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180A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2180A KR20200042180A KR1020180122429A KR20180122429A KR20200042180A KR 20200042180 A KR20200042180 A KR 20200042180A KR 1020180122429 A KR1020180122429 A KR 1020180122429A KR 20180122429 A KR20180122429 A KR 20180122429A KR 20200042180 A KR20200042180 A KR 202000421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door member
- support member
- open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의 처리조에 수용되는 의류 등의 세탁물을 사전에 설정된 기능에 기반하여 처리 또는 관리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처리조에 장입시키거나 또는 처리조 내의 세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cessing or managing laundry, such as clothes accommodated in an internal treatment tank, based on a preset function, and specifically, to load laundry into the treatment tank or take out laundry in the treatment tank. It relates to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oor that is installed so.
생활 가전은 사용자가 가정에서 일반 생활의 여러 도움을 받기 위해 사용하는 전자장치이며, 처리 대상 및 처리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생활 가전 중에서 의류 등의 세탁물을 처리 대상으로 하는 가전을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고 지칭한다. 의류처리장치는 전문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세탁기는 세탁물의 세탁 기능에 특화된 장치이며, 건조기는 세탁물의 건조 기능에 특화된 장치이며, 의류관리장치는 의류의 보존 및 관리에 특화된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챔버 또는 처리조와, 처리조를 개방하거나 또는 처리조를 외부와 격리시키기 위한 도어를 포함한다.Household appliances are electronic devices that a user uses to receive various help in general life at home, and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according to a processing target and a processing method. Among household appliances, household appliances targeting laundry such as clothing are commonly referred to as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es.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of devices according to professional functions. For example, among the clothes handling devices, the washing machine is a device specialized for the laundry function of laundry, the dryer is a device specialized for the drying function of laundry, and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is a device specialized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lothes. Such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include a chamber or a treatment tank for receiving laundry, and a door for opening the treatment tank or isolating the treatment tank from the outside.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드럼 세탁기 또는 건조기는 눕혀진 드럼 형태의 처리조를 가지므로 개구가 하우징의 전면패널에 형성되며, 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또한 전면패널에 결합된다. 통상적인 도어는 우측 모서리에 힌지 구조가 마련되는 바, 도어의 회동 축선은 수직방향이 된다. 즉, 통상적인 도어는 스위블(swivel) 회동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처리조 안에 넣고자 할 때 필연적으로 허리를 구부리게 되므로, 사용자의 허리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Since the drum washing machine or the dryer among the clothes handling devices has a drum-shaped treatment tank, an opening is formed on the front panel of the housing, and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is also coupled to the front panel. In a typical door, a hinge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right corne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becomes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conventional door is swivel.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inevitably bends the waist when the user wants to put the laundry in the treatment tank, thereby causing back pain of the user.
실제 사용 환경 중에는 수직축 세탁기와 건조기를 함께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수직축 세탁기의 상측 도어를 열어서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꺼내고, 건조기의 정면 도어를 열고 허리를 구부려서 세탁물을 건조기 내로 넣는다.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부득이하게 허리를 구부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 real use environment, a vertical axis washer and dryer may be used together. In this case, the user opens the upper door of the vertical axis washing machine to take out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opens the front door of the dryer and bends the waist to put the laundry into the dryer. Due to the door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e user has to inevitably bend the waist.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어의 하측 모서리에 힌지 구조가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에 도어의 회동 축선은 수평방향이 되므로, 도어는 틸트(tilt) 회동을 한다. 도어가 틸트 회동을 하면 도어의 상측이 하우징의 전방을 향해 젖혀지며 개구의 상측이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개구를 통해 손쉽게 건조기 내로 세탁물을 넣을 수 있다.To improve this problem, a door structure of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hinge structure is provided at a lower edge of a door has been proposed. In this case, since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oor is tilted. When the door is tilted, the upper side of the door is tilted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is opened, so the user can easily put laundry into the dryer through the opening without bending the waist.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넣은 세탁물은 개구에 가까운 처리조의 전방에 모이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려서 세탁물을 건조기의 처리조 안쪽으로 밀어넣는 추가 동작을 해야 한다. 이상 두 가지 구조 모두,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으면 의류처리장치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곤란하게 한다.However, even in such a structure, the laundry put by the user is collected in front of the treatment tank close to the opening. For this reason, the user has to perform an additional action of bending the waist to push the laundry into the treatment tank of the dryer. In both of the above structures,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use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normally without bending the waist.
따라서, 전면패널에 도어가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세탁물을 처리조 안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처리조 안에 넣은 세탁물이 개구에 가까운 처리조의 전방보다 안쪽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the user can easily put the laundry into the treatment tank without bending the waist, and the laundry placed in the treatment tank by the user falls inward than the front of the treatment tank close to the opening. You may need a structure to make it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에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통해 장입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개구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힌지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힌지가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부재가 회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상기 개구의 상측영역 및 하측영역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도어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편 상태에서, 처리조 내에 의류 등의 세탁물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provided with an opening on the front, a treatment tank for processing cloth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and locat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opening And a door member supported on both sides by a pair of hinges provided at edges of the openings facing each other, and the door member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formed by the pair of hinges, and th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It includes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lower areas of the. Thereby, the user can easily put laundry such as clothes in the treatment tank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bent at the waist.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힌지는, 상기 도어부재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도어부재의 상측 단부가 상기 개구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젖혀지도록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틸트 회동시켜 개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Here, the pair of hinges can be rotated between a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door member closes the opening, and an open position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door member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opening to open the opening. have.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tilt the door to open the opening.
여기서,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도어부재의 하측 단부가 상기 처리조의 내부로 들어오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처리조 내에 장입되는 세탁물이 처리조의 전방이 아닌 보다 안쪽에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door member may be extend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oor member enters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tank when in the open position. Thereby, the laundry loaded in the processing tank can be made to fall inside rather than in front of the processing tank.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수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의 틸트 회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may be provided to be horizontal to the housing. Thereby, the tilt rotation of the door is possible.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부재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위치 및 상기 도어부재의 회동을 차단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further includes a handle movably installed on the door member, and in response to a position of the handle, a first position allowing rotation of the door member and a block blocking rotation of the door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to move between the two positions.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unintentionally.
또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도어부재의 상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도어부재의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개구가 보다 크게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도어를 닫을 때에 도어부재 하단부에 세탁물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upper end of the door member may be provided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lower end of the door member. Thereby, the opening can be made large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laundry from being caught in the lower end of the door member when the door is clo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에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통해 장입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개구의 상측영역을 커버하게 배치되는 제1도어부재와, 상기 개구의 하측영역을 커버하게 배치되는 제2도어부재와, 상기 제1도어부재 및 상기 제2도어부재 각각의 상호 마주하는 모서리를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조인트부재와,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개구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1도어부재 및 상기 제2도어부재 각각의 상기 위치를 향하는 측면의 일 지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조인트부재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도어부재 또는 상기 제2도어부재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제1도어부재 또는 상기 제2도어부재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도어유닛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편 상태에서, 처리조 내에 세탁물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provided with an opening on the front surface, a treatment tank for processing cloth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and covers the upper region of the opening A first door member that is arranged to be arranged, a second door member that is arranged to cover the lower region of the opening, and a joint that joins each of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to face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It is provided to exten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ening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opening between the member, and to support a point of a side surface facing the position of each of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oor member or the second door member centered on the joint member, the first door member or the second door member It includes a door unit includ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ift. Thereby, the user can easily put laundry in the treatment tank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not bent at the waist.
여기서,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도어부재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지지부재힌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2도어부재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지지부재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조인트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1도어부재 및 제2도어부재가, 개구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door unit,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movably supported along the guide por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for coupling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door member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hinge part for coupl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the rotation part. Thereby, the 1st door member and the 2nd door member which rotate with respect to a joint member can move so that an opening may be opened or closed.
여기서,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롤러유닛과,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에,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가 상기 지지롤러유닛에 걸쳐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승강이동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가 신축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가 급격하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door unit,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provided in the guide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 units installed above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in the guide portio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other end of the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so as to span the support roller unit, the elastic according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wires to be stretch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from falling abruptly.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 또는 상기 지지와이어가 관통하도록 마련된 홀을 각기 가질 수 있다. 이로써, 탄성부재 및 지지와이어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Here, eac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have hole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or the support wire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upport wire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1상태 및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게 하는 제2상태 사이를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된 지지부재걸림부와, 상기 지지부재걸림부를 상기 제2상태가 되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걸림부가 상기 제2상태로부터 상기 제1상태로 단속적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단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도어부재 및 제2도어부재의 현재 높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unit is switched between a first state that makes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movable and a second state that blocks the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A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provided to enable,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pressurizing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to be in the second state, and an intermittent member for intermittently switching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It may further include. Thus, the current heights of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can be maintained.
여기서,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지지부재걸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요철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에 마련된 가이드부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지지부재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이로써,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의 승강이동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door unit has a shape of an uneve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ing member engaging portion and includes a guide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the guide portion, and in the second state, the supporting member engaging portion contacts the guide portion. It may be in a state. As a resul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can be blocked.
또한,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조인트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단속손잡이와, 상기 단속손잡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재걸림부가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단속손잡이 및 상기 지지부재걸림부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도어부재 및 제2도어부재의 현재 높이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ittent member, the intermittent handle movably installed on the joint member, and the intermittent handl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intermittent handle,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to switch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It may include a wire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ontrol whether the current heights of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are maintained.
또한, 상기 제1도어부재 및 상기 제2도어부재는, 상기 조인트부재로부터 상기 제1도어부재의 상측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상기 조인트부재로부터 상가 제2도어부재의 하측 모서리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가 열렸을 때 도어가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세탁물을 처리조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the distance from the joint member to the upper edge of the first door member is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joint member to the lower edge of the second door member. Can be. Accordingly,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has an inclined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t laundry into the treatment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도어부재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도어유닛을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도어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도어유닛을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도어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로부터 사용자가 세탁물을 꺼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유닛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도어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폐쇄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도어유닛을 의류처리장치의 내측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도어유닛을 사용자가 상하로 편향되지 않도록 수평하게 당겼을 때에 도어유닛이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도어유닛을 사용자가 하측 방향으로 끌어내렸을 때의 도어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도어유닛을 사용자가 상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당겼을 때에 도어유닛이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각 지지부재의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구조에 대해, 의류처리장치의 내측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재가 이동이 불가한 단속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1지지부재 및 가이드부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재가 이동이 가능한 허용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제1지지부재 및 가이드부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외력전달부재가 배치되는 구조에 대해, 의류처리장치의 내측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지부재의 단속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지부재의 단속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지부재의 단속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3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이 서로 길이가 상이한 제1도어부재 및 제2도어부재를 가지고, 폐쇄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도어유닛이 폐쇄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a side view when the second door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i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oor unit in FIG. 2 seen from the front.
4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a side view when the second door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i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unit in FIG. 4 seen from the front.
6 is a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ructure of a door unit applied to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puts laundry in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takes out laundry from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12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a clos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of FIG. 11 is couple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of FIG. 12 i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4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moves to an open pos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unit of FIG. 12 horizontally so as not to deflect up and down.
1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of the door unit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unit of FIG. 14 downward.
16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moves to the open pos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unit of FIG. 11 in an upward direc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seen from the inside of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with respect to a structure applied to prevent a sudden drop of each support member in the 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intermittent state in which movement is impossible.
19 is a plan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guide portion of FIG. 18 as viewed from above.
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allowable state in which movement is possible.
21 is a plan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guide portion of FIG. 20 as viewed from abov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disposed in the 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23 is a side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predetermined first form including an intermittent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by a user in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predetermined second form including an intermittent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by a user in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side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predetermined third form including an intermittent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by a user in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door member and a second door member having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and is in a closed position.
27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of FIG. 26 is in a closed posi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are not mutually exclusive configuratio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implemented in one device.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nd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If, in the embodiment, there are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a first component, a second component, etc., these terms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 term distinguishes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s used in the following,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in meaning by terms.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appli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expression "at least on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is expression is not only the whole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but each one excluding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or these Refers to all combinations 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 등의 세탁물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의 구현 예시가 건조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류처리장치(1)는 드럼 세탁기와 같이 전방에 도어유닛(300)이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건조기로 구현되는 의류처리장치(1)는 내부에 수용하는 세탁물을 열과 공기에 의해 건조시키며, 추가적으로 세탁물의 살균, 탈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 가정에서, 건조기는 세탁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에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기를 사용한다.The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형 및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에 수용되는 처리조(200)와, 하우징(100)의 전면패널(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유닛(300)과,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지시하도록 하우징(100) 외측에 마련된 사용자입력부(400)를 포함한다. 실제 제품으로서의 의류처리장치(1)에는 상기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많은 구성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는 실시예는 도어유닛(300)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의 구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항만을 설명하고, 그 이외의 사항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도면에 나타난 X, Y, Z 방향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X 방향은 의류처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1)의 X 방향에 사용자가 위치한다. Y 방향은 의류처리장치(1)의 좌우방향이다. Z 방향은 의류처리장치(1)의 상하방향이다. X, Y, Z 방향의 반대방향은 각각 -X, -Y, -Z 방향으로 나타낸다.The meanings of the X, Y, and Z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as follows. The X direction is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하우징(100)은 개략적인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의류처리장치(1)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플라스틱,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을 가진 복수의 플레이트 또는 패널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한 구조를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The
하우징(100)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은 중앙영역에 형성된 개구를 가진다. 전면패널(110)의 개구는 처리조(200)와 연통되며, 이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세탁물을 처리조(200)에 넣거나 또는 처리조(200) 내의 세탁물을 하우징(100)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The
처리조(200)는 전면패널(110)의 개구를 통해 장입된 세탁물에 대해 기 설정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안, 해당 세탁물을 수용한다. 처리조(200)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기능에 따라서 상기한 프로세스를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부가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기라면, 구동 구조, 가열 구조, 살균 구조, 탈취 구조, 배수 구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의 구조들은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1)에 준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처리조(2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거나 또는 수평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드럼 형상을 가진다. 처리조(200)에서 전면패널(110)을 마주하는 일 영역은 전면패널(110)의 개구와 연통됨으로써, 세탁물의 처리조(200)에 장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도어유닛(300)은 전면패널(110)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전면패널(1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300)은, 전면패널(110)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일 영역에 전면패널(110)의 개구보다 작은 개구가 마련된 제1도어부재(310)와, 제1도어부재(310)의 상기한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2도어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도어부재(310) 및 제2도어부재(32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제2도어부재(320)는 제1도어부재(310)와 상이한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어부재(310)가 사각형이고 제2도어부재(320)가 원형이지만, 제1도어부재(310) 및 제2도어부재(320)의 형상은 본 예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제1도어부재(310)는 전면패널(110)을 마주하는 사용자가 볼 때, 제1도어부재(310)의 오른쪽 모서리가 제1힌지부에 의해 전면패널(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힌지부는 제1도어부재(310)의 오른쪽 모서리를 전면패널(110)에 결합시킨다. 즉, 제1도어부재(310)는 Z 방향에 평행한 제1도어부재(310)의 오른쪽 모서리를 회동 축선으로 하여,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 사이를 회동한다.When the user facing the
제2도어부재(320)는 제1도어부재(310) 상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1도어부재(310)의 중앙영역에 개구가 형성되며, 제2도어부재(320)는 제1도어부재(310)의 본 개구를 개폐하도록 제1도어부재(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제1도어부재(310) 및 제2도어부재(320)는 함께 전면패널(110)의 개구의 전체를 커버하고, 제2도어부재(320)는 제1도어부재(31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전면패널(110)의 개구의 일부를 커버한다.The
제2도어부재(320)는 제2힌지부에 의해 제1도어부재(310)에 결합되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한다.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는 서로 별개의 힌지 구조이므로, 제1도어부재(310)가 열려 있는 동안에 제2도어부재(320)가 개방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The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 축선은 예를 들면 수평하게 Y 방향에 평행할 수도 있고, Y 방향에 소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질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가 처리조(200) 내에 세탁물을 넣기 용이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본 회동 축선은 Y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axis of the
또한,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 축선은 제2도어부재(320)의 중앙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된다. 제2도어부재(320)가 원형인 경우에, 회동 축선은 제2도어부재(320)의 중심을 지나며 Y 방향에 평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만, 회동 축선이 반드시 제2도어부재(320)의 중심을 지나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본 중심을 지나지 않도록 회동 축선이 마련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도어부재(320)의 구조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of the
사용자입력부(400)는 하우징(100)의 일 영역에 마련된,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입력부(400)는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 및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400)는 예를 들면, 물리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로 구현될 수 있다.The
이하, 제1도어부재(310)가 닫혀 있는 동안, 제2도어부재(320)가 개폐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도어부재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a side view when the second door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i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서의 도어유닛을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oor unit in FIG. 2 seen from the front.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에서 제1도어부재(310)가 닫혀 있는 동안, 제2도어부재(320)는 폐쇄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도어부재(310) 및 제2도어부재(320)는 전면패널(110)의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처리조(200)를 하우징(100) 외부와 격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처리조(200)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처리가 수행된다.2 and 3, while the
도어유닛(300)은 제1도어부재(310)와, 제2도어부재(320)와, 제2도어부재(3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제1도어부재(310)에 결합시키는 제2힌지부(330)와, 제2도어부재(320)의 외측 판면 상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340)와, 제2도어부재(3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1도어부재(310) 및 제2도어부재(320) 사이에 배치된 실링부재(351, 352)와,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마련된 걸림부(360)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의 제2도어부재(32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2도어부재(320)는, 제2힌지부(330)의 길이방향 축선, 즉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 축선을 기준으로, 개구의 상측 부분을 커버하는 상측영역(321)과, 개구의 하측 부분을 커버하는 하측영역(322)으로 편의상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2도어부재(320)가 반드시 두 개의 부재로 구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힌지부(330)를 지나는 회동 축선으로부터 상측영역(321)의 상측 단부까지의 거리와, 제2힌지부(330)로부터 하측영역(322)의 하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제2힌지부(330)는 전면패널(110)의 정면에 있는 사용자가 볼 때, 원형 플레이트 형상인 제2도어부재(3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측힌지(331) 및 우측힌지(332)를 포함한다. 또한, 좌측힌지(331) 및 우측힌지(332)는 제1도어부재(3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로써, 제2도어부재(320)는 좌측힌지(331) 및 우측힌지(332)에 의해 형성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제1도어부재(310)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손잡이(340)는 제2도어부재(320)의 상측영역(321)의 외측 판면 상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제2도어부재(320)를 X 방향으로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340)는 제2도어부재(3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상측영역(321)에 접하는 기준위치와,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작용할 때에 X 방향으로 젖혀지는 당김위치 사이를 회동한다. 손잡이(340)의 위치는 걸림부(360)의 이동에 연동되며, 손잡이(340)의 위치에 따른 걸림부(360)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The
실링부재(351, 352)는 제2도어부재(3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제1도어부재(310) 및 제2도어부재(3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실링부재(351, 352)는 제1도어부재(310) 및 제2도어부재(3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실링부재(351, 352)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재질을 포함한다.The sealing
실링부재(351, 352)는 제2도어부재(320)의 상측영역(32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된 상측실링부재(351)와, 제2도어부재(320)의 하측영역(32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된 하측실링부재(352)를 포함한다. 상측실링부재(351) 및 하측실링부재(352)는 기능적으로는 동일하지만, 배치 구조가 상이하다. 상측실링부재(351)는 제2도어부재(32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하측실링부재(352)는 제2도어부재(3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차이는,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 방향에 기인한다.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제2도어부재(3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만일, 상측실링부재(351)가 제2도어부재(320)의 외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측실링부재(352)가 제2도어부재(320)의 내측에 배치된다면, 회동하는 제2도어부재(320)를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 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측실링부재(351)는 제2도어부재(320)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측실링부재(352)는 제2도어부재(320)의 외측에 배치된다.The sealing
걸림부(360)는 손잡이(340)의 위치 변화에 연동하여, 외력에 의한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을 차단하는 걸림위치와, 외력에 의한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을 허용하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마련된다. 걸림부(360)는 손잡이(340)가 기준위치에 있으면 걸림위치에 있으며, 손잡이(340)가 당김위치로 회동하면 해제위치로 이동한다.The locking
걸림부(360)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걸림부(360)는 제1도어부재(310)에 형성된 제1홈과, 제1홈과 마주하게 제2도어부재(320)에 형성된 제2홈과, 서로 마주하는 제1홈 및 제2홈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걸림부(360)가 걸림위치에 있을 때, 걸림부재는 제1홈 및 제2홈에 함께 걸리는 위치에 있으며,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은 차단된다. 걸림부(360)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걸림부재는 제1홈 및 제2홈 중 어느 하나에만 걸리는 위치에 있으며, 제2도어부재(320)의 회동은 허용된다.The locking
이러한 구조 하에서, 사용자가 손잡이(340)를 당기면, 걸림부(360)는 걸림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하고, 제2도어부재(320)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한다.Under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pulls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도어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a side view when the second door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i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서의 도어유닛을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unit in FIG. 4 seen from the front.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부재(3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340)를 당김으로써 제2도어부재(320)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제2도어부재(320)는 Z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각도가 90도이면 제2도어부재(320)는 수평하게 회동한 상태이다.4 and 5, when the
본 각도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90도 이하로 마련된다. 이 각도가 작으면 제2도어부재(320)의 경사도가 가파른 것이므로, 전면패널(110)의 개구의 개방된 정도가 낮은 반면에 세탁물이 떨어지는 속도가 빠르다. 이 각도가 크면 제2도어부재(320)의 경사도가 완만한 것이므로, 세탁물이 떨어지는 속도가 느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세탁물이 제2도어부재(320)로부터 처리조(200)에 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 반면에, 전면패널(110)의 개구의 개방된 정도가 크다. 이러한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본 각도는 45도 내외, 예를 들면 30도부터 60도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Various angles may be applied to the angle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and are usually provided at 90 degrees or less. If this angle is small,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제2힌지부(330)를 중심으로 하여, 제2도어부재(320)의 상측영역(321)은 바깥쪽으로 젖혀지며, 제2도어부재(320)의 하측영역(322)은 처리조(200)의 안쪽으로 들어온다. 즉, 개방위치의 제2도어부재(320)는 전면패널(110)의 개구를 가로질러 처리조(200)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이어지는 세탁물의 가이드를 형성한다.With the
제2도어부재(3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상측영역(321) 및 하측영역(322)에서 외부를 향하는 판면을 외면, 내부를 향하는 판면을 내면이라고 편의상 지칭한다. 제2도어부재(32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상측영역(321) 및 하측영역(322)의 외면은 바닥을 향하고, 상측영역(321) 및 하측영역(322)의 내면은 위를 향한다. 제2도어부재(320)가 X 방향 및 Z 방향 사이의 소정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젖혀진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릴 필요 없이 상측영역(321)의 내면 위로 용이하게 세탁물을 떨어뜨릴 수 있다.When the
상측영역(321)의 내면 위로 떨어진 세탁물은, 중력 및 제2도어부재(320)의 경사에 의해 상측영역(321)의 내면 및 하측영역(322)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처리조(200) 내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여기서, 처리조(200)의 바닥은 전면패널(110)의 개구에 인접하는 A 영역과, A 영역보다 처리조(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B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laundry falling 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만일 제2도어부재(320)에서 하측영역(322)이 없었다면, 예를 들어 제2힌지부(330)가 제2도어부재(320)의 중앙영역이 아닌 하측 모서리에 결합된 구조라면, 세탁물은 제2도어부재(320)로부터 처리조(200)의 A 영역으로 떨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처리조(200)에서 수행되는 세탁물의 처리 기능이 세탁, 헹굼, 건조, 탈취, 살균 등 어느 기능이건, 처리조(200)에 장입되는 세탁물은 처리조(200)의 안쪽에 떨어지는 것이 좋다. 많은 양의 세탁물이 처리조(200) 내에 순차적으로 장입되어 쌓이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세탁물은 A 영역보다는 B 영역에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도어부재(320)는 하측영역(322)이 제2힌지부(330)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처리조(200)의 내측까지 세탁물을 안내한다. 하측영역(322)은 A 영역 위를 지나도록 연장됨으로써, 세탁물이 A 영역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제2도어부재(320)로부터 처리조(200) 내로 떨어지는 세탁물은, A 영역이 아닌, 보다 안쪽의 B 영역으로 떨어지게 된다.Accordingly, in the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부재(320)에서, 제2힌지부(330)를 지나는 회동 축선으로부터 상측영역(321) 상측 단부까지의 거리 d1와, 제2힌지부(330)를 지나는 회동 축선으로부터 하측영역(322) 하측 단부까지의 거리 d2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제2도어부재(320)가 원형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고, 제2힌지부(330)가 제2도어부재(320)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 축선 상에 놓이도록 배치될 경우에 이러한 구조가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사용상 다음과 같은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도어부재(320)를 개방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처리조(200) 내에 세탁물을 장입한다. 세탁물의 장입이 끝나면, 사용자는 손잡이(340)를 잡고 제2도어부재(320)를 폐쇄위치로 이동시켜, 처리조(200) 내의 세탁물이 처리되도록 처리조(200)를 외부와 격리시킨다.However, such a structure may cause one of the following problems in use. In the state where the
그런데, 전면패널(110)의 개구가 개방되었을 때에 처리조(200)에 장입되는 세탁물은 B 영역에 쌓이지만, 세탁물의 양이 많아지면 세탁물이 점차 B 영역으로부터 A 영역으로도 넘어오게 된다. 이 경우에, 제2도어부재(320)가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이동하면, A 영역에 쌓인 세탁물이 회동하는 하측영역(322)의 단부에 걸려서 제2도어부재(320)가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도어부재(320)를 닫을 때, 하측영역(322)과 제1도어부재(310) 사이에 세탁물이 끼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opening of the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A 영역에 세탁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적용하되, A 영역의 범위가 보다 줄어들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a structure that prevents laundry from falling in the A area is applied, bu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ange of the A area is further reduced is also possible. Hereinafter, these examples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도어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ructure of a door unit applied to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도어유닛(600)은 제1도어부재(610)와, 제2도어부재(620)와, 제2힌지부(630)를 포함한다. 제2도어부재(620)는 회동 축선을 형성하는 제2힌지부(630)를 중심으로, 상측영역(621) 및 하측영역(622)으로 구분된다. 도어유닛(600)의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본 실시예의 도어유닛(600)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도어부재(62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제2힌지부(630)를 지나는 회동 축선으로부터 상측영역(621)의 단부까지의 거리 d3과, 제2힌지부(630)를 지나는 회동 축선으로부터 하측영역(622)의 단부까지 거리 d4는 동일하지 않다. 앞선 실시예는 d1=d2인 것에 비해, 본 실시예는 d3>d4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거리 d4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거리 d2보다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제2도어부재(62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장입되는 세탁물이 떨어지는 처리조의 바닥의 위치는, 앞선 실시예의 경우보다 전면패널의 개구에 근접하게 된다. 그러나, 처리조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측영역(622)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제2도어부재(620)가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에, 하측영역(622)에 세탁물이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When the
이와 같이, 하측영역(622)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2도어부재(620)를 닫을 때에 하측영역(622)에 세탁물이 걸릴 확률이 높아지지만, 세탁물이 떨어지는 위치는 처리조의 보다 안쪽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하측영역(622)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세탁물이 떨어지는 위치는 처리조에서 개구에 근접하게 되지만, 제2도어부재(620)를 닫을 때에 하측영역(622)에 세탁물이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As described above, as the length of the
하측영역(622)의 길이는 개구의 크기, 제2도어부재(620)의 크기 등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특정한 수치에 의해 한정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사용 행태 등 여러 가지 추가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상측영역(621)의 길이 및 하측영역(622)의 길이의 비가 3:1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효용성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iveness in the case of using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puts laundry in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 세탁기(710) 및 건조기(720)가 함께 설치된 환경을 고려한다. 여기서, 건조기(720)는 앞선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해당한다. 본 환경은 앞선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는 다양한 상황 중 하나에 불과함을 밝힌다.As illustrated in FIG. 7, consider an environment in which the vertical
도면에서 좌측에 보이는 수직축 세탁기(710)는 상측에 세탁기도어(711)가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우측에 보이는 건조기(720)는 전면에 제1도어부재(723) 및 제2도어부재(724)를 포함하는 도어유닛(722)이 설치된다. 건조기(720)의 도어유닛(722)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rawing, the
수직축 세탁기(710)에서 세탁물에 대한 세탁공정이 끝나면, 사용자는 세탁기도어(711)를 열고 수직축 세탁기(710)에서 세탁물을 꺼낸다. 사용자는 수직축 세탁기(710) 옆에 있는 건조기(720)의 제2도어부재(724)을 당겨서 연다. 제2도어부재(724)가 틸트 회동하여 건조기(720)의 전방을 향해 젖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도어부재(724) 위에 세탁물을 떨어뜨리면, 세탁물은 제2도어부재(724)를 따라서 이동하여 처리조(721) 내로 장입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수직축 세탁기(710)로부터 꺼낸 세탁물을 건조기(720)의 처리조(721)에 넣기 위해, 허리를 구부릴 필요가 없다.When the washing process for the laundry is finished in the vertical
사용자가 제2도어부재(724)를 닫고 건조기(720)에 기 설정된 입력을 지시하면, 건조기(720)는 처리조(721)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user closes th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로부터 사용자가 세탁물을 꺼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takes out laundry from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건조기(720)에서의 건조 처리가 끝나면, 도어유닛(722)의 제1도어부재(723)를 당긴다. 제1도어부재(723)는 스위블 회동하면서 열리면, 처리조(721)의 전방이 개방된다. 사용자는 처리조(721) 내에서 건조가 끝난 세탁물을 꺼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user pulls the
이와 같이, 제1도어부재(723)는 스위블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에 비해, 제2도어부재(724)는 틸트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1도어부재(723) 및 제2도어부재(724)는 함께 개구 전체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것에 비해, 제2도어부재(724)는 개구에서 제1도어부재(723)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 제2도어부재(724)의 힌지는, 개방위치에 있는 제2도어부재(724)가 소정 각도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제2도어부재(724)의 회동을 제한하게 마련된 스토퍼를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사용자가 처리조(721)에 세탁물을 넣을 때에는 제2도어부재(724)가 개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건조기(720)는 사용자가 허리를 편 상태에서 세탁물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처리조(721)로부터 세탁물을 뺄 때에는 제1도어부재(723)가 개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건조기(720)는 사용자가 보다 넓은 개구를 통해 처리조(721)로부터 세탁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제공된다.When the user puts the laundry in the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유닛이 제1도어부재 및 제2도어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의류처리장치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유닛이 제1도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s, a case in which the door unit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door member and a second door member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unit does not include the first door member is also possible. Hereinafter, these examples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900)는 하우징(910)과, 하우징(910) 내에 수용되는 처리조(920)와, 처리조(920)에 연통되는 하우징(910)의 전면패널(911)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도어부재(930)와, 사용자입력부(940)와, 도어부재(9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950)를 포함한다.9, the
힌지부(950)는 전면패널(911)의 개구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의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된 좌측힌지(951) 및 우측힌지(952)를 포함한다. 도어부재(930)는 힌지부(950)가 이루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동 축선에 대한 전면패널(911)의 개구의 상측부분 및 하측부분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The
앞선 실시예에서의 힌지부는 제1도어부재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의 힌지부(950)는 전면패널(911)에 설치되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 이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재(930) 및 힌지부(950)의 구조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제2도어부재 및 제2힌지부의 구조와 유사하다. The hinge portion in the previous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first door member, whereas the
이상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블 회동 구조의 도어보다는 틸트 회동 구조의 도어가,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처리조에 세탁물을 넣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보다 편리하다. 이하, 틸트 회동 구조를 적용한 또 다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door of the tilt rotation structure is more convenient in that the user can put laundry in the treatment tank without bending the waist, rather than the door of the swivel rotation structure.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door of another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a tilt rotation structur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0)는, 의류처리장치(1000)의 외형 및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100)과, 하우징(1100) 내에 수용되는 처리조(1200)와, 하우징(1100)의 전면패널(1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패널(1110) 상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도어유닛(1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the
도어유닛(1300)은 전면패널(1110)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전면패널(1110)의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도어유닛(1300)은 폐쇄위치에 있을 때, 개구의 상측영역을 커버하게 배치되는 제1도어부재(1310)와, 개구의 하측영역을 커버하게 배치되는 제2도어부재(1320)를 포함한다.The
또한, 의류처리장치(1000)는, 전면패널(1110) 상에 Z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개구의 좌우 양측에 각기 배치되고,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가 각각 Z 방향을 따라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부(1400)를 가진다.In addition, the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각각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구현된다.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에서, Y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길이를 가로방향 길이, Z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길이를 세로방향 길이라고 지칭한다. 제1도어부재(1310)의 가로방향 길이 및 세로방향 길이는, 제2도어부재(1320)의 가로방향 길이 및 세로방향 길이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재질일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재질일 수도 있다.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처리조(1200)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제1도어부재(1310)의 상측 모서리 및 제2도어부재(1320)의 하측 모서리는, 각각 Z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가이드부(1400)에 지지된다. 서로 마주하는 제1도어부재(1310)의 하측 모서리 및 제2도어부재(1320)의 상측 모서리는, 힌지 구조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upper edge of the
가이드부(1400)는 전면패널(1110)의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개구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 각각의 상기한 위치를 향하는 측면의 일 지점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가이드부(1400)는 제1도어부재(1310) 또는 제2도어부재(1320)의 회동에 따라서, 제1도어부재(1310) 또는 제2도어부재(1320)의 승강이동을 안내한다.The
도어유닛(1300)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Z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제1도어부재(1310)의 내면 및 제2도어부재(1320)의 내면은 모두 -X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처리조(1200)의 내부와 마주한다.When the
반면에, 도어유닛(1300)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상호간의 회동에 의해 제1도어부재(1310)의 상측 모서리 및 제2도어부재(1320)의 하측 모서리가 서로 근접 이동하여,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Z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제1도어부재(1310)의 내면은 -Z 방향을 향하고 제2도어부재(1320)의 내면은 Z 방향을 향함으로써, 제1도어부재(1310)의 내면 및 제2도어부재(1320)의 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하, 도어유닛(1300)의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유닛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1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유닛(1300)은 제1도어부재(1310)와, 제2도어부재(1320)와,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조인트부재(133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400)는 전면패널(1110) 상에 Z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11, the
제1도어부재(1310)는, 제1도어부재(1310)의 상측 모서리에 결합되며 가이드부(140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1311)과, 제1지지부재(1311) 및 제1도어부재(1310)를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와, 제1도어부재(1310)의 상측 모서리를 따라서 연장되며 제1지지부재(1311) 및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를 커버하는 제1모서리커버(1313)를 포함한다.The
한편, 제2도어부재(1320)는 상기한 제1도어부재(1310)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2도어부재(1320)는, 제2도어부재(1320)의 하측 모서리에 결합되며 가이드부(140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재(1321)과, 제2지지부재(1321) 및 제2도어부재(1320)를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와, 제2도어부재(1320)의 하측 모서리를 따라서 연장되며 제2지지부재(1321) 및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를 커버하는 제2모서리커버(1323)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제1지지부재(1311) 및 가이드부(1400)의 구조는 상호 대응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1400)가 그루브(groove) 형상을 가진다면, 제1지지부재(1311)는 이 그루브에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되는 블록 형태를 가진다. 반면, 가이드부(1400)가 바(bar) 형상을 가진다면, 제1지지부재(1311)는 이 바를 둘러싸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2지지부재(1321) 및 가이드부(1400)의 구조 또한 이러한 경우에 따른다. 제1지지부재(1311), 제2지지부재(1321), 가이드부(1400)가 어떠한 구조를 가지더라도, 기본적으로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는 가이드부(1400)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Z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structures of the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는 제1지지부재(1311)에 대해 제1도어부재(1310)가, 또는 제1도어부재(1310)에 대해 제1지지부재(1311)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지지부재(1311)가 가이드부(14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는 제1도어부재(1310)가 본 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허용한다. 반대로, 제1지지부재(1311)가 가이드부(14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는 제1도어부재(1310)가 본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허용한다.The first support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는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와 대칭적인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는 제2지지부재(1321)에 대해 제2도어부재(1320)가, 또는 제2도어부재(1320)에 대해 제2지지부재(1321)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지지부재(1321)가 가이드부(14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는 제2도어부재(1320)가 본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허용한다. 반대로, 제2지지부재(1321)가 가이드부(14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는 제2도어부재(1320)가 본 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허용한다.The second supporting
조인트부재(1330)는 상호 인접하는 제1도어부재(1310)의 하측 모서리 및 제2도어부재(1320)의 상측 모서리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조인트부재(1330)는 전면패널(1110)의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조인트부재(1330)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도어유닛(1300)이 개방위치로 이동하며, 조인트부재(1330)가 사용자에 의해 밀림으로써 도어유닛(1300)이 폐쇄위치로 이동한다. 도어유닛(1300)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의 형태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제1도어부재(1310) 및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는, 별도의 링크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부재의 단부가, 제1도어부재(1310)의 상측 모서리, 또는 제1도어부재(1310)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제1도어부재(1310)의 내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도어부재(1320) 및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의 경우도 이에 준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또한, 제1모서리커버(1313)는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 또는 제1도어부재(13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모서리커버(1313)는 제1도어부재(1310)에 대해 제1모서리커버(1313)를 바이어스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힌지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도어부재(1310)의 회동에 대응하여 제1도어부재(1310)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모서리커버(1323)의 경우도 이에 준하여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어유닛(1300)은,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도어부재(1310)의 내면 상측에 결합된 제1링크부재(1314)와,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도어부재(1320)의 내면 하측에 결합된 제2링크부재(1324)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제1도어부재(1310)가 제1지지부재(1311)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와 제1도어부재(1310)를 결합시키고, 제2도어부재(1320)가 제2지지부재(1321)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와 제2도어부재(1320)를 결합시킨다.The
제1링크부재(1314)가 제1도어부재(1310)에 결합되는 위치 및 제2링크부재(1324)가 제2도어부재(1320)에 결합되는 위치는 특정한 위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도어부재(1310) 또는 제2도어부재(1320) 상의 어떠한 위치도 가능하다.The position where the
도 12는 도 11의 도어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폐쇄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12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a clos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of FIG. 11 is coupled;
도 13은 도 12의 도어유닛을 의류처리장치의 내측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of FIG. 12 i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유닛(1300)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1도어부재(1310)는 전면패널(1110)의 개구의 상측영역을 커버하며, 제2도어부재(1320)는 개구의 하측영역을 커버한다.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Z 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된다.12 and 13, when the
제1지지부재(1311)는 가이드부(1400)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며, 제2지지부재(1321)는 가이드부(1400)의 하측 단부에 위치한다. 즉,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 사이의 거리는, 도어유닛(1300)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제일 멀다.The
본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인트부재(1330)를 잡고 X 방향으로 당기면, 도어유닛(1300)은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개방위치에 있는 도어유닛(1300)은 사용자가 어떠한 방향으로 당겼는가에 따라서 그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인트부재(1330)에는 기본적으로 X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이 힘이 차후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얼마나 편중되는지에 따라서 도어유닛(1300)의 높이가 달라진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grasps the
도 14는 도 12의 도어유닛을 사용자가 상하로 편향되지 않도록 수평하게 당겼을 때에 도어유닛이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14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moves to an open pos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unit of FIG. 12 horizontally so as not to deflect up and dow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X 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이 조인트부재(1330)에 작용하면, 개방위치의 도어유닛(1300)은 실질적으로 가이드부(1400)의 중앙의 높이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 14, when an external force pulling in the X direction so as not to be substantially deflected in the Z direction or the -Z direction acts on the
폐쇄위치 동안 Z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었던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조인트부재(1330)가 당겨짐에 따라서, X 방향에 평행한 위치를 향해 조인트부재(1330)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즉, 조인트부재(1330)가 당겨짐에 따라서, 제1도어부재(1310)의 전면 및 제2도어부재(1320)의 전면이 서로 마주보며 상호간에 점차 접근하도록 회동한다.The
제1도어부재(1310)의 회동에 의해, 제1지지부재(1311)에 하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한다. 제1도어부재(1310)가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제1지지부재(1311)는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하향 이동한다.Due to the rotation of the
이와 유사한 원리에 따라서, 제2도어부재(1320)의 회동에 의해, 제2지지부재(1321)에 상측으로 끌어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제2도어부재(1320)가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제2지지부재(1321)는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상향 이동한다.According to a similar principle, by the rotation of the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가 가이드부(1400)의 중앙영역까지 이동하면,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X 방향 축선에 평행한 위치, 또는 X 방향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진 위치가 된다.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의 회동에 의해, 전면패널(1110)의 개구의 상측영역 및 하측영역이 각각 개방된다.When the
이로써, 전면패널(1110)의 개구는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Thus, the opening of the
도 15는 도 14의 도어유닛을 사용자가 하측 방향으로 끌어내렸을 때의 도어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1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of the door unit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unit of FIG. 14 downward.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위치에 있는 도어유닛(1300)이 가이드부(1400)의 중앙영역의 높이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Z 방향으로 도어유닛(1300)에 작용하면, 도어유닛(1300)은 가이드부(1400)의 하측 단부를 향해 하강한다. 이 경우에,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회동하지 않으며,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가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한다.15, when the
가이드부(1400) 하측까지 내려간 상태에 있는 개방위치의 도어유닛(1300)은, 전면패널(1110)의 개구의 상측영역을 최대한으로 개방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큰 부피의 세탁물을 처리조에 장입시키기 위해 개구를 크게 개방시킬 수 있다.The
이와 반대로, 도어유닛(1300)을 가이드부(1400) 상측까지 올릴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Z 방향으로 도어유닛(1300)에 작용하면, 도어유닛(1300)은 가이드부(1400)의 상측 단부를 향해 상승한다. 이 경우에도,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는 회동하지 않으며,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가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한다.Conversely, the
도 16은 도 11의 도어유닛을 사용자가 상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당겼을 때에 도어유닛이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16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moves to the open pos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unit of FIG. 11 in an upward direc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부재(1330)에 X 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면,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가 조인트부재(1330)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본 회동 구조에 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s shown in FIG. 16, when an external force pulling in the X direction acts on the
사용자가 조인트부재(1330)를 X 방향으로 소정 거리 당기면서 Z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제1도어부재(1310) 및 제2도어부재(1320)가 회동하면서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가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이동한다.When the user pulls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인트부재(1330)에 어떻게 외력이 작용하는가에 따라서, 개방위치의 도어유닛(1300)은 다양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유닛(1300)이 다양한 높이에 위치함에 따라서, 전면패널(1110)의 개구 중에서 다양한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how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이하,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가 가이드부(1400) 상에서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구조는, 앞선 실시예의 구조에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pporting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각 지지부재의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구조에 대해, 의류처리장치의 내측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seen from the inside of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with respect to a structure applied to prevent a sudden drop of each support member in the 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유닛(1300)은 상측의 제1도어부재(1310) 및 하측의 제2도어부재(1320)를 포함한다. 도면 상에서 볼 때, 제1도어부재(1310)는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제1지지부재(1311)를 가지며, 제2도어부재(1320)는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제2지지부재(1321)를 가진다. 좌측의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는 좌측의 가이드부(1400)에 지지되며, 우측의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는 우측의 가이드부(1400)에 지지된다.As illustrated in FIG. 17, the
제1지지부재(1311)의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는 구조는, 좌측의 경우 및 우측의 경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따른다. 제2지지부재(1321)의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는 구조 또한, 좌측의 경우 및 우측의 경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따른다. 이하 설명하는 구조는, 어느 한 가지 예시일 뿐이므로,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e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udden fall of the first supporting
이하, 제1지지부재(1311)의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sudden fall of the
제1지지부재(1311)에 대한 본 구조는, 가이드부(14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지지탄성부재(1511)와, 가이드부(14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지지롤러유닛(1512)과, 제1지지탄성부재(1511) 및 제1지지부재(1311)에 각기 결합되며 제1지지롤러유닛(1512)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와이어(1513)를 포함한다. 즉, 제1지지와이어(1513)의 일단은 제1지지탄성부재(15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지지부재(13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영역이 제1지지롤러유닛(1512)이 제1지지롤러유닛(1512)이 걸쳐진다. 제1지지와이어(1513)는, 제1지지부재(1311)의 승강이동에 따라서 제1지지탄성부재(1511)가 신축되도록 한다.This structure for the
제1지지탄성부재(1511), 제1지지와이어(1513) 등의 구성은 가이드부(1400)의 외측에 가이드부(14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가이드부(1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14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지지부재(1311)에 제1지지탄성부재(1511), 제1지지와이어(1513) 등이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2지지탄성부재(1521), 제2지지와이어(1523)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Configurations of the first support
제1지지부재(1311)가 가이드부(1400)의 상단부에 있을 때, 제1지지탄성부재(1511)는 수축된 상태이다. 제1지지부재(1311)가 하강하면, 제1지지와이어(1513)에 의해 제1지지탄성부재(1511)는 위쪽으로 당겨지며 팽창한다. 즉, 제1지지부재(1311)의 하강에 따라서 제1지지탄성부재(1511)에 가해지는 장력이 증가하므로, 제1지지탄성부재(1511)의 반발력에 의해 제1지지부재(1311)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이하, 제2지지부재(1321)의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sudden fall of the
제2지지부재(1321)에 대한 본 구조는, 가이드부(14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탄성부재(1521)와, 가이드부(14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지지롤러유닛(1522)과, 제2지지탄성부재(1521) 및 제2지지부재(1321)에 각기 결합되며 제2지지롤러유닛(1522)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와이어(1523)를 포함한다.This structure for the
급격한 낙하방지 구조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1311)의 경우 및 제2지지부재(1321)의 경우는 유사하게 보인다. 그러나, 도어유닛(1300)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1지지부재(1311)는 가이드부(140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반면에 제2지지부재(1321)는 가이드부(1400)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제1지지탄성부재(1511) 및 제2지지탄성부재(1521)의 역할은 서로 상이하다.In the sudden drop prevention structure, the
제2지지부재(1321)가 가이드부(1400)의 하단부에 있을 때, 제2지지탄성부재(1521)는 팽창된 상태이다. 그런데, 제2지지부재(1321)에 중력이 작용하며 이 중력이 제2지지탄성부재(1521)의 반발력을 극복하므로, 제2지지부재(1321)는 가이드부(1400)의 하단부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외력에 따라서 제2지지부재(1321)가 상승하면, 제2지지탄성부재(1521)에 작용하는 장력이 줄어드므로 제2지지탄성부재(1521)는 수축하게 된다. 만일 제2지지부재(1321)가 소정 높이에 있을 때 외력이 사라지면, 제2지지부재(1321)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제2지지부재(1321)의 하강에 따라서 제2지지탄성부재(1521)의 반발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2지지부재(1321)는 급격히 하강하지 않고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서,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dden drop of the
이하,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가 각기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구조는, 앞선 실시예의 구조에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allowing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재가 이동이 불가한 단속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1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intermittent state in which movement is impossible.
도 19는 도 18의 제1지지부재 및 가이드부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19 is a plan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guide portion of FIG. 18 as viewed from above.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1311)는 중앙에 가이드부(140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구조이며, 제1지지부재(1311)가 가이드부(1400)를 둘러싼 상태에서 승강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1지지부재(1311)가 가이드부(1400) 내에 수용되는 구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18 and 19, the
제1지지부재(1311)에 적용되는 높이유지 구조는, 제1도어부재의 양측에 있는 제1지지부재(1311) 뿐만 아니라, 제2지지부재(1321)의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제1지지부재(1311)에 관련된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The height maintaining structure applied to the
본 높이유지 구조는, 제1지지부재(1311)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1상태 및 제1지지부재(1311)의 이동을 차단하게 하는 제2상태 사이를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와,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를 제2상태가 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1단속탄성부재(1631)와,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가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단속적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단속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속부재는 후술할 제1외력전달부재(1641) 및 제1단속손잡이(1651, 도 23 참조)를 포함한다.The height-hold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supporting member engaging portion provided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a first state enabling the first supporting
보다 구체적으로 본 구조는, 이동 가능하게 제1지지부재(1311)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와,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에 대응하게 가이드부(1400)에 마련된 가이드부걸림부(1620)와, 제1지지부재(1311)에 마련되며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가 가이드부걸림부(1620)에 접촉하도록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를 탄성가압하는 제1단속탄성부재(1631)와, 제1단속탄성부재(1631)의 탄성력을 극복하기 위한 외력을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에 전달하여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가 가이드부걸림부(16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제1지지부재(1311)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외력전달부재(1641)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 및 가이드부걸림부(1620)는 각각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적어도 상호 접촉 시에 Z 방향에 평행한 승강이동이 차단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 및 가이드부걸림부(1620)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의 형상을 가진다.Each of the first support
본 구조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은 제1단속탄성부재(1631)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단속탄성부재(1631)의 탄성력에 의해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가 가이드부걸림부(1620)를 향해 Y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 및 가이드부걸림부(1620)는 제1단속탄성부재(1631)에 의해 상호 대응하는 요철구조가 상호 접촉함으로써, 제1지지부재(1311)가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승강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재(1311)가 단속상태에 있으면, 앞선 실시예에서처럼 사용자가 조인트부재를 잡고 당기거나 밀더라도 제1지지부재(1311)가 승강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In this structure, the external force by the user acts in a direction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intermittent elastic member 1163.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first support
제1지지부재(1311)가 승강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제1외력전달부재(1641)를 통해 외력이 전달되어야 한다. 제1외력전달부재(1641)는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재 또는 와이어를 포함한다.In order for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재가 이동이 가능한 허용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allowable state in which movement is possible.
도 21은 도 20의 제1지지부재 및 가이드부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21 is a plan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guide portion of FIG. 20 as viewed from above.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력전달부재(1641)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에 접속된 제1외력전달부재(1641)는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를 가이드부걸림부(16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외력전달부재(1641)는 외력에 의해 제1단속탄성부재(1631)의 Y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극복한다.20 and 2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 및 가이드부걸림부(1620)가 상호 이격되므로, 양자간의 접촉에 따른 단속이 해제된다. 이 때에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조인트부재를 잡고 당기거나 밀면, 제1지지부재(1311)는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승강이동을 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supporting
제1지지부재(1311)가 승강이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 및 가이드부걸림부(1620)가 상호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1단속탄성부재(1631)의 탄성력을 극복하기 위한 외력이 제1외력전달부재(1641)에 계속 인가되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제1외력전달부재(1641)에 대해 외력이 인가되지 않게 되면, 그 시점에서 제1단속탄성부재(1631)는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 및 가이드부걸림부(1620)를 상호 접촉시키고, 제1지지부재(1311)는 해당 시점에서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단속된다.When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제1외력전달부재(1641)에 전달되는 외력은 사용자에 의한 것이거나 또는 별도의 모터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제1외력전달부재(1641)에 사용자에 의한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external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외력전달부재가 배치되는 구조에 대해, 의류처리장치의 내측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disposed in the 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유닛(1300)은 제1도어부재(1310)와, 제1지지부재(1311)와, 제1지지부재힌지부(1312)와, 제2도어부재(1320)와, 제2지지부재(1321)와, 제2지지부재힌지부(1322)와, 조인트부재(1330)와, 가이드부(1400)를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요소들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22, the
좌우측 제1지지부재(1311)의 지지부재걸림부에 각기 접속된 제1외력전달부재(1641)는, 제1도어부재(1310)의 내면을 따라서 조인트부재(1330)까지 연장된다. 한편, 좌우측 제2지지부재(1321)의 지지부재걸림부에 각기 접속된 제2외력전달부재(1642)는, 제2도어부재(1320) 의 내면을 따라서 조인트부재(1330)까지 연장된다. 제1외력전달부재(1641) 및 제2외력전달부재(1642)가 와이어로 마련되는 경우에, 이들 구성을 제1도어부재(1310) 또는 제2도어부재(1320)에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력에 의해 제1외력전달부재(1641) 및 제2외력전달부재(1642)를 팽팽하게 당길 수 있도록, 제1외력전달부재(1641) 및 제2외력전달부재(164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제1도어부재(1310) 또는 제2도어부재(1320)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external
조인트부재(1330)는 사용자가 도어유닛(1300)을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해 사용자의 외력이 사용된다면, 상기한 외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조는 조인트부재(133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The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지부재의 단속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23 is a side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predetermined first form including an intermittent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by a user in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지부재의 단속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24 is a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predetermined second form including an intermittent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by a user in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지부재의 단속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3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25 is a side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predetermined third form including an intermittent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by a user in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승강이동이 가능한 제1지지부재(1311)에 대해,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 제1단속탄성부재(1631), 제1외력전달부재(1641) 및 가이드부걸림부(1620)가 마련된다. 이상의 구성들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23, 24 and 25, for the
또한,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승강이동이 가능한 제2지지부재(1321)에 대해, 제2지지부재걸림부(1612), 제2단속탄성부재(1632), 제2외력전달부재(1642) 및 가이드부걸림부(1620)가 마련된다. 이상의 구성들에 관해서는 제1지지부재(1311)의 경우에 준하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1300)은, 사용자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조인트부재(1330)의 전면 상에 설치되는 제1단속손잡이(1651) 및 제2단속손잡이(1652)를 포함한다.The
제1단속손잡이(1651)는 조인트부재(1330) 및 제1도어부재(1310)를 따라서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에 접속된 제1외력전달부재(1641)에 접속된다. 제1단속손잡이(1651)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기준위치와, 외력이 작용하여 기준위치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는 회동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단속손잡이(1651)는 기준위치를 향해 제1단속손잡이(1651)를 바이어스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제1단속손잡이(1651)가 기준위치로 원상복귀하도록 마련된다.The first intermittent handle 1661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제1단속손잡이(1651)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외력전달부재(1641)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1단속탄성부재(1631)의 탄성력에 의해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가 가이드부걸림부(1620)에 걸리는 위치에 있다. 이 경우에, 제1지지부재(1311)는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승강이동할 수 없다.When the first intermittent handle 1661 is in the reference position,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1단속손잡이(1651)가 회동위치로 회동하면, 제1외력전달부재(1641)가 제1단속손잡이(1651)에 의해 당겨지며, 제1지지부재걸림부(1611)가 제1단속탄성부재(163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가이드부걸림부(1620)로부터 이격된다. 이 경우에, 제1지지부재(1311)는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승강이동할 수 있다.When the first intermittent handle 1661 rotates to the rotational position by the user's external force, the first external
한편, 제2단속손잡이(1652)는 조인트부재(1330) 및 제2도어부재(1320)를 따라서 제2지지부재걸림부(1612)에 접속된 제2외력전달부재(1642)에 접속된다. 제2단속손잡이(165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기준위치와, 외력이 작용하여 기준위치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는 회동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단속손잡이(1652)는 기준위치를 향해 제2단속손잡이(1652)를 바이어스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제2단속손잡이(1652)가 기준위치로 원상복귀하도록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제2단속손잡이(1652)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외력전달부재(1642)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2단속탄성부재(1632)의 탄성력에 의해 제2지지부재걸림부(1612)가 가이드부걸림부(1620)에 걸리는 위치에 있다. 이 경우에, 제2지지부재(1321)는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승강이동할 수 없다.When the second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2단속손잡이(1652)가 회동위치로 회동하면, 제2외력전달부재(1642)가 제2단속손잡이(1652)에 의해 당겨지며, 제2지지부재걸림부(1612)가 제2단속탄성부재(163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가이드부걸림부(1620)로부터 이격된다. 이 경우에, 제2지지부재(1321)는 가이드부(1400)를 따라서 승강이동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이와 같이, 제1지지부재(1311)에 대한 제1단속손잡이(1651) 및 제2지지부재(1321)에 대한 제2단속손잡이(1652)가 별개의 구조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1지지부재(1311) 및 제2지지부재(1321) 모두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거나, 제1지지부재(1311) 또는 제2지지부재(1321)에 대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intermittent handle 1661 for the
사용자는 제1단속손잡이(1651) 또는 제2단속손잡이(1652)를 회동위치로 회동시킨 동안에, 제1도어부재(1310) 또는 제2도어부재(1320)를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제1도어부재(1310) 또는 제2도어부재(1320)가 소정의 높이에 있을 때에 사용자가 제1단속손잡이(1651) 또는 제2단속손잡이(1652)로부터 외력을 해제하면, 제1도어부재(1310) 또는 제2도어부재(1320)는 해당 높이를 유지한다.The user may move the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도어부재의 Z 방향 길이 및 제2도어부재의 Z 방향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도어유닛이 전면패널의 개구를 최대한으로 개방할 때에는, 제1도어부재 및 제2도어부재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length in the Z direction of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length in the Z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member are substantially the same has been described. In this case, when the door unit opens the opening of the front panel as much as possible,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are substantially horizontal.
그러나,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서 있는 상태에서 처리조 내로 세탁물을 장입하고자 할 경우에, 제1도어부재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는 것은 불편할 수 있으며, 제1도어부재가 수평 축선에 대해 소정 각도, 예를 들면 45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어부재가 경사지게 되면, 제1도어부재 상에 떨어진 세탁물은 경사도 때문에 자연스럽게 처리조로 떨어지므로, 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However, when the user intends to load laundry into the treatment tank while standing without bending the waist, it may be inconvenient for the first door member to be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the first door member is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incline to achieve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When the first door member is inclined, laundry falling on the first door member naturally falls into the treatment tank due to the inclination, so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Hereinafter, these examples will be described.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유닛이 서로 길이가 상이한 제1도어부재 및 제2도어부재를 가지고, 폐쇄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2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door member and a second door member having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and is in a closed position.
도 27은 도 26의 도어유닛이 폐쇄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27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of FIG. 26 is in a closed position.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유닛(2000)은 개구의 상측을 커버하게 마련된 제1도어부재(2100)와, 개구의 하측을 커버하게 마련된 제2도어부재(2200)와, 제1도어부재(2100) 및 제2도어부재(220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조인트부재(2300)와, 제1도어부재(2100) 및 제2도어부재(2200)를 각각 승강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2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와 기본적인 회동 및 이동 구조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26 and 27, the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도어부재(2100)의 Z 방향 길이 d5 및 제2도어부재(2200)의 Z 방향 길이 d6이 상이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d5는 제1도어부재(2100)의 하측 모서리 및 상측 모서리 사이의 길이로 나타낼 수 있으며, d6은 제2도어부재(2200)의 상측 모서리 및 하측 모서리 사이의 길이로 나타낼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previous embodiment is that the length d5 in the Z direc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d5<d6, 즉 제1도어부재(2100)의 Z 방향 길이가 제2도어부재(2200)의 Z 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마련된다. 이 경우에 다음과 같은 효용성이 있다.In this embodiment, d5 <d6, that is, the length in the Z direction of the
도 26과 같이 도어유닛(2000)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조인트부재(2300)의 높이가 앞선 실시예의 경우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높이가 사람의 키보다 낮으므로, 조인트부재(230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사용자의 손이 조인트부재(2300)에 용이하게 닿을 수 있다.26, when the
또한, 도 27과 같이 도어유닛(2000)이 완전한 개방위치에 있을 때, d5<d6이므로 도어유닛(2000) 중에서 세탁물이 떨어지는 제1도어부재(2100)는 수평 축선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1도어부재(2100) 위로 세탁물을 놓으면 자연스럽게 처리조 내로 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세탁물을 처리조 안으로 넣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1 : 의류처리장치
100 : 하우징
110 : 전면패널
200 : 처리조
300 : 도어유닛
310 : 제1도어부재
320 : 제2도어부재
330 : 제2힌지부
331 : 좌측힌지
332 : 우측힌지
340 : 손잡이1: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housing
110: front panel
200: treatment tank
300: door unit
310: first door member
320: second door member
330: second hinge portion
331: left hinge
332: Right hinge
340: handle
Claims (14)
전면에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통해 장입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개구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힌지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힌지가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부재가 회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상기 개구의 상측영역 및 하측영역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In the garment processing device,
A housing provided with an opening in the front,
A treatment tank which is charged through the opening and processes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housing;
Includes door members that are locat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opening and are supported on both sides by a pair of hinge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opening facing each other. Clothing device including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while rotating.
상기 한 쌍의 힌지는, 상기 도어부재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도어부재의 상측 단부가 상기 개구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젖혀지도록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hinges,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for rotating the door member between the closed position to close the opening and the open position to open the opening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door member is tilted forward in front of the opening .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도어부재의 하측 단부가 상기 처리조의 내부로 들어오도록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door member, when in the open positio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that extends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oor member enters the interior of the treatment tank.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수평하도록 마련된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with a garment processing device horizontal to the housing.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부재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위치 및 상기 도어부재의 회동을 차단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further includes a handle movably installed on the door member,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to be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llowing rotation of the door member and a second position blocking rotation of the door member.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도어부재의 상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도어부재의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마련된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upper end of the door member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lower end of the door member.
전면에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통해 장입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개구의 상측영역을 커버하게 배치되는 제1도어부재와,
상기 개구의 하측영역을 커버하게 배치되는 제2도어부재와,
상기 제1도어부재 및 상기 제2도어부재 각각의 상호 마주하는 모서리를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조인트부재와,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개구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1도어부재 및 상기 제2도어부재 각각의 상기 위치를 향하는 측면의 일 지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조인트부재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도어부재 또는 상기 제2도어부재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제1도어부재 또는 상기 제2도어부재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도어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In the garment processing device,
A housing provided with an opening in the front,
A treatment tank which is charged through the opening and processes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housing;
A first door member disposed to cover an upper region of the opening,
A second door member disposed to cover the lower region of the opening;
And a joint member for coupling the mutually opposite edges of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The opening extend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ening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opening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provided to support a point of a side surface facing the position of each of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and the joint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oor unit including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first door member or the second door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oor member or the second door member centered on the member .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도어부재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지지부재힌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2도어부재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지지부재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7,
The door unit,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movably supported along the guide part,
A first support member hinge part for coupling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door member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member hinge portion to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롤러유닛과,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에,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가 상기 지지롤러유닛에 걸쳐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승강이동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가 신축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door unit,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provided in the guide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 units installed above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in the guide part;
One end is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respectively, and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span the support roller unit,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first 2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wires to allow the elastic member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 또는 상기 지지와이어가 관통하도록 마련된 홀을 각기 가지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or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wire.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1상태 및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게 하는 제2상태 사이를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된 지지부재걸림부와,
상기 지지부재걸림부를 상기 제2상태가 되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걸림부가 상기 제2상태로부터 상기 제1상태로 단속적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단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door unit,
A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provided to switch between the first state enabling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move and the second state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Wow,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to become the second state,
And an intermittent member for intermittently switching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지지부재걸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요철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에 마련된 가이드부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지지부재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한 상태인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1,
The door unit has a shape of a concavo-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and includes a guide portion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the guide portion,
In the second state,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조인트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단속손잡이와,
상기 단속손잡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재걸림부가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단속손잡이 및 상기 지지부재걸림부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1,
The intermittent member,
An intermittent handle movably installed on the joint member,
And a wire connecting the intermittent handle and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to switch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intermittent handle.
상기 제1도어부재 및 상기 제2도어부재는, 상기 조인트부재로부터 상기 제1도어부재의 상측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상기 조인트부재로부터 상가 제2도어부재의 하측 모서리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된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7,
In the first door member and the second door member, the distance from the joint member to the upper edge of the first door member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joint member to the lower edge of the second door member.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2429A KR102561876B1 (en) | 2018-10-15 | 2018-10-15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2429A KR102561876B1 (en) | 2018-10-15 | 2018-10-15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2180A true KR20200042180A (en) | 2020-04-23 |
KR102561876B1 KR102561876B1 (en) | 2023-08-02 |
Family
ID=7047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2429A KR102561876B1 (en) | 2018-10-15 | 2018-10-15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187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96909A1 (en) * | 2021-06-15 | 2022-12-15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appliance with sliding door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0274U (en) * | 1997-08-28 | 1999-03-15 | 전주범 | Double opening of the washing machine door |
KR20020085438A (en) * | 2001-05-08 | 2002-11-16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A door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
KR20030016467A (en) * | 2001-08-20 | 2003-03-03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Door of drum washer |
KR20060035417A (en) * | 2004-10-22 | 2006-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um washer having door which automatically opens/closes upward and downward |
KR20090005486A (en) * | 2007-07-09 | 2009-0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Doo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
-
2018
- 2018-10-15 KR KR1020180122429A patent/KR10256187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0274U (en) * | 1997-08-28 | 1999-03-15 | 전주범 | Double opening of the washing machine door |
KR20020085438A (en) * | 2001-05-08 | 2002-11-16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A door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
KR20030016467A (en) * | 2001-08-20 | 2003-03-03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Door of drum washer |
KR20060035417A (en) * | 2004-10-22 | 2006-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um washer having door which automatically opens/closes upward and downward |
KR20090005486A (en) * | 2007-07-09 | 2009-0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Doo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96909A1 (en) * | 2021-06-15 | 2022-12-15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appliance with sliding door system |
US12084803B2 (en) * | 2021-06-15 | 2024-09-10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appliance with sliding door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1876B1 (en) | 2023-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50341B1 (en) | Drum washing machine with upwardly-openable door | |
US10273624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holding portion and detergent introduction portion | |
EP2757186B1 (en) |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20160076187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EP1508293A1 (en) | Dishwasher with device for changing the height of a rack | |
KR102244839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
US7424893B2 (en) | Dishwasher | |
EP2657393A2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 |
KR20090057791A (en) | Laundry machine | |
EP2998428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160273149A1 (en) | Washing machine | |
US20150182104A1 (en) |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 |
KR20200042180A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US3698781A (en) | Cabinet door mounting | |
JP6373569B2 (en) |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 |
EP2808434B1 (en) |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 |
CN106758029B (en) | Clothes treatment device capable of opening door in two directions | |
EP1710342B1 (en) | Household appliances for washing and/or drying clothes | |
KR20210069461A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60036539A (en) | Drum washer having downwardly opening door | |
KR102257624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130133135A (en) | A cover for a top-loader type clothes washer and/or clothes dryer | |
KR101053609B1 (en) | dish washer | |
US11802362B2 (en) | Laundry appliance with improved drawer | |
EP3037583A1 (en) | Household appliance for washing and/or drying i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