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729A -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729A
KR20200042729A KR1020180123254A KR20180123254A KR20200042729A KR 20200042729 A KR20200042729 A KR 20200042729A KR 1020180123254 A KR1020180123254 A KR 1020180123254A KR 20180123254 A KR20180123254 A KR 20180123254A KR 20200042729 A KR20200042729 A KR 2020004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plate
user
breastrest
br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736B1 (ko
Inventor
석승선
허인숙
Original Assignee
석승선
허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승선, 허인숙 filed Critical 석승선
Priority to KR102018012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7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3Chair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가 개시된다. 상기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는,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부(10); 상기 좌판부(10)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부(10) 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30); 및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거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다리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는 하나의 몸체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Chair for supporting chest}
본 발명은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자의 전면에 탄성을 가지는 가슴받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함으로써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상태에서 착석자의 둔부를 떠받쳐 주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배면에 세워져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및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다리부를 갖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의자는 가정용 의자(공부의자, 식탁의자 등), 사무용 의자, 강연/강의실 의자, 업소용 의자(식당, 미용실, 공연장, 극장 등)와 같이, 다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의자는 재질ㆍ소재ㆍ구조와 관련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인체공학적 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장시간 착석하였을 때에도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의자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는, 사람들은 잠자는 시간 외에는 대부분 서서 있거나 앉아 있게 되어, 허리의 디스크가 상체의 체중으로 인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고,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할 때에 사람들은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구부정한 자세로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게 되면, 허리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디스크에 통증이 발생하고 척추가 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경우, 허리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거나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가 다수 개발되었으며,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엉덩이 및 척추의 곡선을 살려 허리의 자세를 교정하거나 등받이를 뒤로 젖혀서 반쯤 누울 수 있는 형태의 의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의자는 허리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고르게 하거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는 있었으나,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을 하는 경우,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서 자세 교정이 안 되거나 허리를 편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종래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의자의 전방 즉, 착석자의 복부와 가슴 쪽을 받칠 수 있는 상체 지지구(일명, 가슴받이부)가 마련된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727호(2010826 공개)에는 "가슴받이 의자"가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가슴받이 의자는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도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가슴받이대가 의자의 전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모터, 웜, 웜휠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슴받이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10)과,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리부(50)와, 상기 좌판(10)과 다리부(50)를 연결하는 지지봉(51)을 구비하는 의자
본체, 착석자가 상기 좌판(10)에 앉아서 앞쪽으로 기댈 수 있도록 착석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가슴받이대(30) 및 상기 가슴받이대(30)를 상기 의자 본체에 연결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가슴받이대(3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의자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슴받이대(30)는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사용자의 등 뒤쪽인 등받이(20) 뒤쪽에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40)의 타단부에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51)에 끼워져 결합되는 웜휠(47)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4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0)와, 상기 모터(60)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웜휠(47)에 기어결합되는 웜(61)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슴받이대(30)가 좌판(10)의 앞쪽, 즉 사용자가 좌판(10)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배치되는 제1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가 앞으로 치우칠 때 사용자의 가슴이 가슴받이대(30)에 지지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편안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세가 교정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등받이(20)에 기대거나 할 때에는 상기 모터(6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웜(61)과 웜휠(47) 사이의 기어결합에 의하여 웜휠(47)이 회전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받이대(30)가 등받이(20)의 뒤 쪽, 즉 사용자의 등 뒤쪽에 배치되는 제2위치로 이동한다. 이렇게 상기 가슴받이대(30)를 제2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통상의 의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슴받이대를 회동시키기 위해서 모터(60), 웜(61), 웜휠(47)을 지지봉(51)과 연결부재(40) 끝단 사이에 배치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장기간 사용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슴받이 의자의 경우, 상기 연결부재(40)가 등받이(20) 뒤쪽으로 회동되도록 연결부재(40)의 제2연결부(46)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고 있는 데, 이로 인해 연결부재(40)의 회동 반경이 전체적으로 커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등받이(20)가 고정된 형태로서 장시간 사용 시 허리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의자의 무게가 무거워 운반을 하거나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72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성형을 통해 좌판부, 등받이 및 가슴받이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여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단가를 줄이고, 등받이 및 가슴받이가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며, 가벼운 무게로 인해 용이하게 운반 및 이동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는,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부(10); 상기 좌판부(10)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부(10) 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30); 및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거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다리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는 하나의 몸체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20) 및 상기 가슴받이(30)는, 중심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받이(30)는, 상·하부 부분에 비해 중심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다리공간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받이(30)는, 사용자의 가슴과 닿는 상부 부분에 폭신한 재질의 패드(33)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모서리 부근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캐스터(40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암(42)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암(42) 단부에 바퀴(43)가 축설되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부(10)가 고정된 상태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원통형 및 다각형의 관 또는 원기둥 및 다각형기둥 구조로서 수직으로 연장된 받침부재(40c)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출성형을 통해 좌판부, 등받이 및 가슴받이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여 구조를 간소화하여 무게를 줄이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등받이 및 가슴받이가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벼운 무게로 인해 운반이 용이하고, 의자를 사용하는 중에 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가슴받이대가 의자의 전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모터, 웜, 웜휠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
도 9는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사용자가 가슴을 기댄 상태로 착석한 모습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사용자가 가슴을 기댄 상태로 착석한 모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는, 크게 좌판부(10), 등받이(20), 가슴받이(30) 및 다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는 의자의 전면에 탄성을 가지는 가슴받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함으로써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좌판부(10)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기본적으로 평평한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중심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 시 둔부를 감싸안 듯 잡아주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판부(10)의 후면부분에서 전면부분으로 점차 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전면부분에 비해 후면부분의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촤판부(10) 상부에는 밀림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릴콘 등 재질의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등받이(20)는, 상기 좌판부(10)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등받이(20)는 좌판부(10)의 후면부분이 연장된 구조로서 사용자의 허리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향해 굽어진 형상의 제 1 곡면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완만한 곡면을 그리 듯 휘어진 허리에 상기 제 1 곡면부(21)의 내측면이 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곡면부(21)의 가로 폭을 상기 등받이(20) 상부 부분에 비해 좁게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슴받이(30)는, 상기 좌판부(10) 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슴 즉, 흉골(胸骨) 부근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슴받이(30)는 좌판부(10)의 전면부분이 연장된 구조로서 사용자의 가슴 부분에 밀착되어 지지하기 위해 중심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향해 굽어진 형상의 제 2 곡면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좌판부(10)에 착석한 상태에서 앞을 향해 편안한 자세로 약간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가슴을 지지하기 위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슴받이(30) 상·하부 부분에 비해 중심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다리공간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공간부(32)는 사용자의 다리, 즉 허벅지 부분이 놓여지게 되는 부분으로서, 중심부분의 폭을 좁게 완만한 곡선을 그리 듯 중심부분을 향해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석 후 다리를 뻗은 상태에서 다리를 모을 경우 편안한 자세로 다리를 모을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슴받이(30)는 사용자의 가슴과 닿는 상부 부분에 폭신한 재질의 패드(33)가 부착될 수도 있다. 즉 가슴받이(30)에 있어 사용자의 가슴과 접촉되는 부분에 폭신한 재질의 패드(33)를 부착하여 사용자로하여금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는 상기 등받이(20) 부분에도 상기 패드(33)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기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는 하나의 몸체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거나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모서리 부근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캐스터(40a)일 수 있다. 즉 상기 캐스터(40a)는 어떠한 방향으로든 회전이 가능한 바퀴로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는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일 수 있다.
상기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는 상기 좌판부(10) 저면 중심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중심봉(41)이 설치되고, 상기 중심봉(41) 단부에 다수 개의 암(42)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암(42) 단부에 바퀴(43)가 축설된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는 여러 방향을 향해 설치된 바퀴(43)를 통해 어느 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좌판부(10)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어 용도 및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다양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재(40c)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40c)는 상기 좌판부(10)가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40c)는 원통형 및 다각형의 관 또는 원기둥 및 다각형기둥 등 다양한 구조로서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체형 구조의 상기 좌판부(10), 상기 등받이(20) 및 상기 가슴받이(30)로 구성된 일체형 몸체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바닥과 닿는 부분이 평평하여 미끌어지지 않는 구조라면 그 구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는 사출성형을 통해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여 구조를 간소화하여 무게를 줄이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고,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가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앉은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몸을 앞으로 기울인 상태로 작업을 할 경우 상기 가슴받이(30)에 기댄 채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된 후 휴식을 취할 경우 상기 등받이(20)에 등을 지지한 채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벼운 무게로 인해 운반이 용이하고, 의자를 사용하는 중에 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10: 좌판부
20: 등받이 21: 제 1 곡면부
30: 가슴받이 31: 제 2 곡면부
32: 다리공간부 33: 패드
40: 다리부 40a: 캐스터
40b: 회전식 의자용 다리 41: 중심봉
42: 암 43: 바퀴
40c: 받침부재

Claims (7)

  1.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가슴을 지지할 수 있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A)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부(10);
    상기 좌판부(10)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부(10) 전면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30); 및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키거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다리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10), 등받이(20) 및 가슴받이(30)는 하나의 몸체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 및 상기 가슴받이(30)는,
    중심부분이 사용자의 몸을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30)는,
    상·하부 부분에 비해 중심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다리공간부(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30)는,
    사용자의 가슴과 닿는 상부 부분에 폭신한 재질의 패드(3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모서리 부근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캐스터(4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6.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암(42)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암(42) 단부에 바퀴(43)가 축설되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의자용 다리(4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7.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좌판부(10)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부(10)가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원통형 및 다각형의 관 또는 원기둥 및 다각형기둥 구조로서 수직으로 연장된 받침부재(40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20180123254A 2018-10-16 2018-10-16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KR102189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54A KR102189736B1 (ko) 2018-10-16 2018-10-16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54A KR102189736B1 (ko) 2018-10-16 2018-10-16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29A true KR20200042729A (ko) 2020-04-24
KR102189736B1 KR102189736B1 (ko) 2020-12-11

Family

ID=7046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54A KR102189736B1 (ko) 2018-10-16 2018-10-16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7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818Y1 (ko) * 2002-12-20 2003-03-12 최현진 의자용 다리
KR20110001387U (ko) * 2010-12-24 2011-02-09 최종은 척추 교정 유도 의자
KR101160727B1 (ko) 2009-02-17 2012-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슴받이 의자
KR101503305B1 (ko) * 2014-07-21 2015-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KR20160008316A (ko)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디자인스탠다드 기능성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818Y1 (ko) * 2002-12-20 2003-03-12 최현진 의자용 다리
KR101160727B1 (ko) 2009-02-17 2012-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슴받이 의자
KR20110001387U (ko) * 2010-12-24 2011-02-09 최종은 척추 교정 유도 의자
KR20160008316A (ko)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디자인스탠다드 기능성 의자
KR101503305B1 (ko) * 2014-07-21 2015-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736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455B2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4793655A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US9913541B2 (en) Adjustable seating assembly
US20120175928A1 (en) Seating assembly with pivoting motion
US20190150619A1 (en) Lounge chair with ergonomic features
JP2020108780A (ja) 調節可能な人間工学に基づく椅子
KR100886181B1 (ko) 장애인용 의자
CN100488407C (zh) 长椅
KR102189736B1 (ko)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KR101198578B1 (ko) 자세 교정의 용도 전환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US20200383483A1 (en) Chair with variable positioning and support
US20220378208A1 (en) Tilt chair
KR101062298B1 (ko) 회동좌판이 구비된 의자
US5052755A (en) Chair,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US20160360890A1 (en) Chair with variable positioning and support
US20210393037A1 (en) Chair with variable positioning and support
US20200237100A1 (en) Self-adjustable backrest device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JP7078263B2 (ja) 椅子
KR20100120438A (ko) 등받이 회전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자
KR101022761B1 (ko) 의자
GB2530580A (en) Sunlou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