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245A -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245A
KR20200039245A KR1020180118935A KR20180118935A KR20200039245A KR 20200039245 A KR20200039245 A KR 20200039245A KR 1020180118935 A KR1020180118935 A KR 1020180118935A KR 20180118935 A KR20180118935 A KR 20180118935A KR 20200039245 A KR20200039245 A KR 2020003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storage
storage unit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197B1 (ko
Inventor
이종민
조재현
윤인섭
이찬우
양영순
최현대
정상원
허병철
여채원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1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텐츠를 설정된 기술 분류에 따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콘텐츠 저장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기술 분류를 재설정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엔지니어링 산업분야는 고부가가치 창출의 대표적인 기술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엔지니어링 산업은 저부가가치의 상세설계 및 시공분야에만 매진하여 최근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이는 엔지니어링 설계(FEED, Front End Engineering Design) 등 핵심영역의 고급인력 및 트랙 레코드(Track Record) 부족, 시공 및 가격 중심의 낙후된 제도, 정부지원 부족 등에 기인한다. 또, 대학은 설계실습 등 체험 및 실정형 교육보다는 이론이나 강의에 치중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텐츠를 설정된 기술 분류에 따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콘텐츠 저장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기술 분류를 재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저장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텐츠를 설정된 기술 분류에 따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콘텐츠 저장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기술 분류를 재설정한다.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메인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저장 위치를 다른 메인 콘텐츠 저장부 또는 다른 서브 콘텐츠 저장부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새로운 메인 콘텐츠 저장부 또는 서브 콘텐츠 저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저장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콘텐츠 저장부(100), 인터페이스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100)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메인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저장부(100)는 제1 메인 콘텐츠 저장부(110), 제2 메인 콘텐츠 저장부(120), 제3 메인 콘텐츠 저장부(130), 제4 메인 콘텐츠 저장부(140), 및 제5 메인 콘텐츠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콘텐츠 저장부(110)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1 서브 콘텐츠 저장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화공 분야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서브 콘텐츠 저장부(111)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1 하위 서브 콘텐츠 저장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콘텐츠 저장부(120)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2 서브 콘텐츠 저장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해양 분야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서브 콘텐츠 저장부(121)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2 하위 서브 콘텐츠 저장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메인 콘텐츠 저장부(130)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3 서브 콘텐츠 저장부(131)를 포함할 수 있고, 발전 분야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서브 콘텐츠 저장부(131)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3 하위 서브 콘텐츠 저장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메인 콘텐츠 저장부(140)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4 서브 콘텐츠 저장부(141)를 포함할 수 있고, PM(Project Management) 분야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제4 서브 콘텐츠 저장부(141)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4 하위 서브 콘텐츠 저장부(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메인 콘텐츠 저장부(150)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5 서브 콘텐츠 저장부(151)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랜트 안전 분야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제5 서브 콘텐츠 저장부(151)는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제5 하위 서브 콘텐츠 저장부(15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국내외 유수의 퍼블릭 콘텐츠(영상 자료, 학술 자료 등)를 포함한다. 각 분야별 전문가는 기술 분류를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전문가를 통해 큐레이션(curation)되어 상기 기술 분류에 따라 각각의 메인 콘텐츠 저장부와 서브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상기 사용자와 콘텐츠 저장부(100)를 연결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명령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콘텐츠 저장부(100)와 인터페이스부(200)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콘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기술 분류에 대한 평가(기술 분류에 대한 적합도, 콘텐츠 제공에 대한 만족도, 콘텐츠 검색에 대한 사용 편의 등)을 받아 콘텐츠의 저장 위치를 다른 메인 콘텐츠 저장부 또는 다른 서브 콘텐츠 저장부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텐츠에 적합한 기술 분류가 없는 경우 제어부(300)는 새로운 메인 콘텐츠 저장부 또는 서브 콘텐츠 저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어부(300)는 콘텐츠의 저장 위치를 변경하거나 새로은 콘텐츠 저장부를 형성하는 경우 최초 기술 분류를 설정한 전문가에게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제공하여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양이 방대하고 기술 분류가 중첩될 수 있어 기술 분류가 정확하게 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에 맞는 정확한 기술 분류가 콘텐츠 저장부(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기술 분류를 재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 콘텐츠 저장부
200 : 인터페이스부 300 : 제어부

Claims (4)

  1.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설정된 기술 분류에 따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콘텐츠 저장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기술 분류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메인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기술 분류가 서로 다른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저장 위치를 다른 메인 콘텐츠 저장부 또는 다른 서브 콘텐츠 저장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새로운 메인 콘텐츠 저장부 또는 서브 콘텐츠 저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80118935A 2018-10-05 2018-10-05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220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935A KR102220197B1 (ko) 2018-10-05 2018-10-05 콘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935A KR102220197B1 (ko) 2018-10-05 2018-10-05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245A true KR20200039245A (ko) 2020-04-16
KR102220197B1 KR102220197B1 (ko) 2021-02-25

Family

ID=7045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935A KR102220197B1 (ko) 2018-10-05 2018-10-05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1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736A (ko) * 2000-02-18 2001-08-29 김동경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7039B1 (ko) * 2010-07-30 2011-10-26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12045A (ko) * 2015-03-17 2016-09-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 분석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한 정도 품질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736A (ko) * 2000-02-18 2001-08-29 김동경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7039B1 (ko) * 2010-07-30 2011-10-26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12045A (ko) * 2015-03-17 2016-09-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 분석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한 정도 품질 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197B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2005B2 (en) Selecting a plurality of individuals and AI agents to accomplish a task
CN105677620A (zh) 项目管理文档生成方法及装置
CN102542857B (zh) 用于在线讨论的评估辅助方法和系统
Cardoso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 and the migration to cloud computing
Larek et al. Industry 4.0 in manual assembly processes–a concept for real time production steering and decision making
Omoronyia et al. Using developer activity data to enhance awareness during collaborative software development
KR20200039245A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ta et al. Evaluation framework for m-learning systems: Current situation and proposal
Chandrasekaran The future of work: how HR drives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new normal
US8782090B2 (en) Aiding report construction based on inference of implicit application level relationships
Bornschlegl et al. Towards a reference model for advanced visual interfaces supporting big data analysis
KR101677805B1 (ko) 소셜 러닝을 통한 러닝 콘텐츠 수집 및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소셜 러닝 서버
Misra et al. An analysis of the suitability of cloud computing services in the Nigerian Education Landscape
Andrews Improving the practice of continuity through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Olanrewaju et al. r-TOLA: An architecture for real time open learning application for universities
Xue et al. OccuQuest: Mitigating Occupational Bias for Inclusive Large Language Models
KR102228205B1 (ko) 번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opes et al. Directives of Communicability for Software Models
Cervone Evidence-based practice and web usability assessment
Löcherbach et al. 3bij3: A framework for testing effects of recommender systems on news exposure
Kernan Freire et al. Knowledge sharing in manufacturing using LLM-powered tools: user study and model benchmarking
Lafrenz et al. Ergonomic Design of Mobil Interaction Devices to Assist Field Worker and Increase Process Safety
Budzak The organization of organizational knowledge
Majchrzak Breaking the functional mind-set: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Paul et al. Eco Friendly Information Services for Better Societies: Trends and Possi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