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992A - 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 - Google Patents

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992A
KR20200039992A KR1020180119662A KR20180119662A KR20200039992A KR 20200039992 A KR20200039992 A KR 20200039992A KR 1020180119662 A KR1020180119662 A KR 1020180119662A KR 20180119662 A KR20180119662 A KR 20180119662A KR 20200039992 A KR20200039992 A KR 20200039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t
air
double space
bungalow
type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창희
Original Assignee
정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희 filed Critical 정창희
Priority to KR102018011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9992A/en
Publication of KR2020003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9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2Inflatable or partly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05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hunting 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63B2739/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ngalow 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galow type boat using the double space sheet includes: a first air mat made of the double space sheet and filled with air therein; at least one second air mat made of the double space sheet, filled with the air therein, and position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ir mat; and a cover part made of the double space sheet, filled with the air therein, and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ir mat in an arch shape. Accordingly, an arch-shaped cove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fter a plurality of air mats are stacked by using the double space sheet.

Description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B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spaces {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

본 발명은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갈로형의 덮개부 또는 모터가 착탈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and more particularly, a technique in which a cover or motor of a bungalow-type can be attached or detached is disclosed.

레저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수상용 보트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고, 또한 이들 보트의 경우 민물 낚시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강변이나 저수지 주변의 고수부지에 낚싯대를 설치하는 정도를 벗어나 보트를 타고 민물 낚시를 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것이고, 또한 낚시 포인트를 찾는데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보트를 이용할 경우 주간에는 일광에 노출되고, 야간에는 습기나 바람 및 유해 해충 등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는 등 자연적인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leisure industry, the use of water boats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se boats are also widely used for freshwater fishing. Fishing from freshwater boats is very interesting, and it is also very useful for finding fishing points, beyond the level of installing a fishing rod on a riverbed or a reservoir around a reservoir. However, when using a boat, it is exposed to daylight during the day, and at night, there are many natural restrictions, such as fear of moisture, wind, and harmful pests.

최근에는 이러한 자연적인 피해를 줄이고자 보트에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품들이 일부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이들의 경우 대부분이 주간에 일광을 차단할 수 있는 정도의 것에 그치고 있어, 주/야간을 가리지 않고 낚시를 하는 애호가들에게 크게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일광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기능은 물론이고 방습, 방풍 및 각종 유해 해충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텐트 결합형 보트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some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be installed on a boat to reduce the natural damage, but in these cases, most of them are only able to block daylight during the day, so fishing is possible regardless of day / night. As a situation that has not been greatly favored by enthusiasts, the development of tent-coupled boats that can provide safety from moisture, wind, and various harmful pests as well as sun protection that can block sunlight is urgently required. to be.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359호(2004년03월30일 공고)는 텐트 결합형 보트에 관한 것으로, 텐트 결합형 보트의 경우 보트의 각 모서리에 연결링으로 연결되는 고정핀을 마련하고, 이에 텐트를 지지하는 텐트지지대의 양단부를 결합할 수 있게 하고, 보트에서 분리된 텐트를 차양막 용도로 별도 사용할 수 있도록 텐트 하단의 각 모서리에도 연결링으로 연결되는 고정핀을 마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mong the prior art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46359 (announced on March 30, 2004) relates to a tent-coupled boat, and in the case of a tent-coupled boat, a fixing pin connected by a connecting ring to each corner of the boat To provide a fixing pin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bottom of the tent so that the both ends of the tent supporter supporting the tent can be combined, and the tent separated from the boat can be used separately for shading. Technical features.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지지대를 텐트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 텐트를 설치하는 것과 같이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to install and use a support in a tent, and is limited in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like installing a general ten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하여 복수의 에어매트를 적층시킨 후 아치형의 덮개를 착탈할 수 있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spaced paper capable of detaching an arched cover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air mats using a double-spaced paper.

또한, 이중의 에어보트의 구조를 형성하여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모터를 장착할 수 있는 브라켓을 구비하여 전동형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that can increase the propulsive force by forming a structure of a double air boat, and can be driven by an electric type by providing a bracket to mount a motor.

또한, 보트의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전복사고나 탑승자의 조난상황을 파악하여 외부의 관제서버로 보고할 수 있는 방갈로형 보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ungalow-type boat that can report a rollover accident or a passenger's distress situation using the boat's movement information and report it to an external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제1 에어매트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며, 상기 제1 에어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에어매트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며, 상기 제1 에어매트의 상부에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double space and is filled with air therein, and a first air mat is formed of the double space and is filled with air therein, and the first air mat It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air ma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ir, and is formed of a double space paper to fill the air therein, and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top of the first air mat.

또한, 모터가 결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1 에어매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더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결착부와, 상기 제1 에어매트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더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결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main body portion to which the motor is coupled, a plurality of first binding portion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rst holder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ir mat,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ders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first air mat It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bin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또한, 상기 제1 에어매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면에 복수의 상기 제1 홀더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ir mat, a plurality of the first hold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racket.

또한, 상기 덮개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olar panel for absorbing solar energy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또한, 상기 제1 에어매트에 형성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와, 상기 제1 에어매트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이동감지부와, 상기 제1 에어매트의 기울기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에어매트의 무게를 감지하여 조난신호를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detection unit is formed on the first air mat to detect the weight, the movem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ir mat, and whe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ir mat exceeds a preset value, the first 1 may inclu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sensing the weight of the air mat and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o an external control server.

이에 따라, 이중공간지를 이용하여 복수의 에어매트를 적층시킨 후 아치형의 덮개를 착탈할 수 있다.Accordingly,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air mats using the double space paper, the arched cover can be removed.

또한, 이중의 에어보트의 구조를 형성하여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모터를 장착할 수 있는 브라켓을 구비하여 전동형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pulsive force by forming a structure of a double air boat, and can be driven in an electric type by having a bracket to mount a motor.

또한, 보트의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전복사고나 탑승자의 조난상황을 파악하여 외부의 관제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boat's movem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rasp a rollover accident or a passenger's distress situation and report it to an external control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에 브라켓 및 높이조절부가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에 송풍팬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ngalow boat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bungalow boat using the double space according to FIG. 1.
3 is a plan view of a bungalow-type boat using the double space according to FIG.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bracket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are mounted on 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in FIG. 1.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blowing fan is formed in a bungalow-type boat using the double space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ecedent.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f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follow the defini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ngalow 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bungalow 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FIG. 1 It is a top view of a bungalow boa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100)는 제1 에어매트(110), 제2 에어매트(120) 및 덮개부(130)를 포함한다.1 to 3, the bungalow-type boat 100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ir mat 110, a second air mat 120, and a cover 130 do.

제1 에어매트(11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주입되어 채워진다. 제1 에어매트(110)는 이중공간지라는 일종의 PVC 시트지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있어 장시간 일광에 노출되더라도 사용시 피부에 달라붙는 성질이 없다, 또한, 이중공간지는 마찰계수가 적어서 수면상에서 이동하는데 필요한 힘을 상당부분 줄여준다. 이중공간지는 원단의 상하부 공기층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내구성이 단단한 이중원단이다. 이중공간지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수억만 가닥의 폴리에스테르 실 조직으로 구성되어 상하부로 잡아주어 뒤틀리거나 쏠림현상이 없는 특징이 있다. 제1 에어매트(110)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후술하는 제2 에어매트(120)가 접착되고, 상부에는 덮개부(130)가 결착된다.The first air mat 110 is formed of a double space paper, and the inside is filled with air. The first air mat 110 is formed of a kind of PVC sheet paper called double space paper, so it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so it does not stick to the skin during use even when exposed to sunlight for a long time. Significantly reduces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double space paper is a durable double fabric that firmly holds the upper and lower air layers of the fabric. The double space paper is composed of hundreds of millions of strands of polyester yarns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and is characterized by no twisting or skewing by holding it up and down. The first air mat 11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second air mat 120 to be described below is adhered to the lower portion, and a cover portion 13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또한, 제1 에어매트(110)의 상면 일측에는 복수의 제1 홀더(111)가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복수의 제2 홀더(112)가 형성된다. 제1 홀더(111)와 제2 홀더(112)는 모터를 지지하는 브라켓(140)이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제1 홀더(111)와 제2 홀더(112)에 브라켓(14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브라켓(140)에 모터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갈로형 보트(100)는 전동보트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홀더(111)와 제2 홀더(112)는 제1 에어매트(110)의 표면에 일정 장력 이상을 버틸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holders 11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ir mat 110,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ders 11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The first holder 111 and the second holder 112 are used to support the bracket 140 supporting the motor. The bracket 14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holder 111 and the second holder 112, and a motor is coupled to the bracket 140. Accordingly, the bungalow-type bo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boat. The first holder 111 and the second holder 112 are preferably coupled to withstand a certain tension or more on the surface of the first air mat 110.

또한, 제1 에어매트(110)의 측면 타측에는 복수의 제1 고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리(113)는 D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고리(113)는 제2 에어매트(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고리(121)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어 제1 에어매트(110)와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고리(113)는 덮개부(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 고리(132)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어 제1 에어매트(110)와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rings 113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mat 110. For example, the first ring 113 may be implemented in a D-shape. The first ring 113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rings 121 formed on the second air mat 120 through a rope to solidify the coupling with the first air mat 11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113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hird rings 132 formed on the cover 130 through a rope to solidify the coupling with the first air mat 110.

또한, 제1 에어매트(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벨크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제2 에어매트(120), 덮개부(130)와 벨크로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Velcro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irst air mat 120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mat 120, the cover 130, and the Velcro coupling.

제2 에어매트(12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주입되어 채워진다. 제2 에어매트(120)는 제1 에어매트(110)와 같이 이중공간지라는 일종의 PVC 시트지로 형성된다. 제2 에어매트(120)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길이방향의 부재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에어매트(120)의 선단은 삼각 또는 유선형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 또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econd air mat 120 is formed of a double space paper, and is filled with air injected therein. The second air mat 120 is formed of a kind of PVC sheet paper called double space paper, like the first air matt 110. The second air mat 120 is formed of a longitudinal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is case, the tip of the second air mat 120 is formed in a triangular or streamlined shape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air or water.

또한, 제2 에어매트(120)는 제1 에어매트(110)의 하부에 복수 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2 에어매트(120)가 서로 이격되어 제1 에어매트(110)의 하부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에어매트(120)의 길이는 제1 에어매트(11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마찰을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제2 에어매트(120)는 제1 에어매트(110)와 벨크로(도시하지 않음)로 결합되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air mats 120 is formed under the first air mat 110, preferably, the two second air mat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ir mat 110 Can be formed side by side.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econd air mat 12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air mat 110. This is to minimize friction and improve stability. The second air mat 120 is coupled to the first air mat 110 and a Velcro (not shown) and can be easily detached.

또한, 제2 에어매트(120)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복수의 제2 고리(121)가 형성된다. 제2 고리(121)는 D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고리(121)는 제1 에어매트(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고리(113)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어 제2 에어매트(120)와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고리(121)는 덮개부(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 고리(132)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어 제2 에어매트(120)와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rings 121 are formed on the top or side surfaces of the second air mat 120. The second ring 121 may be implemented in a D-shape. The second ring 121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113 formed on the first air mat 110 through a rope to solidify the coupling with the second air mat 12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rings 121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hird rings 132 formed on the cover 130 through a rope to solidify the coupling with the second air mat 120.

또한, 제2 에어매트(120)의 하부에는 수직하게 복수의 날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22)는 일측이 유선형 형태로 형성되어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wing portions 122 may be vertically formed under the second air mat 120. Wing portion 122 is formed on one side in a streamlined shape serves to improve the straightness.

덮개부(130)는 제1 에어매트(110) 및 제2 에어매트(120)와 같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다. 덮개부(130)는 제1 에어매트(110)의 상부에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덮개부(130)는 제1 에어매트(110)와 벨크로로 연결되며, 손쉽게 탈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덮개부(130)의 바닥판(!31)은 얇은 시트지로 형성되며, 이중공간지 형태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130)의 바닥판(!31)의 크기는 제1 에어매트(110)의 상부면과 같거나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part 130 is formed of a double space paper, such as the first air mat 110 and the second air mat 120, so that air is filled therein. The cover part 130 is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ir mat 110. The cover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mat 110 by velcro, and can be easily detached and stored. The bottom plate (! 31) of the cover part 130 is formed of a thin sheet pap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by injecting air in the form of a double space paper. The size of the bottom plate (! 31) of the cover portion 130 is preferably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air mat (110).

덮개부(130)의 아치형 표면에는 복수의 제3 고리(132)가 형성된다. 제3 고리(132)는 제1 에어매트(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고리(113)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어 제1 에어매트(110)와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3 고리(132)는 제2 에어매트(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고리(121)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어 제2 에어매트(120)와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덮개부(130)의 개구되 양 측면에는 텐트와 같이 보조커버를 통해 내부를 폐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보조커버는 방충망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덮개부(130)의 하면에는 벨크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제1 에어매트(110)와 벨크로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third rings 132 are formed on the arcuate surface of the cover 130. The third ring 132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113 formed on the first air mat 110 through a rope to solidify the coupling with the first air mat 11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ird rings 132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rings 121 formed on the second air mat 120 through a rope to solidify the coupling with the second air mat 120. It is also possible to close the inside of the cover 130 through an auxiliary cover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In this case, the auxiliary cove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sect screen. In addition, a Velcro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30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 mat 110 through a Velcro coupling.

도 4는 도 1에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에 브라켓 및 높이조절부가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bracket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are mounted on 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in FIG. 1.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100)는 브라켓(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40)은 본체부(141), 제1 결착부(142) 및 제2 결착부(143)를 포함한다. 본체부(141)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모터가 결착된다. 이 경우, 모터는 방갈로형 보트(100)를 전기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제1 결착부(142)는 본체부(141)의 일측에 복수로 형성되어 제1 에어매트(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더(111)에 삽입된다. 제2 결착부(143)는 본체부(141)의 타측에 복수로 형성되어 제1 에어매트(110)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더(112)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결착부(142)는 본체부(141)와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 결착부(143)는 본체부(141)와 평행이 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a)는 브라켓의 형상을 나타낸다.1 and 4, the bungalow-type boat 100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140. Specifically, the bracket 140 includes a body portion 141, a first binding portion 142 and a second binding portion 143. The body portion 141 is a motor is attached to the square plate shape. In this case, the motor causes the bungalow-type boat 100 to move electrically. The first binding portion 142 is formed in plural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41 and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holders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ir mat 110. The second binding portion 143 is formed in plural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41 and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holders 112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ir mat 110. In this case, the first binding portion 142 may be formed by b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141, and the second binding portion 143 may be formed by bending so as to be parallel to the body portion 141. In Figure 4 (a) shows the shape of the bracke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100)는 높이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15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일종의 보조매트로 브라켓(14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모터의 종류에 따라 브라켓(140)의 높이가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높이조절부(150)는 제1 에어매트(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홀더(111)가 높이조절부(150)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50)의 두께 및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진다. 도 4의 (b)는 제1 에어매트(110)의 상부에 높이조절부(150)가 형성되어 브라켓(140)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다.Meanwhile, the bungalow-type boat 100 using the double sp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150.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a kind of auxiliary mat formed of a double space paper and is used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racket 140. This is because the height of the bracket 140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motor.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ir mat 110.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rst holders 111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The thickness and number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changed by the user's setting. FIG. 4 (b) shows that the bracket 140 is fixed by forming a height adjusting unit 15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ir mat 11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100)는 태양전지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160)은 덮개부(130)의 외면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흡수한다. 태양전지판(160)은 제1 에어매트(110), 제2 에어매트(120) 및 덮개부(130)의 제1 고리(113), 제2 고리(121) 및 제3 고리(132) 중 적어도 하나에 로프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160)은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를 모터로 공급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160)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는 태양전지판(16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bungalow-type boat 100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ar panel 160. The solar panel 16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130 to absorb solar energy. The solar panel 160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ring 113, the second ring 121 and the third ring 132 of the first air mat 110, the second air mat 120 and the cover 130. It can be fixed by connecting a rope to one. The solar panel 160 may charge electricity to the battery and supply charged electricity to the motor. The size of the solar panel 160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s. Accordingly, the motor can be driven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solar panel 160 and drive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100)는 무게감지부(170), 이동감지부(180) 및 무선통신부(19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무게감지부(170)는 제1 에어매트(110)에 형성되어 제1 에어매트(110)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무게감지부(170)는 방갈로형 보트(100)에 사람이 탑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무게를 감지한다. 무게감지부(170)는 제1 에어매트(11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무게감지부(170)는 내부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판(1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ngalow-type boat 100 using a doubl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weight detection unit 170,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8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The weight detecting unit 170 may be formed on the first air mat 110 to detect the weight applied to the first air mat 110. The weight detecting unit 170 senses the weight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has boarded the bungalow-type boat 100. The weight detecting unit 170 may be formed in plural on the first air mat 110. The weight detection unit 170 may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an internal battery or a solar panel 160.

이동감지부(180)는 제1 에어매트(11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동감지부(180)는 제1 에어매트(110)가 전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울기를 감지한다. 이는 방갈로형 보트(100)가 운전 중 전복되는 경우 재난신호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이동감지부(180)는 제1 에어매트(110)의 이동방향,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에어매트(110)는 방갈로형 보트(100)의 기본이 되는 구조이므로 제1 에어매트(110)를 기준으로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감지부(180)는 내부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판(1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The movement detection unit 180 may sense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ir mat 110.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80 detects a tilt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air mat 110 is overturned. This is to generate a disaster signal when the bungalow-type boat 100 is overturned while driving.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80 may also detect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speed of the first air mat 110.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air mat 110 is a basic structure of the bungalow-type boat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move based on the first air mat 110.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80 may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an internal battery or a solar panel 160.

무선통신부(190)는 외부의 관제서버와 통신한다. 무선통신부(190)는 제1 에어매트(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에어매트(110)의 무게를 감지하여 조난신호를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송한다. 무선통신부(190)는 방갈로형보트의 전복상태를 외부의 관제센터로 신속하게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무선통신부(190)는 내부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판(1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90)는 제1 에어매트(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라도, 제1 시점에서 감지된 무게정보와 제2 시점에서 감지된 무게정보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가 물에 빠진 경우로 판단하여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control server. Whe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ir mat 110 exceeds a preset valu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senses the weight of the first air mat 110 and transmits a distress signal to an external control serv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serves to quickly transmit the overturned state of the bungalow-type boat to an external control center.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may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an internal battery or solar panel 16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is a user when the weight information sensed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weight information sensed at the second time point exceed the preset value even if the slope of the first air mat 110 does not exceed the preset value. It can be judged to be drowned and transmitted to an external control server.

또한, 무선통신부(19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에는 방갈로형 보트(100)의 무선통신부(190)와 통신하여 접속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통신부(190)는 사용자 단말로 방갈로형 보트(100)의 이동정보인 이동속도, 이동방향, 무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90)는 무선통신부(190)는 제1 에어매트(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치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그와 연결된 SNS를 통해 지인들에게 SMS, 푸쉬알람 형태로 조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may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a user terminal has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nd connec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of the bungalow-type boat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may transmit movement speed, movement direction, and weight information, which ar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bungalow-type boat 100,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ir mat 110 exceeds a preset valu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transmits a distress signal in the form of an SMS or push alarm to acquaintances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n SNS connected thereto when the slope of the first air mat 110 exceeds a preset value. You can.

또한, 무선통신부(190)는 제1 에어매트(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라도, 제1 시점에서 감지된 무게정보와 제2 시점에서 감지된 무게정보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조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확인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내로 수신되지 않으면 관제서버로 조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항해를 완료한 경우에는 확인정보가 수신되고, 항해 도중 실종된 경우라면 확인정보가 수신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1인이 운항 중에 발생한 사고에도 신속히 조난신고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even if the slope of the first air mat 110 does not exceed the preset value, the weight information detected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weight information detected at the second time point exceeds the preset value In this case, the distress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if confirm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user, a distress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This is because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when the user has safely completed the voyage, and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if the user disappears during the voya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mptly report distress even when an accident occurs while one user is in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100)는 송풍팬(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200)은 덮개부(130)의 개구된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송풍팬(200)은 덮개부(130) 내부에 형성되어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송풍팬(200)은 내부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판(1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송풍팬(200)은 제1 에어매트(110)의 이동방향, 이동속도에 따라 구동여부 또는 구동속도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송풍팬(200)은 이동감지부(180)를 통해 방갈로형 보트(100)가 이동중인 경우 송풍팬(200)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다. 이는 방갈로형 보트(100)가 이동중에는 자연바람을 이용하고, 정지 또는 저속주행시에는 송풍팬(20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바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bungalow-type boat 100 using the double sp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200. Blowing fan 2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cover 130, respectively. The blowing fan 200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130 to generate wind. In this case, the blowing fan 200 may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an internal battery or a solar panel 160. The blowing fan 200 is driven or the driving spee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first air mat 110. For example, the blowing fan 200 may decelerate or stop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ing fan 200 when the bungalow-type boat 100 is moving through the movement detecting unit 180. This is to enable the bungalow-type boat 100 to use the natural wind while moving, and to increase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ing fan 200 during stoppage or low-speed driving to supply wind to the user.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tended to cover the obvious vari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xamples.

100 : 방갈로형 보트
110 : 제1 에어매트
111 : 제1 홀더
112 : 제2 홀더
113 : 제1 고리
120 : 제2 에어매트
121 : 제2 고리
122 : 날개부
130 : 덮개부
131 : 바닥판
132 : 제3 고리
140 : 브라켓
141 : 본체부
142 : 제1 결착부
143 : 제2 결착부
150 : 높이조절부
160 : 태양전지판
170 : 무게감지부
180 : 이동감지부
190 : 무선통신부
200 : 송풍팬
100: bungalow boat
110: first air mat
111: first holder
112: second holder
113: first ring
120: second air mat
121: second ring
122: wing
130: cover
131: bottom plate
132: third ring
140: bracket
141: main body
142: first binding portion
143: second binding portion
150: height adjustment unit
160: solar panel
170: weight sensing unit
180: movement detection unit
19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0: blowing fan

Claims (5)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제1 에어매트;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며, 상기 제1 에어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에어매트; 및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며, 상기 제1 에어매트의 상부에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
A first air mat formed of double space paper and filled with air therein;
It is formed of a double space paper is filled with air therein, at least one second air mat located below the first air mat; And
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which is formed of a double space and is filled with air therein, and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top of the first air mat.
제1항에 있어서,
모터가 결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1 에어매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더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결착부와, 상기 제1 에어매트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더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결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
According to claim 1,
A main body portion to which the motor is coupled, a plurality of first binding portion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rst holder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ir mat,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ders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first air mat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further comprising a bracket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binding par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매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면에 복수의 상기 제1 홀더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
According to claim 2,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is formed on the first air mat, a plurality of the first hold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rack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더 포함하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
According to claim 2,
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that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absorbs solar energy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매트에 형성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
상기 제1 에어매트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상기 제1 에어매트의 기울기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에어매트의 무게를 감지하여 조난신호를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weight detection unit formed on the first air mat to sense weight;
A movement detecting unit detecting a tilt of the first air mat;
When the slope of the first air mat exceeds a preset value, a bungalow-type boat using a double space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senses the weight of the first air mat and transmits a distress signal to an external control server.
KR1020180119662A 2018-10-08 2018-10-08 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 KR202000399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62A KR20200039992A (en) 2018-10-08 2018-10-08 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62A KR20200039992A (en) 2018-10-08 2018-10-08 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992A true KR20200039992A (en) 2020-04-17

Family

ID=7046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62A KR20200039992A (en) 2018-10-08 2018-10-08 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99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915Y1 (en) 2020-11-04 2022-01-24 허영웅 Bungalow For Fis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915Y1 (en) 2020-11-04 2022-01-24 허영웅 Bungalow For Fi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400B2 (en) Floating structures for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floating structures
JP5769850B1 (en) Moored balloon
KR20200039992A (en) Buoungalow type boat using double layered air mat sheet
WO2009132232A2 (en) Panel and panel mount system
CN207607619U (en) Multifunction remote-control lifebuoy
CN113120249B (en) Marine unmanned aerial vehicle jack
CN108756450A (en) A kind of security protection system of highway construction
KR102044911B1 (en) Multi-function motor straw safety system for various tourist weights
EP2369351A1 (en) A system for detection of turbulent air flow across a sail of a sailboat
CN107472482A (en) A kind of water survival gear
CN207411527U (en) A kind of intelligent heating clothes
CN215264044U (en) A topography mapping device for geological disasters are administered
CN210659866U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protection screen window
KR102298778B1 (en) Mat for a Pet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205826886U (en) Solar energy life-detection instrument
CN205295971U (en) Novel bridge detects and crawls device
CN215043750U (en)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air crash protection device
CN215042199U (en) New forms of energy electric motor car that can charge automatically
CN214583541U (en) Water level alarm device for flood prevention engineering
CN213057447U (en) Remote control self-propelled voice life buoy
CN201629855U (en) Heating pad for pets
CN110792313B (en) Compensation type buried telegraph pole is emptyd with crashproof to road side
JP6968520B2 (en) Fish reef outflow alarm device
CN218511795U (en) Be used for photovoltaic power plant operation monitoring display instrument
KR200411066Y1 (en) Synthetic resin film for the vinyl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