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40A -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40A
KR20200041140A KR1020180121222A KR20180121222A KR20200041140A KR 20200041140 A KR20200041140 A KR 20200041140A KR 1020180121222 A KR1020180121222 A KR 1020180121222A KR 20180121222 A KR20180121222 A KR 20180121222A KR 20200041140 A KR20200041140 A KR 2020004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unit
main body
garba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수
최진세
곽노순
Original Assignee
최정수
곽노순
최진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수, 곽노순, 최진세 filed Critical 최정수
Priority to KR102018012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140A/en
Publication of KR2020004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9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a multi-box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e multi-box (100) comprising: a main body unit (110) wherein at least one inlet (112) to which the garbage is input is formed at one side and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input garbage input through the inlet (112)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and at least one display unit (120) installed at least on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110) and displaying image contents.

Description

쓰레기 투입 가능한 멀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박스관리시스템{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쓰레기 투입 가능한 멀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박스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ox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쓰레기를 모으는 용기로서, 모인 쓰레기를 쉽게 버릴 수 있게 하거나,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냄새가 나는 쓰레기에서 냄새를 없애거나, 쓰레기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이런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통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a trash can is a container for collecting garbage, and it adds various functions such as easily disposing of collected garbage, removing odor from smelly garbage such as food waste, or reducing the volume of garbag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 techniques for various types of waste bins.

한국등록특허 제1445128호(특허문헌 1)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봉투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내부에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투입구가 형성된 쓰레기통 몸체; 및 상기 투입구에 위치하고 쓰레기통 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되는 비닐봉투 파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비닐봉투 파괴수단은 상기 투입구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형성된 테두리 벽과, 상기 테두리 벽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고 날카로운 끝단을 갖는 다수의 파괴부와, 상기 다수의 파괴부를 상기 테두리 벽과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이 제공된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445128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food waste bin, and relates to a food waste bin that is easy to input food waste contained in a plastic bag. Particularly, a trash bin body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food waste therein and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the receiving space; And a plastic bag destruction means located in the inle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trash bin body, wherein the plastic bag destruction means is a border wall formed corresponding to the border of the inlet and a sharp end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border wall. It is provided with a food waste bi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breaking parts, and a connection structur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reaking parts to the edge wall.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6119호(특허문헌 2)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쓰레기통의 구조를 개조하여 설치공간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각종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모을 수가 있으며, 쓰레기통을 비우는 작업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층으로 구성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재활용 쓰레기가 채워지도록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한쪽이 개방되고, 측면에는 운반용 회동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손잡이 주변에 일정높이의 회동손잡이 커버 벽이 형성된 쓰레기통 몸체와, 상기 쓰레기통 몸체의 개방된 한쪽을 소정 개폐 부재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하며 개폐하는 개폐 부재와, 상기 쓰레기통 몸체를 측면접촉에 의해 수직으로 적층하기 위한 적층수단과, 상기 적층수단에 의해 상기 쓰레기통 몸체를 적층할 때 상기 쓰레기통 몸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그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최하단에 위치하는 쓰레기통 몸체에 소정 받침대 탈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하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6119 (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trash bin,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parate and collect various kinds of garbage, without having to be greatly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by remodeling the structure of the trash bin. The work also relates to a multi-layered trash can that can be easily made. The configuration form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so that the recycled waste is filled, one side is opened, and a side rotation handle is installed on the side, and the body of the trash box is formed with a cover wall of a certain height around the rotation handl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ich rotates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ed one by a predetermined opening and closing member rotation means, stacking means for vertically stacking the trash bin body by side contact, and stacking the trash bin body by the stacking means.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support the body inclin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pedestal to be attached and detached by a predetermined pedestal detachable means to the bottom of the trash can body.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쓰레기통은 노상에 설치되는 경우 불특정 다수에 의해 사용되기 때문에 쉽게 더러워지고 냄새 나며 관리가 쉽지 않아 길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rash can has a problem in spoiling the aesthetics of the roadside because it is easily dirty, smells, and is difficult to manage because it is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hen installed on a street.

또한, 종래의 쓰레기통은 단순히 쓰레기 투입구와 쓰레기보관통으로 구성되어 있어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용도 이외에는 특별한 기능이 부가되지 못해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ash can is simply composed of a trash inlet and a trash storage bi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ecial function is not added except for the purpose of disposing of the waste, so that the efficiency is poo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용도 이외에도 방범, 동영상 재생을 통한 다각적인 광고, 멀티박스관리를 위한 유무선통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박스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putting in garbage, multi-box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crime prevention, multi-faceted advertisement through video playback,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multi-box management And to provide a multi-box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기순환용 팬을 설치함으로써 멀티박스의 과열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공기순환용 팬을 통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투입된 쓰레기로 인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멀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박스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multi-box by installing a fan for air circulation therein to enable stable operation and effectively discharge the inside air through the fan for air circulation to effectively smell the waste. It is to provide a multi-box that can be reduced and a multi-box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측에 쓰레기가 투입되는 하나 이상의 투입구(112)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투입구(112)로 투입된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되어 영상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inlets 112 into which waste is introduced is formed on one side,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garbage introduced into the inlets 112 is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be; Disclosed is a multi-box (100) characterized by including one or more display units (120)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display image content.

상기 본체부(110)에는 일반쓰레기가 투입되는 제1투입구(112a)와 재활용쓰레기가 투입되는 제2투입구(112b)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with a first inlet 112a to which general waste is input and a second inlet 112b to which recycled waste is input.

이때,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투입구(112a)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투입구(112b)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ccommodation space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garbage input through the first inlet 112a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garbage input through the second inlet 112b is accommodated. have.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제1수용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수용용기부(114)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수용용기부(1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box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container portion 114 detachably moun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container portion 116 detachably mount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It can contain.

상기 영상컨텐츠는,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일 수 있다.The video content may be a video inclu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순환을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 하측에 설치되는 공기순환부(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box 100 may further include an air circulation unit 130 installed under the accommodation space for air circulation inside the main body 110.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box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ight-emitting unit 140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멀티박스(100) 주변의 상황을 촬상하거나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box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amera unit 150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capture or photograph a situation around the multi-box 100. .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수용량감지부(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box 100 may further include a capacity detection unit 160 that detects the amount of garbag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멀티박스(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멀티박스제어부(1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box 100 may further include a multi-box control unit 17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ulti-box 100.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박스(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박스(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멀티박스(100)를 관리하는 멀티박스관리서버(10)를 포함하는 멀티박스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multi-box 100 and; Disclosed is a multi-box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that i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multi-box 100 through a network and manages the multi-box 100.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박스관리시스템은,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용도 이외에도 방범, 동영상 재생을 통한 다각적인 광고, 멀티박스관리를 위한 유무선통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ulti-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ulti-box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have the advantages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crime prevention, multi-faceted advertisement through video playback,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for multi-box management,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injecting garbage.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박스관리시스템은, 내부에 공기순환용 팬을 설치함으로써 멀티박스의 과열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공기순환용 팬을 통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투입된 쓰레기로 인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ulti-box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by installing an air circulation fan inside, prevents overheating of the multi-box, enables stable operation, and provides air inside through the air circulation fan. By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smell caused by the input w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박스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박스관리시스템의 멀티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는, 도 2의 멀티박스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a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e의 B-B'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ulti-box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box of the multi-box management system of FIG. 1.
3A to 3 are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 left side view, a rear view, and a plan view of the multi-box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A.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3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관리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ulti-box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박스(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박스(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멀티박스(100)를 관리하는 멀티박스관리서버(10)를 포함한다.Multi-box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t least one multi-box 100 and; And a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multi-boxes 100 through a network to manage the multi-box 100.

상기 멀티박스(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쓰레기가 투입되는 하나 이상의 투입구(112)가 형성되며 내부에 투입구(112)로 투입된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되어 영상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ulti-box 100, as shown in FIGS. 2 to 5, one or more inlets 112 through which garbage is introduced are formed on one side,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garbag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112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The main body 110 to be; One or more display units 120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dy unit 110 to display image content may be included.

상기 본체부(110)는, 일측에 쓰레기가 투입되는 하나 이상의 투입구(112)가 형성되며 내부에 투입구(112)로 투입된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a housing in which one or more inlets 112 into which garbage is introduced is formed on one side, and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garbag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112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may b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

예로서, 상기 본체부(110)는, 금속재질에 내식성 있는 부재가 코팅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coated with a corrosion-resistant member or made of a p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단일한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의 결합(볼팅, 용접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 may be made of a single member or may be configured by coupling (bolting, welding, etc.) a plurality of members as shown in FIG. 2.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투입된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로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as long as it can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rash introduced therein is accommodated.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본체부(110)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을 이룰 수 있다.When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may have a convex upward dome shape as illustrated in FIG. 2.

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에 의도하지 않은 쓰레기나 물건이 불법적으로 투기되어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미관상 이점을 가질 수 있다.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unintentional waste or objects from being illegally dumped and lef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have an aesthetic advantage.

상기 본체부(110)에는 쓰레기 투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투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inlets 112 for the input of garbag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에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쓰레기가 투입되는 제1투입구(112a)와 재활용쓰레기가 투입되는 제2투입구(112b)가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B and 3C,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inlet 112a into which general waste is input and a second inlet 112b into which recycled waste is input. have.

공간활용도를 위하여, 상기 제1투입구(112a)가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형성될 때, 상기 제2투입구(112b)는 제1투입구(112a)가 형성되는 일측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space utilization, when the first inlet 11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second inlet 112b faces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first inlet 112a is formed. Is preferably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투입구(112a)와 상기 제2투입구(112b)가 서로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t is of course possible that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are formed on the same side.

상기 제1투입구(112a) 및 제2투입구(112b)는,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크기라면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투입구(112a)와 제2투입구(112b)의 구분을 위하여 제1투입구(112a)와 제2투입구(112b)가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as long as the size of the garbage can be injected, and distinguish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For thi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nd sizes.

다만, 상기 제1투입구(112a) 및 제2투입구(112b)는, 사용자의 쓰레기 투입 시 편의를 위해 본체부(110)의 상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for convenience when the user inputs garbage.

예로서, 상기 제1투입구(112a)가 수평방향의 슬릿형상의 개구로 이루어질 때, 상기 제2투입구(112b)는 재활용쓰레기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플라스틱 병이나 용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수평방향의 슬릿형상에 더하여 중앙부가 상하로 확장된 +자 형상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inlet 112a is made of a slit-shaped open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inlet 112b takes a shape of a plastic bottle or container occupying the majority of recycled waste and takes a horizontal slit shape.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may be formed of a + -shaped opening extending up and down.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은, 제1투입구(112a)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제2투입구(112b)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garbage input through the first inlet 112a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accommodation in which garbage input through the second inlet 112b is accommodated. It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서로 불균등한 크기로 구획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re preferably divided into the same size as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vided into uneven sizes as necessary.

이때, 상기 멀티박스(100)는, 제1수용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수용용기부(114) 및 제2수용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수용용기부(1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ulti-box 100, 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4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6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additionally It can contain.

상기 제1수용용기부(114) 및 제2수용용기부(116)는, 공간활용을 위하여 각각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4 and 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6 are formed in shap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the second receiving space, respectively, for space utilization.

상기 제1수용용기부(114)는 제1수용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투입구(112a)로 투입된 일반쓰레기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4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to accommodate a general waste input into the first inlet 112a,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로서, 상기 제1수용용기부(114)는, 상부가 개방되어 제1투입구(112a)와 연통되는 용기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용용기부(114)의 상부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스커트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4 may be a container with an upper portion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let 112a. A ski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4 to facilitate detachment.

상기 제2수용용기부(116)는 제2수용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투입구(112b)로 투입된 재활용쓰레기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6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to accommodate the recycled waste inputted into the second inlet 112b,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로서, 상기 제2수용용기부(116)는, 상부가 개방되어 제2투입구(112b)와 연통되는 용기일 수 있다. 상기 제2수용용기부(116)의 상부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스커트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6 may be a container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let port 112b. A ski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16 to facilitate detachment.

본 발명은, 일반쓰레기가 수용되는 제1수용용기부(114)와 재활용쓰레기가 수용되는 제2수용용기부(116)가 별도 공간에 마련됨으로써, 재활용쓰레기를 재분류하기 위해 투입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4 for receiving general waste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16 for accepting recycled waste are provided in separate spaces, manpower and time input to re-classify the recycled waste are provided. It has the advantage of saving.

한편, 상기 본체부(110)의 수용공간 하측에는 후술하는 공기순환부(130) 및 멀티박스제어부(170)의 설치를 위한 보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n auxiliary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air circulation unit 130 and the multi-box control unit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main body 110.

상기 수용공간 및 보조공간 사이에는 수용공간과 보조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119)가 설치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A compartment 119 for partitioning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auxiliary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auxiliary space, but is not essential.

상기 구획부(119)는, 수용공간과 보조공간을 구획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예로서 상술한 제1수용용기부(114) 및 제2수용용기부(116)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강성이 있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partment 119 is configured to div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auxiliary space,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above-described first accommodation part 114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116 are supported. It can be made of a rigid plate to form.

한편, 상기 본체부(110)에는 내부에 쓰레기를 비우기 위한 개폐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n opening / closing portion 118 for emptying garbage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상기 개폐부(118)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본체부(110)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8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a desig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such that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is opened. It is not limited.

또한, 상기 개폐부(118)에는 잠금장치(118a)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 118a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8.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개폐부(118)가 본체부(110)의 전면부, 측면부 또는 배면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내부의 제1수용용기부(114) 및 제2수용용기부(116)는 탈착을 위해 슬라이딩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118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side portion, or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In this case, 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4 and 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6 may be installed in a sliding manner for removal.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하측면에는 본체부(110)를 지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3)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portion 113 for supporting the body portion 110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본체부(1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되어 영상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display various image contents,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nd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120 ).

여기서, 상기 영상컨텐츠는, 움직이는 이미지(동영상)나 움직이지 않는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며, 다양한 정보(광고, 날씨, 안전정보, 경보 등)를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Here, the video content includes a moving image (video) or a non-moving image, and may be a video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advertisement, weather, safety information, warning, etc.).

예로서, 상기 영상컨텐츠는,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video content may be a video inclu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컨텐츠를 시각적으로 제공함과 함께 소리(사운드)를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120 may visually provide image content and audible sound (sound).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체부(1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body unit 110.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본체부(11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모니터와 영상컨텐츠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에는 디스플레이모니터 설치를 위한 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 display monitor such as an LCD or an LED installed on at least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110 and a video content reproduction unit. At this time, an opening 115 for installing a display monitor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상기 본체부(110)에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정면부, 우측면부, 좌측면부 및 배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main body 110 includes four side surfaces, one or more display units 12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ront, right, lef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110. .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부(120)는 서로 다른 영상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120, each display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different image conten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순환을 위하여 수용공간 하측에 설치되는 공기순환부(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ir circulation unit 130 installed under the accommodation space for air circulation inside the main body unit 110.

상기 공기순환부(130)는,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순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공기순환부(130)는, 회전에 의해 공기순환을 일으키는 팬(fan)과, 팬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can enable air circulation inside the body unit 110. For example, the air circulation unit 130 may include a fan that causes air circulation by rotation, and a rotation driving unit (not shown) for driving rotation of the fan.

상기 공기순환부(130)는, 본체부(110) 내부, 특히 수용공간 하측의 보조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unit 1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particularly in an auxiliary space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이때, 본체부(110)에 구획부(119)를 포함하는 경우, 구획부(119) 및 본체부(110)의 하측면에는 공기순환을 위한 공기순환용개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body part 110 includes the compartment 119, the compartment 119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formed with an air circulation opening 110a for air circulation.

상기 공기순환용개구(110a)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순환부(130)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air circulation opening 110a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ir circulation unit 130.

상기 공기순환부(130)에 의해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순환이 발생되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할 수 있고, 과열이 발생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0)가 고장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ir circulation inside the main body 110 is generated by the air circulation unit 130, and thus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oled, and overheating may cause the display unit 120 to fai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malfunction.

또한, 상기 공기순환부(130)에 의해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insid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air circulation unit 130,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odor generated from garbage contained there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14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상기 발광부(140)는 빛을 발하여 멀티박스(100) 외관을 밝게 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예로서 LED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40 may emit light to brighten the appearance of the multi-box 10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40 may include lighting including an LED element.

방범이나 미관을 위하여 복수의 발광부(140)들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발광부(140)는 각각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140 for crime prevention or aesthetics, and the light emitting units 140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respectively.

예로서, 상기 발광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두운 밤에도 사용자가 투입구(112)나 잠금장치(118a)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2)나 잠금장치(118a)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light emitting part 140 may allow the us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inlet 112 or the locking device 118a even in a dark night. It can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installe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하나 이상의 발광부(140)를 포함함으로써 어두운 장소에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멀티박스(100)의 위치 및 투입구(112)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방범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미관 상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installed in a dark place by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140,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multi-box 100 and the position of the inlet 112, crime prevention It can have an effect,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n aesthetic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멀티박스(100) 주변의 상황을 촬상하거나 촬영하기 위하여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unit 15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n order to image or photograph a situation around the multi-box 100. can do.

상기 카메라부(150)는, 주변상황을 촬상하거나 촬영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예로서 동영상촬영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50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as long as it is capable of capturing or photographing surrounding condition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video photographing device and a memory.

상기 카메라부(150)는, 촬상이나 촬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부(110)의 측면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예로서, 발광부(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쓰레기를 투입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하거나 촬영하기 위하여 투입구(112)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15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10 in order to facilitate imaging or photographing. For example, the camera unit 15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140, preferably Can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112 to image or photograph the appearance of the user who injects the garbage.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카메라부(150)를 포함함으로써, 멀티박스(100)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CCTV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5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CCTV function for a space in which the multi-box 100 is installed can also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수용량감지부(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pacity sensing unit 160 that detects the amount of garbag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수용량감지부(160)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 특히 제1수용용기부(114) 및 제2수용용기부(116)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센싱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적용된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capacity detecting unit 16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if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amount of was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 particular, the amount of waste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114 and 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116. , Various sensing methods may be applied, and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according to the applied methods.

예로서, 상기 수용량감지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수용용기부(114) 및 제2수용용기부(116)에 수용된 쓰레기 상면까지의 거리를 통해 쓰레기 양을 감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한 거리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pacity detecting unit 160, as shown in Figure 5,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4 and 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portion 116 In order to detect the amount of garbage through the distan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arbage accommodated in it, it may be configured as a distance sensor us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예로서, 상기 수용량감지부(160)는, 쓰레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쓰레기 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로 구성되거나, 제1수용용기부(114) 및 제2수용용기부(116)와 쓰레기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로 구성되거나, 쓰레기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전류의 흐름을 이용해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전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xample, the capacity detecting unit 160 is composed of a weight sensor for sensing the weight of the waste and sensing the amount of waste, or 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114 and 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116 ) May be configured as a contact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garbage is in contact, or may be configured as a current sensor that senses the amount of garbage by using a current flow depending on the amount of garbage.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수용량감지부(160)를 통해 멀티박스(100)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된 쓰레기를 비워야 할 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멀티박스(100)의 관리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amount of garbage stored inside the multi-box 100 through the capacity detecting unit 16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time when the received garbage should be emptied,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erform the management of the box 100 hygienically and efficiently.

한편,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멀티박스(100)는, 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어 멀티박스(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멀티박스제어부(1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ulti-box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multi-box control unit 17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ulti-box 100.

상기 멀티박스제어부(170)는, 멀티박스(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multi-box control unit 170 is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ulti-box 100,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nd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according to design.

예로서, 상기 멀티박스제어부(170)는, 본체부(110) 수용공간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제1수용용기부(114) 및 제2수용용기부(116)'와 공기순환부(1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ulti-box control unit 170 may be installed in an auxiliary space formed below the main body 110 accommodating space, an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ceiving container 114 and the second receiving container unit ( 116) 'and the air circulation unit 130.

상기 멀티박스제어부(17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20), 공기순환부(130), 발광부(140), 카메라부(150) 및 수용량감지부(160)의 작동, 카메라부(150) 및 수용량감지부(160)로부터의 정보수신, 디스플레이부(120), 공기순환부(130), 발광부(140), 카메라부(150) 및 수용량감지부(160)에 대한 제어신호를 위한 구성으로 회로적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The multi-box control unit 170, the above-described display unit 120, air circulation unit 130, the light emitting unit 140,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150 and the capacity detection unit 160, the camera unit 150 And configuration for control signals for the reception of information from the capacity sensing unit 160, the display unit 120, the air circulation unit 130, the light emitting unit 140, the camera unit 150, and the capacity sensing unit 160. As a result, it may correspond to a circuit configur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박스제어부(170)는, 외부 단말이나 후술하는 멀티박스관리서버(10)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카메라부(150) 및 수용량감지부(160)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디스플레이부(120), 공기순환부(130), 발광부(140), 카메라부(150) 및 수용량감지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제어신호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ulti-box control unit 170, an external terminal or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to be described later, the camera unit 150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pacity detection unit 160 A control signal forming unit that form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e display unit 120, the air circulation unit 130, the light emitting unit 140, the camera unit 150, and the capacity sensing unit 160 It can contai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멀티박스제어부(170)는 통신부를 통해 후술하는 멀티박스관리서버(10)로부터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될 영상컨텐츠 또는 사운드컨텐츠를 수신(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ulti-box control unit 170 receives (downloads) the image content or sound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from the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display unit 120. Through thi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 can be formed.

또한, 상기 멀티박스제어부(170)는, 카메라부(150) 또는 수용량감지부(16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부를 통해 후술하는 멀티박스관리서버(10) 또는 외부 단말에 송신(업로드)하여 멀티박스(100)의 쓰레기 양이나 멀티박스(100)가 설치된 공간의 상황이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box control unit 170 receive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camera unit 150 or the capacity sensing unit 160 and transmits (uploads) it to the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or an external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y doing so, the amount of garbage in the multi-box 100 or the situation in the space where the multi-box 100 is installed can be managed.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0), 공기순환부(130), 발광부(140), 카메라부(150), 수용량감지부(170) 및 멀티박스제어부(17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전원부는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을 통해 발전하는 태양광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전력공급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multi-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20, an air circulation unit 130, a light emitting unit 140, a camera unit 150, a capacity detection unit 170, and a multi-box.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box control unit 170. For example, the power unit may include a photovoltaic generator that is generated through a photovoltaic panel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power supply methods may be applied.

상기 멀티박스관리서버(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박스(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멀티박스(100)를 관리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multi-box 100 through a network,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o manage the multi-box 100.

상기 멀티박스관리서버(10)는,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장치, 네트워크인터페이스,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may include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device, a network interface, an input device and an output device.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박스제어부(170)와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멀티박스관리서버(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박스(10)이외에도 멀티박스(10)의 관리자의 관리자단말(휴대폰과 같은 사용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관리자가 멀티박스(100)의 상태를 관리하거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to the multi-box control unit 170 through a network,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adapter for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Although not shown, the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may be connected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f the administrator of the multi-box 10 in addition to at least one or more multi-boxes 10, through which the administrator A can manage the state of the multi-box 100 or control the operation.

상기 저장장치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멀티박스관리서버(10)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be used to store data required for the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상기 멀티박스관리서버(1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통해 멀티박스(100)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고 멀티박스(100) 및 관리자단말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may pro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ing the multi-box 100 through a processor and a memory, and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multi-box 10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여기서, 멀티박스(100) 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영상컨텐츠, 사운드컨텐츠,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상/촬영된 이미지, 수용량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쓰레기 양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the multi-box 100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video content, sound content, images captured /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50, and the amount of garbage detected through the capacity sensing unit 160. Can.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above is merely a description of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so, as is well know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together with the fundamental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멀티박스관리서버 100 : 멀티박스
110: 본체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공기순환부 140: 발광부
150: 카메라부 160: 수용량감지부
10: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0: multi-box
110: main body 120: display unit
130: air circulation unit 140: light emitting unit
150: camera unit 160: capacity detection unit

Claims (10)

일측에 쓰레기가 투입되는 하나 이상의 투입구(112)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투입구(112)로 투입된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되어 영상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A body part 110 in which one or more inlets 112 through which waste is introduced are formed on one side,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wastes introduced into the inlets 112 are accommodated is formed;
Multi-box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display units (120)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display image cont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에는 일반쓰레기가 투입되는 제1투입구(112a)와 재활용쓰레기가 투입되는 제2투입구(112b)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투입구(112a)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투입구(112b)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 first inlet 112a to which general waste is input and a second inlet 112b to which recycled waste is input,
The accommodation space includes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garbage input through the first inlet 112a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garbage input through the second inlet 112b is accommodated. Multi-box (10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제1수용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수용용기부(114)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수용용기부(11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ulti-box 100,
Multi-bo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receiving portion (114) detachably mounted to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116) detachably mounted 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컨텐츠는,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content is a multi-box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containing advertising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순환을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 하측에 설치되는 공기순환부(1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box 100,
Multi-box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ir circulation unit (130) installed under the accommodation space for air circulation inside the main body (1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1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box 100,
Multi-box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light-emitting unit 14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멀티박스(100) 주변의 상황을 촬상하거나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box 100,
Multi-box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camera unit (15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n order to image or photograph the situation around the multi-box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수용량감지부(1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box 100,
Multi-box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pacity detection unit 160 for detecting the amount of garbag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100)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멀티박스(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멀티박스제어부(17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박스(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box 100,
Multi-box 10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ulti-box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box 10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박스(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박스(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멀티박스(100)를 관리하는 멀티박스관리서버(10)를 포함하는 멀티박스관리시스템.
At least one multi-box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Multi-box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ulti-box management server 10 for managing the multi-box 100 i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multi-box 100 and a network.
KR1020180121222A 2018-10-11 2018-10-11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2000411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22A KR20200041140A (en) 2018-10-11 2018-10-11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22A KR20200041140A (en) 2018-10-11 2018-10-11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40A true KR20200041140A (en) 2020-04-21

Family

ID=7045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22A KR20200041140A (en) 2018-10-11 2018-10-11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14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44B1 (en) 2022-04-13 2022-12-08 주식회사 결실건축디자인 Multi-function multi-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44B1 (en) 2022-04-13 2022-12-08 주식회사 결실건축디자인 Multi-function multi-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2539B2 (en) Electrically-powered programmable waste enclosure
US10185935B2 (en) Smart waste receptacle providing use-incentive
CN106865066B (en) A kind of dustbin of automatic classification Automatic-dumping rubbish
CN109703939A (en) Intelligent garbage recovery system and method
CN212126303U (en)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system
CN110615209A (en) Garbage classification recycling device and garbage classification recycling monitoring system
KR20200041140A (en) Multibox capable of inputting garbage and multibox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11453267A (en) Garbage recycling method, garbage recycling device and garbage recycling unmanned vehicle
CN210853837U (en) Multi-connected-barrel intelligent garbage recycling bin
CN205203927U (en) Intelligence garbage bin with air quality detects function
CN110282283B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garbage collection device
CN218490516U (en) Garbage bin and disposal bag box change suggestion device and controller thereof
JP2012096924A (en) Dust box
KR102412255B1 (en) Recycling waste separation system
CN113148488B (en) Dustbin convenient to rubbish is put in and is retrieved
KR101282543B1 (en) Device for receiving food waste
CN217199979U (en) Intelligent classification garbage bin of ability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categorised rubbish
CN211224875U (en) Classification garbage can
CN205060542U (en) Trample prevention of accident equipment based on intelligence garbage bin
CN216036596U (en)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equipment
CN205060541U (en) Intelligence garbage bin with crowd's density monitor function
CN213230030U (en) Urban environment sanitation administers with multi-functional dustbin that has monitoring function
CN215099721U (en) Intelligent classification recycling garbage can
CN207342806U (en) The recycling bins of beverage bottle can be crushed
CN109775175A (en) A kind of recyclable rubbish coll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