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721A -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721A
KR20200038721A KR1020180118278A KR20180118278A KR20200038721A KR 20200038721 A KR20200038721 A KR 20200038721A KR 1020180118278 A KR1020180118278 A KR 1020180118278A KR 20180118278 A KR20180118278 A KR 20180118278A KR 20200038721 A KR20200038721 A KR 2020003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auction
store
user
information
estim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당
Priority to KR102018011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8721A/ko
Publication of KR2020003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상점의 실시간의 주문량 정보를 저장하는 주문 DB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상점에서의 주문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상기 주문량 파악 결과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지를 결정하는 기능과, 상기 역경매 견적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Description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고객)들에게 역경매 방식으로 견적 정보를 처리해 주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상공인들은 영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한 점포로서 오프라인상에서 가게나 상점을 운영하거나 온라인상에서 주문을 처리하고 광고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영세규모의 상점에서는 입소문 또는 신문 광고지 등에 의존하는 매우 수동적인 형태의 광고만을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개인의 경우에도 오프라인 및 온라인상에 형성된 상점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지만, 영세규모의 상점에 대해서는 입소문 또는 신문 광고지를 접하기 전까지는 상점의 특장점을 파악하기 어려울뿐더러, 자신의 생활 반경안에 어떠한 상점이 존재하는지도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종래 포털 서비스 제공자 등은 위치 기반 서비스의 한 종류로서, 지도 상에 상점을 표기하고, 해당 상점의 전화번호, 주소, 웹 사이트 주소, 후기 등을 등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포털 서비스 제공자는 소정 정보 등록비를 제공하는 상점에 대해서만 정보를 등록하므로, 영세규모의 상점의 경우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마저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털 서비스 제공자는 상점과 고객 간의 실시간 거래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상점과 고객 간의 실시간 소통이나 거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정한 지역 내 영세규모의 상점은 고객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어려워 대기업형 점포와 같이 고객에 대한 기본 정보는 물론이고, 구매이력이나 처리현황 등과 같은 구매정보, 마일리지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지 못하고 있다. 그에 따라, 고객에게 적합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어 대기업형 점포에 비해 적극적인 고객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2421호(실시간 역경매 방식의 전자 쇼핑몰 정보 제공 및 대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5509호(메시지 기반의 모바일 실시간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고객)들에게 상품/서비스 견적 정보를 역경매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해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점의 실시간의 주문량 정보를 저장하는 주문 DB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상점에서의 주문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상기 주문량 파악 결과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지를 결정하는 기능과, 상기 역경매 견적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사항(주문)이 다수의 상점의 단말에게로 전송되고, 각각의 상점의 단말에서 요구사항에 대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하여 제시하고, 사용자가 어느 한 역경매 견적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와 상점간의 역경매를 통한 실시간 소통이 완료된다.
이에 의해, 효과적으로 상점 홍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문고객 유치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전국 방방곡곡의 모든 업종의 소상공인들과 소비자들이 바로 실시간 온라인으로 소통함으로써, 소상공인과 농어업인에게 더 빠르고 더 쉬운 소통의 마당을 제공하고, 소비자는 유통단계없이 소상공인과 농어업인들과 직접 만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점 단말의 내부 구성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점 단말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점 단말의 내부 구성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경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고객 요구사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프로그램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말’, ‘서버’라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된 용어로서, ‘장치’ 또는 ‘서버’ 또는 '단말장치‘ 로 표현될 수 있으며 대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견적’을 생성하는 판단 조건인 ‘주문량’, ‘재고량’, ‘예약현황’은 세가지 조건이 모두 성립되거나, 각각 단일 조건이 성립되거나, 또는 두가지 조건이 복합적으로 성립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명의 설명을 위한 편의상 각각의 조건 성립에 따르거나 세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고객)와 소상공인의 상점간의 실시간 소통을 통해 새로운 소비 문화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고객)를 위해 역경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점은 매장 또는 가맹점 등으로 불리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먼저 사용자(고객)가 역경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자신의 요구사항(예컨대, "오늘 저녁 7시 10명 고깃집에서 회식할 예정! 제안주실 분?" 등과 같은 주문)을 직접 입력한다.
그에 따라, 해당 요구사항은 다수의 상점의 단말에게로 전송되고, 각각의 상점(가맹점)의 단말에서는 요구사항을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하여 제시한다. 여기서, 역경매 견적은 해당 상점에서 손해보지 않는 선에서 최저의 가격 또는 약간의 손해를 감수한 가격을 포함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사용자(고객)가 어느 한 역경매 견적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고객)와 상점간의 역경매를 통한 실시간 소통이 완료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서버(20), 상점 단말(3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서버(20)에서의 사용자용 역경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용 역경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가입을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용 역경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역경매 진행을 위하여 희망하는 요구사항(희망지역, 업종, 역경매 희망 시작일시, 역경매 희망 종료일시, 상세내용 포함)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용 역경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구사항에 대한 다수의 상점 단말(30)로부터의 역경매 견적을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역경매 견적중에서 희망하는 역경매 견적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신청위치, 업종, 역경매 희망 시작일시, 역경매 희망 종료일시, 상세내용 등을 포함하는 이유는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서 예산판단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역경매 희망 시작일시는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최소 +1시간 이후로 설정가능하고, 역경매 희망 종료일시는 설정한 역경매 희망 시작일시로부터 최소 +1시간으로 설정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역경매 희망 시작일시는 역경매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시간으로서, 역경매 견적 입찰 시간 30분전과 역경매 종료조건인 희망 시작일시 30분전의 조건을 포함하는 최소 1시간 이후를 희망 시작일시로 설정가능하다. 그리고, 역경매 희망 종료일시는 희망 시작일시 기준으로 최소 1시간 이후부터 요청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은 요구사항을 입력하게 되면 서버(20)를 통해 다수의 상점 단말(30)로부터의 역경매 견적을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각각의 상점 단말(30)에서 제시한 역경매 견적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역경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10)을 조작하여 역경매 내역 확인을 선택하게 되면 서버(20)는 그에 대응하여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을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기간 설정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서버(20)에서 가능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서는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역경매 내역은 요구사항별로 역경매 견적에 대한 낙찰이 이루어진 내용 및 낙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내용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요구사항을 입력받는다.
서버(20)는 입력받은 요구사항을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게로 전송함과 더불어 요구사항이 전달되었음을 알린다.
서버(20)는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서 생성된 역경매 견적 즉, 요구사항을 근거로 생성된 역경매 견적을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어느 한 역경매 견적을 선택함에 따라 해당 역경매 견적을 제시한 상점 단말(30)에게로 해당 역경매 견적이 선택되었음을 알린다. 물론,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어느 한 역경매 견적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와 해당 역경매 견적을 제시한 상점간의 주문에 대한 역경매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상점 단말(30)로부터의 역경매 내역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과 서버(20)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한다. 상술한 소정의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으로, 소정의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점 단말(30)은 사용자(고객) 요구사항 수신, 역경매 견적 생성 및 송신, 역경매 견적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수신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소상공인을 위한 것이므로, 상점 단말(30)은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상점의 POS(Point-of sales)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은 서버(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요구사항을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상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의 요구사항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함에 있어서, 상점 단말(30)은 해당 상점의 재고량, 주문량, 및 예약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늘 저녁 7시 10명 고깃집에서 회식할 예정! 제안주실 분?"과 같은 요구사항을 입력한 경우, 상점 단말(30)은 해당 상점의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판단한 후에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 만약,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없다면 상점 단말(30)은 역경매 견적을 생성하지 않는다. 물론,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 이외로 서비스 제공 정보(할인품목, 할인가격, 무료제공 사항 등)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의 서비스 제공 정보가 추가로 반영되는 경우에는 재고량, 주문량, 및 예약정보를 토대로 하는 역경매 견적에 비해 보다 최적의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정보가 추가로 반영되면 재고량과 주문량 및 예약정보만을 반영한 경우에 비해 보다 저가의 가격 또는 보다 풍부한 무료제공 서비스 또는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반영한 역경매 견적을 해당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정보가 추가로 반영되면 낙찰될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실질적으로, 서버(20)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수신하는 상점 단말(30)은 하나 이상이다. 각각의 상점 단말(30)의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 서비스 제공 정보 등은 서로 상이할 것이므로 각각의 상점 단말(30)에서 생성하는 역경매 견적은 상이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점 단말(30)은 생성한 역경매 견적을 서버(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게로 보낸다.
한편, 상점 단말(30)은 역경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점 운영자(또는 관리인)가 상점 단말(30)을 조작하여 역경매 내역 확인을 선택하게 되면 서버(20)는 그에 대응하여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을 해당 상점 단말(30)에게로 전송한다. 기간 설정은 상점 단말(30) 또는 서버(20)에서 가능하다. 그에 따라, 상점 단말(30)에서는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역경매 내역은 요구사항별로 역경매 견적에 대한 낙찰이 이루어진 내용 및 낙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내용을 포함한다.
서버(20)와 상점 단말(30)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한다. 상술한 소정의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으로, 소정의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고객)가 소정의 요구사항을 입력하면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서 저마다의 역경매 견적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어느 한 역경매 견적을 선택하게 되면 주문에 대한 역경매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역경매 시스템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10)을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다수개의 사용자 단말(10)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버(20)의 내부 구성도이다. 서버(2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역경매 서비스 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서버(20)는 송수신부(21), 데이터베이스(22), 및 제어부(23)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10) 및 상점 단말(3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는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 정보 및 상점 정보, 요구사항별 낙찰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명(고객명), 사용자 ID, 비밀번호, 사용자 연락처 등을 포함한다.
회원으로 등록된 상점 정보는 상점명, 상점 ID, 비밀번호, 상점 위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류 카테고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 카테고리는 음식(한식, 분식, 양식, 일식, 중식, 치킨, 패스트푸드, 베이커리/떡 등), 카페(커피/음료, 키즈카페, 애견카페 등), 생활서비스(부동산, 마트/편의점, 농산물/수산물/축산물, 세탁/청소, 사진관/안경원, 주유소 등), 숙박(호텔/콘도, 모델/여관. 펜션/캠핑, 게스트하우스 등), 여행(여행사, 렌터카, 레저스포츠 등), 교육(유아교육, 도서관, 교과목학원, 예체능학원, 어학원 등), 의료(병원, 약국, 한의원, 동물병원 등), 패션(패션/의류, 시계/쥬얼링, 신발, 가방, 스포츠의류 등), 뷰티(이발소/미용실, 에스테틱, 화장품, 필라테스/요가, 성형 등), 즐길거리(PC/게임, 스포츠, 영화/문화, 술집, 노래방, 공방/원데이클래스, 실내여가 등), 광고/마케팅(신문업, 광고업 등), 교통/운송(대리운전, 택시회사, 버스회사, 해운업, 대형화물, 택배회사, 퀵서비스, 배달대행 등), 생산/제조(식음료제조, 전자부품제조, 섬유/원단제조, 기계공구제조, 화학물질제조, 포장재료 제조, 인쇄/출판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구사항별 낙찰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어떤 상점에서 제시한 역경매 견적이 낙찰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정보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2)는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23)는 서버(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3)는 송수신부(21)에 수신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요구사항을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게로 송신하고, 송수신부(21)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로부터의 역경매 견적을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10)에서 어느 한 역경매 견적을 선택(즉, 낙찰)함에 따라 해당 역경매 견적을 제시한 상점 단말(30)에게로 해당 역경매 견적이 선택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제어부(23)는 역경매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인증 및 상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상점 단말(30)로부터의 역경매 내역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을 송수신부(21)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상점 단말(30)의 내부 구성은 보다 다양하게 구체화시킬 수 있다. 이하의 도 4 내지 도 6은 상점 단말(30)의 내부 구성을 보다 구체화시킨 예들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점 단말(30)의 내부 구성의 일 예로서, 해당 상점에서의 재고량을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하는 경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의 상점 단말(30)은 송수신부(31), 재고 DB(32), 재고량 파악부(33), 역경매 견적 생성부(34), 및 제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31)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서버(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31)는 해당 상점내의 포스(POS)를 통해 재고 입고/출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고 DB(32)는 해당 상점의 실시간의 재고량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재고 DB(32)에는 물품별(또는 상품별) 또는 메뉴별 등으로 재고량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재고량 파악부(33)는 재고 DB(32)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상점에서의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즉, 재고량 파악부(33)는 포스(POS)와 연동하여 송수신부(31)를 통한 물건의 입고 및 출고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물품별(또는 상품별) 또는 메뉴별로의 재고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역경매 견적 생성부(34)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재고량 파악부(33)에서의 파악 결과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지를 결정한다. 만약, 역경매 견적 생성부(34)는 역경매 견적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재고 DB(32)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역경매 견적을 송수신부(31)를 통해 서버(20)에게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역경매 견적 생성부(34)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재고량 파악부(33)에서 파악된 현재의 재고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당일 판매해야 할 물품의 양이 기준치 이상으로 남아 있게 되면 빠른 판매 및 자금 회전 등을 위해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상점 단말(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5)는 사용자의 요구사항 수신, 역경매 견적 생성 및 송신, 역경매 견적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수신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는 역경매 내역 요청을 송수신부(31)를 통해 서버(20)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수신부(31)에서 수신되는 서버(20)로부터의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은 표시화면(도시 생략)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점 단말(30)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로서, 해당 상점에서의 예약정보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하는 경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의 상점 단말(30)은 송수신부(41), 예약 DB(42), 예약현황 파악부(43), 역경매 견적 생성부(44), 및 제어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41)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서버(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41)는 해당 상점내의 포스(POS)를 통해 예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약 DB(42)는 해당 상점의 실시간의 예약정보를 저장한다.
예약현황 파악부(43)는 예약 DB(42)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상점에서의 예약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즉, 예약현황 파악부(43)는 포스(POS)와 연동하여 송수신부(41)를 통한 예약정보를 근거로 해당 상점의 예약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역경매 견적 생성부(44)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예약현황 파악부(43)에서의 파악 결과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지를 결정한다. 만약, 역경매 견적 생성부(44)는 역경매 견적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역경매 견적을 송수신부(41)를 통해 서버(20)에게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역경매 견적 생성부(44)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예약현황 파악부(43)에서 파악된 현재의 예약현황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당일의 예약손님이 기준치 이하로 없게 되면 테이블 회전율이 낮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5)는 상점 단말(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5)는 사용자의 요구사항 수신, 역경매 견적 생성 및 송신, 역경매 견적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수신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5)는 역경매 내역 요청을 송수신부(31)를 통해 서버(20)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수신부(41)에서 수신되는 서버(20)로부터의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은 표시화면(도시 생략)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점 단말(30)의 내부 구성의 또 다른 예로서, 해당 상점에서의 주문량을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하는 경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의 상점 단말(30)은 송수신부(51), 주문 DB(52), 주문량 파악부(53), 역경매 견적 생성부(54), 및 제어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51)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서버(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51)는 해당 상점내의 포스(POS)를 통해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문 DB(52)는 해당 상점의 실시간의 주문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주문 DB(52)에는 물품별(또는 상품별) 또는 메뉴별 등으로 주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주문량 파악부(53)는 주문 DB(52)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상점의 주문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즉, 주문량 파악부(53)는 포스(POS)와 연동하여 송수신부(51)를 통한 주문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물품별(또는 상품별) 또는 메뉴별로의 주문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역경매 견적 생성부(54)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주문량 파악부(53)에서의 파악 결과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지를 결정한다. 만약, 역경매 견적 생성부(54)는 역경매 견적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역경매 견적을 송수신부(51)를 통해 서버(20)에게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역경매 견적 생성부(54)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주문량 파악부(53)에서 파악된 현재의 주문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현재 상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물품들에 대한 주문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빠른 판매 및 자금 회전 등을 위해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5)는 상점 단말(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5)는 사용자의 요구사항 수신, 역경매 견적 생성 및 송신, 역경매 견적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수신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5)는 역경매 내역 요청을 송수신부(51)를 통해 서버(20)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수신부(51)에서 수신되는 서버(20)로부터의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은 표시화면(도시 생략)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도 4 내지 도 6은 재고량, 예약정보, 주문량 각각의 경우를 상정하여 상점 단말(3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도 4 내지 도 6의 구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상점 단말(30)을 구성시켜도 무방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상점 단말의 내부 구성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면, 상점 단말(30)은 송수신부, 데이터베이스, 역경매 견적 생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송수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서버(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상점의 실시간의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 서비스 제공 정보 등을 저장한다.
역경매 견적 생성부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 여기서, 역경매 견적 생성부는 해당 상점의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 서비스 제공 정보 등을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요구사항을 수신한 경우, 역경매 견적 생성부는 해당 상점의 재고량, 주문량, 및 예약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 즉, 역경매 견적 생성부는 해당 상점의 재고량, 주문량, 및 예약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판단하였을 때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 이때,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 이외로 서비스 제공 정보(할인품목, 할인가격, 무료제공 사항 등)를 판단 근거로 추가하여도 된다. 상기의 서비스 제공 정보가 추가로 반영되는 경우에는 재고량, 주문량, 및 예약정보를 토대로 하는 역경매 견적에 비해 보다 최적의(즉, 낙찰 가능성이 보다 높은)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는 상점 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구사항 수신, 역경매 견적 생성 및 송신, 역경매 견적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수신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역경매 내역 요청을 송수신부를 통해 서버(20)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서버(20)로부터의 현재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역경매 내역은 표시화면(도시 생략)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경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8은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고객 요구사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10)에서 사용자용 역경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후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10)을 조작하여 역경매 요청을 위한 소정의 요구사항을 입력한다(S10). 여기서, 사용자(고객)의 요구사항은 도 8에서와 같은 내용으로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에서 출력되는 요구사항은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통해 서버(20)에게로 전송되고, 서버(20)는 사용자(고객) 요구사항을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게로 전송한다(S20). 여기서,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은 서버(20)에 미리 회원가입된 것이다. 그리고, 서버(20)는 사용자(고객) 요구사항을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때, 사용자의 요구사항내의 희망지역 및 업종을 고려하여 그에 상응하는 지역 및 업종의 상점 단말(30)에게로 요구사항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희망지역 및 업종과 무관하게 마구잡이식으로 모든 상점 단말(30)에게로 요구사항을 보내면 데이터 신뢰도가 떨어지고 역경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서버(20)는 사용자(고객) 요구사항을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때, 요구사항을 전송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함께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요구사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에서는 해당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S30). 여기서, 상점 단말(30)은 해당 상점의 재고량, 주문량, 및 예약정보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요구사항이 도 8에서와 같이 "서울 구로구의 한식집에서 2017.09.25일 19시에 3명이 식사할 예정"인 경우, 상점 단말(30)은 해당 상점의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역경매 견적을 생성한다. 만약,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없다면 상점 단말(30)은 역경매 견적을 생성하지 않는다. 물론,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 이외로 서비스 제공 정보(할인품목, 할인가격, 무료제공 사항 등)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의 서비스 제공 정보가 추가로 반영되는 경우에는 재고량, 주문량, 및 예약정보를 토대로 하는 역경매 견적에 비해 보다 최적의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서비스 제공 정보가 추가로 반영되면 재고량과 주문량 및 예약정보만을 반영한 경우에 비해 보다 저가의 가격 또는 보다 풍부한 무료제공 서비스 또는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반영한 역경매 견적을 해당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상점 단말(30)의 재고량, 주문량, 예약정보, 서비스 제공 정보 등은 서로 상이할 것이므로 각각의 상점 단말(30)에서 생성하는 역경매 견적은 상이할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상점 단말(30)은 저마다의 역경매 견적을 서버(20)에게로 전송한다(S40).
그리고, 서버(20)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로부터의 역경매 견적을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S50). 물론, 서버(20)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상점 단말(30)로부터의 역경매 견적을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할 때, 역경매 견적을 전송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함께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역경매 견적에서 희망하는 역경매 견적을 선택한다(S60). 역경매 견적이 선택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에게로 전송된다.
그리고, 서버(20)는 선택된 역경매 견적을 제시한 상점 단말(30)에게로 그 사실을 알린다(S70).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와 해당 역경매 견적을 제시한 상점간의 주문에 대한 역경매가 최종적으로 완결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 20 : 서버
21, 31, 41, 51 : 송수신부 22, 32 : 데이터베이스
23, 35, 45, 55 : 제어부 30 : 사용자 단말
34, 44, 54 : 역경매 견적 생성부 32 : 재고 DB
33 : 재고량 파악부 42 : 예약 DB
43 : 예약현황 파악부 52 : 주문 DB
53 : 주문량 파악부

Claims (3)

  1. 상점의 실시간의 주문량 정보를 저장하는 주문 DB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상점에서의 주문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능;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상기 주문량 파악 결과를 근거로 역경매 견적을 생성할 지를 결정하는 기능;
    상기 역경매 견적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경매 견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은,
    해당 상점의 서비스 제공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역경매 견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구사항은,
    희망지역, 업종, 역경매 희망 시작일시, 역경매 희망 종료일시, 및 상세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80118278A 2018-10-04 2018-10-04 기록매체 KR20200038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278A KR20200038721A (ko) 2018-10-04 2018-10-04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278A KR20200038721A (ko) 2018-10-04 2018-10-04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21A true KR20200038721A (ko) 2020-04-14

Family

ID=7029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278A KR20200038721A (ko) 2018-10-04 2018-10-04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87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421B1 (ko) 2000-05-23 2002-09-11 주식회사 마이디지털 실시간 역경매 방식의 전자 쇼핑몰 정보 제공 및 대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5509A (ko) 2009-05-21 2010-12-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메시지 기반의 모바일 실시간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421B1 (ko) 2000-05-23 2002-09-11 주식회사 마이디지털 실시간 역경매 방식의 전자 쇼핑몰 정보 제공 및 대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5509A (ko) 2009-05-21 2010-12-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메시지 기반의 모바일 실시간 역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8685A (ko) 역경매 서비스 방법
KR20200038721A (ko) 기록매체
KR20200038668A (ko) 기록매체
KR20200038623A (ko) 기록매체
KR20200038714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8710A (ko) 정보처리 방법
KR20200038665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8607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8654A (ko) 정보처리 방법
KR20200038606A (ko) 정보처리 방법
KR20200038604A (ko) 기록매체
KR20200038643A (ko) 기록매체
KR20200038695A (ko) 역경매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8649A (ko) 견적처리 단말장치
KR20200038706A (ko) 견적처리 단말장치
KR20200038701A (ko) 기록매체
KR20200038605A (ko) 견적처리 단말장치
KR20200038601A (ko) 역경매 서비스 방법
KR20200038635A (ko) 역경매 서비스 방법
KR20200038680A (ko) 역경매 서비스 장치
KR20200038603A (ko) 역경매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8636A (ko) 역경매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8598A (ko) 역경매 서비스 방법
KR20200038626A (ko)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
KR20200038596A (ko)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