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47A - 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47A
KR20200041147A KR1020180121233A KR20180121233A KR20200041147A KR 20200041147 A KR20200041147 A KR 20200041147A KR 1020180121233 A KR1020180121233 A KR 1020180121233A KR 20180121233 A KR20180121233 A KR 20180121233A KR 20200041147 A KR20200041147 A KR 2020004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scaffolding
scaffold
rai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6973B1 (en
Inventor
김도연
김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Priority to KR102018012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973B1/en
Publication of KR2020004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9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andrail including a safety bar capable of rotating so that a worker can move between floors while the handrail installed for the safety of the worker working on a temporary construction is assembled. The prefabricated handrail comprises: a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provided along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fixing bracket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scaffold pillars to be distanced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each having an insertion slit opened toward one side; the safety bar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scaffold pillars, and having through holes formed in both ends thereof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lits; and a coupling assembly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fixing bracket at a position facing the fixing bracket around the safety bar, and having a holding ro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to be selectively held on the insertion sl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handrail can be installed and assembled conveniently.

Description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Prefab railing with safety bar {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

본 발명은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시 가설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난간이 조립된 상태에서 층간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ailing that includes a safety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that is configured to be moved between floors in an assembled railing for the safety of workers working on temporary temporary structures. will be.

종래의 건축용 비계는 통상 건축물 외벽의 둘레에 원형파이프로 형성된 지주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수직방향의 지주들 사이에 원형파이프로 형성된 수평지지대를 결합한 후, 이들 사이에 작업 발판이나 안전펜스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Conventional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usually installs a post formed of circular pipes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mbines a horizontal support formed of a circular pipe between pos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equipped with a work scaffold or safety fence between them. To use.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베란다 등에는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식의 구실도 하는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난간은 건물이나 아파트의 신축공사 시 골조가 완성된 후 마무리 공사단계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공사 중 낙상 및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베란다에 별도의 안전장치를 임시로 설치하여만 한다.In general, railings that prevent people from falling and serve as decorations are installed on the verandas of architectural structures. These railings are installed at the finishing stage after the frame is completed during the new construction of a building or apartment, so to prevent a fall and fall accident during construction, a separate safety device must be temporarily installed on the veranda.

이에 따라 종래에는 건물의 골조가 완성된 베란다에 파이프 형상의 이른바 '서포트'라는 건축자재로 양쪽에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를 가로막는 다른 서포트를 클램프나 철선으로 고정시켜서 임시난간을 만들거나 별도의 조립식 부재를 이용하여 난간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the past, the pillars were built on both sides with a so-called 'support', which is a pipe-shaped building material on the veranda, where the frame of the building has been completed. It is a situation in which a member is used as a railing.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난간구조는 금속재의 서포트를 사용하는 특성상 보관 및 운반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고, 베란다 바닥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므로 인해 타일, 방수, 도색 등의 마감공사 시마다 설치된 임시난간을 해체한 후 해당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조립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다.However, the railing structure of this method has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storage and transportation due to the nature of using metal supports, so it is installed so that it is supported on the veranda floor. When the corresponding work was completed, there was a hassle of having to assemble and install again.

따라서, 난간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and dismantling the railing.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난간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etached railing.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난간을 가지고 이동할 필요 없이 난간의 층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that can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rail between the rails without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move with the railing.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은 건물 외벽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비계 기둥; 상기 비계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삽입 슬릿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비계 기둥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 되고, 상기 삽입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의 양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 슬릿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봉이 구비되는 결합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building outer wall; A fixed bracket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 pillar, and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lit opening toward one side; A safety bar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xing bracket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 pillar, and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lit; And a coupling assembly rotatably coupl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xing bracket with respect to the safety bar, and having a hook rod selectively penetrating the insertion slit through the through hole.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비계 기둥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기둥 고정부; 일단이 상기 기둥 고정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결합 어셈블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공간 확보부; 및 상기 공간 확보부의 타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되는 상기 삽입 슬릿이 중심에 형성되는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bracket, the pillar fixing portion fixe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pillars; A space securing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ixing par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assembly;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space securing portion, the engaging sl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slit opening toward the upper side.

계속해서, 상기 결합 어셉블리는, 상기 안전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레킷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면이 개구되고, 상기 제1걸이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결합 하우징; 한 쌍의 자유단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에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걸이공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부재; 일단이 상기 결합 하우징의 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 및 삽입 슬릿에 삽입되는 걸이봉; 및 상기 걸이봉의 일측에 상기 걸이봉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the coupling assembly, a first hook hole formed through the safety ba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nd one surface is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xing bracket, and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side. Main housing; A coupling housing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main housing, a second hook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ok hole, and slidingly moun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main housing; An elastic member that is formed to have a pair of free ends,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at the free ends, thereby forming locking projection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hook ho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oupling housing, the other end is formed extending toward the through-hole hook ro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and the insertion slit;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rod on one side of the hook rod.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공간 확보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상기 걸림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가 걸어져 상기 안전바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fixing portion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pace securing portion to be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stopper is engaged to restrict movement of the safety bar.

한편, 상기 메인 하우징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결합 하우징이 상기 안전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of both sides of the main hous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tricting portion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bar.

추가적으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안전바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 하우징에 형성되는 규제판; 및 상기 규제판과 반대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 하우징에 상기 안전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규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tricting portion, the control plate is formed on the main housing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afety bar;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triction pin which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bar in the main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restriction plate.

그리고, 본 발명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설치하는 방법은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And, the method of installing a prefab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installing a prefab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을 건물 외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의 제1 높이에 제1 비계 발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의 제2 높이에 제2 비계 발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비계 발판과 상기 제2 비계 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 각각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고정 브라켓에 상기 결합 어셈블리가 관통된 상기 안전바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stalling the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stalling a first scaffolding scaffold at a first height of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pillars to cross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pillars; Installing a second scaffolding scaffold at a second height of the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o cross the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Attaching the fixing bracke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pillar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caffolding scaffold and the second scaffolding scaffolding; It may include the step of mounting the safety bar through the coupling assembly to the fixing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를 눌러서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결합 하우징의 고정 상태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결합 어셈블리를 회전시켜 상기 삽입 슬릿과 상기 스토퍼의 형태를 일치시켜 상기 걸이봉을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상기 안전바의 고정된 일측 관통공을 축으로 제2 비계 발판을 향해 상기 안전바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된 안전바를 제2 비계 발판과 제3 비계 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oving the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ing the fixing state of the main housing and the coupling housing by pressing the engaging projection; Rotating the coupling assembly to match the shape of the insertion slit and the stopper to remove the hook rod from the fixing bracket; Rotating the safety bar toward a second scaffolding scaffold about a fixed one side through hole of the safety bar; And mounting the rotated safety bar to a fixed bracket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caffolding and the third scaffolding.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건물의 공사과정에서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난간을 조립식으로 탈부착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easily installing and detaching a railing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building through simpl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양 단부의 조립 및 조립 해제를 통해 난간을 소지하지 않고 층간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capable of moving between layers without carrying a railing through assembly and disassembly of both ends.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의 난간을 연속적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양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capable of mass production because the handrails of the same structure are continuously assembled.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난간에 적용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 existing handrail, and has an economical effec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1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1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2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2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3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3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작업장 사용 실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rst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hird assembly state of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shop using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us, it is stated tha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에 대하여 도 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Hereinafter,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은 고정 브라켓(100), 안전바(200), 및 결합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100, a safety bar 200, and a coupling assembly 300.

먼저, 고정 브라켓(100)은 건물 외벽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비계 기둥(P)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안전바(200)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 지지점 역할을 한다. 여기서 비계기둥(P)은 가설 울타리 등의 기둥(수직재)을 지칭한다.First, the fixing bracket 100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P)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serves as a fixed support point for the safety bar 200 is fixed. Here, the scaffolding column (P) refers to a pillar (vertical material) such as a temporary fence.

고정 브라켓(100)은 비계 기둥(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고정 브라켓(100)은 기둥 고정부(110), 공간 확보부(120), 및 걸림 결합부(130)로 구성된다.The fixed bracket 100 is install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ing column (P), the fixed bracket 100 is fixed to the column 110, the space securing portion 120, and the engaging portion 130 It consists of.

기둥 고정부(110)는 비계 기둥(P)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비계 기둥(P)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illar fixing part 110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caffold pillar P, and may have a surface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scaffold pillar P.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비계 기둥(P)의 형태를 사각 기둥으로 표현함에 따라 이에 따라 기둥 고정부(110)의 표면을 평면으로 구성하였으며, 비계 기둥(P)이 원 기둥 형태를 가지면, 비계 기둥(P)과 맞닿는 기둥 고정부(110)의 표면 형상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hape of the scaffolding pillar (P) is represented by a square pillar, the surface of the pillar fixing part 110 is thus constructed as a plane, and when the scaffolding pillar (P) has a circular pillar shape, the scaffolding pillar It is apparent that the surface shape of the pillar fixing part 1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P)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이때, 기둥 고정부(110)는 비계 기둥(P)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공(111)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llar fixing part 110 may include a fixing hole 111 that can be fixed to the scaffold pillar (P)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다음으로 공간 확보부(120)의 일단은 기둥 고정부(11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결합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Next, one end of the space securing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ixing part 110 and the other end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assembly 300.

공간 확보부(120)는 결합 어셈블리(300)가 걸림 결합되도록 기둥 고정부(11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걸림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The space securing unit 120 serves to secure a locking spac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illar fixing unit 110 so that the coupling assembly 300 is engaged.

공간 확보부(120)의 연장길이는 결합 어셈블리(300)의 걸이봉(340)이 설치될 시 걸이봉(340)의 단부가 비계 기둥(P)에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When the hook rod 340 of the coupling assembly 300 is installed,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pace securing unit 120 may be extended to a length such that the end of the hook rod 340 does not contact the scaffold pillar P.

계속해서 걸림 결합부(130)는 공간 확보부(120)의 타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engag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space securing portion 120.

걸림 결합부(130)는 걸이봉(340)이 설치될 때 삽입 슬릿(131)을 통해 걸이봉(34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engaging portion 130 serves to guid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ok rod 340 through the insertion slit 131 when the hook rod 340 is installed.

걸림 결합부(130)에는 상측을 향해 개구되는 삽입 슬릿(131)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슬릿(131)은 공간 확보부(120)와 연결되지 않은 걸림 결합부(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방향 개구된 형태로 소정 길이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걸이봉(340)의 삽입 시작점과 종료점을 가이드 할 수 있다.In the engaging portion 130, an insertion slit 131 opening toward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Therefore, the insertion slit 1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130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space securing portion 120, and is formed to be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open direction in one direction to insert the hook rod 340. You can guide the start and end points.

한편, 고정 브라켓(100)은 위치 고정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bracket 10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unit 132.

이때, 위치 고정부(132)는 스토퍼(341)가 걸어져 걸이봉(34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걸이봉(34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비계 기둥(P) 방향으로 걸림 결합부(13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part 132 is engaged with the scaffolding column (P) in the direction of the scaffolding column (P)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rod 340 so that the stopper 341 is hook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hook rod 340 It can be formed to protrude.

그리고 위치 고정부(132)는 공간 확보부(120)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걸림 결합부(130)에 형성되며, 위치 고정부(132)의 돌출 정도는 스토퍼(34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치 고정부(132)의 돌출 위치는 스토퍼(341)의 회전 직경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part 132 is spaced a certain height from the space securing part 120 and is formed on the engaging portion 130, and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position fixing part 132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topper 341. It is preferable to have, and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32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stopper 341.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위치 고정부(132)는 걸이봉(340)에 형성되는 스토퍼(341)가 걸림 결합부(130)에 걸어진 이후 안전바(200)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The position fixing unit 13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safety bar 200 after the stopper 341 formed on the hook rod 340 is hooked to the engaging portion 130.

즉, 위치 고정부(132)는 걸이봉(340)이 삽입 슬릿(131)으로부터 임의로 탈락되지 않도록 스토퍼(341)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구성이다.That is,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32 is configured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stopper 341 so that the hook rod 340 is not arbitrarily removed from the insertion slit 131.

다음으로 안전바(200)는 고정 브라켓(100)에 양단이 고정되어 비계 기둥(P) 간을 연결하기 위한 바 형태의 구성이다. 안전바(200)는 작업자가 작업공간(S)에서 추락하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추락방지 또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Next, the safety bar 200 is a bar-shaped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scaffold pillars (P) with both end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100. The safety bar 200 serves as a fall prevention or handle so that the worker does not fall or fall in the work space (S).

안전바(200)는 통상의 파이프를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메인바(201)와 결합바(202, 203)로 구성될 수 있다.The safety bar 200 may employ a conventional pip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pecifically composed of a main bar 201 and coupling bars 202 and 203.

우선, 메인바(201)는 원통형 또는 각기둥과 같은 바 형태로 구성되고,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비계 기둥(P) 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비계 기둥(P)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ar 201 is configured in a bar shape such as a cylindrical or prismatic pillar, and serves to connect between the scaffold pillars P to protect the operator, and may be located between the scaffold pillars P. .

메인바(201)의 양단에는 각각 제1 결합바(202) 및 제2 결합바(20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바(202, 20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및 제2 결합바(202, 203)는 비계 기둥(P)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 브라켓(100)에 고정되는 구성이다.First coupling bars 202 and second coupling bars 203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ar 201,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202 and 203 ar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202 and 203 ar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fixing bracket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affolding column P.

결합바(202, 203)는 고정 브라켓(100)을 사이에 두고 비계 기둥(P)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고정 브라켓(100)의 일면에 설치되며, 삽입 슬릿(131)의 폐쇄된 일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10, 2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bars 202 and 203 ar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100 at a position facing the scaffolding pillar P with the fixing bracket 1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rrespond to the closed one side of the insertion slit 131. Through-holes 210 and 220 may be formed at the position.

여기서 관통공(210, 220)은 제1 결합바(202)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210)과 제2 결합바(203)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hrough holes 210 and 220 may be formed of a first through hole 210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bar 202 and a second through hole 220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bar 203.

제1 관통공(210)은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 어셈블리(300)가 관통되어 고정 브라켓(100)에 대응되는 부분이고, 제2 관통공(220)은 결합 어셈블리(300)가 관통된 또 다른 제1 관통공(210)의 전면에 겹쳐져 함께 포개져서 관통되어 고정 브라켓(100)에 대응되는 부분을 지칭하기로 한다.The first through hole 210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racket 100 through which the coupling assembly 300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0 is another agent through which the coupling assembly 300 is penetrated. 1 Overlai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0, overlapped together and penetrated to refer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bracket 100.

한편, 관통공(210, 220)의 형상은 걸이봉(340)와 스토퍼(341)가 관통될 수 있도록 결이봉(340)과 스토퍼(34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through-holes 210 and 220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be 340 and the stopper 341 so that the hook rod 340 and the stopper 341 can be penetrated.

계속해서 결합 어셈블리(300)는 안전바(200)의 관통공(210, 220)을 관통하여 걸림 결합부(13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구성으로서, 메인 하우징(310)과 결합 하우징(320)을 포함하며, 안전바(200)를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Subsequently, the coupling assembly 300 is a configuration that selectively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s 210 and 220 of the safety bar 200 and engages the engaging portion 130, and includes the main housing 310 and the coupling housing 320. And, it serves to couple the safety bar 200 to the fixed bracket 100.

먼저, 메인 하우징(310)은 고정 브레킷(10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First, the main housing 310 has one surface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xed bracket 100, and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메인 하우징(310)은 규제부, 제1 걸이공(313), 및 가이드 레일(314)을 포함한다.The main housing 310 includes a regulating portion, a first hook hole 313, and a guide rail 314.

규제부는 안전바(200)를 메인 하우징(310)에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걸이봉(340)이 제1 관통공(340)의 내주면에서 회전하는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regul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hook rod 340 to rotat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340 by selectively binding the safety bar 200 to the main housing 310.

즉, 규제부는 메인 하우징(310) 의 양측 각각에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 하우징(320)이 안전바(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규제판(311)과 규제핀(31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regulation unit serves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housing 320 to be described below on the both sides of the main housing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bar 200, the regulation plate 311 and the regulation pin It may be composed of (312).

규제판(311)은 메인 하우징(310)의 개구면 일단부를 일부 폐쇄하도록 메인 하우징(310)과 안전바(200)의 단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stricting plate 3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ends of the main housing 310 and the safety bar 200 correspond to partially close one end of the opening surface of the main housing 310.

규제핀(312)은 안전바(2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규제판(311)과 반대되는 위치의 메인 하우징(3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gulation pin 312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housing 310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regulation plate 311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bar 200.

이와 같은 구성의 규제부를 통해, 안전바(200)는 규제판(311)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규제판(311)을 벗어나는 위치로 일방향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Through the regulation uni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afety bar 200 may have one end inserted into the regulation plate 311 to restrict one-way movement to a position outside the regulation plate 311.

그리고 규제판(311)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안전바(200)는 규제판(311)으로부터 탈락되기 위해 타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규제핀(312)에 의해 결합 하우징(320)의 이동이 제한되어 안전바(200)가 메인 하우징(320)의 개구된 타방향으로 완전히 벗어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housing 320 is restricted by the restriction pin 312 when the safety bar 200 whose position is fixed by the regulation plate 311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to be removed from the regulation plate 311. It is possible to regulate that the safety bar 200 is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opened other direction of the main housing 320.

제1 걸이공(313)은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330)의 걸림 돌기(322)가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안전바(2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메인 하우징(310)의 폐쇄된 양 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ok hole 313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322 of the elastic member 3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the main housing 310 is cl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bar 200. It may be formed through both sides.

가이드 레일(314)은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 하우징(320)의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구성으로서, 결합 하우징(32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22)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322)가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rail 314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housing 320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jection 322 formed on the coupling housing 320 so that the guide projection 322 is sliding. It can be configured as possible.

계속해서 결합 하우징(320)은 메인 하우징(31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면이 개구되고, 메인 하우징(310)의 수용 공간에 장착된다.Subsequently, the coupling housing 320 has one surface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main housing 310 and is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main housing 310.

결합 하우징(320)은 제2 걸이공(321), 가이드 돌기(322), 탄성부재(330), 및 걸이봉(340)을 포함한다.The coupling housing 320 includes a second hook hole 321, a guide protrusion 322, an elastic member 330, and a hook rod 340.

제2 걸이공(321)은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330)의 걸림 돌기(322)가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제1걸이공(313)과 대응하는 위치의 결합 하우징(320)의 폐쇄된 양 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ok hole 321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322 of the elastic member 3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the closed amount of the coupling housing 3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ok hole 313 It may be formed through the side.

가이드 돌기(322)는 가이드 레일(314)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guide protrusion 32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314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coupling housing 320 to slide within the main housing 310.

탄성부재(330)는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이동될 때 결합 하우징(320)을 메인 하우징(310)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특정 위치는 안전바(200)의 일단부가 규제판(311)에 삽입되는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330 is configured to fix the coupling housing 320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in housing 310 when the coupling housing 320 is moved inside the main housing 310. At this time, the specific position may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safety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regulation plate 311.

구체적으로 탄성부재(330)는 한 쌍의 자유단부(331)를 가지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 돌기(332)가 제1 걸이공(313)에서의 삽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elastic member 330 may be composed of a plate spring having a pair of free ends 331, and the locking projections 332 to be described below are selectively inserted in the first hook hole 313. It is desirable to have elasticity that can be lost.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330)가 U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있으나, 양 끝단부를 가지도록 중앙부가 절곡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elastic member 330 is formed to have a U-shape, it is obvious that the central portion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is bent to have both ends.

그리고 걸림 돌기(332)는 작업자가 탄성부재(330)의 자유단부(331)를 압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자유단부(331)에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이공(313)과 제2 걸이공(321)에 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nd the locking projection 332 is a configuration for the operator to press the free end 331 of the elastic member 330, the free end 331 is formed to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first hook hole 313 And a second hook hole 321.

이때, 걸림 돌기(332)는 제1 걸이공(313)에는 걸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고, 제2 걸이공(321)에는 걸림이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332 has a length that can be fixed to the first hook hole 313, the second hook hole 321 is fixed.

마지막으로 걸이봉(340)은 제1 관통공(210) 및 삽입 슬릿(131)에 관통되는 구성으로서, 걸이봉(340)의 일단은 결합 하우징(320)의 폐쇄된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관통공(210)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Finally, the hook rod 340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first through hole 210 and the insertion slit 131, one end of the hook rod 340 is connected to the closed one surface of the coupling housing 320, and the other end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toward the first through hole 210.

이때, 걸이봉(340)의 소정 길이는 제1 결합바(202) 및 제2 결합바(203)를 겹친 두께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삽입 슬릿(131)까지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hook rod 340 penetrates the thickness overlapping the first coupling bar 202 and the second coupling bar 203 so that its end can penetrate to the insertion slit 131. Do.

한편, 걸이봉(340)의 일측에는 걸이봉(3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341)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stopper 34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k rod 340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rod 340.

스토퍼(341)는 걸이봉(340)과 함께 제1 관통공(210)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 동작을 통해 제1 관통공(210)의 형상과 일치 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기둥 형태의 걸이봉(340)이 제1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stopper 3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10 together with the hanger rod 340 and is configured so as not to coincide with the shap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0 through a certain angle rotation operation. After the 34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0, it serves to prevent it from randomly exiting.

이하,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조립 상태를 도 2 내지 도 8를 통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the safety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1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1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단면도이다.First, FIG. 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assembly state of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of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ed state.

도 2 및 도3에 도시된 제1 조립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이 완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The first assembly state shown in FIGS. 2 and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assembled.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안전바(200)는 걸이봉(340)에 관통되어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결합 어셈블리(300)의 결합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 the safety bar 200 is penetrated through the hook rod 340 and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assembly 300 is fixed in the state where the coupling to the fixing bracket 100 is completed.

이때, 걸이봉(340)은 삽입 슬릿(131)을 향해 전방으로 삽입이 완료되었으며, 스토퍼(341)에 의해 후방으로 빠질 수 없도록 고정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hook rod 340 is inserted forward toward the insertion slit 131 and is fixed so that it cannot be pulled backward by the stopper 341.

그리고 전, 후방 움직임이 고정된 걸이봉(340)은 위치 고정부(132)에 의해 삽입 슬릿(131)을 따라 상방으로의 이동 가능성이 배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And it can be seen that the possibility of moving upward along the insertion slit 131 by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32 of the hook rod 340 in which the front and rear movements are fixed is excluded.

이때, 고정 브라켓(100)에 걸림이 완료된 안전바(200)는 규제판(311)에 삽입되어 1차 고정이 된다(도 2 참조)At this time, the safety bar 200, which has been jammed in the fixing bracket 100, is inserted into the regulation plate 311 to become the primary fixing (see FIG. 2).

그리고 탄성부재(330)의 걸림 돌기(332)가 메인 하우징(310)의 제1 걸이공(313)과, 결합 하우징(320)의 제2 걸이공(321)을 관통하여 규제판(311)에 일단부가 삽입된 상태의 안전바(200)가 결합된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에 2차 고정됨으로써(도 3 참조), 안전바(200)의 회전이 단속됨을 알 수 있다.Then, the locking protrusion 332 of the elastic member 330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hook hole 313 of the main housing 310 and the second hook hole 321 of the coupling housing 320 to the regulation plate 311.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housing 320 to which the safety bar 200 in one end is inserted is secondarily fixed to the main housing 310 (see FIG. 3), so that the rotation of the safety bar 200 is intermittent.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2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2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단면도이다.And Figure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assembly state of the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econd assembly of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조립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이 조립된 상태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The second assembly state shown in FIGS. 4 an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the safet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ixed.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걸림 돌기(332)가 제1 걸이공(313)에서 빠지도록 하여 결합 하우징(320)의 결합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protrusion 332 is released from the first hook hole 313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coupling housing 320.

이에 따라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으로부터 결합의 고정이 해제되면 안전바(200)의 일단부가 규제판(311)에서 빠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ixing of the coupling from the main housing 310 is released from the coupling housing 320, one end of the safety bar 200 can be removed from the regulating plate 311.

이때, 탄성부재(330)의 변형 상태를 도 5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자면, 걸림 돌기(322)가 외부 압력에 의해 제1 걸이공(313)에서 빠짐과 동시에 결합 하우징(320)이 규제핀(31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메인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자유단부(311)가 압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으로부터 고정 해제됨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o look at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member 330 in detail through FIG. 5, the engaging projection 320 is removed from the first hook hole 313 by external pressure and the coupling housing 320 is regulated pin 312. ) As it moves in the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housing 320 is unfixed from the main housing 310 while the free end 311 remains pressed in the main housing 310.

마지막으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3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제3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단면도이다.Finally, FIGS. 6 and 7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a third assembly state of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refabricated structure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assembly state of the railing.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3 조립상태는 고정 브라켓(100)으로부터 걸이봉(340)의 고정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to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of the hook rod 340 is released from the fixing bracket 100.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고, 안전바(200)가 규제판(311)에서 빠짐에 따라 걸이봉(340)이 제1 관통공(210) 내주면에서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s the coupling housing 320 is released from the main housing 310 and the safety bar 200 is removed from the regulation plate 311, the hook rod 340 has a first through hole ( 210) It can be seen that free rotation is possibl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다시 말해 메인 하우징(310)을 하방으로 90도 회전 시킴에 따라 스토퍼(341)가 삽입 슬릿(13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In other words, as the main housing 310 is rotated 90 degrees downward, the stopper 341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slit 131.

하지만,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에서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안전바(200)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180도 양방향 회전이 가능함은 자명하다.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coupling housing 320 can be rotated 180 degrees in both directions based on one end of the safety bar 200 when the main housing 310 is fixed.

즉, 도 6에서 스토퍼(341)의 단부가 우측을 향한 상태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되었으나, 스토퍼(341)의 단부가 우측을 향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하다.That is, in FIG. 6, the end of the stopper 341 is rotated to face downward in the state facing to the right, but it is possible to rotate so that the end of the stopper 341 faces upward in the state to the right.

결과적으로 스토퍼(341)가 삽입 슬릿(13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걸이봉(340)이 삽입 슬릿(131)을 빠져 나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7 참조).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as the stopper 341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insertion slit 131, the hook rod 340 can exit the insertion slit 131 (see FIG. 7).

이때, 탄성부재(330)의 변형 상태를 도 8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자면, 메인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자유단부(311)가 압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으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제1 관통공(210)의 내주면에서 걸이봉(340)이 360도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member 330 in detail through FIG. 8, while the free end 311 is maintained in a compressed state inside the main housing 310, the coupling housing 320 is the main housing 310. ), The hook rod 340 is rotated 360 degre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0.

따라서, 결합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310)과 함께 안전바(200)와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토퍼(341)가 삽입 슬릿(13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housing 32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afety bar 200 together with the main housing 310, and the stopper 341 can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insertion slit 131. .

이하, 위와 같은 동작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작업장 적용 실시 상태를 도 9를 통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te of application of a workshop of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의 작업장 사용 실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다.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working state of a workshop using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다수개의 비계 기둥(P1, P2, P3)을 건물 외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As shown in Figure 9, in the method of installing a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P1, P2, P3)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그 다음 다수개의 비계 기둥(P1, P2, P3)을 가로지르도록 다수개의 비계 기둥(P1, P2, P3)의 제1 높이에 제1 비계 발판(S1)을 설치하고, 다수개의 비계 기둥(P1, P2, P3)을 가로지르도록 제1 높이보다 높은 다수개의 비계 기둥(P1, P2, P3)의 제2 높이에 제2 비계 발판(S1)을 설치하여 건물 외벽에서 작업 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설치한다.Then, the first scaffolding scaffold (S1) is installed at the first height of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columns (P1, P2, P3) so as to cross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columns (P1, P2, P3), and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columns (P1) , P2, P3) by installing a second scaffolding scaffold (S1) at a second height of a plurality of scaffolding columns (P1, P2, P3)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o create a working space that can work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stall it.

그리고 제1 비계 발판(S1)과 상기 제2 비계 발판(S2)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비계 기둥(P1, P2, P3) 각각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 브라켓(100)을 장착한다.In addition, a fixed bracket 100 is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pillars P1, P2, and P3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caffolding scaffold S1 and the second scaffolding scaffolding S2.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 어셈블리(300)가 관통된 안전바(200)를 연속적으로 장착하여, 제1 작업공간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설치할 수 있다.The safety bar 200 through which the coupling assembly 300 is penetrated is continuously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100, and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the safet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first working space.

위와 같은 단계를 걸쳐 제1 작업공간에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제2 작업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법은 걸림 돌기(332)를 눌러서 메인 하우징(310)과 결합 하우징(320)의 고정 상태를 분리하고, 결합 어셈블리(300)를 회전시켜 삽입 슬릿(131)과 스토퍼(341)의 형태를 일치시켜 걸이봉(340)을 고정 브라켓(100)으로부터 제거한다(1).The method for moving the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the safety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installed in the first workspace to the second workspace through the above steps, presses the locking protrusion 332 and the main housing 310 and the coupling housing 320 ), And the coupling assembly 300 is rotated to match the shape of the insertion slit 131 and the stopper 341 to remove the hook rod 340 from the fixing bracket 100 (1).

그 다음 안전바(200)의 고정된 일측 제2 관통공(220)을 축으로 제2 비계 발판(S2)을 향해 안전바(200)를 회전시킨다(2).Then, the safety bar 200 is rotated toward the second scaffolding scaffold S2 about the fixed one side second through hole 220 of the safety bar 200 (2).

마지막으로 회전된 안전바(200)를 제2 비계 발판(S2)과 제2 비계 발판(S2)에서 일정 높이 상부에 설치될 제3 비계 발판(미도시)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100)에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제1 작업공간에서 제2 작업공간으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The last rotated safety bar 200 is fixed to the fixed bracket 100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caffolding scaffolding (S2) and the third scaffolding scaffolding (not shown) to b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above the second scaffolding scaffolding (S2). By mounting, the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the safety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from the first workspace to the second workspac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건물의 공사과정에서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난간을 조립식으로 탈부착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양 단부의 조립 및 조립 해제를 통해 난간을 소지하지 않고 층간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the safet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railing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building through simple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capable of moving between layers without carrying a railing through assembly and disassembly of both end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 비계 기둥 300: 결합 어셈블리
S: 비계 발판 310: 메인 하우징
100: 고정 브라켓 311: 규제판
110: 기둥 고정부 312: 규제핀
111: 고정공 313: 제1 걸이공
120: 공간 확보부 314: 가이드 레일
130: 걸림 결합부 320: 결합 하우징
131: 삽입 슬릿 321: 제2 걸이공
132: 위치 고정부 322: 가이드 돌기
200: 안전바 330: 탄성부재
201: 메인바 331: 자유단부
202: 제1 결합바 332: 걸림 돌기
203: 제2 결합바 340: 걸이봉
210: 제1 관통공 341: 스토퍼
220: 제2 관통공
P: Scaffold column 300: Coupling assembly
S: Scaffolding scaffolding 310: Main housing
100: fixing bracket 311: regulatory plate
110: pillar fixing portion 312: regulatory pin
111: fixed ball 313: first hook ball
120: space securing portion 314: guide rail
130: engaging portion 320: engaging housing
131: insertion slit 321: second hook
132: position fixing portion 322: guide projection
200: safety bar 330: elastic member
201: Main bar 331: Free end
202: first coupling bar 332: jam projection
203: second coupling bar 340: hook rod
210: first through hole 341: stopper
220: second through hole

Claims (8)

건물 외벽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비계 기둥;
상기 비계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삽입 슬릿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비계 기둥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 되고, 상기 삽입 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의 양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 슬릿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봉이 구비되는 결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A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building exterior wall;
A fixed bracket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 pillar, and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lit opening toward one side;
A safety bar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xing bracket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ing pillar, and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lit; And
It comprises a coupling assembly that is rotatably coupl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xing bracket with respect to the safety bar, and is provided with a hook rod that selectively penetrates the insertion slit through the through hole.
Prefab railing with safety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비계 기둥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기둥 고정부;
일단이 상기 기둥 고정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결합 어셈블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공간 확보부; 및
상기 공간 확보부의 타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되는 상기 삽입 슬릿이 중심에 형성되는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bracket,
A pillar fixing part fixed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pillar;
A space securing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ixing par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assembly;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slit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space securing portion, open toward the upper side
Prefab railing with safety b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어셉블리는,
상기 안전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레킷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면이 개구되고, 상기 제1걸이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결합 하우징;
한 쌍의 자유단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에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걸이공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부재;
일단이 상기 결합 하우징의 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 및 삽입 슬릿에 삽입되는 걸이봉; 및
상기 걸이봉의 일측에 상기 걸이봉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According to claim 2,
The binding assembly,
A main housing in which a first hook hole formed through the safety bar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rface is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xing bracket, and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 coupling housing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main housing, a second hang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anging hole, and slidingly moun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main housing;
An elastic member that is formed to have a pair of free ends,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the free ends, and to form locking projection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hook ho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oupling housing, the other end is formed extending toward the through-hole hook ro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and the insertion slit;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rod on one side of the hook rod
Prefab railing with safety b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공간 확보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상기 걸림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가 걸어져 상기 안전바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According to claim 3,
The fixing bracke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fixing portion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pace securing portion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the stopper is engag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afety bar
Prefab railing with safety b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결합 하우징이 상기 안전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According to claim 3,
Each of both sides of the main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tricting portion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bar
Prefab railing with safety ba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안전바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 하우징에 형성되는 규제판; 및
상기 규제판과 반대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 하우징에 상기 안전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규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The method of claim 5,
The regulation unit,
A regulation plate formed on the main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safety ba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pin install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bar in the main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trol plate
Prefab railing with safety ba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을 건물 외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의 제1 높이에 제1 비계 발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의 제2 높이에 제2 비계 발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비계 발판과 상기 제2 비계 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다수개의 비계 기둥 각각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고정 브라켓에 상기 결합 어셈블리가 관통된 상기 안전바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설치 방법.
In the method of installing a prefab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nstalling the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stalling a first scaffolding scaffold at a first height of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pillars to cross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pillars;
Installing a second scaffolding scaffold at a second height of the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o cross the plurality of scaffold pillars;
Attaching the fixing bracke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pillar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caffolding scaffold and the second scaffolding scaffolding;
And mounting the safety bar through which the coupling assembly penetrates the fixing bracket.
Method of installing a prefabricated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청구항 7에 따른 설치된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을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를 눌러서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결합 하우징의 고정 상태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결합 어셈블리를 회전시켜 상기 삽입 슬릿과 상기 스토퍼의 형태를 일치시켜 상기 걸이봉을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상기 안전바의 고정된 일측 관통공을 축으로 제2 비계 발판을 향해 상기 안전바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된 안전바를 제2 비계 발판과 제3 비계 발판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이동 방법.
In the method for moving the prefabricated railing comprising a safety bar according to claim 7,
Separating a fixed state of the main housing and the coupling housing by pressing the locking projection;
Rotating the coupling assembly to match the shape of the insertion slit and the stopper to remove the hook rod from the fixing bracket;
Rotating the safety bar toward a second scaffolding scaffold about a fixed one side through hole of the safety bar; And
And mounting the rotated safety bar to a fixed bracket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caffolding and the third scaffolding.
Method of moving a prefab railing including a safety bar.
KR1020180121233A 2018-10-11 2018-10-11 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 KR1021569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33A KR102156973B1 (en) 2018-10-11 2018-10-11 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33A KR102156973B1 (en) 2018-10-11 2018-10-11 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47A true KR20200041147A (en) 2020-04-21
KR102156973B1 KR102156973B1 (en) 2020-09-16

Family

ID=7045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33A KR102156973B1 (en) 2018-10-11 2018-10-11 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97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4374A (en) * 2008-12-17 2010-07-01 Sankyo:Kk Erection member for temporary structure
JP2016216923A (en) * 2015-05-15 2016-12-22 朝日ウッドテック株式会社 End part installing structure and end part installing metal fitting of handrail b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4374A (en) * 2008-12-17 2010-07-01 Sankyo:Kk Erection member for temporary structure
JP2016216923A (en) * 2015-05-15 2016-12-22 朝日ウッドテック株式会社 End part installing structure and end part installing metal fitting of handrail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973B1 (en)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4731A (en) Apparaurs for constructing slab of building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90113468A (en)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with locker
KR20200041147A (en) Prefabricated handrail with safety bars
KR20190022287A (en) Fixing device for construction protective net
KR101879679B1 (en) Fixing device for construction protective net
KR100828576B1 (en) Railing for moveable scaffolding frame
KR20200098233A (en) Safe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KR200314392Y1 (en) Fixing devices for Sprinkler flexible joint
KR102420849B1 (en) Safety rope fixing mechanism for coupling a clamp
KR20170000701U (en) Building vertical safety net
KR10159693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install bracket of dropping prevention net
KR101702221B1 (en) Assembly style installations assemblies materials
JP2014043678A (en) Metal fitting for attaching safety prop to form
KR100607681B1 (en) Install structure of net that prevent fall
KR102291060B1 (en) Window frame fixed safety net bracket assembly
JP4909291B2 (en) Scaffolding frame
KR102374490B1 (en) Easy-to-install safety structure for construction work
KR200447408Y1 (en) Fixer for a reinforcing rod safety bar
JP3523140B2 (en) Roof safety device
KR102339689B1 (en) Safety Net Assembly for Window Construction and Window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07279404A (en) Guard for preventing accidental fall of scaffolding
KR200300595Y1 (en) Scaffolding equipment
KR200471957Y1 (en) Install bracket of dropping prevention net with easy construction
KR200267827Y1 (en) A clamp device for safety porch pipe of gang form of construct
JP6971474B2 (en) Baseboard for scaff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