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371A -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371A
KR20200039371A KR1020180119214A KR20180119214A KR20200039371A KR 20200039371 A KR20200039371 A KR 20200039371A KR 1020180119214 A KR1020180119214 A KR 1020180119214A KR 20180119214 A KR20180119214 A KR 20180119214A KR 20200039371 A KR20200039371 A KR 2020003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se
purified
filt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917B1 (ko
Inventor
김혜원
Original Assignee
김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원 filed Critical 김혜원
Priority to KR102018011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9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코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로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코 주변으로 직접 정화된 공기를 중력 방향으로 공급하여 호흡기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밀어내고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룰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NOSE HANGING TYPE WEARABLE AIR CLEANER}
본 발명은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코 주변으로 직접 정화된 공기를 중력 방향으로 공급하여 오염된 공기를 밀어내고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여러가지 복합성분을 가진 대기중 부유 물질로서, 주로 석유, 석탄 등의 화석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한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주로 연소입자인 탄소, 유기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금속 성분으로 구성되어 호흡기 및 심혈관계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고,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일반적인 수단으로 입과 코를 덮는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으나 착용이 불편하고, 안면부에 잘 밀착되지 않아 미세먼지가 호흡기로 유입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일회용으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4196호 "미세먼지 제거용 마스크"가 있는바, 이는 마스크 본체가 외부 및 내부커버로 구성되고 외부 및 내부커버에 배기밸브를 형성하여 마스크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배기밸브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그러나 이는 기존의 마스크에 배기밸브를 형성하여 호흡이 이루어진 공기를 외부로 쉽게하기 위해 배기밸브를 부착하는 것으로, 마스크의 무게가 무거워져 착용이 불편할뿐만 아니라 일회용인 마스크의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1828호 "넥밴드형 에어블로어"가 있는 바, 이는 넥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외기를 유입하여 필터링한 후,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분사하거나 마스크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목에서부터 얼굴 주변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혼합되어 호흡기로 유입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정화된 공기를 호스연결부를 통해 에어공급마스크로 공급함으로 인하여 호기 시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재 흡입하는 문제가 있고, 마스크를 이중으로 착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9789호 "휴대용 송기 마스크"가 있는 바, 이는 사용자의 몸에 탄성적으로 거치하는 C자 형태의 휴대용 송기 마스크로 송기부와 분사구를 갖고, 송기부는 공기유로에 유입된공기를 호흡기 쪽을 향하여 좌,우 양쪽에서 분사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다. 분사구는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다수의 열로 다수의 홀들이 배열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열의 분사홀은 호흡기를 향해 직접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기부의 몸체 측면에 수평하게 출구가 형성되고, 그 외에 외측에 위치하는 열의 분사홀은 호흡기로부터 그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에어커튼 형성을 위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기부의 몸체 측면에 일정 각도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송기부의 좌,우 양쪽에서 호흡기를 향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호기 시에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못하고 재 흡입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몸체부와 송기부에 설치되어 주변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다수의 센서, 모바일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송기부 내에 내설되어 발열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 시스템이 복잡하여 사용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코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로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코 주변으로 직접 정화된 공기를 중력 방향으로 공급하여 호흡기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밀어내고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는, 양측 방향으로 정화공기토출부가 형성된 목에 착용하는 넥밴드 형태의 몸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외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중앙부에 공기유입구가 구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에 대향하는 필터를 공기유로상에 개재시키는 상기 필터부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는 마이크로 팬과 헤파필터로 구성되어 외부공기를 빨아들여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정화공기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의 호스연결부에 연결된 연결호스에 의해 상기 정화공기토출부로 공급한다.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는 몸체부의 공기유로보다 공기유로가 좁아지게 형성되어 베르누이현상이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게 구성된다. 빨라진 정화공기는 코 부위에 부착되는 상기 정화공기토출부를 통해 중력 방향으로 토출되어 호흡기 주변의 미세먼지를 밀어내고 사용자의 호흡기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의 호스연결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는 유연성을 갖는 고무튜브로 형성되어 양측 끝 단부에 상기 정화공기토출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공기토출부는 일측면에 자석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호스 양측 끝 단부에 각각 구성된 상기 정화공기토출부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이 형성된 정화공기토출부를 코 주변에 연결하여 코에 걸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시 연결을 해제하여 코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는, 공기유입구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코에 부착되는 정화공기토출부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중력 방향으로 공급하여 오염된 공기를 밀어내고, 상기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가 호흡기를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의 필터부의 구성도.
본 발명은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는, 목에 착용하는 넥밴드형의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101)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공기유로(102)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중앙부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200)가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1)의 양단부에는 연결호스(105)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109)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호스(105)의 끝 단부에는 필터링된 정화공기가 토출되는 정화공기토출부(106)를 구성하고,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에 정화공기토출홀(107)을 형성하여 상기 정화공기를 상기 정화공기토출홀(107)을 통해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의 일측면에 자석(108)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108)에 의해,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를 체결하여 코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호스(105)는 고무재질이나 플라스틱, 실리콘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호스(105)는 상호 연결되어 중앙부(미도시)에 상기 정화공기토출홀(107)를 형성하여 코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01)의 중앙부에 구성되는 상기 필터부(200)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유입구(104)를 형성하고, 전원버튼(103)을 켜면 상기 공기유입구(104)로 외부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필터부(200)의 작동으로 필터링되어, 상기 공기유로(102)를 통해 상기 필터링된 정화공기가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몸체부(101)의 양단부의 상기 호스연결부(109)에 연결된 상기 연결호스(105)의 끝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가 상기 자석(108)에 의해 체결되어 코 주변에 부착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04)로 흡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되어 정화된 공기가 상기 몸체부(10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기유로(102)를 통해 상기 연결호스(105)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호스(105)의 끝 단부에 형성된 정화공기토출부(106)로 상기 정화된 공기가 중력 방향으로 토출되어 호흡기 주변의 미세먼지를 밀어내고, 상기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자석(108)에 의해 체결된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는 상기 자석(108)을 분리하면 쉽게 체결을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몸체부(101)의 양단부의 상기 호스연결부(109)에 연결된 상기 연결호스(105)는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연결호스(105)가 코에 걸쳐지는 중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정화공기토출홀(107)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입구(104)로 흡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되어 정화된 공기가 상기 몸체부(10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기유로(102)를 통해 상기 연결호스(105)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호스(105)가 코에 걸쳐지는 중앙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정화공기토출홀(107)로 상기 정화된 공기가 중력 방향으로 토출되어 호흡기 주변의 미세먼지를 밀어내고, 상기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의 필터부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기 필터부(200)는 구동모터(201)와 마이크로팬(202), 밧데리(203), USB단자(204), 필터(205)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버튼(103)을 켜면 상기 구동모터(201)와 상기 마이크로팬(202)이 작동하고 상기 공기유입구(104)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필터(205)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다. 상기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몸체부(101)의 상기 공기유로(102)를 통해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로 공급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밧데리(203)는 상기 USB단자(204)를 통해 충전된다.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몸체부(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착탈홈(미도시)를 갖는다. 상기 필터부(200)에는 상기 필터(205)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200)를 상기 몸체부(101)의 내부에 가로 방향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1)의 내부의 상기 마이크로팬(202)에 대향되게 좌,우에 필터(미도시)를 구성하여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공기유로(102)를 통해 상기 정화공기토출부(106)로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구(104)에 필터(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1: 몸체부 102: 공기유로
103: 전원버튼 104: 공기유입구
105: 연결호스 106: 정화공기토출부
107: 정화공기토출홀 108: 자석
109: 호스연결부 200: 필터부
201: 구동모터 202: 마이크로팬
203: 밧데리 205: 필터

Claims (4)

  1.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목에 착용하는 넥밴드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성되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로;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호스연결부; 상기 호스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 끝 단부에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토출되는 정화공기토출부; 상기 정화공기토출부에 형성된 정화공기토출홀; 상기 정화공기토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자석;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정화공기토출부를 체결하여 코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정화공기토출부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2.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호스연결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는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호스가 코에 걸쳐지는 중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정화공기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상기 정화공기토출홀을 통해 중력 방향으로 토출되어 호흡기 주변의 미세먼지를 밀어내고 사용자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필터와 마이크로팬, 구동모터, 밧데리, USB단자, 전원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버튼을 켜면 상기 구동모터와 마이크로팬이 작동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상기 필터링된 정화공기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공기유로와 상기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정화공기토출부로 공급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의 공기유로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공기유로보다 좁아지게 형성되어 베르누이현상이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1020180119214A 2018-10-05 2018-10-05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10211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14A KR102113917B1 (ko) 2018-10-05 2018-10-05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14A KR102113917B1 (ko) 2018-10-05 2018-10-05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71A true KR20200039371A (ko) 2020-04-16
KR102113917B1 KR102113917B1 (ko) 2020-05-21

Family

ID=7045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214A KR102113917B1 (ko) 2018-10-05 2018-10-05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888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휴대용 공기청정 및 체온조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89B1 (ko) * 2016-10-10 2017-01-25 남건호 휴대용 송기 마스크
KR101819144B1 (ko) * 2016-07-08 2018-01-17 이명호 정화공기공급수단이 구비된 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144B1 (ko) * 2016-07-08 2018-01-17 이명호 정화공기공급수단이 구비된 안경
KR101699789B1 (ko) * 2016-10-10 2017-01-25 남건호 휴대용 송기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888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휴대용 공기청정 및 체온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917B1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388B1 (ko) 에어마스크
KR101944498B1 (ko)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KR101905431B1 (ko) 공기정화 마스크 시스템
KR102430089B1 (ko) 개인용 호흡기 보호 장치를 위한 전동식 배기 장치
KR101404760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2137781B1 (ko) 개인용 호흡 보호 기구를 위한 동력식 배기 장치
KR101881775B1 (ko) 웨어러블형 휴대용 에어 블로워 및 이를 이용한 대기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97071B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
US10821255B2 (en) Personalized forced air purifier
KR101739568B1 (ko) 코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KR20200032887A (ko)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JP2018504159A5 (ko)
KR101619494B1 (ko) 흡입부 분리형 기능성 마스크
US20190070441A1 (en) Compact air filter mask
KR101630369B1 (ko) 공기 공급형 마스크
CN105962482A (zh) 便携式空气净化口罩
WO20212246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тделения частиц от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2093517B1 (ko)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102113917B1 (ko) 코걸이형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2099708B1 (ko) 방독면
KR102365565B1 (ko) 실용성을 향상시킨 마스크
TWM614198U (zh) 管狀過濾器及用於過濾受污染的環境空氣之系統
CN102671472A (zh) 空气净滤装置
RU177474U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для человека в городских услови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