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499A -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 Google Patents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499A
KR20200041499A KR1020180121598A KR20180121598A KR20200041499A KR 20200041499 A KR20200041499 A KR 20200041499A KR 1020180121598 A KR1020180121598 A KR 1020180121598A KR 20180121598 A KR20180121598 A KR 20180121598A KR 20200041499 A KR20200041499 A KR 20200041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ain
drain groove
charging
fill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영
곽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8012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499A/ko
Publication of KR2020004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 복수의 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CAHRGING INLET HAVING DRAINING PART}
본 발명은 충전 인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인렛에 수분을 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품의 크기를 축소하여 원가를 감소시키고 차량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충전 인렛은,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 복수의 충전단자(11)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전면과 접촉되는 수분이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하우징(10)의 배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판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충전단자(11)가 전면에 마련되어 충전단자(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는 부재이다.
충전단자(11)는 완속 충전시에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A/C 단자와, 급속 충전시에 A/C 단자와 함께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D/C 단자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의 배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배면부품(12)이 설치되는데, 배면부품(12)은 그 내부에 수분이 하우징(10)의 배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20)과 연통되는 수분배출경로(12a)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충전 인렛에 있어서는, 배면부품(12)의 내부에 배수공(20)과 연통되는 별도의 수분배출경로(12a)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면부품(12)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원가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배면부품(12) 자체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활용도가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설계의 자유도가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인렛에 수분을 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품의 크기를 축소하여 원가를 감소시키고 차량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은,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 복수의 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배출되어 흘러내리는 수분이 배수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접촉된 수분이 내부에 집수되도록 하는 배수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홈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수홈에 집수된 수분이 상기 하면을 따라 외부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수홈의 하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배수홈 하면의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수홈의 하면이 상기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 각도는 5°내지 10°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하면의 최하측 지점과 연결되어 수분이 수용된 상태로 배수되도록 전체적으로 함몰 형성되되,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연결되도록 그 저부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인렛에 수분을 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품의 크기를 축소하여 원가를 감소시키고 차량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정면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배면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충전 아웃렛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정면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배면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은,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 복수의 충전단자(110)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으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하우징(100)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부(200)와; 상기 배수부(200)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배출되어 흘러내리는 수분이 배수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충전단자(110)가 전면에 마련되어 충전단자(1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는 부재이다.
충전단자(110)는 완속 충전시에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A/C 단자와, 급속 충전시에 A/C 단자와 함께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D/C 단자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의 배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통제하고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배면부품(120)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부품(120)의 경우에는 종래의 배면부품(12)에 비하여 부품의 크기를 축소하여 원가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차량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배수부(200)에 의하여 수분이 전면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충전 인렛처럼 수분배출 경로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서 배면부품(120)의 크기를 현전하게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배수부(200)는 하우징(100)의 전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전면에 접촉된 수분이 내부에 집수되도록 하는 배수홈(210)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홈(2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배수홈(210) 측으로 하우징(100)의 전면에 접촉된 수분이 배수홈(210)의 내부로 흘러들어가 집수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수홈(210)의 상면(211)은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배수홈(210)의 하면(212)은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배수홈(210)에 집수된 수분이 하면(212)을 따라 외부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집수된 수분이 배수홈(210)의 하면(212)을 따라 외부로 신속하게 흘러내리게 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배수홈(210)의 하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배수홈(210) 하면(212)의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배수홈(210)의 하면(212)이 상기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 각도는 5°내지 10°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배수홈(210)에 집수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그리고, 배수홈(210)이 상기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 각도는 5°내지 10°가 되도록 함으로서 배수홈(210)의 수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은 최대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홈(210)에 집유된 수분이 배수홈(210)의 하면(212)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흘러내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하면(212)의 최하측 지점과 연결되어 수분이 수용된 상태로 배수되도록 전체적으로 함몰 형성되되,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과 연결되도록 그 저부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300)의 양측에는 배수되는 수분의 양이 많을 경우에 수분이 가이드부(300)에서 넘침을 방지하도록 하는 별도의 격벽(미도시)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은 하우징(100)의 전면에 수분이 접촉되면 수분이 배수홈(2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집수된 후에 집수된 수분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배수홈(210)의 경사진 하면(212)을 따라 외부로 유동되어 가이드부(300)에 의하여 유동 방향이 가이드되면서 하우징(100)의 전면을 따라 외부로 흘러내림으로써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은 차량의 인렛에 수분을 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품의 크기를 축소하여 원가를 감소시키고 차량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충전단자
120 : 배면부품 200 : 배수부
210 : 배수홈 211 : 상면
212 : 하면 300 : 가이드부

Claims (6)

  1.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 복수의 충전단자(110)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으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하우징(100)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부(200)와;
    상기 배수부(200)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배출되어 흘러내리는 수분이 배수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접촉된 수분이 내부에 집수되도록 하는 배수홈(21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210)의 상면(211)은 상기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210)의 하면(212)은 상기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수홈(210)에 집수된 수분이 상기 하면(212)을 따라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배수홈(210)의 하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배수홈(210) 하면의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210)의 하면(212)이 상기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 각도는 5°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하면(212)의 최하측 지점과 연결되어 수분이 수용된 상태로 배수되도록 전체적으로 함몰 형성되되,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과 연결되도록 그 저부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1020180121598A 2018-10-12 2018-10-12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20200041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98A KR20200041499A (ko) 2018-10-12 2018-10-12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98A KR20200041499A (ko) 2018-10-12 2018-10-12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99A true KR20200041499A (ko) 2020-04-22

Family

ID=7047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98A KR20200041499A (ko) 2018-10-12 2018-10-12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4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552B2 (ja) 電気接続箱の止水構造
CN106382779B (zh) 显示控制装置和冰箱
KR20160051954A (ko) 배터리 팩
KR20200041499A (ko)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EP326119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474282B2 (en) Water pan for water discharge device of refrigeration/air-conditioning system
JP2021515637A (ja) 洗濯機
US1183785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5842898B2 (ja) 冷却水タンクの構造
KR20190075394A (ko) 배수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
EP3826122B1 (en) Liquid discharge structure
CN111067374A (zh) 烹饪设备
EP2772998A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CN209741507U (zh) 一种洗衣机上盖组件
JP3220430U (ja) 止水機能を有するプローブ
CN110207355B (zh) 除湿机水箱的盖体、除湿机水箱和除湿机
JP2018115797A (ja) 冷蔵庫
EP3656273B1 (en) Fan device and dishwasher
KR20220032665A (ko)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공기역류 방지 장치
CN218832693U (zh) 清洁设备及其机体
CN213551268U (zh) 面板结构及烹饪器具
KR960003347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부 배수구조
CN213778142U (zh) 用于除湿器的接水盘、除湿器
CN221043460U (zh) 保险盒及车辆
CN220017674U (zh) 一种水箱及除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