 급수 파이프를 씌워주는 돔 형상의 부품 커버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동물용 급수 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벽과 상기 부품커버 사이가 개방되어 컨테이너에 저장된 물이 동물들에게 노출되므로, 컨테이너에 저장된 물이 쉽게 오염되고, 급수 파이프와 연결된 펌프가 컨테이너 바닥면에 부착되어 그 설치 및 컨테이너의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물이 물을 음용할 수 있는 영역이 스파우트들의 위치에 따라 한정되기 때문에, 동시에 음용할 수 있는 동물의 개체수가 스파우트의 수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US 2015/0313180A1은 수조와, 펌프 및 필터가 내장된 펌프모듈과, 펌프와 연결관 급수 파이프와, 급수 파이프로부터 공급된 물이 일시 저장되는 접시(bowl)가 상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펌프모듈을 씌워주는 돔 형상의 급수 모듈(fountain module)을 포함한 '애완동물용 급수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급수 조립체'도 급수 모듈과 수조사이가 개방되어 수조에 저장된 물이 쉽게 오염되고, 수조의 정중앙에 위치한 접시(bowl)에까지 애완동물이 머리를 내밀어 물을 마셔야 하는 불편이 수반된다.
또한, 수조를 세척하기 위하여는 펌프모듈과 급수 모듈을 다같이 수조로부터 분리하여야 하고, 펌프의 가동을 위하여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선이 수조 내에 배선되어야 하므로 급수 모듈 및 그 구성요소의 설계가 어렵고 누전사고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EP 3315022A1은, 수조와, 여과필터 및 펌프가 내장된 블럭(block)과, 펌프와 연결된 급수 파이프와, 급수 파이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조로 흘려보내는 배수면을 이루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급수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애완동물용 급수기'도 수조와 플레이트 사이가 개방되어 수조 내의 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물에 따라서는 낙수를 즐겨 취음하는 것들이 있는데, EP 3315022A1의 경우, 플레이트의 하단이 수조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즉, 수조의 상단이 플레이트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동물의 혀가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 보다 아래까지 이르기 어려워 낙수를 취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된 물이 수조 내의 수면에 떨어지면서 내는 낙수 소음이 수조와 플레이트 사이를 통해 주변환경으로 그대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는 동물의 키나 음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플레이트를 높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낙수 소음이 더욱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동물이 물을 음용함에 따라 수조 내의 수위가 점점 하강되어 낙수 소음이 점점 커지게 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큰 스트레스를 야기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KR1825334B1은 ?은 타원통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물이 담기는 본체모듈과, 상기 본체모듈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모듈 내에 설치된 펌프에 의해 끌어 올려진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양이식수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배출구조물은 원형 접시들이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펌프에 의해 양수된 물이 위에 있는 접시들로부터 아래에 있는 접시로 차례로 낙하된 후, 가장 아래에 있는 접시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 본체모듈로 회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배출홀이 상기 본체모듈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배출홀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본체모듈 내의 수면에 낙하하면서 발생하는 낙수소음이 상기 배출홀을 통해 그대로 변으로 방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고양이식수대는 상기 본체모듈이 얇기 때문에, 상기 본체모듈 내의 수위가 줄어들더라도 낙수소음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나, 급수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예를 들어, 여러 마리의 동물에게 동시에 급수가 필요한 경우) 수조(본체모듈)의 깊이를 깊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고양이식수대와 같이 상기 배출홀이 상기 본체모듈의 외측(즉, 수조의 외측)에 위치하는 구조에서는, 수위가 낮아져 낙차가 커지고 그로 인해 증가한 소음이, 아무런 차음 내지는 방음 구조를 거치지 않고 수조 외측에 위치하는 배출홀을 통해 그대로 주변으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 중인 물을 동물이 음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낙수로 인한 소음을 저감한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수조 내의 수위 감소로 인해 낙차가 커져 낙수 소음이 커지더라도 상기 수조 외부(즉, 주변 환경)에 미치는 소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수질 관리를 위해 장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펌프를 작동시켜 물을 순환시키더라도 정숙한 주변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수조의 용량 확대를 위해 상기 수조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고, 이로 인해 수위에 따른 낙차 편차가 커지더라도, 외부로 방출되는 낙수소음의 편차는 상대적으로 작은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반려동물이 흘린 먹이나 체액에 의해 수조내의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째, 급수 플레이트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수조 내로 최종적으로 물이 떨어질때의 낙차는 일정하게 함으로써, 낙수 소음이 적정범위 내에서 관리되는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곱째, 펌프의 작동음이 수조 외부로 전달되는 정도를 줄인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한 기술적 과제 외에 종래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급수기로부터 발생되거나 예측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급수기는, 수조 내의 물이 펌프에 의해 압송되어 급수관을 따라 급수 플레이트에 이르게 되어, 동물이 그 취향에 따라 상기 급수 플레이트 상의 물 또는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음용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는 물받이가 구비된다. 상기 수조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형태(또는, 상방으로 개구된 용기의 형태)로써,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받이에 의해 덮이게 된다. 즉, 상기 물받이는 상기 개구부의 상당부분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수조 내 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조의 개구된 상면이 상기 물받이에 의해 닫혀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이 자신의 발로 상기 수조 내를 휘저을 수 없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된 물을 상기 수조 내로 배출하며, 이를 위한 배출홀이 상기 물받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물받이로 낙하된 물은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수조 내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배출홀을 통한 물의 배출이 완료되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물을 머금는(또는, 저장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수조 상면의 개부구 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즉, 상기 물받이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조 내에까지 이르며, 이 부분에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이 상기 수조의 상단에 의해 둘러 싸인 영역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홀을 통해 물이 낙하하여 상기 수조 내에서 수면과 충돌할 시 발생되는 낙수소음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누설되는 정도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는, 상단이 상기 개구부를 규정하는 측벽(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외측벽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조의 개구된 상면을 덮게 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외측벽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수조의 개구부를 규정하는 상기 측벽의 상단이 상기 물받이의 외측벽과 맞닿기 때문에, 상기 물받이와 상기 수조의 개구부 사이의 틈으로 상기 낙수소음이 누설되는 것이 줄어든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외측벽의 하단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바닥벽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바닥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벽이 상기 수조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홀이 상기 수조의 측벽에 의해 둘러 싸인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외측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외측벽과의 사이에 상기 배출홀로 물을 안내하는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내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벽은, 상기 바닥벽에 의해 상기 외측벽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측벽은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의 높이는 상기 외측벽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물이 낙하될 시 수평 방향 유속이 상대적으로 높을 시에는, 상기 외측벽으로 낙하가 이루어진 후, 상기 외측벽을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흐른 후, 상기 내측벽에 이르게 된다.
상기 내측벽은, 상기 외측벽으로부터 낙하된 물이 닿게 되는 표면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물이 낙하될 시 수평 방향 유속이 상대적으로 낮을 시에는, 상기 내측벽으로 낙하가 이루어진 후 상기 가이드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내측벽은, 상기 외측벽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벽의 상단은, 상기 측벽의 상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위에서 내려다볼 시 상기 급수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외측벽의 상단은, 위에서 내려다볼 시 상기 측벽의 상단보다 더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닥을 한정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이 거치되는 테두리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의 측벽은, 상기 테두리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외형을 갖는 메인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의 측벽은, 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측벽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환형의 내측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이너 경사면이 형성된 상측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이너 경사면에 의해 지지되는 아웃터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경사면과 상기 아웃터 경사면은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측벽은, 하단부가 상기 메인 측벽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제1 길이만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판과, 상기 제1 돌출판의 하측에서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만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경사면은, 상기 제1 돌출판과 상기 제2 돌출판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의 외측벽은, 상기 아웃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외측벽 하부와, 상기 외측벽 하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돌출판 상에 거치되는 스텝부와, 상기 스텝부의 외측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외측벽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판 상에 패킹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외측벽 상부는 상기 패킹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패킹의 저면은 상기 제1 돌출판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패킹의 외측면은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외측벽 상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내려다볼 시, 상기 급수 플레이트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 플레이트는,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된 물이 상면을 따라 흘러 둘레에서 낙하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판의 둘레는 볼록한 폐곡선(예를 들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구에 삽입되어 상기 급수구와의 사이에 물이 배출되는 링형의 간격을 형성하는 노즐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반려동물 급수기에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급수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경사면에 의해 지지되는 아웃터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이너 경사면 상에 상기 아웃터 경사면이 위치할 시, 상기 물받이는 상기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상기 수조로 흘려보내고, 상기 아웃터 경사면이 상기 이너 경사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수조 내로 바로 물이 낙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조와 상기 급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물받이에 1차적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물받이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 상기 수조 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낙차를 줄여 낙수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배출홀이 상기 수조 상면의 개구부 보다 아래(즉, 수조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수조 내의 수위가 커져 낙수 소음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배출홀을 통해 누설된 소음이 다시 상기 개구부를 한정하는 상기 수조의 측벽에 의해 차음되어, 정숙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질 관리를 위해 장시간 또는 펌프를 작동시키더라도, 상기 낙수 소음과 마찬가지로, 상기 펌프의 작동음도 상기 측벽에 의해 차음되기 때문에 상기 펌프 작동음으로 인한 소음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음의 저감, 차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조 용량을 확대하더라도(즉, 수조를 더 깊이 만들더라도), 수조 깊이 증가에 비해 낙수소음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며, 따라서, 대형 동물이나 여러 마리의 동물들에게 급수를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와 급수 플레이트 사이에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아 수조로 배출하는 물받이가 설치되어 수조의 개구된 상측이 외부와 차폐 되므로, 수조 내의 물의 오염이 방지되고, 수조 내의 물의 온도 및 청정도를 예측 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항상 깨끗한 적정온도의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의 외관이 표현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급수기의 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수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여과필터와 펌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여과필터와 펌프가 조립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급수 플레이트 및 지지판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조명장치가 결합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물받이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바닥판 타측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요소가 표현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가 도시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어부가 표현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10)와, 수조내에 설치되어 수조에 저장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20)와, 펌프(20)로부터 토출된 물이 이송되는 급수관(25)과, 급수관(25)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넘쳐흐르는 급수 플레이트(30)와,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수조(10)로 배출하는 물받이(50)를 포함한다. 급수 플레이트(30)는 상면이 대략 평평하게 이루어져, 급수관(25)을 통해 공급된 물을 물받이(50)로 흘려보낸다. 반려동물이 습성에 따라, 혀로 상기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을 흐르는 물을 핥거나 떠먹거나,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물받이(50)로 낙하는 물(즉, 낙수)를 받아먹을 수 있다.
수조(10)는 상면이 개구된 용기로써, 사용자가 상기 개구된 상면을 통해 수조(10) 내로 물을 채워 넣게 된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수조(10)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미도시)과 상기 급수관을 단속하는 급수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수조(10)는, 내측에 형성된 물의 저장되는 공간의 바닥을 한정하는 바닥판(12)과, 바닥판(12)을 둘러싸며 수조(10)의 측면을 규정하는 측벽(1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대략,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또는, 내경)이 작아지는 상협하광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10)가 상기와 같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조(10)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수조(10)가 쉽게 전복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측벽(11)은 상, 하단이 개구된 메인 측벽(11c)과, 메인 측벽(11c)의 개구된 상, 하단에 각각 결합된 상측 측벽(11a)와 하측 테두리벽(11b)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측벽(11c), 상측 측벽(11a) 및 하측 테두리벽(11b)은 동일재질로서 일체로 제조되거나, 다른 재질로서 별개로 제조되어 일체가 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측 측벽(11a) 및 하측 테두리벽(11b)은 각각 심미감이 탁월한 다양한 재질 중에서 선택되어 제조될 수 있고, 메인 측벽(11c)은 수조내의 물의 양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메인 측벽(11c)은 상, 하단이 개구된 통체형,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또는, 내경)이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측벽(11c)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돌기(118, 119)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8, 119)가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측 측벽(11a) 및 하측 테두리벽(11b)의 홈들에 각각 삽입되고, 메인 측벽(11C)의 상측 측벽(11a) 및 하측 테두리벽(11b)은 서로 융착되어 일체가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측 측벽(11a)은 메인 측벽(11c)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측 측벽(11a)은 하단이 메인 측벽(11c)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협하광의 통체형의 측벽부(110)와, 측벽부(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의 제1 돌출판(111)과 제2 돌출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판(111)의 내경은 제2 돌출판(112)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돌출판(111)의 제1 돌출판(111)의 내측단(즉, 링형태에서 안쪽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내경)과 제2 돌출판(112)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통체형의 이너 경사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경사면(113)은 제1 돌출판(111)과 연결되는 상단부로부터 제2 돌출판(112)과 연결되는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반경방향 내측으로 진행하는 경사를 이룬다. 즉, 이너 경사면(13)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내경 또는 외경)이 점점 커지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후술하는 물받이(50)의 외측벽 하부(514)가 이너 경사면(113)에 의해 지지되는 아웃터 경사면(514a)을 구성할 수 있다. 물받이(50)가 수조(10)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아웃터 경사면(514a)은 이너 경사면(13)과 면접촉 될 수 있다.
아웃터 경사면(514a)이 이너 경사면(13) 상에 위치할 시, 물받이(50)는 수조(10)의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수조(10) 내로 흘려보내고, 아웃터 경사면(514a)이 이너 경사면(13)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받이(5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킨다.
상측 측벽(11a)의 측벽부(110)는 제1 돌출판(1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향 돌출벽(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판(111) 상에 패킹(115)이 배치될 수 있다. 패킹(115)은 연질의 소재(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로 이루어진 링형의 부재로써 상측 측벽(11a)에 고정될 수 있다.
패킹(115)의 내주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이 후술하는 물받이(50)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패킹(115)은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점착제나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킹(115)의 저면은 제1 돌출판(111)에 부착되고, 패킹(115)의 외측면은 상측 측벽(11a)에 부착될 수 있다.
바닥판(12)의 중앙부에 상측을 향하여 통형상으로 볼록한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판(12)의 저면에서 보아 돌출부(121)의 내부공간에 후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72)가 설치될 수 있고, 바닥판(12)은 측벽(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121) 주위의 바닥면 부위에 하측으로 오목한 링형 그루브(122)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테두리벽(11b)의 외주면(116)은 메인 측벽(11c)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만곡되게 연장되어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에지 표면(117)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표면(117)은, 바닥판(12) 보다 하측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하측 테두리벽(11b)의 저면까지 이를 수 있다.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상에서, 테두리벽(11b)의 둘레(또는, 엣지)는 에지 표면(117)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에지 표면(117) 상에는 요홈부(118)가 형성되고, 요홈부(118) 내에 수위센서(86)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86)는 수조(10)의 바닥판(12)에 가해지는 하중(또는, 수조 내의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하중센서(strain gage)일 수 있다. 상기 하중센서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수조(10) 내의 수위를 판정하는 제1 제어부(C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하측 테두리벽(11b)에는 각종의 센서, 예를 들면, 근접센서(87, 도 12 참조.), 자이로센서(88. 도 12 참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 테두리벽(11b)의 하측부에 경고등(91)이 부착될 수 있고, 수위센서(82)에서 감지된 수조 내의 수위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경고등(91)이 ON되어 이를 외부로 알려줄 수 있다. 경고등(91)은 링형의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한편, 바닥판(12)은 수조(10) 내에 담긴 물과 접촉되는 기저부(124)와, 기저부(124)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측 테두리벽(11b)과 결합되는 절곡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23)는 적어도 일부분이 요홈부(118)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절곡부(123)는 수위센서(86)외 외측에 배치되고, 절곡부(123)의 외측면이 요홈부(118)의 내측면과 접한다.
기저부(124)의 중앙부에는 상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통형상의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124)의 저면 상에, 돌출부(121)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공간 내에 후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72)가 배치될 수 있다. 기저부(124)에는, 돌출부(121)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함몰된 링형의 그루브(122)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테두리벽(11b)의 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에 베이스(18)가 씌여질 수 있다. 베이스(18)는 후술하는 도킹 스테이션(71)위에 거치될 수 있다. 하측 테두리벽(11b), 베이스(18) 및 바닥판(12)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 후술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조(10) 내에는, 펌프(20)로 유입되기 전에 수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필터(40)가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여과필터(40)는,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여과필터(42)와 제2 여과필터(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필터(42)는 상당한 강성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에 다수의 물유입구(421)가 형성된, 예를 들면, 상측이 확개된 나팔형(또는, 원뿔대 형상)의 스트레이너(strainer)일 수 있다.
제1 여과필터(42)의 개방된 하단에는 하측 필터커버(43)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측 필터커버(43)는 제1 여과필터(42)와 별개로 형성되나, 이와는 다르게 제1 여과필터(42)와 단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필터커버(43)는, 수조(10)의 바닥판(12)에 형성된 돌출부(121, 도 3 참조.)에 씌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 필터커버(43)는 저면에 돌출부(121)가 삽입되는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캡(432)과, 캡(432)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4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1)에 씌워진 캡(432)에 제1 여과필터(42)의 개방된 하단부가 끼워지기 때문에, 제1 여과필터(42)가 수조(1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이 없이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플랜지(431)는 그루브(122, 도 3 참조.)와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캡(432)이 돌출부(121)에 씌워진 상태에서, 플랜지(431)가 그루브(122)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는 제1 여과필터(42)의 내측(또는, 제1 여과필터(42)에 의해 형성된 중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 내에 펌프(20)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에는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통공(4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가 펌프(20)를 둘러싸기 때문에 여과면적이 넓을 뿐만 아니라, 어느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EP 3315022A1에 개시된 것과 같이 펌프가 필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여과성능이 증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여과필터(44)는 다수의 통공(441)이 형성된 통체형의 외측벽(442)과, 외측벽(442)의 내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통체형의 내측벽(44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벽(443)은 외측벽(44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외측벽(442)과 내측벽(44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여과재(45)가 충진될 수 있다. 여과재(45)는, 바람직하게는, 카본 입자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과재(45)는 섬유 또는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부재일 수 있다.
외측벽(442)과 내측벽(443) 사이에 채워진 여과재(45)가 하측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여과재(45)가 충진된 공간의 하측을 닫는 지지판(44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444)의 외경은 외측벽(442)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판(444)은 내측벽(443)과 일체로 이루어져, 내측벽(443)의 개구된 하단을 닫도록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내측벽(443)과 별개로 이루어져, 내측벽(443)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여과필터(44)와 하측 필터커버(43) 사이에는 지지통체(44b)가 개재될 수 있다. 지지통체(44b)의 저면에는 하측 필터커버(43)가 삽입되는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통체(44b)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여과필터(44)의 하단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단 개구부가 지지통체(44b)에 억지끼움 또는 강제 압입됨으로써, 제2 여과필터(44)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여과필터(44)는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통체(44b)와 결합될 수 있다.
펌프(20)가 제2 여과필터(44)의 내측벽(443)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여과필터(42)와 제2 여과필터(44)를 차례로 통과하며 여과된 물이 펌프(20)내로 흡입되며, 따라서, 펌프(2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여과필터(44)와 지지통체(44b) 사이에는 무선전력수신부(73)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444)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통체(44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판(444)과 지지통체(44b) 사이의 이격된 간격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무선전력수신부(73)가 배치될 수 있다.
수조(20)에 담긴 물을 살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살균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살균필터는 제1 내지 3 UV광원(47, 48, 4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UV광원(47)은 제1 여과필터(42)의 내측에 배치되어, 펌프(20)로 유입되는 물에 자외선(즉, UV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UV광원(47)은 환형으로 이루어져 제2 여과필터(44)의 외측벽(442)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UV광원(48)은 제1 여과필터(42)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UV광원(48)은 환형으로 이루어져 제1 여과필터(42)와 하측 필터커버(43)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UV광원(48)으로부터 출력된 광은, 일부는 제1 여과필터(42)의 외측으로 조사되고, 다른 일부는 제1 여과필터(42)의 내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제1, 2 여과필터(42, 44)의 상단에는 상측 필터커버(46)가 씌워질 수 있다. 상측 필터커버(46)는 제1, 2 여과필터(42, 44)의 개방된 상단을 닫고, 대략 중앙부에는 급수관(25)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필터커버(46)는 일체가 되도록 접착 또는 융착 방식에 의해 제1, 2 여과필터(42, 44)와 결합되거나, 후크나 나사 등의 공지된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급수관(25)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써, 하단은 펌프(20)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입구(26)를 구성하고, 상단은 출수구(27)를 구성한다. 펌프(20)로부터 토출된 물이 입구(26)를 통해 관 내로 유입되어 이송된 다음 출수구(27)를 통하여 배출하게 되고, 이렇게 배출된 물이 급수 플레이트(30)로 공급된다.
급수 플레이트(30)는,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면이 평활한 상판(31)을 갖는 플레이트(또는, 판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판(31)의 중앙부에 급수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31)의 둘레는 볼록한 폐곡선을 이룰 수 있고, 실시예에서, 상기 볼록한 폐곡선은 원형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는 상판(31)의 저면에서 돌출된 관상의 보스(3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보스(33)는 급수구(32)와 연통될 수 있다.
상판(31)의 상면은 중심에서 가장자리(311)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평활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구(32)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나팔형 또는 원뿐대형의 확개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구(32)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제한하는 노즐 마개(34)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구(32)로부터 배출된 물이 노즐 마개(34)에 부딪히며 수평방향으로 굴절되어 상판(31)의 상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노즐 마개(34)의 하단부는 급수구(3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노즐 마개(34)는 확개부(321)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링형의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간격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노즐 마개(34)는 마개 본체(34a)와 헤드 커버(34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마개 본체(34a)와 헤드 커버(34b)가 별개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개 본체(34a)와 헤드 커버(34b)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마개 본체(34a)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스템(341)과, 스템(34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걸림편(345)과, 스템(341)의 상단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헤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템(341)의 하단부는 급수관(25)의 출수구(2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템(341)의 하단부는, 외경이 급수관(25)의 내경보다 작으며, 따라서, 스템(341)의 하단과 급수관(25)의 내주면 사이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스템(341)과 확개부(321) 사이로 유동하는 물이 복수개의 걸림편(345)에 의해 복수의 갈래로 갈라져 수압이 상승되며, 헤드(342) 및 헤드 커버(34b)와 보다 고속으로 충돌될 수 있다.
헤드 커버(34b)는 스템(34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 커버(34b)는 스템(341) 상단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급수구(32)로부터 토출된 물이 헤드 커버(34b)의 저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노즐마개(34)는, 걸림편(345)이 급수구(32)에 억지 끼움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편(345)은 외측단이 급수구(32)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내측면과 걸림편(345)들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된다.
급수관(25)의 출수구(27)로부터 토출된 물은 헤드(342)와 확개부(321) 사이의 링형의 유로를 통해 분출된다. 그런 다음 헤드(342)와 헤드 커버(34b)에 의해 측방향(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굴절되어, 상판(31)의 중앙에서부터 가장자리로 방사상으로 확산되는 형태의 수류를 형성한다. 수류가 상판(31)의 가장자리에 이르게 되면, 상판(31)과 분리되면서 물받이(50)로 낙하된다.
한편, 급수 플레이트(3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이나,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의 하측에는, 급수 플레이트(30)를 받쳐주는 플레이트 지지대(36)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지지대(36)는 후술하는 발광체 지지대(62) 및/또는 도광판(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 지지대(36)는, 상판(31)의 저면 및 에지 돌출부(312)와 접하는 외측링(361)과, 중앙에 위치되는 허브링(362)과, 허브링(36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외측링(361)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스포크(363, spoke)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링(362)의 저면으로부터 관상의 보스(36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허브링(362)에는 보스(364)와 연통되는 홀(365)가 형성될 수 있다.
허브링(362)의 홀(365)에 급수 플레이트(30)의 보스(33)가 삽입될 수 있다. 보스(33)와 보스(364) 사이에 패킹링(37)이 개재될 수 있다. 패킹링(37)의 외주면은 보스(364)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패킹링(37)의 내주면은 보스(33)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 지지대(36)의 하측에는 구획판(38)이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38)은 중앙부에 통공(381)을 갖는 판체형으로 이루어지고, 급수관(25)이 통공(381) 내에 삽입된다.
급수관(25)을 통과하거나 출수구(27)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살균시키기 위한 제3 UV광원(4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UV광원(49)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급수관(25)에 끼워질 수 있다.
제3 UV광원(49)의 상단부(491)은 급수 플레이트(30)의 보스(33)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UV광원(49)의 하단은 구획판(38)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UV광원(49)은 급수관(25)의 출수구(27)보다 높은 위치까지 이르도록 설치되어, 출수구(27)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지지대(36)의 저면에 보강링(39)이 배치될 수 있고, 보강링(39)은 후술하는 발광체 지지대(62)의 보강리브(621)에 받쳐질 수 있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지지대(36)의 하측에는 조명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조명장치(60)는, 발광체(61), 발광체(61)가 설치되는 지지대(62) 및발광체 지지대(62)의 둘레에 배치되는 도광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6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63)은 상측으로 확개된 나팔형(또는, 원뿔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63a)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플레이트의 에지돌출부(312) 및 플레이트 지지대(36)의 외부링(361)과 접촉되고, 하측단(63b)은 구획판(38)에 접촉될 수 있다.
도광판(63)의 외측면(631)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방향 내측으로 진행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로부터 낙하한 물이 도광판(63)에 부딪히지 않고 낙하할 수 있다. 특히, 상판(31)의 상면(31a)과 도광판(63)의 외측면(631)이 예각을 이루기 때문에, 상면(31a)으로부터 수직으로 낙하는 물이 도광판(63)에 부딪히지 않는다.
발광체(61)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제조될 수 있고, 소정 형상의 배열을 이루도록 발광체 지지대(62)에 부착되거나, 띠형상의 발광다이오드로 제조되어 링형을 이루도록 발광체 지지대(62)에 부착될 수 있다. 발광체(61)는 발광체 지지대(62)의 상측부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62a)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발광체 지지대(62)의 내주면에는, 보강링(39)을 지지하는 보강리브(621)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체 지지대(62)의 하측부 외주면에는 오목부(622)가 함몰 형성되고, 도광판(63)의 하단부에는 도광판(63)의 내주면이 볼록하게 돌출된 내향돌출부(632)가 형성될 수 있다. 내향돌출부(632)가 오목부(62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발광체 지지대(62)의 하측에는, 발광체(61)의 발광을 제어하는 PCB(623)가 구획판(38)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체 지지대(62), 도광판(63) 및 구획판(38)은 서로 일체가 되도록 접합 또는 융착되거나, 서로 분리 가능토록 조립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물받이(50)는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수조(10)로 배출한다. 물받이(50)는 수조(10)의 개방된 상측에 씌워진다. 급수판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로부터 낙하된 물이 물받이(50)로 떨어진 후 배출홀(56)을 통해 수조(10)로 배출된다.
물받이(50)는 외측벽(51)과, 외측벽(5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내측벽(53)과, 외측벽(51)의 하단부와 내측벽(53)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벽(5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내측벽(53)과 외측벽(51)이 일체로 이루어졌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내측벽(53)은 외측벽(5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측벽(51)과 내측벽(53)은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형으로 이루어진 벽들(51, 53)의 하단부를 바닥벽(55)이 연결하므로, 바닥벽(55) 역시 환형을 이루고, 배출홀(56)은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벽(51)과 내측벽(53) 사이에는 배수통로(52)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된 물은 외측벽(51)의 내주면으로 떨어져 하향 안내되어 배수통로(52)에 이르게 된다. 배수통로(52)는 바닥벽(55)까지 연장되어 있어, 배수통로(52)를 따라 안내된 물이 배출홀(56)을 통해 배출된다.
외측벽(51)은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분리된 물이 낙하되다가 닿게 되는 외측벽 상부(513)와, 외측벽 상부(513)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바닥벽(55)과 연결되는 외측벽 하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 상부(513)는 내주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진행되는 경사를 이루어, 상기 내주면 상에 낙하된 물이 경사를 따라 흘러내려 내측벽(53)으로 안내된다.
내측벽(53)에는, 외측벽 상부(513)로부터 낙하된 물이 닿게 되는 부분에 가이드(5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54)의 표면(물이 닿는 면)은 하향 경사지되, 외측벽 상부(513)의 내주면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가이드(54)의 표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진행하는 경사를 이룰 수 있다. 가이드(54)의 표면은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54)는 상단부가 도광판(63)의 하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54)의 상단부 내측에 홈(541)이 형성되어 홈(541)에 구획판(38)의 가장자리가 위치된 다음, 도광판(63)이 가이드(54)의 상단부와 구획판(38)의 가장자리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63), 물받이(50), 및 구획판(38)은 공지방법으로 서로 분리 가능토록 조립되거나,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서로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받이(50)가 분리 가능토록 조립된 경우, 물받이(50)는 형상 또는 높이가 다른 물받이로 교체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물받이(50)는, 외측벽(51)의 내측면으로부터 가이드(54)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 상부(513)의 내주면(512)은 돌출부(5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진행하는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배수통로(52)는 돌출부(511)와 가이드(54) 사이에서 간격이 좁아지는 협로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협로부(521)에서의 유로의 폭은 돌출부(511)가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여 좁아지기 때문에,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물받이(50)로 낙하된 물이 협로부(521)의 상류측에서 일시적으로 머물다가 협로부(521)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돌출부(511)는 가이드(54)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위에서 내려다볼 시, 급수 플레이트(30)와 돌출부(511) 사이에는 간격(g)이 존재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물이 낙하될 시 수평 방향 유속이 약할 경우는, 낙하된 물이 간격(g)을 통과하여 가이드(54)에 바로 이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수평 방향 유속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물이 외측벽 상부(513)로 낙하된 후, 외측벽 상부(513)의 표면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흐른 후 가이드(54)로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54)는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벽 상부(513) 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한편, 외측벽(51)의 내주면(512)에는 물받이(50)와 다른 재질의 피복층(59)이 코팅될 수 있다. 피복층(59)을 물받이(50)와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거나,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낙하되는 물이 부딪히면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피복층(59)은 외측벽 상부(513)의 내주면(512)과 돌출부(511)의 상면에 코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물받이(50)의 외측벽(51)은 내측벽(53)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50)의 외측벽(51)은 수조(10)의 상측 측벽(11a)보다 더 높고, 상측 측벽(11a) 보다 외측으로 확개된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벽(51)은 상측 측벽(11a)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방향 외측으로 진행하는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외측벽(51)의 경사진 외주면(513a)은 상측 측벽(11a)과 외측으로 둔각(θ), 예를들면 120°각도를 이룰 수 있다.
외측벽 상부(513)와 외측벽 하부(514)는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외측벽 상부(513)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스탭부(515)가 연장되고, 스탭부(515)의 내측단이 외측벽 하부(514)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외측벽 상부(513)와 외측벽 하부(514)가 단차를 이루는 구조로 인해, 외측벽(51)의 외면은 스텝부(515)를 기준으로 상, 하 2단의 경사면들(512a, 51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스탭부(515)는 수조(10)의 상측 측벽(11a)에 형성된 제1 돌출판(111, 도 2 참조.)에 거치된다. 수조(10)에 물받이(50)를 설치하기 위해 수조(10)의 상측의 개구부 내에 물받이(5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스탭부(515)가 제1 돌출판(111)에 걸리기 때문에 물받이(50)가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고 설치가 완료된다.
물받이(50)의 외측벽 상부(513)는 상측 측벽(11a)상에 부착된 패킹(115)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패킹(115)은 고무, 실리콘, 섬유 등과 같이 흡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20) 작동시 발생한 진동이, 물받이(50)를 통해 수조(10)로 전해질 시, 패킹(115)이 이를 흡수하여 진동과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물받이(50)는 내측벽(53)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둘출턱부(5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턱부(551)는 바닥벽(55)이 내측벽(53)보다 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돌출턱부(551)는 상측 필터커버(46)의 가장자리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커버(46), 물받이(50)의 내측벽(53), 및 구획판(38) 사이에 전장실(S)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S)은, 물이 전장실(S) 내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전상실(S)에 보조 베터리(B) 및 제 1 제어부(C1)가 설치될 수 있다.
물받이(50)의 돌출턱부(551)와 상측 필터커버(46)는 암, 수 후크 또는 나사 결합등의 공지수단에 의하여 서로 분리가능토록 조립되거나, 융착 또는 접착방법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받이의 다른 실시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물받이(50')는 바닥벽(55')이 물받이(50')의 하측부를 전부 덮도록 형성되고, 다른 구성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된 물받이(50')는 바닥벽(55')이 물받이(50')의 하측부를 전부 덮고 있으므로, 바닥벽(55')이 제1, 2 여과필터(42, 44, 도 2 참조.)의 상측부와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이 경우 상측 필터커버(46, 도 2 참조.)는 불필요하다.
한편, 여과필터(40), 펌프(20), 급수관(25), 급수 플레이트(30), 조명장치(60), 및 물받이(50)는 서로 일체가 되도록 결합 또는 조립되어 단일의 이너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10) 내에 상기 이너조립체가 탈착 가능토록 배치되므로, 수조(10)로부터 이너조립체를 분리하여 수조의 세척 및 각종 부품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조립체가 수조(10) 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이너조립체의 상측부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물받이(50)의 외측벽(51)이 수조(10)의 상측 측벽(11a)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이너조립체의 하측 중앙에 위치되는 하측 필터커버(43)는 수조(10)의 바닥판(12)에 형성된 돌출부(121)에 씌워진다. 따라서, 상기 이너조립체가 수조(10)내에서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물받이(50)의 외측벽(51)을 잡고 수조(10)의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이너조립체를 수조(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 급수기의 작동을 위한 전력공급장치(70)가 구비된다. 도2 및 도10을 참조하면, 전력공급장치(70)는 도킹스테이션(71)을 포함하고, 도킹스테이션(71)은 상당한 무게를 갖는 중량체(711)와, 중량체(711)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돌출봉(712)과, 돌출봉(711)에 설치되는 제1접속단자(미도시)와, 상기 제1접속단자로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선(7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10)의 베이스(18)의 저면에는, 중량체(711)의 돌출봉(712)에 삽입되는 원형홈(19)이 형성될 수 있고, 원형홈(19)에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8)는 중량체(711)에 회전 가능토록 거치될 수 있다. 원형홈(19)이 돌출봉(712)에 회전 가능토록 삽입되어, 수조(10)와 도킹스테이션(71)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제1, 2 접속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수조(1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전선(713)이 꼬이지 않으면서 급수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전력공급이 유지될 수 있다.
수조(10)의 바닥판(12)과, 베이스(18)와, 하측 테두리벽(1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상기 제2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회로부(715)가 설치될 수 있다.
수조(10)의 바닥판(12)하측에 전력회로부(7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전력송신부(72)가 설치되고, 수조(10)내에 무선전력송신부(72)와 감응하여 유도전압을 일으키는 무선전력수신부(73)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부(72)가 바닥판(12)에 형성된 돌출부(121) 내의 공간에 배치되고, 무선전력수신부(73)는 돌출부(121) 상측에 위치되는 하측 필터커버(43)와 펌프(2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하측 필터커버(43)가 바닥판(12)의 돌출부(121)에 씌워진 상태로 이너조립체가 수조내에 설치되었을 경우, 무선전력수신부(73)는 무선전력송신부(72)로부터 무선전력을 전송받아 유도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함이 당연하다.
한편,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여, 수조(10)의 바닥판(12), 베이스(18), 및 하측 테두리벽(1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조(10)의 바닥판(12)의 하측에는 수조(10)에 담딘 물의 온도를 소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열전소자(8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열전소자(81)의 중공부(811)에 모터(82)가 설치될 수 있고, 모터(82)의 하측에 모터(82)에 의하여 작동되는 방열팬(83)이 배치될 수 있고, 방열팬(83)의 주위에 방열판(84)이 설치될 수 있다.
수조(10)의 바닥판(12)의 돌출부(121) 내부 공간에는 수온센서(85)가 설치될 수 있다. 수온센서(85)에 의하여 감지된 수조(10)내의 물의 온도가 설정범위내에 있지 않는 경우 열전소자(81)가 작동되어 물이 냉각되거나 물이 가열되고, 열전소자(81)의 열은 방열판(84)을 통하여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열전소자(81)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방열판(84)의 온도가 소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모터(82)가 작동되어 방열팬(83)이 회전될 수 있다.
방열팬(83)이 회전되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방열판(84)을 통과한 다음 베이스(18)에 형성된 통풍구(18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방열판(84) 및 열전소자(81)는 냉각될 수 있다.
수온센서(85)은, 수조(10)에 저장된 물과 접촉면적이 크고, 펌프(20)를 향하여 물이 이동하는 바닥판(12)의 돌출부(121)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10)내의 물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수 플레이트(3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를 설치하여, 자이로센서(88, 도 12 참조.)에 의하여 감지된 수조(10)의 기울기가 소정값 이상으로 판정되면, 급수 플레이트(3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C1)의 기능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제어부(C1)는 수위센서(86)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수신 받아, 수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수위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경고등(91)을 작동함과 아울러 펌프(2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87)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반려동물이 급수기에 소정거리 범위내로 접근하였는지를 판정하고, 소정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였다 판정된 경우 펌프(20)를 가동하여 급수를 실시하고, 소정거리 범위 내에 접근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펌프(20)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반려동물이 소정거리 범위내에서 소정시간 이상 접근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경우에만 펌프(20)가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근접센서(87)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복수의 반려동물이 접근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접근한 반려동물의 수에 대응되도록 펌프(20)의 펌핑용량을 증대시켜 모든 반려동물에게 충분히 물이 제공되도록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수조내에 설치된 오염도센서(89)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오염도가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살균필터(47, 48, 49)를 가동시켜 살균을 실시하고, 상기 오염도가 허용값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되면, 펌프(20)의 가동을 중지하고, 경고음 신호가 발령되도록 경고수단(미도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87)의 신호에 따른 펌프(20)의 가동시간을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이를 분석하고, 반려동물이 정기적으로 물을 마시는 시간 및 급수량을 수시로 판정하여, 판정된 물의 급수 시간에 급수량이 제공되도록 펌프(20)를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수온센서(85)로부터 물의 온도신호를 수신받아, 수조(1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물이 냉각되도록 열전소자(81)를 가동하고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물이 가열되도록 열전소자(81)를 가동할 수 있다.
한편, 열전소자(81)와 온도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열전소자(81)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 방열팬(83)이 회전되도록 모터(82)를 가동하여 상기 열전소자(81) 및 상기 열전소자(81)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84)이 냉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센서(88)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수조(10)의 기울임이 소정값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 수조(10)의 하측에 설치된 각도 조절부(미도시)를 조작하여 급수 플레이트(30)를 수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C1)는 펌프(20), 발광체(61), 살균필터(47, 48, 49)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C1)와 별도로, 열전소자(81), 모터(82) 및 경고등(89)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C2, 도 12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C2)는 바닥판(82)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수조 11: 측벽
11a: 상측 측벽 11b: 하측 테두리벽
20: 펌프 25: 급수관
30: 급수 플레이트 40: 여과필터
42: 제1 여과필터 44: 제2 여과필터
47, 48, 39: 살균필터
50: 물받이 61: 발광체
62: 발광체 지지대 63: 도광판
71: 도킹 스테이션 72: 무선전력수신부
73: 무선전력송신부
81: 열전소자 82: 모터
83: 방열팬 84: 방열판
86: 수위센서 87: 근접센서
88: 자이로센서 89: 오염도센서
91: 경고등

Claims (24)

  1.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조(10);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된 펌프(20);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을 이송하는 급수관(25);
    상기 수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통되는 급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된 물이 상면을 따라 흐르는 급수 플레이트(30); 및
    상기 급수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수조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된 물을 상기 수조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상기 개부구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물받이(5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는,
    상단이 상기 개구부를 규정하는 측벽(11)을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50)는,
    상기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벽(51)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1)의 상단은,
    상기 외측벽의 외측면과 접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외측벽의 하단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바닥벽(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바닥벽에 형성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외측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외측벽과의 사이에 상기 배출홀로 물을 안내하는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내측벽(53)을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은,
    상기 바닥벽에 의해 상기 외측벽과 연결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은,
    상기 외측벽으로부터 낙하된 물이 닿게 되는 표면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은,
    상기 외측벽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높이는 상기 외측벽의 높이 보다 낮은 반려동물 급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상단은,
    상기 측벽의 상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위에서 내려다볼 시 상기 급수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반려동물 급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상단은,
    위에서 내려다볼 시 상기 측벽의 상단보다 더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닥을 한정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이 거치되는 테두리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의 측벽은,
    상기 테두리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외형을 갖는 메인 측벽(11c)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측벽은,
    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측벽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환형의 내측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이너 경사면이 형성된 상측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이너 경사면에 의해 지지되는 아웃터 경사면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경사면과 상기 아웃터 경사면은 면접촉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벽은,
    하단부가 상기 메인 측벽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측벽부(110);
    상기 측벽부로부터 제1 길이(L1)만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판(111); 및
    상기 제1 돌출판의 하측에서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L2)만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판(112)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경사면은,
    상기 제1 돌출판과 상기 제2 돌출판을 연결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외측벽은,
    상기 아웃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외측벽 하부; 및
    상기 외측벽 하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돌출판 상에 거치되는 스텝부; 및
    상기 스텝부의 외측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외측벽 상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판 상에 배치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벽 상부는 상기 패킹과 접촉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저면은 상기 제1 돌출판에 부착되고,
    상기 패킹의 외측면은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외측벽 상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위에서 내려다볼 시, 상기 급수 플레이트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플레이트는,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된 물이 상면을 따라 흘러 둘레에서 낙하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둘레는,
    볼록한 폐곡선을 이루는 반려동물 급수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에 삽입되어 상기 급수구와의 사이에 물이 배출되는 링형의 간격을 형성하는 노즐 마개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23. 상면에 개구부를 갖고, 상단이 상기 개구부를 한정하는 환형의 측벽의 내측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이너 경사면이 형성된 수조(10);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된 펌프(20);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을 이송하는 급수관(25);
    상기 수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통되는 급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된 물이 상면을 따라 흐르는 급수 플레이트(30); 및
    상기 급수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경사면에 의해 지지되는 아웃터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이너 경사면 상에 상기 아웃터 경사면이 위치할 시 상기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상기 수조로 흘려보내고, 상기 아웃터 경사면이 상기 이너 경사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24.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조(10);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된 펌프(20);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을 이송하는 급수관(25);
    상기 수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통되는 급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된 물이 상면을 따라 흐르는 급수 플레이트(30); 및
    상기 급수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수조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상기 수조로 배출하는 물받이(5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KR1020190080603A 2018-09-19 2019-07-04 반려동물 급수기 KR20200043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71,090 US11160250B2 (en) 2018-09-19 2019-09-14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202210573983.2A CN114868666A (zh) 2018-09-19 2019-09-19 液体分配器
EP19198187.7A EP3626065B1 (en) 2018-09-19 2019-09-19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EP21203731.1A EP3977847B1 (en) 2018-09-19 2019-09-19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201910887007.2A CN110915688B (zh) 2018-09-19 2019-09-19 用于动物的液体分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3552 2018-10-17
KR1020180123552 2018-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264A true KR20200043264A (ko) 2020-04-27

Family

ID=7046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603A KR20200043264A (ko) 2018-09-19 2019-07-04 반려동물 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32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6065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110915682B (zh) 用于动物的液体分配器
CN110915680B (zh) 用于动物的液体分配器
EP3649854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110915683B (zh) 用于动物的液体分配器
US11191252B2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00043028A (ko) 반려동물 급수기
US20210345581A1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200043264A (ko) 반려동물 급수기
EP3628149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EP3653046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00033137A (ko) 반려동물 급수기
KR20200042637A (ko) 반려동물 급수기
KR20200048945A (ko) 반려동물 급수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00050337A (ko) 반려동물 급수기
KR20200033138A (ko) 반려동물 급수기
KR20200048948A (ko) 반려동물 급수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00048946A (ko) 반려동물 급수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00048852A (ko) 반려동물 급수기
KR20200048947A (ko) 반려동물 급수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00050125A (ko) 반려동물 급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