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359A - Humidity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Humidity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359A
KR20200040359A KR1020180120079A KR20180120079A KR20200040359A KR 20200040359 A KR20200040359 A KR 20200040359A KR 1020180120079 A KR1020180120079 A KR 1020180120079A KR 20180120079 A KR20180120079 A KR 20180120079A KR 20200040359 A KR20200040359 A KR 20200040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dehumidifying device
cooling unit
housing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4618B1 (en
Inventor
이재훈
조용성
강문정
Original Assignee
블렌드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렌드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렌드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618B1/en
Priority to PCT/KR2018/015721 priority patent/WO2020075914A1/en
Publication of KR2020004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3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Abstra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dehumidifying device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thermoelectric module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scharged, and a housing which partition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sposed. The thermoelectric module comprises a cooling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condense moisture in the introduced air. One or more bump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introduced air and the coo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get pleasant dehumidified air at a desired place.

Description

습도 제어 장치{HUMIDITY CONTROL DEVICE}Humidity control device

아래의 실시예들은 습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humidity control device.

현대 사회에서 제습 장치는 일상 생활에 있어서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습기 제거가 요구되는 산업 공정이나 기계 장치에서도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a modern society, a dehumidifying device is not only a means for providing a comfortable air in daily life, but also can be used in industrial processes or mechanical devices requiring moisture removal.

제습 장치에서 제습 효율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고 그에 따라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은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Increasing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in the dehumidifying device is a very important part and the method of removing the moisture accordingly has been actively studied.

한편, 제습 장치의 제습 효율을 높이는 경우 제습 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부피가 큰 제습 장치에 대해 사용자는 배치방법 또는 이동성의 측면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humidifying efficiency of the dehumidifying device is increased, the volum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is increased. For a bulky dehumidifying device, the user may feel discomfort in terms of the placement method or mobility.

또한, 옷장, 신발장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의 습기 제거를 위해서는 제올라이트 또는 염화리튬과 같은 제습제가 사용되기도 하나 제습제의 경우 인체에 유해하거나 사용자가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문제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dehumidifiers such as zeolite or lithium chloride are used to remove moisture in an enclosed space such as a wardrobe, a shoe cabinet, etc., dehumidifiers may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or a problem that a user needs to replace.

따라서, 제습 장치의 부피와 제습 효율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나아가 제습 장치의 이동성이나 휴대성, 제습 장치 관리의 용이성 및 주변환경이나 시간 경과에 따른 맞춤형 제습 방법 등을 갖춘 제습 장치가 요구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volum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and the dehumidifying efficiency, and furthermore, a dehumidifying device equipped with mobility or portability of the dehumidifying device, ease of management of the dehumidifying device, and a customized dehumidifying method over time or surrounding environment is required. do.

일 과제는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제습 효율을 가지되 부피가 크지 않은 제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One task is to provide a user with a dehumidifying device having a dehumidifying efficiency of a certain level or more, but not bulky.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열전모듈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 내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의 표면에는 상기 유입된 공기와 상기 냉각부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프가 형성되는 제습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a thermoelectric module for removing moisture from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scharged And a housing that partition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sposed, wherein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es a cooling unit that contacts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condenses moisture in the introduced air, and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includes: A dehumidifying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bump is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troduced air and the cooling unit may b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부피가 작고 일정 수준 이상의 제습 효율을 갖는 제습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습기가 제거된 쾌적한 공기를 영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user is provided with a dehumidifying device having a small volume and a dehumidifying efficiency of a certain level or more, so that the user can enjoy pleasant air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at a desired place.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주위 환경에 따라 제습 방식을 달리하는 제습 장치가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빠른 시간 내에 습기가 제거된 쾌적한 공기를 영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the user is provided with a dehumidifying device having a different dehumidifying metho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user can run a comfortable air in which moisture is quickly remov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내부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모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 표면의 범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범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 표면에서 유체 내 수분이 응결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범프를 포함하는 냉각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 또는 범프에 응결된 수분이 범프 사이로 낙하하다가 고립된 현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이 범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범프 모양 및 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 내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돌출부를 포함하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그 단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돌출부를 포함하되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그 단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동작 수행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제습 장치에서 실행 중인 제어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view for describing an internal component of a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o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emplarily explaining bumps on a surface of a coo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n exemplary view for exemplarily explaining bumps of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enomenon in which moisture in a fluid condenses on a surface of a coo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oling unit including bumps of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solated phenomenon when moisture condensed on a cooling unit or a bump falls between bum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ump shape and a placement method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being caught between bum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guide portion is disposed in a dehumid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 when th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rotrusion but is disposed in parallel.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 when th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rotrusion but is disposed in a spiral shape.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for performing a dehumidify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control mode being executed in the dehumidifying device.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layers and regions is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element or layer is “on” or “on” of another element or layer. What is referred to includes cases where other layers or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in the middle as well as directly above other components or lay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in principle.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the respecti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numbers (for example,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only considering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제습 장치는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여 주변의 습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dehumidifying device means a device capable of relatively lowering the humidity around the air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air.

제습 장치는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다른 가전기기나 가전제품, 산업 설비, 기타 제습 기능이 요구되는 기기에 부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device may be used by itself or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household appliances, household appliances, industrial equipment, or other devices requiring dehumidification functions.

일 예로, 에어컨에 있어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습 기능이 구비되거나 인쇄기에 있어서 인쇄 품질을 높이기 위해 제습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dehumidifying function may be provided in an air conditione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or a dehumidifying function may be provided in a printing machine to increase print quality.

제습 장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서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device can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in various places as needed.

일 예로, 제습 장치는 일반 가정, 공공장소, 야외 제습이 필요한 장소에 배치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욕실, 화장실, 거실, 침실, 장롱 속 등 협소한 공간이나 밀폐된 공간에도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humidify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a general home, public place, or a place where outdoor dehumidification is required, and as another example, the dehumidify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a narrow space or a closed space such as a bathroom, toilet, living room, bedroom, or closet.

제습 장치는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 모양 및 부피를 가질 수 있는데, 크기나 부피가 커질수록 제습 효과가 커질 수 있는 반면 배치될 수 있는 장소가 한정적이고, 크기나 부피가 작을수록 제습 효과는 줄어들되 배치될 수 있는 장소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The dehumidifying device may have various sizes, shapes, and volumes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it is placed. The larger the size or volume, the larger the dehumidifying effect may be, whereas the place where it can be placed is limited. The range of places that can be reduced but deployed can be widened.

제습 방식에는 건조제를 이용하는 데시칸트 방식, 두 냉각판을 이용하는 컴프레서 방식, 데시칸트 방식과 컴프레서 방식을 모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 또는 건조제와 히터를 이용한 콘덴스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dehumidification method may include a desiccant method using a desiccant, a compressor method using two cooling plates, a hybrid method using both a desiccant method and a compressor method, or a condensation method using a desiccant and a heater.

데시칸트 방식은 제올라이트 등의 건조제를 이용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상기 수분을 기화시킨 후 결로 현상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히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높고 제습 효율이 타 방식에 비해 높지 않을 수 있으나 소형화하기 쉽고 가벼울 수 있다.The desiccant method is a method of absorbing moisture in the air using a drying agent such as zeolite and using the condensation phenomenon after vaporizing the moisture. Because of the use of a heater,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and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may not be high compared to other methods, but it may be easy to downsize and light.

컴프레서 방식은 냉매를 이용한 결로 현상을 이용하여 제습 효율이 높으나 타 방식에 비해 무겁고 소형화가 쉽지 않을 수 있다.Compressor method has high dehumidification efficiency by using dew condensation using refrigerant, but it may be heavier and smaller than other methods.

콘덴스 방식은 염화리튬 등의 제습 효율이 좋은 건조제를 사용하고 열교환기, 2중 팬 등을 이용한 제습 장치 내, 외부가 분리된 공기 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항시 일정한 제습 효율을 가질 수 있으나 소비전력 및 단가가 높을 수 있다.The condensing method can always have constant dehumidifying efficiency by using a desiccant with good dehumidifying efficiency, such as lithium chloride, and using a heat exchanger, a double fan, etc., inside and outsi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and using a separate air circulation method. The unit price can be high.

한편, 제습 장치 구현에 있어서 열전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a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dehumidifying device.

열전 소자를 이용한 제습 장치의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하게 높은 제습 효율을 가질 수 있고 동시에 제습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humidifying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it can have a constant high dehumidifying efficiency as described l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dehumidifying device can be easily downsized.

이하에서는 열전 소자를 이용한 제습 기능을 구비하는 소형 제습 장치를 상정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ll dehumidifying device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is assumed and described in detail. .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제습 장치(1)의 외관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제습 장치(1)는 하우징(10), 유입부(20), 배출부(30), 수조(40), 손잡이(50) 및 표시부(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include a housing 10, an inlet portion 20, an outlet portion 30, a water tank 40, a handle 50 and a display portion 60.

하우징(1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습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to protec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from external impact.

하우징(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입체형상일 수 있다. The housing 10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modules may be disposed.

일 예로, 하우징(10)은 직육면체, 원기둥 형상, 기타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housing 10 may be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cylindrical shape, or other three-dimensional shapes that can give an aesthetic sense to the user. For example, the housing 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은 제습, 가습, 공기 청정, 냄새 제거, 방향 등의 다양한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의 관련된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Meanwhile, one or more module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re for performing various air purification operations such as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air cleaning, odor removal, and direction,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related parts.

하우징(10)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하우징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사용 상태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housings as needed. For example,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depending on the use condition.

수조(40)는 하우징(10)으로 유입된 유체로부터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수집할 수 있다.The water tank 40 may collect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수조(40)는 하우징(10)과 일체형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40 may be formed to be integral with or detachable from the housing 10.

일 예로, 수조(40)는 하우징(10) 하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로부터 제습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수분이 낙하하여 모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tank 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moisture generated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from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may drop and collect.

또 다른 예로, 수조(40)는 하우징(10)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우징(10)과 별도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water tank 40 may be form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housing 10 so as to be detachable under the housing 10.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수조(40)는 하우징(10) 측면에서부터 하우징(10) 안쪽으로 결착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water tank 40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from the side of the housing 10.

수조(40)는 내부가 보이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수집되는 수분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water tank 40 is made of a translucent or transparent material showing the inside, and the amount of moisture collected by the user can be visually confirmed.

또는, 수조(40)는 내부가 보이지 않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water tank 40 may be implemented with an opaque material that is not visible inside.

또한 수조(40)는 사용자는 수조(40)에 수집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of the water tank 4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to remove moisture collected in the water tank 40.

또한 수조(40)는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수집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출홀(7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40 may include an outlet hole 700 to remove moisture collected in a state not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유출홀(700)은 수조(4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수조(40)에 수집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일 수 있다. The outlet hole 7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40 and may be a hole through which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tank 40 can be discharged.

일 예로, 유출홀(700)은 캡 구조 또는 실리콘 마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닫혀 있는 상태이고 수조(40)에서 수분이 제거될 필요가 있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열림 상태로 변경되어 수조(40)의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flow hole 700 may include a cap structure or a silicone stopper, and when it is normally closed and water needs to be removed from the water tank 40, the water tank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changed to an open state ( 40) can escape moisture.

다른 예로, 유출홀(700)은 수조(40)에 수집된 수분이 유출홀(70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별도의 호스, 관이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outlet hole 700 may be in a form in which a separate hose or pipe can be combined so that the moisture collected in the water tank 40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ole 700.

한편, 수조(40)는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아니며, 제습 장치(1)의 사용 상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습 장치(1)를 통해 생성된 수분을 수집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tank 40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e stat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lternatively, the user may use it in combination with all types of components capable of collecting moisture generated through the dehumidifying device 1 as needed.

일 예로, 제습 장치(1)는 후술하는 제습에 필요한 모듈 및 하우징(1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습 장치(1)는 수분을 수집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용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컵, 병, 물통, 그릇, 기타 내부가 움푹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include only the module and the housing 10 required for dehumidif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be used with any type of container capable of collecting moistur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cup, a bottle, a water bottle, a bowl, or other hollow container.

또 다른 예로, 수조(40)가 생략된 제습 장치(1)는 그 자체로 화장실 또는 욕조 등 배수구를 포함하는 공간 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습 장치(1)에서 발생하는 수분은 그대로 낙하하여 화장실 또는 욕조 등에 배치된 하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ehumidifying device 1 in which the water tank 40 is omitted may be arranged in a space including a drain hole such as a bathroom or a bath. At this time,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can be dropped as it is and discharged through a sewer arranged in a toilet or bathtub.

유입부(20)는 외부의 유체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의미한다.The inlet part 20 means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fluid flows into the housing 10.

유입부(20)는 외부 유체가 다방면에서 하우징(10) 내부 공간으로 충분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일면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The inlet 20 may be dispos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housing 10 so that external fluid can be su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10 from various sides.

일 예로, 유입부(20)는 하우징(10)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유체가 하우징(10) 하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let 20 is disposed under the housing 10 to induce external fluid to flow into the housing 10 from the bottom.

다른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수조(40)가 분리가능 하도록 구성된 경우, 하우징(10)과 수조(40) 사이에 형성된 갭(gap)이 유입부(20)로서 기능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when the housing 10 and the water tank 40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 gap form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water tank 40 is used as the inlet 20. Can function.

또 다른 예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분리되어 제공되는 경우, 유입부(20)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eparated, the inlet 2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또 다른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유입부(20)는 하우징(10) 외벽을 통해 외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극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유입부(20)는 하우징(10) 외벽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외부 유체가 충분히 유입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inlet 20 may be implemented as a collection of a plurality of pores through which an external fluid can pass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0. At this time, the inlet 20 may be disposed at least one on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0, it may be formed in a suitable size that can be su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outer fluid of the housing 10.

또 다른 예로, 유입부(20)는 하우징(10) 외벽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inlets 20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0.

배출부(30)는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통로를 의미한다.The discharge part 30 mean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is discharged.

예를 들어, 전술한 유입부(20)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거쳐 배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let 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30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module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

배출부(30)는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하우징(1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일면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unit 30 may be dispos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housing 10 so that flui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can be smoothly discharged outside the housing 10.

일 예로, 배출부(30)는 하우징(10)의 외벽에 배치되어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charge unit 3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0 to induce that fluid passing through one or more module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is discharged.

또 다른 예로, 배출부(30)는 하우징(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ischarge unit 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one or more spaces through which fluid can be discharg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상부면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하우징(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a passage through which fluid can be discharged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또는,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상부면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로가 하우징(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for example,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fluid can be discharged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또 다른 예로, 배출부(30)는 하우징(10) 외벽과 내벽을 연결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공극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배출부(30)는 하우징(10) 외벽 또는 상부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ischarge unit 30 may be implemented as a collection of at least two or more pores connecting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At this time, the discharge unit 3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wall or the top of the housing 10, one or more, it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to be discharged external fluid.

또한, 제습 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거나 휴대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일면에 손잡이(50)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5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easily move or carry the dehumidifying device 1.

손잡이(50)는 하우징(10)의 다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handle 50 may be disposed on multiple sides of the housing 10.

일 예로, 손잡이(50)는 하우징(10)의 외벽 또는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andle 50 may be formed on the outer or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또 다른 예로, 도 1에서와 같이 손잡이(50)는 하우징(10)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handle 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표시부(60)는 제습 장치(1)의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60 may display a mo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제습 장치(1) 사용자는 표시부(60)를 통해 제습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can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rough the display unit 60.

표시부(60)는 하우징(10)의 일면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One or more display units 6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

일 예로, 표시부(60)는 하우징(10)의 상단 또는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60 may be disposed on the top or outer wall of the housing 10.

표시부(60)는 제습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rks to indic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표시부(60)에 대해서는 이하의 관련된 부분에서 추후 서술한다.The display section 60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relevant s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습 장치(1)에 의하면 하우징(10)의 일측에 배치된 유입부(2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유체가 하우징(10) 내부를 거쳐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하우징(10)의 타측에 배치된 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is contained in the air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3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in a state in which moisture is removed.

또한, 외부의 유체가 제습 장치(1)를 통해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은 하우징(10)에 연결된 수조(40)로 모일 수 있고 수조(4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수조(40)에 구비된 유출홀(700)을 통해 수집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external fluid through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be collected in a water tank 40 connected to the housing 10 and the water tank 4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or the water tank. Water collected through the outlet hole 700 provided in the 40 may be discharged.

이하에서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통해 수행되는 공기 정화 동작과 관련된 내부 구성 요소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internal components related to an air purification operation performed through one or more module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습 장치(1) 내부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서술한다.Hereinafter, components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1)의 내부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1)의 내부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모듈(100)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ermoelectric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습 장치(1)의 내부에는 가이드부(200), 열전 모듈(100), 구동 모듈(310), 송풍팬(500) 및 배출부(30)가 배치될 수 있다.3 and 4,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a guide unit 200, a thermoelectric module 100, a driving module 310, a blower fan 500, and a discharge unit 30 may be disposed. have.

열전 모듈(100)은 제습 장치(1)로 유입된 유체로부터 결로 현상을 통해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may remove moisture from the fluid flowing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rough condensation.

열전 모듈(100)은 전원(P)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유입된 유체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may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P and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introduced fluid.

열전 모듈(100)은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와 접촉 시간 또는 접촉 면적이 크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nd may be disposed to have a large contact time or contact area with a flui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열전 모듈(10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를 참조하면 열전 모듈(100)은 냉각부(110), 열전 소자(130) 및 방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may include a cooling unit 110, a thermoelectric element 130 and a heat dissipation unit 140.

냉각부(110)는 열전 소자(130)에 의해 온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이로써 냉각부(110)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10 may be lower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oling unit 110.

제습 장치(1)에 유입된 유체가 냉각부(110)에 의해 냉각되면서 유체 내부의 수분이 냉각부(110)에 달라붙는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As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cooled by the cooling unit 110, condensation may occur in which moisture inside the fluid adheres to the cooling unit 110.

냉각부(110)는 열이 잘 전달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oling unit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fers heat well.

일 예로, 냉각부(110)는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oling unit 110 may be made of aluminum, copper, stainless steel, or conductive plastic.

냉각부(110)는 열전 소자(130)에 직접 부착되거나 열 전도성 물질을 사이에 두고 부착될 수 있다.The cooling unit 11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or may be attach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erebetween.

냉각부(110)는 제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범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10)와 범프에 관하여는 추후 서술하도록 한다.The cool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bumps to increas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The cooling unit 110 and the bumps will be described later.

열전 소자(130)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may include a device using various effects that are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heat and electricity.

열전 소자(130)는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상호 교환시킬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may exchange electrical energy and thermal energy.

열전 소자(130)는 전원(P)에 의한 열전 현상으로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may generate cold air or warmth due to a thermoelectric phenomenon caused by the power source P.

한편, 열전 현상은 펠티어 효과(Feltier Effect)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ermoelectric phenomenon may include a Feltier effect.

펠티어 효과는 전력에 의해 냉각과 가열이 동시에 일어나는 효과로서,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개의 금속(P형 반도체, N형 반도체)으로 이루어진 전기적 소자에 전류를 흘려주면 두 금속의 접합점에서 한 쪽은 열이 발생하고, 다른 쪽은 열을 빼앗기는 현상에 근거한다.The Peltier effect is the effect that cooling and heating occur simultaneously by electric power. When electric current is passed through two metal (P-type semiconductors, N-type semiconductor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one side heats at the junction of the two metals. This occurs, and the other side is based on the phenomenon of taking away heat.

열전 현상을 이용한 열전 소자(130)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using the thermoelectric phenomenon is a well-known technique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열전 소자(130)는 전류가 흐르면 열에너지를 빼앗도록 흡열하는 냉각면 및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발열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may include a cooling surface that absorbs heat to take away the heat energy when current flows, and a heating surface that emits heat energy.

열전 소자(1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기존의 냉각면은 발열면으로, 기존의 발열면은 냉각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is changed, the existing cooling surface may be changed to a heating surface, and the existing heating surface may be changed to a cooling surface.

일 예로, 열전 소자(130)는 얇은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가지되, 윗면은 발열면, 아랫면은 냉각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n upper surface may be implemented as a heating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s a cooling surface.

열전 소자(130)는 유연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may include a flexible thermoelectric element.

열전 소자(130)는 냉각부(110)와 방열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unit 110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열전 소자(130)에 의해 냉각부(110)의 온도는 낮아지고 방열부(140)의 온도는 높아질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10 may be lower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be increas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한편, 열전 모듈(100)은 복수의 열전 소자(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의 열전 소자(130)는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더 넓은 면적의 냉각면 또는 발열면을 가지거나 더 높은 열 전달 효율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13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13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to have a larger area of a cooling surface or a heating surface, or a higher heat transfer efficiency.

방열부(140)는 열전 소자(130)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발산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dissipate heat transferr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방열부(140)는 열이 잘 전달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fers heat well.

일 예로, 방열부(14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구리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be made of aluminum, stainless steel, copper, or conductive plastic.

방열부(140)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방열부(140)는 방열핀을 많이 포함할수록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The more the heat sink 140 includes more heat sink fins, the more heat can be released.

방열부(140)는 열전 소자(130)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방열하여 고온에 의해 열전 소자(13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dissipate heat energy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to prevent the performan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high temperature and increase cooling efficiency.

방열부(140)는 열전 소자(130)에 직접 부착되거나 열 전도성 물질을 사이에 두고 부착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or may be attach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erebetween.

냉각부(110) 및 방열부(140)는 열전 소자(130)의 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oling unit 110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be dispos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는 열전 소자(130)의 윗면인 발열면에는 방열부(140)가 배치되고, 밑면인 냉각면에는 냉각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be disposed on a heating surface that is an upp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cooling unit 110 may be disposed on a cooling surface that is a bottom surface.

가이드부(200)는 제습 장치(1)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200 may include a structure for guiding the flow of fluid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가이드부(200)는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유체가 통과하는 경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200 may be dispos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10 passes.

일 예로, 가이드부(200)는 유입부(20) 또는 열전 모듈(100) 주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guide unit 200 may be provided around the inlet 20 or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일 예로, 가이드부(200)는 열전 모듈(100)을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00)는 유입부(2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냉각부(11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guide unit 20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At this time, the guide unit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oling unit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unit 200 may pass through.

가이드부(200)에 포함되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서술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for guiding the flow of the fluid included in the guide par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가이드부(200)는 제습 장치(1)에서 생략될 수 있다.The guide unit 200 may be omitted from the dehumidifying device 1.

송풍팬(500)은 제습 장치(1) 외부에 존재하는 유체가 제습 장치(1) 내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blowing fan 500 may induce a fluid existing out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to move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송풍팬(500)은 유체 또는 기체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fan 500 may include means for moving a fluid or gas.

일 예로, 송풍팬(500)은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송풍팬(500) 하부에서 송풍팬(500) 상부 방향으로 바람을 불게 하여 제습 장치(1) 내, 외부 공기 순환 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lower fan 500 includes a propeller and blows the wind from the bottom of the blower fan 500 to the top of the blower fan 500 by rotating the propeller, thereby forming an inside or outside air circulation track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You can.

송풍팬(500)은 하우징(10) 내부, 유입부(20) 또는 배출부(3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wer fan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round the inlet 20 or the outlet 30.

전원(P)은 유선 전원, 무선 전원 및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어부(300), 열전 모듈(100), 센싱부(400) 및 송풍팬(5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P may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ler 300,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the sensing unit 400, and the blowing fan 500 in at least one form of wired power, wireless power, and battery.

배터리는 종래 기술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적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는 알칼리 전지, 건전지, 수은 전지, 리튬 전지 등과 같은 일회성 1차 전지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 리튬이온폴리머 2차 전지, 납 축전지 등과 같은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may include any type of battery appli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an example, the battery is a one-time primary battery such as an alkaline battery, a dry battery, a mercury battery, a lithium battery, and a charge such as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lithium ion polymer secondary battery, a lead storage battery, etc. Possible secondary batteries may be included.

일 예로, 전원(P)은 유입부(20)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유선 전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source P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power sourc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inlet 20.

구동 모듈(310)은 열전 모듈(100) 또는 송풍팬(5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310 may control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or the blowing fan 500.

구동 모듈(310)은 열전 모듈(100)을 제어하여 냉각부(110)의 온도를 낮추거나 방열부(14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310 may control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10 or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구동 모듈(310)은 송풍팬(50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310 may adjust the speed of the blowing fan 500.

구동 모듈(310)은 회로 기판 형태로 제습 장치(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모듈(310)은 전원(P)으로부터 원활한 전력 공급을 받기 위해 전원(P)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거나 전원(P)이 구동 모듈(310)이 구현된 회로 기판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3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in the form of a circuit board. At this time, the driving module 310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power P to receive a smooth power supply from the power P, or the power P may be disposed in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driving module 310 is implemented. .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모듈(310)은 얇은 두께의 회로기판 형태로 구현되고 하우징(10) 내벽 둘레에 배치되며 전원(P)은 하우징(10) 내벽에 배치되어 구동 모듈(310)이 전원(P)으로부터 쉽게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driving module 31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hin circuit board, is disposed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and the power source P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to drive the module 310. Power can be easily supplied from this power source P.

한편, 구동 모듈(310)은 제1 구동 모듈(311) 및 제2 구동 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동 모듈(311) 및 제2 구동 모듈(312)은 이하 서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에 탑재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module 3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dule 311 and a second driving module 312. At this time, the first driving module 311 and the second driving module 31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moothly perform functions mounted on each, as described below.

제1 구동 모듈(311)은 냉각부(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dule 311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cooling unit 110.

일 예로, 제1 구동 모듈(311)은 얇은 고리 형상의 PCB 판 형태로 냉각부(110)를 둘러싸도록 하우징(10) 또는 가이드부(200)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module 311 may be dispos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0 or the guide unit 200 to surround the cooling unit 110 in the form of a thin ring-shaped PCB plate.

제1 구동 모듈(311)은 열전 소자(130)가 냉각부(110)의 온도를 낮추어 결로 현상이 발생하도록 열전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동 모듈(311)은 사용자의 선택이나 제습 모드에 따라 열전 소자(130)에 공급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냉각부(110) 및 방열부(14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dule 311 may control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10 so that condensation occurs. At this time, the first driving module 311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10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dehumidification mode. .

제1 구동 모듈(311)은 송풍팬(500)을 가동시켜 외부 유체가 제습 장치(1) 내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동 모듈(311)은 사용자의 선택이나 제습 모드에 따라 송풍팬(50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dule 311 may operate the blowing fan 500 to induce external fluid to move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At this time, the first driving module 311 may adjust the speed of the blowing fan 50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a dehumidifying mode.

제1 구동 모듈(311)은 LED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dule 311 may include an LED module 330.

제1 구동 모듈(311)은 LED 모듈(330)을 제어하여 수조(40)에 빛을 발산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습 장치(1)는 조명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dule 311 may control the LED module 330 to emit light to the water tank 40. At this time,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serve as a lighting.

제2 구동 모듈(312)은 표시부(60)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module 312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unit 60.

제2 구동 모듈(312)은 LED 모듈(330)을 포함하여 표시부(60)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module 312 may include an LED module 330 to provide light to the display unit 60.

제2 구동 모듈(312)은 기타 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송풍팬(500)을 지난 유체는 배출부(30)로 배출되기 전 후술하는 기타 모듈을 지나면서 방향, 탈취, 정화 등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module 312 may further include other modules 340. At this time,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lower fan 500 may pass through other modul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30, and thus may have effects such as direction,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한편, 제습 장치(1)는 내부에 기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other modules therein.

기타 모듈은 습기 제거 기능이나 LED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탑재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Other modules may include modules equipped with othe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moisture removal function or the LED function.

기타 모듈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서술하도록 한다.Details of other module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제습 장치(1) 내부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can be suitably disposed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 소자(130)의 상단에 방열부(140)가, 하단에 냉각부(110)가 결합되어 열전 모듈(100)을 형성하고, 상기 열전 모듈(100)을 감싸도록 가이드부(200)가 배치되며 상기 열전 모듈(100) 상단에 송풍팬(500)이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500) 상단에 배출부(30)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and the cool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bottom to form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 The guide unit 200 is disposed, the blowing fan 50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and the discharge part 3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blowing fan 500.

다른 예로, 제습 장치(1)는 상단에서 하단 순서로 가이드부(200), 냉각부(110), 열전 모듈(100) 및 송풍팬(500)이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500) 하단에 배출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에서 제습 장치(1)로 유입된 유체는 제습 장치(1) 상단에서 하단으로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며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거친 후 배출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disposed in the ord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guide unit 200, the cooling unit 110,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and the blowing fan 500,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blowing fan 500 The part 30 may be arranged. At this time, the fluid flowing from the outside 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be discharged after the dehumidifying device 1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undergoes a process of removing moisture.

또 다른 예로, 송풍팬(500)이 하우징(10) 측벽에 배치되고 외부 유체는 제습 장치(1) 측면에서 유입되어 제습 장치(1)의 다른 측면으로 이동하며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거친 후 제습 장치(1)의 상기 다른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lower fan 500 is dispos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0 and external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dehumidifying device 1 side to move to the other si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nd after dehumidify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removing moistur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1.

또 다른 예로, 송풍팬(500)이 하우징(10) 측벽에 배치되고 외부 유체는 제습 장치(1) 측면에서 유입되어 제습 장치(1)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이동하며 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거친 후 제습 장치(1)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fter the blower fan 500 is dispos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0 and the external fluid flows from the si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o the top or bottom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nd undergoes a process of removing moistur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이 밖에도 제습 장치(1)는 송풍팬(500)에 의해 외부 유체가 제습 장치(1) 내부로 유입되고 가이드부(200) 및 열전 모듈(100)을 거쳐 제습되며 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e external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by the blowing fan 500, dehumidified through the guide unit 200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30 It can include a variety of structures.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습 장치(1) 내부에서 습기 제거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moisture removal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aforementioned dehumidify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하단에 수조(40)가 배치되고, 하우징(10)의 측면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열전모듈(100), 송풍팬(500)을 거쳐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배치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shown in FIG. 4, the water tank 4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and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is a thermoelectric module 100, It will be described with the assumption that it is arrang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blower fan 500.

일 예로, 제습 장치(1)의 구동 모듈(310)에 의해 송풍팬(500)이 가동되면 송풍팬(500)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또는 송풍팬(500)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lowing fan 500 is operated by the driving module 310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e flow of fluid is induced from the bottom of the blowing fan 500 to the top or from the top of the blowing fan 500 to the bottom. Can be.

이때 송풍팬(500)에 의해 유도된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외부 유체가 제습 장치(1)의 유입부(20)를 통해 제습 장치(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flow of the fluid induced by the blowing fan 500, external fluid may be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rough the inlet 20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또한, 제습 장치(1)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가이드부(200)에 의해 냉각부(110) 주변으로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는 가이드부(200)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가이드부(200)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방해됨으로써 유체가 냉각부(110) 주변으로 이동하거나 냉각부(110) 주변에서 오래 머물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be guided around the cooling unit 110 by the guide unit 200. For example, the fluid moves along a movement path provided by the guide unit 200, or the movement of the fluid is prevented by the guide unit 200 so that the fluid moves around the cooling unit 110 or the cooling unit 110 ) You can stay around for a long time.

또한, 냉각부(110) 표면과 접촉한 유체는 온도가 낮아지고 유체가 포함하는 수증기 등이 액체 상태로 냉각부(110) 표면에 응결되면서 제습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may be dehumidified while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water vapor or the like contained in the fluid condenses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in a liquid state.

또한, 냉각부(110) 표면에 응결되는 수분은 중력에 의해 냉각부(110) 아래로 낙하하여 수조(40)에서 수집될 수 있다.In addition, moisture condensing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tank 40 by falling under the cooling unit 110 by gravity.

또한, 냉각부(110)를 거친 유체는 열전 소자(130) 및 방열부(140)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방열부(140)는 열전 소자(130)에 의해 냉각부(110) 또는 냉각부(110)를 지나온 유체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oling unit 110 may mov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At this time,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have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ooling unit 110 or the cooling unit 110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유체는 방열부(140)를 지나면서 방열부(14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fluid may be increased by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따라서 냉각부(110)에 의해 하강했던 유체의 온도는 방열부(140)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제습 장치(1) 내부로 유입되기 전 유체의 온도와 비슷하거나 높은 온도를 가지고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dropped by the cooling unit 110 rises again by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with a temperature similar to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before flowing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have.

한편, 냉각부(110)를 거친 유체는 제습 장치(1)의 내부 구조에 따라 열전 소자(130)를 거치지 않고 방열부(140)로 이동하거나 열전 소자(130) 및 방열부(140)를 거치지 않고 송풍팬(500) 또는 배출부(30)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oling unit 110 does not pass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without going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or goes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and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140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It can be moved to the blowing fan 500 or the discharge unit 30 without.

방열부(140)를 지난 유체는 송풍팬(500)을 지나 배출부(30)로 배출되거나 송풍팬(500)을 지나지 않고 곧바로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unit 140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30 after passing through the blower fan 500 or directly to the discharge unit 3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lower fan 500.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각부(110)의 다양한 형상 관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Hereinafter, various shapes of the cooling unit 110 capable of increasing dehumidification efficienc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11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ol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110) 표면의 범프(12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for exemplarily explaining the bump 120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범프(12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for exemplarily explaining bumps 120 of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110) 표면에서 유체 내 수분(W)이 응결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enomenon in which moisture (W) in a fluid condenses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범프(120)를 포함하는 냉각부(11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oling unit 110 including bumps 120 of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냉각부(110)는 냉각부 상단(111) 및 냉각부 하단(112)을 포함하고, 냉각부 상단(111)과 냉각부 하단(112) 사이에 범프(120)가 포함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6, the cooling unit 110 includes a cooling unit top 111 and a cooling unit bottom 112, and a bump 120 between the cooling unit top 111 and the cooling unit bottom 112. May be included.

냉각부(110)는 복수의 면을 가지는 다양한 입체도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Cooling unit 110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rfaces.

일 예로, 냉각부(110)는 원추형, 원뿔형, 콘 등과 같은 입체형상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oling unit 110 may be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cone, a cone, a cone.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 상부(111)에서 냉각부 하부(112)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제습 장치(1)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는 냉각부 하부(112)에서 냉각부 상부(111)으로 이동하면서 냉각부(110)와 열 교환을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width may be implemented to be narrower as the cooling part is moved from the upper part 111 to the lower part 112. At this time,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exchange heat with the cooling unit 110 while moving from the lower cooling unit 112 to the upper cooling unit 111.

또 다른 예로, 냉각부(110)는 냉각부 상부(111)에서 냉각부 하부(112)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원추형 입체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oling unit 110 may be embodied in a conical three-dimensional shape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111 of the cooling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cooling portion.

이 때, 제습 장치(1)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냉각부(110)를 지나면서 냉각부(110)에 응결된 수분은 냉각부(110) 측면의 모서리를 따라 냉각부 상부(111)에서 냉각부 하부(112)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dehumidifying device 1 passes through the cooling unit 110, moisture condensed in the cooling unit 110 is cooled in the upper portion 111 of the cooling unit along the edge of the side of the cooling unit 110 It can be moved to the lower portion 112.

또 다른 예로, 냉각부(110)는 원기둥 형상이나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냉각부(100)의 형상은 전술한 예시들 이외에 냉각부 표면에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응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oling unit 110 may be embodi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shape of the cooling unit 100 is formed into various shapes that can effectively condense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Can be.

냉각부 상단(111)은 열전 소자(130)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upper end 111 of the cooling unit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일 예로, 냉각부 상단(111)은 평평한 면을 포함하며 상기 평평한 면과 열전 소자(130)의 냉각면이 서로 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oling unit top 111 includes a flat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and the cool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냉각부 하단(112)은 냉각부(110)에 응결된 수분(W)이 응집될 수 있다.In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cooling unit, moisture W condensed on the cooling unit 110 may be aggregated.

일 예로, 냉각부 하단(112)은 곡면을 포함하여 유체로부터 냉각부(110)에 응결된 수분(W)이 곡면을 따라 모여 응집될 수 있다. 이 때, 응집된 수분(W)의 양이 많을수록 중력에 의해 더 빠르게 냉각부(110)로부터 낙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oling unit bottom 112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and moisture W condensed on the cooling unit 110 from the fluid may be aggregated and aggregated along the curved surface. At this time, the larger the amount of the aggregated water (W), the faster the gravity can fall from the cooling unit 110.

냉각부(110) 일면에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프(120)가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bump 12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in order to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the fluid.

범프(120)는 특정 영역에서 전부 또는 일부가 다른 영역에 비해 돌출되거나 침강된 모양을 의미한다.The bump 120 means a shape in which all or a part of a specific region protrudes or is settled compared to other regions.

일 예로, 냉각부(110) 표면 중 특정 영역에서 냉각부(110) 중심에서 외부로 나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범프(120)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mp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cooling unit 110 to the outside in a specific region of the cooling unit 110 surface.

또 다른 예로, 범프(120)는 냉각부(110) 일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ump 120 may include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oling unit 110 at a predetermined length.

또 다른 예로, 범프(120)는 냉각부(110) 일면에서 아치형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ump 120 may include a portion protruding in an arcuate shape from on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한편, 범프(120)는 냉각부(11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ump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oling unit 110.

도 7을 참조하면, 범프(120)는 범프 상단(121), 범프 하단(122) 및 범프 단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bump 120 may include a bump top 121, a bump bottom 122 and a bump cross section 123.

범프(120)는 범프 단면(123)이 특정 도형의 모양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bump 120 may be embodied as a pillar shape in which the bump cross section 123 has a shape of a specific figure.

일 예로, 범프(120)는 아치형 둘레로 이루어진 도형을 윗면 또는 밑면으로 하는 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mp 120 may be embodied in a column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formed of an arcuate circumference.

또 다른 예로, 범프(120)는 단면이 부채꼴 또는 활꼴인 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ump 120 may be embodi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sector shape or a fan shape.

도 8을 참조하면, 범프(120)는 다양한 모양의 범프 단면(123)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ump 120 may be embodied in a column shape having bump cross sections 123 of various shapes.

일 예로, 범프 단면(123)은 사다리꼴 모양, 삼각형 모양 등의 다각형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mp cross-section 123 may includ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apezoidal shape or a triangular shape.

도 8을 참조하면, 범프(120)는 대칭 범프와 비대칭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ump 120 may include symmetrical bumps and asymmetrical bumps.

대칭 범프는 범프 단면(123)이 범프 상단(121)에서와 범프 하단(122)에서 동일한 크기의면적을 가질 수 있다.In the symmetrical bump, the bump cross section 123 may have the same sized area at the bump top 121 and at the bump bottom 122.

비대칭 범프는 범프 하단(122)과 범프 상단(121)에서 범프 단면(123)의 면적 크기가 다를 수 있다.Asymmetric bumps may have different area sizes of the bump cross-section 123 at the bump bottom 122 and the bump top 121.

일 예로, 비대칭 범프는 범프 상단(121)에서의 범프 단면(123)의 면적이 범프하단(122)에서의 범프 단면(123)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비대칭 범프는 범프 단면(123)의 면적이 범프 상단(121)에서 범프 하단(122)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symmetric bump, the area of the bump end surface 123 at the bump top 121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bump end surface 123 at the bottom end 122. At this time, the asymmetric bump may be smaller as the area of the bump end face 123 goes from the upper end of the bump 121 to the lower end of the bump 122.

또한 비대칭 범프는 범프 상단(121)과 범프 하단(122)이 일정한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기울기가 클수록 범프(120)에 응결된 수분(W)이 더 빠르게 낙하할 수 있다.In addition, asymmetric bumps, bump top 121 and bump bottom 122 may form a constant slope. At this time, the larger the slope, the faster the moisture (W) condensed on the bump 120 can fall.

도 9를 참조하면, 범프(120)에 응결된 수분(W)은 범프(120)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moisture W condensed on the bump 120 may move along the surface of the bump 120.

범프(120)와 접촉하는 유체로부터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수분(W)은 범프(120) 일면에 응결되어 여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isture W generated by condensation from the fluid contacting the bump 120 condenses on one surface of the bump 120 and can move in various directions.

일 예로, 수분(W)은 중력에 의해 범프 상단(121)에서 범프 하단(122)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moisture (W) may be moved from the upper bump 121 to the lower bump 122 by gravity.

또 다른 예로, 수분(W)은 유체의 이동경로 또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범프(120) 옆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oisture (W) may move along the side of the bump 120 having a constant curvature or a path of movement of the fluid.

수분(W)은 범프(120)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다른 수분과 결합될 수 있다.The moisture W may be combined with other moisture while moving along the bump 120 surface.

수분(W)은 범프(120) 표면에 응결된 다른 수분뿐만 아니라 냉각부(110) 표면에 응결된 다른 수분과 결합될 수 있다.The moisture W may be combined with other moisture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bump 120 as well as other moisture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bump 120.

수분(W)이 다른 수분과 결합되면 범프 하단(122) 또는 냉각부 하단(112)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증가하거나 범프(120) 또는 냉각부(110)로부터 더 빠르게 낙하할 수 있다.When the moisture (W) is combined with other moisture, the speed of movem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mp 122 or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unit 112 may increase, or may fall faster from the bump 120 or the cooling unit 110.

냉각부(110)에 범프(120)가 포함되면 포함되지 않을 때보다 유체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열 교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bump 120 is included in the cooling unit 110, a heat exchange efficiency may be increased because a contact area with the fluid is wider than when the bump 120 is not included.

냉각부(110)는 둘 이상의 범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110 may include two or more bumps 120.

둘 이상의 범프(120)는 냉각부(110) 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two or more bumps 120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or spaced along on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일 예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범프(120)가 원추형 형상의 냉각부(110) 옆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주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wo or more bumps 120 may be arrang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ical shaped cooling unit 110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wrinkle pattern.

도 10을 참조하면, 냉각부(110)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범프(120)가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t least two or more bumps 120 may be disposed on the cooling unit 110 in various patterns.

냉각부(110)가 포함하는 범프(120) 개수, 모양, 패턴에 따라 제습 장치(1)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냉각부(110)와 접촉하여 열 교환하는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number, shape, and pattern of the bumps 120 included in the cooling unit 110, the area wher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contacts the cooling unit 110 and heat exchanges may vary.

냉각부(110)에서 범프(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the cooling unit 110, the bump 120 may be omitted.

한편, 범프(120)는 둘 이상의 핀이 세로, 가로 및 대각선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mp 1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wo or more pin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at least one of vertical, horizontal and diagonal directions.

한편, 범프(120)는 제습 장치(1)로 유입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거나 방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mp 120 may induce or hinder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일 예로, 범프(120)는 냉각부(110) 둘레에 원형 고리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냉각부(110) 표면을 지나는 유체는 상기 범프(120)에 충돌함으로써 정체되어 냉각부(110)와 접촉 시간이 늘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각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mp 120 may be disposed in a circular ring shape around the cooling unit 110. At this tim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may stagnate by colliding with the bump 120, so that the contact time with the cooling unit 110 may increase, and thus cooling efficiency may increase.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냉각부(110)에 배치된 복수의 범프(120) 사이에 수분(W)이 고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eventing moisture W from being isol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bumps 120 disposed in the cool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110) 또는 범프(120)에 응결된 수분(W)이 범프(120) 사이로 낙하하다가 고립된 현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enomenon in which water (W) condensed on the cooling unit 110 or the bump 120 falls between the bumps 120 and is iso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냉각부(110) 또는 범프(120)에 응결된 수분(W)은 냉각부 하단(112)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isture W condensed in the cooling unit 110 or the bump 120 may move to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cooling unit.

냉각부(110)에 둘 이상의 범프(120)가 배치되는 경우, 수분(W)은 범프(120) 사이로 이동하여 냉각부 하단(112)으로 모일 수 있다.When two or more bumps 120 are disposed on the cooling unit 110, moisture W may move between the bumps 120 and collect at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cooling unit.

수분(W)은 둘 이상의 범프(120) 사이로 이동하면서 다른 수분과 만나 응집될 수 있다.Moisture (W) may move between two or more bumps (120) to meet and aggregate with other moisture.

수분(W)은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수분과 응집되어 일정 폭을 가질 수 있다.The moisture W may have a certain width by itself or aggregated with other moisture.

한편, 둘 이상의 범프(120)는 냉각부(110)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되, 이격거리(d)가 냉각부 상단(111)에서 냉각부 하단(112)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wo or more bumps 120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ooling unit 110, but the separation distance d may decrease as the cooling unit top 111 goes to the cooling unit bottom 112.

두 범프(120) 사이의 이격거리(d)가 끼임 방지 범위 이내인 경우 수분(W)이 두 범프(120) 사이에 끼일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two bumps 120 is within the jamming prevention range, moisture W may be caught between the two bumps 120.

끼임 방지 범위는 유체로부터 냉각부(110)로 응결되는 수분(W)의 폭 또는 부피, 수분(W)이 다른 수분과 응집되면서 변경되는 수분(W)의 폭 또는 부피, 수분(W)의 이동 속도 및 냉각부(110)의 모양 또는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pinching prevention range is the width or volume of the moisture (W) condensed from the fluid to the cooling unit 110, the width or volume of the moisture (W) changed as the moisture (W) aggregates with other moisture, the movement of the moisture (W) Speed and cooling unit 110 may be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or material.

수분(W)이 두 범프(120) 사이에 끼이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수분(W)이 냉각부 하단(112)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냉각부(110)로부터 낙하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moisture W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bumps 120, the moisture W may not move to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cooling portion or fall from the cooling portion 11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일 예로, 이격거리(d)가 3~4mm인 경우 수분(W)이 범프(120) 사이에 정체되어 이동 속도가 느려지거나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paration distance (d) is 3-4 mm, the moisture (W) may stagnate between the bumps (120) and the movement speed may be slow or not.

한편, 수분(W)이 범프(120) 사이에 끼이더라도 다른 수분과 응집되는 경우 다시 이동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moisture (W) is interposed between the bumps 120, it may move again when it aggregates with other moisture.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W)이 범프(12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범프(120) 모양 및 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hape of a bump 120 and a method of arranging for preventing moisture W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bump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범프(120)는 제1 범프(120a) 및 제2 범프(120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bump 120 may include a first bump 120a and a second bump 120b.

제1 범프(120a) 및 제2 범프(120b)는 서로 길이나 모양이 다를 수 있다.The first bump 120a and the second bump 120b may have different lengths or shapes.

일 예로, 제2 범프(120b) 길이는 제1 범프(120a)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second bump 120b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bump 120a.

또 다른 예로, 제2 범프(120b) 폭은 제1 범프(120a) 폭보다 얇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bump 120b may be thinn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bump 120a.

또 다른 예로, 제2 범프(120b)가 냉각부(110)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제1 범프(120a)가 냉각부(110)로부터 돌출된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istance that the second bump 120b protrudes from the cooling unit 110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that the first bump 120a protrudes from the cooling unit 110.

제1 범프(120a)와 제2 범프(120b)는 냉각부(110) 옆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umps 120a and the second bumps 120b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110.

제1 범프(120a)와 제2 범프(120b) 사이의 거리는 냉각부 상단(111)에서 냉각부 하단(112)으로 갈수록 좁아지거나 넓혀질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mp 120a and the second bump 120b may be narrower or wider from the upper end 111 of the cooling unit to the lower end 112 of the cooling unit.

제2 범프(120b)의 길이는 수분(W)이 제1 범프(120a) 및 제2 범프(120b) 사이에 끼일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cond bump 120b may be se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isture W can be caught between the first bump 120a and the second bump 120b.

일 예로, 제2 범프(120b)의 길이는 냉각부 상단(111)에서부터 제1 범프(120a)와의 이격거리(d)가 3~4mm가 될 때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second bump 120b may be set from the upper end 111 of the cooling unit until the separation distance d from the first bump 120a becomes 3-4 mm.

제2 범프(120b)가 냉각부 상단(111)으로부터 제1 범프(120a)와의 이격거리(d)가 일정 범위 이내인 지점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수분(W)은 제1 범프(120a) 및 제2 범프(120b) 사이에 끼이거나 정체되지 않고 냉각부 하단(112)으로 이동하거나 냉각부(110)로부터 낙하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bump 120b is disposed between a point where the distance d from the upper end 111 of the cooling unit and the first bump 120a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moisture W is the first bump 120a and the second bump 120b. It can be moved between the two bumps (120b) without being stuck or stagnated to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cooling unit or may fall from the cooling unit (110).

한편, 수분(W)이 제1 범프(120a) 및 제2 범프(120b)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범프(120b)의 폭이 냉각부(110)에서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second bump (120b)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cooling unit 110 to prevent moisture (W)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first bump (120a) and the second bump (120b) have.

일 예로, 제2 범프(120b)의 폭이 냉각부 상단(111)에서 냉각부 하단(112)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bump 120b may be narrower as it goes from the upper portion 111 of the cooling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cooling portion.

또 다른 예로, 제2 범프(120b)의 폭이 냉각부 상단(111)에서 제1 범프(120a)와의 이격거리(d)가 끼임 방지 범위 이내인 지점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bump 120b may be narrowed toward the point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d from the upper end 111 of the cooling unit to the first bump 120a is within a range for preventing pinching.

한편, 수분(W)이 제1 범프(120a) 및 제2 범프(120b)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범프(120b)가 냉각부(110)로부터 돌출된 거리가 냉각부(110)에서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moisture W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first bump 120a and the second bump 120b, the distance from which the second bump 120b protrudes from the cooling unit 110 is the cooling unit 110. I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일 예로, 제2 범프(120b)가 냉각부(110)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냉각부 상단(111)에서 냉각부 하단(112)으로 갈수록 짧아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tance that the second bump 120b protrudes from the cooling unit 110 may be shorter as it goes from the cooling unit top 111 to the cooling unit bottom 112.

또 다른 예로, 제2 범프(120b)가 냉각부(110)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냉각부 상단(111)에서 제1 범프(120a)와의 이격거리(d)가 끼임 방지 범위 이내인 지점으로 갈수록 짧아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istance from which the second bump 120b protrudes from the cooling unit 110 becomes shorter toward the point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d from the upper end 111 of the cooling unit 111 with the first bump 120a is within the prevention range of jamming. You can.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외부에서 제습 장치(1)로 유입된 유체가 냉각부(110)와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늘려 제습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dehumidify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 the contact tim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from the outside with the cool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6.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1) 내 가이드부(200)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guide unit 200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osed.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uide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0)가 돌출부(210)를 포함하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그 단면(A-A')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 when the guide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protrusion 210 but is disposed in parallel.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0)가 돌출부(210)를 포함하되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그 단면(A-A')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 when the guide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rotrusion 210 but is disposed in a spiral shape.

도 1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00)는 냉각부(110)를 감싸도록 하우징(10)과 냉각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guide unit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cooling unit 110 to surround the cooling unit 110.

가이드부(200)는 제습 장치(1) 내로 유입된 외부 유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guide unit 20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external fluid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가이드부(200)는 제습 장치(1)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유입부(20)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guide part 200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part 20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from out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일 예로, 유입부(20)로 유입된 유체는 바로 가이드부(200)로 이동하거나 가이드부(200) 측면에 배치된 연결통로를 거쳐 가이드부(200)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20 may be directly moved to the guide unit 200 or may be moved to the guide unit 200 through a connection passag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uide unit 200.

가이드부(200)의 형상은 냉각부(110)의 형상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guide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oling unit 110.

일 예로, 냉각부(110)의 형상이 원추형 형상인 경우 도 15에서와 같이 가이드부(200)의 형상은 상기 냉각부(110)를 감싸는 속이 빈 원추형 형상 또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cooling unit 110 is a conical shape, as shown in FIG. 15, the shape of the guide unit 200 may include a hollow conical shape surrounding the cooling unit 110 or a hollow cylindrical shape. .

또 다른 예로, 가이드부(200)는 냉각부(110)를 감싸도록 속이 빈 원추형 형상으로 구현되되 가이드부(200)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가이드부(200)와 냉각부(110) 사이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guide part 200 is implemented in a hollow conical shape to surround the cooling part 110,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part 200 and the cooling part 110 increases as the guide part 200 goe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can do.

가이드부(200)의 형상은 냉각부(110)의 형상과 관계 없이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적합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guide unit 200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suitable for inducing a flow of flui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cooling unit 110.

일 예로, 가이드부(200) 형상은 유입부(20)로부터 냉각부(110)까지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guide portion 200 may be implemented as a pipe shape connected from the inlet portion 20 to the cooling portion 110.

가이드부(200)는 유입부(20)로 유입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거나 방해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200 may induce or hinder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part 20.

가이드부(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10)를 포함함으로써 유체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거나 유체의 이동을 방해하여 유체가 냉각부(110) 주변에 더 오랜 시간 머물게 할 수 있다.The guide unit 200 may include a protrusion 210 as described below, thereby inducing a path of fluid movement or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fluid to allow the fluid to stay around the cooling unit 110 for a longer time.

한편, 가이드부(200)는 유체가 지속적으로 냉각부(110) 주변에 정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중 일부는 이동을 방해하고 다른 일부는 이동이 원활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e unit 200 may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so that some of the fluid interferes with movement and the other part smoothly moves to prevent the fluid from continuously stagnating around the cooling unit 110.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서 도시된 가이드부(200)를 가이드부(200)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잘랐을 때의 단면(A-A')를 나타낸다.15 and 16 show a cross section (A-A ') when the guide portion 200 shown in FIG. 14 is cut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portion 200.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00)에는 외부에서 제습 장치(1)로 유입된 유체가 가이드부(200)로 유입되는 통로가 배치될 수 있다.15 and 16,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flows into the guide unit 200 may be disposed in the guide unit 200.

일 예로, 유체가 가이드부(200)로 유입되기 위해 유입부(20)와 가이드부(200) 측면이 연결되거나 유입부(20)와 가이드부(200)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가이드부(200)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allow fluid to flow into the guide part 200, the inlet part 20 and the side of the guide part 200 are connected, or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inlet part 20 and the guide part 200 has a guide part 200. ) Can be placed on the side.

또 다른 예로, 유입부(20)로 유입된 유체는 가이드부(200) 상부에서 가이드부(200)로 유입되거나 가이드부(200) 하부에서 가이드부(200)로 유입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ion 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guide portion 200 from the top of the guide portion 200 o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200 to the guide portion 200.

도 1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00)는 내벽에 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10)는 가이드부(200) 내벽으로부터 가이드부(2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15, the guide unit 200 may include a protrusion 210 on the inner wall. The protrud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guide wall 200 by a certain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portion 200 from the inner wall.

일 예로, 돌출부(210)는 가이드부(200) 내벽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볼록한 형상으로 가이드부(200)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띠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ding portion 210 may be disposed in a convex shape protru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ortion 200 in a circular strip shap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portion 200.

또 다른 예로, 돌출부(210)는 가이드부(200) 내벽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볼록한 형상이되, 끊어진 원형 띠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210 has a convex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ortion 200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disposed in a shape of a broken circular strip.

또 다른 예로, 돌출부(210)는 가이드부(200) 내벽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복수의 볼록한 형상으로 각각의 볼록한 형상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210 is a plurality of convex shapes protru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ortion 200, and each convex shape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또 다른 예로, 돌출부(210)는 가이드부(200) 내벽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형상이되, 가이드부(200) 내벽에 무작위로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210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art 200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randomly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art 200.

가이드부(200)는 복수의 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일 에로, 도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돌출부(210)는 가이드부(200) 내벽에 원형 띠 모양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원형 띠 모양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xample, referring to FIG. 15,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are formed in a circular strip shape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ortion 200, but each circular strip shape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isposed in parallel.

또 다른 예로,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의 돌출부(210)는 서로 연결되어 가이드부(200) 내벽에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6,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disposed spirally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unit 200.

가이드부(200)가 포함하는 돌출부(210)에 의해 외부에서 제습 장치(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이동 경로가 유도될 수 있다.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from the outside may be induced by the protrusion 210 included in the guide unit 200.

도 15를 참조하면, 유입부(20)에서 가이드부(200)로 이동한 유체는 돌출부(210)에 의해 유도 경로(F)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fluid moved from the inlet portion 20 to the guide portion 200 may move along the induction path F by the protrusion 210.

일 예로, 유도 경로(F)는 가이드부(200) 내벽에 돌출부(210)가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상기 돌출부(210)와 충돌하면서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duction path F may inclu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while colliding with the protrusion 210 by forming the protrusion 210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art 200.

또 다른 예로, 유도 경로(F)는 복수의 돌출부(210)가 가이드부(200) 내벽에 평행하는 원형 띠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복수의 돌출부(210) 사이를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duction path F may include a path in which the fluid move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by formi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in a circular band shape parallel to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art 200. .

또 다른 예로, 도 16을 참조하면 유도 경로(F)는 복수의 돌출부(210)가 가이드부(200) 내벽에 나선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유체가 복수의 돌출부(210) 사이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가이드부(210)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6, the guide path F is formed by helically rotat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art 200 so that the fluid rotates helically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and guide parts ( 210) It can move from the bottom to the top.

유체가 유도 경로(F)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냉각부(110)와 접촉하는 면적 넓어지거나 접촉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As the fluid moves along the induction path F,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cooling unit 110 may increase or the time for contact may increase.

유체가 냉각부(110)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거나 접촉하는 시간이 증가하면 결로 현상이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 유체로부터 습기가 더 많이 제거될 수 있다.When the area in which the fluid contacts the cooling unit 110 increases or the contact time increases, condensation may occur more frequently, and more moisture may be removed from the fluid.

한편, 도 15 또는 도 1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00)는 수조 통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5 or 16, the guide unit 200 may include a water tank passage 220.

수조 통로(220)는 가이드부(200)에서 수조(40)로 수분(W)이 수집되기 위해 가이드부(2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tank passage 220 may be disposed under the guide part 200 to collect moisture W from the guide part 200 to the water tank 40.

수조 통로(220)는 가이드부(200)에서 수조(40)로의 연결 통로가 될 수 있다.The water tank passage 220 may be a connection passage from the guide unit 200 to the water tank 40.

수조 통로(22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습 모드에 따라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The water tank passage 220 may be closed or open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dehumidification mode.

수조 통로(220)는 기계적 스위치 또는 마개 등으로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The water tank passage 220 may be closed or opened by a mechanical switch or a stopper.

일 예로, 수조(40)에 일정 이상의 수분이 수집되어 수위 감지 센서(43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수조 통로(220)가 닫혀 수분(W)이 가이드부(200)에서 수조(40)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collected in the water tank 40 and is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430, the water tank passage 220 is closed so that the water W does not move from the guide unit 200 to the water tank 40. It may not.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습 장치(1)를 통해 수행되는 제습 동작 및 공기 정화 동작의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dehumidifying operation and the air purifying operation performed through the dehumidifying devic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동작 수행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for performing a dehumidify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습 장치(1) 내부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과 공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7, parts common to the description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will be omitted.

제습 장치(1)는 열전 모듈(100), 가이드부(200), 제어부(300), 센싱부(400), 송풍팬(500) 및 전원(P)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module 100, a guide unit 200, a control unit 300, a sensing unit 400, a blower fan 500, and a power source P.

제어부(300)는 제습 장치(1)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일 예로, 제어부(30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습 장치(1)의 제습 기능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장소, 계절, 날씨 및/또는 시간대 등에 따라 제습 동작을 비활성화 또는 활성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장소, 계절, 날씨 및/또는 시간대 등에 따라 제습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300 may activate or deactivate the dehumidifying function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For example, the user can set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to be deactivated or activated according to the place, season, weather, and / or time zone. Or,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degree of dehumidification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lace, season, weather and / or time zone.

또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제습 장치(1) 주변의 습도나 온도에 따라 제습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고, 각 모드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제습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습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제습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습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300 may automatically change the dehumidifying mode according to the humidity or temperature around the dehumidifying device 1, and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o perform an appropriate level of dehumidifying operation according to each mode. Can be controlled.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3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o perform a dehumidifying operation according to a mode selected by the user.

제어부(300)는 전원(P)에 의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be supplied with power by the power source (P).

제어부(300)는 구동 모듈(310), 통신 모듈(320), LED 모듈(330) 및 기타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 driving module 310, a communication module 320, an LED module 330, and other modules 340.

구동 모듈(310)은 센싱부(400)로부터 온도, 습도 또는 수조(40)의 수분 함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310 may obtain data on the temperature, humidity, or moisture content of the water tank 40 from the sensing unit 400.

구동 모듈(310)은 센싱부(4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송풍팬(500)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열전 모듈(100)의 구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310 may set a control mode according to data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400 o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djust the speed of the blower fan 500 according to the set control mode or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You can adjust the driving time.

구동 모듈(310)은 통신 모듈(320), LED 모듈(330) 및 기타 모듈(340)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31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the LED module 330, and other modules 340.

통신 모듈(320)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폰 등의 외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rough at least one of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예를 들어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망, 3G, LTE망, 5G, 로라(LoRa) 등의 이동통신망,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비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Wi-Fi networks, 3G, LTE networks, 5G, and LoRa mobile networks,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beacons, zigbees, Bluetooth (Bluetooth) , BLE (Bluetooth Low Energy), and the like.

또한 유선통신은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동축케이블 또는 광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wired communication may include a twisted pair cable, a coaxial cable, or an optical cable.

통신 모듈(320)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기에 제습 장치(1)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외부 단말기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습 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provide data regarding the dehumidifying device 1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obtain command data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provide it 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일 예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습 장치(1)를 가동시키거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tart or stop the dehumidifying device 1 using an external terminal.

한편, 통신 모듈(320)은 센싱부(4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구동 모듈(310)에 제공하거나 구동 모듈(310)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획득하여 열전 모듈(100) 또는 송풍팬(500)에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obtains data from the sensing unit 400 and provides it to the driving module 310 or obtains command data from the driving module 310 and provides it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or the blowing fan 500. can do.

일 예로, 구동 모듈(310)은 통신 모듈(320)을 통해 열전 모듈(100)의 가동 시간 또는 송풍팬(500)의 가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module 310 may control the operating tim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or the operating speed of the blowing fan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통신 모듈(320)은 그 기능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Some of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be omitted.

통신 모듈(320)은 제어부(300)에서 생략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be omitted from the control unit 300.

LED 모듈(330)은 발광을 통해 제습 장치(1)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거나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LED module 330 may indicate a current stat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rough light emission or perform a lighting function.

LED 모듈(330)은 발광 다이오드 외에 빛을 발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LED module 330 may be made of a material emitting light in addition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모듈(330)은 제습 장치(1)의 제습 모드에 따라 다른 색의 빛을 띨 수 있다.The LED module 330 may emit light of a different color according to the dehumidifying mo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한편, LED 모듈(330)은 제습 장치(1)의 제습 모드와 상관 없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LED module 330 may display at least one color in at least one patter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regardless of the dehumidifying mo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LED 모듈(330)은 제습 장치(1) 내부에 배치되거나 구동 모듈(310)에 배치될 수 있다.The LED module 3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or the driving module 310.

일 예로, LED 모듈(330)은 수조(40)와 하우징(10) 사이에 배치되어 LED 모듈(330)에 의한 빛이 수조(40) 쪽으로 발산되어 수조(40)에 담긴 물 높이에 따라 빛의 발산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LED module 330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40 and the housing 10 so that the light generated by the LED module 330 is emitted toward the water tank 40 a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40. The form of divergence may vary.

또 다른 예로, LED 모듈(330)은 표시부(60) 근방에 배치되어 표시부(60)가 포함하는 표식을 통해 빛을 발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LED module 330 may be disposed near the display unit 60 to emit light through a mark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60.

기타 모듈(340)은 제습 장치(1)에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other module 340 may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기타 모듈(340)은 방향 모듈, 플라즈마 모듈, 탈취 모듈 가습 모듈, 오존 생성모듈, 또는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ther module 3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rection module, a plasma module, a deodorization module humidification module, an ozone generation module, or a filter.

기타 모듈(340)에 의해 제습 장치(1)로 유입된 유체 또는 제습 장치(1)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방향 효과, 탈취 효과, 가습 효과 또는 정화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a direction effect, a deodorizing effect, a humidifying effect, or a purifying effect may occur in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by the other module 340 or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dehumidifying device 1.

기타 모듈(340)은 제습 장치(1)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The other module 340 may be dispos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일 예로, 방향 모듈은 배출부(30)에 부착되어 제습 장치(1)에서 제습된 유체가 배출되면서 방향 모듈를 지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rection module may be attached to the discharge unit 30 and pass through the direction module while the dehumidified fluid from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discharged.

예를 들어, 제습 장치(1)의 표시부(60)와 송풍팬(500)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방향 캡슐 또는 고체 방향제가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60) 일부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방향 캡슐 또는 고체 방향제가 새로 삽입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For example, an empty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60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nd the blower fan 500, and a direction capsule or a solid fragrance may be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At this time, a part of the display unit 6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and, if necessary, a fragrance capsule or a solid fragrance may be newly inserted or replaced.

또 다른 예로, 플라즈마 모듈은 하우징(10) 내벽에 부착되어 제습 장치(1)로 유입된 유체가 제습 되기 전에, 제습 과정을 거치면서, 및 제습 된 후에 중 적어도 한 경우에 플라즈마 모듈을 지나면서 탈취 또는 정화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lasma modul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and deodo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asma module in at least one of the dehumidifying process, the dehumidifying process, and the dehumidifying process. Or it can be purified.

기타 모듈(340)은 사용 기간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Other modules 340 may be replac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period of use or as needed.

센싱부(400)는 제습 장치(1)의 주변 또는 내부의 온도, 습도, 수조(40)의 물 높이 등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00 may acquire data o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or insid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40, and the like.

센싱부(400)는 감지한 데이터를 구동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00 may provide the sensed data to the driving module 310.

센싱부(400)는 습도 센서(410), 온도 센서(420) 및 수위 감지 센서(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00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410, a temperature sensor 420 and a water level sensor 430.

센싱부(400)는 언급된 센서 외에 연기 센서, 미세먼지 감지 센서 또는 인체 유해물질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00 may include a smoke sensor, a fine dust detection sensor, or a human body harmful substance detection sensor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sensor.

습도 센서(410)는 제습 장치(1)의 외부 또는 내부 습도를 감지하여 획득한 습도 데이터를 구동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humidity sensor 410 may provide humidity data obtained by sensing external or internal humidity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o the driving module 310.

온도 센서(420)는 제습 장치(1)의 외부 또는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획득한 온도 데이터를 구동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420 may provide temperature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external or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o the driving module 310.

수위 감지 센서(430)는 수조(40)에 포함된 물의 양을 감지하여 획득한 수면 높이 데이터를 구동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or 430 may detect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40 and provide the water level data obtained to the driving module 310.

수위 감지 센서(430)는 수조(40) 내 물의 수면 높이를 감지하거나 수면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or 430 may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 or detect whether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a certain height.

센싱부(400)는 제습 장치(1) 내부 또는 외부 중 복수의 영역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00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areas, either inside or out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1.

일 예로, 수위 감지 센서(430)는 수조(40) 내벽에 배치될 수 있고 습도 센서(410) 및 온도 센서(420)는 하우징(10)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level sensor 4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40 and the humidity sensor 410 and the temperature sensor 42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또 다른 예로, 복수의 습도 센서(410) 및 온도 센서(420)가 하우징(10) 내벽 및 외벽에 배치되고 수위 감지 센서(430)는 수조(40)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humidity sensors 410 and temperature sensors 42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housing 10 and the water level sensor 4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40.

전원(P)은 열전 모듈(100), 제어부(300), 센싱부(400) 및 송풍팬(5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P may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the control unit 300, the sensing unit 400, and the blowing fan 500.

전원(P)은 유선 전원, 무선 전원, 배터리 및 충전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습 장치(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P may supply power to the dehumidifying device 1 in at least one form of a wired power source, a wireless power source, a battery, and a rechargeable battery.

한편, 열전 모듈(100), 가이드부(200), 제어부(300), 센싱부(400), 송풍팬(500) 및 전원(P)은 언급한 연결방법 외에 다른 방법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the thermoelectric module 100, the guide unit 200, the control unit 300, the sensing unit 400, the blowing fan 500, and the power source P may be interconnected by other methods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methods mentioned above, and each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습 장치(1)의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0)에 대해 서술한다.Hereinafter, a display unit 60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습 장치(1)는 센싱부(400)에서 검출되는 상태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다양한 제어 모드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60)를 통해 제습 장치(1)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operate in various control modes according to a stat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400 or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t this time, an operation stat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60.

도 18은 제습 장치(1)에서 실행 중인 제어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6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unit 60 for indicating a control mode being executed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도 18을 참조하면, 표시부(60)는 제습 장치(1)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display unit 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rks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예를 들어, 표시부(60)는 제1 표식(61), 제2 표식(62), 제3 표식(63), 제4 표식(64) 및 전원 버튼(65)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60 may include a first mark 61, a second mark 62, a third mark 63, a fourth mark 64 and a power button 65.

이때 표시부(60)는 하우징(10)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display unit 6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

일 예로, 표시부(60)는 하우징(10)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습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60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embodied in various shapes that allow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또한, 제1 표식(61) 내지 제4 표식(64) 및 전원 버튼(65)은 하우징(10)의 외부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rker 61 to the fourth marker 64 and the power button 65 may be disposed at various location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일 예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버튼(65)은 하우징 상단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표식(61) 내지 제4 표식(64)은 하우징 상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the power button 65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marks 61 to fourth marks 64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of the housing.

또 다른 예로, 전원 버튼(65)은 하우징 상단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표식(61) 내지 제4 표식(64)은 전원 버튼(65)의 위, 아래, 양 옆 네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button 65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marks 61 to fourth marks 64 may be arranged in four directions above, below, and on both sides of the power button 65. .

한편, 하나의 표시부(60)를 통해 제습 장치(1)에서 수행되는 제습 모드에 대응되는 제1 표식 내지 제4 표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표식(61) 내지 제4 표식(64)은 각각 제습 장치(1)에서 설정될 수 있는 제어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markers corresponding to the dehumidification mode performed by the dehumidifying device 1 may be displayed through one display unit 60. The first marks 61 to fourth marks 64 may indicate control modes that can be set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respectively.

또한, 제1 표식(61) 내지 제 4 표식(64)은 버튼 또는 스위치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제습 장치(1)의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제1 표식(61) 내지 제4 표식(64)은 각각 다른 문자, 도형, 문양, 그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표식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제습 장치(1)에서 실행되는 제어 모드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표시부(60) 하부에는 LED 모듈(330)이 배치되고 제어부(300)는 상기 LED 모듈(330)을 제어하여 제습 장치(1)의 제어 모드에 따라 제1 표식(61) 내지 제4 표식(64) 중 적어도 하나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rkers 61 to fourth markers 64 are implemented as buttons or switches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control mo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e first markers 61 to fourth markers 64 Can be implemented with different characters, figures, patterns, pictures, etc. Through each mark, the user can recognize the control mode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e LED module 330 is disposed under the display unit 60, and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LED module 330 to control the first dehumidify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control mode of the first markers 61 to 4, ) May provide light to at least one.

일 예로, 제1 표식(61)은 바람 모양, 제2 표식(62)은 물방울 모양, 제3 표식(63)은 달 모양, 제4 표식(64)은 태양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제습 장치(1)에서 주변의 공기 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제어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1 표식(61)에 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습 장치(1)에서 주변 습도가 높아 습기 제거를 활발하게 하는 제어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2 표식(62)에 빛이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mark 61 may be implemented as a wind shape, the second mark 62 may be a droplet shape, the third mark 63 may be a moon shape, and the fourth mark 64 may be embodied as a sun shape. At this time,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when the control mode for actively circulating the surrounding air is executed,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mark 61. In addition,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when the ambient humidity is high and a control mode for actively removing moisture is executed,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marker 62.

또한, 제습 장치(1)에서 송풍팬(500)의 속도를 저하시켜 상대적으로 소음이 적은 제습 모드가 실행되거나 습기 제거 기능 외에 탈취 또는 방향 기능이 수행되는 제어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3 표식(63)에 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습 장치(1)에서 조명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4 표식(64)에 빛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ehumidifying device 1 reduces the speed of the blower fan 500 to perform a relatively low noise dehumidifying mode or a control mode in which deodorization or direction functions ar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moisture removal function, the third mark 63 ) Can be provided with light.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mode that performs the lighting role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executed,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fourth mark 64.

한편, 제어부(330)는 센싱부(40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제습 장치(1)가 배치된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적절한 제습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요청에 대응되는 제습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330 may set an appropriate dehumidifying mod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and a place where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disposed, which is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400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30 may set a dehumidification mode corresponding to a request input from the user.

이때 제어부(300)는 각 제습 모드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열전 소자(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거나 송풍팬(500)의 팬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may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corresponding to each dehumidifying mode, or may adjust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fan 500.

열전 소자(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이 조절되면 냉각부(130)의 온도가 달라져 제습 장치(1)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로부터 습기가 제거되는 양이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is adjuste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30 is changed so that the amount of moisture removed from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dehumidifying device 1 can be controlled.

송풍팬(500)의 팬 회전 속도가 조절되면 제습 장치(1)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fan 500 is adjusted, the amount of fluid f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can be controlled.

일 예로, 제습 장치(1) 주변의 습도가 높은 경우, 제습 장치(1) 주변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 제어부(300)는 송풍팬(500)의 팬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늘리거나 열전 소자(130)에 많은 양의 전류를 인가하여 냉각부(130)의 온도를 더 낮춤으로써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umidity around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high, in order to lower the humidity around the dehumidifying device 1, the control unit 300 increases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fan 500 to increase the amount of fluid flowing therein. Alternatively, by applying a large amount of curren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the dehumidification amount may be increased by furthe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30.

또 다른 예로, 제습 장치(1)가 배치된 장소가 옷장과 같은 협소하고 밀폐된 공간인 경우, 제어부(300)는 송풍팬(500) 또는 열전 소자(130)를 제어하여 일정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습 장치(1)가 배치된 장소가 어두운 경우 제어부(300)는 LED 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제습 장치(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습 장치(1)가 화장실 또는 욕조와 같이 상대적으로 습기가 많은 곳에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습 장치(1)가 샤워기가 사용될 때는 작동하지 않고 샤워기 사용이 종료된 후에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place where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disposed is a narrow and closed space such as a wardrobe, 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blowing fan 500 or the thermoelectric element 130 to maintain a constant humidity. . At this time, when the place where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disposed is dark,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LED module 330, whereby the user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disposed in a relatively humid place such as a bathroom or a bathtub, the control unit 300 does not operate when the dehumidifying device 1 is used, but operates after the shower is finished. Can be controll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foun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제습 장치 1 유입부 20
배출부 30 수조 40
손잡이 50 표시부 60
Dehumidifying device 1 inlet 20
Discharge section 30 Water tank 40
Handle 50 display 60

Claims (12)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열전모듈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 내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의 표면에는 상기 유입된 공기와 상기 냉각부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프가 형성되는
제습 장치.
At least one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A thermoelectric module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air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scharged; And
A housing that partition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sposed; Includ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es a cooling unit that condenses moisture in the introduced air by contact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t least one bump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troduced air and the cooling unit.
Dehumidify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The inle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Dehumidify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비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범프의 표면에서 응결된 수분은 상기 범프의 표면을 따라 상기 냉각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낙하하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ump is formed asymmetrically,
The moisture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bump fal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ooling unit along the surface of the bump.
Dehumidify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제1 범프 및 제2 범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프와 상기 제2 범프는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ump includes a first bump and a second bump,
The first bump and the second bump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humidifying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프 및 상기 제2 범프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bump and the second bump have different sizes,
Dehumidifying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입체도형 형상이고,
상기 제1 범프 및 상기 제2 범프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bump is 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first bump and the second bump are formed in different lengths
Dehumidifying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범프의 끝단과 상기 제1 범프 사이의 거리는,
상기 냉각부 표면 상에 응결된 수분이 상기 제1 범프 및 상기 제2 범프 사이에 끼이지 않기 위한 끼임 방지 범위 이내인,
제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bump and the first bump,
The moisture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is within a trapping prevention range for not being caught between the first bump and the second bump,
Dehumidify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상기 냉각부의 표면에 원형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ump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Dehumidify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원추형 형상이고,
상기 냉각부 일단은 상기 냉각부의 표면에서 응결된 수분이 응집되어 물방울을 형성할 수 있도록 둥글게 형성된,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unit is conical shape,
One end of the cooling unit is rounded so that moisture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unit is aggregated to form water droplets.
Dehumidify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부 주변을 충분히 선회하여 냉각되도록 상기 유입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introduced air so that the introduced air is cooled sufficiently by turning around the cooling unit,
Dehumidify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장치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 모듈을 포함하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cluding the direction modul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passes,
Dehumidify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플라즈마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플라즈마 모듈은 상기 제습 장치로 유입된 공기가 지나도록 상기 제습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Plasma module,
The plasma module is disposed inside the dehumidifying devic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dehumidifying device passes,
Dehumidifying device.
KR1020180120079A 2018-10-08 2018-10-08 Humidity control device KR102144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79A KR102144618B1 (en) 2018-10-08 2018-10-08 Humidity control device
PCT/KR2018/015721 WO2020075914A1 (en) 2018-10-08 2018-12-11 Humidity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79A KR102144618B1 (en) 2018-10-08 2018-10-08 Humidity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359A true KR20200040359A (en) 2020-04-20
KR102144618B1 KR102144618B1 (en) 2020-08-14

Family

ID=7016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079A KR102144618B1 (en) 2018-10-08 2018-10-08 Humidity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4618B1 (en)
WO (1) WO2020075914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9504A (en) * 1994-12-08 1996-06-21 Nissin Electric Co Ltd Electronic dehumidifying device
KR101258639B1 (en) * 2012-09-06 2013-04-26 주식회사 아이비포 Dehumidifier
KR20180074310A (en) * 2016-12-23 2018-07-0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Small dehumidifi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724B1 (en) * 2016-05-02 2018-08-28 (주)메가크리에이트 Clean air, all-in-one with a humidifying and dehumidifying functions
KR101804231B1 (en) * 2016-12-28 2017-12-04 주식회사 조은바람 Pad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9504A (en) * 1994-12-08 1996-06-21 Nissin Electric Co Ltd Electronic dehumidifying device
KR101258639B1 (en) * 2012-09-06 2013-04-26 주식회사 아이비포 Dehumidifier
KR20180074310A (en) * 2016-12-23 2018-07-0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Small de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5914A1 (en) 2020-04-16
KR102144618B1 (en) 2020-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842B2 (en) Air conditioner for individual cooling/heating
US10139117B2 (en) Wall-mounted smart dehumidifier
KR102095090B1 (en) Small sized smart dehumidifier
US10006650B2 (en) Energy-saved smart safety cooling/warming wind apparatus for the four seasons
KR101140218B1 (en) A dehumidifier with room of dryer
KR101560694B1 (en) Dehumidifier
JP2018036045A (en) Dehumidifying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without increasing external temperature
KR101592462B1 (en) A dehumidifier and its control method
CN102052737B (en) Air-conditioning device
KR101258639B1 (en) Dehumidifier
KR101231485B1 (en) The window system with the function of humidifying, dehumidifying and heating
WO2014009688A2 (en) A passive ventilation and/or humidity control unit
KR102144618B1 (en) Humidity control device
KR200476113Y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blower device
CN104279739B (en) Air conditioner
JP4040813B2 (en) Humidifier
KR200480011Y1 (en) compact dehumidifier
KR100491547B1 (en) Automatic control dehumidifier using thermocouple
KR20200037754A (en) Small sized smart dehumidifier
KR20110001156U (en) Dehumidifier
KR102261531B1 (en) Small dehumidifier using peltier module and its way of working
KR20180074310A (en) Small dehumidifier
KR102131049B1 (en) Dehumidifi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KR20080063562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20068019A (en) dehumidifier with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