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812A -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812A
KR20200042812A KR1020180123433A KR20180123433A KR20200042812A KR 20200042812 A KR20200042812 A KR 20200042812A KR 1020180123433 A KR1020180123433 A KR 1020180123433A KR 20180123433 A KR20180123433 A KR 20180123433A KR 20200042812 A KR20200042812 A KR 20200042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room
desk
main
control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안실
Original Assignee
전안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안실 filed Critical 전안실
Priority to KR102018012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2812A/ko
Publication of KR2020004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서실 입구에 장착되며, 독서실 사용 등록을 완료 후 결제 여부에 따라 출입을 허락하는 출입 통제기; 상기 독서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독서실 책상; 및상기 출입 통제기 및 상기 독서실 책상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출입 통제기로부터 사용자의 입, 퇴실에 대한 정보를 공급받고, 상기 독서실 책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체크하면서, 상기 독서실 책상을 제어하는 메인 피씨(PC);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피씨는,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기설정된 시간이 되면 독서실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상기 전원에 대한 온 오프 신호를 상기 독서실 책상에 공급하거나 상기 독서실 책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독서실 책상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출입 통제기에 의해 입실 및 퇴실이 확인되면 입실 및 퇴실시간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입실 및 퇴실시간을 학부모의 핸드폰으로 문자 발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실 책상은,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조명 제어부;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아 점등 또는 소등되거나 상기 조명 제어부에 장착된 전원 스위치에 의해 다수의 색상 중 선택된 색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 및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독서실 책상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PIR 모션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움직임 신호를 상기 조명 제어부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 또는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램프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reading room}
본 발명은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실을 개방하는 시간에 상시 자동으로 입, 출자를 관리하고 또 독서실 책상의 빈자리의 램프를 소등하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독서실의 관리 인력 및 경비 그리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은 학생이나 수험생들이 글을 읽거나 공부할 수 있도록 따로 차려놓은 방을 뜻한다.
또 독서실은 조용하고 정숙한 분위기에서 집중하기 좋도록 다수의 인원이 개방된 큰 공간에서 집단적으로 공부하던 예전의 분위기와 달리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욕구와 선호도에 의해 소수의 인원들이 각각의 실내로 폐쇄된 조그만 공간에서 공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그 규모와 상관없이 독서실은 각 사용자에게 단독의 책상이 부여되고 그 책상은 보통 사물함과 독자적인 조명이 함께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독서실 책상에 장착된 LED 또는 형광등 등의 조명등에 대한 문제점은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또는 취침을 하더라도 대부분 조명등을 소등하지 않고 전기 절약 등에 대해 무관심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독서실을 운영할 때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2012년 08월 09일자로 20-2012-0007108호(고안의 명칭; 독서실 램프의 절전 시스템)를 실용신안등록출원을 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을 하였지만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제작이 어려워 난관을 거듭한 끝에 독서실의 절전시스템에 더하여 독서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KR 20-2014-0001073 U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서실을 개방하는 시간에 상시 자동으로 입, 출자를 관리하고 또 빈자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독서실의 관리 인력 및 경비를 줄일 수 있는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서실에서 사용자가 책상에 앉은 상태에서 취침을 하거나 또는 장시간 움직임이 없을 때 이를 감지하여 조명등(또는 램프)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독서실 램프의 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서실의 개방 및 폐실 시간에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또 사용자의 입실과 퇴실 시간을 학부모들께 문자로 전송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킨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독서실 입구에 장착되며, 독서실 사용 등록을 완료 후 결제 여부에 따라 출입을 허락하는 출입 통제기; 상기 독서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독서실 책상; 및상기 출입 통제기 및 상기 독서실 책상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출입 통제기로부터 사용자의 입, 퇴실에 대한 정보를 공급받고, 상기 독서실 책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체크하면서, 상기 독서실 책상을 제어하는 메인 피씨(PC);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피씨는,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기설정된 시간이 되면 독서실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상기 전원에 대한 온 오프 신호를 상기 독서실 책상에 공급하거나 상기 독서실 책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독서실 책상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출입 통제기에 의해 입실 및 퇴실이 확인되면 입실 및 퇴실시간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입실 및 퇴실시간을 학부모의 핸드폰으로 문자 발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실 책상은,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조명 제어부;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아 점등 또는 소등되거나 상기 조명 제어부에 장착된 전원 스위치에 의해 다수의 색상 중 선택된 색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 및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독서실 책상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PIR 모션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움직임 신호를 상기 조명 제어부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 또는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램프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독서실을 개방하는 시간에 상시 자동으로 입, 출자를 관리하고 또 빈자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독서실의 관리 인력 및 경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독서실에서 사용자가 책상에 앉은 상태에서 취침을 하거나 또는 장시간 움직임이 없을 때 이를 감지하여 조명등(또는 램프)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셋째, 독서실의 개방 및 폐실 시간에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또 사용자의 입실과 퇴실 시간을 학부모들께 문자로 전송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에는 출입 통제기가 설치된다.
상기 출입 통제기는 독서실의 좌석배치 현황과 독서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기간 및 전화번호와 같은 간단한 신상정보를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창이 설치된다.
상기 독서실은 내부에는 복수의 룸으로 구획될 수도 있으며 각 룸에는 복수의 독서실 책상이 배치된다.
상기 출입 통제기와 상기 독서실 책상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출입 통제기로부터 사용자의 입, 퇴실에 대한 정보를 공급받고, 상기 독서실 책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체크하면서 독서실 책상의 조명과 전원을 제어하는 메인 피씨(PC)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피씨(PC)는, 기설정된 시간, 즉, 사용자의 이용시간이 되면 독서실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에 대한 온 오프 신호를 상기 독서실 책상에 공급하거나 상기 독서실 책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독서실 책상의 조명과 전원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가 실장된다.
또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출입 통제기에 의해 입실 및 퇴실이 확인되면 입실 및 퇴실시간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가 실장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 하에 사용자의 입실 및 퇴실시간을 학부모(또는 보호자나 후견인)의 핸드폰으로 문자 발송하는 통신부가 구비된다.
상기 독서실 책상은,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조명 제어부가 구비된다.
또 독서실 책상에는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아 점등 또는 소등되거나 상기 조명 제어부에 장착된 전원 스위치에 의해 다수의 색상 중 선택된 색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자리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모션 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PIR 모션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그 움직임이 없는 신호를 상기 조명 제어부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 또는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이 없다는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램프를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출입 통제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보며 좌석 현황을 확인하며 원하는 좌석을 클릭하고 독서실 이용 기간을 선택 후 현금 또는 카드로 결제하면 상기 메인 피씨는 이를 감지하여 독서실 출입문을 개방하게 되고 사용자는 해당 좌석에 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피씨(PC)는 사용자의 입출을 감지한 후 상기 메인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독서실 책상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실 및 퇴실시간을 실시간으로 저장부에 저장한다.
동시에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일 경우 입실 및 퇴실시간을 학부모의 핸드폰으로 문자 발송한다.
한편, 상기 독서실 책상에는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조명 제어부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메인 피씨에 의해 원격으로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아 점등 및 소등되거나 상기 조명 제어부에 장착된 전원 스위치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LED 램프가 구비된다.
상기 LED 램프는 다수의 색상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색상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점등된다.
또 상기 조명 제어부부에는 책상에 위치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모션 센서와 타이머가 구비된다.
상기 PIR 모션 센서는 상기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에 의해 상기 램프(또는 형광등)를 자동으로 소등한다.
즉, 상기 타이머에 셋팅된 시간을 10분이라고 설정했을 경우 10분 동안 책상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취침을 하며 뒤척임이 없을 경우 PIR 모션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로 송신하여 상기 LED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램프를 소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등된 램프는 추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명 제어부에 장착된 전원 스위치를 온 시켜 점등하거나 또는 메인 피씨(PC)에서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를 점등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독서실 입, 퇴실 시간을 학부모에게 문자로 알려줌으로써 학부모를 안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독서실을 개방하는 시간에 상시 자동으로 입, 출자를 관리하고 또 빈자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독서실의 관리 인력 및 경비를 줄이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책상에 앉은 상태에서 취침을 하거나 또는 장시간 움직임이 없을 때 이를 감지하여 조명등(또는 램프)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주변 책상에서 엎드려 취침하는 다른 사용자의 취침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독서실 입구에 장착되며, 독서실 사용 등록을 완료 후 결제 여부에 따라 출입을 허락하는 출입 통제기;
    상기 독서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독서실 책상; 및
    상기 출입 통제기 및 상기 독서실 책상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출입 통제기로부터 사용자의 입, 퇴실에 대한 정보를 공급받고, 상기 독서실 책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체크하면서, 상기 독서실 책상을 제어하는 메인 피씨(PC);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피씨는,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기설정된 시간이 되면 독서실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상기 전원에 대한 온 오프 신호를 상기 독서실 책상에 공급하거나 상기 독서실 책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독서실 책상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피씨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출입 통제기에 의해 입실 및 퇴실이 확인되면 입실 및 퇴실시간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입실 및 퇴실시간을 학부모의 핸드폰으로 문자 발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실 책상은,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조명 제어부;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피씨(PC)에 의해 원격으로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아 점등 또는 소등되거나 상기 조명 제어부에 장착된 전원 스위치에 의해 다수의 색상 중 선택된 색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램프; 및
    상기 독서실 책상에 장착되며, 상기 독서실 책상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PIR 모션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움직임 신호를 상기 조명 제어부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 또는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램프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





KR1020180123433A 2018-10-16 2018-10-16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 KR20200042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33A KR20200042812A (ko) 2018-10-16 2018-10-16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33A KR20200042812A (ko) 2018-10-16 2018-10-16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812A true KR20200042812A (ko) 2020-04-24

Family

ID=7046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433A KR20200042812A (ko) 2018-10-16 2018-10-16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28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24A (ko) 2020-08-06 2022-02-15 오세정 스터디 카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331346A (zh) * 2022-08-30 2022-11-11 深圳市巨龙创视科技有限公司 一种校园门禁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073U (ko) 2012-08-09 2014-02-19 전안실 독서실 램프의 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073U (ko) 2012-08-09 2014-02-19 전안실 독서실 램프의 절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24A (ko) 2020-08-06 2022-02-15 오세정 스터디 카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331346A (zh) * 2022-08-30 2022-11-11 深圳市巨龙创视科技有限公司 一种校园门禁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331346B (zh) * 2022-08-30 2024-02-13 深圳市巨龙创视科技有限公司 一种校园门禁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4194B (zh) 智能家居控制系统
CN106852193A (zh) 响应于占用者和移动装置的位置的负载控制系统
US10666032B2 (en) Built-in electromechanical equipment for controlling devices in a building
CN106066017B (zh) 一种智能路灯照明装置
CN206698484U (zh) 照明设备的控制装置和照明装置
JP2008181874A (ja) 照明システム
KR20200042812A (ko) 독서실의 관리 시스템
CN101862142B (zh) 一种交互式智能浴室柜装置
Divyashree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mirror as a personal assistant using Raspberry PI
CN107193216A (zh) 居家智慧管理系统及智慧管理方法
JP2023126279A (ja) 照明システム、照明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10668B1 (ko) 도서관 좌석 사용 유무 표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016824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열람석 사용 유무 표시장치
CN203608422U (zh) 一种室内照明灯控制系统
CN209693124U (zh) 智能照明控制装置及智能照明系统
CN203099499U (zh) 新型感应台灯
KR101984522B1 (ko) 카운트 센서를 이용하는 순차 자동제어 조명 시스템
WO2018006223A1 (zh) 智能台灯
KR20170088584A (ko) 불필요한 대기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콘센트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CN212972522U (zh) 具有调光调色、时间显示和人体感应功能的卫浴镜及镜柜
CN209011627U (zh) 一种酒店睡眠舱
KR20140001073U (ko) 독서실 램프의 절전 시스템
CN209185961U (zh) 一种智能衣橱
CN110335381A (zh) 基于变色功能提醒用户的方法及应用其的云锁系统
CN206211195U (zh) 智能插座及其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