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156A -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156A
KR20200042156A KR1020180122367A KR20180122367A KR20200042156A KR 20200042156 A KR20200042156 A KR 20200042156A KR 1020180122367 A KR1020180122367 A KR 1020180122367A KR 20180122367 A KR20180122367 A KR 20180122367A KR 20200042156 A KR20200042156 A KR 2020004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ignal
specified
phas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209B1 (ko
Inventor
이성민
박용현
박정균
나효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209B1/ko
Priority to US17/285,902 priority patent/US11843400B2/en
Priority to PCT/KR2019/013491 priority patent/WO2020080787A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2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ransmit antennas, e.g. of the amplitude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3Reflected power, e.g. return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한 제 1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셀룰러 신호를 송신 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신호가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djusting)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AN ANTENNA USING AUTO PHASE CONTROL OF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통신 모듈의 APC(auto phase control)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다양한 전자 장치들은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흡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파를 흡수하는 정도는 인체에 흡수되는 정도는 인체의 질량대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전력의 비율인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로 정의될 수 있다.
신호의 출력을 위해 안테나에 높은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인체의 전자파 흡수율이 증가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파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그립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근접 센서 또는 그립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키고 있다.
근접 센서 또는 그립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안테나의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기술이 적용된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는 그립 센서는 그립 센서에 포함된 캐패시터의 외부 객체의 근접에 따라서 변화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에 따라서 사용자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고 있다.
그립 센서는 사용자의 파지 뿐만 아니라 다른 소재(예를 들면, 플라스틱, 고무 또는 금속)로 구현된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에도 캐패시턴스가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소재가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에도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전자 장치의 통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한 제 1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셀룰러 신호를 송신 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신호가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djusting)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자동 위상 제어 회로가 수신한 제 2 신호의 위상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상기 셀룰러 신호를 송신 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신호가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근접 센서 또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방사된 지정된 신호 및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이용하여 근접한 외부 객체가 사용자의 신체인지 또는 다른 소재로 구현된 외부 객체인지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에 근접한 외부 객체가 사용자의 신체인 경우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고,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객체가 다른 소재로 구현된 경우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조정하지 않음으로써, 통신 성능의 불필요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무선 통신 모듈, 전력 관리 모듈 및 안테나 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 외부 객체에 의한 그립 센서 모듈에 포함된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포함된 자동 위상 제어(auto phase control)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모듈(192), 전력 관리 모듈(188), 및 안테나 모듈(197)에 대한 블럭도(200)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MST 통신 모듈(210) 또는 NFC 통신 모듈(230)을 포함하고, 전력 관리 모듈(188)은 무선 충전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297)은 MST 통신 모듈(210)과 연결된 MST 안테나(297-1), NFC 통신 모듈(230)과 연결된 NFC 안테나(297-3), 및 무선 충전 모듈(250)과 연결된 무선 충전 안테나(297-5)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는 생략 또는 간략히 기재된다.
MST 통신 모듈(21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카드 정보와 같은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MST 안테나(297-1)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자기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자기 신호를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POS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자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10)은 MST 안테나(297-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고(미도시), 이 스위칭 모듈을 제어하여 MST 안테나(297-1)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의 변경은 MST 안테나(297-1)를 통해 송출되는 자기 신호(예: 자기장)의 방향이 그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방향이 변경되는 상태의 자기 신호는, 외부의 전자 장치(102)에서 감지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예: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카드가 상기 전자 장치(102)의 카드 리더기에 읽히면서(swiped) 발생하는 자기장과 유사한 효과(예: 파형)를 야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2) 에서 상기 자기 신호의 형태로 수신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네트 워크(199)를 통해 외부의 서버(108)(예: 결제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3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카드 정보와 같은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신호를 NFC 안테나(297-3)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FC 통신 모듈(230)은, NFC 안테나(297-3)을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2)로부터 송출된 그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50)은 무선 충전 안테나(297-5)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휴대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50)은, 예를 들면,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안테나(297-1), NFC 안테나(2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297-5) 중 일부 안테나들은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ST 안테나(297-1)의 방사부는 NFC 안테나(2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297-5)의 방사부로 사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297)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MST 통신 모듈(210) 또는 NFC 통신 모듈(230)) 또는 전력 관리 모듈(188)(예: 무선 충전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들(297-1, 297-3, 또는 297-3)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예: close) 또는 분리(예: open)하도록 설정된 스위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무선 충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NFC 통신 모듈(230) 또는 무선 충전 모듈(250)은 상기 스위칭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NFC 안테나(297-3) 및 무선 충전 안테나(297-5)에 의해 공유된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일시적으로 NFC 안테나(297-3)와 분리하고 무선 충전 안테나(297-5)와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10), NFC 통신 모듈(230), 또는 무선 충전 모듈(25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외부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10) 또는 NFC 통신 모듈(230)의 지정된 기능(예: 결제 기능)들은 신뢰된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뢰된 실행 환경(TEE)은,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기능(예: 금융 거래, 또는 개인 정보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기 위해 메모리(130)의 적어도 일부 지정된 영역이 할당되는 실행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접근은, 예를 들면, 거기에 접근하는 주체 또는 상기 신뢰된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하여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센서 모듈(310), 통신 모듈(320), 제 1 안테나(330),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 제 2 안테나(350) 및 프로세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10)은 전자 장치(300)에 대한 외부 객체(미도시)의 근접 또는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300) 상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외부 객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310)은 센서 모듈(310)에 포함된 캐패시터(capacitor)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외부 객체의 근접 또는 접촉에 따라 변화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의 전자 장치(300)에 대한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센서 모듈(310)은 다양한 방식의 신호(예: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가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반사된 신호의 특성(예: 반사된 신호의 수신 시간 또는 반사된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의 전자 장치(300)에 대한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320)은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셀룰러 통신(예: 3G, 4G 또는 5G)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Wi-Fi, bluetooth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320)은 제 1 안테나(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통신 모듈(320)은 제 1 안테나(330)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통신 모듈(320)에 연결된 안테나가 1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통신 모듈(320)은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방식에 따라서 복수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기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단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방식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NFC 태그와 전자 장치(300)가 지정된 거리 이내에 근접 또는 접촉한 상황에서 구현될 수 있다. NFC 통신 방식은 NFC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자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NFC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NFC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제 2 안테나(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제 2 안테나(350)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신 모듈(320)을 제어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근거리 무선 통신(340)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셀룰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 1 안테나(330)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셀룰러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지정된 전력은 셀룰러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전자 장치(300)의 환경에 기반하여 지정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정된 전력은 전자 장치(300)의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330)를 통해 출력되는 셀룰러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의 인체에 흡수될 수 있다. 셀룰러 신호가 인체에 흡수되는 정도는 인체의 질량대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전력의 비율인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로 정의될 수 있다. 전자파 흡수율이 높을수록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가 증가하여,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센서 모듈(310)이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얼굴, 손을 포함하는 인체의 일부)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셀룰러 신호의 출력을 위해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예: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10)이 외부 객체의 근접 또는 접촉에 따라 변화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의 전자 장치(300)에 대한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 센서 모듈(310)은 외부 객체의 종류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310)은 외부 객체가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인지 또는 금속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가 아닌 금속이 전자 장치(300)에 근접하는 경우에도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300)에 근접하는 경우, 지정된 전력을 조절하지 않아도 됨에도 불구하고, 전자 장치(300)(예: 프로세서(360))는 셀룰러 신호의 출력을 위해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현상은 전자 장치(300)의 셀룰러 통신에 대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체가 아닌 다른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300)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경우, 셀룰러 신호의 출력을 위해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하지 않고,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인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300)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경우, 셀룰러 신호의 출력을 위해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300)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센서 모듈(310)을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거나, 접촉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센서 모듈(310)이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거나 접촉함을 감지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안테나(350)를 통해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을 제어할 수 있다. 지정된 신호는 외부 객체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에 의해 생성된 신호이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에 의해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지정된 신호의 일부가 외부 객체에 의해 위상이 변화된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제 2 안테나(350)를 통해 출력되는 지정된 신호의 일부가 외부 객체에 의해 위상이 변화된 제 2 신호를 별도의 피드백 경로(예: 도 5의 5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제 2 신호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위상이 변화된 신호의 특성은 위상 또는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제 2 안테나(350)를 통해 출력된 지정된 신호가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제 2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반사된 신호는 제 2 안테나(35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제 2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의 자동 위상 제어 회로(예: 도 5의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제 2 신호는 방사된 신호의 일부가 유기되어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로 전송될 수 있거나, 방사된 신호의 일부가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제 2 신호의 위상의 달라지는 정도는 외부 객체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객체가 사용자 인체의 일부인 경우, 제 2 신호의 위상은 지정된 신호의 위상보다 60~70도 빠를 수 있다. 외부 객체가 사용자 인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객체(예: 금속)인 경우, 제 2 신호의 위상은 지정된 신호의 위상보다 90~120도 빠를 수 있다. 상기 위상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에서 후술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프로세서(36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이 전송한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수신하고,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범위는 사용자 인체의 일부인 외부 객체와 사용자 인체의 일부가 아닌 외부 객체를 구분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지정된 범위는 사용자 인체의 일부인 외부 객체와 사용자 인체의 일부가 아닌 외부 객체를 구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객체가 사용자 인체의 일부인 경우,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는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외부 객체가 사용자 인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객체(예: 금속)인 경우,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는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전자 장치(300)에 근접한 외부 객체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일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300)에 근접한 외부 객체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외부 객체일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유지시킴으로써, 셀룰러 통신 성능의 불필요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외부 객체는 금속 소재로 구현된 객체일 수 있다. 전자 장치(300)에 근접한 외부 객체가 금속 소재로 구현된 경우, 금속 소재의 특성(셀룰러 신호의 반사, 굴절 또는 흡수)으로 인해서 셀룰러 통신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셀룰러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320)에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에 대해서 언급이 되어 있으나, 셀룰러 통신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320)은 Wi-Fi, bluetooth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일 수 있고, 프로세서(360)는 반사된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모듈에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센서 모듈(310)이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거나 접촉함을 감지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300)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전자 장치(3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한 액세서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bluetooth 또는 Wi-Fi를 포함하는 통신 수단을 통해 전자 장치(300)와 연결되는 이어폰, 마이크, 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의 타입(예: 마이크, 이어폰 또는 스피커)을 확인하고, 외부 전자 장치의 타입에 따라서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6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300)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이어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가 무선 이어폰을 이용하여 셀룰러 통신(예: VoLTE(voice over LTE))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와 근접하지 않는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60)는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지 않아도 되는 상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외부 전자 장치가 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이어폰임을 확인하면,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전자 장치(300)에 대한 외부 객체(미도시)의 근접 또는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300) 상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예: 도 3의 센서 모듈(31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10)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외부 객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들(예: 제 1 센서(420) 또는 제 2 센서(4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예 따르면, 제 1 센서(420)는 다양한 방식의 신호(예: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가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센서(420)는 반사된 신호의 특성(예: 반사된 신호의 수신 시간 또는 반사된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의 전자 장치(300)에 대한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제 1 센서(420)는 디스플레이(41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또는 스피커(44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 1 센서(420)는 장치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서 전자 장치(300)를 파지한 후,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 사용자의 귀)에 전자 장치(300)를 근접 또는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센서(430)는 제 2 센서(430)에 포함된 캐패시터(capacitor)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측정할 수 있다. 제 2 센서(430)는 외부 객체의 근접 또는 접촉에 따라 변화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의 전자 장치(300)에 대한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센서(43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를 파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센서(43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를 파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예: 사용자의 손)의 일부가 전자 장치(300)에 접촉하기 용이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예: 사용자의 손)의 일부가 전자 장치(300)에 접촉하기 용이한 영역은 전자 장치(300)의 상단, 하단, 좌측 측면 또는 우측 측면의 금속 소재로 구현된 영역 또는 안테나가 배치된 영역 일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 외부 객체에 의한 센서 모듈에 포함된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에 근접 또는 접촉하면서 외부 객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다가, 외부 객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다시 증가하는 동안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예: 도 3의 센서 모듈(310))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캐패시턴스를 측정할 수 있다. 캐패시턴스의 변화량(451)은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에 근접하지 않는 경우 측정되는 캐패시턴스 값과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측정되는 캐패시턴스 값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센서 모듈(310)은 제 1 시점(461)부터 제 2 시점(463)까지 캐패시턴스의 변화량(451)이 미리 설정된 값(471)을 초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값(471)을 초과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외부 객체와 전자 장치(300)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내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객체의 소재에 따라서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외부 객체의 소재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의 크기는 표 1에 예시로 기재되어 있다.
외부 객체의 소재 캐패시턴스의 변화량
목재 2478
종이 1987
4301
금속 7257
플라스틱 617
강화유리 3500
신체의 일부 7459
표 1을 참조하면, 금속 소재의 외부 객체와 신체의 일부의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가 센서 모듈(310)만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금속 소재로 구현된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300)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상황에서,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감소시키게 되어, 전자 장치(300)의 셀룰러 통신에 대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센서 모듈(310) 및 근거리 통신 모듈(340)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불필요한 상황(예: 금속 소재로 구현된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300)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상황)에서, 통신 모듈(320)에 공급되는 지정된 전력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포함된 자동 위상 제어(auto phase control)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예: 도 3의 근거리 통신 모듈(340))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과 연결된 제 2 안테나(예: 도 3의 제 2 안테나(35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지정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510), 증폭된 지정된 신호가 전송되는 제 1 전송 경로(520), 지정된 신호가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거나, 지정된 신호의 일부가 유기된 제 2 신호가 전송되는 제 2 전송 경로(530) 및 지정된 신호의 위상과 반사된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신호는 증폭기(510)에서 증폭되어, 제 1 전송 경로(520)를 통해 제 2 안테나(35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안테나(350)는 지정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안테나(350)는 NFC 통신 방식에 이용될 수 있는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방사된 신호는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신호는 제 2 안테나(350)에 의해 수신되고, 제 2 전송 경로(530)를 통해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된 신호의 일부는 외부 객체에 의해 위상이 변화될 수 있고, 위상이 변화된 상태로 제 2 전송 경로(530)를 통해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로 전송될 수 있다.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는 지정된 신호의 위상과 제 2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이 출력하는 신호의 특성(예: 신호의 주파수, 신호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이 출력하는 신호의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NFC 통신 방식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은 아래의 표 2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구분(INDEX) 위상의 차이 값
0 109~120
1 97~108
2 85~96
3 73~84
4 61~72
5 49~60
6 37~48
7 25~36
8 13~24
9 0~12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의 차이 값 1은 NFC 신호의 주파수인 13.56MHz 기준으로 약 0.12ns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는 본래의 목적과 별도로 전자 장치(300)와 근접한 외부 객체를 구별하기 위해서 지정된 신호의 위상과 제 2 신호의 위상을 비교할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금속 소재로 구현된 외부 객체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인 외부 객체가 각각 전자 장치(300)에 근접하는 경우, 자동 위상 제어 회로(540)가 측정한 위상의 차이 값을 기재하고 있다.
전자 장치(300)와 외부 객체 사이의 거리 금속 소재로 구현된 외부 객체인 경우, Index[Value] 신체의 일부인 외부 객체인 경우,
Index[Value]
∞(비근접) 4[65] 4[66]
30mm 4[68] 4[65]
20mm 4[70] 4[67]
15mm 4[72] 4[65]
10mm 3[79] 4[65]
5mm 2[93] 4[64]
3mm 1[104] 4[65]
0mm(접촉) 0[120] 4[65]
표 3을 참조하면,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는 외부 객체의 소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금속 소재로 구현된 외부 객체인 경우,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는 외부 객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 객체가 신체의 일부인 경우,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는 외부 객체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와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6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예를 들면, 표 3에서 위상의 차이가 인덱스 4 이상의 범위를 갖는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300)에 근접한 외부 객체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일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표 3에서 위상의 차이가 인덱스 3 이하의 범위를 갖는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300)에 근접한 외부 객체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외부 객체일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유지시킴으로써, 셀룰러 통신 성능의 불필요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한 제 1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셀룰러 신호를 송신 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신호가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djusting)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이 상기 지정된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상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로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i-Fi 통신을 위한 Wi-Fi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Wi-Fi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djusting)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전자 장치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 2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자동 위상 제어 회로가 수신한 제 2 신호의 위상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높은 전력으로 조정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1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가 외부 객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안테나(예: 도 3의 제 1 안테나(330))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외부 객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지정된 전력은 셀룰러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지정된 전력은 전자 장치(300)의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센서 모듈(예: 도 3의 센서 모듈(310))을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에 지정된 범위 내에 근접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10)은 전자 장치(300)에 대한 외부 객체(미도시)의 근접 또는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300) 상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외부 객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310)은 센서 모듈(310)에 포함된 캐패시터(capacitor)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외부 객체의 근접 또는 접촉에 따라 변화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의 전자 장치(300)에 대한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센서 모듈(310)은 다양한 방식의 신호(예: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가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반사된 신호의 특성(예: 반사된 신호의 수신 시간 또는 반사된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의 전자 장치(300)에 대한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300)는 외부 객체가 전자 장치에 지정된 범위 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제 2 안테나(예: 도 3의 제 2 안테나(350))를 통해서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예: 도 3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신호는 외부 객체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에 의해 생성된 신호이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에 의해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30에서, 전자 장치(300)는 지정된 신호가 외부 객체에 의해 위상이 변화된 제 2신호를 제 2 안테나(350)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40에서, 전자 장치(300)는 지정된 신호와 제 2 신호의 위상을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40)은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제 2 신호의 위상은 외부 객체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객체가 사용자 인체의 일부인 경우, 제 2 신호의 위상은 지정된 신호의 위상보다 60~70도 빠를 수 있다. 외부 객체가 사용자 인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객체(예: 금속)인 경우, 제 2 신호의 위상은 지정된 신호의 위상보다 90~120도 빠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50에서, 전자 장치(300)는 지정된 신호와 제 2 신호의 위상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셀룰러 신호의 출력에 이용되는 전력을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전자 장치(300)에 근접한 외부 객체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일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는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신호의 위상과 지정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300)에 근접한 외부 객체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외부 객체일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통신 모듈(320)로 인가되는 지정된 전력의 크기를 유지시킴으로써, 셀룰러 통신 성능의 불필요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상기 셀룰러 신호를 송신 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신호가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상기 셀룰러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이 상기 지정된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확인된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확인된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방사되는 Wi-Fi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객체의 디스플레이 근처에서 근접을 감지하는 제 2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2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디스플레이 근처에서 근접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한 제 1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셀룰러 신호를 송신 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신호가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djusting)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이 상기 지정된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상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로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Wi-Fi 통신을 위한 Wi-Fi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Wi-Fi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을 금하도록(refrain from adjusting)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전자 장치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 2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자동 위상 제어 회로가 수신한 제 2 신호의 위상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높은 전력으로 조정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1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전력으로 상기 셀룰러 신호를 송신 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지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신호가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상기 셀룰러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위상 차이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전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이 상기 지정된 신호의 위상보다 지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확인된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확인된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방사되는 Wi-Fi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객체의 디스플레이 근처에서 근접을 감지하는 제 2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지정된 신호와 상기 반사된 신호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을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2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디스플레이 근처에서 근접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조정된 셀룰러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122367A 2018-10-15 2018-10-15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5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67A KR102551209B1 (ko) 2018-10-15 2018-10-15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7/285,902 US11843400B2 (en) 2018-10-15 2019-10-15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utput of antenna by using APC of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PCT/KR2019/013491 WO2020080787A1 (ko) 2018-10-15 2019-10-15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67A KR102551209B1 (ko) 2018-10-15 2018-10-15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56A true KR20200042156A (ko) 2020-04-23
KR102551209B1 KR102551209B1 (ko) 2023-07-05

Family

ID=7028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367A KR102551209B1 (ko) 2018-10-15 2018-10-15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43400B2 (ko)
KR (1) KR102551209B1 (ko)
WO (1) WO2020080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925B1 (ko) * 2018-03-05 2022-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외부 객체와의 거리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CN115765802A (zh) * 2022-10-24 2023-03-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检测方法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67B1 (ko) * 2014-12-12 2015-10-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어레이 안테나 송신장치 및 그 교정방법
US9209839B2 (en) * 2013-04-17 2015-12-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of antenna impedance mismatch compensation based on time-to-digital converter phase estimation
US20180175944A1 (en) * 2016-12-16 2018-06-21 Magic Leap, Inc. Determining proximity of transmitter antennas of portable devices to a human body for limiting transmitter output power to meet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requi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6385B2 (en) 2011-04-05 2012-12-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proximity based transmitted power control and related methods
KR20140142862A (ko)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센서 장치 및 방법
WO2015030810A1 (en) * 2013-08-30 2015-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ing transmitted power output of an antenna of a device
US10056685B2 (en) 2014-03-06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rray self-calibration
KR102456541B1 (ko) 2016-06-22 2022-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Sar 저감을 위한 안테나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29686B1 (ko) 2016-09-01 2023-05-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립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9839B2 (en) * 2013-04-17 2015-12-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of antenna impedance mismatch compensation based on time-to-digital converter phase estimation
KR101556067B1 (ko) * 2014-12-12 2015-10-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어레이 안테나 송신장치 및 그 교정방법
US20180175944A1 (en) * 2016-12-16 2018-06-21 Magic Leap, Inc. Determining proximity of transmitter antennas of portable devices to a human body for limiting transmitter output power to meet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requir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76866A1 (en) 2021-12-02
WO2020080787A1 (ko) 2020-04-23
US11843400B2 (en) 2023-12-12
KR102551209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660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 through power source line
US1120163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housing
US1114702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thereof
US119733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external device for adjusting wireless power to be transmitted from external device on basis of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US1099319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rray antenna and power backoff method for antenna array
US2020021831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back off using grip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108209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antenna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580345B1 (ko) 레인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47019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grip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grip sensor
US11429234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rrecting measurement value of sensor
EP3672089B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resonant frequency modified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EP36513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plifier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device
US11843400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utput of antenna by using APC of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US1080982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ffordance for providing charging of battery of external device through display
US20230156394A1 (en) Electronic device for sensing touch input and method therefor
US10911100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pecified functions based on electromagnetic signal detection and method thereof
US11824529B2 (en) Circuit for adjusting resonance frequenc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2002742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of electronic device
KR20210017235A (ko) 통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200310A1 (en) Electronic device for charging battery based on voltage of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