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465A -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 Google Patents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465A
KR20200040465A KR1020180120407A KR20180120407A KR20200040465A KR 20200040465 A KR20200040465 A KR 20200040465A KR 1020180120407 A KR1020180120407 A KR 1020180120407A KR 20180120407 A KR20180120407 A KR 20180120407A KR 20200040465 A KR20200040465 A KR 20200040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us
virtual reality
real space
information
experi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8735B1 (en
Inventor
고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지킹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지킹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지킹덤
Priority to KR102018012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735B1/en
Publication of KR2020004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4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for providing a stimulus in a real space to a virtual reality experiencer.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comprises: a tracking sensor (320) for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osition of a virtual reality experiencer; a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a stimulus in a real space by using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tracking sensor (320) and stimulus information in a virtual space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scenario; and a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100) that provides the stimulus in the real space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based on dire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in the real space determin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Description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본 발명은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가상현실에서의 자극을 현실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현실 자극을 가하는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that applies reality stimuli so that stimuli in virtual reality can be felt in reality.

근래들어 시각 중심으로 발전해오던 가상현실 시스템에 청각, 촉각, 후각 등과 같은 다양한 감각을 더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상호작용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실제 환경과 유사하게 물체가 피부에 닿았을 때 느끼게 되는 촉감 정보(tactile), 중력감 및 반력감(force-feedback)과 같은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에 의하여 제시되는 근감각 정보가 제시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근래들어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시각적 자극 이외의 감각을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 체험자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이 몰입형 가상현실(Immersive VR)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다. 특히 3-D 영화관에서는 관객에게 3-D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컨텐츠의 진행에 따라 관객에서 물을 분사하거나 강한 바람을 일으켜서 관객의 몰입도를 높이려는 기술이 4-D 체험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시도되고 있다. Recently, a technology (interac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user's immersion by adding various senses such as hearing, tactile sense, and smell to a virtual reality system that has developed into a visual center.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there are active studies that suggest muscle sensation information presented by movements of joints and muscles, such as tactile, gravity, and force-feedback, which are felt when an object touches the skin. Is going on.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technology for increasing the immers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y providing a sense of visual reality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s also called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Immersive VR). In particular, 3-D movie theaters provide a 3-D image to the audience, while attempting to increase the immersion of the audience by spraying water or generating a strong wind as the content progresses. Is becoming.

그렇지만, 이러한 4-D 체험은 주로 제자리에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체험자 또는 관객을 대상으로 물을 분사하거나 바람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소정 공간에서 움직이게 되는 가상현실 게임 체험자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아니하다. 특히, 기존의 4-D 체험 장치에서는 물 또는 바람을 분사하는 장치사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물 또는 바람의 방향이 항상 일정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컨텐츠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상황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체험자의 몰입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However, this 4-D experience is mainly performed by spraying water or blowing wind to an in-situ or standing-in-experiencer or an audience, and is not suitable for applying to a virtual reality game-experiencer moving in a certain space. No In particular, in the existing 4-D experience device, the direction of the water or wind is always constant because the device that sprays water or wind maintains a fixed state at a specific location, which is a situation of an event occurring within the content. In many cases, it does not coincide with, which reduces the immersion of the experienced person.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731 (공개일: 2016.03.09.)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5731 (Publication date: 2016.03.09.) 중국공개특허공보 CN 106991864A (공개일: 2017.07.28.)Chinese Patent Publication No. CN 106991864A (Publication date: 2017.07.28.) 등록특허공보 제10-1722947호 (공고일: 2017.04.0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22947 (Notice: 2017.04.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체험자에게 제공되는 현실 자극의 방향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체험자의 몰입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allowing the orientation and position of the reality stimulus provided to the experiencer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dramatically increasing the immers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현실공간상 자극을 제공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트랙킹 센서(320); 상기 트랙킹 센서(320)로부터 획득한 정보와, 가상현실 컨텐츠 시나리오의 가상공간상 자극 정보를 이용하여, 현실공간상 자극의 방향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처리수단(400); 및 상기 정보처리수단(400)에서 결정된 현실공간상 자극의 방향 및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현실공간상의 자극을 제공하는 물리적 자극 제공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that provides a stimulus in real space to a virtual reality experiencer, the tracking sensor 320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location of the stimulus in the real space,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racking sensor 320 and the stimulus information in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cenario; And a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that provides stimuli in the real space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ased on the dir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i in the real space determin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상기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는, X축 가이드(121); 상기 X축 가이드(121)를 따라서 이동하는 X축 이동대차(160); 상기 X축 가이드(121)와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X축 이동대차(160)에 일단이 고정된 Y축 가이드(122); 상기 Y축 가이드(122)를 따라서 이동하는 Y축 이동대차(170); 및 상기 Y축 이동대차(170)에 부착되되, 상기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현실공간상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the X-axis guide 121; An X-axis moving cart 160 moving along the X-axis guide 121; A Y-axis guide 122 that is vertically disposed with the X-axis guide 121 and fixed at one end to the X-axis moving cart 160; A Y-axis moving cart 170 moving along the Y-axis guide 122; And a stimulation means 150 attached to the Y-axis moving cart 170 and providing stimulation in real space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더 나아가, 상기 자극수단(150)은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물, 바람 또는 스티로폼볼을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stimulation means 150 is characterized by firing water, wind or styrofoam balls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또한, 상기 X축 가이드(121)는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X축 이동대차(16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161); 상기 구동장치(161)의 회전축에 연결되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구동풀리(163); 상기 구동풀리(163)의 돌기와 치합되는 돌기부(169)를 구비하되, 상기 X축 가이드(121)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는 벨트(164); 및 싱기 벨트(164)가 상기 X축 가이드(121)의 오목한 부분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로울러(162)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164)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울러(162)와 맞닿는 면의 이면에 상기 구동풀리(163)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X-axis guide 121 is made of a “H” shape, and the X-axis moving cart 160 includes a driving device 161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A driving pulley 163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device 161 and having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elt 164 having a protrusion 169 engaged with a protrusion of the driving pulley 163, which is disposed in a concave portion of the X-axis guide 121; And a pressing roller 162 for urging the sinker belt 164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of the X-axis guide 121, wherein in the belt 164,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contacting the pressing roller 162.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pulley 163 is in contact.

더 나아가, 상기 정보 처리 수단(200)은, 트랙킹 센서(320)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 및 가상현실 체험자용 디스플레이수단(310)으로부터 얻은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 및 방향을 산출하는, 현실공간상 위치/방향 측정부(410); 가상현실 컨텐츠 시나리오상의 단계에 자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자극이 있을 경우 가상공간상 자극의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가상공간상 자극 정보 산출부(450); 상기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 및 방향 정보, 그리고 상기 가상공간상 자극의 방향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현실공간상 자극/위치 방향을 산출하는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 및 상기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에서 산출된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장치(161)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0 calculat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racking sensor 320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splay means 310 for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The location / direction measurement unit 410 in the real space; A virtual space stimulus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450 that checks whether there is a stimulus at a step 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cenario and, if there is a stimulus, calculates dire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in the virtual space; A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or 420 in the real space that calculates a stimulus / position direction in real space based on the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n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and the dir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timulus on the virtual space; And a driving device control unit 4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device 161 based on the stimulation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in the real space calculated by the stimulation position / direction calculation unit 420.

상기 물리적 자극 제공장치(100)는 상기 가상현실 체험자 주변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물리적 자극 제공장치(100)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rroundings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person, the plurality of physical stimul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또한, 상기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에서 산출된 현실공간상 자극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물리적 자극 제공장치(100) 중 구동하여야할 장치가 선택되고, 상기 자극수단(150)의 이동거리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device to be driven among the plurality of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es 100 is selected based 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in the real space calculated by the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or 420 in the re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stimulation means 150 is determined.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은 현실공간상에서 제공되는 자극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체험자의 몰입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stimuli provided in the real space,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dramatically increasing the immers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의 일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에 구비되는 이동대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복수 개의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된 몰입형 가상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보처리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을 산출해내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shows a physical stimul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mobile cart provided i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phys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device for providing phys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device for providing phys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llustrate an immersive virtual system implemented using a plurality of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s.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in the real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pecific structures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below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에서,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현실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을 현실 세계에서 물리적인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와 더불어 정보 처리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부터 설명을 시작하도록 한다. 2 shows an example of a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real stimulus to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in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100, which is a device for providing physical stimulation in the real world,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The description starts with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physical stimulation, which 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시나리오 내에서,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자극이 가해지는 내용이 있을 경우, 체험자에게 현실로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자극 수단(150)을 X-Y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자극 수단(150)은 체험자를 향하여 물 또는 바람을 분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혹은 가상현실 컨텐츠의 시나리오에 따라서는, 물 또는 바람 대신 스폰지 볼을 발사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물, 에어, 또는 스폰지 볼을 발사하는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기존의 장치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stimulus to a reality in the case where there is content in which a stimulus is applied to a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n a scenario of virtual reality content. It has a structure to move the stimulation means 150 freely in the X-Y direction, and the stimulation means 150 may be a device that sprays water or wind toward an experienced person. Or, depending on the scenario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t may be a device that launches a sponge ball instead of water or wi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eans for launching water, air, or sponge balls is a part to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select and apply an existing device as necessar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지지 프레임(110)이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한 상태에서, X축 가이드(121)가 지지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X축 가이드(121)를 따라서 X축 이동대차(16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되, 다시 X축 이동대차(160)에는 Y축 가이드(122)의 일단이 X축 가이드(122)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Y축 가이드(122)에는 Y축 이동대차(170)가 Y축 가이드(12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Y축 이동대차(170)에는 자극수단(150)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Y축 가이드(122)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Y축 가이드(122)의 타단에는 보조대차(141)가 연결되고, 위 보조대차는 보조 가이드(140)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보조 가이드(140)는 X축 가이드(121)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With the support frame 110 forming the basic skeleton of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the X-axis guide 121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0. It is installed to move the X-axis moving cart 160 along the X-axis guide 121, the end of the Y-axis guide 122 is perpendicular to the X-axis guide 122 on the X-axis moving cart 160 again. It is fixed in the direction, and the Y-axis guide 122 is installed so that the Y-axis moving cart 170 can move along the Y-axis guide 122. In addition, the stimulation means 150 is provided on the Y-axis moving cart 170. Preferably,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Y-axis guide 122, an auxiliary bogie 14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Y-axis guide 122, and the above auxiliary bogie can move along the auxiliary guide 140. do. The auxiliary guide 140 is preferably parallel to the X-axis guide 121.

위 구성에서 자극수단(150)의 X축 위치는 X축 이동대차(160)의 움직임에 의하여, 자극수단(150)의 Y축 위치는 Y축 이동대차(170)의 움직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자극수단(150)의 X-Y 평면상에서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X-axis position of the stimulation means 150 may be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X-axis moving cart 160, and the Y-axis position of the stimulation means 150 may be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Y-axis moving cart 170,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pole means 150 on the XY plane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as necessary.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X축 가이드(122)는 지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Y축 가이드(122)는 X축이동대차(160)의 움직임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Y축 가이드(122)를 지지프레임(110)에 고정시키고, X축 가이드(121)가 Y축 가이드(122)를 따라서 움직이게끔 변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X-axis guide 122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Y-axis guide 122 has been described as being mov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X-axis moving cart 160, however, Converse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Y-axis guide 122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0 and that the X-axis guide 121 may be deformed to move along the Y-axis guide 122.

도 3은 X축 이동대차(160)의 구성을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X축 이동대차(160)에는 구동장치(161) 및 가압로울러(162)가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구동장치(161)로는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축가이드(121)는 단면이 “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X축 가이드(121)의 오목한 부분에 벨트(164)가 놓여지게 된다. 벨트(164)의 하단에는 래크(rack) 형태의 돌기부(169)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구동장치(161)의 회전축에 구비된 구동풀리(163)와 맞닿는다. 그리고 구동풀리(163)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부(169)와 치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동풀리(163)의 회전력이 벨트(164)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그리고 가압로울러(162)가 위 벨트(164)의 상단을 X축 가이드(121) 오목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구동장치(161)의 구동력이 X축 이동대차(160)의 이동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X축 이동대차(160)와 X축 가이드(121)의 결합관계에 의하여 X축 이동대차(160)은 이동시 미끄러짐 없이 정확하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X-axis moving cart 160 in detail. The X-axis moving cart 160 is provided with a driving device 161 and a pressure roller 162. Preferably, as the driving device 161, it is preferable to use a stepping motor that can freely adjust the rotation speed and the number of rotations. . The cross section of the X-axis guide 121 may be formed in a “H” shape, and the belt 164 is placed on the concave portion of the X-axis guide 121. At the bottom of the belt 164, a rack-shaped protrusion 169 is forme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drive pulley 163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device 161.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s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169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pulley 163,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ulley 163 is reliably transmitted to the belt 164. In addition, the pressing roller 162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upper belt 164 in the concave direction of the X-axis guide 121,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61 can be used for the movement of the X-axis moving cart 160. Due to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X-axis moving cart 160 and the X-axis guide 121 as described above, the X-axis moving cart 160 can move accurately without slipping when moving.

Y축 이동대차(170)와 Y축 가이드(122) 역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위 구성에 의하여 구동장치(161)의 구동력이 확실하게 Y축 이동대차(170)의 이동에 이용되게 되고, Y축 이동대차(170)가 Y축 가이드(122)를 따라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비교적 정확한 Y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Since the Y-axis moving cart 170 and the Y-axis guide 122 may als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61 is reliably used to move the Y-axis moving cart 170, and the Y-axis moving cart 170 can stably move along the Y-axis guide 122. , Relatively accurate Y-axis movement is possible without being greatly affected by gravity.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실시예와는 구동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와는 별도로 가이드와 평행한 방향으로 바(bar) 형태의 레크(166)가 구비되고, 구동장치(161)와 연결된 피니온(165)이 직접 레크(166)에 치합되어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161)에 의하여 피니온(165)이 회전하게 되면, 피니온(165)과 레크(166)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온(165)의 회전이 이동대차의 수평 또는 Y축 방향 직선 운동으로 확실하게 변환되게 된다.  4 is a view showing a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different in driving method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 bar 164 in the form of a ba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uid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guide, and the pinion 165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61 is directly engaged to the rack 166. .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pinion 165 is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161, since the pinion 165 and the rack 166 are engaged, the rotation of the pinion 165 is the horizontal or It is reliably converted to linear motion in the Y axis.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동장치(161)가 구동벨트(167)의 일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벨트(167) 자체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벨트(167)의 소정 부분이 이동대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벨트(167) 자체가 움직이면 이와 결합된 이동대차 역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5 shows a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device 161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driving belt 167, the driving belt 167 It rotates itself. Since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riving belt 167 is fixed to the moving cart, when the driving belt 167 itself moves, the moving cart coupled with the driving belt 167 can also mov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의 바람직한 사용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 자체는 자극 수단(150)을 2차원적으로 움직이게 하므로, 하나의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로는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입체적인 자극을 주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가상현실 체험자가 움직이는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를 배치함으로써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입체적인 자극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상현실 시나리오 상에서 가상현실 체험자의 오른쪽에서 바람이 불거나, 혹은 타격이 가해지는 경우, 가상현실 체험자의 실제 오른편에 배치된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에서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현실의 자극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6 and 7 illustrate a preferred use method of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hysical stimul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tself moves the stimulation means 150 in two dimensions, one physical stimul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s not sufficient to give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ree-dimensional stimulation. Therefore, by arranging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in a form surrounding the space where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moves, it is possible to give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three-dimensional stimulation. That is, in a virtual reality scenario, when a wind blows or a blow is appli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provides the stimulus of reality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s don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의 정보처리수단(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서는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와 방향 정보가 필요하다.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of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trol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a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s required.

정보처리수단(400)은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와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를 구동시키는 수단으로서,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방향 측정부(410),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 구동장치 제어부(430), 그리고 가상공간상 자극 정보 산출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is a means for acquir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and driving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the position / direction measurement unit 410 in the re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n the real space It includes a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or 420, a driving unit controller 430, and a stimulus information calculator 450 in virtual space.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방향 측정부(41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기초로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요소로서, 트랙킹 센서(320)를 통하여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스테이지 내에서의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트랙킹 센서(32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된 마커와 복수 개의 카메라를 통하여 구현되거나, 혹은 3차원 카메라(Depth Camera)와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트랙킹 센서(320)는 종래에 사용되는 통상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position / direction measurement unit 410 in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s an element for measur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based on a signal provided from outside,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racking sensor 320 The loca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on the stage is determined. The tracking sensor 32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marker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a plurality of cameras, or may use a method such as a 3D camera. Since the tracking sensor 320 for measuring the reality position of the virtual reality user uses conventional means conventionall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더 나아가, 가상현실 체험자용 디스플레이 수단(310)은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는 요소로서, 통상적으로 HMD(Head Mount Display)가 사용되는데, HMD에는 가상현실 체험자의 시선을 트랙킹(헤드 트랙킹)하기 위한 자이로스코프가 장착되어 있고, 자이로스코프를 통하여 얻어지는 각속도 정보는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방향 측정부(410)로 전달되어, 적분을 통하여 회전각을 계산함으로써 가상현실 체험자가 향하는 방향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display means 310 for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s a factor that provides visual stimulation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and a head mount display (HMD) is usually used, and the HMD tracks the gaz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head tracking). A gyroscope for mounting is installed,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yroscope is transmitted to the position / direction measuring unit 410 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s real space,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is calculated through integration to the direc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d person. Can be used to measure

가상공간상 자극 정보 산출부(450)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시나리오 내에서 어느 단계에 도달했는지를 체크하고, 해당 단계에 외부 자극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만일 시나리오 내의 해당 단계에 자극 요소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가상 공간 상에서 자극의 방향과 위치 정보, 그리고 자극의 강도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In the virtual space, the stimulus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450 checks which stage is reached within the scenario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and monitors whether there is an external stimulus element in the corresponding stag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timulus element at a corresponding step in the scenario, the dire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in the virtual space and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timulus are calculated.

가상공간상 자극 정보 산출부(450)에서 얻어진 가상공간상 자극 방향/위치 정보는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로 보내어져 현실 자극 위치/방향을 얻는데 사용된다. 도 9(a)는 현실 공간에서의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X-Y 좌표로 표시된 공간은 현실공간 내에서의 좌표를 의미하고, 검정색 원은 현실 공간에서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를, 그리고 검정색 원에서 뻗어나온 바(bar)의 방향은 가상현실 체험자의 방향(전면)을 의미한다. 도 9(a)에 표시된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 위치 및 방향은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방향 측정부(410)에 의하여 얻어졌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The stimulus direction / position information in the virtual space obtained from the stimulus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450 in the virtual space is sent to the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or 420 in the real space and is used to obtain the position / direction of the real stimulus. 9 (a) shows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n the real space. Specifically, the space indicated by the XY coordinates means the coordinates in the real space, the black circle represents the loca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n the real space, and the direction of the bar extending from the black circle represents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t means the direction (front). The reality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shown in FIG. 9 (a) are obtained by the position / direction measurement unit 410 in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as described above.

도 9(b)는 가상 공간에서의 자극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X’-Y’좌표로 표시된 공간은 가상 공간 내에서의 좌표를 의미한다. 가상 공간 내에서, 가상공간 체험자의 위치는 항상 원점(중심점)을 유지하게 되고, 자극의 방향은 가상공간 체험자를 중심으로 표현된다. 즉, 도 9(b)에서 자극의 방향(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은 가상공간 체험자를 중심으로 묘사되는데, 예를 들면 자극의 방향은 가상공간 상에서 체험자의 우측후방, 더 자세하게는 체험자의 정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각(Θ)으로 표현될 수 있다. 9 (b) shows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space indicated by the X'-Y 'coordinates means coordinates in the virtual space. In the virtual space, the location of the virtual space experiencer always maintains the origin (center point), and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is expressed around the virtual space experiencer. That is, in FIG. 9 (b),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the arrow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s depicted around the virtual space experiencer,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is based on the right rear of the experiencer in the virtual space, and more specifically, the front of the experiencer. It can be expressed as an angle (Θ) measur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는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방향 정보와,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상공간상 자극 방향/위치 정보를 이용하되, 좌표 변환과 같은 방식에 의하여,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현실자극 위치/방향(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을 도출해 내게 된다. 즉, 가상현실상 체험자의 위치는 현실에서의 체험자의 좌표 상으로 사상되고, 가상현실 상 자극의 방향은 현실 공간에서의 체험자 방향을 원점으로 하여 재계산 된다. 그러면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실에서의 자극의 방향(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이 결정될 수 있다. The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ion unit 420 in the real space includes the position / direction information in the re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as shown in FIG. 9 (a) and the stimulus in the virtual space as shown in FIG. 9 (b). The direction / position information is used, but by the same method as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a realistic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arrowed arrow) as shown in FIG. 9 (c) is derived. That is, in virtual reality, the position of the experienced person is mapped onto the coordinates of the experienced person, and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in the virtual reality is recalculated using the experienced person's direction in the real space as the origin. Then, as shown in Fig. 9 (c),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in reality (the arrow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can be determined.

현실에서의 자극의 방향이 결정되면, 가상현실 체험자를 둘러싸고 있는 복수 개의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들(A,B,C,D) 중 어느 것이 동작하여야할지가 결정될 수 있고,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가 선택되면, 선택된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의 구동장치(161)를 구동하여 자극 수단(150)을 계산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9에서는 예시적으로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D)가 작동하게끔 선택된다. When the direction of stimulation in reality is determined, which of the plurality of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s (A, B, C, D) surrounding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may be operated,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100 When is selected, the driving device 161 of the selected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100 is driven to move the stimulation means 150 to the calculated position. In FIG. 9,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D is selected to be operated by way of example.

다음으로,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에서 현재 자극 수단(150)의 위치와, 자극 수단(150)이 위치해야 하는 위치의 차이(d)가 결정되면, 구동장치 제어부(430)를 통하여 자극 수단(150)이 d만큼 이동하도록 구동장치(161)를 구동하게 된다. Next, when the difference (d) between the position of the current stimulation means 150 and the position where the stimulation means 150 should be located is determined in the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ion unit 420 in real space, the driving device controller 430 ) To drive the driving device 161 so that the stimulation means 150 moves by d.

이 때 구동장치(161)에는 엔코더와 같은 수단이 설치되어 이동 거리가 측정될 수 있으므로 자극 수단(150)의 현재 위치 정보가 지속적으로 체크된다. 자극 수단(150)의 현재 위치 정보는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로 보내어져 구동장치(161)의 구동량(d)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 161 is provided with a means such as an encoder so that the movement distance can be measured, so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means 150 is continuously checke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means 150 is sent to the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or 420 in real space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riving amount d of the driving device 161.

100,100',100'':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
110: 지지 프레임 121: X축 가이드
122: Y축 가이드 160: X축 이동대차
170: Y축이동대차 140: 보조 가이드
141: 보조대차 150: 자극 수단
161: 구동장치 162: 가압로울러
163: 구동풀리 164: 벨트
165: 피니온(pinion) 166: 래크(rack)
167: 구동벨트 169: 돌기부
200: 정보 처리 수단
310: 가상현실 체험자용 디스플레이 수단
400: 정보처리수단 320: 트랙킹 센서
410; 가상현실 체험자 현실공간상 위치/방향 측정부
420: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
430: 구동장치 제어부 440: 시나리오 단계 체크부
450: 가상공간상 자극 정보 산출부
100,100 ', 100'':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110: support frame 121: X-axis guide
122: Y-axis guide 160: X-axis moving cart
170: Y-axis moving cart 140: auxiliary guide
141: sub-carriage 150: stimulation means
161: drive unit 162: pressure roller
163: drive pulley 164: belt
165: pinion 166: rack
167: drive belt 169: projection
200: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310: virtual reality experience display means
400: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320: tracking sensor
410; Virtual Reality Experiencer Position / Direction Measurement Unit in Real Space
420: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or in real space
430: drive unit control unit 440: scenario step check unit
450: stimulus information calculator in virtual space

Claims (7)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현실공간상 자극을 제공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현실 체험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트랙킹 센서(320);
상기 트랙킹 센서(320)로부터 획득한 정보와, 가상현실 컨텐츠 시나리오의 가상공간상 자극 정보를 이용하여, 현실공간상 자극의 방향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처리수단(400); 및
상기 정보처리수단(400)에서 결정된 현실공간상 자극의 방향 및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현실공간상의 자극을 제공하는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
As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that provides a stimulus in real space to a virtual reality user,
A tracking sensor 320 for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location of the stimulus in the real space,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racking sensor 320 and the stimulus information in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cenario; And
Immersive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100 for providing a stimulus in the real space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ased on the dir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in the real space determin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00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는
X축 가이드(121);
상기 X축 가이드(121)를 따라서 이동하는 X축 이동대차(160);
상기 X축 가이드(121)와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X축 이동대차(160)에 일단이 고정된 Y축 가이드(122);
상기 Y축 가이드(122)를 따라서 이동하는 Y축 이동대차(170); 및
상기 Y축 이동대차(170)에 부착되되, 상기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현실공간상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100
X-axis guide 121;
An X-axis moving cart 160 moving along the X-axis guide 121;
A Y-axis guide 122 that is vertically disposed with the X-axis guide 121 and fixed at one end to the X-axis moving cart 160;
A Y-axis moving cart 170 moving along the Y-axis guide 122; And
It is attached to the Y-axis moving cart 170,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mulation means 150 for providing a stimulus in real space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청구항 2에 있어서, 자극수단(150)은 가상현실 체험자에게 물, 바람 또는 스티로폼볼을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
3.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imulus means (150) launches water, wind or styrofoam balls to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X축 가이드(121)는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X축 이동대차(16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161);
상기 구동장치(161)의 회전축에 연결되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구동풀리(163);
상기 구동풀리(163)의 돌기와 치합되는 돌기부(169)를 구비하되, 상기 X축 가이드(121)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는 벨트(164); 및
싱기 벨트(164)가 상기 X축 가이드(121)의 오목한 부분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로울러(162)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164)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울러(162)와 맞닿는 면의 이면에 상기 구동풀리(163)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ross-section of the X-axis guide 121 is made of a "H" shape,
The X-axis moving cart 160,
A driving device 161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A driving pulley 163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device 161 and having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elt 164 having a protrusion 169 engaged with a protrusion of the driving pulley 163, which is disposed in a concave portion of the X-axis guide 121; And
Singgi belt 164 includes a pressing roller 162 to press the contac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of the X-axis guide 121,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in the belt 164, wherein the drive pulley 163 abuts on a back surface of a surface that abuts the pressure roller 16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200)은,
트랙킹 센서(320)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 및 가상현실 체험자용 디스플레이수단(310)으로부터 얻은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 및 방향을 산출하는, 현실공간상 위치/방향 측정부(410);
가상현실 컨텐츠 시나리오상의 단계에 자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자극이 있을 경우 가상공간상 자극의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가상공간상 자극 정보 산출부(450);
상기 가상현실 체험자의 현실공간상 위치 및 방향 정보, 그리고 상기 가상공간상 자극의 방향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현실공간상 자극/위치 방향을 산출하는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 및
상기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에서 산출된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장치(161)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0,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racking sensor 320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splay means 310 for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the position / direction measurement unit 410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 the re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
A virtual space stimulus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450 that checks whether there is a stimulus at a step 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cenario and, if there is a stimulus, calculates dire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in the virtual space;
A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or 420 in the real space that calculates a stimulus / position direction in real space based on the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n the virtual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r and the dir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timulus on the virtual space; And
Immersi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device control unit 4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device 161 based on the stimulus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in the real space calculated by the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ion unit 420 Virtual reality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자극 제공장치(100)는 상기 가상현실 체험자 주변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물리적 자극 제공장치(100)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ripherals around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e plurality of physical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100 is immersive virtual,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Reality syste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현실공간상 자극 위치/방향 계산부(420)에서 산출된 현실공간상 자극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물리적 자극 제공장치(100) 중 구동하여야할 장치가 선택되고, 선택된 물리적 자극 제공 장치(100) 내에서 상기 자극수단(150)의 이동거리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Based 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stimulus in the real space calculated by the stimulus position / direction calculator 420 in the real space, the device to be driven among the plurality of physical stimulus providing devices (100)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timulation means 150 is determined within the selected and selected physical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100.
KR1020180120407A 2018-10-10 2018-10-10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KR102148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07A KR102148735B1 (en) 2018-10-10 2018-10-10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07A KR102148735B1 (en) 2018-10-10 2018-10-10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465A true KR20200040465A (en) 2020-04-20
KR102148735B1 KR102148735B1 (en) 2020-08-27

Family

ID=7046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407A KR102148735B1 (en) 2018-10-10 2018-10-10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73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66A (en) * 2012-03-13 2013-09-25 (주)하이드롬 Automatic planting systems for vehicle
KR20150031389A (en) * 2013-09-13 2015-03-24 한국기계연구원 Virtual reality ststem having providing inertial force part and method for providing inertial force
KR20160025731A (en) 2014-08-28 2016-03-09 임성진 4D Rider for realistic experience and method thereof
KR101722947B1 (en) 2016-01-19 2017-04-04 주식회사 레드로버 Virtual Reality System Capable of Realizing 4 Dimensional Effect and Method thereof
CN106991864A (en) 2017-06-14 2017-07-28 周建峰 A kind of VR disasters experience training platfor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66A (en) * 2012-03-13 2013-09-25 (주)하이드롬 Automatic planting systems for vehicle
KR20150031389A (en) * 2013-09-13 2015-03-24 한국기계연구원 Virtual reality ststem having providing inertial force part and method for providing inertial force
KR20160025731A (en) 2014-08-28 2016-03-09 임성진 4D Rider for realistic experience and method thereof
KR101722947B1 (en) 2016-01-19 2017-04-04 주식회사 레드로버 Virtual Reality System Capable of Realizing 4 Dimensional Effect and Method thereof
CN106991864A (en) 2017-06-14 2017-07-28 周建峰 A kind of VR disasters experience training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735B1 (en)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932B2 (en) Running exercise equipment with associated virtual reality interaction method and non-volatile storage media
US5889505A (en) Vision-based six-degree-of-freedom computer input device
JP7266032B2 (en) VR Walking Mechanism and Walking Method in Virtual Reality Scene
US201102509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3d computer game with true vector of gravity
CN109643014A (en) Head-mounted display tracking
JP2005135438A (en) Data input device for use with data processor and data processor provided with such a data input device
US11567564B2 (en) Interactive exercise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11341867B2 (en) Movement tracking and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108845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ing to higher order degree-of-freedom tracking
US10978019B2 (en) Head mounted display system switchable between a first-person perspective mode and a third-person perspective mode, related method and relate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11809B1 (en) Arcade game system by 3D HMD
KR20160144268A (en) Gait simulation platform for head mounted display unit
CN108393882B (en) Robot posture control method and robot
CN209821674U (en) Multi-degree-of-freedom virtual reality movement device
TW202209275A (en) Fitness exercise guidance apparatus capable of guiding the user to perform fitness exercise by using interactive images
US20060134583A1 (en) Simulation and training sphere for receiving persons
KR102148735B1 (e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US20220233938A1 (en) Surface interactions in a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
JP2020135428A (en) Position data processor and program
KR102433080B1 (en) Player location-based lighting production method for virtual reality game and virtual reality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US11107364B2 (en) Method to enhance first-person-view experience
Mittal et al. MuTable (Music Table): Turn any surface into musical instrument
JPH07204359A (en) Walking simulator
JP2004102800A (en) Body direction detector, method for detecting body direction, and virtual environment pseudo-experience system
CN110014431B (en)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